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5079A - 전해조, 이를 채용한 이온 정수기 및 전해조 원료수공급방법 - Google Patents

전해조, 이를 채용한 이온 정수기 및 전해조 원료수공급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5079A
KR20060115079A KR1020050037389A KR20050037389A KR20060115079A KR 20060115079 A KR20060115079 A KR 20060115079A KR 1020050037389 A KR1020050037389 A KR 1020050037389A KR 20050037389 A KR20050037389 A KR 20050037389A KR 20060115079 A KR20060115079 A KR 200601150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let
water
outlet
electrolytic cell
cr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7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혁
Original Assignee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373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15079A/ko
Publication of KR200601150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50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6Filters making use of electricity or magnetism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8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for producing "ionised" acidic or basic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neutralisation; pH adjus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15Electrolytic cell with membranes or diaphragm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6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pH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산성수를 사용할 경우 양극실로 많은 원료수를 공급하고 알칼리수를 사용할 경우에는 반대로 음극실로 많은 원료수를 공급하도록 하여 원료수에 대한 제품수와 퇴수의 비율을 효율적으로 조절함으로써 원료수 사용효율을 현저하게 증가시킬 수 있는 전해조, 이를 채용한 이온 정수기 및 전해조 원료수 공급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해조, 이를 채용한 이온 정수기 및 전해조 원료수 공급방법{Electrolytic cell, ion water purifier employing the same, and filtering water supplying method}
도 1a은 종래의 이온 정수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1b는 종래의 이온정수기용 전해조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온 정수기용 전해조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2에 의한 원료수 공급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이온 정수기용 전해조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도 4의 다른 변경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도 4에 의한 원료수 공급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전해조 110 : 본체
112a,112b : 제1,2실 114a,114b : 제1,2유입구
116a,116b : 제1,2유출구 120 : 격막
130a,130b : 제1,2전극판 131a,131b : 밸브
본 발명은 이온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산성수를 사용할 경우 양극실로 많은 원료수를 공급하고 알칼리수를 사용할 경우에는 반대로 음극실로 많은 원료수를 공급하도록 하여 원료수에 대한 제품수와 퇴수의 비율을 효율적으로 조절함으로써 원료수 사용효율을 현저하게 증가시킬 수 있는 전해조, 이를 채용한 이온 정수기 및 전해조 원료수 공급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정수기에서 필터링한 물을 재차 전해조를 사용하여 물을 전기분해하여 알칼리수를 음용수로 사용하고 산성수를 미용수로 사용하도록 하는 이온 정수기가 제안되고 있다.
이와 같은 알칼리수를 공급할 수 있는 이온정수기에 관한 종래기술로는 공지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5-0005274호(2005.1.13), 공개특허 제10-2004-0110297호(2004.12.31), 등록실용신안 제20-0327035호(2003.9.5) 등에도 잘 나타나 있다.
즉, 종래의 이온 정수기는 수도꼭지로부터 제공된 원수를 정수필터로 정수한 다음 저장하는 저장탱크와, 상기 저장탱크로부터 제공된 정수를 전기분해하여 알칼리수와 산성수를 만드는 전해조와, 상기 전해조에서 배출되는 알칼리수를 저장하는 알칼리수조와, 상기 알칼리수조로부터 공급되는 알칼리수를 냉각 보관하는 냉수탱크와, 상기 알칼리수조와 연결되어 알칼리수를 공급받아 가열 저장하는 온수탱크를 갖추고 있다.
한편, 도 1a는 저장탱크로 제공된 정수를 전기분해하여 알칼리수 및 산성수를 생산하는 전해조의 일반적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전해조의 단면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인 단면도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전해조(B)의 내부에는 산성이온수를 만들기 위한 전극인 플러스전극판(+)이 마련된 양극실(41)과, 알칼리이온수를 만들기 위한 전극인 마이너스 전극판(-)이 마련된 음극실(40)을 갖추고 있으며, 물의 전해질을 분리 여과하여 이온수를 생성하는 전극판 및 격막(멤브레 인) 등이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음극실(40) 및 양극실(41)의 각 전극에 전압을 인가시키게 되면, 상기 양극실(41)에서는 수산이온이 환원되어 산소가스가 발생되므로 물 속의 수산이온이 소비되고, 이때 수산이온 이외의 염소, 인, 유황 등의 음이온은 산을 형성하여 양극실(41)의 물은 산성을 띠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음극실(40)에서는 수소이온이 환원되어 수소 가스가 발생되므로 물 속의 수소이온이 소비되고, 이때 수소이온 이외의 나트륨, 마그네슘, 칼슘 등의 양이온은 수소 이온쌍을 형성하여 음극실(40)의 용액은 알칼리성을 띠게 된다.
이렇게 생성된 알칼리이온수는 음료용으로 사용되고, 산성이온수는 피부미용이나 소독수로 사용되며, 특히 음료용으로서의 알칼리이온수는 전기분해에 의한 6각 고리구조(육각수)가 갖추어져 건강유지에 탁월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이온 정수기용 전해조는 알칼리수를 사용할 때에는 산성수를 퇴수되도록 하고 반대로 산성수를 사용할 때에는 알칼리수가 퇴수되 도록 구성되어 있는 바, 원료수(정수) 대비 실제 사용할 수 있는 제품수는 60% 수준으로 물 소비량이 높고 물 사용효율 낮은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실제 사용되는 경우 전해조(B) 내부로의 원료수의 유입량은 약 3L/min이지만 상기 전해조(B)를 거친 후 사용자가 실제 콕을 통해 받을 수 있는 제품수의 양은 약 2L/min으로 감소함으로써 사용편의성이 떨어지는 단점도 유발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현상은 원료수의 공급유량 및 수압이 일정수준 이상의 조건일 경우이고 저수압지역 등에서는 상기와 같이 유입유량이 부족할 경우 제품수의 유량이 더욱 감소해서 실사용자의 사용편의성이 더욱 떨어지는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아울러, 전해조(B)로 내부로 원료수가 느리게 통과함으로써 설계된 전해시간 보다 긴 시간 동안 운전되어 잔류 염소성분이 과잉함유되어 물맛 품질을 저하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해조의 양극실과 음극실로 유입되는 유량을 유량조절수단을 통해 서로 다르게 조절함으로써 유입되는 원료수 대비 제품수와 퇴수의 비율을 효율적으로 조절하도록 하여 원료수 사용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전해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해조의 양극실과 음극실로 유입되는 유량을 유량조절수단을 통해 서로 다르게 조절함으로써 유입되는 원료수 대비 제품수와 퇴수의 비율을 효율적으로 조절하도록 하여 원료수 사용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이온 정수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산성수를 사용할 경우 유량조절수단을 통해 양극실로 원료수를 많이 공급하고 알칼리수를 사용할 경우에는 반대로 음극실로 많은 원료수를 공급하도록 함으로써, 원료수 대비 제품수와 퇴수의 비율을 효율적으로 조절하도록 하여 전해조를 통한 원료수 사용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이온정수기용 전해조 원료수 공급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해조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를 양극실과 음극실로 구획하는 격막; 상기 양극실에 형성되는 제1유입구 및 제1유출구; 및 상기 음극실에 형성되는 제2유입구 및 제2유출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유입구와 상기 제2유입구 또는 상기 제1유출구와 상기 제2유출구중 적어도 어느 일측 그룹을 통과하는 유량비를 서로 다르게 조절할 수 있는 유량조절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한다.
상기 유량조절수단은 상기 제1유입구와 상기 제2유입구, 또는 상기 제1유출구와 상기 제2유출구의 단면적 비가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유입구와 상기 제2유입구의 단면적 비를 서로 다르게 형성하고, 상기 제1유출구와 상기 제2유출구의 단면적 비는 서로 동일하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달리, 상기 제1유입구와 상기 제2유입구의 단면적 비를 서로 동일하게 형성하고, 상기 제1유출구와 상기 제2유출구의 단면적 비는 서로 다르게 형성할 수도 있다.
이 밖에, 상기 제1유입구 및 상기 제2유입구의 단면적 비와 상기 제1유출구 및 상기 제2유출구의 단면적 비를 각각 서로 다르게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제1유입구와 상기 제2유입구중 어느 일측의 단면적이 크면 이와 대응되는 유출구의 단면적이 크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유량조절수단은 상기 전해조의 제1유입구와 제2유입구로 유입되는 유량을 서로 다르게 조절할 수 있는 밸브로 채용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온정수기는 정수된 물이 저장되는 정수탱크; 및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를 양극실과 음극실로 구획하는 격막과, 상기 양극실에 형성되는 제1유입구 및 제1유출구와, 상기 음극실에 형성되는 제2유입구 및 제2유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정수탱크로부터 정수된 물을 전기분해하여 이온수를 생성하는 전해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유입구와 상기 제2유입구 또는 상기 제1유출구와 상기 제2유출구중 적어도 어느 일측 그룹을 통과하는 유량비를 서로 다르게 조절할 수 있는 유량조절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해조 원료수 공급방법은 사용자에 의해 산성수 또는 알칼리수가 선택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신호가 제어부에 입력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된 신호를 판단하여 산성수일 경우 전해조의 단면적이 큰 유입구측 전극판에 "+"를, 단면적이 작은 유입구측 전극판에 "-"를 인가하고, 알칼리수일 경우 단면적이 큰 유입구측 전극판에 "-"를, 단면적이 작은 유입구측 전극판에 "+"를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전해조 원료수 공급방법의 또 다른 방법으로서, 본사용자에 의해 산성수 또는 알칼리수가 선택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신호가 제어부에 입력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된 신호를 판단하여 산성수일 경우 밸브를 조절하여 전해조의 양극실로 원료수를 많이 공급하고, 알칼리수일 경우 상기 전해조의 음극실로 원료수를 많이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기존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본 발명의 특징적인 사항들만 구체적으로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온 정수기는 정수된 물이 저장되는 정수탱크와, 상기 정수탱크로부터 정수된 물을 전기분해하여 이온수를 생성하는 전해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온 정수기는 전해조 구조를 제외한 모든 구성이 전술된 종래기술과 동일 내지는 유사한 구성을 채택하고 있으므로, 이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인 전해조 구조를 부각시켜 설명하고 이와 연계되는 기타의 구성들에 대해서는 전술된 종래기술을 참조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전해조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온 정수기용 전해조(100)는 본 체(110)의 내부가 중앙에 있는 격막(120)을 중심으로 좌측의 제1실(112a)과 우측의 제2실(112b)로 구획된다.
상기 제1실(112a)과 제2실(112b)에는 정수탱크(미도시)에 저장된 정수된 상태의 원료수가 유입되는 제1유입구(114a)와 제2유입구(114b)가 형성되고, 상기 제1유입구(114a)와 제2유입구(114b)를 통해 유입된 원료수가 제1실(112a) 및 제2실(112b) 내부에서 전기분해 과정을 거쳐 이온화되어 제품수 및 퇴수 각각 유출되는 제1유출구(116a)와 제2유출구(116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실(112a)과 제2실(112b) 내에는 내부로 유입된 원료수를 전기분해할 수 있도록 외부로부터 전원(DC전원)이 인가되어지는 제1전극판(130a) 및 제2전극판(130b)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1전극판(130a)과 제2전극판(130b)에는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 또는 (-)/(+)의 극성을 선택적으로 변경하여 인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이온 정수기의 외부에 있는 알칼리수/산성수 선택 스위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조에 따르면, 상기 전해조 본체(110)의 제1유입구(114a) 단면적(D1)은 상기 제2유입구(114b)의 단면적(D2) 보다 일정비율 크게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유체의 유량(Q) = 단면적(A) * 유속(V)의 식으로 표현되어지기 때문에 단위시간당 통과되는 유량(Q)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단면적(A)을 증가시키면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제1유입구(114a)의 단면적을 제2유입구(114b)의 단면적 보다 크게 형성하게 되면, 상기 제1유입구(114a)를 통해 내부로 유입되는 원료수의 양이 상기 제2유입구(114b)를 통해 유입되는 원료수의 양 보다 많아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대응하여 내부로 유입된 원료수가 이온화된 후 제품수 및 퇴수로 출수되는 제1유출구(116a)와 제2유출구(116b)의 단면적 비(d1:d2) 역시 상기 제1유입구(114a) 및 제2유입구(114b)의 단면적 비(D1:D2)와 동일하게 형성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1유입구(114a)와 제2유입구(114b) 및 상기 제1유출구(116a)과 제2유출구(116b)의 단면적의 비(d1:d2)는 각각 1:0.5~0.01 정도 범위 내에 존재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도면상에 별도의 부호로 표현하지 않았으나 상기 제1유입구(114a)와 제2유입구(114b) 및 상기 제1유출구(116a)과 제2유출구(116b)와 각각 연결되는 배관의 단면적 또한 상기 각 유입구와 유출구에 대응되는 단면적 비로 구비되어야 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3은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전해조에 원료수가 공급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먼저 알칼리수/산성수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 스위치(미도시)를 통하여 알칼리수 또는 산성수를 선택하게 된다.(S300)
다음으로, 제어부에서는 상기 선택신호를 입력 받아 사용자가 선택한 이온수가 알칼리수인지 산성수인지 판단하게 된다.(S310),
이때, 만약 상기 선택된 이온수가 알칼리수이면 제어부는 큰 단면적을 갖는 전해조(100)의 제1유입구(114a)측 제1전극판(130a)에 (-)전원을, 작은 단면적을 갖는 제2유입구(114b)측 제2전극판(130b)에는 (+)전원을 각각 인가하게 된다.(S320)
이렇게 되면, 전해조(100)의 제1실(음극실)과 제2실(양극실) 내부로 각각 유입된 원료수는 (-)와 (+)로 각각 대전된 제1전극판(130a) 및 제2전극판(130b)에 의해 전기분해되어 이온화된 후, 제1유출구(116a)과 제2유출구(116b)를 통해 제품수와 퇴수로 출수된다.
이때, 상기 제1실(112a)의 제1유입구(114a) 및 제1유출구(116a)의 단면적(D1,d1)이 상기 제2실(112b)의 제2유입구(114b) 및 제2유출구(116b)의 단면적(D2,d2) 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1유출구(116a)를 통해 최종적으로 출수되는 제품수(알칼리수)의 유량을 제2유출구(116b)를 통해 출수되는 퇴수(산성수)의 유량 보다 많아지도록 유도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반대로 만일 상기 선택된 이온수가 산성수이면 제어부는 큰 단면적을 갖는 전해조(100)의 제1유입구(114a)측 제1전극판(130a)에 (+)전원을, 작은 단면적을 갖는 제2유입구(114b)측 제2전극판(130b)에는 (-)전원을 각각 인가하게 된다.(S330)
이렇게 되면, 전해조(100)의 제1실(112a:양극실)과 제2실(112b:음극실) 내부로 각각 유입된 원료수는 (+)와 (-)로 각각 대전된 제1전극판(130a) 및 제2전극판(130b)에 의해 전기분해되어 이온화된 후, 제1유출구(116a)과 제2유출구(116b)를 통해 제품수와 퇴수로 출수된다.
이때, 상기 제1실(112a)의 제1유입구(114a) 및 제1유출구(116a)의 단면적(D1,d1)이 상기 제2실(112b)의 제2유입구(114b) 및 제2유출구(116b)의 단면적(D2,d2) 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1유출구(116a)를 통해 최종적으로 출수되는 제품수(산성수)의 유량을 제2유출구(116b)를 통해 출수되는 퇴수(알칼리수)의 유량 보다 많아지도록 유도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전해조(100)의 각 유입구 또는 유출구의 단면적 비를 달리 형성하여 상기 전해조(100) 내부로 유입되는 원료수 대비 실제 사용되는 제품수의 양을 증가시킴으로써 이온 정수기의 원료수 사용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선택한 제품수의 유량을 더욱 증가된 상태로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저수압지역 등지에서 발생되던 원료수의 공급유량 및 수압의 감소에 따른 사용상 불편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제1실시예의 전해조(100)는 제1유입구(114a)와 제2유입구(114b) 그리고 제1유출구(116a)과 제2유출구(116b)의 단면적 비가 각각 달리 형성된 구조를 갖고 있으나, 상기와 달리, 상기 제1유입구(114a) 및 제2유입구(114b)의 단면적 비는 서로 다르게 형성하고, 상기 제1유출구(116a) 및 상기 제2유출구(116b)의 단면적 비는 상호 동일하게 형성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전해조(100)의 제1유입구(114a)와 제2유입구(114b)의 단면적 비를 동일하게 형성하고, 상기 제1유출구(116a)와 상기 제2유출구(116b)의 단면적 비를 서로 다르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단, 상기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전해조(100)의 제1,2유입구(114a)(114b)의 단면적 비와 제1,2유출구(116a)(116b)의 단면적 비를 서로 달리 형성하게 될 경우, 상기 제1,2유입구(114a)(114b)중 어느 일측 단면적을 크게 형성하면 이와 대응되는 유출구의 단면적도 크게 형성해야 함은 물론이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온 정수기용 전해조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이온정수기용 전해조(100)는 제1실(112a)과 제2실(112b)로 유입되는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수단으로 밸브를 채용하고 있다.
즉, 도 4에서 보는 것과 같이, 전해조(100)의 제1유입구(114a) 및 제2유입구(114b)에 연결된 각 배관상에 원료수의 유입량을 조절할 수 있는 밸브(131a)(131b)가 설치된다.
상기 각 밸브(131a)(131b)의 개폐동작은 제어부(미도시)를 통해 제어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밸브(131a)(131b)를 채용하게 되면, 전술된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전해조(100)의 제1,2유입구(114a)(114b)와 제1,2유출구(116a)(116b)의 단면적 비를 달리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이때, 상기와 같은 밸브(131a)(131b)는 상기 제1유입구(114a)나 제2유입구(114b)측 배관 중에 어느 일측에만 설치될 수도 있고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양측 배관에 모두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한 기술적 구성을 원용하여 본 발명의 전해조 구조를 도 5와 같이 달리 변경 적용할 수도 있다.
즉, 도 5에서 볼 수 있듯이, 원료수가 유입되는 전해조(100)의 제1실(112a)과 제2실(112b)에 각각 2개씩의 유입구(114a)(114c)(114b)(114d)를 형성하고, 전기분해된 이온수가 출수되는 유출구(116a)(116b)는 전술된 실시예처럼 각각 1개씩 둔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제1실(112a)과 제2실(112b)에 형성된 각각의 유입구(114a)(114c)(114b)(114d)중 어느 한쪽에만 밸브(131a)(131b)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형성하게 되면, 상기 밸브(131a)(131b)의 개폐작용을 통해 전해조(100)의 제1실(112a) 또는 제2실(112b)로 유입되는 원료수의 유입량의 조절이 보다 용이해지고 그 유입량도 현저하게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도 6은 도 4 및 도 5의 구성에 따르는 전해조(100)의 원료수 공급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먼저 알칼리수/산성수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 스위치(미도시)를 통하여 알칼리수 또는 산성수를 선택하게 된다.(S500)
다음으로, 제어부에서는 상기 선택신호를 입력 받아 사용자가 선택한 이온수가 알칼리수인지 산성수인지 판단하게 된다.(S510),
이때, 만약 상기 선택된 이온수가 알칼리수이면 제어부는 전해조(100)의 제1유입구(114a)측 밸브(131a)를 많이 개방하고 제2유입구(114b)측 밸브(131b)를 적게 개방하여 제1실(112a:여기에서는 음극실)로 상대적으로 많은 원료수를 공급하도록 한다.(S520)
이에 따라, 상기 제1유출구(116a)를 통해 최종적으로 출수되는 제품수(알칼리수)의 유량을 제2유출구(116b)를 통해 출수되는 퇴수(산성수)의 유량 보다 많아지도록 유도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반대로 만일 상기 선택된 이온수가 산성수이면 제어부는 전해조(100)의 제1유입구(114a)측 밸브(131a)를 적게 개방하고 제2유입구(114b)측 밸브(131b)를 많이 개방하여 제2실(112:여기에서는 양극실)로 상대적으로 많은 원료수를 공급하도록 한다.(S530)
이때, 상기 각 밸브(131a)(131b)의 개폐에 따른 유량비는 전술된 제1실시예에서와 같은 유량비로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유출구(116b)를 통해 최종적으로 출수되는 제품수(산성수)의 유량을 제1유출구(116a)를 통해 출수되는 퇴수(알칼리수)의 유량 보다 많아지도록 유도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전해조(100)의 각 유입구 또는 유출구의 개도를 밸브(131a)(131b)를 통해 적절히 조절하여 상기 전해조(100) 내부로 유입되는 원료수 대비 실제 사용되는 제품수의 양을 증가시킴으로써 이온 정수기의 원료수 사용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선택한 제품수의 유량을 더욱 증가된 상태로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저수압지역 등지에서 발생되던 원료수의 공급유량 및 수압의 감소에 따른 사용상 불편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물론 전해조(100) 내부의 제1전극판(130a)과 제2전극판(130b)의 극성은 제어부를 통해 선택적으로 조정 가능하기 때문에 제1실(112a)과 제2실(112b)은 양극실 또는 음극실로 선택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전해조의 유입구 또는 유출구중 적어도 어느 일측의 단면적 비를 서로 다르게 형성함으로써, 사용하고자 하는 제품수의 양을 증가시키고 퇴수의 양을 상대적으로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이온 정수기의 원료수 사용효율을 현저하게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구성과 달리 전해조의 각 유입구측 배관에 양극실 및 음극실로 유입되는 원료수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밸브를 설치함에 따라 상기 단면적 비를 다르게 형성하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와 함께, 사용자가 선택한 제품수의 유량을 보다 증가된 상태로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종래의 저수압지역 등지에서 야기되던 원료수의 공급유량 및 수압의 감소에 기인한 사용상 불편도 크게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전해조의 양극실과 음극실로 유입되는 원료수의 유입속도를 효율적으로 분배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전해조로 원료수가 느리게 통과함으로 써 설계된 전해시간 보다 긴 시간으로 운전되던 폐단을 막을 수 있고, 잔류염소성분의 과잉 함유로 인한 물맛 품질의 감소를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본체;
    상기 본체 내부를 양극실과 음극실로 구획하는 격막;
    상기 양극실에 형성되는 제1유입구 및 제1유출구; 및
    상기 음극실에 형성되는 제2유입구 및 제2유출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유입구와 상기 제2유입구 또는 상기 제1유출구와 상기 제2유출구중 적어도 어느 일측 그룹을 통과하는 유량비를 서로 다르게 조절할 수 있는 유량조절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조절수단은 상기 제1유입구와 상기 제2유입구, 또는 상기 제1유출구와 상기 제2유출구의 단면적 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입구와 상기 제2유입구의 단면적 비는 서로 다르게 형성되고, 상기 제1유출구와 상기 제2유출구의 단면적 비는 서로 동일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입구와 상기 제2유입구의 단면적 비는 서로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1유출구와 상기 제2유출구의 단면적 비는 서로 다르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입구 및 상기 제2유입구의 단면적 비와 상기 제1유출구 및 상기 제2유출구의 단면적 비는 각각 서로 다르게 형성되되, 상기 제1유입구와 상기 제2유입구중 어느 일측의 단면적이 크면 이와 대응되는 유출구의 단면적도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조절수단은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조.
  7. 정수된 물이 저장되는 정수탱크; 및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를 양극실과 음극실로 구획하는 격막과, 상기 양극실에 형성되는 제1유입구 및 제1유출구와, 상기 음극실에 형성되는 제2유입구 및 제2유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정수탱크로부터 정수된 물을 전기분해하여 이온수를 생성하는 전해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유입구와 상기 제2유입구 또는 상기 제1유출구와 상기 제2유출구중 적어도 어느 일측 그룹을 통과하는 유량비를 서로 다르게 조절할 수 있는 유량조절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 정수기.
  8. 사용자에 의해 산성수 또는 알칼리수가 선택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신호가 제어부에 입력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된 신호를 판단하여 산성수일 경우 전해조의 단면적 이 큰 유입구측 전극판에 "+"를, 단면적이 작은 유입구측 전극판에 "-"를 인가하고, 알칼리수일 경우 단면적이 큰 유입구측 전극판에 "-"를, 단면적이 작은 유입구측 전극판에 "+"를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정수기용 전해조의 원료수 공급방법.
  9. 사용자에 의해 산성수 또는 알칼리수가 선택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신호가 제어부에 입력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된 신호를 판단하여 산성수일 경우 밸브를 조절하여 전해조의 양극실로 원료수를 많이 공급하고, 알칼리수일 경우 상기 전해조의 음극실로 원료수를 많이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정수기용 전해조 원료수 공급방법.
KR1020050037389A 2005-05-04 2005-05-04 전해조, 이를 채용한 이온 정수기 및 전해조 원료수공급방법 KR200601150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7389A KR20060115079A (ko) 2005-05-04 2005-05-04 전해조, 이를 채용한 이온 정수기 및 전해조 원료수공급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7389A KR20060115079A (ko) 2005-05-04 2005-05-04 전해조, 이를 채용한 이온 정수기 및 전해조 원료수공급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5079A true KR20060115079A (ko) 2006-11-08

Family

ID=37652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7389A KR20060115079A (ko) 2005-05-04 2005-05-04 전해조, 이를 채용한 이온 정수기 및 전해조 원료수공급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1507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13933A2 (ko) * 2009-07-27 2011-02-03 주식회사 이오니아 이온수기 자동유로전환장치와 동기화된 급수유량조절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13933A2 (ko) * 2009-07-27 2011-02-03 주식회사 이오니아 이온수기 자동유로전환장치와 동기화된 급수유량조절장치
WO2011013933A3 (ko) * 2009-07-27 2011-04-21 주식회사 이오니아 이온수기 자동유로전환장치와 동기화된 급수유량조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17253B (zh) Water conservator and alkaline water generation method
KR100687789B1 (ko) 전해조, 이를 채용한 이온 정수기 및 전해조 세척방법
KR20130040492A (ko) 전해 환원수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3820248B2 (ja) 電気分解整水器
JP4597263B1 (ja) 電解水製造装置及びこれを用いる電解水の製造方法
KR101407728B1 (ko) 정수기
JP2008168180A (ja) 水素含有電解水整水器及び浴槽設備及び水素含有電解水の製造方法
KR20060115079A (ko) 전해조, 이를 채용한 이온 정수기 및 전해조 원료수공급방법
JP4106788B2 (ja) アルカリイオン整水器
KR20120067142A (ko) 살균수 챔버를 갖는 연수 장치 및 이의 작동 방법
JP2003278931A (ja) イオン水生成機の転換バルブ
KR20120019316A (ko) 무격막 전해조를 포함한 전해수 시스템
WO2012132600A1 (ja) 電解水生成装置
KR101299687B1 (ko) 이온수 생성시스템
JP4936423B2 (ja) 電解水生成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流し台
JPH06312189A (ja) 電解殺菌水製造装置
KR20130062647A (ko) 정수 및 이온수 제공 장치
WO2017138048A1 (ja) 電解水生成装置
JP4591001B2 (ja) アルカリイオン整水器
KR102534556B1 (ko) 살균 및 수소공급이 가능한 수전
KR20070075624A (ko) 산화전위수 생성장치
KR20140146381A (ko) 알칼리수소환원냉온수기/냉온정수기
RU2169120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электрохимической обработки воды
KR100644946B1 (ko) 전해조, 이를 채용한 이온 정수기
JP3611848B1 (ja) アルカリイオン整水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