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9332A - 판재고정용 볼트 및 너트 - Google Patents

판재고정용 볼트 및 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9332A
KR20060119332A KR1020050042246A KR20050042246A KR20060119332A KR 20060119332 A KR20060119332 A KR 20060119332A KR 1020050042246 A KR1020050042246 A KR 1020050042246A KR 20050042246 A KR20050042246 A KR 20050042246A KR 20060119332 A KR20060119332 A KR 200601193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plate
nut
bolt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22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상목
Original Assignee
손상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상목 filed Critical 손상목
Priority to KR10200500422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19332A/ko
Publication of KR200601193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93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F16B37/04Devices for fastening nuts to surfaces, e.g. sheets, plates
    • F16B37/041Releasable devices
    • F16B37/043Releasable devices with snap a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F16B5/0208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using panel fasteners, i.e. permanent attachments allowing for quick 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판재고정용 볼트 및 너트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볼트 및 너트는 조립이 간단하므로 누구나 쉽게 조립할 수 있으며, 조립시간이 단축될 수 있고, 판재의 두께에 상관없이 볼트 및 너트를 단단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며, 판재의 어느 부분에나 유용하게 고정시킬 수 있고, 판재에 삽입공만 형성되면 되므로 판재에 별다른 가공이 불필요하며, 판재에 고정된 볼트 또는 너트는 제거가 가능하고, 볼트 및 너트 제거시 판재는 그대로 보존되므로 판재의 재사용이 가능하며, 고가의 공구가 불필요하여 비용이 절감되고, 판재의 삽입공의 위치에 정확하게 고정되므로 볼트 또는 너트가 체결되는 위치의 중심이 흔들리지 않아 원하는 위치에 정확하게 볼트 또는 너트의 체결이 이루어지는 판재고정용 볼트 및 너트에 관한 것이다.
판재 고정, 볼트, 너트, 탄성걸림편, 안착홈, 스냅링

Description

판재고정용 볼트 및 너트{A bolt and nut for fixing a panel}
도 1은 종래 용접으로 판재에 볼트를 고정시킨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종래 공구를 사용하여 판재에 너트를 고정시키는 일예로, 판재에 너트를 고정시키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종래 공구를 사용하여 판재에 볼트를 고정시키는 다른 예로, 볼트의 사시도 및 판재에 볼트를 고정시킨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종래 공구를 사용하여 판재에 너트를 고정시키는 또 다른 예로, 판재에 너트를 고정시키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종래 조립식 너트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 및 조립식 너트가 사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종래 조립식 너트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 및 조립식 너트가 사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종래 조립식 너트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 및 조립식 너트가 판재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판재고정용 볼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7의 판재고정용 볼트가 판재에 고정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판재고정용 너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판재고정용 너트가 판재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판재고정용 볼트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판재 고정용 볼트가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4는 도 13의 A-A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15는 도 12의 판재 고정용 볼트가 판재에 고정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판재고정용 너트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17은 도 16의 판재 고정용 너트가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8은 도 17의 B-B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19는 판재 고정용 너트가 판재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c,100d : 몸체부 110a,110c : 체결부
110b,110d : 중공 130a,130b,130c,130d : 고정부
131a,131b,131c,131d : 안착홈부 133a,133b : 탄성걸림편
133c,133d : 고정홈부
135a,135b,136b,135c,136c,135d : 안착부
150a,150b,150c,150d : 받침부 200a,200b : 스냅링부
210a,210b : 탄성걸림편 300a,300b,300c,300d : 판재
301a,301b,301c,301d : 삽입공
본 발명은 판재고정용 볼트 및 너트에 관한 것이다.
판재와 다른 판재 등의 다른 부품을 결합하기 위한 방법으로, 판재에 볼트를 고정시킨 후 판재에 고정된 볼트에 너트를 체결하여 판재와 다른 부품을 서로 결합시키는 구조가 종래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서 판재에 볼트 대신 너트를 고정시킬 수도 있다.
종래 판재에 볼트 또는 너트를 고정시키는 방법으로는 크게 세가지로 분류된다.
첫째, 용접으로 판재에 볼트를 고정시키는 방법으로, 한국 실용신안 공개번호 제 1998-7117호인 "용접이 용이한 볼트 및 너트"에 제시되어 있다. 상기의 공보에 따르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재(1)에 형성된 삽입공에 볼트(4)를 삽입한 후 볼트머리(4')와 판재를 용접한다.
그러나 상기의 용접에 의한 볼트 고정 방법은 판재와 볼트머리를 용접한 부분에서 열변형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판재에 볼트를 용접해야 하므로 판재의 두께가 불필요하게 두꺼워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공구를 이용하여 판재에 볼트 또는 너트를 고정시키는 방법이 있다.
공구를 이용한 일예를 도 2에 도시하였다. 도 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너트(1)를 타측으로 일부가 돌출되도록 판재(2)의 삽입공에 삽입한 다음, 도 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대측으로 돌출된 너트(1)의 둘레면이 외측으로 절곡되도록 공구(3)를 이용하여 너트(1)를 압착시킨다. 도 2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재(2)에 고정된 너트(1)에 볼트(4)를 체결하여 다른 부품(5)을 결합시킨다.
공구를 이용한 다른 예가 한국 실용신안 공개번호 제 1985-5056호인 "금속박판에 고착시킬 수 있는 너트" 및 한국 실용신안 공개번호 제 1986-8047호인 "보올트 체결 고정용 너트"에 제시되어 있다. 상기 후자의 공보에 따르면, 도 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주면에 나사산(2a)이 형성된 중공(2)을 가진 너트(1)의 일측단부에 지지판(1a)이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고, 지지판(1a)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고정앵커(3)가 절곡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너트(1)를, 도 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재(5)의 삽입공에 삽입한 다음, 고정앵커(3)가 판재(5)에 고착되도록 공구를 이용하여 너트(1)를 압착시킨다. 판재(5)에 너트(1)가 고정되면, 너트(1)에 볼트(7)를 체결하여 다른 부품(6)을 결합시킨다.
공구를 이용한 또 다른 예가 한국 실용신안 공개번호 제 1986-14976호인 "볼트 부착 장치"에 제시되어 있다. 상기의 공보에 따르면, 도 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재(1)에 삽입된 너트(3)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4)에, 나사산(4)과 결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된 공구(7)를 사용하여 나사 결합시킨 다음 너트(1)를 잡아당기면, 도 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너트(1) 일부분(5)이 변형된다. 도 4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형된 부분(5)에 의해 너트(1)는 판재(1)에 고정된다.
그러나 상기에서와 같이 공구를 사용하여 볼트 또는 너트를 판재에 고정시키는 방법은 고가의 공구가 필요하고, 공구조작시 숙련성이 요구되어 공구의 주의깊은 사용이 요구된다. 또한, 불량이 발생하는 경우 한번 판재에 고정된 볼트 또는 너트는 제거가 곤란하여 판 자체의 사용이 불가능하게 되는 경우도 발생하며, 볼트 또는 너트를 판재에 고정시키는 경우 공구를 사용해야 하므로 판재의 최소한의 두께가 요구된다.
셋째, 조립식의 볼트 또는 너트를 판재에 고정시키는 방법이 있다.
조립식 너트의 일 예로서, 한국 실용신안 공개번호 제 1996-0023535호인 "스프링 너트" 및 한국 공개번호 제 1996-0002234호인 " 클립너트"에 제시되어 있다.
상기 후자의 공보에 따르면, 도 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립너트(10)는 측면이 ㄷ자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상측면(11)에 관통공(11a)이 형성되어 있고, 하측면(12)에 나사체결공(12a)이 형성되어 있다. 나사체결공(12a)는 관통공(11a)의 수직하방에 형성되어 있어 두 중심선이 일치한다. 그리고 하측면(12)의 일부를 절곡하여 나사체결시 체결력을 증대시키기도 한다. 상기와 같은 클립너트(10)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도 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재(1)의 단부에 클립너트(10)를 끼워 판재(1)에 형성된 고정공(1a)과 관통공(11a)및 나사체결공(12a)의 중심을 일치시키고, 다른 부품(2)을 클립너트(10)의 상측면(11)위에 올려놓은 다음, 나사(3)를 다른 부품(2)에 형성된 관통공(11a)으로 진입시켜 클립너트(10)의 나사체결공(12a)에 체결함으로써, 판재(1)와 다른 부품(2)을 결합시킨다.
그러나 상기의 조립식 너트는 클립형으로 판재의 가장자리에만 끼워 사용할 수 있으므로, 클립형의 조립식 너트가 고정되는 부분에는 한계가 있다.
조립식 너트의 다른 예로서, 한국 실용신안 공개번호 제 1986-2923호인 "부착용 너트"가 제시되어 있다. 상기의 공보에 따르면, 도 6의 a,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밴딩고정편(1a,1b)이 형성된 너트 가이드(2) 내에는 사각너트(3)가 여유간격(4)을 두고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너트 가이드(2)의 밴딩고정편(1a,1b)을 변형시켜 판재(5)에 너트 가이드(2)를 고정시킨다. 판재(5)에 고정된 사각너트(3)에 볼트(9)를 체결하여 다른 판재(7)를 결합시킨다.
그러나 상기의 조립식 너트의 경우 사각너트가 너트 가이드에 고정될 때 여유간격을 두므로 사각너트는 너트 가이드 내에서 흔들리게 되고, 이로 인해 사각너트에 체결되는 볼트의 중심(center) 위치가 바뀔 수 있어 원하는 위치의 정확한 볼트 체결이 어려워진다.
조립식 너트의 또 다른 예로서, 한국 실용신안 공개번호 제 1997-42299호인 "스프링 너트 체결 구조"에 제시되어 있다. 상기의 공보에 따르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프링 너트(1)가 삽입되는 판재(2)의 홀에 걸림턱(4)이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 너트(1)의 상부에는 삽입공(3)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면에는 고리 모양을 한 한쌍의 고정편(5)이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되어, 스프링 너트(1)를 판재(2)의 홀에 삽입시키면, 스프링 너트(1)의 고정편(5)이 탄성변형을 일으켜 삽입되고, 완전히 삽입된 후 고정편(5)은 원래의 형상으로 돌아가 판재(2)의 하면을 지지한다.
그러나 상기의 조립식 너트를 판재 등에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스프링 너트가 삽입되는 판재의 홀에 걸림턱을 가공해야 하므로 판재의 공정이 까다롭고 공정시간이 많이 걸리며, 조립식 너트가 고정되는 위치를 정확하게 하기 위해서는 걸림턱의 치수가 정밀해야 하므로 걸림턱의 가공에 정밀도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판재에 볼트 및 너트를 간단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누구나 쉽게 조립할 수 있고, 조립시간이 단축될 수 있으며, 판재의 두께에 상관없이 볼트 및 너트를 단단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며, 판재의 어느 부분에나 유용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판재고정용 볼트 및 너트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판재의 별다른 가공이 불필요하며, 판재에 고정된 볼트 또는 너트는 제거가 가능하고, 볼트 및 너트 제거시 판재는 그대로 보존되므로 판재의 재사용이 가능한 판재고정용 볼트 및 너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나아가, 고가의 공구가 불필요하여 비용이 절감되고, 판재의 삽입공의 위치에 정확하게 고정되므로 볼트 또는 너트가 체결되는 위치의 중심이 흔들리지 않아 원하는 위치에 정확하게 볼트 또는 너트의 체결이 이루어지는 판재고정용 볼트 및 너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나아가, 탄성걸림편이 형성된 스냅링부가 몸체부와 별도로 구성되어, 판재의 하면을 지지하는 힘이 스냅링부에 의해 증대되어 더 강한 고정력을 가지므로, 볼트 또는 너트는 견고하게 판재에 고정될 수 있고, 판재의 두께가 바뀔 경우 몸체부의 스냅링부를 탄성걸림편의 길이가 다른 스냅링부로 교체한 후 두께가 바뀐 판재에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몸체부로부터 탄성걸림편의 길이를 달리하는 스냅링부의 교체가 용이하며, 불가피하게 탄성걸림편 길이의 오차가 발생하더라도 몸체부의 스냅링부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판재고정용 볼트 및 너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판재고정용 볼트는, 원통형상으로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부; 상기 체결부의 일단에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고정부; 상기 체결부와 고정부 사이에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받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일단이 상기 고정부 외주면의 하부에 고정되어, 상부로 갈수록 상기 고정부의 외향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된 탄성걸림편이 적어도 두 개 이상 부가되고, 상기 고정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탄성걸림편이 안착될 수 있도록 안착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안착홈부의 깊이는 상기 탄성걸림편의 두께보다 깊거나 같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사상으로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판재고정용 볼트는, 원통형상으로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의 일단에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외주면 둘레를 따라 단면이 원형상이 되도록 고정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부와, 상기 체결부와 고정부 사이에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받침부로 구성되는 몸체부; 상기 고정홈부에 끼워지는 스냅링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스냅링부 외면에 일단이 고정되어 상부로 갈수록 외향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된 탄성걸림편이 적어도 두 개 이상 부가되고, 상기 고정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탄성걸림편이 안착될 수 있도록 안착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안착홈부의 깊이는 상기 탄성걸림편의 두께보다 크거나 같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사상으로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판재고정용 너트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중공이 형성되어 있고, 다각형 형상인 고정부;상기 고정부의 일단에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받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일단이 상기 고정부 외주면의 하부에 고정되어, 상부로 갈수록 상기 고정부의 외향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된 탄성걸림편이 적어도 두 개 이상 부가되고, 상기 고정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탄성걸림편이 안착될 수 있도록 안착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안착홈부의 깊이는 상기 탄성걸림편의 두께보다 깊거나 같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사상으로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판재고정용 너트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중공이 형성되어 있고, 다각형 형상이며, 외주면 둘레를 따라 단면이 원형상이 되도록 고정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일단에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받침부로 구성된 몸체부; 상기 고정홈부에 끼워지는 스냅링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스냅링부 외면에 일단이 고정되어 상부로 갈수록 외향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된 탄성걸림편이 적어도 두 개 이상 부가되고, 상기 고정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탄성걸림편이 안착될 수 있도록 안착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안착홈부의 깊이는 상기 탄성걸림편의 두께보다 크거나 같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판재고정용 볼트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7의 판재고정용 볼트가 판재에 고정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체결부(110a)는 통상의 볼트 형상으로서, 원통형상으로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체결부(110a) 일단에 형성되는 고정부(130a)는 다각형 형상이며, 본 명세서의 도면에서 고정부(130a)는 사각형 형상으로 도시하였으며, 실시예에 따라 고정부(130a)는 육각형 형상 등의 다양한 다각형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체결부(110a)와 고정부(130a) 사이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받침부(150a)가 형성되어 있다.
본 명세서의 도면에서의 받침부(150a)는 사각형 형상의 고정부(130a)의 둘레를 따라 고정부(130a)의 폭보다 넓은 사각판 형상으로 도시하였지만, 실시예에 따라 받침부(150a)는 마주보도록 배치된 고정부(130a)의 양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며, 사각판 형상이 아니더라도 판재에 지지될 수 있도록 외측으로 돌출된 형상이면 될 것이며, 이처럼 실시예에 따라 받침부(150a)의 형상을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고정부(130a)에는 일단이 상기 고정부(130a) 외주면의 하부에 고정되어, 상부로 갈수록 상기 고정부(130a)의 외향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된 탄성걸림편(133a)이 적어도 두 개 이상 형성되어 있다.
탄성걸림편(133a)은 탄성력을 가지며, 외력을 가하면 탄성력에 의해 변형이 일어나고 외력의 제거시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형상대로 복원된다.
본 명세서의 도면에서 탄성걸림편(133a)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고정부(130a)의 양측면에 각각 하나씩 한 쌍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실시예에 따라 사각형 형상으로 된 고정부(130a)의 네 면에 모두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며, 이렇게 탄성걸림편(133a)이 고정부(130a)의 네 면에 모두 형성되면, 판재에 더 견고히 고정될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고정부(130a)의 형상 및 실시예에 따라 탄성걸림편(133a)의 위치 및 개수는 변경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탄성걸림편(133a)이 형성된 고정부(130a)의 외주면에는 탄성걸림편(133a)이 안착될 수 있는 안착홈부(131a)가 형성된다.
안착홈부(131a)의 깊이(d)는, 도 9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걸림편(133a)의 두께(t)보다 깊거나 같도록 형성되고, 안착홈부(131a)의 길이(l2)는 탄성걸림편(133a)의 길이(l1)보다 길거나 같도록 형성된다.
또한, 안착홈부(131a)의 폭(b2)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걸림편(133a)의 폭(b1)보다 크거나 같도록 형성되되, 안착홈부(131a)의 양측에 판재(300a)의 삽입공(301a)에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삽입공(301a)의 폭과 같은 안착부(135a)가 형성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형성되어야 한다.
제 1실시예에서 안착홈부(131a)는 탄성걸림편(133a)의 크기와 같도록 형성되고, 안착홈부(131a)의 상부에는 판재(300a)의 삽입공(301a)에 안착되는 안착부 (135a)가 형성되어 있다.
즉, 제 1실시예에 의한 탄성걸림편(133a)은 고정부(130a)의 측면으로부터 하단이 고정부(130)에 고정되도록 파내어 파낸 부분이 탄성걸림편(133a)이 되며, 파낸 부분인 탄성걸림편(133a)에 의해 고정부(130a)에는 안착홈부(131a)가 형성되어, 탄성걸림편(133a)과 안착홈부(131a)는 크기가 같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판재 고정용 볼트의 고정부(130a)를 판재(300a)에 형성된 삽입공(301a)에 삽입하면, 도 9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력에 의해 탄성걸림편(133a)이 안착홈부(131a)에 안착된 상태로 삽입공(301a)을 통과하게 된다. 탄성걸림편(133a)이 완전히 삽입공(301a)을 통과하면, 도 9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원력에 의해 탄성걸림편(133a)은 원래의 형상인 고정부(130a)의 외향으로 절곡된 형상으로 되돌아 가게 되고, 탄성걸림편(133a)의 상면이 판재(300a)의 하면을 지지함으로써, 볼트는 판재(300a)에 고정된다.
이때, 고정부(130a)의 안착홈부(131a)가 형성된 상부측 둘레를 따라 형성된 안착부(135a)는 판재(300a)의 삽입공(301a)의 크기와 같으며, 안착부(135a)는 삽입공(301a)에 정확하게 안착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판재용 너트는 상기 제 1 실시예에 의한 판재용 볼트의 구성과 대동소이하므로 제 1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판재고정용 너트를 도시한 사시도이 고, 도 11은 도 10의 판재고정용 너트가 판재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실시예에 의한 너트는 고정부(130b)와 받침부(150b)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제 1 실시예에 의한 볼트의 체결부(110a) 대신 고정부(130b)에 중공(110b)이 형성되고, 중공(110b)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고정부(130b) 및 받침부(150b)의 구성은 상기 제 1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여기에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제 1 실시예에서는 안착홈부(131a)가 형성된 길이(l2)가 탄성걸림편(133a)이 형성된 길이(l1)와 같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제 2 실시예에서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착홈부(131b)가 형성된 길이(l2)가 탄성걸림편(133b)이 형성된 길이(l1)보다 길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되어도, 안착홈부(131b)의 양측으로 판재(300b)의 삽입공(301b) 의 폭과 같은 안착부(135b)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무방하다.
판재(300b)에 제 2 실시예에 의한 너트의 고정시 안착홈부(131b)의 양측으로 형성된 안착부(135b)와, 안착홈부(131b)가 형성되지 않은 고정부(130b)의 상부에 형성된 안착부(136b)로 이루어진 고정부(130b)의 폭은 판재(300b)의 삽입공(301b)의 폭과 같으므로, 고정부(130b)는 판재(300b)의 삽입공(301b)에 정확하게 안착된다.
상기의 제 1,2 실시예에서와 같이 고정부(130a,130b)에 탄성걸림편133a,133b)이 일체로 형성된 타입의 볼트 및 너트는 플라스틱 재질이나 비철금속 재질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판재 고정용 볼트 및 너트는 볼트 또는 너트를 판재에 간단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누구나 쉽게 조립할 수 있으며, 조립시간이 단축될 수 있고, 판재의 두께에 상관없이 볼트 및 너트를 단단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며, 판재의 어느 부분에나 유용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판재에 삽입공만 형성되면 되므로 판재에 별다른 가공이 불필요하며, 판재에 고정된 볼트 또는 너트는 제거가 가능하고, 볼트 및 너트 제거시 판재는 훼손되지 않고 그대로 보존되므로 판재의 재사용이 가능하다.
나아가, 고가의 공구가 불필요하여 비용이 절감되고, 판재의 삽입공의 위치에 정확하게 고정되므로 볼트 또는 너트가 체결되는 위치의 중심이 흔들리지 않아 원하는 위치에 정확하게 볼트 또는 너트의 체결이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볼트를 살펴보도록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판재 고정용 볼트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판재 고정용 볼트가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4는 도 13의 A-A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고, 도 15는 도 12의 판재 고정용 볼트가 판재에 고정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판재 고정용 볼트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부(100c)와 스냅링부(200a)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몸체부(100c)는 체결부(110c)와 고정부(130c)와 받침부(150c)로 구성된다.
체결부(110c)는 통상의 볼트 형상으로서, 원통형상으로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체결부(110c)의 일단에 형성된 고정부(130c)는 다각형 형상이며, 본 명세서의 도면에서 고정부(130c)는 사각형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고정부(130c)는 육각형 형상 등의 다양한 다각형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고정부(130c)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단면이 원형상이 되도록 고정홈부(133c)가 형성되어 있다.
체결부(110c)와 고정부(130c) 사이에는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받침부(150c)가 형성되어 있으며, 본 명세서의 도면에서의 받침부(150c)는 사각형 형상의 고정부(130c)의 둘레를 따라 고정부(130c)의 폭보다 넓은 사각판 형상으로 도시하였지만, 실시예에 따라 받침부(150c)는 마주보도록 배치된 고정부(130c)의 양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며, 사각판 형상이 아니더라도 판재(300c)에 지지될 수 있는 형상이면 될 것이며, 이처럼 실시예에 따라 받침부(150c)의 형상을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스냅링부(200a)는 고정홈부(133c)에 의해 원형상으로 형성된 고정부(130c) 단면의 둘레에 끼워질 수 있도록 일부가 개방된 링형상이며, 스냅링부(200a)의 외면에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탄성걸림편(210a)이 형성된다.
탄성걸림편(210a)은 스냅링부(200a) 외면에 일단이 고정되어 상부로 갈수록 외향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고정부(130c)의 외주면에는 고정홈부(133c)에 스냅링부(200a)가 끼워졌을때 스냅링부(200a)의 탄성걸림편(210a)이 안착될 수 있도록 안착홈부(131c)가 형성되어 있다.
안착홈부(131c)의 깊이(d)는, 도 1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걸림편(210a)의 두께(t)보다 깊거나 같도록 형성되고, 안착홈부(131c)의 길이(l2)는 탄성걸림편(210a)의 길이(l1)보다 길거나 같도록 형성된다.
또한, 안착홈부(131c)의 폭(b2)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걸림편(210a)의 폭(b1)보다 크거나 같도록 형성되되, 안착홈부(131c)의 양측으로 판재(300c)의 삽입공(301c)의 폭과 같은 안착부(135c)가 형성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형성되어야 한다.
제 3실시예에서 안착홈부(131c)의 깊이(d)는 탄성걸림편(210a)의 두께(t)와 같도록 형성되어 있고, 안착홈부(131c)의 폭(b2)은 탄성걸림편(210a)의 폭(b1)보다 크도록 형성되어 있다.
안착홈부(131c)의 길이(l2)는 탄성걸림편(210a)의 길이(l1)보다 길도록 형성되어 있는데, 이처럼 안착홈부(131c)의 길이(l2)가 길게 형성되어 고정홈부(133c)의 하부측에도 형성되도록 하면, 안착홈부(131c)의 가공이 쉬워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판재 고정용 볼트의 고정부(130c)를 판재(300c)에 형성된 삽입공(301c)에 삽입하면, 도 1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력에 의해 탄성걸림편(210a)이 안착홈부(131c)에 안착된 상태로 삽입공(301c)을 통과하게 된다. 탄성걸림편(210a)이 완전히 삽입공(301c)을 통과하면, 도 1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원력에 의해 탄성걸림편(210a)은 원래의 형상인 고정부(130c)의 외향으로 절곡된 형상으로 되돌아 가고, 탄성걸림편(210a)의 상면이 판재(300c)의 하면을 지지함으로써, 볼트는 판재(300c)에 고정된다.
이때, 안착홈부(131c)의 양측에 형성된 안착부(135c)와, 안착홈부(131c)가 형성되지 않은 고정부(130c)의 상부에 형성된 안착부(136c)로 이루어진 고정부(130c)의 폭은 판재(300c)의 삽입공(301c)의 폭과 같으므로 고정부(130c)는 삽입공(301c)에 정확하게 안착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의한 판재용 너트는 상기 제 3 실시예에 의한 판재용 볼트의 구성과 대동소이하므로 제 3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판재 고정용 너트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7은 도 16의 판재 고정용 너트가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8은 도 17의 B-B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고, 도 19는 판재 고정용 너트가 판재(300)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6 및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4 실시예에 의한 너트는 몸체부 (100d)와 스냅링부(200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몸체부(100d)는 고정부(130d)와 받침부(150d)로 구성되며, 제 3 실시예에 의한 볼트의 체결부(110c) 대신 고정부(130d)에 중공(110d)이 형성되고, 중공(110d)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스냅링부(200b)는 상기 제 3 실시예의 스냅링부(200a)와 동일하므로, 여기에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고정부(130d) 및 받침부(150d)의 구성은 상기 제 3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다.
다만, 제 3 실시예에서 안착홈부(131c)는 탄성걸림편(210a)의 상부까지 연장되어 형성되었지만, 제 4 실시예에서의 안착홈부(131d)는 탄성걸림편(210b)의 상부까지 연장되지 않는다. 즉, 안착홈부(131d)의 상부에는 판재(300d)의 삽입공(301d)에 고정되는 안착부(135d)가 형성된다.
판재(300d)에 제 4 실시예에 의한 너트의 고정시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착부(135d)가 형성된 고정부(130d)의 폭은 판재(300d)의 삽입공(301d)의 폭과 같으므로 고정부(130d)는 삽입공(301d)에 정확하게 안착된다.
상기의 제 3,4 실시예에서와 같이 몸체부(100a,100b)와 별도로 구성되어 있는 스냅링부(200a,200b)가 부가된 볼트 및 너트는 스틸(steel) 등의 금속재질의 경우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탄성걸림편이 형성된 스냅링부가 몸체부와 별도로 구성되면, 판재의 하면을 지지하는 힘이 스냅링부에 의해 증대되어 강한 고정력을 가지므로, 볼트 또는 너트는 판재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판재의 두께가 바뀔 경우 몸체의 스냅링부를 탄성걸림편의 길이가 다른 스냅링부로 교체한 후 두께가 바뀐 판재에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몸체로부터 탄성걸림편의 길이를 달리하는 스냅링부의 교체가 용이하다.
나아가, 불가피하게 탄성걸림편 길이의 오차가 발생하더라도 몸체부의 스냅링부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유용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판재고정용 볼트 및 너트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판재에 볼트 및 너트를 간단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누구나 쉽게 조립할 수 있으며, 조립시간이 단축될 수 있고, 판재의 두께에 상관없이 볼트 및 너트를 단단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며, 판재의 어느 부분에나 유용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둘째, 판재에 삽입공만 형성하면 되므로 판재의 별다른 가공이 불필요하며, 판재에 고정된 볼트 또는 너트는 제거가 가능하고, 볼트 및 너트 제거시 판재는 훼손되지 않고 그대로 보존되므로 판재의 재사용이 가능하다.
셋째, 고가의 공구가 불필요하여 비용이 절감되고, 판재의 삽입공의 위치에 정확하게 고정되므로 볼트 또는 너트가 체결되는 위치의 중심이 흔들리지 않아 원하는 위치에 정확하게 볼트 또는 너트의 체결이 이루어진다.
넷째, 탄성걸림편이 형성된 스냅링부가 몸체부와 별도로 구성되면, 판재의 하면을 지지하는 힘이 스냅링부에 의해 증대되어 더 강한 고정력을 가지므로, 볼트 또는 너트는 견고하게 판재에 고정될 수 있고, 판재의 두께가 바뀔 경우 몸체부의 스냅링부를 탄성걸림편의 길이가 다른 스냅링부로 교체한 후 두께가 바뀐 판재에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몸체부로부터 탄성걸림편의 길이를 달리하는 스냅링부의 교체가 용이하다. 나아가, 불가피하게 탄성걸림편 길이의 오차가 발생하더라도 몸체부의 스냅링부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유용하다.

Claims (4)

  1. 판재에 고정되어 너트를 체결하기 위한 판재고정용 볼트에 있어서,
    원통형상으로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부;
    상기 체결부의 일단에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고정부;
    상기 체결부와 고정부 사이에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받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일단이 상기 고정부 외주면의 하부에 고정되어, 상부로 갈수록 상기 고정부의 외향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된 탄성걸림편이 적어도 두 개 이상 부가되고,
    상기 고정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탄성걸림편이 안착될 수 있도록 안착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안착홈부의 깊이는 상기 탄성걸림편의 두께보다 깊거나 같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고정용 볼트.
  2. 판재에 고정되어 너트를 체결하기 위한 판재고정용 볼트에 있어서,
    원통형상으로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의 일단에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외주면 둘레를 따라 단면이 원형상이 되도록 고정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부와, 상기 체결부와 고정부 사이에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받침부로 구성되는 몸체부;
    상기 고정홈부에 끼워지는 스냅링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스냅링부 외면에 일단이 고정되어 상부로 갈수록 외향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된 탄성걸림편이 적어도 두 개 이상 부가되고,
    상기 고정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탄성걸림편이 안착될 수 있도록 안착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안착홈부의 깊이는 상기 탄성걸림편의 두께보다 크거나 같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고정용 볼트.
  3. 판재에 고정되어 볼트를 체결하기 위한 판재고정용 너트에 있어서,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중공이 형성되어 있고, 다각형 형상인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일단에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받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일단이 상기 고정부 외주면의 하부에 고정되어, 상부로 갈수록 상기 고정부의 외향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된 탄성걸림편이 적어도 두 개 이상 부가되고,
    상기 고정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탄성걸림편이 안착될 수 있도록 안착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안착홈부의 깊이는 상기 탄성걸림편의 두께보다 깊거나 같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고정용 너트.
  4. 판재에 고정되어 볼트를 체결하기 위한 판재고정용 너트에 있어서,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중공이 형성되어 있고, 다각형 형상이며, 외주면 둘레를 따라 단면이 원형상이 되도록 고정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일단에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받침부로 구성된 몸체부;
    상기 고정홈부에 끼워지는 스냅링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스냅링부 외면에 일단이 고정되어 상부로 갈수록 외향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된 탄성걸림편이 적어도 두 개 이상 부가되고,
    상기 고정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탄성걸림편이 안착될 수 있도록 안착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안착홈부의 깊이는 상기 탄성걸림편의 두께보다 크거나 같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고정용 너트.
KR1020050042246A 2005-05-20 2005-05-20 판재고정용 볼트 및 너트 KR200601193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2246A KR20060119332A (ko) 2005-05-20 2005-05-20 판재고정용 볼트 및 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2246A KR20060119332A (ko) 2005-05-20 2005-05-20 판재고정용 볼트 및 너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9332A true KR20060119332A (ko) 2006-11-24

Family

ID=37706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2246A KR20060119332A (ko) 2005-05-20 2005-05-20 판재고정용 볼트 및 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1933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171752B1 (en) Apparatus for mounting a wheel cap
US20150345536A1 (en) Cage nut
KR101800427B1 (ko) 공작물 팔레트 위치결정 고정장치
KR20060100239A (ko) 차량 루프 안테나 장착용 조립체
US8137040B2 (en) Lock nut
CA2820089C (en) Gas spring mounting assembly and method for metal forming dies
KR20060119332A (ko) 판재고정용 볼트 및 너트
AU2010245944B2 (en) Providing a counter torque force within a fastening
JP3177870B2 (ja) 簡易締結装置
WO2006121301A1 (en) Anchor bolt assembly
KR20080095259A (ko) 로크 너트
US20220106977A1 (en) Loose-Proof Screw Assembly and Fastened Structure Comprising the Same
US7614835B2 (en) Simple fastening device
US7070377B2 (en) Grommet bridge assembly
KR0131246B1 (ko) 자동차 부품 조립용 지그의 고정구조
JP6401881B1 (ja) 座金
US10323766B2 (en) Compact circular linkage for a pushing actuator
JPH0571515A (ja) 連結構造体
JP2509446B2 (ja) 金属板へのおねじ固着方法
KR20190086238A (ko) 풀림방지볼트와 풀림방지판이 결합된 볼트풀림방지구조
KR20100072524A (ko) 풀림방지용 와셔
JP2002250324A (ja) ナット
JP6633784B2 (ja) フェンスの取付構造
EP0971137A1 (en) Self-restraining captive nut
JP2002070827A (ja) プッシュナ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