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5285A - 참 옻 진액이 혼합된 합성폴리에틸렌옥사이드분말을 함유하는 복합플라스틱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참 옻 진액이 혼합된 합성폴리에틸렌옥사이드분말을 함유하는 복합플라스틱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5285A
KR20060115285A KR1020050037763A KR20050037763A KR20060115285A KR 20060115285 A KR20060115285 A KR 20060115285A KR 1020050037763 A KR1020050037763 A KR 1020050037763A KR 20050037763 A KR20050037763 A KR 20050037763A KR 20060115285 A KR20060115285 A KR 200601152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ethylene oxide
oxide powder
weight
lacquer
synthetic polyethyl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77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극
Original Assignee
김영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극 filed Critical 김영극
Priority to KR10200500377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15285A/ko
Publication of KR200601152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5285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12Powdering or granulating
    • C08J3/126Polymer particles coated by polymer, e.g. core shell structu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4Acids; Salts thereof
    • C08K3/26Carbonates; Bi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1/00Compositions of polyeth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1/02Polyalkylene 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3/00Compositions of natural resin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thereof
    • C08L93/04Rosi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9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natural resins; Derivatives thereof
    • C08J2393/04Rosi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71/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th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71/02Polyalkylene 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37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titanium
    • C08K2003/2241Titanium di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4Acids; Salts thereof
    • C08K3/26Carbonates; Bicarbonates
    • C08K2003/265Calcium, strontium or barium carbon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2Flame or fire retardant/resista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참 옻 진액을 혼합한 합성폴리에틸렌옥사이드분말을 플라스틱에 함침시킨 복합플라스틱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옻 성분을 함유하는 플라스틱 및 그 제조방법은 그 제조공정이 복잡하여 제조가 어렵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던 바, 정제된 참 옻 진액 50~70중량%에 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 15~35중량%, 송진 3~10중량%, 에탄올 3~10중량%, 그리고 물 3~10중량%를 넣어 혼합 믹싱한 후 건조하여 고형분을 만들고, 이 고형분을 미세분말화(예를 들면 400~500mesh)한 합성폴리에틸렌옥사이드분말 5~15중량%를 플라스틱 85~95중량%에 함침시켜서 되는 것 등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에 의하면 원적외선 방사성, 음이온의 방출성, 내염성, 내열성, 방수성, 절연성, 방부성, 방충성, 항균성, 탈취성, 고광택 등의 참 옻의 유용한 특성을 발휘할 수 있게 되어 음식물 보관용기를 비롯한 각종 생활용품의 소재 및 공예품 및 장신구의 소재, 그 밖의 산업 전반에 걸쳐 폭넓게 사용될 수 있는 기초 소재로써 그 상품성과 기능성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옻, 진액, 합성폴리에틸렌옥사이드, 복합플라스틱

Description

참 옻 진액이 혼합된 합성폴리에틸렌옥사이드분말을 함유하는 복합플라스틱 및 그 제조방법 {A MULTI-PLASTIC HAVING URUSHIOL POLYETHYLENE OXIDE POWDER AND TH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참 옻 진액을 혼합한 합성폴리에틸렌옥사이드분말을 플라스틱에 함침시킨 복합플라스틱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복합플라스틱을 통해 제조되는 음식물 보관용기를 비롯한 각종 제품에서 참 옻을 통한 원적외선 방사 및 음이온 방출효과, 그리고 항균, 살균, 탈취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도록 한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이 관계하는 옻은 중국이 원산지인 옻나무(Rhus verniciflua)의 수액을 말하는 것으로, 통상 옻나무를 정식한 후 4년째부터 10년까지 사이에 채취할 수 있는 것이다.
옻의 채취방법은 옻나무 줄기 외피에 상처를 수평으로 내면 수액이 흘러나오는데, 이것을 채취한 것을 생옻이라 하며, 이것을 건조시켜 굳은 것을 마른옻이라고 한다.
옻을 채취하는 데는 상처를 적게 주어 나무가 죽지 않게 매년 조금씩 채취하 는 경우와 상처를 많이 내어 최대한으로 옻을 채취하고 나무가 죽으면 베어버리는 방법이 있으며, 7~10월에 옻나무에 V자형으로 상처를 내어 이 상처부위의 아래쪽에 채취용기를 연결함으로써 수액을 받아낸다.
그리고 옻의 채취량은 보통 10년생 나무에서 250g 정도의 옻을 채취할 수 있다.
옻의 주성분은 우루시올(urushiol)이며, 처음에는 무색투명하나 공기에 접촉하면 산화효소의 작용으로 검게 변하여 옻이 된다.
우루시올은 경도(硬度)가 높고 아름다운 광택을 가지며, 채취한 옻은 오래 저장하여도 변하지 않음은 물론 산이나 알칼리 또는 70℃ 이상의 열에 대해서도 변하지 않는다.
이러한 특성을 갖는 옻은 다른 색소와 섞어서 여러 가지 기구 및 기계의 도료로 쓰이기도 하고, 목제품의 접착제로도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한국 고유의 공예품으로 세계시장에 널리 알려진 나전칠기에도 사용되고 있다.
동의보감, 본초강목, 본초학 등의 한방에서 언급된 옻에 대해 살펴보면, 옻나무는 주로 줄기의 껍질을 약재로 쓰는데 이것을 한약명으로 건철피라고 한다.
옻은 살충, 해독, 청혈, 소화, 살균, 이수 등의 효과가 있으므로 꾸준히 복용하면 일체의 성인병이 예방되며, 또 옻에 의해 소멸된 균은 다시 되살아나지 못한다.
예를 들어 암세포의 경우 살균한 후에 그 세포의 표면을 방부처리해버리게 되므로 다시는 재발되지 않게 된다.
옻은 상기 방부처리의 효과를 응용하여 피부의 노화방지 약으로 개발되고 있 으며, 각종 암과 난치병 치료에도 효과가 있다고 있다.
옻은 간장에서는 어혈약이 되어 염증을 치료하고, 심장에서는 청혈제가 되어 심장병을 다스리며, 위장에서는 소화제가 되고, 폐에서는 살충제가 되어 결핵균 등을 멸종시키며, 신장에서는 이수제가 되는 등 오장육부의 모든 질병에 탁월한 효능을 발휘할 뿐 아니라 신경통, 관절염, 피부병에도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나무로 만든 생활도구나 식기 등에 옻칠을 하면 표면이 견고하고 단단한 막을 형성할 뿐 아니라 광택이 나고 오랫동안 사용하여도 변하지 않아 목기류의 보존 및 내구성 향상에 크게 기여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동양에서는 4,000년전부터 옻을 이용한 칠기문화가 발전하게 되었고, 단순한 생활용품외에도 각종 예술품, 금속이나 목공도장용, 칠기류 등에 옻이 널리 쓰이게 되었다.
옻칠도막은 각종 산(酸)에도 부식되지 않으며, 내염성(耐鹽性), 내열성(耐熱性) 및 방수(防水), 방부(防腐), 방충(防蟲), 절연(絶緣)의 효과가 뛰어난 내구성 물질로 이제까지 개발된 어떠한 합성도료에 못지 않은 뛰어난 물성을 지니고 있어 기존의 칠기 등의 공예분야에 한정되어 있는 용도 외에도 해저케이블선, 선박, 비행기, 각종 기기 등의 무공해성 산업용도료로 이용이 가능하다.
우리 조상들은 예로부터 지혜롭게 무공해 그릇을 사용해왔으며, 그 대표적인 것이 옻칠기 그릇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옻에는 우루시올이라는 성분이 들어 있어 건조후에도 스스로 소독성분을 발산하기 때문에 옻칠기에 음식을 담아먹으면 자연스럽게 소독, 멸 균효과를 거둘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리컵과 옻칠기 그릇에 우유를 담아놓고 상하는 시간을 살펴본 결과 유리컵은 약 4시간, 옻칠기 그릇은 10시간이 걸리게 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유서깊은 사찰일수록 옻칠기를 많이 사용하고 있는데 대표적인 것이 ‘바루대’이다.
스님들이 식사후 ‘바루대’를 씻을 때 세제를 쓰지 않고 물로만 씻어도 아무 탈이 없는 것은 옻칠의 항균효과 덕분이다.
결론적으로 옻은 천연수지의 일종으로서 내염성, 내열성, 방수성, 절연성이 우수할 뿐 아니라 방부성, 방충성, 항균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으며, 원적외선방사 및 전자파 차단 효과도 있는 것으로 연구되고 있다.
이러한 옻을 이용한 여러 가지 상품 중에서 옻 음용수는 전통식품 현대화를 위한 농림부 국책사업(농림부GA0033-0978)의 일환으로 한국식품연구원(국무총리산하 정부출연기관) 성기승박사외 8명이 3년간 연구 개발한 신기술로써 서울대학교 생명과학연구소에서 2년여에 걸쳐 안전성 임상실험을 완료하였으며, 한국식품의약품안전청(KFDA)으로부터 적합식품원료로 인증을 받았다.
한편 본 발명이 관계하는 원적외선은 혈액순환과 노폐물 배출을 촉진하여 건강을 증진시키며, 음식물 내부까지 침투하여 음식물이 변질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까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음이온은 각종 오염으로부터 생활주변에 방출된 양이온은 흡착, 중화시켜 음식물이 부패되는 것을 방지하며, 신체의 신진대사를 원활하게 해주는 것으 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러한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일상생활에서 손쉽게 접할 수 있도록 생활용품에 접목하려는 다양한 시도가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예를 들면 실용신안등록 제216897호에는 플라스틱 성형재료에 황토를 5~10중량% 혼합하여 제조한 플라스틱 식품용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한 황토 중에 포함된 원적외선 방사물질은 미량으로 포함된 금속성분 및 미네랄성분으로써 원하는 원적외선 방사 및 음이온 방출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다량의 황토를 혼합하여야 하지만 다량의 황토를 플라스틱에 혼합하는 경우 그 혼합성 및 분산성이 문제가 되며, 황토만을 포함시킨 플라스틱의 경우 내염성, 내열성, 방수성, 절연성, 방부성, 방충성, 항균성이 비교적 약하게 된다.
이에 종래에 있어서도 옻 성분을 함유하는 플라스틱 및 그 제조방법이 다수 제안되었던 바, 공개특허공보 제2000-24493호, 공개특허공보 제2001-70600호, 공개특허공보 제2002-90040호, 등록특허공보 제334293호 등에 개시된 종래기술은 그 제조공정이 복잡하여 제조가 어렵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실정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이며, 그 목적이 참 옻 진액을 통해 내염성, 내열성, 방수성, 절연성, 방부성, 방충성, 항균성이 우수하고 원적외선 방사 및 음이온 방출효과가 뛰어난 복합플라스틱을 보다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그 기능성이 보다 안정적으로 발휘되도록 하는 참 옻 진액이 혼합된 합성폴리에틸린옥사이드분말을 함유하는 복합플라스틱 및 그 제조방 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정제된 참 옻 진액을 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 Polyethylene Oxide), 송진(Pine resin), 에탄올(ethanol), 물(water)과 혼합 믹싱, 건조하여 고형분을 만들고, 이 고형분을 미세분말화한 합성폴리에틸렌옥사이드분말을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에이비에스(ABS) 등의 플라스틱에 함침시킴으로써 참 옻이 가지고 있는 기능성이 발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하 그 구체적인 기술내용을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의 참 옻 진액이 혼합된 합성폴리에틸렌옥사이드분말을 함유하는 복합플라스틱은 정제된 참 옻 진액 50~70중량%에 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 15~35중량%, 송진 3~10중량%, 에탄올 3~10중량%, 그리고 물 3~10중량%를 넣어 혼합 믹싱한 후 건조하여 고형분을 만들고, 이 고형분을 미세분말화(예를 들면 400~500mesh)한 합성폴리에틸렌옥사이드분말 5~15중량%를 플라스틱 85~95중량%에 함침시켜서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합성폴리에틸렌옥사이드분말의 구성요소인 정제된 참 옻 진액, 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 송진, 에탄올, 물의 성분비는 항균성, 방충성, 탈취성 등의 기능성 및 혼합성, 분산성, 안정성 등을 감안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참 옻은 우루시올 60~80중량%, 수분 10~30중량%, 고무질 5~15중량%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참 옻을 60~70℃에서 탄화시킴으로써 독성을 제거한 후 정제 하게 되면 독성이 제거된 참 옻 진액을 추출할 수 있다.
옻나무의 약리적 효능을 내는 주요 성분으로는 전술한 우루시올을 비롯하여 푸스틴, 피세틴, 설푸레틴, 부테인 등이 알려져 있고, 이들 성분을 기초로 한 조성물 및 기능성이 연구되고 있으며, 이들 성분의 분리 및 정제는 대부분이 실리카 컬럼을 사용하여 정제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상기 옻나무의 약리적 성분 중에서 우루시올의 경우 그 자체가 알러지를 유발하는 성질이 매우 강하기 때문에 섭치에 의한 약리효과를 얻는데 가장 큰 제약이 되고 있다.
참 옻 진액을 추출하는 다른 방법으로는 옻나무를 잘게 분쇄하고, 여기에 물 또는 주정을 가하여 추출하는 원물 추출공정과, 이를 여과 후 얻어진 추출물을 진공농축하여 추출고형분을 얻는 공정과, 이를 다시 에탄올 함량 95~100%의 용매를 가하고 여과하여 불용성 성분을 제거하는 에탄올 추출공정과, 얻어진 여액을 진공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남는 고형분에 헥산을 가하여 헥산에 가용인 성분을 용출시킨 후 여과하여 제거하는 헥산세척공정과, 남은 고형분에 물을 가하고 재추출하여 물에 가용성인 성분을 추출한 후 여과하여 불용성분을 제거하는 물추출공정과, 남는 여액을 동결건조하여 수용성의 옻나무 추출물을 얻는 분말화공정을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옻나무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합성폴리에틸렌옥사이드분말 제조과정에서 5~15중량%의 송진을 넣는 것은 폴리에틸렌옥사이드로 옻 진액을 감싸면서 혼합 고체화되는 과정에서 송진이 가지고 있는 천연 점질성을 이용하고자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플라스틱에 함침되는 합성폴리에틸렌옥사이드분말의 양은 85~95중량%의 플라스틱에 대하여 합성폴리에틸렌옥사이드분말 5~15중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한 바, 합성폴리에틸렌옥사이드분말을 5중량% 이하로 하는 경우 원하는 기능성을 발휘할 수 없게 되고, 합성폴리에틸렌옥사이드분말을 15중량% 이상으로 하는 경우 기능성이 다소 향상될 수는 있지만 분산성과 안정성이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는 평균 분자량이 200~400 미만인 고중합체로써 물에 녹기 쉽고 다량의 분말을 물에 넣으면 덩어리를 만들기 때문에 용해시에는 소량씩 넣어가면서 용해시키는 것이 좋으며, 이 폴리에틸렌옥사이드는 송진 등의 점액물질과 함께 참 옻 진액을 혼합할 때에 혼합물을 덩어리로 만들게 된다.
본 발명의 참 옻 진액이 혼합된 합성폴리에틸렌옥사이드분말을 함유하는 복합플라스틱은 합성폴리에틸렌옥사이드분말을 플라스틱에 함침시키는 과정에서 첨가되는 가소제, 착색제, 탄산칼슘(CaCO3), 이산화티타늄(TiO2)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첨가제를 소량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참 옻 진액이 혼합된 합성폴리에틸렌옥사이드분말을 함유하는 복합플라스틱의 제조방법은 정제된 참 옻 진액에 폴리에틸린옥사이드와 송진, 에탄올, 물을 혼합 믹싱한 후 건조하여 고형분을 만드는 단계;
상기 고형분을 분쇄기로 미세분말화(예를 들면 400~500mesh)하여 합성폴리에틸렌옥사이드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합성폴리에틸렌옥사이드분말을 플라스틱에 함침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합성폴리에틸렌옥사이드분말 제조과정에서의 각 성분의 혼합비율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정제된 참 옻 진액 50~70중량%, 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 15~35중량%, 송진 3~10중량%, 에탄올 3~10중량%, 그리고 물 3~10중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플라스틱에 함침되는 합성폴리에틸렌옥사이드분말의 성분비 역시 전술한 바와 같이 플라스틱 85~95중량%, 합성폴리에틸렌옥사이드분말 5~15중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합성폴리에틸렌옥사이드분말의 함침과정에서 가소제, 착색제, 탄산칼슘(CaCO3), 이산화티타늄(TiO2)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첨가제를 소량 첨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참 옻 진액을 혼합하여 제조한 합성폴리에틸렌옥사이드분말을 플라스틱에 함침시킨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복합플라스틱은 원적외선 방사성, 음이온의 방출성, 내염성, 내열성, 방수성, 절연성, 방부성, 방충성, 항균성, 탈취성, 고광택 등의 참 옻의 유용한 특성을 발휘할 수 있게 되어 음식물 보관용기를 비롯한 각종 생활용품의 소재 및 공예품 및 장신구의 소재, 그 밖의 산업 전반에 걸쳐 폭넓게 사용될 수 있는 기초 소재로써 그 상품성과 기능성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Claims (7)

  1. 정제된 참 옻 진액 50~70중량%에 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 15~35중량%, 송진 3~10중량%, 에탄올 3~10중량%, 그리고 물 3~10중량%를 넣어 혼합 믹싱한 후 건조하여 고형분을 만들고, 이 고형분을 미세분말화한 합성폴리에틸렌옥사이드분말을 플라스틱에 함침시켜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참 옻 진액이 혼합된 합성폴리에틸렌옥사이드분말을 함유하는 복합플라스틱.
  2. 제1항에 있어서, 합성폴리에틸렌옥사이드분말 5~15중량%를 플라스틱 85~95중량%에 함침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참 옻 진액이 혼합된 합성폴리에틸렌옥사이드분말을 함유하는 복합플라스틱.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가소제, 착색제, 탄산칼슘(CaCO3), 이산화티타늄(TiO2)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첨가제를 소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참 옻 진액이 혼합된 합성폴리에틸렌옥사이드분말을 함유하는 복합플라스틱.
  4. 정제된 참 옻 진액에 폴리에틸린옥사이드와 송진, 에탄올, 물을 혼합 믹싱한 후 건조하여 고형분을 만드는 단계;
    상기 고형분을 분쇄기로 미세분말화하여 합성폴리에틸렌옥사이드분말을 제조 하는 단계;
    상기 합성폴리에틸렌옥사이드분말을 플라스틱에 함침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참 옻 진액이 혼합된 합성폴리에틸렌옥사이드분말을 함유하는 복합플라스틱의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합성폴리에틸렌옥사이드분말 제조과정에서의 각 성분의 혼합비율을 정제된 참 옻 진액 50~70중량%, 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 15~35중량%, 송진 3~10중량%, 에탄올 3~10중량%, 그리고 물 3~10중량%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참 옻 진액이 혼합된 합성폴리에틸렌옥사이드분말을 함유하는 복합플라스틱의 제조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플라스틱에 함침되는 합성폴리에틸렌옥사이드분말의 성분비를 85~95중량%의 플라스틱에 대하여 합성폴리에틸렌옥사이드분말 5~15중량%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참 옻 진액이 혼합된 합성폴리에틸렌옥사이드분말을 함유하는 복합플라스틱의 제조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합성폴리에틸렌옥사이드분말의 함침과정에서 가소제, 착색제, 탄산칼슘(CaCO3), 이산화티타늄(TiO2)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첨가제를 소량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참 옻 진액이 혼합된 합성폴리에틸렌옥사이드분말을 함유하는 복합플라스틱의 제조방법.
KR1020050037763A 2005-05-04 2005-05-04 참 옻 진액이 혼합된 합성폴리에틸렌옥사이드분말을 함유하는 복합플라스틱 및 그 제조방법 KR200601152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7763A KR20060115285A (ko) 2005-05-04 2005-05-04 참 옻 진액이 혼합된 합성폴리에틸렌옥사이드분말을 함유하는 복합플라스틱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7763A KR20060115285A (ko) 2005-05-04 2005-05-04 참 옻 진액이 혼합된 합성폴리에틸렌옥사이드분말을 함유하는 복합플라스틱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5285A true KR20060115285A (ko) 2006-11-08

Family

ID=37652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7763A KR20060115285A (ko) 2005-05-04 2005-05-04 참 옻 진액이 혼합된 합성폴리에틸렌옥사이드분말을 함유하는 복합플라스틱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1528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2134B1 (ko) * 2012-01-10 2013-08-08 박근식 옻진액을 이용한 고분자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20305A (ja) * 1990-12-21 1992-08-1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漆化粧板
KR20000024493A (ko) * 2000-02-16 2000-05-06 김차봉 옻 성분을 혼합한 기능성 합성수지 및 그 제조 방법
KR20010070600A (ko) * 2001-05-26 2001-07-27 김형준 옻 성분을 함유하는 폴리올레핀 복합 수지 및 그 제조 방법
KR20020090040A (ko) * 2001-05-26 2002-11-30 아천주식회사 옻 성분을 함유하는 엔지니어링 복합 수지 및 그 제조 방법
KR20030047867A (ko) * 2002-12-30 2003-06-18 진은철 느릅나무와 옻나무를 이용한 방수재료의 제조방법 및 그제조방법에 의한 방수재료
JP2005023262A (ja) * 2003-07-01 2005-01-27 Kichinosuke Nagashio 生分解性プラスチック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20305A (ja) * 1990-12-21 1992-08-1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漆化粧板
KR20000024493A (ko) * 2000-02-16 2000-05-06 김차봉 옻 성분을 혼합한 기능성 합성수지 및 그 제조 방법
KR20010070600A (ko) * 2001-05-26 2001-07-27 김형준 옻 성분을 함유하는 폴리올레핀 복합 수지 및 그 제조 방법
KR20020090040A (ko) * 2001-05-26 2002-11-30 아천주식회사 옻 성분을 함유하는 엔지니어링 복합 수지 및 그 제조 방법
KR20030047867A (ko) * 2002-12-30 2003-06-18 진은철 느릅나무와 옻나무를 이용한 방수재료의 제조방법 및 그제조방법에 의한 방수재료
JP2005023262A (ja) * 2003-07-01 2005-01-27 Kichinosuke Nagashio 生分解性プラスチック及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2134B1 (ko) * 2012-01-10 2013-08-08 박근식 옻진액을 이용한 고분자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0421B1 (ko) 비누조성물
KR101374093B1 (ko) 숯겔 미용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079360B1 (ko) 여성 의류용 원단 및 그 제조방법
KR102222764B1 (ko) 친환경 화장품 용기 및 그 제조방법
JP2003238343A (ja) メラニン生成抑制剤又は化粧料組成物
KR100605660B1 (ko) 원적외선 및 음이온을 방사하며 솔향을 발산하는 합지제조용 천연접착제 및 이의 제조방법
CN1067218C (zh) 防治果树表皮病害的中药膏剂及其制备方法
US20110293760A1 (en) Method for extracting substances from soapberry fruit and seed and products made therefrom
CN105193683A (zh) 唇膏
KR20060121398A (ko) 참 옻 진액이 혼합된 세라믹분말을 함유하는 복합플라스틱및 그 제조방법
KR20150029672A (ko) 기능성바이오세라믹과 107가지 산야초를 이용하여 만들어진 기능성 피부건강미용제
KR101310512B1 (ko) 다기능 흡음퍼티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N107439897A (zh) 一种植物源抑菌剂
KR20060115285A (ko) 참 옻 진액이 혼합된 합성폴리에틸렌옥사이드분말을 함유하는 복합플라스틱 및 그 제조방법
KR100607143B1 (ko) 천연 향을 함유한 옻칠도료의 제조방법
KR101785029B1 (ko) 닥섬유와 패각을 이용한 타일의 제조방법
KR102509566B1 (ko) 식물의 약성과 유황 발효를 통해 얻어지는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살균·살충·탈취제의 제조방법
JP2006176456A (ja) 爪保護・改善剤及びこれを含有する爪用化粧料組成物
CN109181858A (zh) 一种从桉叶中提取桉叶不饱和脂肪酸的方法
CN107494905A (zh) 一种植物源抑菌剂的制备方法
CN107788229A (zh) 一种植物源抑菌剂的用途
RU2646468C1 (ru) Косметический и/или оздоровительный биологически активный препарат
JP2003252744A (ja) 多機能性紫外線障害防御剤
KR20020017719A (ko) 자연향을 발산하는 도막
RU2665948C1 (ru) Лекарственный препарат для наружного применен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