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6457A - 그레이팅의 연결 구조 - Google Patents

그레이팅의 연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6457A
KR20060116457A KR1020050038862A KR20050038862A KR20060116457A KR 20060116457 A KR20060116457 A KR 20060116457A KR 1020050038862 A KR1020050038862 A KR 1020050038862A KR 20050038862 A KR20050038862 A KR 20050038862A KR 20060116457 A KR20060116457 A KR 200601164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ting
coupling pin
groove
fixed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8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92314B1 (ko
Inventor
전종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스그레이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스그레이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스그레이팅
Priority to KR10200500388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2314B1/ko
Publication of KR200601164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64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23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23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1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배수로에 설치되어 빗물 등이 배수되도록 하는 그레이팅의 연결 구조가 개시된다.
종래에는 배수로의 받침판 상에 안착되어 소음을 발생시키거나 별도의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결합이 어렵고 차량이 지나가는 경우에는 변형이 심하게 됨으로써 수명이 짧게 되는 등의 문제점들이 있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배수로의 양측 상단에 형성된 받침판 상에 안착되며 내측에는 배수가 가능하도록 된 그레이팅에 있어서, 상기 그레이팅은, 프레임(21)의 일측 양 선단에 결합핀(25)이 돌출 형성되고, 반대 측에는 인접하는 그레이팅(20)의 결합핀(25)이 삽입되도록 안내홈(28)을 가지는 걸림홈(2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의 연결 구조가 제공된다.
따라서 그레이팅의 일측에는 결합핀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결합핀이 삽입 고정되는 걸림홈이 형성됨으로써 그레이팅의 결합이 용이하고 소음의 발생이 최소화되며, 임의적으로 분리하는 것이 어려워 그레이팅의 분실이 방지되고, 크로스바의 피치가 작고 하측에 복수 개의 보강판이 고정되어 외력에 의한 변형이 방지되고 강성이 더욱 증대되어 수명이 반영구적으로 된다.
그레이팅, 결합, 연결, 분리, 보강

Description

그레이팅의 연결 구조{Structure for connecting a steel grating}
도 1은 일반적인 그레이팅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그레이팅의 연결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그레이팅의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그레이팅의 연결 구조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그레이팅의 연결 구조에서 결합홈의 변형예를 도시한 일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그레이팅의 연결 구조에서 결합홈의 변형예를 도시한 일부 확대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그레이팅의 연결 구조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일부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배수로 11: 받침판
20: 그레이팅 21: 프레임
22: 아이바 23: 크로스바
24: 보강판 25: 결합핀
26: 걸림홈 26a: 경사부
27: 브래킷 28: 안내홈
본 발명은 그레이팅의 연결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빗물 등의 배수가 원활하고 연결 및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된 그레이팅의 연결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수로 또는 집수정 등의 상측에 설치되어 빗물 등이 유입되도록 하는 그레이팅은 강철 등의 금속재로 이루어진다.
종래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수로(10)의 상측 상단에는 받침판(11)이 고정 설치되고, 상기 받침판(11)의 상측에는 그레이팅(12)이 안착되며, 상기 그레이팅(12)의 내측에는 배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격자부(13)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그레이팅은 받침판의 상측에 안착되는 상태로 놓여지기 때문에 차량 등이 지나갈 경우에는 유동이 발생될 뿐만 아니라 받침판 및 인접하는 그레이팅과의 접촉에 의해 심한 소음을 발생시키고, 분리가 용이하게 됨에 따라 분실되는 등의 문제점들이 내재되어 있었다.
그래서 종래에도 볼트 및 너트 등의 체결 수단에 의해 인접하는 그레이팅을 고정시키는 구성도 제안되어 있으나, 이는 볼트 및 너트의 체결 및 분리 작업이 어렵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이 내재되어 있으며, 또한 그레이팅의 일측에 형성된 구멍 내에 타측에 형성된 돌기 또는 걸림 고리가 삽입되도록 하는 구성도 제안되어 있으나, 이는 차량 등이 지나갈 때 하중에 의한 측 방향으로의 유동은 어느 정도 감소시킬 수는 있으나 길이 방향으로의 유동은 존재하게 됨으로써 유동에 의한 소음은 감소시키기 어렵다고 하는 문제점이 내재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 및 분리가 어렵게 되는 문제점도 내재되어 있다.
또한 차량 등이 지나갈 때 전달되는 하중에 의해 격자부가 변형됨으로써 그레이팅의 교체에 따른 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도 내재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고, 소음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그레이팅의 연결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그레이팅의 강성을 증대시켜 차량 등의 하중에 의한 변형을 방지함과 아울러 수명을 더욱 연장 시킬 수 있는 그레이팅의 연결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그레이팅의 연결 구조는, 배수로의 양측 상단에 형성된 받침판 상에 안착되며 내측에는 배수가 가능하도록 된 그레이팅에 있어서, 상기 그레이팅은, 프레임의 일측 양 선단에 결합핀이 돌출 형성되고, 반대 측에는 인접하는 그레이팅의 결합핀이 삽입되도록 안내홈을 가지는 걸림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그레이팅의 일측에는 결합핀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결합핀이 삽입 고정되는 걸림홈이 형성됨으로써 그레이팅의 결합이 용이하고 소음의 발생이 최소화되며, 임의적으로 분리하는 것이 어려워 그레이팅의 분실이 방지되고, 크로스바의 피치가 작고 하측에 복수 개의 보강판이 고정되어 외력에 의한 변형이 방지되고 강성이 더욱 증대되어 수명이 반영구적으로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그레이팅의 연결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배수로(10)의 양측 상단에 설치된 받침판(11) 상에 그레이팅(20)이 안착된다.
상기 그레이팅(20)은 외측에 "口"자 형상으로 형성된 프레임(21)과, 이 프레임(21)의 내측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횡방향으로 고정된 복수 개의 아이바(22)와, 상기 아이바(22)의 상측에 종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고정된 복수 개의 크로스바(23)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프레임(21)의 내측에 횡방향으로 고정된 복수 개의 아이바 (22)와, 이 아이바(22)의 상측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고정된 복수 개의 크로스바(23)에 의해 격자부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아이바(22)의 하측, 즉 저면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크로스바(23)와 동일한 방향으로 복수 개의 보강바(24)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크로스바(23)의 개수는 종래보다 많은 수가 고정되며, 상기 보강바(24)의 개수는 크로스바(23)의 개수 보다 작은 수가 고정되는데 그 개수는 특별하게 한정하지 않는다.
한편 상기 그레이팅(20)의 양 선단에는 서로 인접하는 그레이팅(20)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일측에는 결합핀(25)이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고, 그 반대 측에는 상기 결합핀(25)을 결합하기 위한 걸림홈(2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핀(25)은 일측 선단 양 모서리에 외측을 행하도록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걸림홈(26)은 타측 양 선단에 돌출 형성된 브래킷(27)의 내측 면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홈(26)의 하측에는 상기 결합핀(25)의 삽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삽입된 결합핀(25)을 걸림홈(26) 내로 위치되도록 안내하는 안내홈(2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내홈(28)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측에 형성될 수도 있고,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에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안내홈(28)은 경사지게 형성됨이 더욱 바람직하며,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홈(26)은 내측에 경사부(26a)를 형성하여 삽입된 결합핀(25)이 유동되지 않도록 하여 소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그레이팅의 연결 구조는 배수로(10)의 양측 상단에 형성된 받침판(11) 상에 복수 개의 그레이팅(20)이 결합 고정된다.
즉, 일측에 하나의 그레이팅(20)이 안착되고, 그 일측에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른 그레이팅(20)을 결합시키게 된다.
이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안착된 그레이팅(20)의 일측 선단에 형성된 걸림홈(26)의 하측 안내홈(28)에 다른 그레이팅(20)의 일측에 형성된 결합핀(25)을 삽입하고 걸림홈(26) 내에 위치시키면 결합이 완료된다.
이때 상기 결합핀(25)은 하측 또는 상측에 형성된 안내홈(28) 내에 삽입된 후 안내되어 걸림홈(26) 내에 위치됨으로써 결합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에 따라 임의 적으로 분리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홈(26) 내의 일측에는 경사부(26a)가 형성됨에 따라 결합핀(25)이 긴밀하게 삽입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차량 등이 지날 경우에도 유동되지 않게 되어 진동이나 유동 등에 의한 소음의 발생이 방지되는 것이다.
이렇게 결합핀(25)을 걸림홈(26)에 결합함으로써 인접하는 그레이팅(20)을 연속적으로 결합 고정하는 것이 가능케 되어 그레이팅(20)의 결합 작업이 매우 용이하게 되고, 필요에 의해 분리할 경우에는 마지막의 그레이팅(20)의 결합핀(25)을 걸림홈(26)으로부터 분리하면 분리가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분리가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복수 개의 그레이팅(20)이 결합된 상태에서는 마지막에 결합된 그레이 팅(20)을 자물통 등의 잠금수단에 의해 로킹을 행하면 서로 결합된 그레이팅(20)을 임의적으로 분리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됨으로써 그레이팅(20)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아이바(22)의 상측에 고정된 크로스바(23)의 피치가 종래보다 작게 하여 그 개수가 많게 되고, 이 크로스바(23)의 하측에 복수 개의 보강바(24)가 고정됨으로써 외력에 의한 그레이팅(20)의 변형이 방지되고 더욱 강성이 증대되어 수명이 반영구적으로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그레이팅의 일측에는 결합핀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결합핀이 삽입 고정되는 걸림홈이 형성됨으로써 그레이팅의 결합이 용이하고 소음의 발생이 최소화되며, 임의적으로 분리하는 것이 어려워 그레이팅의 분실이 방지되고, 크로스바의 피치가 작고 하측에 복수 개의 보강판이 고정되어 외력에 의한 변형이 방지되고 강성이 더욱 증대되어 수명이 반영구적으로 되는 등의 여러 가지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배수로의 양측 상단에 형성된 받침판 상에 안착되며 내측에는 배수가 가능하도록 된 그레이팅에 있어서,
    상기 그레이팅은, 프레임의 일측 양 선단에 결합핀이 돌출 형성되고, 반대 측에는 인접하는 그레이팅의 결합핀이 삽입되도록 안내홈을 가지는 걸림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의 연결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홈은 프레임의 일측 선단에 고정된 브래킷의 일측 면에 형성되고, 상기 안내홈은 걸림홈의 하측에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의 연결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홈은 걸림홈의 상측에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의 연결 구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홈에는 결합핀이 고정되도록 일측에 경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의 연결 구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레이팅의 하측에는 복수 개의 보강바가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의 연결 구조.
KR1020050038862A 2005-05-10 2005-05-10 그레이팅의 연결 구조 KR1006923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8862A KR100692314B1 (ko) 2005-05-10 2005-05-10 그레이팅의 연결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8862A KR100692314B1 (ko) 2005-05-10 2005-05-10 그레이팅의 연결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6457A true KR20060116457A (ko) 2006-11-15
KR100692314B1 KR100692314B1 (ko) 2007-03-09

Family

ID=37653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8862A KR100692314B1 (ko) 2005-05-10 2005-05-10 그레이팅의 연결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231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3485B1 (ko) * 2007-01-23 2007-08-31 (주)한국주조 연결고정이 용이한 측구 덮개
KR101049795B1 (ko) * 2009-04-17 2011-07-19 주식회사 서강 배수로 덮개 연결구조
CN103306363A (zh) * 2013-06-25 2013-09-18 王秀东 防盗井篦子及使用方法
KR20190003935A (ko) * 2018-12-28 2019-01-10 정민시 유체의 역류를 방지하는 함이 구비된 냄새차단이 가능한 그레이팅
CN110050103A (zh) * 2016-12-06 2019-07-23 易捷艾玛公司 明沟覆盖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0702B1 (ko) * 2007-07-10 2009-06-05 최길운 충격흡수와 개선된 결합 부재를 구비한 트랜치 커버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1088A (ja) * 1981-07-31 1983-02-07 住友金属鉱山株式会社 ジヨイント構造
JP2001140332A (ja) * 1999-11-11 2001-05-22 Itaya Honten:Kk 溝蓋受枠及び溝蓋
JP2004324040A (ja) * 2003-04-21 2004-11-18 Okuno Kogyo Kk 桝用蓋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3485B1 (ko) * 2007-01-23 2007-08-31 (주)한국주조 연결고정이 용이한 측구 덮개
KR101049795B1 (ko) * 2009-04-17 2011-07-19 주식회사 서강 배수로 덮개 연결구조
CN103306363A (zh) * 2013-06-25 2013-09-18 王秀东 防盗井篦子及使用方法
CN110050103A (zh) * 2016-12-06 2019-07-23 易捷艾玛公司 明沟覆盖装置
KR20190003935A (ko) * 2018-12-28 2019-01-10 정민시 유체의 역류를 방지하는 함이 구비된 냄새차단이 가능한 그레이팅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2314B1 (ko) 2007-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116457A (ko) 그레이팅의 연결 구조
EP0699839B1 (en) Panel releasably lockable to a frame
US5277319A (en) Panel mounting system
KR200436537Y1 (ko) 박스의 브라켓결합구조
TW201607465A (zh) 用於貯藏系統的緊固部件
KR101540649B1 (ko) 원터치 고정형 격자철선을 이용한 철근 일체형 합성구조
KR100909086B1 (ko) 트렌치커버가 양측으로 개방되는 트렌치
JP5131912B2 (ja) 溝ブロックへのグレーチングの取付け構造
RU2705850C2 (ru) Грохот и способ модификации грохота
JP2015100329A (ja) 養蜂用の巣枠のスペーサ及び巣枠
JP3129933U (ja) 排水溝ユニット
KR100897746B1 (ko) 이탈 방지 기능을 갖는 도어 슈 및 그 장착 구조
JP4473759B2 (ja) 溝蓋
JP2015055036A (ja) 溝ブロックへのグレーチングの固定方法及びグレーチング
KR100772045B1 (ko) 개비온 클램프
JP2004150087A (ja) グレーチングの溝体への敷設係止構造
KR100923669B1 (ko) 배수로 덮개용 완충부재 결합구조
KR20200094613A (ko) 탈부착이 용이한 그레이팅 보조덮개
JP7417240B2 (ja) グレーチングユニット
JP6209306B2 (ja) 鉄筋配設部材及びそれを用いたコンクリート構造物
KR200420674Y1 (ko) 조립식 앵글 흔들림 방지구 보강구조
KR200345630Y1 (ko) 국선단자캡과 내선단자캡의 결합분리가 가능한 단자유니트
JP2007162425A (ja) メッシュフェンスの連結金具
JP2010070910A (ja) 排水溝ユニット
KR100563726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팩 결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2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