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5018B1 - 텔레코일 방식의 보청기 착용자를 위한 철도차량용 방송장치 - Google Patents

텔레코일 방식의 보청기 착용자를 위한 철도차량용 방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5018B1
KR101065018B1 KR1020100077412A KR20100077412A KR101065018B1 KR 101065018 B1 KR101065018 B1 KR 101065018B1 KR 1020100077412 A KR1020100077412 A KR 1020100077412A KR 20100077412 A KR20100077412 A KR 20100077412A KR 101065018 B1 KR101065018 B1 KR 1010650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lecoil
hearing aid
wire
wearer
railway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7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석
곽호승
김인천
Original Assignee
현대로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로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로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774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50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50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50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49/00Other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CLOCOMOTIVES; MOTOR RAILCARS
    • B61C17/00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e of control gear and control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61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local area broadcast, e.g. instore broadcast
    • H04H20/62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local area broadcast, e.g. instore broadcast for transportation systems, e.g. in veh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55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using an external connection, either wireless or wir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텔레코일 방식의 보청기 착용자를 위한 철도차량용 방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음향기기로부터의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전류구동앰프, 상기 전류구동앰프가 출력하는 전류를 전달하는 피드 와이어 및 철도차량의 객실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피드 와이어가 전달하는 전류에 따른 자기장을 생성하여 상기 텔레코일 방식의 보청기로 전달하기 위한 루프 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주변 소음과 방송 서비스 자체의 음질이나 음량 저하에 불구하고 철도차량 내의 텔레코일 방식의 보청기 착용자에게 고품질의 방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텔레코일 방식의 보청기 착용자를 위한 철도차량용 방송장치{BROADCASTING APPARATUS FOR A RAILWAY CAR FOR A USER WEARING A HEARING AID OF TELECOIL TYPE}
본 발명은 텔레코일 방식의 보청기 착용자를 위한 철도차량용 방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주변 소음과 방송 서비스 자체의 음질이나 음량 저하에 불구하고 철도차량 내의 텔레코일 방식의 보청기 착용자에게 고품질의 방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텔레코일 방식의 보청기 착용자를 위한 철도차량용 방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음파진동(Acoustic Vibration)을 전기신호로 변환 후 다시 음성신호로 변환하는 보청기 착용자는 일반적인 전관방송 시스템이 구축된 환경에서 일반인과 동일한 조건으로 방송내용을 청취하게 된다. 이 경우 주변 소음의 정도나 방송 음질 또는 음량의 저하 및 보청기의 품질에 따라 청감 레벨의 저하가 야기된다.
특히, 화재, 강도 등 기타 비상 상황 발생시 일반적인 전관방송 시스템은 안내 방송을 하도록 설계되어 있으나, 청각장애자의 경우 위에서 언급한 소음 등의 요인으로 인하여 위급상황을 인지하지 못하게 되어 심각한 인명 피해를 초래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철도차량 내의 텔레코일 방식의 보청기 착용자를 위한 철도차량용 방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주변 소음과 방송 서비스 자체의 음질이나 음량 저하에 불구하고 철도차량 내의 텔레코일 방식의 보청기 착용자에게 고품질의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텔레코일 방식의 보청기 착용자를 위한 철도차량용 방송장치는 음향기기로부터의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전류구동앰프, 상기 전류구동앰프가 출력하는 전류를 전달하는 피드 와이어 및 철도차량의 객실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피드 와이어가 전달하는 전류에 따른 자기장을 생성하여 상기 텔레코일 방식의 보청기로 전달하기 위한 루프 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피드 와이어는 서로 꼬아진 2가닥의 와이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루프 와이어는 상기 객실의 천장 하부의 측면을 둘러싸며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루프 와이어는 상기 객실의 바닥으로부터 150cm 이상 200cm 이하의 위치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루프 와이어는 플라스틱 재질의 보호 튜브 내에 삽입된 상태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철도차량 내의 텔레코일 방식의 보청기 착용자를 위한 철도차량용 방송장치가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주변 소음과 방송 서비스 자체의 음질이나 음량 저하에 불구하고 철도차량 내의 텔레코일 방식의 보청기 착용자에게 고품질의 방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텔레코일 방식의 보청기 착용자를 위한 철도차량용 방송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포함된 피드 와이어와 루프 와이어의 구체적인 연결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텔레코일 방식의 보청기 착용자를 위한 철도차량용 방송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철도차량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텔레코일 방식의 보청기 착용자를 위한 철도차량용 방송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철도차량의 객실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텔레코일 방식의 보청기 착용자를 위한 철도차량용 방송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철도차량의 객실 평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텔레코일 방식의 보청기 착용자를 위한 철도차량용 방송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포함된 피드 와이어와 루프 와이어의 연결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가 설치되어 있는 철도차량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가 설치되어 있는 철도차량의 객실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가 설치되어 있는 철도차량의 객실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텔레코일 방식의 보청기 착용자를 위한 철도차량용 방송장치는 음향기기(10), 프리앰프(20), 전류구동앰프(30), 피드 와이어(40) 및 루프 와이어(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음향기기(10)는 예를 들어, 철도차량의 운전실에 구비된 마이크로폰(Micro phone)일수 있다. 운전자 등은 이 마이크로폰을 통하여 철도차량의 운행과 관련하여 필요한 경우 전관방송(Public Address)을 실시한다. 운전자 등이 이 마이크로폰을 통하여 입력한 음성신호는 전류신호로 변환되어 후술하는 프리앰프(20)로 입력된다.
프리앰프(Pre-AMP, 20)는 음향기기(10)를 통해 입력된 전류신호를 증폭하여 후술하는 전류구동앰프(30)로 출력한다.
전류구동앰프(30)는 음향기기(10)로부터의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류구동앰프(30)는 프리앰프(20)를 통하여 전치 증폭된 전류 신호를 입력받으며, 이 전치 증폭된 신호를 후술하는 루프 와이어(50)로 공급되는 레벨로 증폭하여 출력한다. 프리앰프(20)를 사용하는 경우, 전류구동앰프(30)가 메인앰프로서의 기능을 한다.
일반 전관방송용 음향기기와 마찬가지로 전류구동앰프(30)의 입력수단으로는 마이크로폰, 프리앰프(20) 등 일반적인 기기가 연결된다. 다만, 본 실시 예에서는 일반 전관방송 시스템처럼 스피커가 사용되는 대신에 전류구동앰프(30)의 출력 단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폐회로를 구성하는 루프 와이어(50)가 연결된다. 이 루프 와이어(50)로 흐르는 증폭된 가청주파수 대역의 전류에 의해 루프 와이어(50) 주변으로 자기장이 형성되고, 청각장애자용 보청기 내부에 장착된 텔레코일이 수신된 자기장을 음성 신호로 변환함으로써 보청기의 역할을 하게 된다.
피드 와이어(40)는 전류구동앰프(30)와 후술하는 루프 와이어(5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선이며, 전류구동앰프(30)가 출력하는 전류를 루프 와이어(50)로 전달하는 매개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피드 와이어(40)와 루프 와이어(50)는 철도차량 내에 전관방송 서비스를 하고자 하는 영역의 범위와 전류구동앰프(30)의 용량을 고려하여 충분한 구경을 갖는 케이블을 이용한다. 일반적으로 0.5mm2 에서 4mm2 구경의 케이블이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하는 케이블의 구경이 클수록 사용할 수 있는 케이블의 최대 길이가 길어져 전류구동앰프(30)의 효율이 증가한다.
실제 전류구동앰프(30)의 설치 위치와 실제 방송 서비스 지역인 루프 와이어(50) 커버리지(coverage)와의 이격 거리로 인하여 전류구동앰프(30)에서 증폭된 가청주파수 대역의 전류신호가 루프 와이어(50)로 전달되는 도중 주변 환경에 의하여 영향을 받아 왜곡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류신호가 피드 와이어(40) 주변으로 자기장을 형성하며 흐르는 도중 주변 환경에 영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 전류구동앰프(30)에서 루프 와이어(50) 사이의 배선인 피드 와이어(40)는 서로 꼬아진 2가닥의 와이어로 구현함으로써, 주변으로부터의 영향을 최소화 시키며 원하지 않는 구간에서의 자기장의 발생을 상쇄시킨다. 예를 들어, 피드 와이어(40) 구간의 와이어 2가닥을 꼬지 않고 포설한다면 주변의 형광등이나 에어컨과 같은 교류전류 배선을 흐르는 전류에 의해 텔레코일 보청기 착용자는 형광등 혹은 에어컨으로부터 야기된 잡음을 청취하게 된다. 반대로 미약한 음성 신호용 배선이 피드 와이어(40)에 근접하여 설치되어 있는 경우 전류구동앰프(30)로부터의 가청주파수 신호가 주변 음성용 배선에 커플링되어 일반 전관방송용 스피커로 원치 않는 잡음이 전달될 수 있다.
루프 와이어(50)는 철도차량의 객실에 설치되어 있으며 피드 와이어(40)가 전달하는 전류에 따른 자기장을 생성하여 텔레코일 방식의 보청기로 전달하기 위한 수단이다.
철도차량 내에서 텔레코일 방식의 보청기를 착용한 청각장애자를 위한 실제 방송 서비스 영역은 루프 와이어(50)가 포설된 청취 평면(Hearing plane)에 해당하는 영역이며, 이는 루프 와이어(50)를 철도차량의 객실 천장 혹은 바닥에 설치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루프 와이어(50)가 콘크리트 철근과 같은 그물망 구조의 금속물과 같은 폐회로로 구성된 환경에 설치되면 루프 와이어(50)에서 발생한 자속이 주변 금속물질에 흡수되어 손실이 발생한다. 이에 대처하기 위하여, 루프 와이어(50)가 플라스틱 재질의 보호 튜브(52) 내에 삽입된 상태로 객실의 천장 하부의 측면을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차량 객실 높이와 실제 승객의 좌석높이를 고려하여 루프 와이어(50)는 객실의 바닥으로부터 150cm 이상 200cm 이하의 높이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실제 승객의 청취 높이를 고려한 루프 와이어(50) 포설 높이이며 실제 차량 조건 및 설치 환경에 따라 설치 높이는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루프 와이어(50)를 플라스틱 재질의 보호 튜브(52) 내에 삽입된 상태로 설치함으로써, 차량진동으로 인한 루프 와이어(50)의 피복 손상을 방지하고 와이어를 흔들리지 않게 고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철도차량 내의 텔레코일 방식의 보청기 착용자를 위한 철도차량용 방송장치가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주변 소음과 방송 서비스 자체의 음질이나 음량 저하에 불구하고 철도차량 내의 텔레코일 방식의 보청기 착용자에게 고품질의 방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 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 음향기기
20: 프리앰프
30: 전류구동앰프
40: 피드 와이어
50: 루프 와이어
52: 보호 튜브

Claims (5)

  1. 텔레코일 방식의 보청기 착용자를 위한 철도차량용 방송장치에 있어서,
    음향기기로부터의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전류구동앰프;
    상기 전류구동앰프가 출력하는 전류를 전달하는 피드 와이어; 및
    철도차량의 객실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피드 와이어가 전달하는 전류에 따른 자기장을 생성하여 상기 텔레코일 방식의 보청기로 전달하기 위한 루프 와이어를 포함하는, 텔레코일 방식의 보청기 착용자를 위한 철도차량용 방송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 와이어는 서로 꼬아진 2가닥의 와이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코일 방식의 보청기 착용자를 위한 철도차량용 방송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 와이어는 상기 객실의 천장 하부의 측면을 둘러싸며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코일 방식의 보청기 착용자를 위한 철도차량용 방송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 와이어는 상기 객실의 바닥으로부터 150cm 이상 200cm 이하의 위치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코일 방식의 보청기 착용자를 위한 철도차량용 방송장치.
  5. 제3 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 와이어는 플라스틱 재질의 보호 튜브 내에 삽입된 상태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코일 방식의 보청기 착용자를 위한 철도차량용 방송장치.
KR1020100077412A 2010-08-11 2010-08-11 텔레코일 방식의 보청기 착용자를 위한 철도차량용 방송장치 KR1010650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7412A KR101065018B1 (ko) 2010-08-11 2010-08-11 텔레코일 방식의 보청기 착용자를 위한 철도차량용 방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7412A KR101065018B1 (ko) 2010-08-11 2010-08-11 텔레코일 방식의 보청기 착용자를 위한 철도차량용 방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5018B1 true KR101065018B1 (ko) 2011-09-19

Family

ID=44957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7412A KR101065018B1 (ko) 2010-08-11 2010-08-11 텔레코일 방식의 보청기 착용자를 위한 철도차량용 방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50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50856A1 (en) * 2018-04-04 2019-10-09 Ningbo Geely Automobile Research & Development Co. Ltd. Vehicle alert device and method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6362A (ko) * 2005-09-06 2005-11-09 장순석 목걸이 형태의 전선에 의해 발생하는 자기장을 이용한 무선텔레코일 리시버
KR20060121287A (ko) * 2003-12-22 2006-11-28 코치리어 리미티드 보청기 시스템
KR20080098474A (ko) * 2008-10-01 2008-11-10 권유정 무선으로 제어되는 귓속형 디지털 보청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1287A (ko) * 2003-12-22 2006-11-28 코치리어 리미티드 보청기 시스템
KR20050106362A (ko) * 2005-09-06 2005-11-09 장순석 목걸이 형태의 전선에 의해 발생하는 자기장을 이용한 무선텔레코일 리시버
KR20080098474A (ko) * 2008-10-01 2008-11-10 권유정 무선으로 제어되는 귓속형 디지털 보청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50856A1 (en) * 2018-04-04 2019-10-09 Ningbo Geely Automobile Research & Development Co. Ltd. Vehicle alert device and method
US11315411B2 (en) 2018-04-04 2022-04-26 Ningbo Geely Automobile Research & Development Co. Vehicle alert device and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101834A (ko) 안전 이어폰
JP4752403B2 (ja) 拡声システム
US20090141923A1 (en) Earpiece with attached speaker
JP2013162212A (ja) 会話情報漏洩防止装置
CN104797462A (zh) 驾驶支持装置
CN101142134A (zh) 电梯的声音广播系统
JP4742064B2 (ja) 騒音キャンセル装置および騒音キャンセル方法
KR101065018B1 (ko) 텔레코일 방식의 보청기 착용자를 위한 철도차량용 방송장치
EP1550350B1 (en) Teleloop system
US20100226506A1 (en) Headrest sound system
JP2003163999A (ja) 補聴装置
JP7236443B2 (ja) エレベータ
US20190013785A1 (en) Acoustic elevator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of adjusting such a system
CN108271111A (zh) 智能扩音的方法及系统
CN209435237U (zh) 轨道车站的语音信息播报装置
CN107124682A (zh) 一种隔空无声传音骨传导扬声器
JP6594096B2 (ja) 補聴器を用いた会話支援システム
JP5006650B2 (ja) 対面通話装置
JP2020053751A (ja) 聴覚支援システム、出力制御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1320795A (ja) 通話システム及びスピーカ装置
JP2005094535A (ja) スピーカシステム
CN201219306Y (zh) 一种音响系统及音频播放设备
JP2003274489A (ja) 補聴システム
JP3128487U (ja) 音源(歌伴奏及びマイク音声)の出力を個別調整可能にしたカラオケ用汎用型ワイヤレス送受信システム
CN101483796A (zh) 头戴式受话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