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1287A - 보청기 시스템 - Google Patents

보청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1287A
KR20060121287A KR1020067013652A KR20067013652A KR20060121287A KR 20060121287 A KR20060121287 A KR 20060121287A KR 1020067013652 A KR1020067013652 A KR 1020067013652A KR 20067013652 A KR20067013652 A KR 20067013652A KR 20060121287 A KR20060121287 A KR 200601212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ring aid
aid system
user interface
remote module
signal proc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36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98055B1 (ko
Inventor
군더 반 더 보트
잔 잔샌
Original Assignee
코치리어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AU2003907101A external-priority patent/AU2003907101A0/en
Application filed by 코치리어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코치리어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601212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12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80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80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43Electronic input selection or mixing based on input signal analysis, e.g. mixing or selection between microphone and telecoil or between microphones with different directivity characteris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of the outer, middle or inner ear
    • A61N1/36038Cochlear stim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72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the implantation of stimulators
    • A61N1/37211Means for communicating with stimulators
    • A61N1/37235Aspects of the external programmer
    • A61N1/37247User interfaces, e.g. input or presentation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55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using an external connection, either wireless or wired
    • H04R25/556External connectors, e.g. plugs or mod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65Housing parts, e.g. shells, tips or moulds, or their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25/00Details of deaf aids covered by H04R25/00,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25/021Behind the ear [BTE] hearing ai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25/00Details of deaf aids covered by H04R25/00,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25/43Signal processing in hearing aids to enhance the speech intelligi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25/00Details of deaf aids covered by H04R25/00,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25/51Aspects of antennas or their circuitry in or for hearing ai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25/00Details of deaf aids covered by H04R25/00,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25/67Implantable hearing aids or parts thereof not covered by H04R25/60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55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using an external connection, either wireless or wired
    • H04R25/554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using an external connection, either wireless or wired using a wireless connection, e.g. between microphone and amplifier or using T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55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using an external connection, either wireless or wired
    • H04R25/558Remote control, e.g. of amplification, frequenc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tolaryng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euro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건은 마이크로폰에 의하여 신호 출력을 수신하는 1차 신호 처리기를 포함하는 제1 외장재(11) 및 제1 외장재(11)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 제2 외장재(13)를 보청기를 개시하고 있으며, 여기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14)는 1차 신호 처리기의 하나 이상의 작동 특성을 조절하는 제2 외장재(13) 상에 제공된다.
보청기

Description

보청기 시스템{HEARING SYSTEM PROTHESES}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03년 12월 22일자 제2003907101호 가특허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본 명세서의 내용은 참고자료로서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은 보청기에 관한 것이며, 더 자세히는, 보청기의 외장형의 착용가능한 구성 요소에 관한 것이다.
달팽이관 이식 보청기는 전기 자극을 청신경 섬유로 전달하여 청신경에 의하여 일반적으로 전달되는 선천적인 청감각과 유사한 청감각을 뇌가 인식하도록 한다.
도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달팽이관 이식 보청기는 전형적으로 성분(51)의 의 외장 부품 및 성분(52)의 이식 부품을 포함한다.
외장 부품(51)에는 음성 처리 유닛(56), 전달 코일(57) 및 마이크로폰 유닛(58)의 형태의 1차 신호 처리기 유닛을 포함한다.1차 신호 처리기는 수개의 배터리와 같은 내부 전원을 포함하며, 케이블(59)을 통하여 전달 코일(57) 및 마이크로폰 유닛(58)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내장 부품(52)은 전형적으로 수신기 안테나(55), 수신기/자극기 유닛(53) 및 내부달팽이관 전극 부품(54)을 포함한다.
작동시, 마이크로폰(58)은 대화 및 환경음 등의 소리를 감지하여 이들을 전기 신호로 변환시킨다. 전기 신호는 그 뒤 1차 신호 처리기 유닛 내의 음성 처리 전자 장치로 부호화된다. 부호화된 출력 신호는 피부를 통하여 라디오 주파수(RF) 링크를 통하여 내장 부품(52)으로 전달된다.
최근, 음성 처리 유닛 및 마이크로폰 유닛은 단일 유닛으로 결합되어 귀 뒤에 착용하도록 되었다. 이를 귀 후면(BTE) 음성 처리기 유닛이라 한다.
선행 기술인 도 6을 살펴보면, BTE 음성 처리기 유닛은 일반적으로 주 몸체 및 내장형 배터리 운반기를 성형하여 제조한다. 이러한 배치는 배터리(62)를 교환하기 쉽게 한다.
BTE 음성 처리기 유닛(61)은 상대적으로 고가이며, 이식 부품의 이식에 따른 최적화 과정을 거쳐야만 한다. BTE 음성 처리기 유닛의 신호 처리 특징의 작동성능은 일반적으로 담당 의사의 수술과정에서 최적화 과정 동안 의학적 소프트웨어에 의하여 변화할 수 있으며, 다른 작동 성능의 특징은 훨씬 제한된다. 이는 특히 외장형이며, 사용자 상호작용이 가능한 특징을 지닌 경우이다.
상기 제안을 향상시키거나 적어도 활용가능한 대안을 제시할 수 있는 배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발명의 요약
제1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보청기 시스템으로서:
마이크로폰에 의하여 신호 출력을 수용하는 1차 신호 처리기 유닛을 포함하는 제1 외장재; 및
제1 외장재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된 다수의 제2 외장재;
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제2 외장재 중의 하나는 일정 시기에 제1 외장재에 부착가능하며, 추가적으로, 여기서, 상기 제2 외장재 중의 적어도 하나는 1차 신호 처리기 유닛의 하나 이상의 작동 특성을 조절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비한다.
제2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보청기 시스템으로서:
마이크로폰에 의하여 신호 출력을 수용하는 1차 신호 처리기를 포함하는 제1 외장재; 및
제1 외장재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된 다수의 제2 외장재;
를 포함하며,
여기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제2 외장재 상에 제공되어 1차 신호 처리기 유닛의 하나 이상의 작동 특성을 조절한다.
제3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보청기 시스템으로서:
마이크로폰에 의하여 신호 출력을 수용하는 1차 신호 처리기를 포함하는 제1 외장재; 및
원격 모듈;
을 포함하며,
여기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원격 모듈 상에 제공되어 1차 신호 처리기 유닛의 하나 이상의 작동 특성을 조절한다.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보청기 사용자를 위한 음성 처리 유닛으로서, 음성 처리 유닛은:
음성 처리 유닛과 함께 1차 신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1차 신호 처리기를 포함하며 보청기 사용자 귀 후면에 착용하도록 배치되는 주요부; 및
1차 신호 처리기와 소통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주요부에 탈착가능한 탈착부를 포함한다.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달팽이관 이식자를 위한 음성 처리 유닛으로서, 음성 처리 유닛은:
음성 처리 유닛과 함께 1차 신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1차 신호 처리기를 포함하며 달팽이관 이식자 귀 후면에 착용하도록 배치되는 주요부; 및
배터리 격실 및 1차 신호 처리기와 소통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주요부에 탈착가능한 탈착부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 상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따르는 보청기의 외장 부품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에 따르는 보청기의 또 다른 외장 부품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에 따르는 보청기의 또 다른 외장 부품의 도면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에 따르는 보청기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5는 선행 기술의 외장 부품의 예이다.
도 6은 선행 기술의 외장 부품의 또 다른 예이다.
도 1을 참조하면, BTE 음성 처리기 유닛(10)은 제1 외장재(11)(또는 주요부), 귀 후크(12) 및 제2 외장재(13)(또는 탈착부)를 포함한다. 제1 및/또는 제2 외장재는 금속 소재, 세라믹 소재, 고분자 소재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BTE 음성 처리기 유닛(10)은 제1 외장재(11)에서 확장된 케이블(36)을 통하여 헤드피스(37)에 연결된다.
제1 외장재(11)는 BTE 음성 처리기 유닛(10) 작동용 1차 신호 처리 전자 장치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마이크로폰(11a)은 제1 외장재(11) 상에 장착된다. 그러나, 마이크로폰은 헤드피스(37), 제2 외장재(13) 또는 사용자의 의복 등과 같은 다른 곳에 위치할 수 있다.
헤드피스(37)은 사용자 내부에 이식된 대응 안테나로 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안테나 코일(38)을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안테나 코일(38)은 이식된 안테나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안테나 코일(38)은 자석(39)을 감싸고 있어 사용자 내부에 이식된 대응 자석을 끌어당긴다. 자석 인력은 안테나 코일(38)이 사용 중 사용자의 머리 속의 소정 위치에 놓이도록 한다.
BTE 음성 처리기 유닛(10)은 추가적으로 제1 외장재(11)에 탈착 가능한 제2 외장재(13)를 포함한다. 제2 외장재(13)는 일반적으로 사용자에 의하여 탈착 가능하다고 이해하여야 한다.
제2 외장재(13)는 두개의 누름 버튼(15)(16) 및 다이얼(17)이 구비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패널(14)을 포함한다. 누름 버튼(15)은 제1 외장재(11) 내의 음성 처리기를 활성화 및 비활성화하는데 사용되며, 음성 처리기에서 사용될 음성 처리기 프로그램을 선택하는데 사용된다. 다이얼(17)은 음성 처리기의 감도 및 볼륨을 조절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누름 버튼(16)은 사용자 또는 보호자가 마이크로폰, 텔레코일 또는 혼합된 입력에 의하여 음성 처리기에 입력이 제공되는지 여부를 선택하도록 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패널(14)은 제2 외장재(13)에 탈착 가능하게 또는 탈착이 불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탈착성 또는 교환 가능성을 제공함으로써 보청기 외장 부품의 제조 단가 및 총 구입비용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상당한 이점을 제공한다는 사실을 인식하였다. 예를 들어, 노인들에게는 큰 버튼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한 반면 아동이나 유아에게는 좀더 단순한 잠금 조절기가 요구된다. 이와 유사하게, 익숙한 사용자는 좀더 복잡한 인터페이스 및/또는 음성 처리기의 내부 작동에 있어서의 보다 나은 융통성이 요구될 수 있다.
또 다른 이점으로서는 사용자가 그들 및/또는 그들의 취향에 적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선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들에게는 또한 음성 처리 유닛을 구입한 후에 어떠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할 것인지 최종 결정을 유보할 수 있는 선택권이 있다. 원한다면, 사용자들은 새로운 음성 처리 유닛을 구입할 필요없이 그들 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교환하는 기회를 갖는다.
상기 시스템은 사용자가 원한다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업그레이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장점이 있다. 업그레이드는 새로운 형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출시되었거나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고장나 탈착할 필요가 있는 경우 할 수 있다. 활성화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충격에 약하며, 필수적인 음성 처리기 유닛을 교환할 필요없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탈착 가능하게 하는 특징이 본 발명의 장점이다.
BTE 음성 처리기 유닛의 또 다른 장점은 충격에 가장 약한 부품 및/또는 덜 비싼 부품을 쉽게 교환할 수 있다는 것이다.
도 2로 돌아가 보면, 대안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 패널(24)를 구비한 BTE 음성 처리기 유닛(20)을 설명하고 있다. 도 1에서 설명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패널과 마찬가지로, 도 2의 인터페이스 패널(24)도 제2 외장재(13)에 탈착가능하게 또는 탈착 불가능하게 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패널(24)는 조절기를 설정하기 위하여 위치에 의하여 사용자 및/또는 보호자에게 피드백을 제공하는 두개의 촉각 위치 조절기(25)(26)를 포함한다. 두개의 촉각 위치 조절기(25)(26)는 적어도 3가지 설정 사이를 이동할 수 있는 스위치를 포함한다. 스위치(25)는 사용자 또는 보호자가 사용할 음성 프로그램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3좌 스위치이다. 다이얼(27)은 음성 처리기의 감도 및 볼륨을 조절한다. 스위치(26)은 사용자 및/또는 보호자가 음성 처리기에서 마이크로폰, 텔레코일 또는 혼합된 입력으로부터 입력을 수신하는지 여부를 설정하게 한다. 스위치(26)은 사용자 및/또는 보호자가 음성 처리기의 작동을 조절하여 속사귐과 같은 상대적으로 부드러운 소리를 감지하게 한다.
도 2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패널(24)은 탄력성있는 유연한 커버(28)로 둘러싸여 있다. 상기 커버(28)은 사용자 인터페이스(24)를 보호하며, 사용자 및/또는 보호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24)를 더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 및 2에서 도시한 배치에서, 음성 처리기용 제1 외장재(11)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없이 제공된다. 따라서, 제2 외장재(13 또는 23) 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실행에 있어서 다양한 변화를 줄 수 있다.
조 1 및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제2 외장재(13)는 제1 외장재(11)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다양한 형태의 제2 외장재는 그 위에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형태에 따라 다양해질 수 있다. 이는 사용자 및/또는 보호자가 한번 보청기에 사용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선택함으로써 보청기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음성 처리기 유닛을 구비한 제1 외장재는 적어도 1종의 전원 공급기에 연결될 수 있다. 도 1 및 2의 예에서, 제2 외장재(13 또는 23)는 보청기의 부품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외장재(13)가 제1 외장재(11)에 장착되어, 음성 처리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공급기가 전원을 제공하도록 한다. 제2 외장재 내의 전원 공급기는 하나 이상의 충전 배터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제 도 3을 참조하면,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제1 외장재(11) 및 귀 후크(12)를 도시한다. 그러나 도 1에서 설명한 배치와 비교하자면, 제2 외장재(13)는 부품(300)에 의하여 탈착된다. 부품(300)은 컨넥터 유닛(31a) 및 케이블(36)로 연결된 원격 모듈(32)을 포함한다.
제1 외장재(11)는 데이터와 원격 모듈(32)과 음성 처리기(31)에 탈착 가능한 컨넥터 유닛(31a)간의 전원 공급을 위하여 케이블(36)에 의존한다. 그러나 원격 모듈(32)과 음성 처리기 및/또는 기타 장치 간의 데이터 및 조절 신호의 전달을 위하여 무선 전송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원격 모듈(32)은 필요에 따라 컨넥터 유닛(31a)으로부터 탈착/제거가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패널(34)을 포함한다. 탈착/제거가 가능한 인터페이스 패널(34)의 경우, 사용자 및/또는 보호자가 한번 보청기에 사용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선택함으로써 보청기를 추가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패널(34)은 도 1에서 설명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패널(14)과 유사하게 두개의 누름 버튼과 다이얼을 포함한다.
도 3의 실시예에서, 원격 모듈(32)은 외장 부품(30)의 적어도 일부 부품을 위한 전원 공급기를 수납할 수 있다. 전원 공급기는 두개의 충전 배터리(35)인 것이 바람직하다.
원격 모듈(32)은 사용자의 의상의 주머니에 위치되거나 또는 클립으로 고정하는 등으로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할 수 있다.
교환가능한 부품의 시스템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제1 외장재(11)는 교환가능한 수개의 배치 형태를 제공하는 보청기 시스 템(40)의 부품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및/또는 보호자는 일정 시기에 음성 처리기(31) 외장재에 연결될 여러 가지의 선택권을 갖게 된다.
상기 시스템(40)은 전원 공급기 및 원격 모듈(32)에 의하여 RF 신호 출력을 수신하고 처리하는 라디오 주파수(RF) 신호 수신기 회로를 포함하는 제2 외장재(41)에 연결할 수 있는 선택권을 포함한다. 이러한 배치에서, 원격 모듈(32)은 원격 모듈(32) 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의한 조절의 응답으로 외장재(41)에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RF 신호 전달 회로를 포함한다.
상기 시스템(40)은 전원 공급기, 가시 디스플레이 장치(44)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45)를 포함하는 제2 외장재(43)에 연결할 수 있는 선택권을 포함한다. 예시적인 디스플레이 장치(44)는 액정 디스플레이이나, 다른 적합한 디스플레이 장치도 고려될 수 있다. 액정 디스플레이(44)는 사용자 및/또는 보호자에게 시스템(40)의 작동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한다.
시스템(40)은 전원 공급기 및 단순히 RF 신호를 수신 처리만을 하는 것이 아니라 원격 모듈(47)로 신호를 역전송할 수 있는 회로를 포함하는 제2 외장재(46)을 연결할 수 있는 선택권을 갖는다. 이 경우, 원격 모듈(47) 뿐만 아니라 전원 공급기 외장재도 사용자 및/또는 보호자가 시스템(40)의 작동 상태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 받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48) 및 액정 디스플레이(49)를 구비한다.
필요에 따라, 제1 외장재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제2 외장재(23) 및/또는 원격 모듈(32) 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의하여 조절 가능한 일부 또는 모든 특성을 조절할 수 있다. 제1 외장재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된다면, 본 명세서에서 정의한 제2 외장재(23) 및/또는 원격 모듈(32)이 보청기의 제1 외장재에 연결되어 사용되는 경우 부분적으로 또는 전부가 작동하지 않게 될 수도 있다. 제1 외장재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제1 외장재에 탈착가능하게 또는 탈착불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제2 외장재(23) 및/또는 원격 모듈(32)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보청기 사용자 또는 보호자에 의하여 활용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형태의 범위에서 선택된다. 예를 들어, 제2 외장재(23)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원격 모듈(32) 상에서 사용되는 것과 같거나 또는 다를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1 외장재 상에 제공되는 경우, 제2 외장재 및/또는 원격 모듈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제1 외장재 상에 제공되는 것과 다를 수 있다.
대안적인 배치 형태에 있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형태는 제2 외장재(23) 및/또는 원격 모듈(32)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의하여 조절되는 특성과는 다른 보청기의 다른 특성을 조절하기 위하여 제1 외장재(11) 상에 제공될 수 있다.
기술 분야의 숙련자는 넓게 설명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도 특정한 실시 상태에 나타난 본 발명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또는 변환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상태는 따라서, 설명을 위한 것이지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라는 단어 또는 "포함하는" 또는 "포함된" 등의 파생어는 언급된 구성 요소, 정수 또는 공정, 또는 구성 요소, 정수 또는 공정의 군이 포함되었음을 나타내는 것이고 그 밖의 구성 요소, 정수 또는 공정, 또는 구성 요소, 정수 또는 공정의 군을 배제하는 것을 암시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할 수 있다.
기술 분야의 숙련자는 넓게 설명된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도 특정한 실시 상태에 나타난 본 발명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또는 변환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상태는 따라서, 설명을 위한 것이지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탈착성 또는 교환 가능성을 제공함으로써 보청기 외장 부품의 제조 단가 및 총 구입비용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상당한 이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이점은 사용자가 그들 및/또는 그들의 취향에 적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선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청기 시스템은 사용자가 원한다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업그레이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청기 시스템에 있어서 BTE 음성 처리기 유닛의 또 다른 장점은 충격에 가장 약한 부품 및/또는 덜 비싼 부품을 쉽게 교환할 수 있다는 것이다.

Claims (66)

  1. 보청기 시스템으로서:
    마이크로폰에 의하여 신호 출력을 수용하는 1차 신호 처리기를 포함하는 제1 외장재; 및
    제1 외장재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된 다수의 제2 외장재;
    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외장재 중의 하나는 일정 시기에 제1 외장재에 부착가능하며, 추가적으로, 상기 제2 외장재 중의 적어도 하나는 1차 신호 처리기의 하나 이상의 작동 특성을 조절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인, 보청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제2 외장재 중 하나 이상은 보청기 부품의 적어도 일부를 위한 전원 공급기를 포함하는, 보청기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제2 외장재 중 하나 이상은 전원 공급기를 포함하고, 1차 신호 처리기의 하나 이상의 특성을 조절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보청기 시스템.
  4. 전술한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제2 외장재 중 하나 이상은 전기 전도선에 의하여 전원 공급기를 수납하는 원격 모듈에 연결될 수 있 는, 보청기 시스템.
  5. 전술한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제2 외장재 중 하나 이상은 전기 전도선에 의하여 원격 모듈에 연결될 수 있으며,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원격 모듈상에 제공되는, 보청기 시스템.
  6. 전술한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제2 외장재 중 하나 이상은 전기 전도선에 의하여 원격 모듈에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다수개의 제2 외장재 중 하나 이상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전원 공급기를 수납하는 원격 모듈과 함께 제공되는, 보청기 시스템.
  7. 전술한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제2 외장재 중 하나 이상은 전기 전도선에 의하여 원격 모듈에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원격 모듈은 전원 공급기를 수납하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보청기 시스템.
  8. 전술한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제2 외장재 중 하나 이상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원격 모듈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신호 수신 수단을 포함하는, 보청기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수신 수단은 원격 모듈에 의한 라디오 주파수 신 호 출력을 수신하려 처리하는 신호 수신 회로를 포함하는, 보청기 시스템.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외장재는 전원을 포함하는, 보청기 시스템.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모듈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만들어진 조절의 응답으로 제2 외장재에 라디오 주파수 신호를 송신하는 신호 송신 회로를 수납하는, 보청기 시스템.
  12. 전술한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제2 외장재 중 하나 이상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원격 모듈의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신호 송수신 수단을 포함하는, 보청기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송수신 수단은 원격 모듈의 라디오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하는 신호 송수신 회로를 포함하는, 보청기 시스템.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모듈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만들어지는 조절에 대한 응답으로 제2 외장재의 라디오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하는 신호 송수신 회로를 수납하는, 보청기 시스템.
  15. 전술한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제2 외장재 중 하나 이상은 가시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보청기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제2 외장재 중 하나 이상은 추가적으로 전원 공급기 및/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보청기 시스템.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가시 디스플레이는 하나 이상의 발광 다이오드(LED) 및/또는 액정 디스플레이(LCD)를 포함하는, 보청기 시스템.
  18. 제15항 내지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가시 디스플레이는 보청기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특징의 작동 정보를 시스템의 사용자나 보호자에게 제공하는, 보청기 시스템.
  19. 전술한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제2 외장재 중 하나 이상은 제2 외장재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보청기 시스템.
  20. 제19항에 있어서, 다수의 서로 다른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상기 제2 외장재에 연결될 수 있는, 보청기 시스템.
  21. 제20항에 있어서, 하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만이 한번에 제2 외장재에 연결할 수 있는, 보청기 시스템.
  22. 제4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모듈은 가시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보청기 시스템.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가시 디스플레이는 하나 이상의 발광 다이오드(LED) 및/또는 액정 디스플레이(LCD)를 포함하는, 보청기 시스템.
  24. 제22항 또는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가시 디스플레이는 보청기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특징의 작동 정보를 시스템의 사용자나 보호자에게 제공하는, 보청기 시스템.
  25. 전술한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1차 신호 처리기를 포함하는 상기 제1 외장재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지 않는, 보청기 시스템.
  26. 제1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1 외장재 상에 제공되는, 보청기 시스템.
  27. 전술한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하나 이 상의 누름 버튼 또는 스위치 및/또는 하나 이상의 다이얼 또는 로터리 컨트롤을 포함하는, 보청기 시스템.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1차 신호 처리기를 활성화 및/또는 비활성화하거나 및/또는 1차 신호 처리기 프로그램을 선택하는 누름 버튼을 포함하는, 보청기 시스템.
  29. 제27항 또는 제28항에 있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1차 신호 처리기의 볼륨 및 감도를 조절하는 다이얼을 포함하는, 보청기 시스템.
  30. 제27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마이크로폰, 텔레코일 또는 혼합된 입력에 의하여 1차 신호 처리기에 제공되는 입력을 선택하도록 하는 누름 버튼을 추가로 포함하는, 보청기 시스템.
  31. 전술한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조절기를 설정하기 위하여, 그 위치를 통하여 사용자 및/또는 보호자에게 피드백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촉각 위치 조절기를 포함하는, 보청기 시스템.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촉각 위치 조절기는 적어도 2개의 설정 간을 움직일 수 있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보청기 시스템.
  33. 제1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사용자 및/또는 보호자가 사용할 프로그램을 선택할 수 있는 제1번 3좌 스위치, 1차 신호 처리기의 볼륨 및 감도를 조절할 수 있는 다이얼 및 사용자 및/또는 보호자가 마이크로폰, 텔레코일 또는 혼합된 입력으로 부터 1차 신호 처리기가 입력을 수신하는 것을 설정하도록 하는 제2번 3좌 스위치를 포함하는 보청기 시스템.
  34. 전술한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실질적으로 탄성체의 유연한 커버에 수납된 보청기 시스템.
  35. 전술한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1차 신호 처리기를 구비하는 상기 제1 외장재는 1종 이상의 전원 공급기에 연결할 수 있는, 보청기 시스템.
  36. 전술한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제2 외장재는 적어도 2 방향에서 및/또는 적어도 두 위치에서 연결할 수 있는, 보청기 시스템.
  37. 전술한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적어도 제1 외장재 및 제2 외장재는 사용자의 귀에 위치할 수 있는, 보청기 시스템.
  38. 달팽이관 이식 시스템을 포함하는 전술한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보청기 시 스템.
  39. 보청기 시스템으로서,
    마이크로폰에 의하여 신호 출력을 수용하는 1차 신호 처리기를 포함하는 제1 외장재; 및
    제1 외장재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된 다수의 제2 외장재;
    를 포함하며,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2 외장재 상에 제공되어 1차 신호 처리기의 하나 이상의 작동 특성을 조절하는, 보청기 시스템.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외장재는 전원 공급기를 포함하는, 보청기 시스템.
  41. 제39항 또는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외장재는 원격 모듈에 연결될 수 있는, 보청기 시스템.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모듈은 추가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보청기 시스템.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모듈의 상기 추가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원격 모듈 상에 탈착 가능 또는 탈착 불가능하게 장착된 보청기 시스템.
  44. 제42항 또는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모듈의 상기 추가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제2 외장재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의하여 조절되는 보청기 시스템의 다른 특성을 조절하는, 보청기 시스템.
  45. 제42항 또는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모듈의 상기 추가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제2 외장재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의하여 조절되는 보청기 시스템의 동일한 특성의 일부 또는 전부를 조절하는, 보청기 시스템.
  46. 제41항 내지 제4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외장재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원격 모듈이 보청기 시스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연결되어 사용되는 경우, 부분적으로 또는 전부 작동하지 않을 수 있는, 보청기 시스템.
  47.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원격 모듈 및 제2 외장재 모두에 장착되는, 보청기 시스템.
  48. 제41항 내지 제4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모듈은 가시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보청기 시스템.
  49.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가시 디스플레이는 하나 이상의 발광 다이오드(LED) 및/또는 액정 디스플레이(LCD)를 포함하는, 보청기 시스템.
  50. 제48항 또는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가시 디스플레이는 보청기의 하나 이상의 특징의 작동 정보를 시스템의 사용자나 보호자에게 제공하는, 보청기 시스템.
  51. 보청기 시스템으로서,
    마이크로폰에 의하여 신호 출력을 수용하는 1차 신호 처리기를 포함하는 제1 외장재; 및
    원격 모듈;
    을 포함하며,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원격 모듈상에 제공되어 1차 신호 처리기 유닛의 하나 이상의 작동 특성을 조절하는, 보청기 시스템.
  52.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모듈 및 1차 신호 처리기 간의 1방향 또는 2방향성 무선 통신을 포함하는, 보청기 시스템.
  53. 제5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케이블 또는 라이오 주파수 송신 시스템을 통하여 신호가 원격 모듈로부터 1차 신호 처리기로 및/또는 1차 신호 처리기로부터 원격 모듈로 전송되는, 보청기 시스템.
  54. 제51항 내지 제53항 중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원격 모듈에 탈착 가능하거나 또는 탈착 불가능하게 장착된 보청기 시스템.
  55. 제39항 내지 제53항 중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하나 이상의 누름 버튼 또는 스위치 및/또는 하나 이상의 다이얼 또는 로터리 컨트롤을 포함하는, 보청기 시스템.
  56.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1차 신호 처리기를 활성화 및/또는 비활성화하거나 및/또는 1차 신호 처리기 프로그램을 선택하는 누름 버튼을 포함하는, 보청기 시스템.
  57. 제55항 또는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1차 신호 처리기의 볼륨 및 감도를 조절하는 다이얼을 포함하는, 보청기 시스템.
  58. 제56항 또는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마이크로폰, 텔레코일 또는 혼합된 입력에 의하여 1차 신호 처리기에 제공되는 입력을 선택하도록 하는 누름 버튼을 추가로 포함하는, 보청기 시스템.
  59. 제39항 내지 제5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는 조절기를 설정하기 위하여 위치에 의하여 사용자 및/또는 보호자에게 피드백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촉각 위치 조절기를 포함하는, 보청기 시스템.
  60. 제59항에 있어서, 상기 촉각 위치 조절기는 적어도 2개의 설정 간을 움직일 수 있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보청기 시스템.
  61. 제39항 내지 제5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사용자 및/또는 보호자가 사용할 프로그램을 선택할 수 있는 제1번 3좌 스위치, 1차 신호 처리기의 볼륨 및 감도를 조절할 수 있는 다이얼 및 사용자 및/또는 보호자가 마이크로폰, 텔레코일 또는 혼합된 입력으로 부터 1차 신호 처리기가 입력을 수신하는 것을 설정하도록 하는 제2번 3좌 스위치를 포함하는 보청기 시스템.
  62. 제39항 내지 제61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실질적으로 탄성체의 유연한 커버에 수납된 보청기 시스템.
  63. 제39항 내지 제6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적어도 제1 외장재 및 제2 외장재는 사용자의 귀에 위치할 수 있는, 보청기 시스템.
  64. 달팽이관 이식 시스템을 포함하는 제39항 내지 제6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보청기 시스템.
  65. 보청기 사용자를 위한 음성 처리 유닛으로서,
    상기 음성 처리 유닛은:
    음성 처리 유닛과 함께 1차 신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1차 신호 처리기를 포함하며 보청기 사용자 귀 후면에 착용하도록 배치되는 주요부; 및
    1차 신호 처리기와 소통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주요부에 탈착가능한 탈착부;
    를 포함하는 음성 처리 유닛.
  66. 달팽이관 이식자를 위한 음성 처리 유닛으로서,
    상기 음성 처리 유닛은:
    음성 처리 유닛과 함께 1차 신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1차 신호 처리기를 포함하며 달팽이관 이식자 귀 후면에 착용하도록 배치되는 주요부; 및
    배터리 격실 및 1차 신호 처리기와 소통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주요부에 탈착가능한 탈착부;
    를 포함하는 음성 처리 유닛.
KR1020067013652A 2003-12-22 2004-12-22 보청기 시스템 KR1011980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2003907101A AU2003907101A0 (en) 2003-12-22 Modular, interchangeable user interface for hearing prostheses
AU2003907101 2003-12-22
PCT/AU2004/001803 WO2005062668A1 (en) 2003-12-22 2004-12-22 Hearing system prostheses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8750A Division KR20120086751A (ko) 2003-12-22 2004-12-22 보청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1287A true KR20060121287A (ko) 2006-11-28
KR101198055B1 KR101198055B1 (ko) 2012-11-06

Family

ID=3470555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3652A KR101198055B1 (ko) 2003-12-22 2004-12-22 보청기 시스템
KR1020127018750A KR20120086751A (ko) 2003-12-22 2004-12-22 보청기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8750A KR20120086751A (ko) 2003-12-22 2004-12-22 보청기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6) US8788050B2 (ko)
KR (2) KR101198055B1 (ko)
AT (1) AT510122B1 (ko)
WO (1) WO200506266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5018B1 (ko) * 2010-08-11 2011-09-19 현대로템 주식회사 텔레코일 방식의 보청기 착용자를 위한 철도차량용 방송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99508B1 (en) 2003-05-08 2009-10-06 Advanced Bionics, Llc Listening device cap
US8270647B2 (en) 2003-05-08 2012-09-18 Advanced Bionics, Llc Modular speech processor headpiece
US8811643B2 (en) 2003-05-08 2014-08-19 Advanced Bionics Integrated cochlear implant headpiece
US8788050B2 (en) 2003-12-22 2014-07-22 Cochlear Limited Hearing prosthesis system having interchangeable housings
EP1701765B1 (en) 2003-12-24 2019-12-04 Cochlear Limited Transformable speech processor module for a hearing prosthesis
DE102005061795B4 (de) * 2005-12-23 2008-01-03 Siemens Audiologische Technik Gmbh Hörgerätemodul
DE102006029958A1 (de) * 2006-06-29 2008-01-03 Siemens Audiologische Technik Gmbh Modulares Hinter-dem-Ohr-Hörgerät
DE102006062423B4 (de) 2006-12-27 2010-11-25 Siemens Audiologische Technik Gmbh Hörvorrichtung mit einem Schallleitstück oder Gehäuseteil aus Spritzgießkeramik
US8437860B1 (en) 2008-10-03 2013-05-07 Advanced Bionics, Llc Hearing assistance system
US8750546B2 (en) 2008-10-03 2014-06-10 Advanced Bionics Sound processors and implantable cochlear stimulation systems including the same
EP2376186B1 (en) * 2008-11-12 2016-03-30 Advanced Bionics AG Integrated cochlear implant headpiece
WO2010056768A1 (en) * 2008-11-12 2010-05-20 Advanced Bionics, Llc Modular speech processor headpiece
US20120041515A1 (en) * 2010-08-16 2012-02-16 Werner Meskens Wireless remote device for a hearing prosthesis
US20120078628A1 (en) * 2010-09-28 2012-03-29 Ghulman Mahmoud M Head-mounted text display system and method for the hearing impaired
CN103262292B (zh) 2010-12-17 2016-05-04 领先仿生公司 声音处理器外壳,声音处理器和包括其的可植入耳蜗刺激系统
WO2012082319A1 (en) 2010-12-17 2012-06-21 Advanced Bionics Ag Sound processor housings, sound processors and implantable cochlear stimulation systems including the same
US9974952B2 (en) 2010-12-17 2018-05-22 Advanced Bionics Ag Sound processor housings, sound processors and implantable cochlear stimulation systems including the same
CN103283263A (zh) 2010-12-28 2013-09-04 峰力公司 通过粉末注射成型制成的助听器壳体
EP2663362B1 (en) 2011-01-11 2016-04-27 Advanced Bionics AG Sound processors having contamination resistant control panels and implantable cochlear stimulation systems including the same
US9191751B2 (en) * 2011-02-04 2015-11-17 Advanced Bionics Ag Modular adapter assembly for telecoil and auxiliary audio input device mixing
WO2012106205A1 (en) 2011-02-04 2012-08-09 Advanced Bionics Ag Modular auditory prosthesis system and corresponding method
US9358389B2 (en) 2011-06-29 2016-06-07 Advanced Bionics Ag Two-piece sound processor system for use in an auditory prosthesis system
US8923541B2 (en) 2011-06-29 2014-12-30 Advanced Bionics Ag Two-piece sound processor system for use in an auditory prosthesis system
US9615180B2 (en) * 2013-01-15 2017-04-04 Advanced Bionics Ag Sound processor apparatus with dual-mode earhook interface assembly
CN106714902B (zh) * 2014-09-30 2019-12-10 科利耳有限公司 听力设备的用户接口
CN108702579A (zh) * 2016-03-09 2018-10-23 索诺瓦公司 听觉设备和调整听觉设备的方法
US10972846B2 (en) 2016-04-22 2021-04-06 Cochlear Limited Microphone placement
KR101804237B1 (ko) 2016-09-20 2017-12-04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벨로우즈 진동체 및 이를 포함하는 보청기
US10665243B1 (en) * 2016-11-11 2020-05-26 Facebook Technologies, Llc Subvocalized speech recognition
US11528564B2 (en) 2017-12-28 2022-12-13 Starkey Laboratories, Inc. Hearing device cable
JP6929973B2 (ja) * 2018-03-27 2021-09-01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周波数領域リソース配分のシグナリング
US10828489B2 (en) 2018-11-30 2020-11-10 Advanced Bionics Ag Wearable case for hearing device and methods for using the same
US11064305B2 (en) * 2019-09-30 2021-07-13 Sonova Ag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a selectively configurable interface assembly to program a hearing device
CN111292716A (zh) * 2020-02-13 2020-06-16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语音芯片和电子设备
CN117242518A (zh) * 2021-05-18 2023-12-15 科利耳有限公司 用于智能广播管理的系统和方法
WO2023148649A1 (en) * 2022-02-07 2023-08-10 Cochlear Limited Balanced hearing device loudness control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98323A1 (de) 1987-07-07 1989-01-11 Siemens Aktiengesellschaft Hörhilfegerät
DE3723809A1 (de) 1987-07-18 1989-01-26 Bosch Gmbh Robert Hinter dem ohr zu tragendes hoergeraet
CH673919A5 (ko) 1987-08-11 1990-04-12 Rexton Int Ag
CA2014960C (en) 1990-04-19 1995-07-25 Horst Arndt Modular hearing aid
US5802183A (en) 1995-12-06 1998-09-01 Telex Communications, Inc. BTE assistive listening receiver with interchangeable crystals
US5824022A (en) 1996-03-07 1998-10-20 Advanced Bionics Corporation Cochlear stimulation system employing behind-the-ear speech processor with remote control
US6157728A (en) 1996-05-25 2000-12-05 Multitech Products (Pte) Ltd. Universal self-attaching inductive coupling unit for connecting hearing instrument to peripheral electronic devices
AU4128199A (en) 1999-06-16 2001-01-09 Phonak Ag Hearing aid worn behind the ear and plug-in module for a hearing aid of this type
US6546110B1 (en) 1999-06-16 2003-04-08 Phonak Ag Behind-the-ear hearing aid and attachment module for same
US6532295B1 (en) * 1999-12-10 2003-03-11 Sonic Innovations, Inc. Method for fitting a universal hearing device shell and conformal tip in an ear canal
US6748094B1 (en) 2000-03-03 2004-06-08 Advanced Bionics Corporation Connector system for BTE hearing devices
AU2001268142B2 (en) 2000-06-01 2006-05-18 Otologic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the performance of an implantable middle ear hearing aid, and the response of patient wearing such a hearing aid
DE10048341C5 (de) 2000-09-29 2004-12-23 Siemens Audiologische Technik Gmbh Verfahren zum Betrieb eines Hörhilfegerätes sowie Hörgeräteanordnung oder Hörhilfegerät
AUPR269301A0 (en) 2001-01-24 2001-02-22 Cochlear Limited Power supply for a cochlear implant
US7110822B1 (en) 2002-04-23 2006-09-19 Advanced Bionics Corporation Remote status and control device for a cochlear implant system
US7818066B1 (en) 2002-04-23 2010-10-19 Advanced Bionics, Llc Remote status and control device for a cochlear implant system
DE10228828C1 (de) * 2002-06-27 2003-10-16 Siemens Audiologische Technik Modulares Hörhilfsgerät
US7142926B2 (en) 2002-08-30 2006-11-28 Advanced Bionics Corporation Quick connect earhook system for BTE devices
US7349741B2 (en) 2002-10-11 2008-03-25 Advanced Bionics, Llc Cochlear implant sound processor with permanently integrated replenishable power source
US20070282394A1 (en) 2003-09-11 2007-12-06 Segel Philip A Assistive listening technology integrated into a Behind-The-Ear sound processor
US7551894B2 (en) * 2003-10-07 2009-06-23 Phonak Communications Ag Wireless microphone
US8788050B2 (en) 2003-12-22 2014-07-22 Cochlear Limited Hearing prosthesis system having interchangeable housings
US7561920B2 (en) 2004-04-02 2009-07-14 Advanced Bionics, Llc Electric and acoustic stimulation fitting systems and methods
DE102004035256B3 (de) 2004-07-21 2005-09-22 Siemens Audiologische Technik Gmbh Hörhilfegerätesystem sowie Verfahren zum Betrieb eines Hörhilfegerätesystems bei Audio-Empfang
DE602005006602D1 (de) 2004-10-01 2008-06-19 Gn Resound As Bte-hörgerät-adapt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5018B1 (ko) * 2010-08-11 2011-09-19 현대로템 주식회사 텔레코일 방식의 보청기 착용자를 위한 철도차량용 방송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788050B2 (en) 2014-07-22
US20210219064A1 (en) 2021-07-15
US20080288022A1 (en) 2008-11-20
AT510122A1 (de) 2012-01-15
US20150051667A1 (en) 2015-02-19
US20160296755A1 (en) 2016-10-13
US20190009090A1 (en) 2019-01-10
US10904675B2 (en) 2021-01-26
KR20120086751A (ko) 2012-08-03
US9375572B2 (en) 2016-06-28
WO2005062668A1 (en) 2005-07-07
KR101198055B1 (ko) 2012-11-06
AT510122B1 (de) 2012-11-15
US10029095B2 (en) 2018-07-24
US20220174429A1 (en) 2022-06-02
US11540062B2 (en) 2022-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8055B1 (ko) 보청기 시스템
US20200154218A1 (en) Speech processor headpiece
US7571006B2 (en) Wearable alarm system for a prosthetic hearing implant
AU2004229638B2 (en) Intrabody communication with ultrasound
AU2004205043B2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of wireless intrabody communication
EP3122421B1 (en) Headpieceless hearing assistance systems
EP3122422B1 (en) Implantable hearing assistance system
US8155748B1 (en) Methods of converting a behind-the-ear speech processor unit into a body worn speech processor unit
WO2003030772A2 (en) A microphone module for use with a hearing aid or cochlear implant system
US9968781B2 (en) Implantable hearing assistance apparatus and corresponding systems and methods
EP2269387B1 (en) A bone conduction device with a user interface
WO2015147772A1 (en) Implantable hearing assistance apparatus and corresponding systems and metho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