KR20060121531A - 잡 리텐션 기능에 의한 다중 화상형성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잡 리텐션 기능에 의한 다중 화상형성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1531A
KR20060121531A KR1020050043766A KR20050043766A KR20060121531A KR 20060121531 A KR20060121531 A KR 20060121531A KR 1020050043766 A KR1020050043766 A KR 1020050043766A KR 20050043766 A KR20050043766 A KR 20050043766A KR 20060121531 A KR20060121531 A KR 200601215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forming
forming apparatuses
job retention
job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3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94114B1 (ko
Inventor
한정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437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4114B1/ko
Priority to EP06114314A priority patent/EP1727036A3/en
Priority to US11/437,640 priority patent/US20060268289A1/en
Priority to CNB2006101064839A priority patent/CN100450141C/zh
Publication of KR200601215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15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41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41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85Remote printer device, e.g. being remote from client or serv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03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 G06F3/1204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resulting in reduced user or operator actions, e.g. presetting, automatic actions, using hardware token storing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4Parallel printing or parallel ri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67Job repository, e.g. non-scheduled jobs, delay pri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잡 리텐션 기능에 의한 다중 화상형성방법 및 시스템이 개시된다. 이 방법은 호스트와 다수의 화상형성장치들이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을 때, 호스트가 화상형성장치들로부터 잡 리텐션(job retention) 정보를 수집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디스플레이 된 잡 리텐션 정보를 이용하여, 선택된 화상형성장치들의 잡 리텐션 선택사항을 저장하는 단계 및 저장된 각각의 잡 리텐션 선택사항에 따라 인쇄 작업 데이터를 생성하여, 선택된 화상형성장치들로 각각 전송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네트워크로 연결된 다수의 화상형성장치에 대해 각각의 잡 리텐션 옵션(job retention option)을 적용하여 동시에 다수의 화상형성장치에서 화상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여러 번의 화상형성 작업을 반복해야하는 번거로움을 제거한다.

Description

잡 리텐션 기능에 의한 다중 화상형성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multiple image formation with job retention function}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잡 리텐션 기능에 의한 다중 화상형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플로차트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0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플로차트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42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플로차트이다.
도 4는 유저 인터페이스에 의해 화상형성장치들의 목록이 디스플레이 된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는 유저 인터페이스에 의해 어느 하나의 화상형성장치에서 수행 가능한 잡 리텐션 정보가 디스플레이 된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b는 유저 인터페이스에 의해 다른 하나의 화상형성장치에서 수행 가능한 잡 리텐션 정보가 디스플레이 된 또 다른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호스트와 화상형성장치 사이에서 잡 리텐션 정보를 수집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잡 리텐션 기능에 의한 다중 화상형성 시스템을 설명 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0: 호스트 120: 정보 수집부
122: 응답 신호 요청부 124: 응답 신호 수신부
126: 잡 리텐션 정보 요청부 128: 잡 리텐션 정보 수신부
130: 네트워크 주소 요청부 132: 네트워크 주소 수신부
134: 디스플레이부 140: 저장부
160: 데이터 생성부 180: 전송부
200: 네트워크 300: 제1 화상형성장치
320: 제2 화상형성장치 340: 제3 화상형성장치
360: 제n 화상형성장치
본 발명은 다수의 화상형성장치에 의해 동시에 화상형성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다중 화상형성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잡 리텐션(job retention) 기능에 의한 화상형성이 가능하도록 하는 잡 리텐션 기능에 의한 다중 화상형성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호스트와 다수의 화상형성장치들이 네트워크에 의해 연결되어 있을 때, 호스트에서 다수의 화상형성장치로 인쇄 문서를 전송하게 되면, 다수의 화상형성장치에 서 동시에 화상형성작업을 수행한다.
한편, 잡 리텐션 기능이라 함은 화상형성장치에 인쇄 문서를 일시 저장하였다가 필요한 때에, 화상형성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다. 이러한 잡 리텐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화상형성장치에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 매체(HDD)가 장착이 되어 있어야 한다.
그런데, 잡 리텐션 기능에 의해 화상형성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화상형성장치의 잡 리텐션 기능 중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의 종류를 선택해야 하기 때문에 다중 화상형성을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인쇄 문서에 대해 서로 다른 잡 리텐션 기능을 적용해서 다수의 화상형성장치로 전송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화상형성장치의 수만큼 인쇄 작업을 반복해야하 한다. 따라서, 다수의 화상형성장치에서 화상형성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잡 리텐션 기능을 설정하여 각각의 화상형성장치에 화상형성을 지시해야 하는 불편함을 감수해야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다수의 화상형성장치에 대해 각각의 잡 리텐션 옵션을 적용하여 동시에 화상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잡 리텐션 기능에 의한 다중 화상형성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다수의 화상형성장치에 대해 각각의 잡 리텐션 옵션을 적용하여 동시에 화상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잡 리텐션 기능에 의한 다중 화상형성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잡 리텐션 기능에 의한 다중 화상형성방법은 호스트와 다수의 화상형성장치들이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을 때, 호스트가 화상형성장치들로부터 잡 리텐션(job retention) 정보를 수집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디스플레이 된 잡 리텐션 정보를 이용하여, 선택된 화상형성장치들의 잡 리텐션 선택사항을 저장하는 단계 및 저장된 각각의 잡 리텐션 선택사항에 따라 인쇄 작업 데이터를 생성하여, 선택된 화상형성장치들로 각각 전송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다른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잡 리텐션 기능에 의한 다중 화상형성 시스템은 호스트와 다수의 화상형성장치들이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고, 호스트는, 화상형성장치들로부터 잡 리텐션(job retention) 정보를 수집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정보 수집부, 디스플레이 된 잡 리텐션 정보를 이용하여, 선택된 화상형성장치들의 잡 리텐션 선택사항을 저장하는 저장부, 저장된 각각의 잡 리텐션 선택사항에 따라 인쇄 작업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 생성부 및 생성된 인쇄 작업 데이터 각각을 선택된 화상형성장치들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잡 리텐션 기능에 의한 다중 화상형성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잡 리텐션 기능에 의한 다중 화상형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플로차트이다.
먼저, 호스트와 다수의 화상형성장치들이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을 때, 호스트가 화상형성장치들로부터 잡 리텐션(job retention) 정보를 각각 수집하여 디스플레이한다(제10 단계). 잡 리텐션 정보는 화상형성장치의 잡 리텐션 기능에 대한 정보이다. 특히, 잡 리텐션 정보는 화상형성장치들의 리스트 정보, 잡 리텐션 기능 정보 및 사용자 등록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리스트 정보는 잡리텐션 정보를 제공하는 화상형성장치들에 대한 정보를 의미한다. 잡 리텐션 기능정보는 노말 인쇄(nomal print), 프라이빗 인쇄(private print), 푸르프 인쇄(proof print), 저장(store), 딜레이 인쇄(delay print), 스풀 인쇄(spool print) 등의 잡 리텐션 기능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갖는다. 사용자 등록정보는 잡 리텐션 기능에 의한 화상형성을 수행하고자하는 사용자의 관련정보를 의미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0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플로차트이다.
잡 리텐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가를 화상형성장치들에 요청한다(제30 단계). 호스트가 화상형성장치들 각각에게 잡 리텐션 기능을 수행할 수있는가를 요청한다.
제30 단계 후에, 잡 리텐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들로부터 잡 리텐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는 응답 신호를 각각 수신한다(제32 단계). 잡 리텐션 기능을 수행할 수있는가를 요청받은 화상형성장치들은 자신이 잡 리텐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가를 확인하고, 잡 리텐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고 확인되면, 응답신호를 호스트로 송신한다. 호스트는 잡 리텐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는 화상형성 장치들의 응답신호를 수신한다.
제32 단계 후에, 잡 리텐션 정보를 응답 신호를 송신한 화상형성장치들에 요청한다(제34 단계). 호스트는 응답 신호를 송신한 화상형성장치들에게 이 화상형성장치들 각각의 잡 리텐션 정보를 요청한다.
제34 단계 후에, 응답 신호를 송신한 화상형성장치들로부터 잡 리텐션 정보를 각각 수신한다(제36 단계). 잡 리텐션 정보를 요청받은 화상형성장치들은 자신이 수행가능한 잡 리텐션 정보를 각각 호스트로 전송한다.
제36 단계 후에, 응답 신호를 송신한 화상형성장치들 각각의 네트워크 주소를 요청한다(제38 단계). 잡 리텐션 정보를 수신한 호스트는 잡 리텐션 정보를 전송한 화상형성장치들에게 자신들 각각의 네트워크 주소들을 요청한다.
제38 단계 후에, 응답 신호를 송신한 화상형성장치들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주소를 각각 수신한다(제40 단계). 네트워크 주소를 요청받은 화상형성장치들은 자신의 네트워크 주소를 각각 호스트로 전송한다.
특히, 호스트는 네트워크 주소로서 화상형성장치들의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호스트는 수신한 네트워크 주소에 대응하는 화상형성장치들 각각의 포트를 설정한다.
제40 단계 후에, 수신된 잡 리텐션 정보를 각각 디스플레이한다(제42 단계). 호스트는 수신된 각 화상형성장치들의 잡 리텐션 정보들을 각각 디스플레이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42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플로차트이다.
먼저, 응답 신호를 송신한 화상형성장치들의 목록을 디스플레이한다(제50 단계).
도 4는 유저 인터페이스에 의해 화상형성장치들의 목록이 디스플레이 된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스트는 응답 신호를 송신한 화상형성장치들의 목록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한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된 화상형성장치들 중 다중 화상형성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화상형성장치를 선택할 수 있다.
제50 단계 후에, 디스플레이 된 목록 중 선택된 화상형성장치들에서 수행 가능한 잡 리텐션 정보를 각각 디스플레이한다(제52 단계).
도 5a는 유저 인터페이스에 의해 어느 하나의 화상형성장치에서 수행 가능한 잡 리텐션 정보가 디스플레이 된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b는 유저 인터페이스에 의해 다른 하나의 화상형성장치에서 수행 가능한 잡 리텐션 정보가 디스플레이 된 또 다른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사용자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중 화상형성을 실행하기 위한 화상형성장치들(프린터 1, 프린터 2, 프린터 7, 프린터 9, 프린터 17)을 선택하면, 도 5a 및 도 5b에서 보는 바와 같이, 프린터 1 및 프린터 2의 잡 리텐션 정보가 각각 디스플레이 된다(프린터 7, 프린터 9 및 프린터 17의 잡 리텐션 정보는 미도시). 도 5a 및 도 5b는 잡 리텐션 기능들 중 해당 프린터에서 수행할 수 있는 잡 리텐션 기능들(예를 들어, 노말 인쇄(nomal print), 프라이빗 인쇄(private print), 푸르프 인쇄(proof print), 저장(store), 딜레이 인쇄(delay print), 스풀 인쇄(spool print) 등)을 활성화된 상태로 디스플레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활성화된 기능들이 해당 프린터에서 수행가능한 잡 리텐션 기능이라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도 6은 호스트와 화상형성장치 사이에서 잡 리텐션 정보를 수집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호스트가 잡 리텐션 기능을 수행가능하는지 여부를 각각의 화상형성장치들에게 요청한다. 각 화상형성장치들 중 잡 리텐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들은 응답신호를 호스트로 송신한다. 호스트는 수신된 응답신호에 따라 응답신호를 송신한 각 화상형성장치들에게 잡 리텐션 정보를 요청한다. 잡 리텐션 정보를 요청받은 화상형성장치들은 자신의 잡 리텐션 정보를 각각 호스트로 송신한다. 호스트는 수신된 잡 리텐션 정보를 송신한 화상형성장치들의 네트워크 주소를 각각 요청한다. 네트워크 주소를 요청받은 화상형성장치들은 자신의 네트워크 주소를 각각 호스트로 송신한다.
제10 단계 후에, 디스플레이 된 잡 리텐션 정보를 이용하여, 선택된 화상형성장치들 각각의 잡 리텐션 선택사항을 저장한다(제12 단계). 잡 리텐션 선택 사항이란, 디스플레이된 화상형성장치의 잡 리텐션 정보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잡 리텐션 기능을 말한다. 예를 들어, 도 5a의 프린터 1에서 잡 리텐션 선택사항은 푸르프 인쇄(proof print) 및 딜레이 인쇄(delay print)를 의미하고, 도 5b의 프린터 2에서 잡 리텐션 선택사항은 노말 인쇄(nomal print) 및 스풀 인쇄(spool print)를 의미한다.
화상형성장치들 각각의 잡 리텐션 선택사항이 정보로서 호스트에 저장된다. 특히, 잡 리텐션 선택사항은 바이너리 형태로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2 단계 후에, 저장된 잡 리텐션 선택사항에 따라 인쇄 작업 데이터를 생성하여, 선택된 화상형성장치들로 각각 전송한다(제14 단계).
특히, 저장된 잡 리텐션 선택사항을 포함하는 각각의 인쇄 작업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각 화상형성장치로 전송될 인쇄 작업 데이터를 생성할 때, 호스트에 저장된 잡 리텐션 선택사항에 대한 정보를 헤더 정보로서 인쇄 작업 데이터에 부가한다.
인쇄 작업 데이터는 프린트 잡 랭귀지(PJL:Print Job Language) 명령어를 사용하여 생성한다.
생성된 각각의 인쇄 작업 데이터들은 제12 단계에서 선택된 화상형성장치로 전송된다.
제14 단계 후에, 선택된 화상형성장치들에서 수신된 각각의 인쇄작업 데이터에 대해 인쇄 작업을 수행한다(제16 단계). 잡 리텐션 선택사항이 부가된 인쇄 작업 데이터를 수신한 각각의 화상형성장치들은 잡 리텐션 선택사항에 따라 인쇄작업 데이터의 인쇄 작업을 수행한다.
한편, 전술한 잡 리텐션 기능에 의한 다중 화상형성방법은 프린터 드라이버 또는 어플리케이션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제10 단계 내지 제16 단계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이 된다. 즉,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읽을 수 있는 코드/명령들(instructions)/프로그 램으로 구현될 수 있고, 매체, 예를 들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코드/명령들/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마그네틱 저장 매체(예를 들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마그네틱 테이프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 및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와 같은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코드를 내장하는 매체(들)로서 구현되어,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다수개의 컴퓨터 시스템들이 분배되어 처리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실현하는 기능적인 프로그램들,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segment)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쉽게 추론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잡 리텐션 기능에 의한 다중 화상형성 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잡 리텐션 기능에 의한 다중 화상형성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블록도로서, 호스트(100) 및 호스트(100)과 네트워크(200)로 연결된 제1 내지 제n 화상형성장치들(300, 320, 340, 360)로 구성된다.
호스트(100)는 정보 수집부(120), 저장부(140), 데이터 생성부(160) 및 전송부(180)로 구성된다.
정보 수집부(120)는 잡 리텐션(job retention) 정보를 제1 내지 제n 화상형성장치들(300, 320, 340, 360)로부터 각각 수집하여 디스플레이한다.
정보 수집부(120)는 응답신호 요청부(122), 응답신호 수신부(124), 잡 리텐 션 정보 요청부(126), 잡 리텐션 정보 수신부(128), 네트워크 주소 요청부(130), 네트워크 주소 수신부(132) 및 디스플레이부(134)로 구성된다.
응답신호 요청부(122)는 잡 리텐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가를 제1 내지 제n 화상형성장치들(300, 320, 340, 360)에 요청한다. 잡 리텐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가를 묻는 요청신호는 네트워크(200)에 연결된 모든 화상형성장치들로 전송된다.
응답신호 수신부(124)는 잡 리텐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들로부터 잡 리텐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는 응답 신호를 각각 수신한다. 응답신호 수신부(124)는 네트워크(200)에 연결된 모든 화상형성장치들 즉, 제1 내지 제n 화상형성장치들(300, 320, 340, 360) 중 잡 리텐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들로부터 응답 신호를 수신한다.
잡 리텐션 정보 요청부(126)는 잡 리텐션 정보를 응답 신호를 송신한 화상형성장치들에 요청한다. 예를 들어, 응답 신호를 제1 및 제3 화상형성장치(300, 340)으로 부터 수신하였다면, 잡 리텐션 정보 요청부(126)는 잡 리텐션 정보를 제1 및 제3 화상형성장치(300, 340)에 요청한다.
잡 리텐션 정보 수신부(128)는 응답 신호를 송신한 화상형성장치들로부터 잡 리텐션 정보를 각각 수신한다. 예를 들어, 응답 신호를 제1 및 제3 화상형성장치(300, 340)으로 부터 수신하였다면, 잡 리텐션 정보 수신부(128)는 잡 리텐션 정보를 제1 및 제3 화상형성장치(300, 340)로부터 수신한다.
네트워크 주소 요청부(130)는 응답 신호를 송신한 화상형성장치들 각각의 네트워크 주소를 요청한다. 예를 들어, 응답 신호를 제1 및 제3 화상형성장치(300, 340)으로 부터 수신하였다면, 네트워크 주소 요청부(130)는 제1 및 제3 화상형성장치(300, 340) 각각의 네트워크 주소를 제1 및 제3 화상형성장치(300, 340)에 요청한다.
네트워크 주소 수신부(132)는 응답 신호를 송신한 화상형성장치들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주소를 각각 수신한다. 예를 들어, 응답 신호를 제1 및 제3 화상형성장치(300, 340)으로 부터 수신하였다면, 네트워크 주소 수신부(132)는 제1 및 제3 화상형성장치(300, 340) 각각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주소를 제1 및 제3 화상형성장치(300, 340)로부터 수신한다.
네트워크 주소 수신부(132)는 네트워크 주소로서 화상형성장치들의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네트워크 주소 수신부(132)는 수신한 네트워크 주소에 대한 포트를 설정한다.
디스플레이부(134)는 수신된 화상형성장치들 각각의 잡 리텐션 정보를 각각 디스플레이한다. 디스플레이부(134)는 잡 리텐션 정보를 각각 디스플레이하며, 사용자의 잡 리텐션 선택사항을 입력받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I)로서의 기능을 담당한다.
디스플레이부(134)는 응답 신호를 송신한 화상형성장치들의 목록을 디스플레이하고, 디스플레이 된 목록 중 선택된 화상형성장치들에서 수행 가능한 잡 리텐션 정보를 각각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134)에 의해 디스플레이된 일 예가 도 4,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되어 있다.
저장부(140)는 디스플레이 된 각각의 잡 리텐션 정보 중 선택된 화상형성장 치들 각각의 잡 리텐션 선택사항을 저장한다.저장부는(140)는 잡 리텐션 선택사항을 바이너리 형태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데이터 생성부(160)는 저장된 각각의 잡 리텐션 선택사항에 따른 각각의 인쇄 작업 데이터를 생성한다. 데이터 생성부(160)는 저장된 잡 리텐션 선택사항을 포함하는 각각의 인쇄 작업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각 화상형성장치로 전송될 인쇄 작업 데이터를 생성할 때, 데이터 생성부(160)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잡 리텐션 선택사항에 대한 정보를 헤더 정보로서 인쇄 작업 데이터에 부가한다. 데이터 생성부(160)는 프린트 잡 랭귀지(PJL:Print Job Language) 명령어를 사용하여 인쇄 작업 데이터를 생성한다.
전송부(180)는 생성된 인쇄 작업 데이터 각각을 네트워크(200)를 통해 선택된 화상형성장치들로 각각 전송한다.
선택된 화상형성장치들은 각각의 인쇄작업 데이터에 대해 인쇄 작업을 수행한다.
이러한 본원 발명인 잡 리텐션 기능에 의한 다중 화상형성방법 및 시스템은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잡 리텐션 기능에 의한 다중 화상형성방법 및 장치는 네트워 크로 연결된 다수의 화상형성장치에 대해 각각의 잡 리텐션 옵션(job retention option)을 적용하여 한 번에 화상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여러 번의 화상형성 작업을 반복해야하는 번거로움을 제거하고, 사용자의 편리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은 동일한 문서를 서로 다른 잡 리텐션 옵션을 적용해서 네트워크로 연결된 다수의 화상형성장치로 보내고자 할 때, 매 번 사용자가 일일이 해당 화상형성장치로 화상형성 작업을 지시하는 번거로움을 한 번에 처리하도록 한다.

Claims (20)

  1. (a) 호스트와 다수의 화상형성장치들이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을 때, 상기 호스트가 상기 화상형성장치들로부터 잡 리텐션(job retention) 정보를 수집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b) 상기 디스플레이 된 잡 리텐션 정보를 이용하여, 선택된 화상형성장치들의 잡 리텐션 선택사항을 저장하는 단계; 및
    (c) 상기 저장된 잡 리텐션 선택사항에 따라 인쇄 작업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선택된 화상형성장치들로 전송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 리텐션 기능에 의한 다중 화상형성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잡 리텐션 정보는 상기 화상형성장치들의 리스트 정보, 잡 리텐션 기능 정보 및 사용자 등록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 리텐션 기능에 의한 다중 화상형성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a1) 잡 리텐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가를 상기 화상형성장치들에 요청하는 단계;
    (a2) 상기 잡 리텐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들로부터 상기 잡 리텐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는 응답 신호를 각각 수신하는 단계;
    (a3) 상기 잡 리텐션 정보를 상기 응답 신호를 송신한 화상형성장치들에 요청하는 단계;
    (a4) 상기 응답 신호를 송신한 화상형성장치들로부터 상기 잡 리텐션 정보를 각각 수신하는 단계; 및
    (a5) 상기 수신된 잡 리텐션 정보를 각각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 리텐션 기능에 의한 다중 화상형성방법.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a5) 단계는
    상기 응답 신호를 송신한 화상형성장치들의 목록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된 목록 중 상기 선택된 화상형성장치들에서 수행 가능한 잡 리텐션 정보를 각각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 리텐션 기능에 의한 다중 화상형성방법.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a6) 상기 응답 신호를 송신한 화상형성장치들 각각의 네트워크 주소를 요청하는 단계; 및
    (a7) 상기 응답 신호를 송신한 화상형성장치들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주소를 각각 수신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 리텐션 기능에 의한 다중 화상형성방법.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a7)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주소로서 상기 화상형성장치들의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 리텐션 기능에 의한 다중 화상형성방법.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잡 리텐션 선택사항은 바이너리 형태로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 리텐션 기능에 의한 다중 화상형성방법.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저장된 잡 리텐션 선택사항을 포함하는 각각의 인쇄 작업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 리텐션 기능에 의한 다중 화상형성방법.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잡 리텐션 기능에 의한 다중 화상형성방법이 프린터 드라이버 또는 어플리케이션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 리텐션 기능에 의한 다중 화상형성방법.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잡 리텐션 기능에 의한 다중 화상형성방법은
    (d) 상기 선택된 화상형성장치들에서 상기 전송된 각각의 인쇄작업 데이터에 대해 인쇄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 리텐션 기능에 의한 다중 화상형성방법.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12. 호스트 및 상기 호스트와 네트워크로 연결된 다수의 화상형성장치들을 구비한 잡 리텐션 기능에 의한 다중 화상형성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는,
    상기 화상형성장치들로부터 잡 리텐션(job retention) 정보를 수집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정보 수집부;
    상기 디스플레이 된 잡 리텐션 정보를 이용하여, 선택된 화상형성장치들의 잡 리텐션 선택사항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저장된 잡 리텐션 선택사항에 따라 인쇄 작업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인쇄 작업 데이터를 상기 선택된 화상형성장치들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 리텐션 기능에 의한 다중 화상형성 시스템.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잡 리텐션 정보는 상기 화상형성장치들의 리스트 정보, 잡 리텐션 기능 정보 및 사용자 등록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 리텐션 기능에 의한 다중 화상형성 시스템.
  14.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수집부는
    잡 리텐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가를 상기 화상형성장치들에 요청하는 응답 신호 요청부;
    상기 잡 리텐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들로부터 상기 잡 리텐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는 응답 신호를 각각 수신하는 응답 신호 수신부;
    상기 잡 리텐션 정보를 상기 응답 신호를 송신한 화상형성장치들에 요청하는 잡 리텐션 정보 요청부;
    상기 응답 신호를 송신한 화상형성장치들로부터 상기 잡 리텐션 정보를 각각 수신하는 잡 리텐션 정보 수신부; 및
    상기 수신된 잡 리텐션 정보를 각각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 리텐션 기능에 의한 다중 화상형성 시스템.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응답 신호를 송신한 화상형성장치들의 목록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된 목록 중 상기 선택된 화상형성장치들에서 수행 가능한 잡 리텐션 정보를 각각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 리텐션 기능에 의한 다중 화상형성 시스템.
  16.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수집부는
    상기 응답 신호를 송신한 화상형성장치들 각각의 네트워크 주소를 요청하는 네트워크 주소 요청부; 및
    상기 응답 신호를 송신한 화상형성장치들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주소를 각각 수신하는 네트워크 주소 수신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 리텐션 기능에 의한 다중 화상형성 시스템.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주소 수신부는
    상기 네트워크 주소로서 상기 화상형성장치들의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 리텐션 기능에 의한 다중 화상형성 시스템.
  18.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잡 리텐션 선택사항을 바이너리 형태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 리텐션 기능에 의한 다중 화상형성 시스템.
  19.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생성부는
    상기 저장된 잡 리텐션 선택사항을 포함하는 각각의 인쇄 작업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 리텐션 기능에 의한 다중 화상형성 시스템.
  20.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잡 리텐션 기능에 의한 다중 화상형성 시스템은
    상기 선택된 화상형성장치들에서 상기 전송된 각각의 인쇄작업 데이터에 대해 인쇄 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 리텐션 기능에 의한 다중 화상형성 시스템.
KR1020050043766A 2005-05-24 2005-05-24 잡 리텐션 기능에 의한 다중 화상형성 방법 및 시스템 KR1006941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3766A KR100694114B1 (ko) 2005-05-24 2005-05-24 잡 리텐션 기능에 의한 다중 화상형성 방법 및 시스템
EP06114314A EP1727036A3 (en) 2005-05-24 2006-05-22 Multi image forming method and system using job retention functions
US11/437,640 US20060268289A1 (en) 2005-05-24 2006-05-22 Multi image forming method and system using job retention functions
CNB2006101064839A CN100450141C (zh) 2005-05-24 2006-05-24 利用作业保持功能的多图像形成方法和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3766A KR100694114B1 (ko) 2005-05-24 2005-05-24 잡 리텐션 기능에 의한 다중 화상형성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1531A true KR20060121531A (ko) 2006-11-29
KR100694114B1 KR100694114B1 (ko) 2007-03-12

Family

ID=36781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3766A KR100694114B1 (ko) 2005-05-24 2005-05-24 잡 리텐션 기능에 의한 다중 화상형성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60268289A1 (ko)
EP (1) EP1727036A3 (ko)
KR (1) KR100694114B1 (ko)
CN (1) CN100450141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06821B2 (ja) * 2019-02-20 2021-01-06 キヤノンマーケティングジャパン株式会社 システム、画像形成装置及びそれら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7298183B2 (ja) * 2019-02-22 2023-06-2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情報処理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5094B2 (ja) * 1993-03-13 2001-02-13 株式会社リコー 統合ビジネス用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DE69835319T2 (de) * 1997-06-20 2007-08-02 Seiko Epson Corp. Drucksystem und Druckverfahren zum Auswählen eines optimalen Druckers zum Druckem
US6160629A (en) * 1998-10-26 2000-12-12 Hewlett-Packard Company Multiple copy printer with print job retention
JP3740403B2 (ja) * 2000-10-23 2006-02-01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システム、印刷制御装置、情報処理方法、制御プログラム
US20020181013A1 (en) * 2001-06-04 2002-12-05 Dunlap Douglas Gerald Printer selection system and method
US7426049B2 (en) * 2001-07-16 2008-09-1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inting retained print jobs
US7333245B2 (en) * 2001-07-16 2008-02-1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ystem and method for printing retained print jobs
US7809807B2 (en) * 2001-08-08 2010-10-05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system, image forming method, and server
US6961936B2 (en) * 2001-09-20 2005-11-0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tored jobs
US7321437B2 (en) * 2001-09-28 2008-01-2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E-mail to job retention
US20030095284A1 (en) * 2001-11-19 2003-05-22 Parry Travis J. Method and apparatus job retention
US6814511B2 (en) * 2001-11-27 2004-11-0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inting information saved in print-ready formats
US20030112452A1 (en) * 2001-12-19 2003-06-19 Mcintyre C. Kevin Method and system for printer with multiple event logs
US7102778B2 (en) * 2002-01-11 2006-09-0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inter selection system and method with print request distribution
US20030234958A1 (en) * 2002-06-24 2003-12-25 Fritz Terry-Lee M. Printing system
US20040008366A1 (en) * 2002-07-15 2004-01-15 Ferlitsch Andrew R. Print job requirement-based selection of best-fit printing device
US20040021893A1 (en) * 2002-07-30 2004-02-05 Stevens Chad A. System for enabling a group of printers to print a document
JP2004220565A (ja) * 2002-12-27 2004-08-05 Seiko Epson Corp 分散印刷システム及び分散印刷方法、分散印刷プログラム、並びにプリンタ及びプリンタ管理サーバ
JP4341303B2 (ja) * 2003-06-09 2009-10-0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印刷システム
US20050068564A1 (en) * 2003-09-30 2005-03-31 Ferlitsch Andrew R.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interactive printing with job data pull
JP2006133847A (ja) * 2004-11-02 2006-05-25 Fuji Xerox Co Ltd 情報出力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925533A (zh) 2007-03-07
KR100694114B1 (ko) 2007-03-12
US20060268289A1 (en) 2006-11-30
EP1727036A2 (en) 2006-11-29
EP1727036A3 (en) 2009-12-30
CN100450141C (zh) 2009-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581287B (zh) 推送通知系统以及推送通知方法
EP1977562B1 (en) Discovery of network nodes and routable addresses
JP2007035062A (ja) サーバ・ベースのネットワークにおいて印刷命令を処理する方法、および対応するサーバ・ベースのネットワーク
CN103312921B (zh) 事件通知系统
JP2004535634A (ja) 遠隔地にあるドキュメントを検索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8745176B2 (en) Method and device to set device configurations
US6431772B1 (en) Broadcast printing system and method
KR20090084704A (ko) 통지 방법, 관리 장치 및 클라이언트 장치
US20110019226A1 (en) Server, printer,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US20120133973A1 (en) Print server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US8154746B2 (en) Information communication system, sending device, receiving device, recording medium storing transmission control program, recording medium storing reception control program, data signal embodied in carrier wave, sending method, and receiving method
JP2004078281A (ja) プリンタ機器情報設定方法、画像印刷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20090103126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which supports internet protocol (ip) management and method thereof
KR100694114B1 (ko) 잡 리텐션 기능에 의한 다중 화상형성 방법 및 시스템
JP3876588B2 (ja) プリンタ、プリンタの制御方法およびプリントシステム並びに記録媒体
US6757741B1 (en) System and method for network printing using a peer hybrid printing protocol
JP2006178884A (ja) 情報処理装置、画像形成装置、動作制御プログラム、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US8270001B2 (en) Printing apparatus and canceling method
CN100399286C (zh) 在主计算机中执行外部设备的诊断功能的方法和装置
JP2013069338A (ja) プルプリンティング方法、プルプリンティング・システム及びプルプリンティング用のデバイス
US20070291307A1 (en) Image forming method and system to perform overlay
US7812982B2 (en) Network printing system for proxy printing
US895809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that sets information in a registry of a client terminal in accordance with setting information sent by a management terminal
KR101961729B1 (ko) 관리 서버, 관리 장치, 및 복수의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관리 방법
JP3747898B2 (ja) 電子機器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