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8056A -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사용자별 디바이스 제어장치 및방법 - Google Patents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사용자별 디바이스 제어장치 및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8056A
KR20060118056A KR1020050040487A KR20050040487A KR20060118056A KR 20060118056 A KR20060118056 A KR 20060118056A KR 1020050040487 A KR1020050040487 A KR 1020050040487A KR 20050040487 A KR20050040487 A KR 20050040487A KR 20060118056 A KR20060118056 A KR 200601180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home network
device control
control information
ho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0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라인환
이지훈
김창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404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18056A/ko
Publication of KR200601180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80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23Reporting information sensed by appliance or service execution status of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27Reporting to a device within the home network; wherein the reception of the information reported automatically triggers the execution of a home appliance functionality
    • H04L12/2829Reporting to a device within the home network; wherein the reception of the information reported automatically triggers the execution of a home appliance functionality involving user profiles according to which the execution of a home appliance functionality is automatically trigger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8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means detecting the change of an electrostatic or magnetic field, e.g. by detecting change of capacitance between electrodes
    • G06K7/08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means detecting the change of an electrostatic or magnetic field, e.g. by detecting change of capacitance between electrodes using inductive or magnetic sensors
    • G06K7/08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means detecting the change of an electrostatic or magnetic field, e.g. by detecting change of capacitance between electrodes using inductive or magnetic sensors inductive
    • G06K7/08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means detecting the change of an electrostatic or magnetic field, e.g. by detecting change of capacitance between electrodes using inductive or magnetic sensors inductive sensing magnetic material by relative movement detecting flux changes without altering its magnetised sta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04L12/282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based on user interaction within the ho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사용자별 디바이스 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예를 들어 각 가정마다 현관에 설치되어 있는 사용자 카드 리더기(Card Reader) 또는 지문 검출기(Finger Print Detector) 등을 통해 검출된 고유의 사용자 아이디(User ID)를 확인함과 아울러, 그 사용자 아이디와 연계 저장된 사용자별 디바이스 제어 정보(User Device Control Information)를 검색 참조하여, 해당 사용자가 기 설정한 제어 조건에 따라, 홈 네트워크에 연결 접속된 다양한 디바이스들을 자동으로 제어함으로써, 한 가정 내에 거주하는 다수의 사용자들 중 임의의 한 사용자가 외출 후 귀가하는 경우, 홈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을, 해당 사용자가 원하는 최적의 조건으로 자동 제어할 수 있게 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홈 네트워크 시스템, 사용자 아이디, 카드 리더기, 지문 검출기, 디바이스 제어 정보

Description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사용자별 디바이스 제어장치 및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evice each user in home network system}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홈 서버에 저장 관리되는 사용자별 디바이스 제어정보를 테이블 형태로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사용자별 디바이스 제어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홈 서버 110 : 디지털 텔레비전
120 : 조명 기기 130 : 에어컨
140 : 오디오 기기 150 : 현관기
160 : 무선 리모콘 패드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사용자별 디바이스 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예를 들어 한 가정 내에 거주하는 다수의 사용자들 중 임의의 한 사용자가 외출 후 귀가하는 경우, 그 사용자가 원하는 조건으로 홈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을 자동 제어하기 위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사용자별 디바이스 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홈 네트워크(Home Network)란, 사용자가 집안 또는 집밖에서 언제든지 편리하고 안전하게 경제적인 생활 서비스를 즐길 수 있도록 다양한 디지털 가전기기들이 서로 연결된 네트워크를 의미하는 것으로, 디지털 신호 처리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냉장고 또는 세탁기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가전기기들이 점차 디지털 화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가전기기 용 운영체제(Operation System) 기술과 고속 멀티 미디어(Multi-Media) 통신 기술 등이 디지털 가전기기에 접목됨과 아울러, 새로운 형태의 정보 가전기기들이 등장함에 따라 홈 네트워크 시스템이 더욱 발전하고 있다,
또한, 각 가정마다 현관에 설치되어 있는 현관기(예: Door Lock)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총괄 제어하는 홈 서버(Home Server)에 연결 접속될 수 있으며, 상 기 현관기에는, 사용자 식별을 위한 카드 리더기(Card Reader) 또는 지문 검출기(Finger Print Detector) 등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카드 리더기 또는 지문 검출기에 의해 검출된 사용자 아이디(예: 카드 번호, 지문 패턴)에 의해, 현관문을 선택적으로 오픈(Open)시킴으로써, 사전에 등록된 사용자가 아닌 경우, 현관문이 오픈되지 않도록 하여, 외부인의 무단 침입을 원천적으로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홈 서버에서는,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현관문이 오픈되는 경우, 현관에 설치된 조명 기기들을 자동으로 온(On)시켜, 사용자가 외출 후 귀가시, 보다 편하게 실내로 들어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텔레비전 등과 같은 특정 디바이스를 자동으로 온시켜, 실내 분위기를 바꾸게 된다.
그러나, 일반적인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는, 사용자가 외출 후 귀가하는 경우, 조명 기기 또는 텔레비전 등과 같은 특정 디바이스만을 획일적으로 온시키기 때문에, 한 가정 내에 거주하는 여러 명의 사용자들이 각각 원하는 다양한 조건으로 홈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을 각각 제어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것으로서, 예를 들어 각 가정마다 현관에 설치되어 있는 사용자 카드 리더기(Card Reader) 또는 지문 검출기(Finger Print Detector) 등을 통해 검출된 고유의 사용자 아이디 (User ID)를 확인함과 아울러, 그 사용자 아이디와 연계 저장된 사용자별 디바이스 제어 정보(User Device Control Information)를 검색 참조하여, 해당 사용자가 기 설정한 제어 조건에 따라, 홈 네트워크에 연결 접속된 다양한 디바이스들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사용자별 디바이스 제어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사용자별 디바이스 제어방법은, 현관기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 아이디를 확인하는 1단계; 상기 확인된 사용자 아이디와 연계 저장된 디바이스 제어정보를, 다수의 사용자별 디바이스 제어정보 내에서 검색 독출하는 2단계; 및 상기 독출된 디바이스 제어정보에 따라, 홈 네트워크에 연결 접속된 각 디바이스들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사용자별 디바이스 제어장치는, 홈 네트워크를 통해 다수의 디바이스들이 연결 접속된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현관기에 설치되어, 사용자 아이디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수단; 및 상기 검출된 사용자 아이디와 연계 저장된 디바이스 제어정보를, 다수의 사용자별 디바이스 제어정보 내에서 검색 독출하여, 각 디바이스들을 자동으로 동작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사용자별 디바이스 제어장치 및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예를 들어, 가정 내에 설치된 전력선(Power Line) 등과 같은 홈 네트워크(Home Network)를 통해 홈 서버(100), 디지털 텔레비전(110), 조명 기기(120), 에어컨(130), 그리고 오디오 기기(140) 등이 연결 접속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홈 서버(100)는, 무선 리모콘 패드(160)에 의해 원격 제어될 수 있으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가정의 현관에 설치된 현관기(예: Door Lock)(150)와 연결 접속되는 데, 상기 현관기(150)에는, 사용자 식별을 위한 카드 리더기(Card Reader) 또는 지문 검출기(Finger Print Detector) 등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현관기(150)에 설치된 카드 리더기 또는 지문 검출기에서는, 사용자가 접촉하는 사용자 카드의 카드 번호(Card Number) 또는 사용자 손가락의 지문 패턴(Finger Print Pattern)을 검출하게 되고, 상기 현관기(150)에서는, 기 설정된 유효한 사용자 아이디(User ID)인 지를 판별하여, 현관문을 선택적으로 오픈(Open)하는 일련의 도어 락(Door Lock) 또는 오픈(Door Open)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현관기(150)에서는, 상기와 같이 검출된 카드 번호 또는 지문 패턴을, 상기 홈 서버(100)로 전송하게 되는 데, 상기 홈 서버(100)에는,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 카드 번호 또는 지문 패턴에 상응하는 고유의 사용자 아이디들(User_ID #1, #2..)이 각각 저장 관리되며, 각 사용자 아이디에는, 해당 사용자에 의해 기 설정된 디바이스 제어정보가 연계되어, 각 사용자별 디바이스 제어정보(User Device Control Information)로서 저장 관리된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아이디(User_ID #1)에는, 디지털 텔레비전(Digital TV)을 온(ON) 상태로 제어함과 아울러, 기 설정된 특정 메시지(예: "엄마 10시에 귀가 예정임")가 표시되도록 하기 위한 제어정보가 연계 저장되고, 또한 조명 기기(Light)를 온(ON) 상태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정보가 연계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사용자 아이디(User_ID #2)에는, 조명 기기(Light)를 온(ON) 상태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정보와, 에어컨(Air Conditioner)을 제1 단계(Step 1)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정보, 그리고 오디오 기기(Audio)에서 팝송 1이 재생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정보가 각각 연계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홈 서버(100)에서는, 상기와 같이 현관기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 아이디를 확인하여, 그 사용자 아이디와 연계 저장된 디바이스 제어정보를 검색 독출한 후, 홈 네트워크에 연결 접속된 해당 디바이스들을 자동으로 제어하게 되는 데, 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사용자별 디바이스 제어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 것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현관기(150)에서는, 카드 리더기 또는 지문 검출기에 의해 검출된 사용자 아이디(User_ID)를, 홈 서버(100)로 전송하게 되고(S10), 상기 홈 서버(100)에서는, 상기 사용자 아이디를 확인한 후, 그 사용자 아이디와 연계 저장된 디바이스 제어정보를, 도 2를 참조로 전술한 바 있는 사용자별 디바이스 제어정보(User Device Control Information) 내에서 검색 독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홈 서버(100)에서는, 상기 검색 독출된 디바이스 제어정보에 따라, 그에 해당하는 각 디바이스들을 자동으로 동작 제어하게 되는 데, 예를 들어, 상기 홈 서버(100)에서는, 디지털 텔레비전(110)으로 'TV01/HS01/Req/Display /Msg'의 요구 커맨드(Request Command)를 전송하여, 상기 디지털 텔레비전(110)이 온 상태에서, 기 설정된 메시지가 화면 표시되도록 제어하게 된다(S11).
한편, 상기 디지털 텔레비전(110)에서는, 상기 요구 커맨드에 상응하는 'HS01/TV01/Res/Display/1'의 응답 커맨드(Response Command)를 생성하여, 상기 홈 서버(100)로 전송하게 되고(S12), 또한, 상기 홈 서버(100)에서는, 조명 기기(120)로 'LT1/HS01/Req/Control/Power1'의 요구 커맨드를 전송하여, 상기 조명 기기(120)가 온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게 된다(S13).
그리고, 상기 조명 기기(120)에서는, 상기 요구 커맨드에 상응하는 'HS01/ LT01/Res/Control/1'의 응답 커맨드를 생성하여, 상기 홈 서버(100)로 전송하게 되고(S14), 또한, 상기 홈 서버(100)에서는, 에어컨(130)으로 'AC01/HS01/Req/ Control/Power1'의 요구 커맨드를 전송하여, 상기 에어컨(130)이 온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게 된다(S15).
한편, 상기 에어컨(130)에서는, 상기 요구 커맨드에 상응하는 'HS01/AC01/ Res/Control/1'의 응답 커맨드를 생성하여, 상기 홈 서버(100)로 전송하게 되고(S16), 또한, 상기 홈 서버(100)에서는, 오디오 기기(140)로 'AU01/HS01/Req/Play /Music=1'의 요구 커맨드를 전송하여, 상기 오디오 기기(140)에서 기 설정된 1 번 오디오 곡이 재생되도록 제어하게 된다(S17).
그리고, 상기 오디오 기기(140)에서는, 상기 요구 커맨드에 상응하는 'HS01/ AU01/Res/Play/1'의 응답 커맨드를 생성하여, 상기 홈 서버(100)로 전송하게 되므로(S18), 한 가정 내에 거주하는 다수의 사용자들 중 임의의 한 사용자가 외출 후 귀가하는 경우, 홈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을, 해당 사용자가 원하는 최적의 조건으로 자동 제어하게 된다.
참고로, 상기 현관기에는, 카드 리더가 또는 지문 검출기 이외의 또다른 사용자 검출기, 예를 들어 사용자 눈동자 또는 정맥 패턴 검출기 등이 설치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사용자별 디바이스 제어정보 내에는, 또다른 다양한 유형의 제어 정보들이 포함 기록될 수 있다.
이상, 전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으로, 당업자라면, 이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또다른 다양한 실시예들을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 및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사용자별 디바이스 제어장치 및 방법은, 예를 들어 각 가정마다 현관에 설치되어 있는 사용자 카드 리더기(Card Reader) 또는 지문 검출기(Finger Print Detector) 등을 통해 검출된 고유의 사용자 아이디(User ID)를 확인함과 아울러, 그 사용자 아이디와 연계 저장된 사용자별 디바이스 제어 정보(User Device Control Information)를 검색 참조하여, 해당 사용자가 기 설정한 제어 조건에 따라, 홈 네트워크에 연결 접속된 다양한 디바이스들을 자동으로 제어함으로써, 한 가정 내에 거주하는 다수의 사용자들 중 임의의 한 사용자가 외출 후 귀가하는 경우, 홈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을, 해당 사용자가 원하는 최적의 조건으로 자동 제어할 수 있게 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9)

  1. 현관기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 아이디를 확인하는 1단계;
    상기 확인된 사용자 아이디와 연계 저장된 디바이스 제어정보를, 다수의 사용자별 디바이스 제어정보 내에서 검색 독출하는 2단계; 및
    상기 독출된 디바이스 제어정보에 따라, 홈 네트워크에 연결 접속된 각 디바이스들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사용자별 디바이스 제어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1단계는, 현관기에 설치된 카드 리더기 또는 지문 검출기를 통해 검출된 고유의 사용자 카드 번호 또는 지문을 수신하여, 사용자 아이디로서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사용자별 디바이스 제어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2단계는, 상기 확인된 사용자 아이디와 연계 저장된 디바이스 제어정보를, 홈 서버 내에 기 저장된 다수의 사용자별 디바이스 제어정보에서 검색 독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사용자별 디바이스 제어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3단계는, 상기 독출된 디바이스 제어정보에 따라, 홈 네트워크에 연결 접속된 각 디바이스로 제어 커맨드를 생성하여 송신하고, 해당 디바이스로부터 응답 커맨드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가 기 설정한 조건으로 자동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사용자별 디바이스 제어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해당 사용자의 아이디와, 홈 네트워크에 연결 접속된 각 디바이스들에 대한 제어 조건을 연계시켜, 사용자별 디바이스 제어정보로 저장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사용자별 디바이스 제어방법.
  6. 홈 네트워크를 통해 다수의 디바이스들이 연결 접속된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현관기에 설치되어, 사용자 아이디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수단; 및
    상기 검출된 사용자 아이디와 연계 저장된 디바이스 제어정보를, 다수의 사용자별 디바이스 제어정보 내에서 검색 독출하여, 각 디바이스들을 자동으로 동작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사용자별 디바이스 제어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수단은, 상기 현관기에 설치된 사용자 카드 리더기 또는 지문 검출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사용자별 디바이스 제어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다수의 사용자 아이디들과, 각 사용자별 디바이스 제어정보들이 연계 저장된 홈 서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사용자별 디바이스 제어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홈 서버에서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해당 사용자의 아이디와, 홈 네트워크에 연결 접속된 각 디바이스들에 대한 제어 조건을 연계시켜, 사용자별 디바이스 제어정보로 저장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사용자별 디바이스 제어장치.
KR1020050040487A 2005-05-16 2005-05-16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사용자별 디바이스 제어장치 및방법 KR200601180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0487A KR20060118056A (ko) 2005-05-16 2005-05-16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사용자별 디바이스 제어장치 및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0487A KR20060118056A (ko) 2005-05-16 2005-05-16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사용자별 디바이스 제어장치 및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8056A true KR20060118056A (ko) 2006-11-23

Family

ID=37705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0487A KR20060118056A (ko) 2005-05-16 2005-05-16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사용자별 디바이스 제어장치 및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1805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64679A1 (en) * 2014-04-24 2015-10-29 Greenwave Systems PTE Ltd. Event trigger on wireless device detection
WO2023096271A1 (ko) * 2021-11-26 2023-06-01 삼성전자 주식회사 탑승자 모니터링 시스템에 기반하여 외부 장치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64679A1 (en) * 2014-04-24 2015-10-29 Greenwave Systems PTE Ltd. Event trigger on wireless device detection
CN106465152A (zh) * 2014-04-24 2017-02-22 格立威系统有限公司 关于无线设备检测的事件触发
US9613512B2 (en) 2014-04-24 2017-04-04 Greenway Systems PTE LTD Event trigger on wireless device detection
WO2023096271A1 (ko) * 2021-11-26 2023-06-01 삼성전자 주식회사 탑승자 모니터링 시스템에 기반하여 외부 장치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91467B1 (en) Adaptive remote controller
EP1665552B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assigning names to devices in a network
CN105427416A (zh) 二维码开锁方法和系统
JP2012022706A (ja) 制御環境内のコンポーネントを自動的に管理するための方法、システ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製品
US8432490B2 (en) Display systems and information display methods thereof
CN101163069A (zh) 信息处理机器和信息处理系统
JP2007081719A (ja) ネットワーク型コンテンツ再生システムおよびそのコントローラおよびクライアント
JP2004096294A (ja) 電子機器制御装置、電子機器制御システムおよび電子機器制御方法
US7516251B2 (en) Content provid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output device, and method, and program
KR20040016791A (ko) 전자 기기 제어 장치, 전자 기기 제어 시스템 및 전자기기 제어 방법
KR20060099147A (ko)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장치를 자동 전환하는 장치 및 그방법
JP2007074710A (ja) オーディオ・ビジュアルデータ通信システム、オーディオ・ビジュアルデータ通信方法、オーディオ・ビジュアルデータ通信プログラム及びオーディオ・ビジュアルデータ通信システム用の鑑賞空間切替装置
JP2005307736A (ja) 機器制御装置、機器制御方法、機器制御プログラム及び機器制御システム
JP2927940B2 (ja) オープンチャンネルから構成される少くとも1個の部分を有する回路網内のユニットを登録する方法
KR20060118056A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사용자별 디바이스 제어장치 및방법
JP4716093B2 (ja) 制御機器および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CN103238292A (zh) 通信系统
KR20200140025A (ko) 출입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입 관리 방법
JP3232807U (ja) リモコンシステム
JP7059244B2 (ja) 認証システムおよび警報器
JP2015170297A (ja) 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装置
JP2005235296A (ja) コンテンツ再生装置
KR100723095B1 (ko) 음성 센서를 이용한 정보 거울 디바이스에서의 사용자식별방법
KR100682685B1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메시지 전달방법
KR20060127575A (ko) 홈네트워크 제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