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1405A - 콘텐츠 개인인증추적 서비스시스템 - Google Patents

콘텐츠 개인인증추적 서비스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1405A
KR20060121405A KR1020050043564A KR20050043564A KR20060121405A KR 20060121405 A KR20060121405 A KR 20060121405A KR 1020050043564 A KR1020050043564 A KR 1020050043564A KR 20050043564 A KR20050043564 A KR 20050043564A KR 20060121405 A KR20060121405 A KR 200601214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server
tracking
phone
personal authent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3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빈윤국
Original Assignee
(주) 솔빅스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솔빅스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 솔빅스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0500435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21405A/ko
Publication of KR200601214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14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06F21/16Program or content traceability, e.g. by watermar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4Management at additional data server, e.g. shopping server, rights management server
    • H04N21/2541Rights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4Management at additional data server, e.g. shopping server, rights management server
    • H04N21/2543Billing, e.g. for subscription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8Upper layer protocols
    • H04W80/12Application layer protocols, e.g. WAP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echnology Law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콘텐츠 유통에 있어 DRM이 가지고 있는 저작권 인증의 범위를 넘어 콘텐츠 유통 경로를 인증과 추적시스템을 통하여 처리하고 이를 개인들이 자유롭게 상거래할 수 있도록 유통하고자 하는 콘텐츠 개인인증추적 서비스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개인들이 최초에 업로드된 WAP 콘텐츠, 다운로드 콘텐츠, 그리고 방송 콘텐츠가 저장되고 있는 콘텐츠 서버(101)는 업로드되어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저장된 콘텐츠에 개인 인증코드를 부여하고, 이 개인 인증코드를 이용하여 콘텐츠의 유통 경로를 추적하기 위한 인증 추적 알고리즘을 수행하는 개인인증 추적서버(102)와 유선인터넷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동되도록 구비하여; 상기 콘텐츠 서버(101)는 유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개인용 컴퓨터(103), PDA(104)와 통신하며,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PDA 폰(105), 휴대폰(106), DMB 폰(107), WIBRO 폰(108)과 통신하는 구조를 갖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콘텐츠 개인인증추적 서비스시스템, 콘텐츠 개인인증추적시스템, 개인인증 추적상거래시스템, 콘텐츠 서버

Description

콘텐츠 개인인증추적 서비스시스템{SERVICE SYSTEM FOR AUTHENTICATION TRACKING OF CONTENTS PERSONAL}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콘텐츠 개인인증추적 서비스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네트워크도,
도 2 는 도 1 에 도시된 콘텐츠 인증추적시스템에서 콘텐츠 서버를 도시해 놓은 구성도,
도 3 은 도 1 에 도시된 콘텐츠 인증추적시스템에서 개인인증 추적서버를 도시해 놓은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콘텐츠 개인인증추적 서비스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네트워크도,
도 5 는 도 3 에 도시된 콘텐츠 인증추적시스템에서 콘텐츠 서버를 도시해 놓은 구성도,
도 6 은 도 3 에 도시된 콘텐츠 인증추적시스템에서 개인인증 추적서버를 도시해 놓은 구성도,
도 7 은 본 발명의 콘텐츠 개인인증추적 서비스시스템에서 데이터베이스에 구축되는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
도 8 은 본 발명의 콘텐츠 개인인증추적 서비스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매핑 데이터베이스에 구축되는 테이블의 과정도,
도 9 는 본 발명의 콘텐츠 개인인증추적 서비스시스템에서 상품등록(판매)절차에 대한 흐름도,
도 10 및 도 11 은 본 발명의 콘텐츠 개인인증추적 서비스시스템에서 콘텐츠 인증추적 상거래시스템의 실시예와 구매절차에 따른 매핑 데이터베이스의 업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12 내지 도 15 는 본 발명의 콘텐츠 개인인증추적 서비스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현 실시예들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콘텐츠서버
102 : 개인인증 추적서버
본 발명은 콘텐츠 개인인증추적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개인인증 추적상거래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콘텐츠 유통에 있어 DRM(Digital Rights Management)이 가지고 있는 저작권 인증의 범위를 넘어 콘텐츠 유통 경로를 인증과 추적시스템을 통하여 처리하고 이를 개인들이 자유롭게 상거래할 수 있도록 유통하고자 하는 콘텐츠 개인인증추적 서비스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저작권관리(DRM)는 디지털 콘텐츠의 무단 사용을 막아 저작권 관련 당사자들의 이익과 권리를 보호해 주는 기술과 서비스인 바, 이는 콘텐츠 제공자의 권리와 이익을 안전하게 보호하며 불법복제를 막고 사용료 부과와 결제대행 등 콘텐츠의 생성에서 유통·관리까지를 일괄적으로 지원하는 기술인 것이다. 여기에는 적법한 사용자만 콘텐츠를 사용하고 적절한 요금을 지불하도록 만드는 디지털 저작권 관리기술, 저작권 승인과 집행을 위한 소프트웨어 및 보안기술, 지불·결제기술이 모두 포함된다.
한편, 콘텐츠 식별자인 DOI(Digital Object Identifier), 전자상거래에 필요한 데이터를 기록하는 인덱스(INDECS), 불법복제와 변조방지를 위한 워터마킹 기술을 뒷받침으로 하고 있다. 상기 DOI는 디지털 콘텐츠에 부여하는 식별번호이며, 워터마킹은 기밀정보를 디지털 데이터에 숨긴 후 저작권 분쟁이 발생했을 때 디지털 저작권자가 누구인가를 확인할 수 있는 기술이다. 콘텐츠마다 보안인증시스템을 장착하여 일정한 사용료를 지불하지 않으면 그 콘텐츠를 이용하지 못하게 한다.
종래의 콘텐츠로는 DRM이 적용되어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할 때 사용시점에서 과금을 하기위한 용도로 적용되어 유통되어 왔다. 거기에다 유통업체에서 각사의 인증코드를 부여하여 재사용 여부를 결정하는 용도나 추적 시스템을 이용하여 불법적인 용도로 사용되는 콘텐츠를 방지하는 용도로 사용되어 왔다. 이상과 같은 3가지의 용도로는 콘텐츠 자체의 저작권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의 개인인증추적시스템은 모든 콘텐츠가 개인 인증추적 모듈을 적용할 경우에, 어느 한 곳에서 사고 팔 때 이미 정해진 유통 경로를 이용해야 하는 구조 였다. 따라서, 종래에는 정해진 상위자와 하위자의 유통구조에서만 온라인구매를 행하여지도록 되어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자는 개인이 보유, 즉 샀거나 선물을 받았거나 자체 제작하였거나 하는 것들이 하고 있는 콘텐츠의 인증추적 시스템과 개인이 유통할 수 있는 상거래 기반을 만드는 것을 다각적으로 강구하게 되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사정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 콘텐츠 개인인증 추적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개인인증 추적상거래시스템을 구현시켜서 개인 인증추적 상거래가 유통 경로를 시스템적으로 해결할 수 있음으로 종래와 달리 정해진 상위자와 하위자의 유통 구조를 벋어나 누구나 상위자가 되어 상거래를 할 수 있는 콘텐츠 개인인증추적 서비스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개인들이 최초에 업로드된 WAP 콘텐츠, 다운로드 콘텐츠, 그리고 방송 콘텐츠가 저장되고 있는 콘텐츠 서버(101)는 업로드되어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저장된 콘텐츠에 개인 인증코드를 부여하고 이 개인 인증코드를 이용하여 콘텐츠의 유통 경로를 추적하기 위한 인증 추적 알고리즘을 수행하는 개인인증 추적서버(102)와 유선인터넷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동되도록 구비하여; 상기 콘텐츠 서버(101)는 유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개인용 컴퓨터(103), PDA(104)와 통신하며,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PDA 폰(105), 휴대폰(106), DMB 폰(107), WIBRO 폰(108)과 통신하는 구조를 갖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적인 수단은, 개인들이 최초에 업로드된 WAP 콘텐츠, 다운로드 콘텐츠, 그리고 방송 콘텐츠가 저장되고 있는 콘텐츠 몰서버는 업로드되어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저장된 콘텐츠에 개인 인증코드를 부여하고 이 개인 인증코드를 이용하여 콘텐츠의 유통 경로를 추적하기 위한 인증 추적 알고리즘을 수행하는 개인인증 추적서버와 과금서버를 유선인터넷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동되도록 구비하여; 상기 콘텐츠 서버는 유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개인용 컴퓨터, PDA와 통신하며,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PDA 폰, 휴대폰, DMB 폰, WIBRO 폰과 통신하는 구조이고, 상기 과금서버는 콘텐츠 몰 서버 또는 네트워크 상에 접속된 개인용 컴퓨터, PDA, PDA 폰, 휴대폰, DMB 폰, WIBRO 폰등에 저장된 콘텐츠를 구매할 시에 구매와 연결될 과금 및 정산을 담당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콘텐츠 개인인증추적 서비스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네트워크도로서, 본 발명은 다양한 콘텐츠 유통에 있어 DRM이 가지고 있는 저작권 인증의 범위를 넘어 콘텐츠 유통 경로를 인증과 추적시스템을 통하여 처리하고 이를 개인들이 자유롭게 상거래할 수 있도록 유통하고자 하는 콘텐츠 개인인증추적 서비스시스템인 것이다.
본 발명의 콘텐츠 인증추적시스템은 콘텐츠 서버(101)와 개인인증 추적서버 (102)가 유선 인터넷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동되고 있는 바, 상기 콘텐츠 서버(101)는 개인들이 최초에 업로드된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콘텐츠, 다운로드 콘텐츠, 그리고 방송 콘텐츠가 저장되고 있다. 콘텐츠 서버(101)는 유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개인용 컴퓨터(103),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 104)와 통신하며,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PDA 폰(105), 휴대폰(106),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폰(107), WIBRO 폰(108)과 통신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개인인증 추적서버(102)는 업로드되어 데이터베이스 서버(도시되지 않음)에 저장된 콘텐츠에 개인 인증코드를 부여하고, 이 개인 인증코드를 이용하여 콘텐츠의 유통 경로를 추적하기 위한 인증 추적 알고리즘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콘텐츠 인증추적시스템은 유선 인터넷네트워크를 통하여 유선네트워크와 무선네트워크가 통신되고 있다.
도 2 는 도 1 에 도시된 콘텐츠 인증추적시스템에서 콘텐츠 서버를 도시해 놓은 구성도로서, 도 1 에 도시된 콘텐츠서버(101)는 콘텐츠 관리모듈(11), 장치관리모듈(12), 망연동 인터페이스(13), P2P(Peer-to-Peer)서버모듈(14), P2P인터페이스(15)및 OA&M서버모듈(16)로 구성되는 한편, WAP 콘텐츠 데이터베이스(DB)(17), 다운로드 콘텐츠 DB(18), 방송콘텐츠 DB(19), 장치 DB(20)및 로그DB(21)로 구성된다.
상기 콘텐츠 관리모듈(11)은 사용자에 의해 업로드된 데이터의 등록,삭제 등의 콘텐츠를 관리하고, 상기 장치 관리모듈(12)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이 가능한 다양한 유/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등록,삭제,변경 등의 작업을 수행한다. 상기 망 연동 인터페이스(13)는 도 1 에 도시된 개인인증 추적서버(102)와 개인용 컴퓨터(103), PDA(104), PDA 폰(105), 휴대폰(106), DMB 폰(107), WIBRO 폰(108) 간에 통신을 위한 유/무선 네트워크 연동에 관한 네트워크 접속 및 관리를 담당한다.
상기 P2P 서버 모듈(14)는 유무선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다양한 단말간의 P2P(Peer-to-Peer) 통신을 수행하고, P2P 인터페이스(15)는 개인용 컴퓨터(103), PDA(104), PDA 폰(105), 휴대폰(106), DMB 폰(107), WIBRO 폰(108)이 P2P 서버에서 콘텐츠를 P2P 방식으로 콘텐츠와 디바이스에 무관하게 전송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OA&M 서버모듈(16)은 도 1 에 도시된 콘텐츠서버(101)의 콘텐츠 관리상 필요한 다양한 관리자 기능, 통계 기능을 위하여, 로그 DB(21)에 저장된 로그를 바탕으로 통계 및 분석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WAP 콘텐츠 DB(17)는 휴대폰에서 WAP 메뉴 방식으로 열람할 수 있는 콘텐츠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인 것이고, 상기 다운로드 콘텐츠 DB(18)는 접속된 PC(103), PDA(104), PDA 폰(105), 휴대폰(106), DMB 폰(107), WIBRO 폰(108)에서 다운로드 받아서 열람하거나 플레이할 수 있는 콘텐츠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인 것이다.
상기 방송 콘텐츠 DB(19)는 PC(103), PDA(104), PDA 폰(105), 휴대폰(106), DMB 폰(107)및 WIBRO 폰(108)에서 스트리밍 형태로 열람할 수 있는 콘텐츠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인 것이다. 따라서, 콘텐츠서버는 여러개의 모듈과 인터베이스와 더불어 데이터베이스로 구성되어져 있다.
도 3 은 도 1 에 도시된 콘텐츠 인증추적시스템에서 개인인증 추적서버를 도시해 놓은 구성도로서 , 도 1 에 도시된 개인인증 추적서버(102)는 가입자 관리모듈(22), 코드관리모듈(23), 추적프로세스(24)및 OA&M(25)와 더불어 가입자 DB(26), 코드DB(27), 매핑DC(28), 로그DB(29)로 구성되어져 있다. 상기 가입자 관리모듈(22)은 도 1 에 도시된 콘텐츠 서버(101)에 가입한 가입자 DB(26)에 가입자 아이디(UID;User Identification) 생성하여 신규 가입자를 생성하며, 기존 가입자의 가입자 정보 및 환경에 대한 변경, 그리고 기존 가입자의 삭제 등에 따른 가입자 DB(26)의 변경 작업을 수행한다.
상기 코드 관리모듈(23)은 가입자 DB(26)에 저장된 가입자 아이디(UID;User Identification), 콘텐츠 아이디(CID;Contents Identification)에 대한 생성 및 관리를 담당한다. 상기 추적 프로세스(24)는 매핑 DB(28)에 저장된 콘텐츠에 부여된 CID와 이를 P2P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송하여 배포된 UID 간의 전송 상태에 대한 추적을 담당한다. 상기 OA&M(25)은 도 1 에 도시된 개인인증 추적서버(102)의 가입자 관리상 필요한 다양한 관리자 기능, 통계 기능을 위하여, 로그 DB(29)에 저장된 로그를 바탕으로 가입자에 대한 통계 및 분석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 는 도 1 에 도시된 콘텐츠 인증 추적시스템을 기반으로 콘텐츠 쇼핑몰을 구현한 상거래 시스템에 대한 대표적인 구성도이다. 콘텐츠 몰 서버(201)와 개인인증 추적서버(202)는 유선 인터넷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동되고 있으며, 또한 과금서버(203)가 구성되어져 있다.
상기 콘텐츠 몰 서버(201)는 개인들이 최초에 업로드된 WAP 콘텐츠, 다운로 드 콘텐츠, 그리고 방송 콘텐츠가 저장된다. 콘텐츠 몰 서버(201)는 유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개인용 컴퓨터(204), PDA(205)와 통신하며,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PDA 폰(206), 휴대폰(207), DMB 폰(208), WIBRO 폰(209)과 통신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개인인증 추적서버(202)는 업로드되어 데이터 베이스 서버에 저장된 콘텐츠에 개인 인증코드를 부여하고, 이 개인 인증코드를 이용하여 콘텐츠의 유통 경로를 추적하기 위한 인증 추적 알고리즘을 수행한다. 상기 과금서버(203)는 콘텐츠 몰 서버(201) 또는 네트워크 상에 접속된 개인용 컴퓨터(204), PDA(205), PDA 폰(206), 휴대폰(207), DMB 폰(208), WIBRO 폰(209)등에 저장된 콘텐츠를 구매할 시에 구매와 연결될 과금 및 정산을 담당한다.
도 5 는 도 2 에 도시된 콘텐츠 서버(201)를 기반으로 P2P 방식의 쇼핑몰을 구현하기 위한 쇼핑몰과 관련된 프로세스를 추가하여 상거래 시스템으로 콘텐츠 서버를 확장된 구성도이다. 상기 콘텐츠 관리 모듈(31)은 사용자에 의해 업로드된 데이터의 등록,삭제 등의 콘텐츠를 관리한다. 상기 장치 관리 모듈(32)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이 가능한 다양한 유/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등록,삭제,변경 등의 작업을 수행한다.
상기 망 연동 인터페이스(33)는 도 4 에 도시된 개인인증 추적서버(202)와 개인용 컴퓨터(204), PDA(205), PDA 폰(206), 휴대폰(207), DMB 폰(208), WIBRO 폰(209) 간에 통신을 위한 유무선 네트워크 연동에 관한 네트워크 접속 및 관리를 담당한다. 상기 P2P 서버 모듈(34)는 유무선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다양한 단말간의 P2P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P2P 인터페이스(35)는 개인용 컴퓨터(204), PDA(205), PDA 폰(206), 휴대폰(207), DMB 폰(208), WIBRO 폰(209)이 P2P 서버에서 콘텐츠를 P2P 방식으로 콘텐츠와 디바이스에 무관하게 전송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상기 OA&M 서버(36)는 콘텐츠 서버의 콘텐츠 관리상 필요한 다양한 관리자 기능, 통계 기능을 위하여, 로그 DB(40)에 저장된 로그를 바탕으로 통계 및 분석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WAP 콘텐츠 DB(36)는 휴대폰에서 WAP 메뉴 방식으로 열람할 수 있는 콘텐츠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이다. 상기 다운로드 콘텐츠 DB(37)는 접속된 개인용 컴퓨터(204), PDA(205), PDA 폰(206), 휴대폰(207), DMB 폰(208), WIBRO 폰(209)에서 다운로드 받아서 열람하거나 플레이할 수 있는 콘텐츠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이다.
상기 방송 콘텐츠DB(38)는 개인용 컴퓨터(204), PDA(205), PDA 폰(206), 휴대폰(207), DMB 폰(208), WIBRO 폰(209)에서 스트리밍 형태로 열람할 수 있는 콘텐츠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이다. 이와 더불어 장치 DB(39)와 로그 DB(40)가 구성되어져 있다.
쇼핑몰 모듈(41)은 개인이 콘텐츠를 상품으로 등록하여 판매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비즈니스 프로세스이다. 상기 마일리지 관리모듈(42)은 판매자와 구매자간의 마일리지를 적립하고 관리한다. 상기 과금 연동 모듈(43))은 쇼핑몰에서 구매자가 지불한 대금을 판매자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과금 서버(203)와 연동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6 은 도 3 에 도시된 콘텐츠 인증추적시스템에서 개인인증 추적서버를 도 시해 놓은 구성도이다, 상기 가입자 관리모듈(44)은 도 3 에 도시된 콘텐츠 서버에 가입한 가입자 DB(48)에 가입자 아이디(UID) 생성하여 신규 가입자를 생성하며, 기존 가입자의 가입자 정보 및 환경에 대한 변경, 그리고 기존 가입자의 삭제 등에 따른 가입자 DB(48)의 변경 작업을 수행한다.
상기 상품 관리 모듈(45)은 상품 아이디(PID;Product Identification)에 대한 생성 및 관리를 담당한다. 상기 추적 프로세스(46)는 매핑 DB(50)에 저장된 상품에 부여된 PID와 이를 P2P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송하여 배포된 UID 간의 전송 상태에 대한 추적을 담당한다.
상기 OA&M(47)은 도 3 에 도시된 개인인증 추적서버(202)의 가입자 관리상 필요한 다양한 관리자 기능, 통계 기능을 위하여, 로그 DB(51)에 저장된 로그를 바탕으로 가입자에 대한 통계 및 분석 기능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품 DB(49)도 구성되어져 있다.
도 7 은 본 발명의 콘텐츠 개인인증추적 서비스시스템에서 데이터베이스(DB)에 구축되는 데이블을 나타내는 것으로, 가입자 데이터베이스, 상품 데이터베이스및 매핑 데이터베이스인 것이다. 가입자 DB는 가입자코드(UID), 가입자 패스워드, 가입자 성명, 가입자 주민등록번호, 가입자 마일리지, 실명인증여부, 가입일자, 최근 로그인시간, 최근 로그아웃시간, 전자우펀주소, 휴대폰 번호및 단말기 종류 등인 것이다.
상기 상품 DB는 상품코드(PID), 상품명, 상품가격, 등록가입자및 마일리지비율이고, 상기 매핑 DB는 매핑리스트 #1, 매핑리스트 #2 --- 매핑리스트 #N 인 것이 다.
도 8 은 본 발명의 콘텐츠 개인인증추적 서비스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매핑 데이터베이스에 구축되는 데이블의 과정도들이다.
도 8(a)는 도 3 에 도시된 콘텐츠 인증추적 상거래 시스템의 실시예에 따라 매핑 데이터베이스(50)에 구축되는 테이블을 나타낸 도면(상품 등록시)이다. 이는 최초에 판매자(UID #1)가 상품(PID)를 콘텐츠 몰서버(201)나 개인의 디바이스인 개인용 컴퓨터(204), PDA(205), PDA 폰(206), 휴대폰(207), DMB 폰(208), WIBRO 폰(209)에서 판매하고자 등록하였을 경우의 도 7 에 도시된 해당 상품(PID)에 대한 매핑 리스트이다.
도 8(b)는 도 3 에 도시된 콘텐츠 인증추적 상거래 시스템의 실시예에 따라 매핑 데이터베이스(50)에 구축되는 테이블을 나타낸 도면(1번째 판매)이다. 이는 콘텐츠 몰 서버(201)나 개인의 디바이스인 개인용 컴퓨터(204), PDA(205), PDA 폰(206), 휴대폰(207), DMB 폰(208), WIBRO 폰(209)에서 등록된 상품(PID)을 구매자(UID #1)가 구매하였을 경우의 해당 상품(PID)에 대한 매핑 리스트이다. 구매자(UID #1)는 구입한 상품(PID)상품을 다시 재판매 하기 위하여, 매핑 리스트를 수정한다.
도 8 (c)은 도 3 에 도시된 콘텐츠 인증추적 상거래 시스템의 실시예에 따라 매핑 데이터베이스(50)에 구축되는 테이블을 나타낸 도면(N번째 판매)이다. 이는 콘텐츠 몰 서버(201)나 개인의 디바이스인 개인용 컴퓨터(204), PDA(205), PDA 폰(206), 휴대폰(207), DMB 폰(208), WIBRO 폰(209)에서 등록된 상품(PID)을 구매자 (UID #N)가 판매자(UID #N-1)로부터 구매하였을 경우의 해당 상품(PID)에 대한 매핑 리스트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콘텐츠 개인인증추적 서비스시스템에서 상품등록(판매)절차에 대한 흐름도로서, 판매자(UID #1), 콘텐츠 몰서버, 개인인증 추적서버, 과금서버, 구매자(UID #2), 구매자((UID #3)들에 의해 상품등록절차및 상품판매절차등이 이루어져 있다.
도 9 (a)는 콘텐츠 인증추적 상거래시스템의 상품등록절차에 대한 흐름도로서, 판매자((UID #1)가 콘텐츠 몰서버로 콘텐츠 업로드하면 이 콘텐츠 몰서버는 상품정보를 생성한다. 이어 개인인증 추적서버로 상품정보를 저장시키고, 상기 콘텐츠 몰서버는 매핑리스트를 생성한다.
도 9 (b)는 콘텐츠 인증추적 상거래시스템의 상품판매절차에 대한 흐름도로서, 콘텐츠 몰서버는 구매자(UID #2)로부터 콘텐츠를 검색받고 난 다음 콘텐츠의 구매를 요청을 받는다. 이 콘텐츠 몰서버는 과금서버로 과금정보를 생성및 전송을 행하고 난 다음 구매자(UID #2)에게 콘텐츠를 다운로드시키도록 한다. 그러면 콘텐츠 몰서버는 개인인증 추적서버로 매핑리스트를 갱신시킨다.
도 9 (c)는 콘텐츠 인증추적 상거래시스템의 상품판매절차에 대한 흐름도로서, 판매자(UID #2)는 구매자(UID #3)로부터 콘텐츠를 검색받고 난 다음 콘텐츠 구매요청을 받는다. 그러면 상기 판매자(UID #2)는 이를 콘텐츠 몰서버로 보내고, 이 콘텐츠 몰서버는 과금서버로 과금정보의 생성및 전송을 한다. 이어 판매자(UID #2)는 구매자(UID3)로 콘텐츠를 다운로드시켜준다. 상기 콘텐츠 몰서버는 매핑리스트 를 개인인증 추적서버로 갱신시키도록 되어 있다.
도 10 은 콘텐츠 인증 추적 상거래 시스템에 단말이 휴대폰인 경우의 실시예이고, 콘텐츠 몰서버(301), 개인인증 추적서버(302)및 과금서버(303)로 구성되고, 벨소리 상품 BELL #01를 휴대폰(304)가 1 차구매하고, 이 휴대폰(304)으로부터 다른 휴대폰(305)이 2 차구매를 하며, 이 휴대폰(305)으로부터 또 다른 휴대폰(307)이 2 차 구매을 행한다. 다른 휴대폰(306)이 있으며 다른 형태로 구매를 유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콘텐츠 몰서버(301) 또는 개별 휴대폰(304,305,306,307)에 업로드된 콘텐츠 상품은 구매자가 구매할 수 있는 상품이 되며, 상기 휴대폰의 소유자인 개인들은 콘텐츠 몰 서버 또는 P2P 방식으로 개별 휴대폰에서 원하는 콘텐츠를 구매할 수 있다.
도 11 는 UID 306인 사용자가 콘텐츠몰 서버(301)에 등록한 BELL 01 상품에 대한 판매과정에 대한 일 실시예이다. 여기서 매핑리스트 #1, 매핑리스트 #2및 매핑리스트 #3 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도 11(a)는 도 10 에 도시된 콘텐츠 인증추적 상거래 시스템의 실시예에 따른 구매 절차에 따른 매핑 데이터베이스의 업데이트 과정(UID 304가 콘텐츠 서버에서 BELL 01을 구매한 경우)이다. 도 11(b)는 도 10 에 도시된 콘텐츠 인증추적 상거래 시스템의 실시예에 따른 구매 절차에 따른 매핑 데이터베이스의 업데이트 과정(UID 305가 UID 304에서 BELL 01을 구매한 경우)이다.
도 11(c)는 도 10 에 도시된 콘텐츠 인증추적 상거래 시스템의 실시예에 따 른 구매 절차에 따른 매핑 데이터베이스의 업데이트 과정(UID 307이 UID 305에서 BELL 01을 구매한 경우)이다.
도 12 내지 도 15 는 본 발명의 콘텐츠 개인인증추적 서비스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현 실시예들로서, 본 발명은 개인이 보유(샀거나 선물을 받았거나 자체 제작하였거나 하는 것들)하고 있는 콘텐츠의 인증추적 시스템과 개인이 유통할 수 있는 상거래 기반을 만드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은 콘텐츠 개인인증추적시스템을 재정립하고자 하고, 알고리즘은 모든 콘텐츠에 개인 인증추적 코드를 헤더(또는 꼬리)에 두고 인증추적을 하고자 할 때, 콘텐츠의 인증추적 모듈은 개개인의 유통 경로를 무한대로 인증추적할 수 있고(P2P 모델등), 정책적으로 몇 단계만을 가질 수 도 있으며, 바로 전 단계만을 기억할 수도 있다.
개인 인증추적 코드는 콘텐츠 몰서버에 개인 인증추적 서버가 부여할 수 있고, 과금(BILLING) 서버도 구축되고 있다. 시스템 적으로는 웹,PC(개인용 컴퓨터),휴대폰, DMB 폰, WIBRO 폰등에 적용할 수 있으며, 콘텐츠는 WAP 콘텐츠,다운로드 콘텐츠,방송 콘텐츠등 개인 인증추적 코드를 부여할 수 있는 모든 콘텐츠에 적용된다.
본 발명은 이 개인인증 추적시스템을 이용한 개인인증 추적상거래시스템인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개인 인증추적 시스템은 모든 콘텐츠가 개인 인증추적 모듈을 적용했을 시 기존에 어느 한 곳에서 사고 팔 때 이미 정해진 유통 경로를 이용해야 하는 구조였으나, 개인 인증추적 상거래는 유통 경로를 시스템 적으로 해 결할 수 있어 기존의 정해진 상위자와 하위자의 유통 구조를 벋어나 누구나 상위자가 되어 상거래를 할 수 있다.
한편,개인 인증추적 상거래 시스템에서 개인이 하위자로서 판매를 목적으로 배포 또는 공유하고자 할 때는 웹등 공공의 콘텐츠 몰에는 저작권자의 동의를 얻어야 하며, 동의를 얻어 올려진 개인 콘텐츠는 저작권자라도 동일한 것을 올릴 수 없도록 되어 있다.
도 12 는 벨소리 1 인 원소스를 웹에 올린 경우에 무한대로 기억할 경우이고, 여기서 PC2 와 PC3, 그리고 구매 표시를 숫자로 주고받고 있다.
도 13 은 벨소리 1 인 원소스를 웹에 올린 경우에 전단계만을 기억할 경우이고, 여기서 PC2 와 PC3, PC4 그리고 구매 표시를 숫자로 주고받고 있다.
도 14 는 동영상 6 인 원소스가 PC4에 있는 경우에 전단계만 기억하는 경우이다.
그리고, 콘텐츠 개인인증추적 상거래시스템은, 원소스 콘텐츠 제공자는 제공원가와 이윤을 갖는다. 그 이하 모든 하위자는 정해진 가격을 지불하고 사용한다. 이때 제2의 하위자, 제3의 하위자가 생길 경우 콘텐츠의 활성화를 위해 그 위의 하위자에게 정보 제공의 대가를 여러가지의 패턴에 따라 지급한다.(지급의 대가는 현금,마일리지,보너스 점수 등 다양하게 적용가능하다.)
이어 하위자에게 지급되는 대가는 원가를 제외한 이윤을 나누는 가장 기본적인 패턴은 이윤을 1/N로 나누는 것이다. 계속하여 나눌 수 있으나 정책적으로 적용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도 15 는 벨소리 1 인 원소스를 웹에 올린경우에 무한대로 기억할 경우 상거래 패턴(PATTERN)인 것이다. 콘텐츠 가격 100% = 원가 60% + 이윤 40% 이다. 여기서의 정책은 개인 콘텐츠 몰을 활성화하기위해 10% 할인을 밑의 하위자에게 주고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콘텐츠 개인인증 추적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개인인증 추적상거래시스템을 구현시켜서 개인 인증추적 상거래가 유통 경로를 시스템적으로 해결할 수 있음으로 종래와 달리 정해진 상위자와 하위자의 유통 구조를 벋어나 누구나 상위자가 되어 상거래를 할 수 있는 콘텐츠 개인인증추적 서비스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콘텐츠 개인인증추적 서비스시스템에 대한 기술사상을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했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이 기술 분야의 통상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Claims (6)

  1. 개인들이 최초에 업로드된 WAP 콘텐츠, 다운로드 콘텐츠, 그리고 방송 콘텐츠가 저장되고 있는 콘텐츠 서버는 로드되어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저장된 콘텐츠에 개인 인증코드를 부여하고 이 개인 인증코드를 이용하여 콘텐츠의 유통 경로를 추적하기 위한 인증 추적 알고리즘을 수행하는 개인인증 추적서버와 유선인터넷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동되도록 구비하여;
    상기 콘텐츠 서버는 유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개인용 컴퓨터, PDA와 통신하며,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PDA 폰, 휴대폰, DMB 폰, WIBRO 폰과 통신하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개인인증추적 서비스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서버는 콘텐츠 관리모듈, 장치관리모듈, 망연동 인터페이스, P2P서버모듈, P2P인터페이스및 OA&M서버모듈과 더불어 WAP 콘텐츠 데이터베이스(DB), 다운로드 콘텐츠 DB, 방송콘텐츠 DB, 장치 DB및 로그DB로 구성되고,
    상기 개인인증 추적서버는 가입자 관리모듈, 코드관리모듈, 추적프로세스및 OA&M와 더불어 가입자 DB, 코드DB, 매핑DC, 로그DB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개인인증추적 서비스시스템.
  3. 개인들이 최초에 업로드된 WAP 콘텐츠, 다운로드 콘텐츠, 그리고 방송 콘텐 츠가 저장되고 있는 콘텐츠 몰서버는 업로드되어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저장된 콘텐츠에 개인 인증코드를 부여하고 이 개인 인증코드를 이용하여 콘텐츠의 유통 경로를 추적하기 위한 인증 추적 알고리즘을 수행하는 개인인증 추적서버와 과금서버를 유선인터넷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동되도록 구비하여;
    상기 콘텐츠 서버는 유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개인용 컴퓨터, PDA와 통신하며,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PDA 폰, 휴대폰, DMB 폰, WIBRO 폰과 통신하는 구조이고;
    상기 과금서버는 콘텐츠 몰 서버 또는 네트워크 상에 접속된 개인용 컴퓨터, PDA, PDA 폰, 휴대폰, DMB 폰, WIBRO 폰등에 저장된 콘텐츠를 구매할 시에 구매와 연결될 과금 및 정산을 담당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개인인증추적 서비스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서버는 콘텐츠 관리모듈, 장치관리모듈, 망연동 인터페이스, P2P서버모듈, P2P인터페이스및 OA&M서버모듈과 더불어 쇼핑물모듈, 마일리지관리모듈및 과금연동인터페이스와, WAP 콘텐츠 데이터베이스(DB), 다운로드 콘텐츠 DB, 방송콘텐츠 DB, 장치 DB및 로그DB로 구성되고,
    상기 개인인증 추적서버는 가입자 관리모듈, 상품관리모듈, 추적프로세스및 OA&M와 더불어 가입자 DB, 코드DB, 매핑DC, 로그DB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개인인증추적 서비스시스템.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몰서버나 개인의 디바이스인 개인용 컴퓨터, PDA, PDA 폰, 휴대폰, DMB 폰, WIBRO 폰에서 등록된 상품(PID)을 구매자 UID #N가 판매자UID #N-1로부터 구매할 때 해당 상품에 대한 매핑 리스트가 상품코드 PID, 판매자 UID #1과 마일리지 #1 ---- 판매자 UID #N-1과 마일리지 #N-1 구매자 UID #N과 마일리지 #N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개인인증추적 서비스시스템.
  6.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구매자(UID #3)가 판매자(UID #2)로부터 상품을 구매하는 경우, 상기 판매자(UID #2)는 구매자(UID #3)로부터 콘텐츠를 검색받고 난 다음 콘텐츠 구매요청을 받고, 상기 판매자(UID #2)는 이를 콘텐츠 몰서버로 보내고 이 콘텐츠 몰서버는 과금서버로 과금정보의 생성및 전송을 하며, 판매자(UID #2)는 구매자(UID3)로 콘텐츠를 다운로드시켜주고 상기 콘텐츠 몰서버는 매핑리스트를 개인인증 추적서버로 갱신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개인인증추적 서비스시스템.
KR1020050043564A 2005-05-24 2005-05-24 콘텐츠 개인인증추적 서비스시스템 KR200601214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3564A KR20060121405A (ko) 2005-05-24 2005-05-24 콘텐츠 개인인증추적 서비스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3564A KR20060121405A (ko) 2005-05-24 2005-05-24 콘텐츠 개인인증추적 서비스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1405A true KR20060121405A (ko) 2006-11-29

Family

ID=37707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3564A KR20060121405A (ko) 2005-05-24 2005-05-24 콘텐츠 개인인증추적 서비스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2140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0909B1 (ko) * 2009-12-28 2010-07-16 김정명 컨텐츠의 정식 유통 확인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0909B1 (ko) * 2009-12-28 2010-07-16 김정명 컨텐츠의 정식 유통 확인 시스템
WO2011081273A1 (ko) * 2009-12-28 2011-07-07 Kim Jung Myoung 컨텐츠의 정식 유통 확인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0576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superdistribution of content in a network including stationary and mobile stations
Vaccaro et al. The evolution of business models and marketing strategies in the music industry
US20190236214A1 (en)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clickable links servers using a decentralized blockchain ledger
CN101523870B (zh) 媒体共享服务中的订阅管理
CN100449453C (zh) 用于有效分发电子许可证和电子内容的系统和方法
US20070150359A1 (en) Social marketing network
US20060053079A1 (en) User-defined electronic stores for marketing digital rights licenses
KR20040071757A (ko) 저작권 보호된 디지털물의 배급을 제어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2005009700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gital media distribution
CN101512516A (zh) 对等数字内容分发的drm方面
US20190213633A1 (en)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clickable links embedded digital assets using a blockchain ledger
CN101523377A (zh) 将设备连接到媒体共享服务
US20070179852A1 (en) Media distribution systems
EP1784706A2 (en) User-defined electronic stores for marketing digital rights licenses
CN102360480A (zh) 一种链接网上支付及记录链接的方法和系统
KR100669224B1 (ko) 디지털저작권관리 기반의 디지털 컨텐츠 및 사용자 제작컨텐츠 거래하는 방법
KR20070015488A (ko) 디지털저작권관리 기반의 사용자제작컨텐츠 및 디지털컨텐츠 연속순환거래방법
US20140279614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detecting, preventing and monietizing attempted unauthorized use and unauthorized use of media content
KR20120046415A (ko) 디지털 콘텐츠 공유 방법 및 시스템
CN102349083A (zh) 广告业务管理系统
KR100891261B1 (ko) 특정 사이트에 종속적이지 않은 drm이 적용된 디지털콘텐츠 유통 시스템 및 방법
KR100812045B1 (ko) 자동 광고 중계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60121405A (ko) 콘텐츠 개인인증추적 서비스시스템
CN105531708A (zh) 用于媒体的发现时机货币化的系统和方法
KR20040088621A (ko) 디지털 컨텐츠 및/또는 그 이용허락권의 재판매를 위한라이센스 중계관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