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9198A -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9198A
KR20060119198A KR1020050041831A KR20050041831A KR20060119198A KR 20060119198 A KR20060119198 A KR 20060119198A KR 1020050041831 A KR1020050041831 A KR 1020050041831A KR 20050041831 A KR20050041831 A KR 20050041831A KR 20060119198 A KR20060119198 A KR 200601191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owder
seaweed
licorice
apricot s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1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건예
Original Assignee
채건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채건예 filed Critical 채건예
Priority to KR10200500418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19198A/ko
Publication of KR200601191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919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살구씨 분말 1-20중량%, 율무 분말 1-20중량%, 백년초 1-10중량%, 살구씨오일 1-10중량%, 유채오일 1-10중량%, 매실추출물 1-10중량%, 꿀 1-10중량% 및 해초액 25-45중량%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의 경우, 우수한 보습 효과, 클렌징 효과 및 미백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하나의 조성물로서, 마사지, 팩, 바디클렌져의 용도로 사용이 가능하며, 그 사용부위도, 얼굴은 물론 전신에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해초, 살구, 율무, 화장품, 백년초

Description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COMPOSITON FOR COSMETIC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석유화학계열의 원료를 사용하지 않아 독성이 없는 천연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은 이제 모두가 애용하는 현대인들의 필수품 가운데 하나가 되었다. 최근에는 남녀노소 구별 없이 모두 화장품을 다수 상용하고 있으며, 어린이들, 나아가 남성을 위한 화장품들도 쏟아져 나오고 있다. 화장품의 원료로 쓰일 수 있는 물질은 현재 5천 종 가까이 된다고 알려져 있으며, 보통 일반 화장품에는 30∼50종의 원료가 사용된다. 저자극성의 화장품만 하더라도 20종 이내의 원료를 사용하게 되며, 저자극성이라고는 하지만 "무색, 무향, 무알코올"은 아니며 일부 제품은 색소와 향료를 사용하고 알코올도 사용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화장품의 경우, 합성 착색료, 합성향료, 알콜성분이 들어가 있어서, 이를 장기 사용할 경우 여러 가지 부작용이 나타난다는 문제점 이 있다.
이를 좀 더 상세히 기술하면, 우선, 화장품의 여러 성분 가운데 대표적인 것은 지방이다. 거의 모든 화장품에 첨가되는 지방 성분은 시간이 지나면 산화되어 냄새가 나고 변색된다. 또 화장품을 사용함에 따라 미생물이 침투하여 부패되기도 한다. 이렇게 되면 과산화물이 생기는데 이것이 피부에 자극을 주게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산화방지제와 살균제가 첨가되는데 이것에 의한 독성으로 가려움증이나 염증이 생기기도 한다. 물과 기름 상태의 화장품 성분들을 잘 섞이게 하는데는 유화제가 사용된다. 주로 에스테르 성분으로 구성된 유화제는 피부로부터 지방을 빼앗아가 얼굴을 거칠게 하거나 습진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며 몸 속에 들어가 간장 장애를 일으키기도 한다.
또한, 화장품에는 여러 가지 색소도 많이 사용된다. 화장품에 많이 사용하는 타르 색소는 석유에서 분리하여 합성한다. 현재 화장품에 사용하는 색소는 100종 가까이 되며 이들 대부분은 다량 사용하게 되면 발암성이 있으므로 식품이나 화장품 등에 있어 그 총량이 엄격히 규제되어 있다.
그 다음으로는 안료도 문제가 된다. 잉크나 페인트 등에도 사용되는 안료는 20여종이 있는데 불순물과 안료의 성질을 안정시키기 위하여 회사마다 사용하는 첨가제가 문제가 될 수 있다. 수은, 납, 크롬 같은 중금속은 완전히 걸러지지 않고 불순물로 남아 얼굴에 부작용을 일으키고 인체에도 위험을 준다. 납중독은 2세의 자녀에게도 영향을 미쳐 지진아를 낳을 수 있다.
이밖에도 향료, 방부제, 산화방지제 등이 문제가 될 수 있다. 특히 방부제는 인체에 무해한 완전무결한 이상적인 것은 전혀 없으며, 오히려 발암성 때문에 식품첨가물로는 금지되어 있는 살리실산이나, 페놀, 크레졸 등이 사용되기도 하는 실정이다. 산소와 접촉하게 되면 화장품 성분 중에 있는 유지가 산패하거나 이미(異味), 이취(異臭), 갈변(褐變) 등을 일으키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산화방지제가 사용된다. 산화방지제도 독성이 있으므로 첨가량이 제한되고 있으며 일부는 장기 독성이 있는 것도 있다.
이와 같이 화장품에는 다양한 첨가제가 들어가 있으므로, 이들 화장품의 무분별한 사용은 오히려 장기적으로 피부를 상하게 하거나 신체에 또 다른 해독을 줄 수도 있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하여 최근 웰빙 붐을 타고 한방 또는 천연 화장품에 대한 관심과 인기가 점점 고조되어 가고 있으나, 이러한 한방 또는 천연 화장품의 경우에도, 미백효과, 기미 주근깨 효과에 탁월한 효능을 나타내는 화장품은 거의 없는 실정이다.
또한, 화장품의 종류가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다양해지고 있는 실정이어서 특정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각 제품별로 각 특정 효과를 나타내는 제품을 골라 써야 한다. 즉, 화장품별로 각 기능들이 제한되어 있어서, 간단한 사용에 의하여 여러가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화장품은 거의 전무한 상태이다.
그리하여, 간단한 사용에 의하여 화장품이 추구하는 여러 가지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독성이 없는 천연화장품 조성물이 절실히 요청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천연 재료만을 사용하여, 독성이 없을 뿐만 아니라, 마사지, 팩 및 클렌징을 위한 용도로 동시에 사용가능하며, 미백효과가 뛰어난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살구씨 분말 1-20중량%, 율무 분말 1-20중량%, 백년초 1-10중량%, 살구씨오일 1-10중량%, 유채오일 1-10중량%, 매실추출물 1-10중량%, 꿀 1-10중량% 및 해초액 25-45중량%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감초 : 목향을 1:1의 비율로 넣고, 이들의 총중량 대비 40-60배의 물을 가하여 2-3시간 동안 달인 후, 상기 감초와 목향 달인 물 : 해초분말을 중량대비 90-110:1의 비율로 하여 90-110℃에서 해초분말을 용해시켜 해초액을 제조하는 단계; 살구씨분말 1-20중량%, 율무분말 1-20중량%, 백년초 분말 1-10중량%, 미용소금 1-10중량% 및 밀가루 1-20중량%로 이루어진 분상 재료와 글리세린 1-20중량%, 살구씨오일 1-10중량%, 유채오일 1-10중량%, 매실추출물 1-10중량% 및 꿀 1-10중량%로 이루어진 액상 재료를 각각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배합된 분상재료와 액상재료를 혼합한 후, 상기 해초액 25-45중량%를 첨가하여 혼합한 후 2-4일간 발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감초 : 목향을 1:1의 비율로 넣고, 이들의 총중량 대비 40-60배의 물을 가하여 2-3시간 동안 달인 후, 상기 감초와 목향 달인 물 : 해초분말을 중량대비 90-110:1의 비율로 하여 90-110℃에서 해초분말을 용해시켜 해초액을 제조하는 제 1 단계; 살구씨분말 1-20중량%, 율무분말 1-20중량%, 백년초 분말 1-10중량%, 미용소금 1-10중량% 및 밀가루 1-20중량%로 이루어진 분상 재료와 글리세린 1-20중량%, 살구씨오일 1-10중량% 및 유채오일 1-10중량%로 이루어진 액상 재료를 각각 혼합하는 제 2 단계; 상기 혼합된 분상재료에 매실추출물 1-10중량% 및 꿀 1-10중량%을 혼합하여 70-90℃의 온도에서 끓인 후, 상기 혼합된 액상재료를 첨가하여 혼합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제 3 단계의 결과물에, 해초액 25-45중량%를 첨가하여 혼합한 후 2-4일간 발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살구씨 분말 1-20중량%, 율무 분말 1-20중량%, 백년초 1-10 중량%, 살구씨오일 1-10중량%, 유채오일 1-10중량%, 매실추출물 1-10중량%, 꿀 1-10중량% 및 해초액 25-45중량%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우선, 본 발명에 의한 화장품 조성물은 살구씨 분말과 살구씨 오일을 포함한다.
살구씨에는 유기산으로 구연산과 사과산이 비교적 많아 신진대사를 도와주는 효과가 있다. 살구씨 분말은 잔주름과 기미 주근깨를 예방하게 하며, 살구씨 오일 은 혈액순환을 돕고 피부에 아주 쉽게 스며들어 피부의 탄력을 유지시켜 주며, 주름살 제거, 미백효과 및 각질을 제거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또한, 율무분말을 포함하고 있다. 율무에는 비타민 E와 양질의 단백질이 많이 들어있고, 효소의 활동도 강해서, 세포에 활력을 주고 노폐물을 배출하는 기능이 특히 강하다. 피부를 부드럽고 곱게 하기 때문에 여드름, 거친 피부, 검은 피부 등도 자연스럽게 없어진다. 율무는 멜라닌 색소가 피부에 침착하는 것을 막아주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잡티를 제거해 주고 거친 살갗이나 주근깨 등의 피부에 윤기를 주고 사마귀 치료에 효과적이다.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에는 해초액이 포함되어 있다. 해초액은 해초 성분이 함유되어 있는 것이라면 특히 제한되지 않는다고 할 것이나, 그 중에서도 감초와 목향을 달인 물에 해초 분말을 용해시킨 것이 바람직하다.
해초액에 포함되는 해초성분은 무기염류와 알긴산 등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상처 회복, 보습, 항노화 효과와 피부의 진정작용 등 피부 표면의 죽은 세포를 제거하고 피지의 분비를 조절하며 뛰어난 보습효과, 피부의 탄력, 피부의 노화방지, 여드름과 흉터 및 늘어난 모공에도 효과가 있다.
해초액에 포함되는 감초 성분은 세균으로 인한 독을 풀어주고 중화 및 완화시키는 작용을 하며 피부 진정, 소염 작용을 하므로, 피부염(두드러기, 습진, 여드름), 주근깨 등에 뚜렷한 효과가 있고 면역기능을 강화시키며 피부 불순물 제거에 효과가 있다. 또 감초는 묵은 각질과 피지를 제거한다.
해초액에 포함되는 목향성분은 살균작용을 하게 되므로, 본 발명에 의한 조 성물이 지나치게 발효되는 것을 방지해 준다.
나아가, 이와 같은 해초액은 방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사용되는 방부제로는 화장품에 사용가능한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는다고 할 것이나, 그 중에서도,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테르 및/또는 이미다졸리디닐우레아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백년초 분말을 함유하는데, 백년초에는 비타민 C가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습진 효과와 보습효과가 있다. 또한, 백년초 성분이 노화된 각질을 부드럽게 분해해 매끄럽고 투명한 피부로 가꾸어 주게 되며, 게르마늄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피부 노화방지에 효능이 있다. 알로에보다 6배가 넘는 풍부한 비타민 C가 피부세포를 보호하고 거칠고 건조해지기 쉬운 피부 표면에 얇은 수분막을 형성하여 촉촉하고 매끄러운 피부로 가꾸어 준다.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유체오일을 포함하는데, 이는 카놀라유라고도 불리우며 단백질이 풍부하여 피부에 영양을 공급한다. 유체오일은 매우 가볍고 세밀하며 향이 없는 것이 특징으로 바르는 즉시 피부에 깊숙히 스며든다. 리놀린산이 풍부하여 부패와 변질을 막는 작용이 강하다. 또한, 각질이 일어나고 건조하거나 가려운 피부를 예방한다.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매실을 포함하는데, 매실은 각종 유기산(구연산, 사과산, 화박산)과 비타민 및 무기질이 풍부하여 피부가 탄력있고 촉촉함을 항상 느낄 수 있게 한다. 즉, 매실 속에 들어있는 각종 성분이 신진대사를 원활하게 해주고, 각종 유기산과 비타민이 혈액순환을 도와 피부에 좋은 작용을 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꿀을 포함하는데, 꿀 속의 당분은 연화, 청결 작용을 해서 피부를 깨끗하고 매끄럽고 촉촉하게 한다. 피부 비타민이라는 니코틴산과 비타민 등이 꿀에 많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이며 꿀의 흡습성(吸濕性)으로 피부에 바르면 윤기를 주어 여드름, 튼 피부, 기미, 주근깨, 햇볕에 탄 피부 등에 좋으며, 주근깨에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보습효과를 더욱 높이기 위해서 글리세린 1-20중량%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천연 방부효과, 소염효과 및 혈액순환효과를 위해서 미용소금 1-10중량%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미백효과 및 각질제거효과를 더욱 높이기 위해서 밀가루 1-20중량%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을 계속 사용할 경우 얼굴에 생긴 주근깨, 검버섯이 엷어지거나, 없어지게 되며, 미백 효과가 뛰어나고 보습 효과가 있어 항상 촉촉함을 느낄 수 있게 된다. 특히 바디클렌저로서 사용할 경우,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을 전신에 고루 바르고 3-5분 후에 샤워를 하면 때를 밀어낼 필요가 없이 때가 없어지고 피부가 항상 촉촉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을 사용할 경우, 얼굴팩과 마사지 및 바디클렌져의 3중 효과를 한 번에 느낄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감초 : 목향을 1:1의 비율로 넣고, 이들의 총중량 대비 40-60배의 물을 가하여 2-3시간 동안 달인 후, 상기 감초와 목향 달인 물 : 해초분말을 중량대비 90-110:1의 비율로 하여 90-110℃에서 해초분말을 용해시켜 해초액을 제조하는 단계; 살구씨분말 1-20중량%, 율무분말 1-20중량%, 백년초 분말 1-10 중량%, 미용소금 1-10중량% 및 밀가루 1-20중량%로 이루어진 분상 재료와 글리세린 1-20중량%, 살구씨오일 1-10중량%, 유채오일 1-10중량%, 매실추출물 1-10중량% 및 꿀 1-10중량%로 이루어진 액상 재료를 각각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배합된 분상재료와 액상재료를 혼합한 후, 상기 해초액 25-45중량%를 첨가하여 혼합한 후 2-4일간 발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감초 : 목향을 1:1의 비율로 넣고, 이들의 총중량 대비 40-60배의 물을 가하여 2-3시간 동안 달인 후, 상기 감초와 목향 달인 물 : 해초분말을 중량대비 90-110:1의 비율로 하여 90-110℃에서 해초분말을 용해시켜 해초액을 제조하는 제 1 단계; 살구씨분말 1-20중량%, 율무분말 1-20중량%, 백년초 분말 1-10중량%, 미용소금 1-10중량% 및 밀가루 1-20중량%로 이루어진 분상 재료와 글리세린 1-20중량%, 살구씨오일 1-10중량% 및 유채오일 1-10중량%로 이루어진 액상 재료를 각각 혼합하는 제 2 단계; 상기 혼합된 분상재료에 매실추출물 1-10중량% 및 꿀 1-10중량%을 혼합하여 70-90℃의 온도에서 끓인 후, 상기 혼합된 액상재료를 첨가하여 혼합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제 3 단계의 결과물에, 해초액 25-45중량%를 첨가하여 혼합한 후 2-4일간 발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방법에서는 해초액을 제조하는 단계에서 감초와 목향달인 물에 해초분말을 용해시킨 후 방부제를 더 첨가할 수 있다. 이 때, 70-90℃의 온도에서 방부제를 넣어 교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방법에서 사용되는 방부제로는 화장품에 사용가능한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는다고 할 것이나, 그 중에서도,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테르 및/또는 이미다졸리디닐우레아가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에 따라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정해지는 것은 아니며, 다만 하나의 예시로서 제시된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1 :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 1
1) 해초액의 제조
물 60kg에 감초 600g, 목향 600g을 넣고 2-3시간 충분히 끓이면서 감초와 목향이 충분히 우러나도록 달여 감초와 목향 달인 물 50kg을 얻었다. 상기 감초와 목향 달인 물을 100℃의 온도로 유지하면서, 해초 분말 500g을 넣고 서서히 용해시켰다. 이어서, 80℃의 온도로 낮추고,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테르 300g을 넣어 혼합한 후 30분간 더 교반하여, 해초액을 제조하였다.
2) 원료의 제조 및 입수
살구씨를 120℃에서 볶아 살구씨오일을 추출하여 따로 보관하였다. 살구씨오일을 추출한 찌꺼기를 곱게 분쇄하여 100메쉬의 체에 통과시켜, 살구씨 분말을 제 조하였다.
또, 불판 온도를 150℃로 달군 후, 율무를 넣고 100℃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율무를 볶아 냉각시켰다. 이 후 냉각된 율무를 곱게 분쇄하여 100메쉬의 체에 통과시켜, 율무분말을 제조하였다.
나머지 재료는 시중에서 미용재료로서 유통되고 있는 것을 구입하였다.
3) 원료의 배합
가. 살구씨 분말 10g, 율무 분말 10g, 백년초 5g, 미용소금 5g, 밀가루 10g을 넣어 혼합하였다.
나. 글리세린 10g, 살구씨오일 5g, 유채오일 5g, 매실 추출물 5g, 꿀 5g을 혼합하였다.
다. 배합된 가)나)를 혼합하여 교반시키면서 해초액 30g을 첨가한 후 2시간 동안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72시간 동안 발효시켜 본 발명에 의한 화장품 조성물 100g을 얻었다.
실시예 2 :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 2
1) 해초액의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해초액을 제조하였다.
2) 원료의 제조 및 입수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원료를 제조 및 입수하였다.
3) 원료의 배합
가. 살구씨 분말 6g, 율무 분말 5g, 백년초 4g, 미용소금 4g, 밀가루 8g을 넣어 혼합하였다.
나. 글리세린 10g, 살구씨오일 5g, 유채오일 5g을 혼합하였다.
다. 배합된 가)에 매실 추출물 5g과 꿀 6g을 첨가하여 80℃에서 끓인 후, 나)를 혼합하여 교반시키면서 해초액 42g을 첨가한 후 2시간 동안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72시간 동안 발효시켜 본 발명에 의한 화장품 조성물 100g을 얻었다.
실험예 1 : 보습 효과
20-40대의 남.여 24명으로 이루어진 패널에게 상기 실시예 1에 의하여 제조된 화장품 조성물을 얼굴에 일주일 동안 사용하도록 한 후 그 보습효과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로 나타내었다.
인원 백분율(%)
매우 우수함 17 71%
우수함 5 21%
보통 2 8%
적음 0 0%
실험예 2 : 클렌징 효과
20-40대의 남.여 24명으로 이루어진 패널에게 상기 실시예 1에 의하여 제조된 화장품 조성물을 전신에 일주일 동안 사용하도록 한 후 그 클렌징 효과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2로 나타내었다.
인원 백분율(%)
매우 우수함 20 83%
우수함 3 13%
보통 1 4%
적음 0 0%
상기 실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의 클렌징 효과가 뛰어남을 알 수 있으며, 특히,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을 전신에 사용한 결과, 때를 밀 필요가 없을 정도로 클렌징 효과가 뛰어났다.
실험예 3 : 맛사지 효과
20-40대의 남.여 24명으로 이루어진 패널에게 상기 실시예 2에 의하여 제조된 화장품 조성물을 얼굴에 일주일 동안 사용하도록 한 후 그 맛사지 효과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3으로 나타내었다.
인원 백분율(%)
매우 우수함 15 63%
우수함 6 25%
보통 2 8%
적음 1 4%
실험예 4 : 팩, 각질 제거 효과
20-40대의 남.여 24명으로 이루어진 패널에게 상기 실시예 2에 의하여 제조된 화장품 조성물을 얼굴에 일주일 동안 사용하도록 한 후 팩, 각질 제거 효과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4로 나타내었다.
팩효과 각질제거 효과
매우 우수함 17 19
우수함 4 5
보통 3 0
적음 0 0
실험예 5 : 미백효과
20-40대의 기미, 주근깨, 검버섯이 있는 남.여 20명으로 이루어진 패널에게 상기 실시예 2에 의하여 제조된 화장품 조성물을 얼굴에 15일 동안 사용하도록 한 후 그 미백효과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5로 나타내었다.
특히, 기미, 주근깨 등에 대한 미백효과는 10회 이상 사용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인원 백분율(%)
매우 우수함 20 84%
우수함 1 4%
보통 1 4%
적음 2 8%
본 발명에 의한 화장품 조성물은 미용성분이 풍부한 식물성 원료로만 구성되어 있으므로 독성이 없고, 보습과 각질 제거 효과가 뛰어나다. 특히, 이를 계속 사용할 경우 얼굴에 생긴 주근깨, 검버섯을 없애는 효과가 있으며 미백 효과가 뛰어나고 보습 효과가 뛰어나, 항상 촉촉함을 느낄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상기와 같은 본원 발명에 의한 조성물의 경우, 우수한 보습 효과, 클렌징 효과 및 미백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기 때문에, 하나의 조성물로서, 마사지, 팩 및 바디클렌져의 용도로 사용이 가능하며, 그 사용부위도, 얼굴은 물론 전신에 사용할 수 있게 된다.

Claims (4)

  1. 살구씨 분말 1-20중량%, 율무 분말 1-20중량%, 백년초 1-10중량%, 살구씨오일 1-10중량%, 유채오일 1-10중량%, 매실추출물 1-10중량%, 꿀 1-10중량% 및 해초액 25-45중량%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미용소금 1-10중량%, 밀가루 1-20중량% 및 글리세린 1-20중량%을 더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3. 감초 : 목향을 1:1의 비율로 넣고, 이들의 총중량 대비 40-60배의 물을 가하여 2-3시간 동안 달인 후, 상기 감초와 목향 달인 물 : 해초분말을 중량대비 90-110:1의 비율로 하여 90-110℃에서 해초분말을 용해시켜 해초액을 제조하는 단계;
    살구씨분말 1-20중량%, 율무분말 1-20중량%, 백년초 분말 1-10중량%, 미용소금 1-10중량% 및 밀가루 1-20중량%로 이루어진 분상 재료와 글리세린 1-20중량%, 살구씨오일 1-10중량%, 유채오일 1-10중량%, 매실추출물 1-10중량% 및 꿀 1-10중량%로 이루어진 액상 재료를 각각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배합된 분상재료와 액상재료를 혼합한 후, 상기 해초액 25-45중량%를 첨가하여 혼합한 후 2-4일간 발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방법.
  4. 감초 : 목향을 1:1의 비율로 넣고, 이들의 총중량 대비 40-60배의 물을 가하여 2-3시간 동안 달인 후, 상기 감초와 목향 달인 물 : 해초분말을 중량대비 90-110:1의 비율로 하여 90-110℃에서 해초분말을 용해시켜 해초액을 제조하는 제 1 단계;
    살구씨분말 1-20중량%, 율무분말 1-20중량%, 백년초 분말 1-10중량%, 미용소금 1-10중량% 및 밀가루 1-20중량%로 이루어진 분상 재료와 글리세린 1-20중량%, 살구씨오일 1-10중량% 및 유채오일 1-10중량%로 이루어진 액상 재료를 각각 혼합하는 제 2 단계;
    상기 혼합된 분상재료에 매실추출물 1-10중량% 및 꿀 1-10중량%을 혼합하여 70-90℃의 온도에서 끓인 후, 상기 혼합된 액상재료를 첨가하여 혼합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제 3 단계의 결과물에, 해초액 25-45중량%를 첨가하여 혼합한 후 2-4일간 발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050041831A 2005-05-18 2005-05-18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601191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1831A KR20060119198A (ko) 2005-05-18 2005-05-18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1831A KR20060119198A (ko) 2005-05-18 2005-05-18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9198A true KR20060119198A (ko) 2006-11-24

Family

ID=37706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1831A KR20060119198A (ko) 2005-05-18 2005-05-18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1919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5823B1 (ko) * 2007-04-20 2008-09-0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알긴산을 함유한 바디팩 조성물
KR101106012B1 (ko) * 2009-05-11 2012-01-17 농업회사법인 삼손푸드 주식회사 황토를 이용한 알칼리 소금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5823B1 (ko) * 2007-04-20 2008-09-0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알긴산을 함유한 바디팩 조성물
KR101106012B1 (ko) * 2009-05-11 2012-01-17 농업회사법인 삼손푸드 주식회사 황토를 이용한 알칼리 소금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188885B (zh) 一种滋润保湿型紫草润唇膏及其制备方法
JP3415198B2 (ja) 皮膚外用剤
KR101387308B1 (ko) 황칠나무 발효산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1810231B1 (ko) 프로폴리스 미세침 분말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US20130095196A1 (en) Blended oil skin moisturizer and skin repairer
KR102611063B1 (ko) 마사지용 크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44889B1 (ko) 항산화, 미백 및 주름개선 효과를 갖는 조성물
CN113679640A (zh) 一种天然滋养净肤护肤祛痘洁面凝露及其制备方法
JP3370289B2 (ja) 化粧料及び化粧料の製造方法
CN108542851A (zh) 一种中药保湿防皲裂护手霜及其制备方法
CN112891292A (zh) 一种含有天然植物有效成分的祛斑亮肤滋养的保湿洗面奶及其制备方法
CN112472629A (zh) 一种高良姜草果防晒乳液及其制备方法
EP2291173B1 (fr) Association d&#39;extraits de passiflore et d&#39;anchuse utilisable en cosmetique
KR101926080B1 (ko) 비누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비누
KR101869763B1 (ko) 무좀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CN109646329A (zh) 一种降真香精油祛斑霜及其制备方法
KR20060119198A (ko)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068320B1 (ko) 고보습 및 피부정화 효과를 갖는 포레스트 릴렉싱 스킨케어조성물
KR20160003918A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진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13278477A (zh) 一种美白保湿滋润抑菌的沐浴皂及其制备方法
KR20160003916A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또는 안색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11388360A (zh) 一种泡澡精油及其制备方法
KR101687293B1 (ko) 주름 및 아토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주름 및 아토피 개선용 화장품
KR20150052907A (ko) 도화, 괴화, 대황, 정향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070022949A (ko) 마사지용 스크럽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