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1255A - 고순도 주물 금속 빌릿을 형성하기 위한 순차적 주조 방법 - Google Patents

고순도 주물 금속 빌릿을 형성하기 위한 순차적 주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1255A
KR20060121255A KR1020067013079A KR20067013079A KR20060121255A KR 20060121255 A KR20060121255 A KR 20060121255A KR 1020067013079 A KR1020067013079 A KR 1020067013079A KR 20067013079 A KR20067013079 A KR 20067013079A KR 20060121255 A KR20060121255 A KR 200601212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ndish
metal melt
melt
supply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3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65478B1 (ko
Inventor
제랄드 호헨비흘러
제랄드 에케르스토르퍼
마르쿠스 브룸마이어
Original Assignee
뵈스트-알핀 인두스트리안라겐바우 게엠베하 앤드 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442732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60121255(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뵈스트-알핀 인두스트리안라겐바우 게엠베하 앤드 컴퍼니 filed Critical 뵈스트-알핀 인두스트리안라겐바우 게엠베하 앤드 컴퍼니
Publication of KR200601212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12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54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54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0Supplying or treating molten metal
    • B22D11/103Distributing the molten metal, e.g. using runners, floats, distribu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0Supplying or treating molten metal
    • B22D11/11Treating the molten metal
    • B22D11/116Refining the metal
    • B22D11/118Refining the metal by circulating the metal under, over or around wei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0Supplying or treating molten metal
    • B22D11/11Treating the molten 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6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 B22D11/18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for po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6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 B22D11/18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for pouring
    • B22D11/181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for pouring responsive to molten metal level or slag level
    • B22D11/183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for pouring responsive to molten metal level or slag level by measuring molten metal we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 용융물로부터 고순도 주물 빌릿을 제조하는 순차적 주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금속 용융물은 용융물 용기로부터 분배 용기로 제어식으로 공급되고, 그 후 상기 분배 용기로부터 연속 주조 잉곳 주형 내로 제어식으로 공급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용융물 용기를 교체할 때에도 정량적으로 고순도 금속 빌릿을 주조하고 재가동 시기를 가능한 한 짧게 유지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하여, 분배 용기 내로의 유입율은 분배 용기 내로의 금속 용융물의 공급 재개 시점으로부터 분배 용기 내에서 준정상 상태의 작업 욕 레벨 높이에 도달한 시점까지의 기간 동안에 분배 용기로부터 유출되는 유출율보다 크며, 상기 기간의 70% 내지 100% 동안에는, 분배 용기 내로 유입되는 유입율은 분배 용기로부터 유출되는 유출율의 2배 이하이다.

Description

고순도 주물 금속 빌릿을 형성하기 위한 순차적 주조 방법{SEQUENTIAL CASTING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A HIGH-PURITY CAST METAL BILLET}
본 발명은 금속 용융물, 바람직하게는 강 용융물로부터 고순도 주물 스트랜드를 연속 제조하기 위한 순차적(연속식) 주조 공정에 관한 것으로, 금속 용융물은 용융물 용기로부터 턴디쉬로 제어식으로 이송되고, 이 턴디쉬로부터 연속-주조 주형으로 배출되며, 턴디쉬로의 금속 용융물의 공급이 용융물 용기의 교환 중에 중단되는 반면에, 연속 주조용 주형으로의 금속 용융물의 공급은 계속된다.
순차적 주조 공정은, 주조 설비에서 복수의 용융물 용기로 공급되는 복수의 금속 용융물을 연속적으로 주조하여 주조 공정의 중단 없이 단일의 금속 스트랜드를 연속적으로 주조하는 주조 공정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 경우에는, 비워진 용융물 용기를 추가의 채워진 용융물 용기로 가능한 한 짧은 시간 내에 교환한 필요가 있다. 턴디쉬 내로의 용융물의 유입은 불가피하게 중단되며, 주조 위치로 이동된 추가의 용융물 용기로부터 턴디쉬 내로 금속 용융물이 다시 유입될 때까지의 필요한 교체 시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양의 잔류 금속 용융물이 턴디쉬 내에 유지될 필요가 있게 된다. 교체 시간 동안에도 연속 주조 공정을 유지하기 위하여, 교체 시간 중에 주조 설비의 주조율(casting rate)을 감소시키는 것이 일 반적이다. 교체 시간은 레이들 회전 타워(ladle turning tower)를 이용하여 매우 짧게 유지할 수 있다.
연속 주조 설비 자체는, 예컨대 하나 이상의 요동 플레이트 또는 튜브 주형과 같은 임의의 원하는 구조의 영구 주형, 캐터필러 주형(caterpillar molds), 회전 벨트를 갖는 주형, 또는 절연 측벽을 갖는 회전 주조 롤러에 의해 형성되는 주형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주조되는 금속 스트랜드의 횡방향 형상을 필요에 따라 설정할 수 있지만, 특히 6.0 mm 미만의 두께와 800 mm 이상의 폭을 갖는 얇은 금속 스트립을 제조할 때에는, 레이들 교체 후에 주조 공정의 시작 기간 또는 재개 기간과 관련하여 특별한 큰 요구가 부가되는데, 그 이유는 특히 비교적 작은 용융물 풀(pool)과, 2롤러 주조 설비에서 접촉점까지의 실제적인 불변의 야금학적 길이(metallurgical length)뿐 아니라 얇은 금속 스트랜드의 빠른 전체 응고를 고려할 때, 주조율을 현저하게 감소시키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또한, 턴디쉬 내로의 용융물의 공급 재개 중에, 이미 커버제(covering agent)로 덮여 있는 잔류 금속 용융물내에서 증가된 욕 운동이 발생한다는 점과, 욕 표면에서의 웨이브의 형성 증가로 인하여 많은 양의 커버제가 금속 욕 내로 도입된다는 점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또한, 레이들 슬라이드가 개방된 때에, 턴디쉬 내로 충진 샌드(filling sand)가 도입되므로, 욕의 표면으로 부유될 때까지 금속 욕을 보다 잔잔하게 특정 시간 동안 유지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특히 수직 2롤러 주조 공정을 기초로 하는 2롤러 주조 설비를 이용한 금속 스트립의 주조에 관한 것이다.
임의의 원하는 연속 주조 설비를 이용하여 고순도 주물 스트랜드를 제조하는 중에, 액상 금속은 일반적으로 주조 레이들로부터 하나 이상의 턴디쉬 또는 운반 용기를 거쳐 저온 영구 주형으로 이송되며, 이 영구 주형에서는 금속 스트랜드를 형성하기 위한 금속 용융물의 응고 공정이 적어도 개시된다. 금속 용융물을 주조 레이들로부터 턴디쉬 내로, 그리고 턴디쉬로부터 영구 주형으로 이송하는 것은 주로 침지 파이프 또는 슈라우드(shroud)를 통하여 실행되고, 이들 침지 파이프 또는 슈라우드는, 정상 상태의 주조 작업 중에, 각각의 경우에 하류에 배치된 용기의 용융물 풀에 침지되어 있고, 이로써 가능한 한 잔잔하고 균일하게 금속 용융물을 영구 주형 내로 유동 및 이송시킬 수 있다. 주조 레이들, 턴디쉬, 경우에 따라 영구 주형에 축적된 금속 용융물은 일반적으로 금속 욕 표면의 산화를 방지하는 슬래그의 층으로 덮여 있다. 강으로 멀티-스트랜드를 연속 주조하는 설비에 있어서의 용융물 수용 용기의 기본 구조는 예컨대 US-A-5,887,647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개별 용융물 용기에서의 금속 욕 운동이 활발할수록, 금속 용융물을 덮고 있는 슬래그 층으로부터 더 많은 슬래그 입자가 금속 욕 내로 도입되고, 침식의 결과로 금속 용기의 라이닝으로부터 보다 많은 내화 재료의 입자가 또한 금속 욕 내로 이송된다. 동시에, 과도하게 활발한 금속 욕 운동은 이물질의 입자가 금속 욕 표면에서 금속 용융물로부터 분리되는 것 또는 슬래그 층내로 분리되는 것을 방해한다. 슬라브 횡단면을 갖는 스트랜드와 같이 큰 형태의 금속 스트랜드의 경우에는, 영구 주형내에서 욕 표면으로부터 이물질을 분리할 수 있는 시간이 있게 된다. 작은 형태의 스트랜드의 경우에, 특히 두께가 얇은 스트립의 경우에, 이물질이 영구 주형 내로 도입되는 것을 가능한 한 방지해야 하는데, 그 이유는 영구 몰드내에서 이물질을 분리할 수 있는 정도가 훨씬 엄격하게 제한되기 때문이다.
주조 공정의 시작 단계 또는 턴디쉬의 초기 충진 중에 불가피하게 발생하거나 또는 순차 주조 공정에서 레이들을 교체하는 중에 발생하는 욕 레벨의 현저한 변동이 생기는 경우에 주물 스트랜드의 품질이 감소한다는 것은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고, 이때 레이들 교체 시간을 확보하기 위해 금속 용융물이 일반적으로 턴디쉬 내에서 유지되며, 따라서 주조는 욕 레벨이 연속적으로 감소하는 상태로 실행된다. 그 결과 턴디쉬 내로의 용융물 유동의 안정성은 크게 손상되며, 금속 용융물에는 원치 않는 슬래그가 도입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공지의 종래 기술의 상기 결점 및 문제점을 해소하고, 전제부에 언급한 유형의 순차적 주조 방법을 제안하는 것으로, 이 주조 방법에 의하면, 용융물 용기의 교체 중에도 금속 용융물 내로의 이물질의 도입 증가가 최소화되고, 이에 따라 연속-주조 주형에서도 응고 제품 내로의 이물질의 도입 증가가 최소화되며, 준정상(quasi-steady) 상태의 주조 기간의 재개 직후에, 고순도 금속 스트랜드를 주조할 수 있고, 또한 연속 주조 공정에서 용융물 용기 교체 시간을 가능한 한 짧게 유지할 수 있으며, 용융물 용기 교체와 같은 비정상 상태의 주조 단계로부터 초래되는 적어도 일부의 영향을 가능한 한 신속하게 약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목적은, 턴디쉬 내로의 금속 용융물의 공급 재개 시점으로부터 턴디쉬 내에서 준정상 상태의 작업 욕 레벨(quasi-steady operating bath level)에 도달하는 시점까지의 기간 동안에, 턴디쉬 내로 유입되는 유입율이 턴디쉬 외부로 유출되는 유출율보다 크며, 상기 기간의 7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99%, 특히 70% 내지 95% 동안에, 턴디쉬 내로 유입되는 유입율이 턴디쉬 외부로 유출되는 유출율의 2배 이하, 바람직하게는 1.5배 이하가 된다.
상기 기간 중에 턴디쉬 내로 유입되는 최소 유입율은 용융물 용기 교체 중의 연속 주조 설비에서의 주조율 감소에 매우 큰 영향을 받는다. 그러나, 상기 기간 중에, 턴디쉬 내로의 유입율은 정상-상태의 주조 작업 중의 최대 유입율의 적어도 0.5배에 상응해야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턴디쉬(tundish)"라는 용어는 금속 용융물을 영구 주형 내로 운반 또는 이송할 수 있는, 즉 영구 주형의 바로 상류에 배치되는 단순한 금속 용융물 유지 용기로 제한되지 않고, 오히려 주조 레이들과 주형 사이의 모든 용융물 용기를 또한 포괄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턴디쉬 내로의 금속 용융물의 공급 재개 시점부터 준정상 상태의 작업 욕 레벨에 도달하는 시점까지의 기간의 마지막 5% 내지 30% 내에서의 금속 용융물의 공급이 상기 기간 동안의 유입율에 비해 감소된 유입율으로 실행되는 경우에, 주조 공정의 재개 시점으로부터 주물 스트랜드의 품질을 더욱 개선할 수 있다.
턴디쉬 내로의 금속 용융물의 공급 재개 직후부터 턴디쉬 내에서 준정상 상태의 작업 욕 레벨에 도달하는 시점까지의 기간의 0.1% 내지 30%,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5% 동안에 금속 용융물을 실질적으로 최대 유입율으로 공급하고, 그 후 준정상 상태의 작업 욕 레벨에 도달하는 시점까지 초기 충진율에 비해 감소된 충진율로 금속 용융물을 공급하는 경우에, 주조 공정의 재개 기간이 단축되고, 주물 제품의 품질에 악영향을 끼치지 않으면서 용융물 용기의 가장 확실한 개방이 달성된다.
"최대 충진율(maximum filling rate)"이라는 표현은, 턴디쉬 내로의 금속 용융물의 공급이 레이들 슬라이드의 최대 개방 시에, 즉 가능한 최대 충진율에서 실행된다는 의미로서 이해된다. 이로 인하여, 초기 주조 단계 동안에 레이들 슬라이드의 개구가 응고로 인해 들러붙는 것을 방지하거나, 유동 통과 개구가 현저히 좁아지는 것을 방지하며, 이에 따라 정량적 유동의 원치 않는 감소를 방지한다.
감소된 충진율이, 준정상 상태의 작업 욕 레벨에 도달할 때까지의 나머지 충진 시간 전체에 걸쳐서 일정한 값을 나타낼 필요는 없으며, 오히려 감소된 충진율은 연속적으로 또는 단계적으로 감소하는 시간 곡선을 따르는 경향이 있으며, 그 결과 턴디쉬 내의 유동 상태는 충진 시간 동안에 이미 계속해서 잔잔한 상태로 있게 된다.
턴디쉬 내의 금속 용융물을 잔잔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턴디쉬 내로의 금속 용융물의 공급이 준정상 상태의 작업 욕 레벨에 도달한 때에 소정 기간동안 중단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준정상 상태의 작업 욕 레벨에 도달한 시점 이후에 레이들 슬라이드를 폐쇄하게 되면, 존재하는 이물질 혼입물, 특히 비금속 혼입물이 빠르게 욕의 표면으로 부유하여 커버 슬래그 내로 분리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용융물의 공급을 짧은 기간 동안 중지시키는 것은, 상기 잔잔하게 하는 단계 및 분리 단계 후에 레이들 슬라이드의 개방이 동시에 확실하게 보장되는 경우에 주물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우수한 방법이다. 상기 용융물의 공급이 중단되는 기간은 1초 내지 2분, 바람직하게는 10초 내지 70초 사이에서 지속되는데, 그 이유는 금속 용융물이 연속-주조 주형 내로 유출되는 결과로 인하여 욕 레벨이 즉시 다시 낮아지기 시작하기 때문이다.
금속 욕 표면에서의 산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주조 공정의 제1 단계가 시작하는 즉시 용융물 욕에 커버제를 도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커버제는 턴디쉬 내에서의 모든 주조 단계에 걸쳐 유지된다. 금속 용융물 내에 침지되어 있는 슈라우드 근처의 커버제가 슈라우드의 외벽을 따라 부분적으로라도 금속 용융물 내로 당겨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슈라우드를 바로 둘러싸는 턴디쉬 내의 자유 욕 표면의 소정 영역이, 적어도 준정상 상태의 작업 중에, 바람직하게는 항상, 커버제에 의한 커버 없이 또는 그 커버로부터 차단되게 유지되는 것이 유리하다. 이는, 상부로부터 용융물 욕 내에 침지되거나 하부로부터 용융물 욕의 외부로 돌출하며 간격을 두고 슈라우드를 둘러싸는 벽 요소에 의해 형성되는 차폐 수단에 의해 실행된다. 이로 인하여 슈라우드의 둘레에 유리하게 열점(hot spot)이 발생하며, 슈라우드에 합체되어 있는 폐쇄 챔버에 의해 벽 요소를 형성하고, 챔버로 둘러싸인 분위기를 불활성으로 하는 것이 유리하다.
용융물의 공급 재개 직전의 레이들 교체 중에 최소 욕 레벨의 턴디쉬에서도 여전히 침지 상태로 되도록 하기 위하여 차폐 수단을 충분히 깊이 용융물 욕 내에 침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작업 기간 중에도 슈라우드 둘레에 슬래그가 없는 영역이 유지되고, 욕 표면 아래의 금속 욕 내에 난류를 거의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금속 용융물을 공급하는 것이 보장된다.
턴디쉬 내에서 준정상 상태의 작업 욕 레벨에 도달한 시점 후에 금속 용융물의 공급을 다시 짧은 시간 동안 중지시키는 경우에, 욕의 운동을 더욱 잔잔하게 하고 이물질의 분리율을 높이기 위해, 상기 턴디쉬 내로의 금속 용융물의 공급 재개 후에, 이러한 턴디쉬 내로의 금속 용융물의 공급은 턴디쉬로부터 배출되는 금속 용융물의 배출량의 함수로서 정량적으로 제어된다. 시간과 관련하여, 턴디쉬로부터 하류의 영구 주형으로 금속 용융물을 공급하는 것은 턴디쉬 내로의 금속 용융물의 공급 재개 시점에 따라 개시된다. 이러한 제어에 의해, 준정상 상태의 작업 욕 레벨 또는 대응하는 턴디쉬 중량을 실질적으로 일정한 레벨로 유지할 수 있다.
준정상 상태의 작업 욕 레벨에 도달한 시점 후에 턴디쉬 내로의 용융물 공급을 중단시키지 않으면, 상기 턴디쉬 내로의 금속 용융물의 공급은, 적어도 턴디쉬 내로의 금속 용융물의 공급 재개 시점으로부터 턴디쉬 내에서 준정상 상태의 작업 욕 레벨에 도달하는 시점까지의 기간의 적어도 7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99%, 특히 70% 내지 95%동안 및/또는 준정상 작업 욕 레벨에 도달한 시점으로부터, 턴디쉬로부터 배출되는 금속 용융물의 배출량의 함수로서 정량적으로 제어된다. 이러한 제어는 현재의 욕 레벨 또는 현재의 턴디쉬 중량의 측정을 기초로 한다.
주물 두께 1.0-5.0 mm, 주물 폭 1.0 내지 2.0 m인 강 스트립을 주조하는 동안에 턴디쉬 내로 공급되는 금속 용융물의 양과 턴디쉬로부터 배출되는 금속 용융물의 양은 0.5 t/min 내지 4.0 t/min, 바람직하게는 0.8 t/min 내지 2.0 t/min 이다. 이들 상세 사항은 2롤러 주조 장치를 사용하여 대응 구조의 원하는 주물 제품을 얻는 것을 기초로 하는 것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커버제로 턴디쉬의 상부를 덮을 필요가 있다. 턴디쉬의 금속 용융물의 욕 표면에 커버제를 첨가하는 작업을 낮은 표면 유속, 욕 표면의 잔잔한 기복(waviness) 또는 낮은 난류 강도를 갖는 상태로 소정의 표면 영역에서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요한 경우에, 커버제를 수동으로 첨가하기 위해서는 작업자(operating staff)가 턴디쉬에 충분히 접근할 수 있어야 하며, 또한 보다 많은 양의 커버제를 갑자기 국부적으로 첨가한 결과로 슬래그의 추가 혼입물이 발생할 위험이 있다. 따라서, 상기 커버제는 바람직하게는 반자동 또는 전자동 첨가 장치를 이용하여 미립자 또는 분말 형태로 도포된다.
턴디쉬의 내부는 턴디쉬 뚜껑에 의해 자유 분위기로부터 차폐되어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턴디쉬의 내부에서 반응성 산소를 현저히 줄이기 위하여 초기 충진 단계 중에 또는 초기 충진 단계 전에 턴디쉬를 불활성화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등가의 측정 방법(equivalent measurement method)을 이용하여 턴디쉬 중량을 측정함으로써 작업시의 주조 레벨을 설정하고 모니터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부유체(float), 욕 레벨 표면의 광학적 측정법, 초음파 거리 측정법, 와류 측정법, 및 다른 유사한 측정 방법과 같은 다른 직접적 또는 간접적 측정 방법을 이용하여 작업 욕 레벨을 또한 측정할 수 있다.
순차적 주조 중에, 턴디쉬 내에서의 욕 레벨은 용융물 용기 교체 중에 계속적으로 감소하지만, 최소 욕 레벨(턴디쉬의 형상에 따라 매우 크게 달라지며 그에 따라 일괄적인(general) 레벨로 특정할 수는 없다) 이하로 낮아져서는 안 된다. 특히 용융물의 공급 재개 단계 중에, 특히 최대 충진율에서 욕 레벨이 과도하게 낮아지면, 금속 용융물 내로 이물질 입자의 도입이 증가하며, 이들 이물질 입자는 전체 턴디쉬에 걸쳐 퍼져 나간다. 이러한 영향을 제거하거나, 적어도 현저하게 줄이기 위해서는, 적어도 턴디쉬 내로의 금속 용융물의 공급 재개 시점과 준정상 상태의 작업 욕 레벨에 도달한 시점 사이의 기간 동안에, 턴디쉬 내에 수용된 금속 용융물은 디바이더 플레이트에 의해 2개의 부분 분량(partial quantity)으로 분리되고, 금속 용융물은 용융물 용기로부터 제1 부분 분량으로 이송되고, 금속 용융물은 제2 부분 분량으로부터 연속-주조 주형으로 배출되며, 금속 용융물은 제1 부분 분량으로부터 제2 부분 분량으로 연속적으로 운반되고, 턴디쉬 내의 제1 부분 분량으로 유입되는 유입율은 제2 부분 분량으로부터 유출되는 유출율보다 크며, 상기 턴디쉬 내로의 금속 용융물의 공급 재개 시점으로부터 턴디쉬 내에 제2 부분 분량의 준정상 상태의 작업 욕 레벨에 도달하는 시점까지의 기간의 7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99%, 특히 70% 내지 95% 동안 제1 부분 분량으로 유입되는 유입율은 제2 부분 분량으로부터 유출되는 유출율의 2배 이하인 것이 유리하다. 턴디쉬의 공간적 분리로 인하여 2개의 영역 즉, 종종 상당한 난류가 발생할 수 있고 또한 난류가 실질적으로 약해지는 제1 영역과, 이러한 현상으로부터 실질적으로 격리된 상태로 있는 제2 영역이 형성된다.
상기 턴디쉬 내로의 금속 용융물의 공급 재개 시점으로부터 턴디쉬 내에 상기 제2 부분 분량의 준정상 상태의 작업 욕 레벨에 도달한 시점까지의 기간의 마지막 5% 내지 30% 내에서 금속 용융물의 공급을 그 이전의 유입율에 비해 감소된 유입율으로 실행하는 경우에, 턴디쉬의 내부를 공간적으로 분리할 때의 긍정적 효과가 더욱 향상된다.
이 경우에, 턴디쉬 내로의 금속 용융물의 공급 재개 직후부터 상기 금속 용융물의 공급이 턴디쉬 내에서 제2 부분 분량의 준정상 상태의 작업 욕 레벨에 도달하는 시점까지의 기간의 1% 내지 30%,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5% 동안에 실질적으로 최대 유입율으로 실행되고, 그 후 턴디쉬 내에서 제2 부분 분량의 작업 욕 레벨에 도달하는 시점까지 금속 용융물의 공급이 상기 최대 유입율에 비해 감소된 충진율로 실행되는 경우에, 준정상 작업 욕 레벨에 도달하는 데에 소요되는 충진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상기 금속 용융물은 상기 디바이더 플레이트에 있는 하나 이상의 개구를 통하여 제1 부분 분량으로부터 제2 부분 분량으로, 즉 턴디쉬의 하나의 영역으로부터 턴디쉬의 다른 부분의 영역으로 운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금속 용융물은 디바이더 플레이트와 턴디쉬의 베이스 사이의 자유 공간을 통하여 제1 부분 분량으로부터 제2 부분 분량으로 운반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디바이더 플레이트는 턴디쉬의 베이스까지 전체에 걸쳐 연장되지 않는다.
그러나, 디바이더 플레이트를 턴디쉬에 일체로 고정된 부품으로서 형성하거나, 모든 작업 단계 중에 항상 금속 용융물의 욕 표면의 아래에 존재하는 하나의 영구 유동 통로를 턴디쉬의 베이스의 근처에 구비하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준정상 상태의 주조 공정은 턴디쉬의 제2 영역내의 금속 용융물의 제2 부분 분량의 준정상 상태 작업 욕 레벨에 도달하는 시점에 개시된다. 상기 턴디쉬 내에서 금속 용융물의 제2 부분 분량의 준정상 상태 작업 욕 레벨에 도달한 때에, 턴디쉬 내로의 금속 용융물의 공급은 턴디쉬로부터 배출되는 금속 용융물의 배출량의 함수로서 정량적으로 제어된다. 이러한 제어는 현재의 욕 레벨 또는 현재의 턴디쉬 중량을 측정하는 것을 기초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이점 및 특징은 첨부 도면을 참조로 하는 한정의 의도는 없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한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정을 실시하기 위한 용융물 용기 및 턴디쉬를 구비하는 2-롤러 주조 설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고,
도 2는 본 발명의 공정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턴디쉬의 재충진(충진율)을 위한 런-업 곡선(run-up curve)의 프로파일을 도시하고 있고,
도 3은 본 발명의 공정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턴디쉬의 재충진(충진율)을 위한 런-업 곡선의 프로파일을 도시하고 있고,
도 4는 턴디쉬의 재충진 중의 턴디쉬 중량의 시간에 따른 프로파일을 도시하고,
도 5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용융물 용기의 교환 중에 관련 공정의 특성 변수의 프로파일을 도시하고,
도 5b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용융물 용기의 교환 중에 관련 공정의 특성 변수의 프로파일을 도시하고,
도 6은 슬래그와의 접촉으로부터 차단되는 슈라우드를 도시하고,
도 7a는 상승된 제1 작동 위치로 있는 디바이더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턴디쉬를 도시하고,
도 7b는 내부로 이동된 제2 작동 위치로 있는 디바이더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턴디쉬를 도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정을 실시하기 위한 한 가지 방법으로서의 2-롤러 주조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으며, 이 장치는 금속 용융물을 연속-주조 주형(4)으로 공급하는 데 사용되는 주요 구조 부품을 포함하고, 상기 주형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2개의 주조 롤러(1, 2)와 이들 주조 롤러의 단부측에 압박될 수 있는 측판(3)에 의해 형성된다. 금속 용융물은, 일반적으로 레이들 터닝 타워의 포크 아암(6)에 지지된 교환 가능한 주조 레이들에 의해 형성되는 용융물 용기(5)로부터 슈라우드(7)를 통하여 턴디쉬(8) 내로 운반된다. 슈라우드(7)는 정량적 유동 또는 충진율을 제어하기 위한 부재로서의 슬라이드 폐쇄부재(9)를 구비한다. 금속 용융물은 정량적으로 제어된 방식으로 침지 주조 노즐(10)을 통하여 턴디쉬(8)로부터 연속-주조 주형(4)의 몰드 캐비티(11)로 유동한다. 침지된 주조 노즐(10)에도 마찬가지로 연속-주조 주형(4)에 공급되는 금속 용융물의 양을 제어하기 위한 슬라이드 폐쇄부재(12)가 제공된다. 상기 폐쇄 부재는, 상부로부터 용융물 욕을 통하여 돌출하여 각 용융물 용기의 유출 개구를 제어 가능하게 폐쇄하는 플러그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턴디쉬(8) 내에 일시적으로 유지되는 금속 용융물의 양은 연속 주조 작업 중에 가능한 한 일정하게 유지된다. 이는 턴디쉬 내에서 금속 용융물의 예정된 주조 레벨(h)을 설정하고, 유입량을 제어하여 상기 주조 레벨을 가능한 한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달성된다. 실질적으로 균일한 주조 레벨에 의하여, 용융물이 연속-주조 주형(4) 내로 균일하게 운반되는 것이 보장된다.
주조 롤러(1, 2)의 냉각된 실린더 측면에서 용융물 풀내에 스트랜드 쉘(도시 생략)이 형성되고, 주조 롤러들 사이의 가장 협소한 섹션에서, 이들 스트랜드 쉘은 예정된 두께 및 폭을 갖는 금속 스트랜드(13)를 형성하도록 압연 가공된다.
용융물 용기(5)가 비워진 후에, 용융물 용기 내의 금속 용융물을 가능한 한 넓게 덮고 있는 슬래그가 용기의 외부로 흘러서는 안 되며, 빈 용융물 용기를 주조 설비로부터 제거하고, 주조를 위하여 준비한 금속 용융물을 수용하는 준비된 충진 용융물 용기를 주조 설비의 주조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작업에 소요되는 약 2분의 시간 동안에, 연속-주조 주형에서의 주조 작업은 작업 욕 레벨이 최소 욕 레벨(h풀, min)로 낮아지는 상태로 턴디쉬 내에 존재하는 소정 양의 잔류 용융물을 이용하여 계속되지만, 이 레벨에서 슈라우드는 여전히 용융물 욕 내에 침지되어 있다. 그 결과, 턴디쉬 내로의 용융물의 공급 재개 시에, 금속 용융물이 금속 욕을 덮고 있는 슬래그 층에 직접 충돌하는 것이 방지되며, 따라서 금속 용융물과 슬래그 층의 과도한 혼합이 회피된다.
하나의 가능한 변형예에 따르면, 턴디쉬 충진 작업은 도 2에 도시된 충진 곡 선 프로파일에 따라 실행된다. 턴디쉬 내에는 욕 레벨(hpool ,min)에 대응하는 잔류 양의 강이 존재한다. 제1 충진 기간(시간 t0-t1) 동안에, 금속 용융물은 슬라이드 폐쇄부재가 가능한 한 최대로 개방된 상태에서 턴디쉬 내로 이동하는데, 즉 금속 용융물은 최대 충진율(mfill,max)로 턴디쉬 내로 유입된다. 일단 시간 (t1)에서 욕 레벨(hpool)에 도달하면, 충진율은 준정상 상태의 작업 욕 레벨(hpool ,op)에 도달할 때까지 실질적으로 연속적으로 감소하며, 이와 관련하여 턴디쉬 내로 유입되는 유입율은 턴디쉬 내로의 금속 용융물의 공급 재개 시점으로부터 준정상 상태의 작동 욕 레벨(hpool ,op)에 도달할 때까지의 기간의 70% 내지 95% 동안에 턴디쉬로부터 유출되는 유출율의 2배보다 작다. 시간 (t5)에서, 정상 상태의 주조 작업의 특징인 정상 충진율(mst)에 도달한다.
도 3은 가능한 충진 곡선 프로파일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며, 이 도면에서 제1 충진 기간(시간 to-t1)에는 금속 용융물이 최대 충진율(mfill ,max), 또는 최대 충진율에 근사한 값(최대 충진율의 80% 이상)으로 도입되며, 일단 시간 t1에 도달하면, 충진율은 복수의 단계에 걸쳐 감소하고, 충진율의 감소는 욕 레벨(hpool)을 작업 욕 레벨(hpool ,op)에 점진적으로 근접시키는 방식으로 개별 시간(t1 내지 t5)에 발생한다. 시간 t5에서는, 정상 상태의 주조 작업의 특징인 정상 충진율(mst)에 다시 도 달한다.
도 4는 충진 시간에 따른 턴디쉬 중량(mv)의 증가를 도시하고 있으며, 비워진 상태의 턴디쉬 중량 및 턴디쉬에 남아 있는 잔류량의 용융물의 중량에 대응하는 턴디쉬 중량(m0)에서 시작하여, 준정상 상태의 작업 욕 레벨(hpool ,op)에 도달한 시점에서 달성되는 턴디쉬 중량(t5)까지 증가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이들 충진 곡선 프로파일은 연속 충진 작업 중에 가급적 조기에 턴디쉬 내에서의 강한 욕 운동의 약화를 촉진하고, 특히 금속 욕 표면을 잔잔하게 한다.
이와 같이 턴디쉬 내에서의 욕 표면을 잔잔하게 하는 기간은 준정상 상태의 작업 욕 레벨에 도달한 시점 후에 용융물의 공급을 짧게 중단함으로써 더욱 증가될 수 있다. 이러한 중단 기간 동안에 또는 임의의 후속하는 소정의 시간에, 필요에 따라 반자동 또는 전자동 첨가 장치(15; 도 1 참조)를 이용하여 금속 욕 표면에 커버제를 첨가할 수 있고, 이 첨가 장치의 유출 개구는 욕 레벨 위에서 표면에서의 난류가 제한되는 턴디쉬의 하나 이상의 영역 내로 개방된다. 먼지 형태의 미립자로 된 커버제(covering agent)가 연속 트리클링 작업(trickling operation)에서 금속 용융물에 도포되어, 턴디쉬 내의 금속 욕을 완전히 덮는 것을 보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턴디쉬(8)는 턴디쉬 뚜껑(16)으로 덮여 있고, 이 뚜껑은 턴디쉬의 내부를 대기로부터 차폐한다. 이 뚜껑은 또한, 심지어 금속 용융물이 공급되기 전 에, 특히 턴디쉬의 초기 충진 중에 턴디쉬의 내부를 불활성으로 되게 하는 옵션을 제공한다.
준정상 상태의 작업 욕 레벨에 도달한 때에, 연속 주조 작업이 재개되기 시작한다. 이와 관련하여, 턴디쉬에 공급되는 금속 용융물의 양은 턴디쉬로부터 연속-주조 주형으로 도입되는 용융물의 양의 함수로서 설정되거나 제어된다. 욕 레벨이 소정의 준정상 상태의 작업 욕 레벨로부터 이탈되는 것은 턴디쉬 중량 측정에 의해 기록된다. 그 결과, 욕 레벨의 특징을 나타내는 측정 변수가 연속적으로 결정되고, 유입되는 금속 용융물의 양을 제어하기 위한 유입 제어 회로의 설정 변수 또는 제어 변수로서 사용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턴디쉬(8)는 측정 셀(17)을 매개로 지지 프레임(18), 예컨대 이동형 턴디쉬 차량(도 1)에 지지되어 있다.
도 5a는 예컨대 강 스트립 주조 설비를 기초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순차적 주조 공정을 도시하고 있고, 이 도면은, 용융물 용기의 교체를 실행하기 이전에 시작되는 선행 시간으로부터 정상 상태의 주조 작업의 재개 후의 후속 시간에 이르는 기간을 포함한 시간 축에 대한 턴디쉬 중량(Wtundish), 턴디쉬에서의 충진율(mladle), 영구 주형에서의 충진율(mmold)과 같은 특징 변수의 프로파일을 나타내고 있다. 용기의 교체를 시작하기 전이라도, 턴디쉬 내의 가용 용융물의 양을 증가시킴으로써 대략 2분의 교체 시간을 용이하게 증가시키도록 측정이 개시된다. 이는 용융물 레이들에서 측부 폐쇄부재를 더욱 개방하여 충진율(mladle)을 증가시킴으로써 달성되며, 결과적으로 연속-주조 주형 내로 동시에 유출되는 것보다 많은 금속 용융물이 턴디쉬 내로 흐른다. 그 결과, 턴디쉬 중량은 정상 상태의 주조 작업 중의 턴디쉬 중량의 대략 1.1배로 상승한다. 추후에 즉시 실행되는 레이들 교환 중에, 턴디쉬에서의 충진율(mladle)은 0이다. 강-주조 장치에서의 주조율이 상응하게 감소하며, 이 경우에 영구 주형에서의 주조 레벨이 낮아져서, 연속-주조 주형에서의 주조 작업은 감소된 충진율(mmold)을 갖도록 유지된다. 용융물 용기의 교체가 완료되는 즉시, 금속 용융물을 시간 t1까지 최대 충진율 또는 최대 충진율에 근접한 양으로 턴디쉬 내로 도입함으로써 약 10분의 기간에 걸쳐 턴디쉬 내에 준정상 상태의 작업이 재개되고, 그 후 점진적 곡선 프로파일에 기초로 하여 준정상 상태의 작업 욕 레벨에 이르게 된다. 중량 측정에 의해 간접적으로 결정되는 턴디쉬 내의 주조 레벨은 곡선 프로파일(Wtundish)을 따르며, 용기의 교체 이전에 턴디쉬 내의 주조 레벨을 증가시키기 위한 소정의 증대를 나타내며, 그 후 레이들 교체가 완료되는 시점까지의 작업 욕 레벨 또는 턴디쉬 중량의 대략 80%의 레벨로 낮아지는 것을 보여준다.
도 5b에 도시되어 있는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턴디쉬 내로의 용융물의 공급 재개는 정상 상태의 주조 작업 중의 충진율(mladle,opt)의 0.8 내지 1.2배에 대응하는 상당히 감소된 충진율(mladle,start)로 시작된다. 이와 같이 감소된 충진율은 편리하게는 상기 충진율(mladle ,opt)의 0.5 내지 2배의 범위로 있을 수 있다. 충진율은 턴디쉬가 재충진될 때까지 넓은 시간 범위에 걸쳐 대략 일정하게 유지된다. 이러한 변형예의 기본적 이점은 금속 용융물이 턴디쉬 내로 유동하는 유동율이 상당히 적어 서, 금속 욕에서의 표면 난류가 현저하게 감소한다는 것이다. 비금속 혼입물을 양호한 비율로 슬래그 층 내로 분리하는 것을 보장하고 슬래그의 재도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유입율이 충분히 낮게 유지된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는, 턴디쉬를 재충진하는 데 필요한 시간이 25분까지 증가하고, 동시에 영구 주형에서의 충진은 감소한다. 주조되는 강의 등급과 제품 요건에 따라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실시예 사이에 있을 수 있는 유리한 충진율 프로파일을 선택할 수 있다.
도 6은 금속 욕에 도포된 커버제가 슈라우드의 외벽을 따라 또는 외벽에 근접하여 금속 욕의 내부로 도입되는 것을 실질적으로 방지하는 방법을 보여주고 있다. 금속 용융물은 용융물 용기(5)로부터 용융물에 수직으로 침지되어 있는 슈라우드(7)를 매개로 턴디쉬(8)에 이미 축적된 금속 용융물로 연속적으로 유동한다. 내부로 유동하는 금속 용융물은 슈라우드를 따라 흡인 작용을 발생시키고, 이 영역에서 수집된 임의의 슬래그/커버제가 금속 용융물 내로 하향 견인된다. 포트(pot) 형태로 설계된 커버(21)가 반경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슈라우드를 둘러싸고 있고, 위로부터 금속 용융물 내로 돌출하며, 형성된 슬래그의 층(20)을 슈라우드 근처의 임계 영역으로부터 멀어지게 유지한다. 이 커버의 내부는 필요에 따라 차폐 가스 라인(22)을 매개로 불활성으로 될 수 있다. 슈라우드가 최소 욕 레벨(hmin)에서도 침지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하여 상기 커버가 용융물 욕 내로 충분히 길게 연장되는 것이 유리하다. 커버(21)의 기능을 연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용융물 용기 교체 중에 욕 레벨이 최소 욕 레벨(hmin) 이하로 낮아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필수적인 데, 즉 커버(21)의 하부 에지가 항상 용융물 욕 내에 침지되어 있는 것이 필수적이다.
금속 용융물의 유출 방향에서 보았을 때, 유동-댐핑 요소(23; 터보스톱)가 슈라우드(7)에 대향하게 턴디쉬에 고정되어 있고, 이로써 턴디쉬내로 유동하는 액체 금속의 제트를 크게 감속시킨다.
전술한 순차적 주조 공정은 WO 03/051560에 개시되어 있는 턴디쉬와 관련하여 특히 성공적인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 턴디쉬는 용융물에 대하여 이물인 입자의 분리를 더욱 촉진시키는 기하학적 형상을 갖는다.
도 7a 및 도 7b는 턴디쉬(8)와 관련하여 2개의 작동 위치로 수직 이동 가능한 디바이더 플레이트(24)를 도시하고 있다. 이 실시예는 턴디쉬 내에서의 기능적 분리를 달성하기 위한 것이다. 도 7a는 새로운 용융물 용기의 주조 재개 직전의 턴디쉬 내의 작동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턴디쉬 내에 여전히 존재하는 금속 용융물은 커버제로 덮여 있고, 감소된 주조율에 대응하는 속도로 유출된다. 디바이더 플레이트는 여전히 상승 위치에 있고,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턴디쉬를 2개의 영역으로 분리하도록 턴디쉬 내로 하강한다. 내부로 이동된 디바이더 플레이트는 최대 충진율 또는 대략 최대 충진율에 대응하는 유동율로 실행되는 초기 충진 과정 중에 턴디쉬 내의 전체 용융물의 양에 대한 불리한 영향을 제거하거나 또는 현저히 감소시킨다. 제1 영역(25)이 용융물의 공급부에 할당되는 반면에, 제2 영역(26)은 연속-주조 주형 내로의 용융물의 배출부에 할당된다. 제1 영역(25)에서, 용융물 욕은 상당히 잔잔한 상태로 있고, 용융물에 대해 이물인 입자의 상당한 비율이 제1 영역의 슬래그 층에서 분리된다. 제2 영역(26)에서, 금속 용융물에 여전히 존재하는 잔류 레벨의 이물질은 금속 욕을 덮는 슬래그 층 내로 분리된다.

Claims (20)

  1. 금속 용융물, 바람직하게는 강 용융물로부터 고순도 주물 금속 스트랜드를 연속 제조하기 위한 순차적 주조 방법으로서, 상기 금속 용융물은 용융물 용기(5)로부터 턴디쉬(8)로 제어식으로 이송되고, 상기 턴디쉬로부터 연속-주조 주형(4)으로 제어식으로 배출되며, 상기 턴디쉬 내로의 금속 용융물의 공급은 용융물 용기의 교환 중에 중단되는 반면에, 상기 연속-주조 주형 내로의 금속 용융물의 공급은 계속되는 순차적 주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턴디쉬 내로의 금속 용융물의 공급 재개 시점으로부터 턴디쉬 내에서 준정상 상태의 작업 욕 레벨(quasi-steady operating bath level)에 도달할 때까지의 기간 동안에, 턴디쉬 내로 유입되는 유입율은 턴디쉬 외부로 유출되는 유출율보다 크며, 상기 기간의 7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99%, 특히 70% 내지 95%의 기간 동안에는, 턴디쉬 내로 유입되는 유입율은 턴디쉬 외부로 유출되는 유출율의 2배 이하, 바람직하게는 1.5배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차적 주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턴디쉬 내로 유입되는 유입율은 정상-상태의 주조 작업 중의 최대 유입율의 0.5배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차적 주조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턴디쉬 내로의 금속 용융물의 공급 재개 시점부터 준정상 상태의 작업 욕 레벨에 도달할 때까지의 기간의 마지막 5% 내지 30% 에서의 금속 용융물의 공급은 그 이전의 유입율에 비해 감소된 유입율으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차적 주조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턴디쉬 내로의 금속 용융물의 공급 재개 직후로부터 상기 턴디쉬 내에서 준정상 상태의 작업 욕 레벨에 도달한 시점까지의 기간의 0.1% 내지 30%,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5% 동안에 상기 금속 용융물의 공급은 실질적으로 최대 유입율으로 실행되고, 그 후 준정상 상태의 작업 욕 레벨에 도달하는 시점까지 금속 용융물의 공급은 초기 충진율에 비해 감소된 충진율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차적 주조 방법.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감소된 충진율은 연속적으로 또는 단계적으로 감소하는 시간 곡선을 따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차적 주조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턴디쉬 내로의 금속 용융물의 공급은 준정상 상태의 작업 욕 레벨에 도달하였을 때에 소정 기간동안 중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차적 주조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용융물의 공급이 중단되는 기간은 1초 내지 2분, 바람직하게는 10초 내지 70초 사이에서 지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차적 주조 방 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슈라우드를 둘러싸는 턴디쉬 내의 자유 욕 표면의 소정 영역은 적어도 준정상 상태의 작업 중에, 바람직하게는 항상 커버제(covering agent)에 의한 커버가 없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차적 주조 방법.
  9.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턴디쉬 내로의 금속 용융물의 공급 재개 후에, 이러한 턴디쉬 내로의 금속 용융물의 공급은 턴디쉬로부터 배출되는 금속 용융물의 배출량의 함수로서 정량적으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차적 주조 방법.
  10.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턴디쉬 내로의 금속 용융물의 공급 재개 시점으로부터 턴디쉬 내에서 준정상 상태의 작업 욕 레벨에 도달한 시점까지의 기간의 적어도 7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99%, 특히 70% 내지 95%동안, 및/또는 준정상 작업 욕 레벨에 도달한 시점으로부터, 상기 턴디쉬 내로의 금속 용융물의 공급은 턴디쉬로부터 배출되는 금속 용융물의 배출량의 함수로서 정량적으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차적 주조 방법.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2롤러 주조 설비에서 강 스 트립을 주조하는 동안에 턴디쉬 내로 공급되는 금속 용융물의 양과 턴디쉬로부터 배출되는 금속 용융물의 양은 0.5 t/min 내지 4.0 t/min, 바람직하게는 0.8 t/min 내지 2.0 t/mi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차적 주조 방법.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턴디쉬 내의 금속 용융물의 욕 표면에 커버제가 필요에 따라 첨가되고, 이와 같이 금속 용융물의 욕 표면에 커버제를 첨가하는 작업을 낮은 표면 유속, 욕 표면의 잔잔한 기복(waviness) 또는 낮은 난류 강도의 표면 영역에서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차적 주조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제는 바람직하게는 반자동 또는 전자동 첨가 장치를 이용하여 미립자 또는 분말 형태로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차적 주조 방법.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준정상 상태의 작업 욕 레벨은 턴디쉬 중량 측정 또는 등가의 측정 방법에 의해 설정되고 모니터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차적 주조 방법.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적어도 턴디쉬 내로의 금속 용융물의 공급 재개 시점과 준정상 상태의 작업 욕 레벨에 도달한 시점 사이의 기 간 동안에, 턴디쉬 내에 수용된 금속 용융물은 디바이더 플레이트에 의해 2개의 부분 분량(partial quantity)으로 분리되고, 금속 용융물은 용융물 용기로부터 제1 부분 분량으로 이송되고, 금속 용융물은 제2 부분 분량으로부터 연속-주조 주형으로 배출되며, 금속 용융물은 제1 부분 분량으로부터 제2 부분 분량으로 연속적으로 운반되며, 턴디쉬 내의 제1 부분 분량으로 유입되는 유입율은 제2 부분 분량으로부터 유출되는 유출율보다 크며,
    상기 턴디쉬 내로의 금속 용융물의 공급 재개 시점으로부터 턴디쉬 내의 제2 부분 분량의 준정상 상태의 작업 욕 레벨에 도달하는 시점까지의 기간의 7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99%, 특히 70% 내지 95% 동안 상기 제1 부분 분량으로 유입되는 유입율은 제2 부분 분량으로부터 유출되는 유출율의 2배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차적 주조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턴디쉬 내로의 금속 용융물의 공급 재개 시점으로부터 턴디쉬 내의 상기 제2 부분 분량의 준정상 상태의 작업 욕 레벨에 도달하는 시점까지의 기간의 마지막 5% 내지 30% 에서의 금속 용융물의 공급은 그 이전의 유입율에 비해 감소된 유입율으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차적 주조 방법.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턴디쉬 내로의 금속 용융물의 공급 재개 직후부터 상기 턴디쉬 내의 제2 부분 분량의 준정상 상태의 작업 욕 레벨에 도달하는 시점까지의 기간의 1% 내지 30%,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5% 동안에 상기 금속 용융물의 공급이 실질적으로 최대 유입율으로 실행되고, 그 후 턴디쉬 내의 제2 부분 분량의 작업 욕 레벨에 도달하는 시점까지 금속 용융물의 공급은 상기 최대 유입율에 비해 감소된 충진율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차적 주조 방법.
  18. 제15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용융물은 상기 디바이더 플레이트에 있는 하나 이상의 개구를 통하여 제1 부분 분량으로부터 제2 부분 분량으로 운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차적 주조 방법.
  19. 제15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용융물은 디바이더 플레이트와 턴디쉬의 베이스 사이의 자유 공간을 통하여 제1 부분 분량으로부터 제2 부분 분량으로 운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차적 주조 방법.
  20. 제15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턴디쉬 내에서 금속 용융물의 제2 부분 분량의 준정상 상태의 작업 욕 레벨에 도달한 때에, 턴디쉬 내로의 금속 용융물의 공급은 턴디쉬로부터 배출되는 금속 용융물의 배출량의 함수로서 정량적으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차적 주조 방법.
KR1020067013079A 2003-12-02 2004-11-10 고순도 주물 금속 빌릿을 형성하기 위한 순차적 주조 방법 KR1011654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T0192703A AT413084B (de) 2003-12-02 2003-12-02 Sequenzgiess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gegossenen metallstranges hoher reinheit
ATA1927/2003 2003-12-02
PCT/EP2004/012711 WO2005053877A2 (de) 2003-12-02 2004-11-10 Sequenzgiess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gegossenen metallstranges hoher reinhe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1255A true KR20060121255A (ko) 2006-11-28
KR101165478B1 KR101165478B1 (ko) 2012-07-13

Family

ID=34427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3079A KR101165478B1 (ko) 2003-12-02 2004-11-10 고순도 주물 금속 빌릿을 형성하기 위한 순차적 주조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789123B2 (ko)
EP (1) EP1697070B1 (ko)
KR (1) KR101165478B1 (ko)
AT (2) AT413084B (ko)
AU (1) AU2004295039B2 (ko)
DE (1) DE502004009542D1 (ko)
DK (1) DK1697070T3 (ko)
ES (1) ES2327646T3 (ko)
WO (1) WO2005053877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76243B1 (de) 2008-12-11 2013-02-13 SMS Siemag AG Vorrichtung zur detektion des durchflusses und verfahren hierfür
KR101299094B1 (ko) * 2010-08-30 2013-08-27 현대제철 주식회사 래들 교환시 용강 오염범위 예측 방법
AT512214B1 (de) 2011-12-05 2015-04-15 Siemens Vai Metals Tech Gmbh Prozesstechnische massnahmen in einer stranggiessmaschine bei giessstart, bei giessende und bei der herstellung eines übergangsstücks
MY182646A (en) * 2013-08-26 2021-01-27 Nisshin Steel Co Ltd Continuous casting method
US20160052049A1 (en) * 2014-08-22 2016-02-25 Moltenideas Llc Apparatus and Process for delivering molten steel to a continuous casting mold
SK892016A3 (sk) * 2016-10-10 2018-07-02 I.P.C. Refractories, Spol. S R.O. Spôsob liatia roztaveného kovu s využitím dopadovej dosky v medzipanve
CN112191837B (zh) * 2020-10-12 2022-06-17 马鞍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板坯连铸硅钢快换中包工艺控制方法
CH718935B1 (de) * 2021-08-31 2024-02-15 Rauch Furnace Tech Gmbh Verfahren zum kontinuierlichen Stranggiessen und Softwareprodukt zum Durchführen des Verfahren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98321A (en) * 1975-06-26 1978-07-04 Southwire Company Pouring pot for pouring molten metal at constant flow rate
JPS60133957A (ja) * 1983-12-20 1985-07-17 Kawasaki Steel Corp 取鍋交換時におけるタンデイツシユ内溶鋼レベル調整方法
DE3421344C2 (de) * 1984-06-08 1993-04-29 Krupp Stahl Ag, 4630 Bochum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utomatischen Füllen einer Stranggießkokille beim Angießen eines Stranges
CN1116138C (zh) * 1995-02-28 2003-07-30 日本钢管株式会社 连续铸造的操作控制方法及其装置
US5887647A (en) * 1996-05-01 1999-03-30 Weirton Steel Corporation Decreasing contamination of molten metal prior to solidification casting
AUPO591697A0 (en) * 1997-03-27 1997-04-24 Bhp Steel (Jla) Pty Limited Casting metal strip
GB9713265D0 (en) * 1997-06-25 1997-08-27 Kvaerner Clecim Cont Casting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casting
DE19915268A1 (de) * 1999-04-03 2000-10-05 Sms Demag Ag Verfahren zum Angießen einer Stranggießanlage
JP2000326056A (ja) * 1999-05-21 2000-11-28 Nippon Steel Corp 双ドラム連続鋳造設備の湯面レベル制御方法及び双ドラム連続鋳造設備の湯面レベル制御装置
AT411024B (de) 2001-12-14 2003-09-25 Voest Alpine Ind Anlagen Zwischengefäss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metallstranges hoher reinhe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4295039B2 (en) 2009-10-29
EP1697070A2 (de) 2006-09-06
DK1697070T3 (da) 2009-09-14
KR101165478B1 (ko) 2012-07-13
ES2327646T3 (es) 2009-11-02
ATA19272003A (de) 2005-04-15
US7789123B2 (en) 2010-09-07
AT413084B (de) 2005-11-15
US20080173423A1 (en) 2008-07-24
ATE432135T1 (de) 2009-06-15
DE502004009542D1 (de) 2009-07-09
WO2005053877A3 (de) 2005-11-10
AU2004295039A1 (en) 2005-06-16
WO2005053877A2 (de) 2005-06-16
EP1697070B1 (de) 2009-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5478B1 (ko) 고순도 주물 금속 빌릿을 형성하기 위한 순차적 주조 방법
CN109158567A (zh) 连铸中间包连浇过程恒液位控制方法
KR19980702328A (ko) 금속 용융체를 주형에 주입하는 방법 및 장치
FI97282B (fi) Menetelmä ja laitteisto lähellä loppumittaa olevan metallinauhan valmistamiseksi
KR101320353B1 (ko) 침지형 초음파 발생장치
US5887647A (en) Decreasing contamination of molten metal prior to solidification casting
JPS6340668A (ja) 溶湯流出口を備えた溶湯容器
CS651489A3 (en) Process of filling a cast-iron mould of a device for continuous casting ofsheet bars and a filing set for making the same
KR20080036420A (ko) 연속주조시 초기응고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101148594B1 (ko) 고순도 주조 금속 스트랜드 제조 방법
JP2744439B2 (ja) 溶鋼の連続鋳造におけるノズル詰り防止方法
KR20130046718A (ko) 턴디쉬용 스토퍼
JPH11291000A (ja) 連続鋳造、特に鋼の連続鋳造設備
KR101110251B1 (ko) 쌍롤식 연속박판주조법에서 안정된 용강 공급 방법
KR100807681B1 (ko) 연속주조시 용강 공급장치 및 그 방법
RU2218235C2 (ru) Способ непрерывной разливки стали
JPH0195852A (ja) 連続鋳造方法
KR20040063173A (ko) 턴디쉬, 및 고순도의 금속 스트립의 제조 방법
RU2025200C1 (ru) Промежуточный ковш для обработки металла при непрерывном литье
JP2019535524A (ja) 鋳造設備及びこれを用いた鋳造方法
JPS62252649A (ja) 溶鋼連続鋳造鋳型内の偏流制御方法
JPH02241650A (ja) 溶湯注湯装置
JPH03118943A (ja) 低・中炭素鋼用連鋳鋳型およびその鋳造方法
KR101435117B1 (ko) 연속주조 공정에서의 탕면 안정화 방법
KR101277984B1 (ko) 용강 배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