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7996A - 단거리 무선 접속 기기에 사용하기 위한 향상된 능력들을나타내는 프로토콜 - Google Patents

단거리 무선 접속 기기에 사용하기 위한 향상된 능력들을나타내는 프로토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7996A
KR20060117996A KR1020067016306A KR20067016306A KR20060117996A KR 20060117996 A KR20060117996 A KR 20060117996A KR 1020067016306 A KR1020067016306 A KR 1020067016306A KR 20067016306 A KR20067016306 A KR 20067016306A KR 20060117996 A KR20060117996 A KR 200601179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et
enhanced
procedure
perform
p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63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87531B1 (ko
Inventor
패이비 엠. 루우스카
아르토 팔린
주카 레우나매키
Original Assignee
노키아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키아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노키아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601179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79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75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75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18Negotiating wireless communication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40Network security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Abstract

본원에는 향상된 질의 및/또는 페이징 절차를 접속 절차의 일부로서 사용하는 다른 장치에의 접속 설정 시도로 단거리 무선 접속 프로토콜에 따라 통신하는 장치에 사용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며, 상기 방법은 상기 장치가 상기 다른 장치에의 접속을 설정하기 위한 제1 패킷을 송신하고, 다른 장치가 상기 향상된 절차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지에 의존하는 콘텐츠를 지니는 하나 이상의 응답 패킷을 통해 상기 다른 장치가 응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패킷은 상기 장치가 자체적으로 상기 향상된 절차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는 것을 미리 결정된 비트 패턴을 통해 표시하는 확장 데이터를 포함하는 식별자 패킷이다.

Description

단거리 무선 접속 기기에 사용하기 위한 향상된 능력들을 나타내는 프로토콜{Protocol for indicating enhanced capabilities for use by short­range wireless connectivity equipment}
본 발명은 단거리 무선 접속 분야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기술하면, 본 발명은 예컨대, 블루투스(Bluetooth)에 따르는 장치들 간의 단거리 무선 접속에 관한 것이다.
다른 특징 중에서도 특히 2.4㎓ 스펙트럼을 공유하는 무선 기술들 간의 간섭을 감소시키도록 설계된 적응형 주파수 호핑(Adaptive Frequency Hopping; AFH)을 소개하는 블루투스 1.2 사양은 소위 블루투스 '특별 관심 그룹(Special Interest Group; SIG)에 의해 공식적으로 채택되었다. 그러나, 블루투스 SIG는 계속해서 블루투스를 개선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서비스 품질(quality of service; QoS), 스캐터네팅(scatterneting), 및 접속 설정과 연관된 착상(idea)들을 포함한 논의중인 가능한 개선점이 몇 가지 존재한다.
블루투스에서는, 어느 2대의 장치가 서로 접속되어 서로 통신될 수 있기 전에, 상기 2대의 장치들은 제1 장치가 상기 제1 장치에 알려져 있지 않은 주소를 지니는 다른 장치에 접속하려고 할 경우에 2가지 단계, 즉 질의 및 페이징을 포함하 는 장치 발견 절차(device discovery procedure)를 거쳐야 한다. 질의 단계/국면은 장치들이 서로 찾기 위한 것이고, 페이징 단계/국면은 실제의 접속들을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임의의 장치가 접속을 개시할 수 있다. 이때, 개시하는 장치는 소위 마스터가 된다. 접속이 후속 페이지(PAGE) 메시지가 이어지는 질의(INQUIRY) 메시지에 의해 설정된다. 제1 장치가 다른 장치의 주소를 알고 있는 경우에, 통신이 페이지(PAGE) 메시지에 의해 개시된다.
질의 프로세스에서는, 장치들이 (페이징(paging)이라 불리는) 실제의 접속 설정을 수행하도록 데이터를 교환한다. 개선 착상들 중 하나는 질의 프로세스 동안 더 많은 정보가 내보내질 수 있게끔 현재의 질의 절차를 확장함으로써, 특정 장치드에 더 신속하게 접속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향상된 질의 공정의 기본 착상은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향상된 질의-스캐닝 장치/스캐너(120)가 향상된 질의 장치/질의자(11)로부터의 ID 패킷(11a)에 응답하여 통신 장치들(110,120)의 홉 시퀀스를 동기화하기 위해 사용되는 주파수 홉 동기화(frequency hop synchronization; FHS)를 제공한 후에, 상기 향상된 스캐너(120)가 서비스 발견 및 다른 장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 비동기 통신 링크(asynchronous communication link; ACL) 패킷으로서 어떤 사전 정의된 추가 데이터(12b)를 내보낸다는 것이다. 상기 추가 데이터는 질의자가 레거시(legacy) 장치일 경우에 ID 패킷들과 충돌하지 않게끔 FHS 패킷과 동일한 주파수로 전송된다. 이후에, 상기 향상된 질의자(110)는 추가 데이터를 스캐닝하고 장치(120)가 추가 정보를 제공한 장치 식별정보 및 다른 속성들에 관한 부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데, 상기 추가 정보를 통해, 질의자(11)가 찾고 있는 것이 상기 장치(120)인지, 또는 상기 질의자가 찾고 있는 서비스들 또는 특징들을 상기 장치(120)가 제공하는 지를 상기 향상된 질의자는 더 신속하게 결정할 수 있다.
향상된 질의자는 비-향상/레거시 질의자와 동일한 ID 패킷들을 사용한다. 또한, 향상된 스캐너는 비-향상/레거시 스캐너와 동일한 FHS 패킷들을 사용한다. 그러므로, 질의 프로세스 동안, 질의자도 스캐너도 다른 것이 향상된 질의를 지원하는지를 알 수 없다. 이 때문에, 향상된 스캐너는 비록 질의자가 추가 정보를 판독할 수 없지만 상기 추가 정보를 내보내게 된다. 이는 질의자가 추가 데이터르르 판독할 수 없는 경우에 공업, 과학 및 의료용(industry-scientific-medical; ISM) 대역에서의 어떤 불필요한 간섭을 일으킨다. 도 2에는 레거시 질의자(11)가 향상된 스캐너(120)와의 통신을 이루고 있는 경우가 예시되어 있는데, 상기 향상된 스캐너(120)는 레거시 질의자(11)로부터 ID 패킷(11a)을 수신함에 응답하여 추가 데이터(12b)를 송신하는데, 그 이유는 상기 질의자(11)가 비-향상되어 있다고 상기 향상된 스캐너(120)가 결정할 수 없기 때문이다. 도 3에는 비록 FHS 패킷을 송신하는 상기 스캐너가 비-향상/레거시 스캐너이여서 추가 데이터를 송신하지 못하지만, 향상된 질의자가 FHS 패킷 다음에 추가 데이터를 탐색하는 경우가 예시되어 있다.
질의 프로세스에 대한 개선 착상, 다시 말하면 향상된 질의 제안은 상기 향상된 질의자만이 수 밀리초 동안 여분의 데이터를 리스닝(listening)하는데, 다시 말하면 그러한 시간 주기 내에 어떠한 추가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 상기 향상된 질의자가 상기 시간 주기 직후에 ID 패킷들의 전송을 재개할 수 있는 것으 로 규정짓고 있다. 그러나, 단지 수 밀리초만에 리스닝 직후 전송 개시는 불가능한데, 그 이유는 ID 패킷이 질의하는 장치가 추가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튜닝되는 채널과는 다른 채널을 통해 송신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추가 데이터를 대기하기 때문에, 채널을 스캐닝하는 스캐너가 존재할 경우에는, 상기 질의하는 장치가 질의 응답 패킷을 놓치게 된다.
접속 설정에 관한 다른 제안은 도 9에 예시된 향상된 페이징 제안이다. 상기 방법은 실제의 접속 상태에 진입하지 않고 장치들이 소량의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게 하도록 통상의 페이징 절차를 수정하는데, 이는 페이징 장치(910), 다시 말하면 마스터로서의 역할을 하는 장치가 FHS 패킷 대시에 임의의 패킷을 전송할 수 있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다. 페이지 스캐닝 장치(920), 다시 말하면 슬레이브로서의 역할을 하는 장치가 마스터 응답으로서 FHS 패킷 대신에 다른 어떤 패킷(91b)을 수신할 경우에, 이는 상기 제안에 따라 임의의 패킷(92b)을 통해 응답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장치들은 각각 예컨대 비즈니스 카드와 같은 정보의 패킷을 다른 장치에 무선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패이지 스캐닝 장치(920)가 FHS 패킷을 수신할 경우에(다시 말하면, 상기 패킷(91b)이 FHS 패킷일 경우에), 접속이 통상적인 방식으로 설정된다.
향상된 질의에 대한 것과 같은 문제는 또한 향상된 페이징에 대하여도 생긴다. 향상된 페이징 절차가 통상적인 질의 절차 다음에 생길 경우에, 그리고 상기 장치들이 이전에 접속되지 않은 경우에, 페이징 장치는 페이지 스캐닝 장치가 향상된 페이징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알지 못한다. 도 10에 예시된 바와 같이, 레거시 페이지-스캐닝 장치/슬레이브(92)는 마스터 응답으로서 FHS 패킷을 대기한다. 블루투스 1.2 사양에 의하면 그리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레이브(92)는 어더한 FHS 패킷도 수신되지 않는 동안 또는 대시 시간이 초과된 것을 pagerespTO(8 슬롯) 타이머가 나타낼 때까지 리스닝한다. 레거시 페이지-스캐닝 장치가 다른 어떤 패킷(91b)을 수신할 경우에, 이는 계속해서 FHS 패킷을 수신하기를 대기한다. 그러므로, 향상된 페이징은 다른 장치드에 대한 페이지 스캐닝 레거시 장치의 접속 설정을 지연시킨다.
위에 언급된 종래 기술의 단점을 고려해 볼 때, 본 발명의 제1 실시태양에서는, 제1 장치가 접속 설정을 위해 단거리 무선 접속 프로토콜에 따라 제1 패킷을 송신하는 단계; 및 제2 장치가 상기 제1 패킷을 수신하고 하나 이상의 응답 패킷을 송신함으로써 상기 단거리 무선 접속 프로토콜에 따라 응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응답 패킷들의 콘텐츠는 상기 제2 장치가 향상된 절차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지에 의존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태양에 의하면, 상기 향상된 절차가 향상된 질의 절차 또는 향상된 페이징 절차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태양에 의하면, 상기 제1 패킷은 상기 제1 장치가 상기 향상된 절차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는 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제1 장치가 질의자 장치 또는 페이징 장치일 수 있으며 상기 제2 장치가 스캐닝 장치이고, 상기 제1 패킷은 상기 제1 장치가 상기 향상된 절차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는 표시를 미리 결정된 비트 패턴을 통해 전달하는 확장 데이터를 포함하도록 확장된 식별자 패킷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태양에 의하면, 상기 제1 장치는 질의자 장치 또는 페이징 장치이며 상기 제2 장치는 스캐닝 장치일 수 있고, 상기 제1 패킷은 식별자 패킷일 수 있으며 상기 하나 이상의 응답 패킷이 동기 패킷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하나 이상의 응답 패킷 중 적어도 하나의 응답 패킷은 상기 제2 장치가 상기 향상된 절차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는 표시를 미리 결정된 비트 패턴을 통해 전달하는 확장 데이터를 포함하도록 확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태양에 의하면, 상기 방법은, 상기 제2 장치가 하나 이상의 응답 패킷에서 상기 제2 장치가 추가 데이터를 전달하는 패킷들을 송신한다는 표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장치가 추가 데이터를 전달하는 패킷들을 송신한다는 표시 다음에 이어지는 추가 데이터를 상기 제2 장치가 포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태양에 의하면, 상기 제2 장치는 향상된 절차에 따른 추가 데이터가 이어지는 비-향상된 절차에 따른 동기 정보를 하나 이상의 응답 패킷으로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태양에 의하면, 상기 향상된 절차는 향상된 질의 절차일 수 있으며, 상기 제1 장치는 질의 장치일 수 있고, 상기 제1 장치가 상기 향상된 절차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는 표시를 전달하는 확장 데이터를 포함하도록 확장된 식별자 패킷을 상기 제1 패킷으로서 송신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장치가 스캐닝 장치일 수 있고, 상기 제1 패킷에 응답하여 상기 스캐닝 장치는 추가 데이터를 전달하는 패킷이 이어지는 동기 패킷을 송신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방법은, 상기 스캐닝 장치가 상기 동기 패킷에서 상기 스캐닝 장치가 상기 동기 패킷을 송신한 다음에 추가 데이터를 전달하는 패킷들을 송신한다는 표시를 포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태양에 의하면, 상기 향상된 절차는 향상된 페이징 절차일 수 있으며 상기 제1 장치는 페이징 장치일 수 있고 상기 제1 장치가 상기 향상된 절차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는 표시를 전달하는 확장 데이터를 포함하도록 확장된 식별자 패킷을 상기 제1 패킷으로서 송신할 수 있으며, 그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장치는 상기 스캐닝 장치가 상기 향상된 절차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는 표시를 전달하는 확장 데이터를 포함하도록 확장된 식별자 패킷을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태양에서는, 단거리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따른 무선 통신용으로 구성된 장치에서 컴퓨터 프로세서를 통한 실행을 위해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가 포함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구조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생성물이 제공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장치가 다른 장치에의 접속 설정을 위해 단거리 무선 접속 프로토콜에 따라 제1 패킷을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장치가 상기 다른 장치로부터 하나 이상의 응답 패킷을 수신하고 상기 다른 장치가 향상된 절차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지를 결정하도록 상기 하나 이상의 응답 패킷을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태양에 의하면, 단거리 무선 접속 프로토콜에 따라 통신하는 장치가 제공되며, 상기 장치는, 상기 장치가 다른 장치에의 접속 설정을 위해 단거리 무선 접속 프로토콜에 따라 제1 패킷을 송신하는 수단; 및 상기 장치가 상기 다른 장치로부터 하나 이상의 응답 패킷을 수신하고, 상기 다른 장치가 향상된 절차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지를 결정하도록 상기 하나 이상의 응답 패킷의 콘텐츠를 사용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태양에 의하면, 단거리 무선 접속 프로토콜에 따라 통신하기 위한 복수 개의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가 제15항에 따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위에 언급된 목적, 특징 및 이점 그리고 기타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도면들과 연관지어 제시된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고려하면 자명해질 것이다.
도 1 -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향상된 질의를 위한 시그널링을 보여주는 시그널링/타이밍 다이어그램들이다.
도 4는 질의 응답 패킷(FHS-패킷)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FHS 패킷의 수정된 무정의 필드의 사용을 예시하는 시그널링/타이밍 다이어그램이다.
도 6은 FHS 패킷 다음에 스캐너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질의자 능력을 나타 내도록 본 발명에 따른 ID 패킷의 확장을 예시하는 시그널링/타이밍 다이어그램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ID 패킷의 정상 비트들 다음에 비트 시퀀스의 사용을 예시하는 시그널링/타이밍 다이어그램들이다.
도 9는 종래 기술에 따른 향상된 페이징을 예시하는 시그널링/타이밍 다이어그램이다.
도 10은 종래 기술에 따른 향상된 페이징 문제를 예시하는 시그널링/타이밍 다이어그램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ID 패킷으로서 장치가 향상된 페이징을 제공하도록 채택되는 것을 나타내는 비트들을 포함하는 시그널링/타이밍 다이어그램이다.
도 12는 레거시 장치(종래 기술), 및 본 발명에 따른 확장된 ID 패킷을 통한 향상된 페이징을 예시하는 시그널링/타이밍 다이어그램이다.
도 13a 및 도 13b는 2개의 장치가 통신을 수행하며 2개의 장치 중 한 장치 또는 다른 한 장치가 향상된 질의 또는 페이징 절차를 수행하도록 장착되어 있는 본 발명의 필수 시그널링을 보여주는 블록 선도들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시그널링에서 도 13a 및 도 13b의 2개의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단계들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단거리 무선 접속 프로토콜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질의(원격통신) 장치 및 스캐닝(원격 통신) 장치의 경우에, 상기 질의 장치는 ID 패 킷인 것이 전형적인 제1 패킷을 전송하며 그에 응답하여 상기 스캐닝 장치는 제2 장치가 본 발명에 따라 동작하는 경우에 상기 제2 장치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들과 같은 상기 제2 장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패킷인 것이 전형적인 제2 패킷을 전송하고 상기 질의 장치는 상기 질의 장치가 향상된 절차를 수행하는데 적합하다는 표시자를 상기 제1 패킷에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향상된 질의 절차에서, 향상된 질의자는 몇몇 여분의 비트를 상기 향상된 질의자가 송신하는 ID 패킷들에 가산함으로써 향상된 질의자가 종래 기술의 추가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는 것을 향상된 스캐너가 알게 하거나, 향상된 페이징 절차에서, 상기 향상된 페이지 스캐닝 장치가 단지 FHS 패킷만을 대신하여 임의의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는 것을 향상된 페이징 장치가 안다. 더욱이, 몇몇 실시예에서, 질의 스캐너 응답 패킷들(FHS 패킷) 내의 몇몇 무정의 비트들은 상기 스캐너가 향상된 스캐너이여서 추가 데이터를 전달한다는 것을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향상된 질의 또는 향상된 페이징에 대한 ID 패킷은 상기 질의자/페이저가 본 발명에 따라 동작함으로써, 향상된 질의(도 7 참조)의 경우에 상기 스캐너로부터 FHS 패킷을 수신한 다음에 상기 스캐너 데이터로부터 추가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능력을 지니며, 향상된 페이징(도 11 참조)의 경우에 ID 패킷의 전송 이후, 단지 FHS 패킷만 아니고, 추가 데이터를 스캐너에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도록 본 발명에 따라 몇몇 비트에 대해 확장된다(예컨대, 도 7 및 도 11을 참조하고 도 1 및 도 9를 각각 비교해 보기 바람).
상기 확장은 예컨대, 종래 기술의 멀티캐스트 응답 확인 패킷 제안에서 사용 된 것과 유사할 수 있다. 그러한 확장은 송신 장치(질의자 또는 페이저)가 본 발명에 따라 동작한다는 것을 나타내도록 확장되는 ID 패킷(110a)을 나타내는 도 6에 예시되어 있다. 종래 기술의 ID 패킷 부분들 다음에 확장 비트 시퀀스의 사용이 도 7 및 도 8에 예시되어 있다. 상기 확장은 비트들 111000을 전달하는 부분이 뒤따르는 후미 부분을 포함하며, 이들 모두는 프리앰블 부분 및 일반 질의 액세스 코드(General Inquire Access Code; GIAC) 부분을 포함하는 종래 기술의 ID 패킷 다음에 이어진다. (상기 종래 기술 ID 패킷은 페이징, 질의 및 응답 루틴들에서 사용되는 68-비트 패킷이다. 이는 본질적으로 장치 액세스 코드(device access code; DAC) 또는 질의 액세스 코드(inquiry access code; IAC)이다. 상기 일반 질의 액세스 코드(GIAC) 부분은 레인지(range)로 모든 장치를 발견하는데 사용되는 디폴트 질의 코드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향상된 스캐너는 본 발명에 따라 확장된 ID 패킷을 판독하여 질의자가 본 발명에 따라 동작하는지를 결정한다. 향상된 질의를 지원하지 않는 스캐너들은 ID 패킷의 확장을 판독하려고 하지 않는데, 다시 말하면, 그러한 레거시 스캐너들에 대한 ID 패킷은 통상의 (비-확장된) ID 패킷인 것으로 생각된다.
도 4에는 종래 기술이지만 본 발명에 따라 더 구체화된 질의-응답 패킷(즉, FHS 패킷)이 도시되어 있다. 종래 기술의 FHS 패킷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2-비트 무정의 필드가 존재한다. 블루투스 1.2에는 무정의 필드가 향후의 사용을 위한 것이며 영(0)으로 설정된다고 언급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무정의 필드는 확장된 스캐너 능력을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예를 들면, 무정의 필드에 대 한 01 값은 확장된 스캐너 능력을 나타내는데 사용될 수 있는데, 다시 말하면 상기 스캐너가 FHS 패킷을 내보낸 다음에 여분의 데이터(추가 데이터)를 내보내는 것을 나타내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동작하는 향상된 질의자(110)는 본 발명에 따라 수정된 FHS 패킷(120a) 내의 비트들을 검출할 수 있음으로써 상기 FHS 패킷 다음에 몇몇 추가의 데이터가 존재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그러므로, 향상된 질의자는 모든 수신된 FHS 패킷 다음에 여분의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려고 할 필요가 없고 단지 본 발명에 따라 수정된 FHS 패킷을 수신할 경우에만 모든 수신된 FHS 패킷 다음에 여분의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려고 함으로써, 무정의 필드에 대해 영(0)이 아닌 값을 지닌다. 향상된 질의를 지원하지 않는 질의자는 상기 무정의 필드를 무시함으로써, 상기 무정의 필드는 영(0)이든 영이 아니든, 그러한 장치의 동작에 전혀 영향을 주지 않는다.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동작하는 향상된 질의자(110)가 향상된 질의 스캐닝 절차를 수행하도록 구비되어 있다고 질의-스캐닝 장치(120)에 반드시 통지할 필요가 없음에 유념하는 것이 중요하다. 상기 향상된 질의-스캐닝 장치(120)는, 상기 질의자 장치(110)가 향상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임의의 표시자를 상기 향상된 질의-스캐닝 장치(120)가 상기 질의자 장치(110)로부터 수신하는 것과 무관하게, 단지 수정된 FHS 패킷(120a)을 전송함으로써만 상기 FHS 패킷(120a) 다음에 몇몇 여분의 데이터(ACL 패킷)가 존재한다는 것을 향상된 질의자(110)에 통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수정된 ID 패킷을 제공하도록) 질의 ID 패킷(110a)(의 종단 부분에 추가된) 다음의 추가 비트 시퀀스(도 7 참조)는 도 2에서 제시된 문제, 다시 말하면 단지 질의하는 장치가 여분의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예컨대, 종래 기술에 따라) 채택되는 경우에만 스캐닝 장치가 상기 여분의 데이터를 송신할 준비를 수행하는 문제를 해결한다. 상기 FHS 패킷(120a)의 수정된 무정의 필드(다시 말하면, 상기 스캐너가 FHS 패킷 다음에 추가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나타내도록 무정의 필드에 대한 값을 정의하는 FHS(120a)의 수정된 무정의 필드)는 도 3에 제시된 문제, 다시 말하면 단지 스캐닝 장치가 실제로 여분의 데이터(다시 말하면, 추가 데이터)를 제공할 경우에만 질의하는 장치가 FHS 패킷 다음에 여분의 데이터를 수신하려고 할 준비를 수행하는 문제를 해결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정된 ID 패킷(110a) 및 수정된 FHS 패킷(120a) 모두가 사용될 수 있다. 이후로는, 향상된 질의자(110) 및 향상된 스캐너(120) 모두는 그 외의 것이 향상된 질의에 채택되는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향상된 질의를 개선하도록 질의 ID 패킷의 확장을 사용하는 것 외에, 상기 확장은 또한 페이징 절차를 개선하기 위해 ID 패킷들에서 사용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향상된 페이징 절차에서, 본 발명에 따라 동작하는 향상된 페이징 장치(910)는 상기 페이징 장치가 (상기 ID 패킷을 통해 추가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본 발명에 따라 수정되는) 향상된 페이징 장치임을 표시하기 위한 확장을 통해 (상기 페이징 장치의 소위 장치 액세스 코드(DAC)를 사용하여) ID 패킷(910a)을 송신함으로써, 상기 페이징 장치가 종래 기술에 따르지만 상기 ID 패킷을 통해 확장 데이터를 제공하도록 본 발명에 의해 수정된 향상된 페이징 장치이기 때문에) 상기 페이징 장치가 ID 패킷을 송신한 다음에 FHS와는 다른 데이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라 동작하는 페이지-스캐닝 장치(920)는 확장 데이터(도 6 참조)의 비트들을 수신 및 판독한다.
또한 도 11에 예시된 바와 같이, 페이지-스캐닝 장치는 확장된 ID 패킷, 다시 말하면 본 발명에 따르며 상기 장치가 향상된 페이징을 제공하도록 채용됨을 나타내는 비트들을 포함하는 ID 패킷을 통해 응답함으로써 향상된 페이징 절차가 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레거시 페이지-스캐닝 장치는 (통상의0 ID 패킷 비트들(에 포함된) 다음에 확장된 비트들을 수신하지 않음으로써, 대개는 ID 패킷에 응답한다. 그러한 경우에, 상기 페이징 장치가 확장된 비트들을 갖는 ID 패킷을 수신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페이징 장치는 페이지-스캐닝 장치가 레거시 장치이여서 페이지-스캐닝 장치가 본 발명에 따라 FHS 패킷 외에는 임의의 패킷을 송신하려고 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확장된 ID를 통한 향상된 페이징, 및 레거시 장치는 도 12에 예시되어 있다.
여기서 유념할 점은 상호운영성(interoperability)을 위해 향상된 페이징이 가능할 경우에 페이지 스캐닝 장치가 연장된 ID 패킷을 통해 응답하는 것이 유리하지만 이러한 것이 본 발명에 반드시 필요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지금까지 주로 방법의 단계들에 관하여 언급되었다. 또한, 본 발명은 위에 언급된 단계들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한다. 따라서, 위에 언급된 각각의 단계에 대하여, 비록 위에 언급된 단계들 중 2가지 이상의 단계를 수행하기 위해 기능이 단일 모듈에 병합되는 것도 가능하지만, 대응하는 장치 모듈이 존재할 수 있다. 그러한 모듈들은 하드웨어로서 구현될 수도 있고 프로세서를 통한 수행을 위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특히,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경우에, 본 발명은 컴퓨터 프로세서를 통한 실행을 위해 위에 언급된 방법에 대응하는 명령어들을 지니는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가 포함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구조, 다시 말하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생성물로서 제공된다.
따라서, 도 13a 및 도 13b를 지금부터 참조하고 또한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라 제1 단계(141)에서는 접속 설정을 질의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장치(110)일 수도 있고 접속 설정을 페이징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장치(910)일 수 있는 제1 장치는 향상된 절차(상기 장치가 접속 설정 질의 단계를 수행하는지 또는 접속 설정 페이징 단계를 수행하고 있는지에 따라 향상된 질의 절차 또는 향상된 페이징 절차)를 수행하도록 제1 장치가 구비되어 있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확장 데이터를 포함하는 ID(identifier; 식별자) 패킷을 제1 패킷으로서 송신한다. 제2 단계에서는, 질의 -스캐닝 장치(120) 또는 페이지-스캐닝 장치(920)일 수 있는 스캐닝 장치는 스캐닝 장치가 향상된(페이징 또는 질의) 절차를 수행하도록 구비되어 있는지에 따라 콘텐츠를 지니는 하나 이상의 패킷을 통해 상기 장치에 응답한다. 선택적인 제3 단계(143)에서는, 상기 스캐닝 장치 및 상기 제1 장치는 향상된(페이징 또는 질의) 절차에 따라 추가 패킷들을 전달한다. 도 13a 및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향상된 질의 절차 및 향상된 페이징 절차 모두에서, 상기 스캐닝 장치는 자신에 관한 추가 정보를 상기 제1 장치에 전달하고, 적어도 상기 페이징 절차의 경우에, 상기 제1 장치는 또한 상기 스캐닝 장치에 추가 정보를 전달한다.
여기서 이해하여야 할 점은 위에 언급된 구성들이 본 발명의 원리에 관한 적용을 단지 예시한 것일 뿐이라는 점이다. 여러 수정 및 변형 구성들이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당업자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첨부된 청구의 범위는 그러한 수정 및 변형 구성들을 포함하도록 의도된 것이다.

Claims (18)

  1. 제1 장치가 접속 설정을 위해 단거리 무선 접속 프로토콜에 따라 제1 패킷을 송신하는 단계; 및
    제2 장치가 상기 제1 패킷을 수신하고 하나 이상의 응답 패킷을 송신함으로써 상기 단거리 무선 접속 프로토콜에 따라 응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응답 패킷들의 콘텐츠는 상기 제2 장치가 향상된 절차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지에 의존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향상된 절차가 향상된 질의 절차 또는 향상된 페이징 절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킷은 상기 제1 장치가 상기 향상된 절차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는 표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치가 질의자 장치 또는 페이징 장치이며 상기 제2 장치가 스캐닝 장치이고, 상기 제1 패킷은 상기 제1 장치가 상기 향상된 절차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는 표시를 미리 결정된 비트 패턴을 통해 전달하는 확장 데이터를 포함하도록 확장된 식별자 패킷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치는 질의자 장치 또는 페이징 장치이며 상기 제2 장치는 스캐닝 장치이고, 상기 제1 패킷은 식별자 패킷이며 상기 하나 이상의 응답 패킷이 동기 패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응답 패킷 중 적어도 하나의 응답 패킷은 상기 제2 장치가 상기 향상된 절차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는 표시를 미리 결정된 비트 패턴을 통해 전달하는 확장 데이터를 포함하도록 확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2 장치가 하나 이상의 응답 패킷에서 상기 제2 장치가 추가 데이터를 전달하는 패킷들을 송신한다는 표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장치가 추가 데이터를 전달하는 패킷들을 송신한다는 표시 다음에 이어지는 추가 데이터를 상기 제2 장치가 포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장치는 향상된 절차에 따른 추가 데이터가 이어지는 비-향상된 절차에 따른 동기 정보를 하나 이상의 응답 패킷으로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향상된 절차는 향상된 질의 절차이며, 상기 제1 장치 는 질의 장치이고, 상기 제1 장치가 상기 향상된 절차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는 표시를 전달하는 확장 데이터를 포함하도록 확장된 식별자 패킷을 상기 제1 패킷으로서 송신하며, 상기 제2 장치가 스캐닝 장치이고, 상기 제1 패킷에 응답하여 상기 스캐닝 장치는 추가 데이터를 전달하는 패킷이 이어지는 동기 패킷을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스캐닝 장치가 상기 동기 패킷에서 상기 스캐닝 장치가 상기 동기 패킷을 송신한 다음에 추가 데이터를 전달하는 패킷들을 송신한다는 표시를 포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향상된 절차는 향상된 페이징 절차이며 상기 제1 장치는 페이징 장치이고 상기 제1 장치가 상기 향상된 절차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는 표시를 전달하는 확장 데이터를 포함하도록 확장된 식별자 패킷을 상기 제1 패킷으로서 송신하며, 그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장치는 상기 스캐닝 장치가 상기 향상된 절차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는 표시를 전달하는 확장 데이터를 포함하도록 확장된 식별자 패킷을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단거리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따른 무선 통신용으로 구성된 장치에서 컴퓨터 프로세서를 통한 실행을 위해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가 포함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구조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생성물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 램 코드는,
    상기 장치가 다른 장치에의 접속 설정을 위해 단거리 무선 접속 프로토콜에 따라 제1 패킷을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장치가 상기 다른 장치로부터 하나 이상의 응답 패킷을 수신하고 상기 다른 장치가 향상된 절차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지를 결정하도록 상기 하나 이상의 응답 패킷을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생성물.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향상된 절차는 향상된 질의 절차 또는 향상된 페이징 절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생성물.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킷은 상기 장치가 상기 향상된 절차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는 표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생성물.
  15. 단거리 무선 접속 프로토콜에 따라 통신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가 다른 장치에의 접속 설정을 위해 단거리 무선 접속 프로토콜에 따라 제1 패킷을 송신하는 수단; 및
    상기 장치가 상기 다른 장치로부터 하나 이상의 응답 패킷을 수신하고, 상기 다른 장치가 향상된 절차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지를 결정하도록 상기 하나 이상의 응답 패킷의 콘텐츠를 사용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향상된 절차는 향상된 질의 절차 또는 향상된 페이징 절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킷은 상기 장치가 상기 향상된 절차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는 표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단거리 무선 접속 프로토콜에 따라 통신하기 위한 복수 개의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가 제15항에 따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KR1020067016306A 2004-02-13 2005-02-03 단거리 무선 접속 기기에 사용하기 위한 향상된 능력들을나타내는 프로토콜 KR1007875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54460704P 2004-02-13 2004-02-13
US60/544,607 2004-02-13
US11/018,408 US7760671B2 (en) 2004-02-13 2004-12-20 Protocol for indicating enhanced capabilities for use by short-range wireless connectivity equipment
US11/018,408 2004-12-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7996A true KR20060117996A (ko) 2006-11-17
KR100787531B1 KR100787531B1 (ko) 2007-12-21

Family

ID=34840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6306A KR100787531B1 (ko) 2004-02-13 2005-02-03 단거리 무선 접속 기기에 사용하기 위한 향상된 능력들을나타내는 프로토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760671B2 (ko)
EP (1) EP1716669B1 (ko)
JP (2) JP2007523532A (ko)
KR (1) KR100787531B1 (ko)
CN (1) CN1918853B (ko)
AU (1) AU2005214423B2 (ko)
DK (1) DK1716669T3 (ko)
WO (1) WO20050814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13528A1 (en) * 2006-07-25 2008-01-31 Thomson Licensing Recovery from burst packet loss in internet protocol based wireless networks using staggercasting and cross-packet forward error correction
ES2303464B1 (es) * 2007-01-19 2009-06-04 Vodafone España, S.A. Metodo de identificacion, autentificacion y control de cobertura basado en el estandar bluetooth.
KR100913902B1 (ko) * 2007-05-25 2009-08-26 삼성전자주식회사 지그비 개인영역 네트워크에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방법 및 그를 위한 통신 시스템
JP5350008B2 (ja) * 2009-02-25 2013-11-27 京セラ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通信装置
WO2012127095A1 (en) * 2011-03-18 2012-09-27 Nokia Corporation Non-networked wireless communication
US9992021B1 (en) 2013-03-14 2018-06-05 GoTenna, Inc. System and method for private and point-to-point communication between computing devices
JP6663110B2 (ja) 2016-08-04 2020-03-11 富士通クライアントコンピューティング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接続処理方法及び接続処理プログラム
JP6518220B2 (ja) * 2016-09-13 2019-05-22 株式会社デンソーテン 端末検出方法および通信装置
KR102392270B1 (ko) * 2017-09-18 2022-04-29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사용자단말 및 그 동작 방법, 그리고 아이오티장치
KR20200122820A (ko) * 2019-04-19 2020-10-28 삼성전자주식회사 블루투스 네트워크 환경에서 eir 패킷을 전송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에 관한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7078B1 (ko) * 1999-11-26 2007-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블루투스 장착 기기간 네트워크 운영 방법
EP1107522B1 (en) * 1999-12-06 2010-06-1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Intelligent piconet forming
KR100618987B1 (ko) * 1999-12-27 2006-08-31 삼성전자주식회사 블루투스 디바이스에서 일시적인 접속을 줄이는 방법
US6664891B2 (en) 2000-06-26 2003-12-1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ata delivery through portable devices
GB0015454D0 (en) * 2000-06-26 2000-08-16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Data delivery through beacons
US7587207B2 (en) 2000-06-26 2009-09-08 Ipg Electronics 503 Limited Data delivery through beacons
GB0023425D0 (en) 2000-09-25 2000-11-08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Portable device interaction with beacons
US6829227B1 (en) * 2000-10-27 2004-12-07 Lucent Technologies Inc. Dual polling media access control protocol for packet data in fixe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KR100419422B1 (ko) * 2001-05-24 2004-02-19 삼성전자주식회사 블루투스 시스템의 긴급구조 요청방법
US7151764B1 (en) * 2001-11-01 2006-12-19 Nokia Corporation Service notification on a low bluetooth layer
SE0200232L (sv) 2002-01-28 2003-07-29 Tagmaster Ab Förfarande för att etablera en förbindelse enligt s k bluetooth-teknik
US6892052B2 (en) 2002-03-26 2005-05-10 Nokia Corporatio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based discovery for short range radio communication
US7103313B2 (en) 2002-06-05 2006-09-05 Nokia Corporation Automatic determination of access point content and services for short-range wireless terminals
NZ537782A (en) 2002-06-25 2007-06-29 Brian Michael Goulding A device and method for protecting an ear of a subject from auricular haemotoma
US20060084381A1 (en) 2002-07-01 2006-04-20 Stephan Hartwig Method for establishing a connection between a mobile device and a second device
WO2004019566A2 (en) * 2002-08-23 2004-03-0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6973052B2 (en) * 2003-12-19 2005-12-06 Motorola, Inc. Hybrid power save delivery method i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for real time communic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16669A1 (en) 2006-11-02
JP4843097B2 (ja) 2011-12-21
WO2005081457A1 (en) 2005-09-01
AU2005214423B2 (en) 2009-10-08
KR100787531B1 (ko) 2007-12-21
EP1716669B1 (en) 2013-07-03
DK1716669T3 (da) 2013-08-26
JP2010279045A (ja) 2010-12-09
CN1918853A (zh) 2007-02-21
JP2007523532A (ja) 2007-08-16
US20050180425A1 (en) 2005-08-18
AU2005214423A1 (en) 2005-09-01
CN1918853B (zh) 2011-06-15
US7760671B2 (en) 2010-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7531B1 (ko) 단거리 무선 접속 기기에 사용하기 위한 향상된 능력들을나타내는 프로토콜
CN107196964B (zh) 用于实现多频段服务发现的系统和方法
US6907226B2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mploying the same
JP3996718B2 (ja) 端末間通信方法
EP1658698B1 (en) Distributed dynamic channel selection in a communication network
US20050088997A1 (en) Wireless communication arrangements with a discovery procedure
US20180332565A1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program
US20140376522A1 (en) Method and operation for operation between wpan and wlan for a network interface card
KR20050071610A (ko) 주파수 홉핑 무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통신 방법, 서비스제공 방법, 액세스 포인트 그룹, 소프트웨어
KR20000029996A (ko) 매체접근제어프로토콜을최적화하는방법및그장치
US20040125821A1 (en) Network synchronisation
JP6953898B2 (ja)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装置の制御方法
US20160007335A1 (en) Slot-based d2d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EP1586176B1 (en) Dynamic network formation for wireless adhoc networks
KR20050089879A (ko) 슬래이브 터미널에 의해 전달된 질의에 응답하여 애드훅네트워크를 형성하고, 네트워크에 합병될 터미널과의접속을 마스터 유닛에 의해 설정하기 위한 네트워크 및터미널
US9271224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therefor
CN108684021A (zh) 一种蓝牙低功耗通信方法和装置
JP6616805B2 (ja) ビーコンの待ち受けを制御するアクセスポイント、無線端末、プログラム及び方法
JP2024513028A (ja) マルチ接続における通信方法及び通信装置
KR20030089694A (ko) 데이터 전송
JP4300911B2 (ja) 無線通信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KR100481529B1 (ko) 비연결 지향의 브로드캐스트가 가능한 무선통신기기 및 그방법
GB2371450A (en) Connecting a device to the Bluetooth network
JP4183621B2 (ja) データ送信法
KR20050115256A (ko) 애드혹 네트워크를 위한 루팅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