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6104A -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6104A
KR20060116104A KR1020050038474A KR20050038474A KR20060116104A KR 20060116104 A KR20060116104 A KR 20060116104A KR 1020050038474 A KR1020050038474 A KR 1020050038474A KR 20050038474 A KR20050038474 A KR 20050038474A KR 20060116104 A KR20060116104 A KR 200601161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area
gate
display
data
line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8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준
안양석
이충효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384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16104A/ko
Publication of KR200601161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61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38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using more than one graphics controll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듀얼 모니터 기능을 수행하고, 대형 화면을 구현할 수 있는 표시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표시패널,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 제1 구동부 및 제2 구동부를 포함한다.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은 제1 표시영역부에 대응하는 표시패널 상에 형성되는 제1 게이트 라인부 및 제2 표시영역부에 대응하는 표시패널 상에 형성되는 제2 게이트 라인부로 이루어지고, 제1 표시영역과 제2 표시영역의 경계영역에서 제1 게이트 라인부와 제2 게이트 라인부가 서로 분리된 형상을 갖는다. 제1 구동부는 제1 게이트 라인부 및 제1 표시영역부에 대응하는 제1 데이터 라인부에 제1 구동신호를 제공하고, 제2 구동부는 제2 게이트 라인부 및 제2 표시영역부에 대응하는 제2 데이터 라인부에 제2 구동신호를 제공한다. 따라서, 듀얼 모니터 기능 및 대형 화면을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표시장치{DISPLAY DEVI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부분을 확대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표시패널의 제1 표시영역부와 제2 표시영역부에 서로 다른 영상이 표시된 경우를 나타낸 화면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1 및 제2 표시영역부에 하나의 영상이 표시된 경우를 나타낸 화면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표시패널 200 : 제1 데이터 구동부
210 : 제2 데이터 구동부 300 : 제1 게이트 구동부
310 : 제2 게이트 구동부 400 : 연성인쇄회로기판
410 : 제1 타이밍 콘트롤러 420 : 제2 타이밍 콘트롤러
본 발명은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듀얼 모니터 기능을 수행하고, 대형 화면을 구현할 수 있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듀얼 모니터(Dual Monitor)는 한 시스템에서 두 개의 모니터를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상기 듀얼 모니터는 두 개의 모니터에서 다중 작업을 실현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즉, 듀얼 모니터는 1대의 컴퓨터만으로 두 개의 모니터상에 각각 다른 프로그램을 실행, 비교, 분석 및 대조 작업이 가능하다.
상기 듀얼 모니터는 2개의 표시패널을 하나의 모듈에 장착한 형태 또는 2개의 패널이 분리되어 자유롭게 접거나 펼칠 수 있는 형태로 구분된다.
그러나, 상기 하나의 모듈에 2개의 표시패널이 장착된 경우 2개의 표시패널에 접하는 경계영역에서는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의 듀얼 모니터는 2개의 표시패널 각각에 서로 다른 영상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으나, 2개의 표시패널을 동시에 이용하여 하나의 영상을 디스플레이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듀얼 모니터 기능과 하나의 대형 화면을 구현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표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는 표시패널,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 제1 구동부 및 제2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패널은 제1 표시영역부 및 제2 표시영역부를 가지고, 상기 제1 및 제2 표시영역부에 영상을 표시한다. 상기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은 상기 제1 표시영 역부에 대응하는 상기 표시패널 상에 형성되는 제1 게이트 라인부 및 상기 제2 표시영역부에 대응하는 상기 표시패널 상에 형성되는 제2 게이트 라인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표시영역과 상기 제2 표시영역의 경계영역에서 상기 제1 게이트 라인부와 상기 제2 게이트 라인부가 서로 분리된 형상을 갖는다.
상기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은 상기 제1 표시영역부에 교차하도록 형성된 제1 데이터 라인부 및 상기 제2 표시영역부에 교차하도록 형성된 제2 데이터 라인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구동부는 상기 제1 게이트 라인부 및 상기 제1 표시영역부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에 상기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제1 구동신호를 제공한다. 상기 제2 구동부는 상기 제2 게이트 라인부 및 상기 제2 표시영역부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에 상기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제2 구동신호를 제공한다.
이러한 표시장치에 따르면, 제1 표시영역부 및 제2 표시영역부에 서로 다른 영상을 각각 표시하는 듀얼 모니터 기능 및 제1 표시영역부 및 제2 표시영역부를 하나의 화면을 구현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대형 화면을 구현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100) 및 표시패널(100)에 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패널(100)은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영역(DA) 및 표시영역(DA)의 주변에 형성된 제1 내지 제4 주변영역(SA1,SA2,SA3,SA4)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표시영역(DA)은 상대적으로 좌측에 위치하는 제1 표시영역부(DA1) 및 상대적으로 우측에 위치하는 제2 표시영역부(DA2)로 이루어진다. 또한, 표시패널(100)은 표시기판(110), 표시기판(110)에 대향하는 대향기판(120) 및 표시기판(110)과 대향기판(120) 사이에 개재되는 액정층(미도시)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표시기판(110) 상의 제1 표시영역부(DA1)에는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제1 방향(D1)과 직교하는 제2 방향(D2)으로 소정의 이격거리를 가지고 배열되는 제1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DL1-1,...,DL1-n) 및 제2 방향(D2)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제1 방향(D1)으로 소정의 이격거리를 가지고 배열되는 제1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GL1-1,...,GL1-m)이 구비된다.
또한, 표시기판(110) 상의 제2 표시영역부(DA2)에는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고 제2 방향(D2)으로 소정의 이격거리를 가지고 배열되도록 형성된 제2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DL2-1,...,DL2-n) 및 제2 방향(D2)으로 연장되고, 제1 방향(D1)으로 소정의 이격거리를 가지고 배열되도록 형성된 제2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GL2-1,...,GL2-m)이 구비된다.
이때, 제1 표시영역부(DA1)와 제2 표시영역부(DA2) 간의 간격은 종래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다. 즉, 제1 표시영역부(DA1)의 제1-n 데이터 라인(DL1-n)과 제2 표시영역부(DA2)의 제2-n 데이터 라인(DL2-n) 사이의 간격은 종래에 비하여 상대적 으로 작다.
상기 제1 주변영역(SA1)은 제1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DL1-1,...,DL1-n) 및 제2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DL2-1,...,DL2-n)의 일단부와 인접하는 영역이고, 제1 주변영역(SA1)에는 제1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DL1-1,...,DL1-n)에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는 제1 데이터 구동부(200)가 형성된다. 또한, 제1 주변영역(SA1)에는 제2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DL2-1,...,DL2-n)에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 신호를 각각 출력하는 제2 데이터 구동부(210)가 형성된다. 이때, 제1 및 제2 데이터 구동부(200,210)는 칩 형태로 표시패널(100) 상에 실장된다.
상기 제2 주변영역(SA2)은 제1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GL1-1,...,GL1-m)의 일단부와 인접하는 영역이고, 제2 주변영역(SA2)에는 제1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GL1-1,...,GL1-m)에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게이트 신호를 출력하는 제1 게이트 구동부(300)가 형성된다. 또한, 제3 주변영역(SA3)은 제2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GL2-1,...,GL2-m)의 일단부와 인접하는 영역이고, 제3 주변영역(SA3)에는 제2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GL2-1,...,GL2-m)에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게이트 신호를 출력하는 제2 게이트 구동부(310)가 형성된다. 이때, 제1 및 제2 게이트 구동부(300,310)는 칩 형태로 표시패널(100) 상에 실장된다.
상기 제1 주변영역(SA1)의 단부에는 제1 및 제2 데이터 구동부(200,210)와 제1 및 제2 게이트 구동부(300,3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각종 신호를 제1 및 제2 데이터 구동부(200,210)와 제1 및 제2 게이트 구동부(300,310)에 제공하는 연성인쇄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400)이 부착된 다.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400)은 제1 데이터 구동부(200)를 제어하기 위한 제1 타이밍 콘트롤러(410) 및 제2 데이터 구동부(210)를 제어하기 위한 제2 타이밍 콘트롤러(420)를 포함한다.
도 2는 도 1의 'A'부분을 확대한 평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표시영역부(DA1)와 제2 표시영역부(DA2)가 접하는 영역에 제1 화소영역(PA1)이 제2 화소영역(PA2)이 형성된다.
상기 제1 화소영역(PA1)은 제1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GL1-1,...,GL1-m) 중 제1-j 게이트 라인(GL1-j)과 제1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DL1-1,...,DL1-n) 중 제1 표시영역부(DA1)의 끝단부에 위치하는 제1-n 데이터 라인(DL1-n)에 의해 정의된다. 상기 제2 화소영역(PA2)은 제2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GL2-1,...,GL2-m) 중 제2-j 게이트 라인(GL2-j)과 제2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DL2-1,...,DL2-n) 중 제2 표시영역부(PA2)의 끝단부에 위치하는 제2-n 데이터 라인(DL2-n)에 의해 정의된다.
상기 제1 화소영역(PA1)에는 제1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 이하, TFT)(500) 및 제1 화소전극(510)이 구비된다. 상기 제1 TFT(500)의 제1 게이트 전극(502)은 제1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GL1-1,...,GL1-m) 중 제1-j 게이트 라인(GL1-j)으로부터 분기되고, 제1 소오스 전극(504)은 제1-n 데이터 라인(DL1-n)으로부터 분기되며, 제1 드레인 전극(506)은 제1 화소전극(5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제1 TFT(500)는 제1-j 게이트 라인(GL1-j)으로부터 인가된 게이트 신호에 응답하여 제1-n 데이터 라인(DL1-n)으로 인가된 데이터 신호를 제1 화소전극(510)으로 출력한다.
상기 제2 화소영역(PA2)에는 제2 TFT(600) 및 제2 화소전극(610)이 구비된다. 상기 제2 TFT(600)의 제2 게이트 전극(602)은 제2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GL2-1,...,GL2-m) 중 제2-j 게이트 라인(GL2-j)으로부터 분기되고, 제2 소오스 전극(604)은 제2-n 데이터 라인(DL2-n)으로부터 분기되며, 제2 드레인 전극(606)은 제2 화소전극(6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제2 TFT(600)는 제2-j 게이트 라인(GL2-j)으로부터 인가된 게이트 신호에 응답하여 제2-n 데이터 라인(DL2-n)으로 인가된 데이터 신호를 제2 화소전극(610)으로 출력한다.
상기 제1 및 제2 화소전극(510,610)은 대향기판(120: 도 1 참조) 상의 공통전극(미도시)과 마주한다. 상기 표시기판(110)과 대향기판(120) 사이에는 수직 배향 액정으로 이루어진 상기 액정층이 개재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 화소전극(510,610), 상기 공통전극 및 상기 액정층에 의해서 액정 용량이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화소전극(510,610)과 상기 공통전극은 상기 제1 및 제2 화소영역(PA)을 다수의 도메인으로 나누기 위하여 소정의 형태로 패터닝된다. 즉, 상기 도메인들 사이에서 제1 및 제2 화소전극(510,610)에는 제거되어 형성된 제1 개구부(51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공통전극에는 제거되어 형성된 제2 개구부(710)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액정층의 액정 분자들은 상기 도메인들마다 서로 다른 방향으로 수직 배열된다.
또한, 제1 및 제2 화소전극(510,610)의 중앙에는 스토리지 커패시터 라인(800)이 형성된다. 상기 스토리지 커패시터 라인(800)은 제1 표시영역부(DA1)와 제2 표시영역부(DA2)가 접하는 경계영역에서 좌우로 분리된 형상을 갖는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대향기판(120) 상에는 광에 의해 소정 색이 발현되는 색화소들(미도시) 및 상기 색화소들 사이로 광이 누설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차광막(미도시)이 형성된다. 상기 차광막은 제1 및 제2 표시영역부(DA1,DA2)가 접하는 경계영역에서는 제거된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차광막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제1 표시영역부(DA1) 및 제2 표시영역부(DA2)가 접하는 경계영역에서도 영상이 표시된다.
상기에서 제1 표시영역부(DA1)와 제2 표시영역부(DA2)가 접하는 경계영역에서 제1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GL1-1,...,GL1-m)과 제2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GL2-1,...,GL2-m)은 서로 분리된 형상을 갖는다. 예를 들어, 제1 표시영역부(DA1)와 제2 표시영역부(DA2)가 접하는 영역에서 제1-j 게이트 라인(GL1-j)과 제2-j 게이트 라인(GL2-j)은 서로 분리된다.
따라서, 제1 표시영역부(DA1)와 제2 표시영역부(DA2)는 서로 다른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표시패널의 제1 표시영역부와 제2 표시영역부에 서로 다른 영상이 표시된 경우를 나타낸 화면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영역(DA)의 제1 표시영역부(DA1)에는 'A'라는 영상이 표시되고, 제2 표시영역부(DA2)에는 'B'라는 영상이 표시된다.
즉, 제1 타이밍 콘트롤러(410)에 의해 제어되어 연성인쇄회로기판(400)은 'A'라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제1 게이트 신호 및 제1 데이터 신호를 제1 게이트 구동부(300) 및 제1 데이터 구동부(200)에 제공한다.
상기 제1 게이트 신호에 의해 제1 복수의 게이트 라인(GL1-1,...,GL1-m)이 순차적으로 동작되고, 상기 제1 데이터 신호가 제1 복수의 데이터 라인(DL1-1,...,DL1-n)에 제공됨에 따라 제1 표시영역부(DA1)에 'A'라는 영상이 표시된다. 이때, 제2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GL2-1,...,GL2-m)에는 상기 제1 게이트 신호가 제공되지 않으므로, 제2 표시영역부(DA2)에 'A'라는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다.
또한, 제2 타이밍 콘트롤러(420)에 의해 제어되어 연성인쇄회로기판(400)은 'B'라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제2 게이트 신호 및 제2 데이터 신호를 제2 게이트 구동부(310) 및 제2 데이터 구동부(210)에 제공한다.
상기 제2 게이트 신호에 의해 제2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GL2-1,...,GL2-m)이 순차적으로 동작되고, 상기 제2 데이터 신호가 제2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DL2-1,...,DL2-n)에 제공됨에 따라 제2 표시영역부(DA2)에 'B'라는 영상이 표시된다. 이때, 제1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GL1-1,...,GL1-m)에는 제2 게이트 신호가 제공되지 않으므로, 제1 표시영역부(DA1)에 'B'라는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다.
이처럼, 표시영역(DA)의 제1 표시영역부(DA1) 및 제2 표시영역부(DA2)는 서로 다른 영상을 표시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서로 다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1 및 제2 표시영역부(DA1,DA2)에 하나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1 및 제2 표시영역부에 하나의 영상이 표시된 경우를 나타낸 화면 구성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표시영역부(DA1) 및 제2 표시영역부(DA2)에 'C'라는 영상이 표시된다.
즉, 제1 타이밍 콘트롤러(410)에 의해 제어되어 연성인쇄회로기판(400)은 'C'라는 영상 중 좌측 부분에 상응하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제3 게이트 신호 및 제3 데이터 신호를 제1 게이트 구동부(300) 및 제1 데이터 구동부(200)에 제공한다.
또한, 제2 타이밍 콘트롤러(420)에 의해 제어되어 연성인쇄회로기판(400)은 'C'라는 영상의 우측 부분에 상응하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제4 게이트 신호 및 제4 데이터 신호를 제2 게이트 구동부(310) 및 제2 데이터 구동부(210)에 제공한다.
상기 제3 게이트 신호에 의해 제1 복수의 게이트 라인(GL1-1,...,GL1-m)이 순차적으로 동작되고, 상기 제3 데이터 신호가 제1 복수의 데이터 라인(DL1-1,...,DL1-n)에 제공됨에 따라 제1 표시영역부(DA1)에 'C'라는 영상의 좌측 부분에 대응하는 영상이 표시된다.
상기 제4 게이트 신호에 의해 제2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GL2-1,...,GL2-m)이 순차적으로 동작되고, 상기 제4 데이터 신호가 제2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DL1-1,...,DL1-n)에 제공됨에 따라 제2 표시영역부(DA2)에 'C'라는 영상의 우측 부분에 대응하는 영상이 표시된다. 이때, 따라서, 제1 표시영역부(DA1) 및 제2 표시영역부(DA2)가 하나의 화면으로 구현되어 'C'라는 완전한 영상이 표시된다.
이처럼, 제1 표시영역부(DA1)와 제2 표시영역부(DA2)의 경계영역에서 게이트 라인들이 서로 분리되고, 상기 차광막이 제거된 형상을 가지므로, 제1 표시영역부(DA1)와 제2 표시영역부(DA2)의 경계영역에서도 영상이 표시된다. 따라서, 제1 표 시영역부(DA1)와 제2 표시영역부(DA2) 전체에서 하나의 영상이 표시될 수 있어 대형 화면이 구현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제1 표시영역부 및 제2 표시영역부로 이루어진 표시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제1 표시영역부와 제2 표시영역부의 경계영역에서 게이트 라인들이 서로 분리된 형상을 갖는다. 또한, 제1 표시영역부와 제2 표시영역부의 경계영역에서 차광막이 제거된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1 표시영역부 및 제2 표시영역부에 대응하는 각각의 게이트 라인들을 별도로 구동시킴에 따라 서로 다른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듀얼 모니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표시영역부 및 제2 표시영역부의 경계영역이 게이트 라인들이 서로 분리된 형상을 가지는 패널 구조를 가진다. 이로 인해, 상기 경계영역에서도 영상이 표시될 수 있어, 제1 표시영역부 및 제2 표시영역부에 걸쳐 하나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어 대형 화면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5)

  1. 제1 표시영역부 및 제2 표시영역부를 가지고, 상기 제1 및 제2 표시영역부에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
    상기 제1 표시영역부에 대응하는 상기 표시패널 상에 형성되는 제1 게이트 라인부 및 상기 제2 표시영역부에 대응하는 상기 표시패널 상에 형성되는 제2 게이트 라인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표시영역부와 상기 제2 표시영역부의 경계영역에서 상기 제1 게이트 라인부와 상기 제2 게이트 라인부가 서로 분리된 형상을 갖는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
    상기 제1 표시영역부에 대응하는 상기 표시패널 상에 상기 제1 게이트 라인부에 교차하도록 형성된 제1 데이터 라인부 및 상기 제2 표시영역부에 대응하는 상기 표시패널 상에 상기 제2 게이트 라인부에 교차하도록 형성된 제2 데이터 라인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 및
    상기 제1 게이트 라인부 및 상기 제1 데이터 라인부에 상기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제1 구동신호를 제공하는 제1 구동부; 및
    상기 제2 게이트 라인부 및 상기 제2 데이터 라인부에 상기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제2 구동신호를 제공하는 제2 구동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부는
    상기 제1 게이트 라인부에 제1 게이트 신호를 제공하는 제1 게이트 구동부;
    상기 제1 데이터 라인부에 제1 데이터 신호를 제공하는 제1 데이터 구동부; 및
    상기 제1 게이트 구동부 및 상기 제1 데이터 구동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1 타이밍 콘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구동신호는 상기 제1 게이트 신호 및 상기 제1 데이터 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동부는
    상기 제2 게이트 라인부에 제2 게이트 신호를 제공하는 제2 게이트 구동부;
    상기 제2 데이터 라인부에 제2 데이터 신호를 제공하는 제2 데이터 구동부; 및
    상기 제2 게이트 구동부 및 상기 제2 데이터 구동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2 타이밍 콘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구동신호는 상기 제2 게이트 신호 및 상기 제2 데이터 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은
    상기 제1 및 제2 표시영역부를 다수의 도메인으로 나누기 위하여 소정 형태로 제거된 제1 개구부가 형성된 화소전극을 갖는 표시기판;
    상기 표시기판에 대향하고, 상기 제1 및 제2 표시영역부를 다수의 도메인으 로 나누기 위하여 소정 형태로 제거된 제2 개구부가 형성된 공통전극을 갖는 대향기판; 및
    상기 표시기판과 상기 대향기판 사이에 개재된 수직 배향 액정층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대향기판은
    광에 의해 소정 색이 발현되는 색화소들; 및
    상기 색화소들 사이로 상기 광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제1 표시영역부 및 상기 제2 표시영역부의 경계영역에서 제거된 형상을 갖는 차광막을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20050038474A 2005-05-09 2005-05-09 표시장치 KR200601161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8474A KR20060116104A (ko) 2005-05-09 2005-05-09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8474A KR20060116104A (ko) 2005-05-09 2005-05-09 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6104A true KR20060116104A (ko) 2006-11-14

Family

ID=37653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8474A KR20060116104A (ko) 2005-05-09 2005-05-09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1610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46525B2 (en) 2013-12-06 2017-05-0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ulti-panel display device
CN110211534A (zh) * 2019-05-20 2019-09-06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图像显示方法、装置、控制器及存储介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46525B2 (en) 2013-12-06 2017-05-0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ulti-panel display device
CN110211534A (zh) * 2019-05-20 2019-09-06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图像显示方法、装置、控制器及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96653B2 (en)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7561239B2 (en) Liquid cryst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EP2048538B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5024110B2 (ja)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KR101359915B1 (ko) 액정표시장치
US7502007B2 (en) Electro-optical device, electronic apparatus, and electro-optical shielding device
JP2007248999A (ja) 液晶装置及び電子機器
JP2017181594A (ja) 表示装置
US8466862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210073807A (ko) 이형 액정 표시 패널
JP2007298983A (ja) 横電界方式の液晶表示装置用アレイ基板及びそのアレイ基板を含む表示装置の駆動方法
KR20170088010A (ko) 표시 장치
JP2018146854A (ja) 表示装置
JP5199638B2 (ja) 液晶表示装置
KR100950228B1 (ko) 다중 실 라인 및 블랙매트릭스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KR20150001168A (ko) 보조 공통 배선을 구비한 평판 표시장치용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US20230036306A1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panel
KR20060116104A (ko) 표시장치
CN111025714B (zh) 一种液晶显示面板及液晶显示装置
JP5398897B2 (ja) 液晶表示装置
US20060158408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110066749A (ko) 액정표시장치
KR101227133B1 (ko) 수평 전계 인가형 액정 표시 패널
US11640089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display system
KR100635941B1 (ko) 액정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