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4352A - 자체 수용형 점성 액체 분배기용 배기 플러그 - Google Patents

자체 수용형 점성 액체 분배기용 배기 플러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4352A
KR20060114352A KR1020067012406A KR20067012406A KR20060114352A KR 20060114352 A KR20060114352 A KR 20060114352A KR 1020067012406 A KR1020067012406 A KR 1020067012406A KR 20067012406 A KR20067012406 A KR 20067012406A KR 20060114352 A KR20060114352 A KR 200601143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viscous liquid
self
reservoir
orif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2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7735B1 (ko
Inventor
리차드 파울 루이스
란달 마크 바흐텔
Original Assignee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filed Critical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Publication of KR200601143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43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77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77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5/00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 A47K5/06Dispensers for soap
    • A47K5/12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5/00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 A47K5/06Dispensers for soap
    • A47K5/12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 A47K5/1202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dispensing dosed volume
    • A47K5/1204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dispensing dosed volume by means of a rigid dispensing chamber and pist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5/00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4/00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 F16K24/06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for aerating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7Containers
    • B05B11/0039Containers associated with means for compensating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ambient pressure and the 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e.g. pressure relief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7Containers
    • B05B11/0039Containers associated with means for compensating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ambient pressure and the 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e.g. pressure relief means
    • B05B11/0044Containers associated with means for compensating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ambient pressure and the 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e.g. pressure relief means compensating underpressure by ingress of atmospheric air into the container, i.e. with venting means
    • B05B11/00442Containers associated with means for compensating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ambient pressure and the 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e.g. pressure relief means compensating underpressure by ingress of atmospheric air into the container, i.e. with venting means the means being actuated by the difference between the atmospheric pressure and the 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개선된 배기 밸브를 갖는 자체 수용형 점성 액체 분배기가 제공된다. 배기 밸브는 그것의 주연에서 밀봉 릿지를 갖는 플러그 부재를 포함한다. 배기 밸브는 분배기의 내부 및 외부 사이에서 저감된 압력 차이로 작동된다. 배기 밸브는 또한 풍부한 밀봉 성능을 제공한다.
배기 플러그, 분배기, 액체 비누, 밀봉, 저장통

Description

자체 수용형 점성 액체 분배기용 배기 플러그{VENT PLUG FOR SELF-CONTAINED VISCOUS LIQUID DISPENSER}
액체 분배기, 특히 액체 비누 분배기의 다양한 구성 및 모델이 본 기술분야에 잘 알려져 있다. 공중 화장실 등에 일반적으로 이용된 종래 분배기는 통상 분배되는 액체를 함유하는 하우징 또는 구조물을 포함하는 벽에 장착된 장치이다. 분배기는 일반적으로 정량 펌프와 같은 보급 장치와, 정량 펌프를 작동시키기 위한 레버 또는 버튼과 같은 장치를 포함한다.
많은 분배기들은 배기 밸브를 가진다. 배기 밸브는 저장통의 액체가 분배될 때 저장통에 공기가 들어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분배기 내부 및 외부의 차압이 소정의 레벨에 도달하면, 배기 밸브는 개방하여 공기가 분배된 액체를 대체하도록 한다. 공기가 흐르는 분배기 내의 개구는 눈에 띄지 않도록 되고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그것은 종종, 배기를 작동시키는데 바람직하지 않게 높은 압력 차등을 취한다. 따라서, 저감된 압력 차등에서 작동하는 배기에 대한 요구가 있다.
또한, 많은 분배기들은 다 쓰면 버려지는 일회용 분배기이기 때문에, 분배기의 구성 성분들은 대개 값이 싼 플라스틱으로 제조된다. 플라스틱 부품들은, 배기 의 밀봉능이 결여되는 부분에서 감기거나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개선된 밀봉 성능을 제공하는 배기에 대한 요구가 있다.
본 발명은 분배기의 내부와 외부 사이의 저감된 압력 차등에서 작동되는 일회용 자체 수용형 분배기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기존 시스템보다 진보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개선되고 풍부한 밀봉 성능을 제공하는 배기를 갖는 일회용 자체 수용형 분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장점들은 다음의 설명에서 부분적으로 나타나거나, 혹은 기재로부터 명백하거나, 발명의 실시를 통해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내부 액체 저장통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저장통과 액체에서 연통하여 배치되고 사용자에 의해 작동시 계량된 양의 점성 액체를 저장통으로부터 보급하기 위해 배치된 보급 단부를 갖는 수동 조작 분배 펌프 기구와, 하우징의 상부 벽에 배치된 배기 기구를 포함하는 자체 수용형 점성 액체 분배기가 개시된다. 배기 기구는 하우징 벽의 개구를 통해 삽입 가능한 본체 부재와 이동 가능한 플러그 부재를 포함한다. 본체 부재는 본체 부재의 내부 하부면을 통해 배치된 배기 오리피스와 그것과 연통하는 배기 통로를 형성한다. 이동 가능한 플러그 부재는 배기 통로에 탄성적으로 배치되고, 주연을 갖는 판 형상 또는 디스크형 부재를 포함한다. 밀봉 릿지는 주연에 부착되고 본체 부재의 내부 하부면에 접촉하도록 주연으로부터 연장한다. 일 태양에서, 릿지는 판 형상 또는 디스크형 부재의 상부 표면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한다. 본체 부재의 내부 하부면에 접촉할 때, 릿지는 휴지 위치에서 배기 통로로부터 오리피스를 밀봉한다. 플러그 부재는 펌프 기구의 작동시 저장통 내에 충분한 진공이 제공될 때 오리피스를 개봉하여 저장통을 배기하도록 이동가능하다.
일 태양에서, 플러그 부재는 판 형상 또는 디스크형 부재에 부착된 돌출부를 포함한다. 돌출부는 배기 오리피스 부근에 위치되고 바람직하게는 배기 오리피스와 정렬된다. 돌출부는 배기 오리피스 내로 연장하지만, 밀봉 릿지의 어떠한 실패가 없는 한 본체 부재에 접촉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태양에서, 판 형상 또는 디스크형 부재의 단면 형상은 배기 통로의 단면 형상과 거의 일치한다.
또 다른 태양에서, 본체 부재의 내부 하부면과 판 형상 또는 디스크형 부재의 상부 표면은 배기 오리피스의 단면적 보다 약 5배 이상 큰 단면적을 갖는 개구를 형성한다.
또 다른 태양에서, 판 형상 또는 디스크형 부재의 두께는 판 형상 또는 디스크형 부재의 직경의 약 5% 내지 약 40% 사이이다.
또 다른 태양에서, 본체 부재는 하우징 벽에 본체 부재를 맞물려 고정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를 포함한다. 이와 관련하여, 본체 부재는 하우징 벽의 내면에 대해 맞물려 본체 부재 상에 내측 견인력을 가하도록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탄성 탭,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탄성 탭을 포함한다. 본체 부재는 배기 오리피스가 형성되는 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캡은 하우징 벽에 대해 밀봉 가능하게 맞물리는 반경 방향으로 연장하는 탄성의 원주방향 립을 포함할 수 있다. 캡은 상부 표면에 대해 밀봉 가능하게 맞물리는 탄성 립과 함께 하우징 벽의 상부 표면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캡은 카운터보어의 원주방향 벽에 대해 밀봉 가능하게 맞물리는 탄성 립과 함께 하우징 벽에 형성된 카운터보어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캡은 하우징 벽에 대해 밀봉 가능하게 맞물리는 아래로 연장하는 탄성의 환상 스커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의 환상 립은 하우징 벽의 개구의 원주방향 측면에 대해 맞물릴 수 있다.
일 태양에서, 배기 통로는 상부 및 하부를 갖는다. 플러그 부재상의 릿지는 휴지 위치에서 하부 배기 통로로부터 배기 오리피스를 밀봉하고, 충분한 진공이 저장통내에 제공될 때 오리피스를 개봉하여 저장통을 배기하도록 이동 가능하다. 플러그 부재는 판 형상 또는 디스크형 부재에 부착된 돌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돌출부는 배기 오리피스와 정렬된다. 돌출부는 배기 오리피스와 상부 배기 통로 사이에서 연통이 유지되는 한 배기 오리피스 내로 연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참조로 이하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관한 분배기의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에 도시된 분배기의 뒷면의 사시도이다.
도3은 도1에 표시된 라인을 따라 절취된 분배기의 펌프 기구의 단면도이다.
도4는 펌프 기구의 단면 작동도이다.
도5는 펌프 기구의 단면 작동도이다.
도6a는 펌프 기구의 로킹 특성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부분 투시 및 절결도이다.
도6b는 펌프 기구의 로킹 특성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부분 투시 및 절결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배기 플러그의 사시도이다.
도8은 도7의 배기 플러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9는 도7에 표시된 라인을 따라 절취된 배기 플러그의 단면도이다.
도10은 도9의 지정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11은 하우징 벽의 직선 보어(straight bore)에 대한 도9의 지정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12는 하우징 벽의 카운터선크 보어(countersunk bore)에 대한 도9의 지정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가 도면에 도시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대하여, 이하 상세히 참조될 것이다. 각각의 실시예는 발명을 한정하도록 의도되지 않고 발명의 설명을 통해 제공된다. 예를 들어, 일 실시형태의 부분으로서 도시되거나 설명된 특징들은 또 다른 실시형태와 함께 이용되고 나아가 또 다른 실시형태를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은 여기에 기재된 실시형태의 수정 및 변경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본 발명은 임의의 형태의 액체 분배기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배기 기구에 관한 것이다. 배기 기구는, 예컨대 비누 분배기, 로션 분배기 등의 임의의 형태의 점성 액체 분배기와 함께 사용하는데 특히 적합하다. 본 발명의 배기 밸브로부터 유익한 분배기의 실시예는 참고로 여기에 그 전체 내용이 수록되는, 루이스 등의 미국 특허 번호 제6,516,976호, 루이스 등의 제6,533,145호, 루이스 등의 제6,543,651호, 루이스 등의 제6,575,334호, 루이스 등의 제6,575,335호, 및 미국 특허 출원 공개 2002/007435A1과 2002/0074355A1 뿐 아니라, WO 02/49490 A1에도 개시된다.
발명에 관한 점성 액체 분배기(10)가 도면에 대략 도시된다. 분배기(10)는 본 발명의 특히 유용한 실시형태인 액체 비누 분배기로서 여기에 도시 및 설명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액체 비누용 분배기에 제한되지 않고, 분배 장치로부터 계량된 양의 점성 액체를 분배하도록 되는 임의의 환경에서 적용됨이 이해되어야 한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분배기(10)는 통상 하우징(14)을 포함한다. 하우징(14)은 측벽이나 부재(16), 뒷면(18) 및 앞면(20)을 포함한다. 하우징(14)은 임의의 원하는 구성을 취할 수 있고, 임의의 수의 구성 성분들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하우징(14)은 전 성분(24) 및 후 성분(22)을 포함한다. 전후 성분들은 개별적으로 제조되고 접착제, 용접 혹은 임의의 다른 비교적 영구적인 부착 장치에 의해 영구적으로 결합된다. 구성 성분들은 임의의 원하는 재료로부터 제조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분배기(10)는 일회용 품목이고 하우징(14)은 비교적 값이 싼 플라스틱재로부터 몰딩된다.
하우징(14)은 그것의 내부 용적 내에 내부 액체 저장통(68)을 형성한다(도 3).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액체 저장통(68)은 전 성분(24) 및 후 성분(22)에 의해 형성된 전체 용적을 본질적으로 포함한다. 도시되지 않지만, 바플 등과 같은 내부 구조 부재가 임의의 수만큼 저장통(68) 내에 포함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하우징(14)은 또한 폐쇄되거나 밀봉된 저장통 역할을 하여 유지 보수 기술자가 분배기(10)를 열 수 없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예컨대 비누와 같은 원하는 양의 점성 액체는 분배기가 사용 지점으로 보급되기 전에 분배기(10) 내에 미리 채워진다.
유지 보수 기술자가 분배기 내의 점성 액체의 수준을 결정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관련하여, 하우징(14)의 일부는 투명하거나 맑은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서비스나 유지 보수 기술자가 분배기의 측면으로부터 남아있는 액체 수준을 볼 수 있도록 전체 후 성분(22)은 투명하거나 맑은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맑거나 투명한 재료의 창(미도시)이 하우징(14)내의 어딘가, 바람직하게는 하우징의 바닥부 근처에 제공되어, 유지 보수 기술자에게 저장통 내의 관찰 능력을 부여하여 그 안에 남아있는 액체의 양을 결정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관한 분배기(10)는 또한 하우징(14)의 일체 성분으로서 구성된 일체적으로 성형된 장착 기구를 포함한다. 이러한 장착 기구는 분배기(10)로 하여금 벽면상에 제공된 상보적인 장착 구조물과 부착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한다. 대략 도시되는 바와 같이, 장착 기구는 분배기(10)의 뒷면(18)의 일체적으로 몰딩된 구조로서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리세스(50)는 뒷면(18)에 몰딩된다. 리 세스(50)는 통상 수직 측벽(52)에 의해 규정된다. 벽 장착 구조물 상에 제공된 상보적인 구조물에 대해 또는 그와 함께 결합하기 위한 체결 구조물이 측벽(52)을 따라 제공된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체결 구조물은 수직 벽(52)을 따라 형성된 경사각 표면(56)에 의해 형성된다. 경사각 표면(56)은 벽 장착 구조물 상에 형성된 상보적인 경사각 표면에 대해 맞물린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적어도 2개의 경사각 표면(56)이 제공되며 수직 벽(52)의 일부에 의해 분리된다. 2개의 경사각 표면(56)은 벽 장착 구조물의 경사각 표면에 대해 맞물린다. 분배기(10)를 벽 장착 구조물에 부착하기 위해, 유지 보수 기술자는 분배기(10)를 단순히 벽 장착 구조물에 대해 위치시켜 경사각 표면(56)이 벽 장착 구조물의 상응하는 경사각 표면들 사이에 수직으로 배치되도록 한다. 그 후, 유지 보수 기술자는 경사각 표면들이 맞물리도록 분배기(10)를 수직 방향으로 단순히 슬라이드 한다. 이러한 상호 연결 구성에서, 분배기는 벽 장착 구조물로부터 떨어질 수 없다. 각각의 수직벽(52) 상에 제공된 이중 경사각 표면(56) 구성은, 분배기(10)와 벽 장착 구조물 사이에서 비교적 적은 수직 움직임을 요구함과 함께 경사각 표면들의 증가된 상호 연결 표면적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동일한 종방향 표면적을 갖는 단일 경사각 표면(56)에 비해, 특히 유용하다.
분배기(10)가 벽 장착 구조물 상에 적절히 위치되면, 분배기(10)가 적절히 위치되었다는 것을 기술자에게 나타내기 위해 위치 설정 장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치 설정 장치는 리세스(50) 내에서 하우징의 뒷면(18)으로부터 연장하는 돌출부(126)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126)는 벽 장착 구조물 상에 배치되 고 이에 대응하는 크기로 된 디보트와 스냅 결합한다.
벽 장착 구조물은 임의의 형태의 적절한 부착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벽 장착 구조물은 단순히 분배기(10)를 위한 상호 연결 체결 장치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임의의 형태의 상호 연결 체결 구성이 지지벽 상에 제공된 상보적인 벽 구조물을 분배기(10)에 부착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성은 전체 분배기(10)가 일회용인 것이므로, 비교적 단순하지만 신뢰할 수 있는 체결 장치가 바람직하다. 여기에 도시되어 설명된 바와 같은 이중 경사각 표면 구성은 이와 관련하여 특히 유용한 것임을 알 수 있다. 또한, 벽 구조물은 분배기(10)를 벽 구조물에 체결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장착 구조물은 여기에 그 전체 내용이 수록되는, 예컨대 공동 출원된 미국 특허 출번 번호 제10/745,783호 익스프레스 메일 번호 EL 955701957 US, 도켓 번호 19422에 개시된다.
본 발명에 관한 분배기는 하우징과 벽 장착 구조물 사이에서 장착 기구가 채워진 하우징의 무게를 지지하기에 구조적으로 충분하다면 크기에 있어서 제한되는 것은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하우징(24)의 후 성분(22)은 바람직하게는 전 성분(24)보다 더 견고하다. 이러한 형상을 달성하는 한가지 방법은 후 성분(22)을 전 성분(24)보다 더 두꺼운 두께로 단순히 몰딩하는 것이다. 분배기(10)는 하우징(14)의 뒷면(18) 상에 형성된 내부 장착 기구에 의해 지지 벽 표면상에 장착된다. 보다 견고한 후 성분(22)은 분배기(10)를 장착하는 것을 돕는다. 전후 성분들이 탄성의 플라스틱재로 몰딩 되고 분배기가 비어 있으면, 후 성분(22)은 분배기(10)가 지지벽 구조물로부터 쉽게 제거될 수 있도록 충분한 "제공(give)"을 갖는다.
도3을 참조하면, 통상 분배 펌프 기구(88)는 저장통(68)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된다. 펌프 기구(88)는 하우징(14) 또는 저장통(68) 밖으로 연장하는 보급 단부(90)를 갖는다. 펌프 기구(88)는 사용자가 펌프 기구를 작동할 때 계량된 양의 점성 유체를 분배하도록 구성된다. 임의의 수의 종래 및 공지의 펌프 장치가 분배기(10)에 이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도면에 도시된 펌프 기구(88)는 특히 적절한 기구의 일 실시형태이다. 다른 바람직한 펌프 기구는 여기에 그 전체 내용이 수록되는, 예컨대 2003년 9월 30일 공동 출원중인 미국 특허 출원 번호제10/675,034호에 개시된다.
하우징(24)과 함께 제거 가능한 펌프 기구를 구성하는 것 또한 본 발명의 범주내에 있다. 예컨대, 임의의 형태의 종래 펌프는 하우징(24)과 나사 결합되거나 또는 정합하여 저장통(68)과 연통된다. 예컨대, 그러한 펌프 기구는 펌프 챔버 하우징, 캡, 또는 내부 저장통(68)과 연통하도록 하기 위해 하우징(24)의 전방 벽을 통해 형성된 보어에 맞춰지는 다른 적절한 구조물을 갖는 자체 수용형 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펌프의 설치는 분배기의 사용 지점에서 실행할 수 있다. 예컨대, 다 쓴 분배기로부터의 펌프는 하우징으로부터 제거되어 즉시 대체 하우징에 설치될 수 있다. 제거 가능한 플러그 또는 깨기 쉬운 시일은 펌프가 삽입되는 하우징 포트를 덮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3 내지 도5를 참조하면, 펌프 기구(88)는 챔버(70) 내에서 슬라이드 가능 한 실린더(92)를 포함한다. 챔버(70)의 용적은 각 펌프의 작동시 분배된 계량된 양의 액체를 결정한다. 챔버(70)는 하우징(14)의 임의의 내부 구조물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챔버는 하우징(14)의 전 성분(24)과 일체적으로 몰딩된 구조물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챔버(70)는 대체로 원통형 챔버로서 챔버 벽(72)에 의해 규정된다. 실린더(92)는 종방향을 통해 형성된 채널(94)을 포함한다. 채널(94)은 실린더의 단부 벽을 통해 펌프 챔버(70)의 내부와 연통한다. 보급 채널(94)은 실린더(92)의 전방 단부에 형성된 분배 오리피스(96)에서 끝난다.
실린더(92)는 임의의 종래 수단에 의해 챔버 벽(72)에 대하여 밀봉 가능하게 맞물린다. 예컨대, 플랜지 또는 피스톤(101)은 챔버 벽(72)에 대해 밀봉 체결하기 위해 실린더(92)의 후방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O-링(116)(도6A)은 피스톤(101) 주변에 제공될 수 있다. 피스톤(101)은 챔버(70)를 가압하고, 챔버내에 수용된 점성 액체가 실린더(92)의 작동시 보급 채널(94)을 통해 분배되고 실린더의 이동시 펌프 챔버(70)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쉽게 이동하지 않는 것을 보장한다.
펌프 실린더(92)는 예컨대 스프링(98)을 통해 침버(70) 내에서 바이어스된다. 리프 스프링, 스프링 워셔 등을 포함하는 다른 탄성 장치가 이러한 목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스프링(92)은 확개된 플랜지(100)에 의해 형성된 리세스(102)내에 장착된다. 스프링(98)의 반대쪽 단부는 단부 캡(74)의 원통형 연장부 주위에서 고정된다. 단부 캡(74)은, 실린더(92)가 펌프 챔버내에 삽 입된 후 펌프 챔버(70)를 형성하는 구조물에 영구적으로 고정된다.
구조물은 또한 챔버(70)의 전방 단부로부터 실린더(92)가 이탈할 수 없는 것을 보장하도록 제공된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이러한 구조물은 챔버(70)의 전방 벽(86)의 플랜지부에 해당한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의 플랜지부(86)는 펌프 실린더(92)의 피스톤(101)에 대해 맞물린다.
체크 밸브 장치(104)는, 펌프 챔버(70) 내의 점성 액체가 챔버(70) 내의 실린더(92)의 이동시 챔버(70) 밖으로 밀지 않는 것을 보장하도록 펌프 기구(88)와 함께 구성된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체크 밸브 장치(104)는 반경 방향으로 연장하는 아암(106)을 갖는 셔틀형 체크 밸브이다. 셔틀 밸브는 단부 캡(74)을 통해 형성된 개구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된다. 반경 방향의 아암(106)들 사이의 공간부는 저장통(68)에 대해 개방하여,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의 이동시 액체가 저장통(68)으로부터 펌프 챔버(70)내로 흘러서 펌프 챔버(70)의 전방 단부로 흐를 수 있도록 한다. 캡(108)은, 단부 캡(74)내의 개구가 펌프의 작동시 밀봉되는 것을 보장하도록 펌프 챔버(70)내에 배치된 셔틀 밸브(104)의 전방 단부상에 제공된다. 캡(108)은 단부 캡(74)의 단부면에 대해 밀봉한다.
펌프 기구(88)의 조작은 도4 및 도5에 구체적으로 도시된다. 저장통(68) 내에 함유된 계량된 양의 점성 액체를 분배하기 위해, 사용자는 액츄에이터(30)에 의해 펌프 기구(88)를 작동시킨다. 액츄에이터(30)는 펌프 실린더(92)를 이동하도록 구성된 임의의 부재일 수 있다. 액츄에이터(30)는 하우징(14)의 측면(16)에 제공된 리세스(38)내에 맞물리는 내측으로 배치된 돌출부(36)를 갖는 측벽(34)을 포함 하는 패널 부재(32)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함몰부(33)(도1)는 액츄에이터(30)를 밀기에 적절한 위치를 사용자에게 나타내도록 패널 부재(32)의 전면에 형성될 수 있다. 액츄에이터(30)를 밀면, 펌프 실린더(92)는 펌프 챔버(70)내에서 뒤쪽으로 이동한다. 챔버(70)내 점성 액체의 압력은 셔틀 밸브(104)를 폐쇄로 하고 챔버(70)내에 함유된 점성 액체는 펌프 실린더(92)내의 종방향으로 형성된 보급 채널(94)로 향한다. 점성 액체는, 도4에 구체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분배 오리피스(96)를 통해 방출된다. 액츄에이터(30)의 해제시, 스프링(98)은 펌프 실린더를 도5에 도시된 위치로 되돌리도록 한다. 이러한 동작은, 도5에 구체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셔틀 밸브(104)를 밀어내고 펌프 챔버(70)내로 점성 액체를 끌어당긴다.
도6a 및 도6b는 분배기(10)의 출하 동안 특히 유용한 펌프 실린더(92)의 로킹 특성을 타나낸다. 펌프 실린더(92)는 그 상부에 형성된 종방향 채널(118)을 포함할 수 있다. 펌프 챔버 전방 벽 부재(86)의 탭부(87)는 종방향 채널(118) 내에 배치된다. 이것에 의해, 펌프 실린더(92)는 작동 및 해제시 회전이 방지된다. 부분 원주방향 채널(120)은, 도6a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 실린더(92) 내에 형성된다. 원주방향 채널(120)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챔버(70) 내에서 실린더(92) 내에서 완전히 눌려지거나 작동되는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펌프 실린더(92)를 따라 형성된다. 분배기(10)의 출하를 위해, 펌프 실린더(92)는, 도6b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탭(87)이 원주방향 채널(120) 내에서 맞물리도록 눌러진 다음 회전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펌프 실린더(92)는 도6a에 도시된 위치로 뒤로 회전될 때까지 그 자리에 고정되어 챔버(70) 내에서 움직일 수 없다. 이러한 절차는 지지벽 표면상에 분배기(10)를 장착하기 전 유지 보수 기술자에 의해 수행된다. 다른 로크아웃 장치는 펌프의 출하중 누설을 거의 방지하는데 유용하다. 바람직한 로크아웃 장치는, 예컨대 여기에 그 전체 내용이 참고로 수록되는 공동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번호 제10/745,755호, 익스프레스 메일 넘버 EL 955701815 US, 도켓 넘버 19371에 개시된다.
저장통(68) 내에서 진공을 인출하지 않기 위해, 저장통은 배기된다. 이러한 배기는 다양한 위치에서 수행될 수 있다. 하나의 바람직한 배기 위치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하우징(14)의 상부면을 통해 배치된 배기 밸브(130)를 통해 하우징(14)의 상면에서 배기하는 것이다.
도7 내지 도12는 본 발명의 배기 기구(130)의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배기는 저장통과 주변 환경 사이의 압력을 동일하게 함으로써 저장통(68) 내에서 진공이 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배기 기구(130)는 하우징의 상부 벽(132)내의 개구(138)를 통해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개구(138)는 또한 초기에 저장통(68)을 채우기 위한 충전 포트 역할을 할 수 있다. 배기 기구(130)는 벽(132)과 상호 연결되어 밀봉 가능하게 맞물리는 통상 본체(150)를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본체(150)는 개구(138)를 통해 삽입되고 이어서 자동적으로 벽(132)의 내면(136)에 대해 맞물려서, 배기 기구(130)는 이후 하우징으로부터 이탈될 수 없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배기 본체(150)는 상부 본체부(160) 및 하부 본체부(152)를 포함한다. 이들 부분은, 예컨대 하부 본체부(152)를 상부 본체부(160) 의 내부 또는 위에 꼭 맞게 삽입함으로써, 개별적으로 몰딩 또는 성형되고 이어서 결합된다.
하부 본체부(152)는 하부 배기 통로(158)를 형성하는 대체로 원통형이거나 원뿔대의 성분이다. 탄성 탭(154)과 같은 적어도 하나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탄성 부재는 본체상에 구성되어 배기(130)를 하우징 벽(132)에 맞물려 고정하도록 한다. 탄성 탭(154)은 하부 본체부(152)를 관통하는 수직축으로부터 떨어져 경사져서 개구(138)를 통해 하부 본체부(152)의 삽입시 내측으로 굽혀질 수 있다. 탭(154)이 벽의 내측 표면(136)을 벗어나면, 그들은 반경방향으로 바깥쪽으로 굽는다. 따라서 배기(130)는 그 후 하우징으로부터 이탈될 수 없다.
하부 본체부(152)는 탄성 탭(154)의 내측에 위치되고 하부 본체부를 관통하는 수직축에 대체로 평행하게 배향된 실질적으로 견고한 원통형 벽(156)을 포함한다. 이러한 벽(156)은 상부 본체부(160) 위에 또는 그 주변에 딱 맞도록 크기 지워진다.
다양한 구조의 구성들이 탄성 부재(154) 및 하부 본체부(152)를 형성하기 위해 가능하고, 도시된 실시형태는 본 발명을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상부 본체부(160)는 배기 오리피스(142)에서 끝나는 상부 배기 통로(162)를 형성하는 대체로 원통형 부재이다. 상부 배기 통로(162)는 하부 본체부(152)와 상부 본체부(160)의 조립시 하부 배기 통로(158)와 정렬된다.
상부 본체부(160)는 통상 캡(166)을 또한 포함한다. 배기 오리피스(142)는 캡(166)의 중앙을 통해 형성된다. 캡(166)은 판 형상 부재이고 탄성의 원주방향 립(168)을 포함한다. 립(168)은 배기 기구(130)와 분배기 하우징(14) 사이에 제1 시일을 형성한다. 도11 및 도12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무응력(unstressed) 또는 완화(relaxed) 상태에서, 탄성 립(168)은 캡(166)의 나머지 부분보다 더 큰 곡률 반경을 갖는다. 하우징 개구(138)를 통해 배기의 삽입시, 립(168)은 하우징 상부 벽(132)의 표면에 대해 가압되어 편편하게 되어 하우징 표면에 대해 밀봉하도록 된다. 일정한 압축력이 캡(166)에 가해지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립(168)의 가장자리와 탄성 탭(154)의 상부 사이의 거리는 하우징 벽(132)의 두께 이하이다. 이것에 의해, 배기가 하우징 벽을 통해 삽입되면, 탄성 탭(154) 또한 캡(166) 상에 일정한 하향 견인력을 가하여 탄성 립(168)으로 하여금 하우징 표면에 대해 압력을 가하여 밀봉하도록 한다.
상부 본체부(160)는 또한 캡(166)의 밑면으로부터 아래로 연장하는 탄성의 스커트 부재(170)를 포함한다. 푸트(171)는 스커트(170)의 단부에 형성된다. 스커트와 푸트 구성은 배기 기구와 분배기 하우징 사이에서 별개의 제2 시일을 형성한다. 도11 및 도12를 참조하면, 스커트 푸트(171)는 도면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 벽(132)을 통해 개구(138)보다 더 큰 완화 또는 무응력 직경을 갖는다. 개구(138)를 통한 배기 기구(130)의 삽입시, 스커트(170)는 반경방향으로 내측으로 가압되고 푸트(171)는 개구의 실질적으로 수직벽(139)에 대해 밀봉 가능하게 맞물린다.
도11에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벽(139)은 하우징 벽(132)내의 개구(138)를 형 성한다. 탄성 스커트(170)의 푸트(171)는 벽(139)에 대해 밀봉하고, 탄성 립(168)은 하우징 벽의 상부면(134)에 대해 밀봉한다. 이러한 구성에서, 스커트는 하우징 벽(132)의 두께보다 큰 수직 길이를 갖지 않을 필요가 있다.
도12의 실시형태에서, 개구(138)는 벽(139)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오프셋된 제2 벽(140)을 갖는 카운터보어 구멍으로서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탄성 립은 카운터보어 원주 방향 벽이나 렛지(141)에 대해 밀봉하고, 캡(166)은 벽(140)의 깊이에 의존하여 하우징 벽의 상부면(134)과 다소 일치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립(168)은 제2 벽(140)으로 연장하지 않고 스커트(170)는 벽(139) 밑으로 연장하지 않는다.
통상 배기 플러그(144)는 배기 통로(162) 내에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어 배기 기구(130)의 휴지(at-rest) 또는 정상 상태에서 배기 오리피스(142)를 밀봉한다. 배기 플러그(144)는 상부면(182)과 하부면(184)을 갖는 판 또는 디스크형 부재(180)를 포함한다. 판 형상 부재(180)의 형상은 상부 배기 통로(162)의 단면 형상과 대체로 일치한다. 바람직하게, 판 형상 부재(180)의 형상은 대체로 원형이다. 탄성 부재(172)는 상부 본체부(160) 또는 캡(166)의 내부 하부면(186)에 대해 판 형상 부재(180)를 탄성적으로 바이어스한다. 탄성 부재(172)는, 예컨대 스프링, 리프 스프링, 코일형 스프링 등과 같은 종래 해당 기술에서 숙련된 자들에게 공지된 많은 형태 중 하나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배기 플러그(144)는 제1 단부(189)에서 판 형상 부재(180)의 하부면(184)에 부착된 연장 부재(187)를 더 포함한다. 연장 부재(187)의 제2 단부(191)는 탄성 부재(172)와 접한다. 연장 부 재(187)는 탄성 부재(172)로부터 판 형상 부재(180)로 힘을 전달한다.
판 형상 부재(180)의 주연(188)으로부터 상부 본체부(160)의 내부 하부면(186)을 향해 연장하는 것은 밀봉 림 또는 릿지(190)이다. 배기 플러그의 정상 위치에서, 밀봉 림(190)은 상부 본체부(160)의 내부 하부면(186)에 대해 탄성적으로 바이어스되어 배기 오리피스(142)는 하부 배기 통로(158)와의 연통이 차단된다. 따라서 저장통(68)은 외부 환경에 대해 본질적으로 밀봉된다. 바람직하게, 밀봉 림(190)은 판 형상 부재(180)의 상부면(182)에 거의 수직으로 연장하여 영구 편향을 최소화하거나 또는 상부 본체부(160)의 내부 하부면(186)에 의해 밀봉 림 상에 부여된 힘에 의해 유발된 밀봉 림에 대한 다른 손상을 최소화한다.
내부 개방 용적(193)은 판 형상 부재(180)의 상부면(182)과 캡(166)의 내부 하부면(186) 사이에서 형성된다. 내부 개방 용적(193)은, 판 형상 부재(180)의 상부면(182)의 단면적과 거의 동등한, 배기 오리피스(142)와 배기 통로(162)를 통해 연장하는 수직축에 수직으로 연장하는 단면적을 갖는다. 내부 개방 용적(193)의 단면적은 배기 오리피스의 가장 좁은 부분에서 배기 오리피스(142)의 단면적보다 더 크다. 바람직하게, 내부 개방 용적(193)의 단면적은 배기 오리피스의 가장 좁은 부분에서 배기 오리피스(142)의 단면적의 약 5배 보다 크다. 보다 바람직하게, 내부 개방 용적(193)의 단면적은 배기 오리피스의 가장 좁은 부분에서 배기 오리피스(142)의 단면적의 약 10배 이상이다. 보다 더 바람직하게, 내부 개방 용적(193)의 단면적은 배기 오리피스의 가장 좁은 부분에서 배기 오리피스(142)의 단면적의 약 20배 이상이다.
배기 기구(130)의 정상 또는 휴지 모드에서, 배기 플러그(144)는 배기 오리피스(142)가 형성되는 캡(166)의 내부 하부면(186)에 대해 맞물리도록 탄성적으로 가압된다. 이러한 맞물림은 본질적으로 기밀 밀봉이 될 수 있다. 저장통(68)으로부터 일회분의 점성 액체를 분배하도록 사용자가 펌프 기구를 작동시킬 때, 부분 진공이 저장통내에서 인출되어 압력차가 배기 플러그(144)에 걸쳐 제공된다. 부분 진공 또는 압력차가 탄성 부재(172)에 의해 작용된 힘보다 크면, 배기 플러그(144)는 당겨지거나 배기 오리피스(142)로부터 분리된다. 배기 플러그(144)가 당겨지면, 저장통(68)과 외부 환경 사이의 압력은 동일해지고 이어서 배기 플러그는 충분한 압력차에 다시 도달할 때까지 캡(166)의 내부 하부면(186)에 대해 다시 복귀할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탄성 부재(172)는, 배기 플러그(144)가 하우징의 변형 또는 펌프 기구의 캐비테이션 이전의 지점에서 저장통(68) 내부에서 발생된 진공도에서 캡(166)의 내부 하부면(186)으로부터 풀릴 수 있는 "크기로 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스프링이 탄성 부재(172)로 이용되면, 그러한 스프링은 소정 수의 액티베이션(activations) 또는 압력차 이상에서 이용자가 펌프 분배기를 동작시킬 때 배기 플러그(144)가 풀리거나 혹은 압력을 동일하게 하는 것을 방지할 만큼 큰 스프링 상수를 갖지 않아야 한다.
바람직하게, 판 형상 부재(180)의 상부면의 단면적은 상부 배기 통로(162)의 단면적보다 단지 약간 더 작다. 그러한 구성은, 밀봉 림(190)이 상부 본체(160)의 내부 하부면(186)과 접촉할 때 판 형상 부재(180)의 상부면(182)과 그것의 하부면(184) 사이의 힘의 차이를 최대화하여, 탄성 부재(172)에 의해 가해진 힘을 극복 하고 배기 기구(130)를 작동시키는데 필요한 압력 차이를 최소화한다. 그러나, 배기 프로세스 동안 판 형상 부재 주변에서 공기가 흐르게 하도록 하기 위해, 판 형상 부재(180)의 주연(188) 및 상부 배기 통로(162)의 외부면(194) 사이에서 갭(192)이 잔류해야 한다.
상부면(182)과 하부면(184) 사이의 판 형상 부재(180)의 두께는 그것의 직경에 비해 바람직하게는 작다. 얇은 판 형상 부재(180)는 배기 플러그(144)의 질량을 감소시켜, 상부 본체(160)의 내부 하부면(186)에 대해 배기 플러그를 바이어스 및 밀봉하는데 요구되는 스프링력을 저감한다. 압력차에 의해 작용된 낮은 스프링력과 큰 단면적의 조합은 매우 민감하고 효과적인 배기 기구(130)를 가져온다. 그러나, 판 형상 부재(180)는 그것의 하부면(184) 상에 작용하는 스프링력이 과편향 또는 다른 손상을 유발할 만큼 얇으면 안된다. 최적의 두께는 제조 재료에 의존하지만, 통상 판 형상 부재(180)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그것의 직경의 약 5%내지 약 40% 사이, 보다 바람직하게는 판 형상 부재의 직경의 약 5% 내지 30% 사이,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판 형상 부재의 직경의 약 5% 내지 약 20% 사이,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판 형상 부재의 직경의 약 5% 내지 약 10% 사이이다. 판 형상 부재(180)의 주연(188)에서 편향이나 손상을 저감하기 위해, 판 형상 부재는 그것의 수직축 부근이나 주연보다 중앙에서 더 두껍다.
바람직하게, 배기 플러그(144)는 판 형상 부재(180)의 상부면(182)에 부착되거나 그것과 일체적으로 성형된 돌출부(196)를 더 포함한다. 돌출부(196)는 배기 오리피스(142)의 수직축과 정렬된다. 그러나, 돌출부(196)의 높이는, 판 형상 부 재(180)가 탄성 부재(172)에 의해 캡(166)의 내부 하부면(186)에 대해 바이어스될 때, 밀봉 림(190)이 돌출부보다는 캡의 내부 하부면에 접하고 돌출부와 캡의 내부 하부면 사이에 갭(198)이 남도록 선택된다. 따라서, 밀봉 림(190)이 1차 배기 시일 역할을 하는 동안, 돌출부(196)는 그것이 캡(166)의 내부 하부면(186)에 접하는 지점에서 밀봉 림이 변형 또는 손상되는 경우 2차 시일 역할을 하도록 위치된다. 돌출부(196)는, 예컨대 배기 오리피스(142)가 도9 및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166)의 내부 하부면(186) 상에 카운터싱크되면, 밀봉 림(190)보다 판 형상 부재(180)의 상부면(182)으로부터 더욱 연장한다. 그러나, 캡(166)의 내부 하부면(186)이 배기 오리피스(142)에서 카운터싱크되지 않으면, 돌출부(196)는 바람직하게는 밀봉 림(190) 위로 연장하지 않는다. 돌출부(196)는 필요에 따라 효과적으로 배기 오리피스(142)를 밀봉하도록 바람직하게는 반구형이다.
다양한 수정 또는 변경이 본 발명의 범주 및 사상을 벗어나지 않으면 본 발명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당해 기술자에게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첨부되는 청구범위의 범주 및 그것의 동등물 내로 되면 그러한 수정 및 변경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Claims (20)

  1. 자체 수용형 점성 액체 분배기이며,
    하우징과,
    하우징에 의해 형성된 내부 액체 저장통과,
    저장통과 액체가 연통되게 배치되고 사용자에 의해 작동시 계량된 양의 점성 액체를 저장통으로부터 보급하기 위해 배치된 보급 단부를 갖는 수동 조작 분배 펌프 기구와,
    하우징의 상부 벽에 배치된 배기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배기 기구는
    하우징 벽의 개구를 통해 삽입 가능한 본체 부재와,
    배기 통로에 탄성적으로 배치된 이동 가능한 플러그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 부재는 본체 부재의 내부 하부면을 통해 배치된 배기 오리피스와 그것과 연통하는 배기 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플러그 부재는 주연 및 주연에 부착되고 내부 하부면에 접촉하도록 주연으로부터 연장하는 릿지를 갖는 판 형상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릿지는 휴지 위치에서 배기 통로로부터 오리피스를 밀봉하고, 상기 플러그 부재는 펌프 기구의 작동시 저장통 내에 충분한 진공이 제공될 때 오리피스를 개봉하여 저장통을 배기하도록 이동가능한 자체 수용형 점성 액체 분배기.
  2. 제1항에 있어서, 릿지는 판 형상 부재의 상부면에 거의 수직으로 연장하는 자체 수용형 점성 액체 분배기.
  3. 제1항에 있어서, 플러그 부재는 판 형상 부재에 부착되고 배기 오리피스 부근에 위치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자체 수용형 점성 액체 분배기.
  4. 제3항에 있어서, 돌출부는 배기 오리피스와 정렬되는 자체 수용형 점성 액체 분배기.
  5. 제4항에 있어서, 돌출부는 배기 오리피스 내로 연장하고, 또한 본체 부재와 접하지 않는 자체 수용형 점성 액체 분배기.
  6. 제1항에 있어서, 판 형상 부재의 단면 형상은 배기 통로의 단면 형상과 거의 일치하는 자체 수용형 점성 액체 분배기.
  7. 제1항에 있어서, 본체 부재의 내부 하부면과 판 형상 부재의 상부면은 배기 오리피스의 단면적의 약 5배 보다 큰 단면적을 갖는 개구를 형성하는 자체 수용형 점성 액체 분배기.
  8. 제1항에 있어서, 판 형상 부재의 두께는 판 형상 부재의 직경의 약 5 퍼센트 내지 약 40퍼센트 사이인 자체 수용형 점성 액체 분배기.
  9. 제1항에 있어서, 본체 부재는 본체 부재를 하우징 벽에 맞물려 고정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자체 수용형 점성 액체 분배기.
  10. 제9항에 있어서, 본체 부재는 하우징 벽의 내면에 대해 맞물려 본체 부재상에 내측 견인력을 가하도록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탄성 탭을 포함하는 자체 수용형 점성 액체 분배기.
  11. 제10항에 있어서, 본체 부재 주위에서 원주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탄성 탭을 포함하는 자체 수용형 점성 액체 분배기.
  12. 제9항에 있어서, 본체 부재는 캡과 캡을 관통하여 형성된 배기 오리피스를 더 포함하고, 캡은 하우징 벽에 대해 밀봉 가능하게 맞물리는 반경방향으로 연장하는 탄성의 원주방향 립을 더 포함하는 자체 수용형 점성 액체 분배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캡은 하우징 벽의 상부 표면 위에 배치되고, 탄성 립은 상부 표면에 대해 밀봉 가능하게 맞물리는 자체 수용형 점성 액체 분배기.
  14. 제12항에 있어서, 캡은 하우징 벽에 형성된 카운터보어에 배치되고, 탄성 립 은 카운터보어의 원주방향 벽에 대해 밀봉 가능하게 맞물리는 자체 수용형 점성 액체 분배기.
  15. 제12항에 있어서, 캡은 하우징 벽에 대해 밀봉 가능하게 맞물리는 아래로 연장하는 탄성의 환상 스커트를 더 포함하는 자체 수용형 점성 액체 분배기.
  16. 제15항에 있어서, 탄성의 환상 립은 하우징 벽의 개구의 원주방향 측면에 대해 맞물리는 자체 수용형 점성 액체 분배기.
  17. 자체 수용형 점성 액체 분배기이며,
    하우징과,
    하우징에 의해 형성된 내부 액체 저장통과,
    저장통과 액체가 연통되게 배치되고 사용자에 의해 작동시 계량된 양의 점성 물을 저장통으로부터 보급하기 위해 배치된 보급 단부를 갖는 수동 조작 분배 펌프 기구와,
    하우징의 상부 벽에 배치된 배기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배기 기구는
    하우징 벽의 개구를 통해 삽입 가능한 본체 부재와,
    배기 통로에 배치된 이동 가능한 플러그 부재와,
    본체 부재에 부착되고 휴지 위치를 향해 탄성적으로 바이어스되는 플러그 부 재에 접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 부재는 하우징 벽의 개구에 대해 원주방향으로 밀봉된 캡을 포함하고 캡은 배기 통로와 연통하여 그것을 관통하도록 배치된 배기 오리피스를 형성하고,
    상기 플러그 부재는 주연 및 주연에 부착되어 그로부터 연장하는 릿지를 갖는 디스크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릿지는 휴지 위치에서 배기 통로로부터 오리피스를 밀봉하고, 상기 플러그 부재는 저장통 내에 충분한 진공이 제공될 때 배기 오리피스를 개봉하여 저장통을 배기하도록 이동가능한 자체 수용형 점성 액체 분배기.
  18. 자체 수용형 점성 액체 분배기이며,
    내부 액체 저장통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저장통과 액체가 연통되게 배치되고 계량된 양의 점성 액체를 저장통으로부터 보급하기 위한 펌프 기구와,
    하우징의 상부 벽에 배치된 배기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배기 기구는
    하우징 벽의 개구내에 밀봉 가능하게 배치되고 그것을 통과하는 배기 오리피스를 형성하는 캡과,
    캡의 내측 표면에 밀봉 가능하게 부착된 배기 본체와,
    배기 통로에 탄성적으로 배치된 이동 가능한 플러그 부재를 포함하고,
    배기 본체는 상부 및 하부를 갖고 배기 오리피스와 연통하는 배기 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플러그 부재는 판 형상 부재 및 판 형상 부재의 주연으로부터 연장하는 릿지를 포함하고, 상기 릿지는 휴지 위치에서 배기 통로의 하부로부터 배기 오리피스를 밀봉하고 상기 플러그 부재는 저장통내에 충분한 진공이 제공될 때 오리피스를 개봉하여 저장통을 배기하도록 이동가능한 자체 수용형 점성 액체 분배기.
  19. 제18항에 있어서, 플러그 부재는 판 형상 부재에 부착되고 배기 오리피스와 정렬되는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자체 수용형 점성 액체 분배기.
  20. 제19항에 있어서, 돌출부는 배기 오리피스내로 연장하고, 또한 돌출부 및 캡은 배기 오리피스와 배기 통로의 상부 사이에서 연통하는 갭을 형성하는 자체 수용형 점성 액체 분배기.
KR1020067012406A 2003-12-23 2004-10-29 자체 수용형 점성 액체 분배기용 통기 플러그 KR1011277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745,770 US7114639B2 (en) 2003-12-23 2003-12-23 Vent plug for self-contained viscous liquid dispenser
US10/745,770 2003-12-23
PCT/US2004/036226 WO2005067774A1 (en) 2003-12-23 2004-10-29 Vent plug for self-contained viscous liquid dispens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4352A true KR20060114352A (ko) 2006-11-06
KR101127735B1 KR101127735B1 (ko) 2012-03-23

Family

ID=34679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2406A KR101127735B1 (ko) 2003-12-23 2004-10-29 자체 수용형 점성 액체 분배기용 통기 플러그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7114639B2 (ko)
EP (1) EP1706011B1 (ko)
JP (1) JP2007518476A (ko)
KR (1) KR101127735B1 (ko)
AU (1) AU2004313441B2 (ko)
BR (1) BRPI0417976B1 (ko)
CA (1) CA2549126C (ko)
DE (1) DE602004018834D1 (ko)
MX (1) MXPA06007184A (ko)
WO (1) WO2005067774A1 (ko)
ZA (1) ZA20060405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37510A (en) * 2006-04-26 2007-10-31 Packaging Innovation Ltd Dispenser mechanism
WO2009037417A1 (en) * 2007-09-21 2009-03-26 Packaging Innovation Limited Dispenser mechanism
US20090142199A1 (en) * 2007-11-29 2009-06-04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Quick lift zero flutter oil service pump valve
WO2011016011A2 (en) 2009-08-07 2011-02-10 Ecolab Usa Inc. Wipe and seal product pump
CN112093242A (zh) * 2020-08-03 2020-12-18 自由科技(广东)有限公司 倒置出液泵头及储液装置及自动皂液机
US11744412B2 (en) 2021-10-07 2023-09-05 Deb Ip Limited Dispenser system
US11744413B2 (en) 2021-10-07 2023-09-05 Deb Ip Limited Dispenser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52A (en) * 1878-03-19 Improvement in valves
US49414A (en) * 1865-08-15 Improvement in steam-valves
US169817A (en) * 1875-11-09 Improvement in globe-valves
US1587080A (en) * 1920-06-22 1926-06-01 Marcelli Attilio Valve
US1522659A (en) * 1924-06-21 1925-01-13 Frank D Wells Valve
US2114858A (en) * 1936-08-12 1938-04-19 Gen Electric Throttle valve
US2272351A (en) * 1941-07-08 1942-02-10 Polcari Carmine Faucet
US2804240A (en) * 1954-10-11 1957-08-27 Clifford W Anderson Dispensing attachment for containers
NL243140A (ko) 1958-09-09
US3254368A (en) * 1961-06-06 1966-06-07 Black Clawson Co Plastic fabricating machines
CH465213A (de) * 1965-05-14 1968-11-15 Glidden Durkee Division Scm Co Bei niedriger Temperatur und an der Luft polymerisierbare Masse sowie Verwendung derselben zur Herstellung von Formkörpern
US3433455A (en) * 1967-09-15 1969-03-18 Clark Equipment Co Spring biased valve
GB2034799B (en) 1978-10-06 1982-08-18 Appor Ltd Mounting devices for dispensers or other containers
US4441633A (en) * 1981-10-26 1984-04-10 Bennett Robert A Child resistant trigger pump
US4964544A (en) * 1988-08-16 1990-10-23 Bobrick Washroom Equipment, Inc. Push up dispenser with capsule valve
US5472121A (en) * 1994-03-04 1995-12-05 Silano; John R. Plastic lid with pour spout, vent and snap on cap
FR2731690B1 (fr) * 1995-03-17 1997-06-06 Total Raffinage Distribution Dispositif de limitation de perte de liquide, adaptable sur un organe de distribution de liquide sous pression
DE19536739A1 (de) * 1995-10-02 1997-04-03 Zeller Engineering Gmbh Dosierspender für Flüssigkeiten
EP1345519A1 (en) 2000-12-19 2003-09-2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Self-contained viscous liquid dispenser
US6516976B2 (en) * 2000-12-19 2003-02-1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Dosing pump for liquid dispensers
US6543651B2 (en) * 2000-12-19 2003-04-0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Self-contained viscous liquid dispens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133537A1 (en) 2005-06-23
US7114639B2 (en) 2006-10-03
CA2549126A1 (en) 2005-07-28
AU2004313441A1 (en) 2005-07-28
BRPI0417976A (pt) 2007-04-17
EP1706011B1 (en) 2008-12-31
KR101127735B1 (ko) 2012-03-23
ZA200604056B (en) 2007-10-31
EP1706011A1 (en) 2006-10-04
BRPI0417976B1 (pt) 2016-07-05
WO2005067774A1 (en) 2005-07-28
JP2007518476A (ja) 2007-07-12
AU2004313441B2 (en) 2009-08-06
CA2549126C (en) 2011-09-13
MXPA06007184A (es) 2006-08-23
DE602004018834D1 (de) 2009-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75334B2 (en) Self-contained viscous liquid dispenser
US4646945A (en) Vented discharge assembly for liquid soap dispenser
CA2429358C (en) Self-contained viscous liquid dispenser
US7389893B2 (en) Inverted dispensing pump
EP0455431A1 (en) Liquid dispensing system including a discharge assembly providing a positive air flow condition
CA2466446C (en) Dispenser for dispensing a fluid, housing for such a dispenser, storage holder destined for placement therein and arrangement for the dosed pumping of a fluid from a fluid reservoir
WO2006036225A1 (en) Self-contained liquid dispenser with a spray pump mechanism
KR101127735B1 (ko) 자체 수용형 점성 액체 분배기용 통기 플러그
EP0232571B1 (en) Liquid soap dispenser
US20050133526A1 (en) Mounting structure for viscous liquid dispenser
WO2005035140A1 (en) Viscous liquid dispenser having leak prevention device
JP2017065750A (ja) 吐出器および操作治具付き吐出器
US20050133525A1 (en) Lockout device for viscous liquid dispenser
JPH08268458A (ja) 液体噴出ポン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