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4909A - 전자기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전자기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4909A
KR20060114909A KR1020050037115A KR20050037115A KR20060114909A KR 20060114909 A KR20060114909 A KR 20060114909A KR 1020050037115 A KR1020050037115 A KR 1020050037115A KR 20050037115 A KR20050037115 A KR 20050037115A KR 20060114909 A KR20060114909 A KR 200601149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tem
gui
sub
dimension
indic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7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11264B1 (ko
Inventor
김준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371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1264B1/ko
Priority to US11/325,353 priority patent/US20060253802A1/en
Priority to CNA2006100777434A priority patent/CN1859549A/zh
Publication of KR200601149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49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12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12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5Interaction with a metaphor-based environment or interaction object displayed as three-dimensional, e.g. changing the user viewpoint with respect to the environment or objec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Geometr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기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항목을 포함하는 GUI를 3D(3-Dimension)로 처리 가능한 GUI생성부와; 상기 항목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선택부와; 상기 사용자선택부를 통해 GUI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GUI를 2D(2-Dimension)로 처리하여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선택부의 조작에 의해 지시되는 항목을 3D(3-Dimension)로 처리하여 생성하도록 상기 GUI생성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하여, 전자기기의 사용자조정GUI를 표시함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지시 또는 선택된 항목을 3D(3-Dimension)로 처리하여 생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구분하는 데 보다 효과적인 전자기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기기 및 그 제어방법{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TV의 제어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TV의 제어흐름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GUI에 관한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GUI생성부 20 : 사용자선택부
30 : 제어부 40 : 디스플레이부
50 : 안테나 60 : 외부입력부
70 : 영상신호처리부
본 발명은 전자기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생성하는 전자기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텔레비전, 모니터, DVD 와 같이 영상 및 음향을 재생 또는 디스플레이하는 영상기기를 비롯한 일반적인 전자기기는 해당 기기의 상태를 조정 또는 데이터를 선택하기 위한 다양한 항목을 포함하는 GUI를 화면으로 표시한다. 이에, 사용자는 GUI를 보면서 해당 기기의 상태를 조정 또는 데이터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였다.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GUI를 사용자가 알기 쉽도록 표시하는 방법이 전자기기에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지시된 항목의 사이즈 및 색상 또는 휘도레벨을 조정하여 지시되지 않은 항목과 지시된 항목을 사용자가 구별하기 쉽도록 하거나, 지시된 항목의 표시톤을 낮춰 배경화면과 사용자조정GUI를 겹쳐서 동시에 보이도록 표시하는 하프톤방식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들은 모두 2D(2-Dimension)로 처리하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지시 또는 선택된 항목과 시각적으로 구분하는데 한계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기기의 GUI를 표시함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지시 또는 선택된 항목을 3D(3-Dimension)로 처리하여 생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구분하는 데 보다 효과적인 전자기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전자기기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항목을 포함하는 GUI를 3D(3-Dimension)로 처리 가능한 GUI생성부와; 상기 항목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선택부와; 상기 사용자선택부를 통해 GUI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GUI를 2D(2-Dimension)로 처리하여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선택부의 조작에 의해 지시되는 항목을 3D(3-Dimension)로 처리하여 생성하도록 상기 GUI생성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하여 지시 된 항목을 3D(3-Dimension)로 처리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명확히 구분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시되는 항목을 가상의 축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하고, 이동한 궤적을 상기 항목과 함께 3D(3-Dimension)로 처리하여 생성하도록 상기 GUI생성부를 제어하여 기존의 X축 및 Y축 이외에 Z축의 좌표를 이용하여 지시된 항목을 3D(3-Dimension)로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시되는 항목을 가상의 축의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하도록 상기 GUI생성부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시되는 항목을 가상의 축의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하도록 상기 GUI생성부를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시되는 항목을 가상의 축의 (-)방향 및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하도록 상기 GUI생성부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선택부를 통해 상기 지시된 항목이 선택되면 상기 항목에 대응하는 복수의 서브항목을 포함하는 서브메뉴를 2D(2-Dimension)로 처리하여 생성하도록 상기 GUI생성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선택부를 통해 상기 지시된 항목이 선택되면 상기 항목에 대응하는 복수의 서브항목을 포함하는 서브메뉴를 상기 3D로 표시된 항목의 한 평면과 동일 평면상에 표시하도록 상기 GUI생성부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선택부를 통해 상기 지시된 항목이 선택되면 상기 항목에 대응하는 복수의 서브항목을 포함하는 서브메뉴를 상기 가상의 축으로 상기 소정의 거리보다 작게 이동한 평면상에 3D로 표시하도록 상기 GUI생성부를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선택부를 통해 상기 서브메뉴상에서 서브항목이 지시되면 지시되는 상기 서브항목을 3D(3-Dimension)로 처리하여 생성하도록 상기 GUI생성부를 제어하고, 상기 서브항목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서브항목에 따른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시된 서브항목을 가상의 축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하고, 이동한 궤적을 상기 서브항목과 함께 3D(3-Dimension)로 처리하여 생성하도록 상기 GUI생성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시된 서브항목이 상기 3D(3-Dimension)로 생성된 항목보다 가상의 축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더 이동하여 표시되도록 상기 GUI생성부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브메뉴상에 표시되는 상기 서브항목은, 영상모드와 사운드모드를 조정하기 위한 영상 및 사운드항목과, 영상의 표시 사이즈를 조정하기 위한 화면 사이즈항목과, 이용하고자 하는 언어를 조정하기 위한 언어항목과, 입력되는 영상소스를 조정하기 위한 입력항목과, 제공되는 채널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자동프로그램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시되는 항목의 휘도레벨과 색상 및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여 처리하도록 상기 GUI생성부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보다 명확히 구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항목을 포함하는 GUI를 생성하는 GUI생성부를 갖는 전자기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선택부를 통해 GUI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GUI를 2D(2-Dimension)로 처리하여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선택부를 통해 항목이 지시되는 경우 상기 지시된 항목을 3D(3-Dimension)로 처리하여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제어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시되는 항목을 3D(3-Dimension)로 처리하여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지시되는 항목을 가상의 축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하고 이동한 궤적을 상기 항목과 함께 3D(3-Dimension)로 처리하여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선택부를 통해 상기 지시되는 항목이 선택된 경우, 상기 지시되는 항목에 대응하는 복수의 서브항목을 포함하는 서브메뉴를 상기 3D(3-Dimension)로 표시된 항목의 한 평면과 동일 평면상에 표시하도록 처리하여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메뉴상에서 서브항목이 지시되면 지시되는 상기 서브항목을 3D(3-Dimension)로 처리하여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서브항목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서브항목에 따른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TV를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의 일예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TV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TV는 안테나(10), 외부입 력부(20), 영상신호처리부(30), 디스플레이부(40), 사용자선택부(50), 제어부(70)를 포함한다.
영상신호처리부(30)는 안테나(10) 및 외부입력부(20)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부(40)가 처리 가능한 영상신호로 변환한다. 여기서, 외부입력부(20)는 CVBS(Composite Video Baseband Signal)나 S-비디오신호 등의 아날로그 영상신호가 입력되는 아날로그 접속단자 및 DVI 신호 등의 디지털 비디오신호가 입력되는 디지털 접속단자를 포함한다.
영상신호처리부(30)는 안테나(10)로부터 입력되는 RF 신호인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튜너와, 외부입력부(20)로부터 입력되는 CVBS(Composite Video Baseband Signal)나 S-비디오신호 등의 아날로그 영상신호 및 튜너로부터 출력되는 방송신호를 디코딩하는 비디오디코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영상신호처리부(30)는 디지털 접속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DVI 신호 등의 디지털 비디오신호를 RGB 디지털 신호와 H/V 동기신호로 분리하는 TMDS(Transition Minimized Differential Signaling) 수신부와, 입력되는 컴포넌트(Component) 신호나 PC 신호 등의 아날로그 비디오신호를 디지털 비디오신호로 변환하는 A/D 컨버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영상신호처리부(30)는 비디오디코더 및 A/D 컨버터를 통해 변환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부(40)에 표시 가능하게 처리하는 스케일러 및 프레임버퍼를 포함한다.
그리고 영상신호처리부(30)는 처리한 영상신호와 GUI생성부(60)를 통해 생성된 GUI에 대응되는 GUI신호를 합성하여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40)는 영상신호처리부(30)로부터 영상신호 및 GUI신호를 입력받아 영상화면을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40)는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패널과, 패널구동부를 포함한다.
사용자선택부(5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제어부(70)에 키신호를 출력한다. 사용자선택부(50)는 사용자조정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메뉴키와, GUI의 각 항목을 지시 또는 선택하기 위한 상하좌우 조작키와, 키 조작에 대응하여 키신호를 발생하는 키신호발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사용자선택부(50)는 별도로 연결되는 입력수단 즉, 마우스, 키보드 등으로 마련되거나 무선 리모콘으로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사용자가 버튼 및 키를 조작하게 되면, 키신호발생부는 키 조작에 대응하여 키신호를 발생하여 제어부(70)에 인가된다. 이에 따라, 제어부(70)는 키신호발생부로부터 입력되는 키신호에 대응하여 영상신호처리부(30)와 GUI생성부(60) 등을 제어한다.
GUI생성부(60)는 TV의 음향 및 영상의 입출력 환경을 조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항목을 포함하는 사용자조정메뉴 및 각 항목에 해당하는 서브메뉴를 생성한다. GUI생성부(60)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메뉴를 생성하는 OSD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GUI생성부(60)는 영상을 3D(3-Dimension)로 처리할 수 있는 3D 그래픽 엔진 및 해당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GUI생성부(60)는 후술할 제어부(70)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조정메뉴에 대응되는 GUI신호를 2D(2-Dimension)로 처리하여 생성하는데, 사용자선택부(50)의 조작에 따라 지시 하이라이트를 움직이고, 지시 또는 선택된 항목에 대응되는 항목데이터 를 3D(3-Dimension)로 처리하여 생성한다.
GUI생성부(60)가 제어부(70)의 제어에 따라 항목에 대응되는 항목데이터를 3D로 처리함에 있어서, 항목의 기하학적인 형상을 3차원 좌표계를 사용하여 모델링(Modeling)하고, 3 차원 형상을 2 차원 평면에 투영(Projection)하고, 생성된 3 차원 형상의 색상과 암을 추가(Rendering)하는 처리과정을 거치게 된다. 여기서, 랜더링과정은 그래픽에 그림자나 색채의 변화와 같은3 차원적인 질감을 더하여 현실감을 추가하는 과정으로서, 감추어진 면의 제거(Hidden Surface Removal), 쉐이딩(Shading), 텍스쳐 매핑(Texture Mapping) 등이 포함된다.
이때 3D(3-Dimension)로 처리되어 생성되는 항목의 형상, 크기, 색상, 휘도레벨, 표시위치는 디자인에 따라 다양하게 조정될 수 있다. 그리하여 사용자가 지시된 항목의 좌표 및 크기, 색상의 변화에 의해 보다 명확히 구분할 수 있다.
물론, GUI생성부는 GUI신호를 2D로 처리하여 3D효과를 얻도록 할 수도 있다.
GUI생성부(60)에 의해 처리 및 생성되는 사용자조정메뉴 및 조정메뉴가 디스플레이되는 것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TV의 사용자조정메뉴는 Picture, Sound, Channel, Time, PIP, Setup, GGUIde 등의 항목을 포함할 수 있으며, Picture 항목은Mode, Size, Custom 등의 서브항목을 포함할 수 있고, Sound 항목은 Mode, Custom, MTS 등의 서비항목을 포함할 수 있으며, Channel 항목은 Auto Setup, Add/Delete, Favorite 등의 서브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Time 항목은 Clock, On Timer, Off Timer 등의 서브항목을 포함할 수 있고, PIP 항목은 On/Off, Size, Position 등의 서브항목을 포함할 수 있으며, Setup 항목은 Caption 등의 서브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이 TV와 같은 디스플레이장치가 아닌 디스플레이장치의 영상소스로서 동작하는 DVD 플레이어와 같은 전자기기에 적용되는 경우, 사용자조정GUI는 Aspect Ratio, Dolby Digital, Disc Setup, Channel Setup, Lock, Clock, Speaker Setup 등의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외에 데이터 항목을 표시하고 선택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GUI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이렇게 GUI생성부(60)로부터 생성되어 출력되는 사용자조정메뉴 및 서브메뉴에 대응하는 GUI신호는 영상신호처리부(3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와 합성되어 출력된다.
제어부(70)는 사용자선택부(50)의 메뉴키를 통해 사용자조정기능이 선택되면, 사용자조정메뉴를 2D(2-Dimension)로 처리하여 생성하도록 GUI생성부(60)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70)는 사용자선택부(50)를 통한 상하좌우 키의 조작에 따라 항목을 지시하도록 GUI생성부(60)를 제어하고, 사용자선택부(50)를 통해 선택된 항목을 3D(3-Dimension)로 처리하여 생성하도록 GUI생성부(60)를 제어한다. 여기서 제어부(70)는 마이컴 등의 컨트롤러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TV의 제어방법에 대해서는 도 2, 도 3a 내지 도 3d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전술한 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은 필요에 따라 생략하기로 한다.
사용자선택부(50)로부터 사용자조정기능 키가 선택되면(S10), 제어부(70)는 해당 신호를 입력받아 GUI생성부(60)가 사용자조정메뉴에 대응되는 GUI신호를 2D(2-Dimension)로 처리하여 생성하도록 제어한다(S11). 이때 생성된 사용자조정GUI는 현재 TV에서 처리하는 영상신호와 함께 합성되어 디스플레이부(40)에 출력되고, 디스플레이부(40)는 영상신호와 사용자조정메뉴가 합성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40)에 표시되는 조정항목 A, B, C, D, E는 2차원으로 즉, X축과 Y축상의 좌표로서 표현된다. 미리 프로그램된 명령에 의해 GUI생성부(60)가 생성된 항목들은 디스플레이부(40)의 특정영역에 표시된다.
그리고, 제어부(70)는 사용자가 사용자선택부(50)의 상하좌우키를 조작하는 경우, 해당 키 입력신호에 따라 GUI생성부(60)가 지시하이라이트를 이동시키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지시하이라이트가 항목을 지시하면(S12), 제어부(70)는 지시된 항목을 3D(3-Dimension)로 처리하여 생성하도록 GUI생성부(60)를 제어한다(S13). 전술한 바와 같이, 3D(3-Dimension)로 처리되어 생성되는 항목의 형상, 크기, 색상, 표시위치는 디자인에 따라 달리 조정될 수 있다. 도 3b는 이에 대한 일예이며, 직사각형모양의 항목들 중 C항목이 지시된 경우,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C항목이 Z축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하게 되고, 이동된 궤적을 따라 공간이 형성되어 C항목이 3D(3-Dimension)로 표현된다. 물론 이때 C항목이 Z축으로 (-)로 이동할 수도 있다. 따라서 C항목의 정면은 X'축과 Y'축을 중심으로 배치되게 된다. 물론, 지시된 C항목이 Z축으로 (+) 및 (-)축으로 이동될 수도 있다.
만약, 제어부(70)는 사용자가 사용자선택부(50)의 상하좌우키를 조작하는지 여부 즉, 사용자선택부(50)로부터 해당 키신호가 있는지 여부(S14)를 판단하고, 해당 키 신호가 있는 경우 해당신호를 입력받아 GUI생성부(60)에 지시 하이라이트 이동명령을 내린다. 그리고, 제어부(70)는 지시 하이라이트가 이동되는 경우 이전 3D(3-Dimension)로 표현되었던 항목은 원래의 2D(2-Dimension)로 복귀되도록 GUI생성부(60)를 제어한다(S14). 또한 새롭게 지시되는 항목이 있다면(S12), 지시된 항목을 3D(3-Dimension)로 처리하여 생성하게 된다(S13).
그리고, 만약 사용자가 사용자선택부(50)를 조작하여 지시된 항목을 선택한 경우(S15), 지시된 항목에 대응되는 서브조정메뉴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6).
판단결과 서브조정메뉴가 존재하는 경우, 선택된 항목에 대응되는 서브조정메뉴를 2D(2-Dimension)로 처리하여 생성하도록 GUI생성부(60)를 제어한다(S18).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C항목에 대응되는 서브항목인 Sub1, Sub2,... 등이 디스플레이부(40)에 표시된다. 이때 서브항목은 3D로 표시된 C 항목의 한 평면 중 정면에 동일한 평면인 X'축 및 Y'축 상에 표시된다. 여기서, 서브항목이 도 3c와는 달리, 원래의 축인 X축 및 Y축 상에 표시될 수도 있으며, X축 및 Y축에서 (+) 방향으로 X'축 및 Y'축 보다는 짧은 거리상에 3D(3-Dimension)로 표시될 수도 있다. 서브항목이 표시되는 방법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서브조정GUI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70)는 사용자가 선택 또는 입력한 내용에 따라 조정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S19).
그리고, 만약 사용자가 사용자선택부(50)를 조작하여 서브항목 중 어느 하나 를 지시한 경우(S12), 제어부(70)는 지시된 항목이 3D(3-Dimension)로 처리되어 생성되도록 GUI생성부(60)를 제어한다(S13).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시된 서브항목인 Sub1은 소정의 거리만큼 Z상에서 (+)이동하여 X"축과 Y"축 상에 위치하게 되고, 그 이동궤적을 따라 Sub1항목은 3D(3-Dimension)로 표현된다.
물론 서브항목에 대응되는 서브항목이 더 존재하는 경우라면 존재하는 만큼 도 2의 제어흐름상에서 루프는 계속적으로 반복되게 된다. 그리고 이에 따라 항목이 표시되는 X축과 Y축은 무한히 만들어 질 수 있다.
또한, 지시된 서브항목 Sub1이 X'축 및 Y'축 평면에서 소정의 거리만큼 Z상으로 (-)이동하여 표시될 수도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전자기기의 일예로 TV를 설명하고 있으나, DVD 플레이어를 포함한 영상기기는 물론 GUI를 포함하는 모든 전자기기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전자기기에 적용되는 경우 생성된 GUI는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표시되고, 사용자선택부(50)의 조작을 통한 입력신호에 따라 DVD 플레이어의 제어부(70)는 GUI생성부(60)가 GUI를 2D(2-Dimension) 또는 3D(3-Dimension)로 처리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GUI의 예로 사용자조정메뉴를 설명하고 있으나, 이외에 데이터 항목을 표시하고 선택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GUI에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비록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기기의 사용자조정GUI를 표시함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지시 또는 선택된 항목을 3D(3-Dimension)로 처리하여 생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구분하는 데 보다 효과적인 전자기기 및 그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Claims (17)

  1. 전자기기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항목을 포함하는 GUI를 3D(3-Dimension)로 처리 가능한 GUI생성부와;
    상기 항목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선택부와;
    상기 사용자선택부를 통해 GUI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GUI를 2D(2-Dimension)로 처리하여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선택부의 조작에 의해 지시되는 항목을 3D(3-Dimension)로 처리하여 생성하도록 상기 GUI생성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시되는 항목을 가상의 축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하고, 이동한 궤적을 상기 항목과 함께 3D(3-Dimension)로 처리하여 생성하도록 상기 GUI생성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시되는 항목을 가상의 축의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하도록 상기 GUI생성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시되는 항목을 가상의 축의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하도록 상기 GUI생성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시되는 항목을 가상의 축의 (-)방향 및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하도록 상기 GUI생성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선택부를 통해 상기 지시된 항목이 선택되면 상기 항목에 대응하는 복수의 서브항목을 포함하는 서브메뉴를 2D(2-Dimension)로 처리하여 생성하도록 상기 GUI생성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선택부를 통해 상기 지시된 항목이 선택되면 상기 항목에 대응하는 복수의 서브항목을 포함하는 서브메뉴를 상기 3D(3-Dimension)로 표시된 항목의 한 평면과 동일 평면상에 표시하도록 상기 GUI생성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선택부를 통해 상기 지시된 항목이 선택되면 상기 항목에 대응하는 복수의 서브항목을 포함하는 서브메뉴를 상기 가상의 축으로 상기 소정의 거리보다 작게 이동한 평면상에 3D(3-Dimension)로 표시하도록 상기 GUI생성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선택부를 통해 상기 서브메뉴상에서 서브항목이 지시되면 지시되는 상기 서브항목을 3D(3-Dimension)로 처리하여 생성하도록 상기 GUI생성부를 제어하고, 상기 서브항목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서브항목에 따른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시된 서브항목을 가상의 축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하고, 이동한 궤적을 상기 서브항목과 함께 3D(3-Dimension)로 처리하여 생성하도록 상기 GUI생성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시된 서브항목이 상기 3D(3-Dimension)로 생성된 항목보다 가상의 축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더 이동하여 표시되도록 상기 GUI생성부를 제 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메뉴상에 표시되는 상기 서브항목은, 영상모드와 사운드모드를 조정하기 위한 영상 및 사운드항목과, 영상의 표시 사이즈를 조정하기 위한 화면 사이즈항목과, 이용하고자 하는 언어를 조정하기 위한 언어항목과, 입력되는 영상소스를 조정하기 위한 입력항목과, 제공되는 채널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자동프로그램항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시되는 항목의 휘도레벨과 색상 및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여 처리하도록 상기 GUI생성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4.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항목을 포함하는 GUI를 생성하는 GUI생성부를 갖는 전자기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선택부를 통해 GUI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GUI를 2D(2-Dimension)로 처리하여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선택부를 통해 항목이 지시되는 경우 상기 지시된 항목을 3D(3-Dimension)로 처리하여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제어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되는 항목을 3D(3-Dimension)로 처리하여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지시되는 항목을 가상의 축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하고 이동한 궤적을 상기 항목과 함께 3D(3-Dimension)로 처리하여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제어방법.
  16. 제10항에 있어서,
    사용자선택부를 통해 상기 지시되는 항목이 선택된 경우, 상기 지시되는 항목에 대응하는 복수의 서브항목을 포함하는 서브메뉴를 상기 3D(3-Dimension)로 표시된 항목의 한 평면과 동일 평면상에 표시하도록 처리하여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제어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메뉴상에서 서브항목이 지시되면 지시되는 상기 서브항목을 3D (3-Dimension)로 처리하여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서브항목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서브항목에 따른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제어방법.
KR1020050037115A 2005-05-03 2005-05-03 전자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7112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7115A KR100711264B1 (ko) 2005-05-03 2005-05-03 전자기기 및 그 제어방법
US11/325,353 US20060253802A1 (en) 2005-05-03 2006-01-05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A2006100777434A CN1859549A (zh) 2005-05-03 2006-04-24 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7115A KR100711264B1 (ko) 2005-05-03 2005-05-03 전자기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4909A true KR20060114909A (ko) 2006-11-08
KR100711264B1 KR100711264B1 (ko) 2007-04-25

Family

ID=37298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7115A KR100711264B1 (ko) 2005-05-03 2005-05-03 전자기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60253802A1 (ko)
KR (1) KR100711264B1 (ko)
CN (1) CN185954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2003B1 (ko) * 2007-04-20 2014-07-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의 메뉴 표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말기
KR101510099B1 (ko) * 2008-01-11 2015-04-0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서 다중 심도를 가진 3차원 메뉴디스플레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L1968313T3 (pl) * 2007-02-28 2010-09-30 Sony Uk Ltd Elektroniczny przewodnik po programach
WO2008124038A1 (en) * 2007-04-03 2008-10-16 Ldra Technology, Inc. Automated management of software requirements verification
US8555311B2 (en) * 2007-12-19 2013-10-08 United Video Properties, Inc. Methods and devices for presenting guide listings and guidance data in three dimensions in an interactive media guidance application
US20090187862A1 (en) * 2008-01-22 2009-07-23 Son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intuitive browsing of content
US8151215B2 (en) * 2008-02-07 2012-04-03 Sony Corporation Favorite GUI for TV
US10304126B2 (en) * 2008-04-30 2019-05-28 Beyondvia Technologies Visual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s designing and building entire experiences
US9305026B2 (en) * 2008-04-30 2016-04-05 Beyondvia Technologies Systems and methods for digital images utilizing an infinite cylinder user interface
JP4802231B2 (ja) * 2008-10-10 2011-10-26 東芝テック株式会社 電子メニュー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CN102804789B (zh) * 2009-06-23 2015-04-29 Lg电子株式会社 接收系统和提供3d图像的方法
WO2011004963A2 (en) * 2009-07-07 2011-01-13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displaying three-dimensional user interface
EP2489198A4 (en) * 2009-10-16 2013-09-25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DISPLAYING 3D CONTENTS AND DEVICE FOR PROCESSING A SIGNAL
KR20110057629A (ko) * 2009-11-24 2011-06-01 엘지전자 주식회사 Ui 제공 방법 및 디지털 방송 수신기
KR101126394B1 (ko) * 2010-01-29 2012-03-28 주식회사 팬택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정보 표시 방법
CN101895706A (zh) * 2010-07-16 2010-11-24 四川长虹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在3d模式下显示用户界面的方法
CN102375660B (zh) * 2010-08-20 2013-11-06 国基电子(上海)有限公司 电子装置及控制其用户界面的方法
US20120066648A1 (en) * 2010-09-14 2012-03-15 Xerox Corporation Move and turn touch screen interface for manipulating objects in a 3d scene
US8589822B2 (en) * 2010-12-10 2013-11-1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ntrolling three-dimensional views of selected portions of content
US9069439B2 (en) * 2011-04-11 2015-06-3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Graphical user interface with customized navigation
US10289660B2 (en) 2012-02-15 2019-05-14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sharing a content object in a document
US9898183B1 (en) * 2012-09-19 2018-02-20 Amazon Technologies, Inc. Motions for object rendering and selection
CN103986549B (zh) * 2013-02-07 2018-03-13 辉达公司 用于网络数据传送的设备、系统以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95243A (en) * 1989-12-29 1994-03-15 Xerox Corporation Display of hierarchical three-dimensional structures with rotating substructures
US6621509B1 (en) * 1999-01-08 2003-09-16 Ati International Srl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three dimensional graphical user interface
KR20000061224A (ko) * 1999-03-24 2000-10-16 구자홍 영상기기의 메뉴화면 표시방법
KR100636094B1 (ko) * 1999-08-06 2006-10-18 삼성전자주식회사 3차원 사용자 입력 장치 및 그 입력 처리 방법
US7043701B2 (en) * 2002-01-07 2006-05-09 Xerox Corporation Opacity desktop with depth perception
KR100436904B1 (ko) * 2002-09-06 2004-06-23 강호석 2차원이미지에 대한 입체영상생성방법
US20040075735A1 (en) 2002-10-17 2004-04-22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and system for producing a pseudo three-dimensional display utilizing a two-dimensional display device
KR20040082827A (ko) * 2003-03-20 2004-09-30 삼성전자주식회사 3차원 작업 공간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방법
KR100530086B1 (ko) * 2003-07-04 2005-11-22 주식회사 엠투그래픽스 동영상의 자동편집장치와 그 방법 및 동영상자동편집방법이 저장된 기록매체
US7178111B2 (en) * 2004-08-03 2007-02-13 Microsoft Corporation Multi-planar three-dimensional user interfa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2003B1 (ko) * 2007-04-20 2014-07-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의 메뉴 표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말기
KR101510099B1 (ko) * 2008-01-11 2015-04-0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서 다중 심도를 가진 3차원 메뉴디스플레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253802A1 (en) 2006-11-09
CN1859549A (zh) 2006-11-08
KR100711264B1 (ko) 2007-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1264B1 (ko) 전자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699091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7681137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displaying user menu
KR100699265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461182B1 (ko) Pip처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6855205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CN111034207A (zh) 图像显示设备
JP2009010629A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装置によるtv受信装置制御方法
JP2005197991A (ja) オンスクリーン表示装置
JP2008166982A (ja) Dvdプレーヤ、及びその表示制御方法
JP2007148018A (ja) 情報処理装置、表示装置、および表示システム
JP2006287581A (ja) リモコンシステム
US20060190841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239971B1 (ko) 메뉴화면의 표시방법
KR101239970B1 (ko) 메뉴화면의 표시방법
KR101239972B1 (ko) 디스플레이장치
JP2005018796A (ja) 画像制御装置および方法
KR100357155B1 (ko) 인터넷 기능을 갖는 영상기기의 인터넷 사이트 표시장치및 방법
US11615766B2 (en) Control method for magnifying display screen and associated display system
US20170308509A1 (en) Image display device
KR100609899B1 (ko) 티브이
KR100703940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699264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70079826A (ko) 디스플레이장치
EP3389267B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