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0089A - 탈기 장치 및 이 탈기 장치를 포함하는 필터용 단부 캡조립체 - Google Patents

탈기 장치 및 이 탈기 장치를 포함하는 필터용 단부 캡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0089A
KR20060120089A KR1020067008996A KR20067008996A KR20060120089A KR 20060120089 A KR20060120089 A KR 20060120089A KR 1020067008996 A KR1020067008996 A KR 1020067008996A KR 20067008996 A KR20067008996 A KR 20067008996A KR 20060120089 A KR20060120089 A KR 200601200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degassing
degassing device
wall
end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8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18380B1 (ko
Inventor
위르겐 단넨마이어
헤르만 고엘
토마스 에르틀
쟈크 체발레
프란체스코 리볼지
Original Assignee
감브로 룬디아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감브로 룬디아 아베 filed Critical 감브로 룬디아 아베
Publication of KR200601200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00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83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83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14Dialysis systems; Artificial kidneys; Blood oxygenators ; Reciprocating systems for treatment of body fluids, e.g. single needle systems for hemofiltration or pheresis
    • A61M1/16Dialysis systems; Artificial kidneys; Blood oxygenators ; Reciprocating systems for treatment of body fluids, e.g. single needle systems for hemofiltration or pheresis with membr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36Other treatment of blood in a by-pass of the natural circulatory system, e.g. temperature adaptation, irradiation ; 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 A61M1/3621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 A61M1/3627Degassing devices; Buffer reservoirs; Drip chambers; Blood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12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interchangeable cassettes forming partially or totally the fluid circu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21Specific headers, end ca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ma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 Degasification And Air Bubble Elimination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탈기 장치(203)는 액체용 입구를 구비하는 제1 챔버(21)와, 소수성 막(24)에 의해 폐쇄된 개구(23) 및 액체 방출용 출구(25)를 구비하는 제2 챔버(22)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챔버(21)는 제2 챔버(22) 내에서 부분적으로 연장하면서 통로(28)에 의해 제2 챔버와 연통하는 하류 부분을 구비한다. 상기 제2 챔버(22)는 통로(28) 아래로 연장하면서 제1 챔버(21)의 하류 부분을 비대칭적으로 에워싸는 하류 부분을 구비한다.

Description

탈기 장치 및 이 탈기 장치를 포함하는 필터용 단부 캡 조립체{DEGASSING DEVICE AND END-CAP ASSEMBLY FOR A FILTER INCLUDING SUCH A DEGASSING DEVICE}
본 발명은 탈기 장치와, 이러한 탈기 장치를 포함하는 필터용 단부 캡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혈액의 체외 처리를 위한 종래의 필터는 막에 의해 분리된 제1 및 제2 격실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격실은 혈액이 통과하여 순환하도록 마련된 입구와 출구를 구비하며, 상기 제2 격실은 상기 처리(예컨대, 혈액투석)가 그 격실 내에서 처리액(예컨대, 투석액)의 순환을 필요로 할 때 액체(예컨대, 혈장 수분, 혈장, 사용된 투석액)를 배수하기 위한 출구와 입구를 구비한다. 상기 막은 제1 격실을 위한 입구/출구 포트로서 사용된 노즐을 구비하는 단부 캡에 의해 양단부에서 폐쇄된 가늘고 긴 관형 하우징 내에 에워싸여 있다.
이러한 필터는 혈액투석(hemodialysis), 혈액여과(hemofiltration), 혈액투석여과(hemodiafiltration), 혈장반출(plasmapheresis) 등의 다양한 혈액의 체외 처리에 사용된다. 혈액투석기 혹은 혈액필터로 종종 언급되는 동일한 타입의 필터가 혈액투석, 혈액여과, 혈액투석여과를 위해 사용된다. 혈액투석기와 혈장필터(즉, 혈장반출에 사용된 필터) 사이의 주요한 차이점은 이들 각각의 막의 세공 크기 (pore size)로서, 혈장반출용 막은 혈액에 함유된 단백질의 통과를 허용해주는 반면에 혈액투석용 막은 그렇지 않다.
이러한 처리에 있어서, 혈액은 환자로부터 인출되고, 필터의 제1 격실을 통해 흘러 환자로 다시 북귀한다. 혈액투석에서, 투석액은 필터의 제2 격실을 통해 동시에 흐르며, 혈액 내에 포함된 신진 대사의 배설물(요소, 크레아티닌)은 상기 막을 통한 확산에 의해 제2 격실로 이동한다. 혈액여과에서는, 상기 막 양단에서 압력차가 생성되기 때문에 혈장 수분(plasma water)은 상기 막을 통해 필터의 제2 격실로 흐른다. 여기서, 신진 대사의 수분은 제2 격실로의 대류에 의해 이동한다. 체액 손실을 보충하기 위해, 살균한 치환 용액을 환자에 동시에 주입한다. 혈액투석여과는 혈액투석과 혈액여과의 조합이며, 이러한 처리에서 투석액은 제2 격실을 통해 유동하고 치환액은 환자로 주입된다. 혈장반출에서는, 상기 막 양단에서 압력차가 생성되기 때문에 혈장(즉, 혈장 수분 및 단백질)은 상기 막을 통해 필터의 제2 격실로 흐른다. 일단 처리되면 상기 혈장은 환자로 되돌아간다.
전술한 처리들 중 어느 것을 실행하기 위한 기계는, 일단부가 환자의 혈관계에 연결되어 있고 타단부는 필터의 제1 격실의 입구에 연결되어 있는 소위 말하는 "동맥(arterial)" 라인을 통해 환자로부터 혈액을 인출하고, 그 혈액을 필터 안으로 펌핑하며, 그리고 일단부가 필터의 제1 격실의 출구에 연결되어 있고 타단부는 환자의 혈관계에 연결되어 있는 소위 말하는 "정맥(venous)" 라인을 통해 환자에 혈액을 복귀시키기 위한 연동 펌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처리 기계는 일반적으로 펌프 상류의 동맥 라인 내의 혈액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제1 혈압 센서와, 펌프 하류의 동맥 라인 내의 혈액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제2 혈압 센서와, 정맥 라인 내의 혈압을 측정하기 위한 제3 압력 센서와, 정맥 라인 내의 기포를 검출하기 위한 기포 검출기, 및 예컨대, 기포가 상기 기포 검출기에 의해 검출될 때 정맥 라인을 폐쇄시키기 위한 클램프를 포함한다.
동맥 라인은 통상적으로 가요성 튜브 세그먼트들에 의해 서로 연결된 아래의 부품들을 포함한다. 즉, 동맥 캐뉼러에 연결되는 제1 루러 커넥터(Luer connector), 상기 기계의 연동 펌프의 로터와 협동하는 동맥 기포 트랩(bubble trap), 필터의 제1 격실의 입구에 연결되는 제2 루러 커넥터를 포함한다.
정맥 라인은 통상적으로 가요성 튜브 세그먼트들에 의해 서로 연결된 아래의 부품들을 포함한다. 즉, 필터의 제1 격실의 출구에 연결되는 제1 루러 커넥터, 정맥 기포 트랩, 정맥 캐뉼러에 연결되는 제2 루러 커넥터를 포함한다. 보통 상기 처리 기계의 제1 및 제3 혈액 센서는 처리를 위해 상기 처리 기계, 동맥 라인, 정맥 라인 및 필터가 조립될 때, 동맥 및 정맥 기포 트랩 각각에 연결되어 있다.
종래의 기포 트랩은 기본적으로 사용 중에 수직으로 유지되는 가늘고 긴 컨테이너이다. 이 컨테이너는 인접하지 않도록 배열되어 있는 혈액을 위한 입구와 출구를 구비한다. 또한, 그것은 상측 위치에서 압력 센서에 연결하기 위한 압력 측정 포트와, 액체(예컨대, 약제 혹은 살균한 식염수)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 포트와, 그 내부에서 혈액의 레벨을 조절하기 위해 기포 트랩 안으로 공기를 보충 혹은 밖으로 공기를 제거하기 위한 분출 포트를 포함한다. 사용 중에, 기포 트랩은 기포와 마이크로-기포(micro-bubble)가 중력에 의해 빠져나가 공기로 충전된 컨테이 너의 상측 포트와 합류시키도록 그 내부에서 일시적으로 정체되는 소정 체적의 혈액을 하측 부분 내에 수용하고 있다. 따라서, 종래의 기포 트랩에서, 혈액-공기의 계면이 항시 존재하다.
또한, 적절하게 작동시키기 위해, 종래의 기포 트랩은 소정 체적의 혈액을 담고 있어야 하고(이것은 혈액 처리에서 혈액의 체외 체적을 최소화시키는 것과 상충됨), 이러한 사용은, 혈액-공기 계면을 오래 지속함으로 인해 초래되는 응혈 때문에 상대적으로 짧은 처리 기간으로 한정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들은 만성 환자에 적합하지만(만성 환자를 위한 처리 기간은 보통 약 4시간 지속), 집중적인 치료(급성 환자를 위한 치료는 며칠 동안 지속)를 위해 사용할 수는 없다.
추가적으로, 기포 트랩과 그것에 연결된 라인을 처리 기계 상에 조립하고, 기포 트랩 내에 혈액 레벨의 설정하는 것은 비교적 시간 소모적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혈액의 체외 처리 회로의 전술한 한계점을 해결할 수 있는 탈기 장치와, 이러한 탈기 장치를 포함하는 단부 캡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탈기 장치는:
- 액체용 입구를 구비하는 제1 챔버와;
- 소수성 막에 의해 폐쇄된 개구과 액체 방출용 출구를 구비하는 제2 챔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챔버는 제2 챔버 내에서 부분적으로 연장하면서 통로에 의해 제2 챔버와 연통하는 하류 부분을 구비하며, 상기 제2 챔버는 통로 아래로 연장하면서 제1 챔버의 하류 부분을 비대칭적으로 에워싸는 하류 부분을 구비한다.
이러한 탈기 장치는 여러 장점을 제공한다.
첫째, 상기 탈기 장치는 매우 효율적이고 오랜 시간에 걸쳐 효율적으로 유지된다. 또한, 이 장치는 콤팩트한 디자인 즉, 작은 내부 체적을 갖도록 해준다. 예컨대, 종래의 기포 트랩의 혈액 체적의 약 절반인 총 내부 체적을 갖는 전술한 탈기 장치를 설계하는 것이 가능하다.
둘째, 상기 탈기 장치는 공기-혈액 계면 없이 작동하기 때문에, 오래 지속하는 처리(예컨대, 지속적 신대체 요법(continuous renal replacement therapy))에 특히 적합하다.
셋째, 처리 기계에 탈기 장치의 장착을 위한 또는 사용시 그것의 설정(공기-혈액 계면이 없기 때문에 공기-혈액 계면의 레벨의 조절이 불필요)을 위한 어떠한 특정 활동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추가 혹은 대안의 특징들은 다음과 같다:
- 상기 제2 챔버의 하류 부분은 탈기 장치의 종축을 에워싸는 측벽과, 탈기 장치의 종축에 대해 경사져 있는 바닥 벽을 구비한다.
- 상기 제1 챔버의 하류 부분은 제2 챔버의 측벽에 동심인 측벽을 구비한다.
- 상기 제1 챔버의 하류 부분의 측벽과 상기 제2 챔버의 하류 부분의 측벽은 실질적으로 원통형이다.
- 상기 제1 챔버의 하류 부분은 상기 제1 챔버와 제2 챔버 사이의 통로의 단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단면을 갖는다.
- 상기 제1 챔버의 하류 부분은 실질적으로 원추형이며, 상기 제1 챔버와 제2 챔버 사이의 통로는 원추의 첨단에서 개방된다.
- 상기 제1 챔버와 제2 챔버 사이의 상기 통로는 제2 챔버의 상류 부분의 경계를 정하는 벽에 근접하여 제2 챔버에 개방된다.
- 상기 제1 챔버는 단면이 감소하는 상류 부분을 포함한다.
- 상기 제1 챔버는 단면이 증가하는 상류 부분을 포함한다.
- 상기 제2 챔버는 큰 단면이 통로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를 이루고 작은 단면이 소수성 막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를 이루도록 단면이 감소하는, 통로 위로 연장한 상류 부분을 포함한다.
- 상기 제2 챔버의 상류 부분은 실질적으로 절두된 원추형이다.
- 상기 출구 포트는 통로에서 가장 먼 위치에서 제2 챔버의 하류 부분에서 개방된다.
- 상기 통로의 높이에서 제2 챔버의 직경에 대한 통로의 직경의 비는 약 0.2 내지 약 0.5 사이에 속한다.
- 상기 탈기 장치의 제1 챔버는 제1 챔버의 하류 부분 내의 액체의 속도가 예정된 속도 미만이 되도록 탈기 장치에 연결된 회로 내의 액체의 최대 유량에 대해 선택된 단면을 지닌 하류 부분을 구비한다.
- 상기 제1 챔버의 하류 부분의 단면은 제1 챔버의 하류 부분에서의 액체 속도가 약 3m/min 미만이 되도록 탈기 장치에 연결된 회로에서 약 500ml/min의 액체의 최대 유량에 대해 선택된다.
- 상기 통로의 높이에서 탈기 장치의 제2 챔버의 단면은, 통로의 높이에서 제2 챔버 내의 액체의 속도에 대한 제1 챔버의 하류 부분 내의 액체의 속도의 비가 예정된 값보다 더 크게 되도록 선택된다.
- 상기 통로의 높이에서 탈기 장치의 제2 챔버의 단면은, 통로의 높이에서 제2 챔버 내의 액체의 속도에 대한 제1 챔버의 하류 부분 내의 액체의 속도의 비가 적어도 약 2가 되도록 선택된다.
- 상기 제2 챔버의 하류 부분은 제1 챔버에서 제2 챔버로 유동하는 유체를 위한 오버플로를 형성한다.
- 상기 제1 챔버, 제2 챔버 및 이들 사이의 통로는, 제1 챔버에서부터 제2 챔버를 거쳐 출구 포트로 유동하는 액체의 유동 패턴이 상기 막에 접선 방향인 성분을 포함하도록 서로에 대해 배치되어 있다.
- 상기 제1 챔버에서부터 제2 챔버를 거쳐 출구 포트로 유동하는 액체의 유동 패턴은 우산 모양의 성분을 포함한다.
- 상기 제1 챔버, 제2 챔버 및 이들 사이의 통로는, 제1 챔버에서 제2 챔버를 거쳐 출구 포트로 유동하는 액체의 유동이 기포의 운동을 소수성 막의 내측면을 따른 운동으로 유지시키도록 서로에 대해 배치되어 있다.
- 상기 탈기 장치는 액체 주입용 입구 포트를 더 포함한다.
- 상기 탈기 장치는 압력 센서에 연결하기 위한 압력 측정 포트를 더 포함한다.
- 상기 탈기 장치는 상기 소수성 막을 외부의 타격에 대해 보호하고, 탈기 장치 내의 액체 압력이 한계를 초과할 경우 소수성 막의 변형을 제한하기 위한 보호막을 더 포함한다.
- 상기 소수성 막은 탈기 장치의 종축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평면에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늘고 긴 하우징에 배치된 여과 막을 포함하는 여과 장치용 단부 캡 조립체로서:
ㆍ단부 캡으로서:
- 중심축을 구비하는 단부 벽과,
- 단부 벽을 에워싸는 한편, 하우징의 단부에 연결하기 위한 외주벽을 구비하는 것인 단부 캡과,
ㆍ탈기 챔버의 제1 챔버가 단부 캡의 내부와 유체 연통하도록 단부 캡에 연결된 전술한 바와 같은 탈기 장치를 포함한다.
단부 캡 조립체의 추가 혹은 대안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 상기 탈기 장치는 단부 캡의 단부 벽의 중심축과 일치하는 종축을 구비하며, 상기 제1 챔버는 단부 캡의 단부 벽에 직접 연결된 벽을 구비한다.
- 단부 캡의 단부 벽은 실질적으로 환상이며, 상기 제1 챔버의 벽은 제1 챔버가 단부 캡의 단부 벽에 연결되게 하는 큰 단면의 제1 단부로부터, 제1 챔버와 제2 챔버 사이에서 통로를 형성하는 작은 단면의 제2 단부로 감소하는 원형 단면을 갖는다.
- 상기 탈기 장치는 단부 캡의 단부 벽의 중심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하면서 그 축으로부터 이격된 종축을 구비하며, 단부 캡 조립체는 탈기 장치의 제1 챔버의 입구에 단부 캡의 내부를 연결하기 위한 측방향 노즐을 더 포함한다.
- 상기 제1 챔버는 제1 챔버의 입구를 형성하는 작은 단면의 제1 단부로부터 제1 챔버와 제2 챔버 사이에서 통로를 형성하는 큰 단면의 제2 단부로 증가하는 원형 단면을 지닌 벽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술한 단부 조립체를 포함하는 필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추가적인 특징 및 장점들은 아래의 상세한 설명을 읽음으로써 쉽게 이해될 것이다. 이러한 설명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루어질 것이다.
도 1은 필터의 종축을 포함하는 평면을 따라 절취한 본 발명에 따른 필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부 캡 조립체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단부 캡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평면을 따라 취한 도 2의 단부 캡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단부 캡 조립체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단부 캡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평면을 따라 취한 도 4의 단부 캡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단부 캡 조립체의 제3 실시예를 부분 절단하여 도시 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단부 캡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평면을 따라 취한 도 6의 단부 캡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단부 캡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평면을 따라 취한 본 발명에 따른 탈기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탈기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0은 단부 캡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평면을 따라 취한 본 발명에 따른 단부 캡 조립체의 제4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단부 캡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평면을 따라 취한 본 발명에 따른 단부 캡 조립체의 제5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1에는 종축(3)을 구비하는 관형 하우징(2)과, 상기 하우징(2) 내에서 연장하는 동시에 양단부에서 그것에 고착되어 있는 중공 섬유(4) 다발로 구성된 반투과성 막(semi-permeable membrane)과, 양단부에서 하우징(2)을 폐쇄시키는 2개의 단부 캡(5, 6)을 포함하는 중공 섬유 필터(1)가 도시되어 있다. 섬유(4)의 단부들은 그들이 매립될 충진 물질(potting material)에 의해 하우징(2)에 고착되어 있다. 상기 충진 물질은 하우징(2)의 종축(3)에 수직으로 연장하는 디스크(7)를 형성한다. 섬유(4)의 단부들은 충진 물질의 디스크(7)의 외측면(8) 상에 개방된다.
구조적으로, 상기 중공 섬유 필터(1)는 서로 분리되어 있는 제1 및 제2 격실을 포함한다. 상기 제1 격실은 중공 섬유(4)의 내부와, 충진 물질의 디스크(7)의 외측면(8)과 단부 캡(5, 6)의 내측면 사이의 필터 각 단부에서 경계가 정해진 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제2 격실은 하우징(2)의 내측면과 충진 물질의 디스크(7) 내측면(9)에 의해 경계가 정해져 있는 중공 섬유(4)의 외측 공간을 포함한다. 하우징(2)에는 제2 격실로의 접근로를 제공하는 2개의 노즐(10, 11)이 설치되어 있다.
작동 시에, 필터(1)는 하측 위치에는 단부 캡(6)이 그리고 상측 위치에는 단부 캡(5)이 자리한 상태로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유지된다.
하측 단부 캡(6)은 단부 캡(6)이 하우징(2)에 고착되도록 해주는 관형 외주벽(13)에 연결된 원형 단부 벽(12)을 포함한다. 상기 단부 캡(6)이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에 고착될 때, 단부 벽(12)은 필터(1)의 종축(3)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되며, 관형 외주벽(13)은 하우징(2)과 동심을 이룬다. 단부 캡(6)은 단부 벽(12)에 연결된 관형 노즐(14)을 포함하기 때문에 노즐(14)의 중심축은 하우징(2)의 종축(3)과 일치한다. 상기 노즐(14)은 제1 격실의 입구를 형성한다.
상측 단부 캡(5)은 단부 캡(5)이 하우징(2)에 고착되도록 해주는 관형 외주벽(16)에 연결된 환상의 단부 벽(15)을 포함한다. 상기 단부 캡(5)이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1)의 하우징(2)에 고착될 때, 필터(1)의 종축(3)은 단부 벽(15)의 중심축과 일치하며, 상기 관형 외주벽(16)은 필터(1)의 하우징(2)과 동심을 이룬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부 캡(5)은 도 2 및 도 3에 상세히 도시된 단부 캡 조립체를 형성하도록 탈기 장치(201)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탈기 장치(201)는 단부 캡이 필터(1)의 하우징(2)에 고착될 때 필터(1)의 종축과 일치하는 종축(27)을 구비한다. 상기 탈기 장치(201)는 필터(1)의 제1 격실에서 나와 단부 캡(5)으로 흐 르는 액체를 수용하기 위한 제1 챔버(21)와; 제1 챔버(21)와 연통 상태로 있는 동시에 소수성 막(24)에 의해 폐쇄된 개구(23)를 구비하는 제2 챔버(22)와; 액체를 방출하기 위해 제2 챔버(22)에 연결되어 있는 출구 포트(25)를 포함한다.
제1 챔버(21)는 그것이 단부 캡(5)의 단부 벽(15)에 연결되도록 해주는 단면이 큰 제1 단부와, 제1 챔버(21)와 제2 챔버(22) 사이에 통로(28)를 형성하는 단면이 작은 제2 단부를 지닌 깔때기 모양의 벽(26)에 의해 경계가 정해져 있다. 상기 깔때기 모양의 벽(26)은 탈기 장치(201)의 종축(27) 상에 중심으로 두고 있다. 따라서, 흐름 방향에서 제1 챔버(21)는 단면이 감소하는 상류 부분과 단면이 일정한 하류 부분을 구비한다(특별한 지시가 없는 한, "단면(cross-section)"이라 표면은 종축(27)에 대한 횡방향의 단면을 의미하며; 또한 "흐름 방향"은 탈기 장치(201)의 제1 및 제2 챔버(21, 22)를 통해 필터(2)의 제1 격실로부터 출구 포트(25)로의 흐름 방향을 의미한다).
상기 제2 챔버(22)는 제1 및 제2 챔버(21, 22) 사이에서 통로(28)를 포함하는 평면의 각 측면에서 연장하는 상류 부분과 하류 부분을 구비한다. 상기 하류 부분은 깔때기 모양의 벽(26)의 관형 부분과 동심을 이루는 원통형 벽(29)에 의해 그리고 상기 종축(27)에 대해 약 45도의 각도로 경사져 있는 바닥 벽(30)에 의해 경계가 정해져 있다. 기울어진 바닥 벽(30)의 최고점은 원통형 벽(29)의 가장자리에 인접한다. 이는 제1 챔버(21)와, 제2 챔버(22)의 하류 부분의 각각의 배치로부터 초래된 것이며, 제2 챔버(22)는 제1 챔버(21)로부터 제2 챔버(22)로 흐르는 액체의 오버플로를 형성한다.
출구 포트(25)는 그것의 최저 지점에서 제2 챔버(22)의 원통형 벽(29)에 연결되어 있는 관형 벽으로 구성되어 있다. 출구 포트(25)의 중심축은 탈기 장치(201)의 종축(27)에 실질적으로 수직이다. 출구 포트(25)는 제2 챔버(22)의 원통형 벽(29)에 접선방향으로 연장한다.
이는 제2 챔버(22)의 형상(경사진 바닥 벽(30)에 연결된 원통형 벽(29))과 그것의 최저 지점에서 출구 포트(25)의 연결로부터 초래된 것이며, 혈액용으로 의도된 탈기 장치에 특히 관심의 대상인 두 가지 특징으로는, 바닥 벽이 탈기 장치의 종축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상태에서 제1 챔버를 완전하게 대칭적으로 에워싸거나 심지어 제1 챔버의 상류 원통형 부분만을 완전하게 그리고 대칭적으로 에워싸는 제2 챔버에 비해, 도면에 도시된 구조는 탈기 장치가 최소 내부 체적을 가지도록 해 준다는 것과, 탈기 장치를 통해 순환된 액체에 대한 상대적인 스태그네이션(stagnation) 영역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 있다. 제2 챔버는 제1 챔버를 완전히 에워싸고 바닥 벽은 탈기 장치의 종축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상태에서, 상대적인 스태그네이션 영역은 출구 포트 반대편의 제2 챔버에서 나타난다는 것이 본 발명으로 유도된 연구에 의해 밝혀졌다.
제2 챔버(22)의 상류 부분은 원통형 벽(29)의 상측 가장자리의 외측 환상 은촉홈(rabbet)과 확실히 맞물리도록 치수가 정해져 있는 하측 가장자리를 지닌 뚜껑(31)에 의해 경계가 정해져 있다. 상기 뚜껑(31)은 제2의 원통형의 벽(33)에 연결된 제1의 절두된 원추형의 벽(32)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벽(32)은 그것의 작은 단면에 의해 제2 벽(33)에 연결되어 있다. 제1 벽(32)은 하측 부분이 상측 부분의 각보다 약간 큰 각을 지니는 실제로 2개의 절두된 원추형 부분을 포함하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따라서, 제2 챔버(22)의 상류 부분은 단면이 감소한다. 뚜껑(31)은 절두된 원추형 벽(32)과 원통형 벽(33) 사이의 연결부에서 연장하는 내측 환상 견부(34)를 더 포함한다. 내측 환상 견부(34)에 의해 형성된 구멍은 전술한 제2 챔버(22)의 개구(23)를 형성한다. 환상 견부(34)는 그것의 외주에서 소수성 막(24)을 지지한다. 상기 막(24)은 막(24)의 주위에 자리하는 동시에 디스크 형상의 스토퍼(36)가 그것에 대해 단단히 맞물리게 되는 O링(35)에 의해 뚜껑(31)에 고착되어 있다. 뚜껑(31)의 원통형 벽(33) 내에 확실히 끼워지는 스토퍼(36)는 탈기 장치(30) 내의 액체로부터 제거된 공기가 통하여 빠져나갈 수 있는 그 중심의 통기공(37)을 포함한다. 상기 막(24)은 스토퍼(36)의 내측면에 맞닿지 않는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따라서, 상기 막(24)은 어느 정도로 변형될 수 있다. 그러나, 필터 내의 양의 압력이 정해진 값을 초과할 때, 상기 막(24)은 스토퍼(36)에 맞닿아 파열 위험이 있을 정도로 움직이지 않는다.
3개의 포트(38, 39, 40)들은 제1 챔버(21)에 연결되어 있다. 입구 포트(38, 39, 40)는 여러 가지 액체(예컨대, 필터가 혈액필터일 경우, 치환액 혹은 약제)의 주입과 압력 센서에의 연결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는 제1 챔버(21)와 제2 챔버(22)의 각각의 배치로부터 초래되는데, 탈기 장치(201)를 통해 순환하는 액체는 제1 챔버(21) 내에서 종방향 성분을 가지며 제2 챔버(22)의 상류 부분 내에서 반경 방향 성분을 갖는 우산형 패턴을 갖는다. 상기 흐름의 반경 방향 성분은 소수성 막(24)을 접선 방향으로 휩쓸고 지나가고, 기포 및 마이크로 기포가 막을 통과하여 빠져나갈 때까지 그들이 그 막을 따라 일정한 운동 상태를 유지하는 동시에 내측면을 따른 혈액 거품의 형성을 방지하는 것을 돕는다.
본 발명의 탈기 장치의 효율을 최적화시키기 위해, 제1 챔버(21)의 크기(상기 벽(26)의 상측 부분의 직경)에 대한 제2 챔버(22)의 크기(원통형 벽(29)의 직경)뿐만 아니라 혈액의 체외 회로 내에서 혈액의 최대 유량에 대한 제1 챔버(21)의 하류 원통형 부분(상기 벽(26)의 상측 부분)의 직경은:
- 제1 챔버(21)의 액체의 최대 속도(혈액의 체외 회로 내의 최대 유량에 해당)는 기포 및 마이크로 기포가 소수성 막(24)을 향하여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그들이 출구 포트(25)를 빠져나가기에 결코 충분히 높지 않도록,
- 제2 챔버로 유입하는 액체의 속도는 기포 및 마이크로 기포가 중력에 의해 소수성 막(24)을 향해 이동할 수 있을 정도로 감소시키도록 선택된다.
예컨대, 혈액의 체외 회로 내에서 약 500ml/min의 최대 혈액 유량에 있어서, 제1 챔버(21)(벽(26)의 원통형 부분)의 하류 부분에서 혈액의 최적 속도는 약 3m/min 미만이어야 하고, 통로(28) 높이에서 제1 챔버(21)의 하류 부분 내의 혈액 속도 대 제2 챔버(22) 내에 혈액의 속도의 최적의 비가 적어도 약 2이어야 한다는 것이 본 발명에 이르는 연구 중에 밝혀졌다.
탈기 장치(201)의 시제품은 성형된 폴리카보네이트로 만들었으며; 제1 챔버(21)의 하류 부분의 직경(벽(26)의 원통형 부분)을 16mm로 하였고; 통로(28) 높이에서의 제2 챔버(22)의 내경을 19mm로 하였으며; 통로(28) 높이에서의 제2 챔버 (22)의 외경을 32mm로 하였고; 소수성 막(24)(유효 표면)의 직경을 27mm로 하였으며; 통로(28)와 소수성 막(24) 사이의 간격을 5mm로 하였다. 상기 막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으로 만들었고, 두께를 0.13mm로 하고 세공 크기를 0.2㎛로 하였다.
소(牛)의 혈액을 탈기 장치(201)의 시제품에 연결된 혈액필터를 포함하는 폐루프 회로에서 500ml/min의 유량으로 순환시켰다. 상기 탈기 장치 내에서 혈액의 속도는:
- 제1 챔버(21)의 하류 원통형 부분에서 2.5m/min;
- 통로(28)와 소수성 막(24) 사이에서 2m/min;
- 통로(28) 높이 바로 아래의 제2 챔버(22)의 하류 부분에서 1m/min;
- 출구 포트(25)의 바로 상류에서 제2 챔버(14)의 하류 부분에서 2m/min 이었다.
탈기 장치의 압력은 50mmHg 이었다. 4시간 후, 5ml의 공기를 혈액필터의 회로 상류에 주입시켰다. 15분 후, 상기 회로에 주입된 공기는 탈기 장치(201)에 의해 전부 제거되었다.
단부 캡(5), 제1 챔버(21)와 제2 챔버(22)의 하류 부분의 경계를 정하는 벽(26, 29, 30), 및 그것에 연결된 포트(25, 38, 39, 40)는 플라스틱 물질을 단편으로 성형시킴으로써 만들 수 있다. 폴리카보네이트와 같은 생물학적으로 불활성인 물질은 필터를 의료용으로 사용할 때 적합하다. 상기 뚜껑(31)은 또한 단부 캡(5) 및 벽(26, 29, 30)과 동일한 물질로 성형하여 단편으로 만들 수 있다. 소수성 막 (24)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탈기 장치(201)는 특히 혈액의 체외 회로에서 혈액으로부터 기체를 제거하도록 채택되어 있다. 예컨대, 혈액필터(1)와 연결된 상태로 있는 탈기 장치(201)의 작동은 아래와 같다. 치료 기간 이전에, 혈액필터(1)의 제1 격실의 입구(단부 캡(6)의 노즐(14))는 동맥 혈액 라인에 연결되고, 탈기 장치(201)의 출구 포트(25)는 정맥 혈액 라인에 연결된다. 혈액필터(1)는 상측 위치에 탈기 장치(201)가 위치한 상태로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그것을 유지시키는 홀더에 맞물린다. 살균한 식염수 백은 동맥 라인에 연결되며, 이 식염수는 동맥 라인, 혈액필터(1)의 제1 격실, 탈기 장치(201) 및 정맥 라인으로 펌핑되어 체외 혈액 회로를 세정하고, 그 회로를 살균한 식염수로 채우고, 그리고 그 회로로부터 공기를 제거한다(준비 단계를 체외 혈액 회로의 "프라이밍(priming)"이라고 칭함). 이러한 공정의 말기에, 탈기 장치(201)에는 더 이상 공기가 존재하지 않는다. 그 다음, 동맥 라인이 환자의 혈관에 연결되고, 혈액은 정맥 라인으로부터 유출하는 식염수가 폐기물 백에 수집되는 동안 체외 회로로 펌핑된다. 혈액이 정맥 라인의 단부에 도달할 때, 정맥 라인은 이어서 환자의 혈관에 연결되고 적절한 처리가 시작될 수 있다.
혈액필터(1)에서, 혈액은 중공 섬유(4) 내로 흐르며, 단부 캡(5)으로 유입하고, 제1 챔버(21)를 통해 유동하고, 제2 챔버(22) 속으로 유출되어 출구 포트(25)를 경유하여 탈기 장치(201)를 빠져 나간다. 통로(28) 높이에서의 제2 챔버(22)의 단면이 통로(28) 자체의 단면보다 실질적으로 더 크기 때문에, 혈액 흐름은 혈액이 제2 챔버(22)로 유입할 때 실질적으로 감소한다. 이것은 혈액 내에 존재할 수 있 는 기포와 마이크로-기포가 중력에 의해 소수성 막(24)을 향해 상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돕는다. 또한, 혈액은 깔때기 모양의 벽(26)에 의해 소수성 막(24)을 향해, 그 다음 그로부터 뚜껑(31)의 절두된 원추형 벽(32)을 향해 안내되기 때문에, 혈액의 전체 흐름 패턴은 소수성 막(24)에 대해 접선 성분을 지닌 우산 모양으로 된다. 따라서, 막은 영구적으로 씻어 내려지며, 막(24)의 내측면 상에 정적 혈액 거품 층의 생성은 방지된다. 그 대신, 특히 상기 벽(32)의 절두된 원추 형상의 덕분으로, 기포와 마이크로-기포는 막(24) 근처에서 영구 운동으로 유지되며, 제2 챔버(22)로 유입된 후 곧 그 막을 통과한다.
도 4 및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단부 캡(5)에 연결된 탈기 장치(202)의 제2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제2 실시예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제1 실시예 사이의 주요한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즉,
- 탈기 장치(202)의 출구 포트(25)는 그것의 하측 지점에서 제2 챔버(22)의 경사진 벽(30)에 연결되어 있는 관형 벽으로 구성되어 있다. 출구 포트(25)의 중심축은 탈기 장치(202)의 종축(27)에 실질적으로 수직이다. 출구 포트(25)는 내측으로 즉, 제2 챔버(22)의 경사진 벽(30) 아래로 제1 챔버(21)의 벽(26)의 상측 원통형 부분에 접선방향으로 연장한다.
- 탈기 장치(202)는 (각종 액체의 주입 혹은 압력 센서에 연결하기 위해) 임의의 추가적인 포트가 설치되지 않는다.
- 제2 챔버(22)의 상류 부분은 제2 챔버(22)의 원통형 벽(29)의 상측 가장자리에 장착되는 캡슐 모양의 뚜껑(31) 내에서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제2 챔버(22)의 상류 부분은 약간 절두된 원추형의 내측면을 지닌 뚜껑(31)의 내주벽(42)에 의해 그리고 내측 환형 견부(34)에 의해 형성된 뚜껑(31) 내에서 제2 챔버(22)의 개구(23)를 폐쇄하는 원형 소수성 막(24)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소수성 막(24)은 그 외주에서 견부(34)에 고착(예컨대, 접착제에 의해)되어 탈기 장치의 종축(27)에 수직을 이룬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캡슐 모양의 뚜껑은(31)은 내주벽(43)과 외주벽(42)에 연결된 원형의 평탄한 상측벽(44)을 포함한다. 상기 내주벽(43)과 외주벽(42)은 그들 사이에서 제2 챔버(22)의 원통형 벽(29)의 상측 가장자리와 일치하는 홈을 형성하기 때문에, 상기 뚜껑(31)은 원통형 벽(29)의 가장자리로 맞물려 그것에 예컨대, 접착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뚜껑(31)은 또한 원형의 평탄한 상측 벽(44)의 중간에서 위치하는 통기공(37)을 포함한다. 환상 견부(34)는 뚜껑(31)의 상측 벽(44)으로부터 이격되어 있어 소수성 막(24)은 양의 압력 하에서 변형될 수 있다. 뚜껑(31)의 상측 벽(44)은 외부의 타격에 대해 소수성 막(24)을 실질적으로 보호한다.
도 6 및 도 7에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3 실시예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제1 실시예 사이의 주요한 차이점은 단부 캡(50)에 대한 탈기 장치(203)의 연결에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탈기 장치(201)는 단부 캡(5)의 상부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탈기 장치(201)의 종축(27)은 단부 탭(5)의 중심축과 일치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탈기 장치(203)는 단부 캡(50)에 측방향으로 연결되어 있어 탈기 장치(203)의 종축(27)은 단부 캡(50)의 중심축(3)에 대해 평행하면서 오프셋 되어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단부 캡(50)은 이것이 필터의 하우징(2)에 고착되도록 해주는 관형 외주벽(52)에 연결된 원형 단부 벽(51)을 포함한다. 상기 단부 벽(51)은 원형 단부 벽(51)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하는 노즐(53)을 더 포함하기 때문에 노즐(53)의 종축은 단부 캡(5)의 중심축에 수직하게 된다. 노즐(53)은 암형 루러 커넥터(Luer connector)에는 설치되어 있다.
상기 탈기 장치(203)는 두 가지 특징만 제외하고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탈기 장치(201)와 극히 유사하다.
- 출구 포트(25)의 중심축은 교차하고 탈기 장치(203)의 종축(27)에 실질적으로 수직이다.
- 상기 제1 챔버(21)는 그것의 큰 단면에 의해 하류 원통형 부분에 연결된 원뿔형 상류 부분을 포함한다. 제1 챔버(21)의 입구(54)는 원추형 상류 부분의 첨단에서 개방된다. 또한, 탈기 장치(203)는 단부 캡(50)의 노즐(53)의 암형 루러 커넥터에 상보적인 수형 루러 커넥터(56)가 설치된 커플링 베이스(55)를 포함한다. 상기 커플링 베이스(55)는 제1 챔버(21)의 입구(54)를 수형 루러 커넥터(56)의 보어에 연결시키는 채널(57)을 포함한다. 이 채널(57)의 종축과 수형 루러 커넥터(56)의 보어의 종축은 일치하며, 탈기 장치(203)의 종축(27)에 수직이다.
도 8 및 도 9에는 본 발명에 따른 탈기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탈기 장치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탈기 장치 사이의 주요한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즉,
- 탈기 장치(204)의 제1 챔버(21)의 상류 부분의 벽은 절두된 원추형이고 그 것의 큰 단면에 의해 하류 원통형 벽(26)에 연결되어 있다.
- 상기 탈기 장치(204)의 출구 포트(25)는 그것의 하측 지점에서 제2 챔버(22)의 경사진 벽(30)에 연결되어 있는 관형 벽으로 구성되어 있다. 출구 포트(25)의 중심축은 탈기 장치(205)의 종축(27)에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출구 포트(25)는 하방향 즉, 제2 챔버(22)의 경사진 벽(30) 아래로 제1 챔버(21)의 벽(26)의 상측 원통형 부분에 접선방향으로 연장한다.
- 상기 뚜껑(31)의 절두된 원추형 벽(58)의 하측 가장자리는 내측 환상 은촉홈(rabbet)을 포함한다. 제2 챔버(22)의 원통형 벽(29)의 상측 가장자리는 대응하는 외측 환상 은촉홈을 포함하기 때문에 뚜껑(31)은 원통형 벽(29)과 맞물려 그것과 단단한 연결부를 형성할 수 있다. 뚜껑(31)의 가장자리와 원통형 벽(29)의 가장자리는 뚜껑(31)이 원형 벽(29)의 상측에 맞물릴 때 그것의 원형 벽(29)이 동일한 평면에 놓이도록 치수가 정해져 있다.
- 뚜껑(31) 내에서 소수성 막(24)이 고착될 내측 환상 견부(34)는 뚜껑(31)의 상측 벽(59)에 근접한다. 소수성 막(24)은 그것이 뚜껑(31)의 상측 벽(59)에 맞닿게 될 때까지 양의 압력 하에서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뚜껑(31)은 외부의 타격에 대해 그리고 높은 양의 압력으로부터 소수성 막(24)을 보호한다.
도 10에는 본 발명에 따른 단부 캡 조립체의 제4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단부 캡 조립체는 단부 캡 조립체가 필터의 하우징에 고착될 수 있도록 해주는 관형 외주벽(61)에 연결된 볼록한 원추형 단부 벽(60)을 포함한다. 원추형 단부 벽(60)은 탈기 장치(205)의 제1 챔버의 경계를 정하며, 이에 따라 흐름 방향으로 단 면이 감소하게 된다. 원추형 단부 벽(60)은 그것의 첨단에서 제1 챔버(21)와 제2 챔버(22) 사이에 통로(28)를 형성하는 구멍을 포함한다. 제2 챔버(22)는 원추형 벽(60)에 연결된 원통형 벽(62)에 의해 그리고 제2 챔버(22)의 바닥을 형성하는 원추형 벽(60)의 대응하는 부분에 의해 경계가 정해져 있다. 원통형 벽(62)의 중심축은 원추형 단부 벽(60)(그리고 탈기 장치)의 중심축(27)에 대해 평행하면서 오프셋 되며 통로(28)는 원통형 벽(62)에 인접한 제2 챔버(22)에 개방된다. 원형 소수성 막(24)은 제2 챔버(22)를 폐쇄시키기 위해 원통형 벽(62)의 상측 가장자리에 고착되어 있다. 일련의 통기공(64)을 구비하는 캡슐 모양의 뚜껑(63)은 소수성 막(24)을 외부로부터 보호하고 그것을 지지하여 필터 내측으로부터 양의 압력에 노출될 때 그것의 변형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소수성 막(24) 위에서 원통형 벽(62)에 맞물린다. 탈기 장치(205)의 출구 포트(25)를 형성하는 출구 노즐(65)은 통로(26) 반대편에서 원통형 벽(62)에 연결되어 있다.
혈액의 체외 회로에 연결될 때 도 10에 도시된 탈기 장치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통로(28) 높이에서의 제2 챔버(22)의 단면이 통로(28) 자체의 단면보다 실질적으로 더 크기 때문에, 혈액 흐름은 혈액이 제2 챔버(22)로 유입할 때 실질적으로 감소한다. 이것은 혈액 내에 존재할 수 있는 기포와 마이크로-기포가 중력에 의해 소수성 막(24)을 향해 상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돕는다. 또한, 혈액은 제2 챔버(22)의 외주에서 소수성 막(24)을 향해 안내되기 때문에, 혈액의 흐름은 소수성 막(24)에 대한 접선 성분을 지닌다. 따라서, 막은 영구적으로 씻겨 내려지게 되고, 막(24)의 내측면 상에 정적 혈액 거품 층의 생성은 방지된다. 그 대신, 기포 와 마이크로-기포는 막(24) 근처에서 영구 운동으로 유지되며, 제2 챔버(22)로 유입된 후에 곧 그 막을 통과한다.
도 11에는 본 발명에 따른 단부 캡 조립체의 제5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단부 캡은 필터(1)의 하우징(2)의 단부와 맞물리는 원통형 외주벽(71)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원통형 외주벽(71)은 탈기 장치(206)의 제1 챔버(21)의 경계를 정하는 원통형 벽(72)의 하측 부분을 형성한다. 제1 챔버(21)는 일정한 원형 단면을 지니며, 그 직경은 하우징(2) 단부의 내경과 동일하다. 탈기 장치(206)의 종축(27)에 중심을 둔 제1 챔버(21)는 제2 챔버(22) 내에서 개방된다. 제2 챔버(22)는 제1 챔버(21)의 원통형 벽(72)과 동심을 이루는 원통형 벽(73)과, 탈기 장치(206)의 종축(27)에 대해 경사져 있는 바닥 벽(74)에 의해 경계가 정해져 있다. 2개의 챔버(21, 22) 사이의 통로(28)는 필터(1)의 하우징(2)의 단부와 동일한 단면을 지니며, 따라서 필터(1)의 제1 챔버로 유동한 액체는 중공 섬유(4)로부터 방해받지 않고 통과해 제2 챔버(22)로 흐른다. 통로(28) 높이에서의 제2 챔버(22)의 단면은 통로(28)의 단면보다 더 크기 때문에, 제2 챔버(22)는 제1 챔버(21)에 대한 오버플로를 형성한다. 제2 챔버(22)의 경계를 정하는 벽(73)의 상측 부분은 탈기 장치(206)의 종축(27)을 향해 만곡되어 있고 단면이 감소하는 제2 챔버(22)의 상측 부분을 형성한다. 벽(73)의 단부는 2개의 수직한 원형 가장자리(75, 76)로 갈라져 있다. 제1 가장자리(75)는 제2 챔버(22)의 개구(23)를 형성하는 환상 견부를 형성하기 위해 종축(27)에 수직한 평면으로 연장한다. 상기 개구(23)는 그 외주에서 환상 견부에 고착된 소수성 막(24)에 의해 폐쇄된다. 제2 가장자리(76)는 종축(27)에 평행하게 연장한다. 일련의 통기공(78)을 구비하는 캡슐 모양의 뚜껑(77)은 외부로부터 소수성 막(24)을 보호하고 그것을 지지하여 필터 내측으로부터 양의 압력에 노출될 때 그것의 변형을 제한하기 위해 제2 가장자리(76) 위로 맞물린다. 탈기 장치(206)는 제2 챔버(22)에 연결된 출구 포트(25)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은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해 제공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이들 실시예들 중 어느 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Claims (32)

  1. - 액체용 입구를 구비하는 제1 챔버(21)와;
    - 소수성 막(24)에 의해 폐쇄된 개구(23)와 액체 방출용 출구(25)를 구비하는 제2 챔버(22)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챔버(21)는 제2 챔버(22) 내에서 부분적으로 연장하면서 통로(28)에 의해 제2 챔버와 연통하는 하류 부분을 구비하며, 상기 제2 챔버(22)는 통로(28) 아래로 연장하면서 제1 챔버(21)의 하류 부분을 비대칭적으로 에워싸는 하류 부분을 구비하는 것인 탈기 장치(201; 202; 203; 204; 205; 206).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챔버(22)의 하류 부분은 탈기 장치의 종축(27)을 에워싸는 측벽(29; 62)과, 탈기 장치의 종축(27)에 대해 경사져 있는 바닥 벽(30; 60)을 구비하는 것인 탈기 장치(201; 202; 203; 204; 205; 206).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챔버(21)의 하류 부분은 제2 챔버(22)의 측벽(29)에 동심인 측벽(26)을 구비하는 것인 탈기 장치(201; 202; 203; 204; 206).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챔버(21)의 하류 부분의 측벽(26)과 상기 제2 챔버(22)의 하류 부분의 측벽(29)은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것인 탈기 장치(201; 202; 203; 204; 206).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챔버(21)의 하류 부분은 상기 제1 챔버와 제2 챔버(22) 사이의 통로(28)의 단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단면을 갖는 것인 탈기 장치(201; 202; 203; 204; 206).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챔버(21)의 하류 부분은 실질적으로 원추형이며, 상기 제1 챔버와 제2 챔버(22) 사이의 통로(28)는 원추의 첨단에서 개방되는 것인 탈기 장치(205).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챔버와 제2 챔버(22) 사이의 상기 통로(28)는 제2 챔버(22)의 상류 부분의 경계를 정하는 벽(62)에 근접하여 제2 챔버(22)에 개방되는 것인 탈기 장치(205).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챔버(21)는 단면이 감소하는 상류 부분을 포함하는 것인 탈기 장치(201; 202; 205).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챔버(21)는 단면이 증가하는 상류 부분을 포함하는 것인 탈기 장치(203; 204).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챔버(22)는 큰 단면이 통로(28)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를 이루고 작은 단면이 소수성 막(24)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를 이룬 상태로 단면이 감소하는, 통로(28) 위로 연장한 상류 부분을 포함하는 것인 탈기 장치(201; 202; 203; 204; 206).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챔버(22)의 상류 부분은 실질적으로 절두된 원추형인 것인 탈기 장치(201; 202; 203; 204).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 포트(25)는 통로(28)에서 가장 먼 위치에서 제2 챔버(22)의 하류 부분에서 개방되는 것인 탈기 장치(201; 202; 203; 204; 205; 206).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28)의 높이에서 제2 챔버(22)의 직경에 대한 통로(28)의 직경의 비는 약 0.2 내지 약 0.5 사이에 속하는 것인 탈기 장치(201; 202; 203; 204; 205; 206).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탈기 장치의 제1 챔버(21)는 제1 챔버(21)의 하류 부분 내의 액체의 속도가 예정된 속도 미만이 되도록 탈기 장치에 연결된 회로 내의 액체의 최대 유량에 대해 선택된 단면을 지닌 하류 부분을 구비하는 것인 탈기 장치(201; 202; 203; 204; 205; 206).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챔버(21)의 하류 부분의 단면은 제1 챔버(21)의 하류 부분에서의 액체 속도가 약 3m/min 미만이 되도록 탈기 장치에 연결된 회로에서 약 500ml/min의 액체의 최대 유량에 대해 선택되는 것인 탈기 장치(201; 202; 203; 204; 205; 206).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28)의 높이에서 탈기 장치의 제2 챔버(22)의 단면은, 통로(28)의 높이에서 제2 챔버(22) 내의 액체의 속도에 대한 제1 챔버(21)의 하류 부분 내의 액체의 속도의 비가 예정된 값보다 더 크게 되도록 선택되는 것인 탈기 장치(201; 202; 203; 204; 205; 206).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28)의 높이에서 탈기 장치의 제2 챔버(22)의 단면은, 통로(28)의 높이에서 제2 챔버(22) 내의 액체의 속도에 대한 제1 챔버(21)의 하류 부분 내의 액체의 속도의 비가 적어도 약 2가 되도록 선택되는 것인 탈기 장치(201; 202; 203; 204; 205; 206).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챔버(22)의 하류 부분은 제1 챔버(21)에서 제2 챔버(22)로 유동하는 유체를 위한 오버플로를 형성하는 것인 탈기 장치(201; 202; 203; 204; 205; 206).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챔버(21), 제2 챔버(22) 및 이들 사이의 통로(28)는, 상기 제1 챔버(21)에서부터 제2 챔버(22)를 거쳐 출구 포트(25)로 유동하는 액체의 유동 패턴이 상기 막에 대해 접선 방향인 성분을 포함하도록 서로에 대해 배치되어 있는 것인 탈기 장치(201; 202; 203; 204; 205; 206).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챔버(21)에서부터 제2 챔버(22)를 거쳐 출구 포트(25)로 유동하는 액체의 유동 패턴은 우산 모양의 성분을 포함하는 것인 탈기 장치(201; 202; 203; 204; 205; 206).
  21.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챔버(21), 제2 챔버(22) 및 이들 사이의 통로(28)는, 제1 챔버(21)에서부터 제2 챔버(22)를 거쳐 출구 포트(25)로 유동하는 액체의 유동이 기포의 운동을 소수성 막(24)의 내측면을 따른 운동으로 유지시키도록 서로에 대해 배치되어 있는 것인 탈기 장치(201; 202; 203; 204; 205; 206).
  22. 제1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액체 주입용 입구 포트(38, 39, 40)를 더 포함하는 탈기 장치(201).
  23. 제1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압력 센서에 연결하기 위한 압 력 측정 포트(38, 39, 40)를 더 포함하는 탈기 장치(201).
  24. 제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 막(24)을 외부의 타격에 대해 보호하고, 탈기 장치 내의 액체 압력이 한계를 초과하는 경우 소수성 막(24)의 변형을 제한하기 위한 보호 막(36, 44, 59, 63, 77)을 더 포함하는 탈기 장치(201; 202; 203; 204; 205; 206).
  25. 제1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 막(24)은 탈기 장치의 종축(27)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평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인 탈기 장치(201; 202; 203; 204; 205; 206).
  26. 가늘고 긴 하우징(2)에 배치된 여과 막(4)을 포함하는 여과 장치(1)용 단부 캡 조립체로서:
    ㆍ단부 캡(5; 50)으로서:
    - 중심축을 구비하는 단부 벽(15; 51)과,
    - 단부 벽(15; 51)을 에워싸는 한편, 하우징(2)의 단부에 연결하기 위한 외주벽(16; 52; 61; 71)을 구비하는 것인 단부 캡과,
    ㆍ탈기 챔버의 제1 챔버(21)가 단부 캡의 내부와 유체 연통하도록 단부 캡(5, 50)에 연결된 제1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탈기 장치(201; 202; 203; 204; 205; 206)
    를 포함하는 것인 단부 캡 조립체.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탈기 장치(201; 202; 205; 206)는 단부 캡(5)의 단부 벽(15; 60)의 중심축과 일치하는 종축(27)을 구비하며, 상기 제1 챔버(21)는 단부 캡(5)의 단부 벽(15; 60)에 직접 연결된 벽(26; 60; 72)을 구비하는 것인 단부 캡 조립체.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캡(5)의 단부 벽(15)은 실질적으로 환상이며, 상기 제1 챔버(21)의 벽은 제1 챔버(21)가 단부 캡(5)의 단부 벽(15)에 연결되게 하는 큰 단면의 제1 단부로부터, 제1 챔버(21)와 제2 챔버(22) 사이에서 통로(28)를 형성하는 작은 단면의 제2 단부로 감소하는 원형 단면을 갖는 것인 단부 캡 조립체.
  29.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탈기 장치(203)는 단부 캡(50)의 단부 벽(51)의 중심축(3)에 실질적으로 평행하면서 그 축으로부터 이격된 종축(27)을 구비하며, 단부 캡 조립체는 탈기 장치(203)의 제1 챔버(21)의 입구(54)에 단부 캡(50)의 내부를 연결하기 위한 측방향 노즐(53)을 더 포함하는 것인 단부 캡 조립체.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챔버(21)는 제1 챔버(21)의 입구(54)를 형성하는 작은 단면의 제1 단부로부터, 제1 챔버와 제2 챔버(22) 사이에서 통로(28)를 형성 하는 큰 단면의 제2 단부로 증가하는 원형 단면을 지닌 벽을 구비하는 것인 단부 캡 조립체.
  31. 제26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단부 조립체를 포함하는 여과 장치(1).
  32. 제31항에 있어서, 혈액의 체외 처리용인 것인 여과 장치(1).
KR1020067008996A 2003-11-24 2006-05-09 탈기 장치 및 이 탈기 장치를 포함하는 필터용 단부 캡조립체 KR1011183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3026854 2003-11-24
EP03026855.1 2003-11-24
EP03026855 2003-11-24
EP03026854.4 2003-11-24
PCT/EP2004/012372 WO2005053772A1 (en) 2003-11-24 2004-11-02 Degassing device and end-cap assembly for a filter including such a degass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0089A true KR20060120089A (ko) 2006-11-24
KR101118380B1 KR101118380B1 (ko) 2012-03-09

Family

ID=34655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8996A KR101118380B1 (ko) 2003-11-24 2006-05-09 탈기 장치 및 이 탈기 장치를 포함하는 필터용 단부 캡조립체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8048209B2 (ko)
EP (1) EP1532994B1 (ko)
KR (1) KR101118380B1 (ko)
CN (1) CN1878582B (ko)
AU (1) AU2004294685B2 (ko)
CA (1) CA2544612C (ko)
ES (1) ES2476021T3 (ko)
HK (1) HK1097783A1 (ko)
WO (1) WO200505377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47846B2 (en) * 2000-04-14 2010-01-19 Dennis Coleman Gas sampling apparatus
CN104307210B (zh) * 2008-01-18 2017-09-29 弗雷塞尼斯医疗保健控股公司 从透析装置的流体回路中除去二氧化碳气体
AU2008350851A1 (en) * 2008-02-19 2009-08-27 Gambro Lundia Ab An extracorporeal fluid circuit
US8522599B2 (en) * 2008-04-17 2013-09-03 Isotech Laboratories, Inc. Low dead-volume core-degassing apparatus
EP2113266A1 (en) 2008-04-30 2009-11-04 Gambro Lundia AB Degassing device
DE102009038571B4 (de) * 2009-08-22 2011-07-14 Völker, Manfred, 63825 Versorgungseinrichtung für Dialysegeräte
US9199016B2 (en) 2009-10-12 2015-12-01 New Health Sciences, Inc. System for extended storage of red blood cells and methods of use
US11284616B2 (en) 2010-05-05 2022-03-29 Hemanext Inc. Irradiation of red blood cells and anaerobic storage
EP2355860B1 (en) * 2009-10-12 2018-11-21 New Health Sciences, Inc. Blood storage bag system and depletion devices with oxygen and carbon dioxide depletion capabilities
ES2959120T3 (es) 2010-08-25 2024-02-20 Hemanext Inc Método para potenciar la calidad y la supervivencia de glóbulos rojos durante el almacenamiento
WO2012050870A2 (en) * 2010-09-28 2012-04-19 Celgard Llc Liquid degassing membrane contactors, components, systems and related methods
EP3539381B1 (en) 2010-11-05 2023-05-24 Hemanext Inc. Irradiation of red blood cells and anaerobic storage
DE102010055184C5 (de) 2010-12-20 2019-02-28 Kautex Textron Gmbh & Co. Kg Entlüftungsvorrichtung für Flüssigkeitsbehälter, insbesondere für Flüssigkeitsbehälter für eine wässrige Harnstofflösung
BR112013023315B1 (pt) 2011-03-14 2023-05-02 Weatherford Switzerland Trading And Development Gmbh Conjunto de recipiente para amostragem de um fluido e processo para amostragem de sulfeto de hidrogênio gasoso
US9067004B2 (en) 2011-03-28 2015-06-30 New Health Sciences, Inc. Method and system for removing oxygen and carbon dioxide during red cell blood processing using an inert carrier gas and manifold assembly
ES2742949T3 (es) 2011-08-10 2020-02-17 New Health Sciences Inc Dispositivo integrado de filtrado para el agotamiento de leucocitos, oxígeno y/o co2 y separación de plasma
JP2016517395A (ja) 2013-02-28 2016-06-16 ニュー・ヘルス・サイエンシー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New Health Sciences, Inc. 血液処理のためのガス枯渇化およびガス添加デバイス
US9084946B2 (en) * 2013-04-08 2015-07-21 Hamilton Sundstrand Space Systems International Inc. Vortex separator and separation method
ITMO20130194A1 (it) * 2013-07-01 2015-01-02 Eurosets Srl Dispositivo di filtraggio del sangue venoso
EP2883566B1 (en) * 2013-12-11 2017-05-24 Gambro Lundia AB Extracorporeal blood treatment system and valve unit for pre/post infusion
US20180021732A1 (en) * 2015-01-06 2018-01-25 Nanostone Water Inc. Membrane assembly with end cap device and related methods
AU2016228993B2 (en) 2015-03-10 2022-02-10 Hemanext Inc. Oxygen reduction disposable kits, devices and methods of use thereof
BR112017022417B1 (pt) 2015-04-23 2022-07-19 Hemanext Inc Dispositivo de armazenamento de sangue para armazenar sangue depletado de oxigênio e método para reduzir a saturação de oxigênio do sangue durante o armazenamento
EP3297641A4 (en) 2015-05-18 2019-02-06 New Health Sciences, Inc. METHODS FOR TOTAL BLOOD STORAGE AND CORRESPONDING COMPOSITIONS
IL303240A (en) 2016-05-27 2023-07-01 Hemanext Inc Anaerobic blood storage and pathogen inactivation method
US10569010B2 (en) * 2016-12-16 2020-02-25 Sorrento Therapeutics, Inc. Fluid delivery apparatus having a gas extraction device and method of use
JP6966260B2 (ja) 2017-08-30 2021-11-10 株式会社Screenホールディングス ポンプ装置、処理液供給装置および基板処理装置
JP6577626B1 (ja) * 2018-05-02 2019-09-18 日機装株式会社 エアトラップチャンバ及び体外循環回路
DE102019104837A1 (de) * 2019-02-26 2020-08-27 B.Braun Avitum Ag Dialysator und Dialysevorrichtung
CN110052060B (zh) * 2019-04-24 2022-07-01 杭州科百特过滤器材有限公司 一种中空纤维脱气膜组件
CN110320476B (zh) * 2019-06-17 2020-11-13 中国科学院物理研究所 用于原位检测液态电池产气的模拟电池装置
CA3160865A1 (en) * 2019-11-12 2021-05-20 Fresenius Medical Care Deutschland Gmbh Blood treatment systems
CN114728114A (zh) * 2019-11-12 2022-07-08 费森尤斯医疗护理德国有限责任公司 血液治疗系统
CA3160853A1 (en) 2019-11-12 2021-05-20 Fresenius Medical Care Deutschland Gmbh Blood treatment systems
WO2021096706A1 (en) 2019-11-12 2021-05-20 Fresenius Medical Care Deutschland Gmbh Blood treatment systems
WO2021094139A1 (en) * 2019-11-12 2021-05-20 Fresenius Medical Care Deutschland Gmbh Blood treatment systems
US20230321363A1 (en) * 2020-07-29 2023-10-12 Tessen Solutions Limited Infusion apparatus
CN114570152B (zh) * 2022-03-28 2023-12-19 南京诺令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分离与提纯低颗粒物气体的集成装置及其分离提纯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36620A (en) * 1977-05-09 1984-03-13 Baxter Travenol Laboratories, Inc. Integral hydraulic circuit for hemodialysis apparatus
US4231871A (en) 1977-06-10 1980-11-04 Cordis Dow Corp. Artificial kidney and method for making same
US4379452A (en) * 1977-10-18 1983-04-12 Baxter Travenol Laboratories, Inc. Prepackaged, self-contained fluid circuit module
DE2818390C2 (de) * 1978-04-27 1986-10-30 Fresenius AG, 6380 Bad Homburg Künstliches Organ
JPS55114A (en) * 1978-06-15 1980-01-05 Honda Motor Co Ltd Dialyzer device in artificial kidney device
US4263808A (en) * 1979-03-26 1981-04-28 Baxter Travenol Laboratories, Inc. Noninvasive pressure monitor
US4227420A (en) * 1979-06-11 1980-10-14 Baxter Travenol Laboratories, Inc. Pressure coupling mechanism in a pressure monitoring assembly
US4293413A (en) * 1979-12-28 1981-10-06 Baxter Travenol Laboratories, Inc. Dialyzer blood circuit and bubble traps
US4344777A (en) * 1980-01-07 1982-08-17 Siposs George G Directed flow bubble trap for arterial blood
US4368118A (en) * 1980-01-07 1983-01-11 Siposs George G Blood-air separator and filter
FR2491336A1 (fr) * 1980-10-06 1982-04-09 Hospal Sodip Rein artificiel avec circuit de liquide de dialyse a usage unique
FR2493706A1 (fr) * 1980-11-13 1982-05-14 Hospal Sodip Rein artificiel avec circuit de liquide de dialyse integre
FR2507481B1 (fr) * 1981-06-16 1985-06-14 Hospal Sodip Rein artificiel avec circuits integres
US4412916A (en) * 1981-06-24 1983-11-01 Cordis Dow Corp. Airless artificial kidney assembly
US4433971A (en) * 1981-06-30 1984-02-28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Integrated cardioplegia delivery system
IL64001A0 (en) 1981-10-06 1982-01-31 Elmar Medical Systems Ltd Blood treatment system
US4582598A (en) * 1981-12-15 1986-04-15 Baxter Travenol Laboratories, Inc. Replacement fluid control system for a blood fractionation apparatus and the like
US4493693A (en) * 1982-07-30 1985-01-15 Baxter Travenol Laboratories, Inc. Trans-membrane pressure monitoring system
US4479760A (en) * 1982-12-28 1984-10-30 Baxter Travenol Laboratories, Inc. Actuator apparatus for a prepackaged fluid processing module having pump and valve elements operable in response to applied pressures
US4479761A (en) * 1982-12-28 1984-10-30 Baxter Travenol Laboratories, Inc. Actuator apparatus for a prepackaged fluid processing module having pump and valve elements operable in response to externally applied pressures
US4479762A (en) * 1982-12-28 1984-10-30 Baxter Travenol Laboratories, Inc. Prepackaged fluid processing module having pump and valve elements operable in response to applied pressures
US4605503A (en) * 1983-05-26 1986-08-12 Baxter Travenol Laboratories, Inc. Single needle blood fractionation system having adjustable recirculation through filter
US4568366A (en) * 1983-08-30 1986-02-04 Baxter Laboratories, Inc. In-line filter
US4572724A (en) * 1984-04-12 1986-02-25 Pall Corporation Blood filter
US4798090A (en) * 1985-06-25 1989-01-17 Cobe Laboratories, Inc. Apparatus for use with fluid flow transfer device
US4666598A (en) * 1985-06-25 1987-05-19 Cobe Laboratories, Inc. Apparatus for use with fluid flow transfer device
US4676467A (en) * 1985-10-31 1987-06-30 Cobe Laboratories, Inc. Apparatus for supporting a fluid flow cassette
IT1189118B (it) * 1986-05-12 1988-01-28 Dideco Spa Dispositivo per la filtrazione di sangue arterioso
DE3709432A1 (de) * 1987-03-21 1988-10-06 Fresenius Ag Kapillarfilteranordnung zur sterilisation von fluessigen medien
IT1210742B (it) 1987-05-18 1989-09-20 Sorin Biomedica Spa Dispositivo ossigenatore a fibre cave
US4824339A (en) * 1987-08-19 1989-04-25 Cobe Laboratories, Inc. Peristaltic pump cartridge
JPH01148266A (ja) * 1987-12-04 1989-06-09 Terumo Corp 血液フィルター
US4806135A (en) * 1988-03-01 1989-02-21 Siposs George G Bubble trap for phase-separating gas bubbles from flowing liquids
US5382407A (en) 1988-12-14 1995-01-17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Membrane blood oxygenator
US5200090A (en) * 1990-03-30 1993-04-06 Baxter International Inc. Multiple fluid source isolation, metering and alarm system and method
US5362406A (en) * 1990-07-27 1994-11-08 Pall Corporation Leucocyte depleting filter device and method of use
DE4027531C1 (en) 1990-08-31 1991-07-25 Fresenius Ag, 6380 Bad Homburg, De Filter for sterilising aq. soln. e.g. dialysis liq. - where incoming liq. flows between 1st antechamber, and fibre interiors into 2nd antechamber
US5441636A (en) * 1993-02-12 1995-08-15 Cobe Laboratories, Inc. Integrated blood treatment fluid module
DE4321927C2 (de) * 1993-07-01 1998-07-09 Sartorius Gmbh Filtereinheit mit Entgasungsvorrichtung
CA2142413A1 (en) * 1994-02-15 1995-08-16 Wesley H. Verkarrt Vortex gas elimination device
US5795317A (en) * 1995-06-07 1998-08-18 Cobe Laboratories, Inc. Extracorporeal blood processing methods and apparatus
DE19617036C2 (de) * 1996-04-27 2003-12-04 Fresenius Ag Vorrichtung zum Abscheiden von Gasblasen aus Blut
DE19620591B4 (de) * 1996-05-22 2004-08-26 Fresenius Medical Care Deutschland Gmbh Vorrichtung zum Entfernen von Gasen aus Flüssigkeiten
US6071269A (en) * 1998-05-13 2000-06-06 Medisystems Technology Corporation Blood set and chamber
US6755899B2 (en) * 1998-10-09 2004-06-29 Erc, Inc. Vacuum deaeration device
JP4638986B2 (ja) * 1998-10-16 2011-02-23 テルモ メディカル コーポレイション 血液処理装置
AU1334600A (en) * 1998-11-02 2000-05-22 Lifestream International, Inc. Cardioplegia heat exchanger
US6315815B1 (en) * 1999-12-16 2001-11-13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Membrane based fuel deoxygenator
US6582386B2 (en) * 2001-03-06 2003-06-24 Baxter International Inc. Multi-purpose, automated blood and fluid processing systems and methods
USD479320S1 (en) * 2002-04-03 2003-09-02 Chf Solutions, Inc. Blood filter and tubing harness for extracorporeal blood treatment
US7238224B2 (en) * 2004-10-29 2007-07-0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Fluid-gas separator
WO2006049822A1 (en) * 2004-10-28 2006-05-11 Nxstage Medical, Inc Blood treatment dialyzer/filter design to trap entrained air in a fluid circu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4294685B2 (en) 2010-07-08
US8048209B2 (en) 2011-11-01
CA2544612C (en) 2011-12-20
KR101118380B1 (ko) 2012-03-09
US20090084720A1 (en) 2009-04-02
CN1878582A (zh) 2006-12-13
EP1532994A1 (en) 2005-05-25
CA2544612A1 (en) 2005-06-16
EP1532994B1 (en) 2014-04-09
WO2005053772A1 (en) 2005-06-16
HK1097783A1 (en) 2007-07-06
CN1878582B (zh) 2011-05-25
ES2476021T3 (es) 2014-07-11
AU2004294685A1 (en) 2005-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8380B1 (ko) 탈기 장치 및 이 탈기 장치를 포함하는 필터용 단부 캡조립체
KR101122872B1 (ko) 통합형 혈액 처리 모듈
CA2718169C (en) Degassing device
CN100586494C (zh) 整体化血液处理模块
CA2490174C (en) Gas separation devices
KR20080063517A (ko) 체외 유체 순환기
KR20100015361A (ko) 압력 감지 장치 및 연결 구조에서의 압력 감지 장치의 사용
JP5390578B2 (ja) エアトラップチャンバ
EP3789060B1 (en) Air trap chamber and extracorporeal circulation circuit
CN113490518A (zh) 透析器和透析装置
WO2018015756A1 (en) Flow deflector for dialysis bloodline s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