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3821A - 유기전계발광패널의 배선구조 및 그 유기전계발광패널 - Google Patents

유기전계발광패널의 배선구조 및 그 유기전계발광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3821A
KR20060113821A KR1020050034752A KR20050034752A KR20060113821A KR 20060113821 A KR20060113821 A KR 20060113821A KR 1020050034752 A KR1020050034752 A KR 1020050034752A KR 20050034752 A KR20050034752 A KR 20050034752A KR 20060113821 A KR20060113821 A KR 200601138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wiring
scan driver
organic light
sea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4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9936B1 (ko
Inventor
윤종근
김우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34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9936B1/ko
Priority to EP06007905.0A priority patent/EP1717789B1/en
Priority to CNB200610073586XA priority patent/CN100452157C/zh
Priority to US11/402,865 priority patent/US20060238463A1/en
Priority to JP2006114978A priority patent/JP2006309223A/ja
Publication of KR200601138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38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99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99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5/00Sheets united without binding to form pads or blocks
    • B42D5/04Calendar blocks
    • B42D5/046Suspension devic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BPERMANENTLY ATTACHING TOGETHER SHEETS, QUIRES OR SIGNATURES OR PERMANENTLY ATTACHING OBJECTS THERETO
    • B42B5/00Permanently attaching together sheets, quires or signatures otherwise than by stitching
    • B42B5/08Permanently attaching together sheets, quires or signatures otherwise than by stitching by finger, claw or ring-like elements passing through the sheets, quires or signatures
    • B42B5/12Permanently attaching together sheets, quires or signatures otherwise than by stitching by finger, claw or ring-like elements passing through the sheets, quires or signatures the elements being co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전계발광소자를 이용하여 유기전계발광하는 유기전계발광패널 및 그 배선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유기전계발광소자에 스캔신호를 인가하는 스캔구동부와, 스캔구동부의 측부에 형성되되,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스캔구동부보다 실런트에 인접해 있는 가장자리 배선들을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패널의 배선구조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경화여유폭을 최소화하여 베젤폭을 최소화하므로 불필요한 공간사용을 줄이며 시각적으로나 디자인상으로 제약을 주지 않는 효과가 있다.
유기전계발광, 베젤폭, 경화여유폭, 스캔구동부, 배선

Description

유기전계발광패널의 배선구조 및 그 유기전계발광패널{OLED}
도 1은 종래 유기전계발광패널의 사용상태도.
도 2는 종래 유기전계발광패널을 포함하는 일반적인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시도.
도 3은 종래 유기전계발광패널의 평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패널의 단면도.
본 발명은 유기전계발광소자를 이용하는 유기전계발광패널 및 그 배선구조에 관한 것이다.
유기전계발광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는 전자와 정공의 재결합으로 유기물질을 발광시키는 자발광소자이다.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패널은 액정 디스플레이장치와 같이 별도의 광원을 필요로 하는 수동형 발광소자에 비하여 응답속도가 빠르고, 직류구동전압이 낮고 초박막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벽걸 이형 또는 휴대용으로 응용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 유기전계발광패널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유기전계발광패널(12)은 유기전계발광소자들(OLEDs)로 이루어진 발광영역(active area, 14)과, PCB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PCB기판으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발광영역(14)에 전달하는 회로부(16)를 가졌다.
발광영역(14)은 회로부(16)를 통해 PCB기판으로부터 전달받은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 영상을 출력하였다. 한편, 종래 유기전계발광패널(12)은 외관글라스(18)가 전면에 부착되어 이동통신단말기나 디지털TV, 컴퓨터 등의 정보단말기에 사용되었다. 통상적으로 외관글라스(18)의 외측과 발광영역(14) 사이의 간격을 베젤폭(bezel width, W)이라 한다.
도 2는 종래 유기전계발광패널을 포함하는 일반적인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종래 유기전계발광패널(12)은 일반적인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10)에 적용할 수 있었다. 종래 유기전계발광패널(12)은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의 상부폴더의 내창 또는 외창에 장착되어 사용될 수 있었다.
도 3은 종래 유기전계발광패널의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종래 유기전계발광패널(12)은 외관글라스(18) 내에서 디스플레이 정보를 표시하는 발광영역(14)이 형성되어 있었다. 발광영역(14)에는 다수의 유기전계발광소자의 RGB 화소들(RGB pixels, 22)이 형성되어 있었다.
발광영역(14)의 상측에는 데이터구동부(data driver, 24)가 형성되어 있으며, 좌우측에는 좌측 스캔구동부(scan driver, 26a)와 우측 스캔구동부(26b)가 형성되어 다수의 유기전계발광소자의 RGB 화소들(RGB pixels, 22)을 나누어 스캔했다. 데이터구동부(24)와 좌측 스캔구동부(scan driver, 26a), 우측 스캔구동부(26b)는 전기적으로 PCB 기판(28)과 연결되어 외부 신호를 입력받았다. 발광영역(14) 주위에는 실런트(30)가 형성되어 있어 발광영역(14)을 외부의 수분이나 산소 등 불순물로부터 기밀하였다.
좌측 스캔구동부(26a)와 발광영역(14) 사이에는 PCB 기판(28)으로부터 연장된 GND 배선(32)과, 온오프스위치 배선(34)이 배치되어 있었다. GND 배선(32)은 패널의 기준전압에 연결하는 배선이며, 온오프스위치 배선(34)은 구동중 스캔 변경시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switching TFT)를 온오프하는 기능을 하였다.
우측 스캔구동부(26b)와 발광영역(14) 사이에는 레퍼런스 배선(36)이 형성되어 있다. 레퍼런스 배선(36)은 입력 데이터 신호의 기준 전압에 연결하는 배선이다.
외관글라스(18)의 좌외측과 발광영역(14)의 좌외측 사이의 간격을 좌측 베젤폭(W1)이라 하며, 외관글라스(18)의 우외측과 발광영역(14)의 우외측 사이의 간격을 우측 베젤폭(W2)이라 하였다. 또한, 실런트(30)의 내외측과 인접한 배선인 좌측 스캔구동부(26a) 사이의 간격을 좌측 경화여유폭(left curing margin)이라 하며, 실런트(30)의 내외측과 인접한 배선인 우측 스캔구동부(26b) 사이의 간격을 우측 경화여유폭(right curing margin)이라 하였다.
이와 같은 종래 유기전계발광소자(12)는 좌측 또는 우측 베젤폭(W1, W2)이 커 휴대폰과 같은 정보단말기의 빈공간(dead space)이 많아지게 되고 시각적으로나 정보통신 단말기의 디자인상 많은 제약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구체적으로 TFT-LCD의 경우 베젤폭은 대략 2㎜ 이내였으나, 종래 액티브 메트릭스형 유기전계발광소자(AMOLED)와 종래 단순 매트릭스형 유기전계발광소자(PMOLED)의 경우 각각 2~3㎜, 3~5㎜였다.
또한, 종래 유기전계발광소자(12)의 베젤폭(W1, W2)이 커지는 주요한 원인은 경화여유폭(W3, W4)이 컸기 때문이었다. 구체적으로 종래 유기전계발광소자(120의 경화여유폭(W3, W4)은 대략 0.7~1.0㎜이었다. 이와 같이 경화여유폭이 큰 이유는 실런트(30)를 소정의 두께만큼 기판(20)에 도포하고 광경화할 때 여러 요인들에 의해 위치 오차가 발생하여 주위의 좌우측 스캔구동부(26a, 26b) 등 주변회로에 자외선광 손상(damage)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실런트(30)와 좌우측 스캔구동부(26a, 26b) 등 주변회로 사이를 충분히 떨어뜨려 놓았기 때문이다.
또한, 도 4를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GND 배선(32)의 폭이 크며 배선수가 많아 좌측 베젤폭(W1)이 우측 베젤폭(W2)보다 커, 결과적으로 양측 베젤폭이 비대칭인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경화여유폭을 최소화하여 베젤폭을 최소화하므로써 불필요한 공간사용을 줄이며 시각적으로나 디자인상으로 제약을 주지 않는 유기전계발광패널 및 그 배선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좌우측 베젤폭을 동일하게 하여 제조공정을 개선하고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는 유기전계발광패널 및 그 배선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기전계발광소자에 스캔신호를 인가하는 스캔구동부와, 스캔구동부의 측부에 형성되되,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스캔구동부보다 실런트에 인접해 있는 가장자리 배선들을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패널의 배선구조를 제공한다.
이때, 가장자리 배선들은 GND 배선, 온오프스위치배선, 레퍼런스 배선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스캔구동부는 제1측 스캔구동부와 제2측 스캔구동부를 가지며, GND 배선, 온오프스위치배선, 레퍼런스 배선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제1측 스캔구동부보다 실런트에 인접해 있고, 적어도 다른 하나가 제2층 스캔구동부보다 실런트에 인접해 있을 수 있다.
또한, GND 배선이 상기 제1측 스캔구동부보다 실런트에 인접해 있고, 레퍼런스 배선이 제2측 스캔구동부보다 실런트에 인접해 있을 수 있다.
또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한 배선구조들 갖는 유기전계발광패널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패널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패널(40)은 다수의 유기전계발광소자의 RGB 화소들(RGB pixels)에 의해 디스플레이 형상을 형성하는 발광영역(44)이 기판(42) 상에 형성되어 있다.
발광영역(44)의 상측에는 미도시의 데이터구동부(data driver)가 형성되어 있으며, 좌우측에는 좌측 스캔구동부(scan driver, 48a)와 우측 스캔구동부(48b)가 형성되어 있다. 데이터구동부(data driver)와 좌측 스캔구동부(48a), 우측 스캔구동부(48b)는 전기적으로 미도시의 PCB 기판(28)과 연결되어 있으며, 발광영역(44) 주위에는 실런트(46)가 형성되어 있어 발광영역(44)을 외부의 수분이나 산소 등 불순물로부터 기밀하는 것은 도 3에서 도시한 종래 유기전계발광패널(12)과 동일하다.
좌측 스캔구동부(48a)와 발광영역(44) 사이에는 온오프스위치 배선(50)이 형성되어 있다. 좌측 스캔구동부(48a)와 실런트(46) 사이에는 PCB기판으로부터 연장된 GND 배선(54)이 형성되어 있다. GND 배선(54)은 실런트(46)의 열경화 또는 광경화시 열이나 빛에 영향을 받지 않을 뿐 아니라 실런트(46)의 침투에 의해 충격을 받지 않기 때문에 실런트(46)와의 거리를 수십 ㎛ 이하로 좁히더라도 전기적인 역 할에 전혀 영향을 받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GND 배선(54)을 인접하는 좌측 스캔구동부(48a)와 실런트(46) 사이에 배치하므로, 좌측 경화여유폭(W3)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좌측 베젤폭(W1)을 최소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실런트(46)와 우측 스캔구동부(48b) 사이에 레퍼런스 배선(56)이 형성되어 있다. 레퍼런스 배선(56)도 실런트(46)의 열경화 또는 광경화시 열이나 빛에 영향을 받지 않을 뿐 아니라 실런트(46)의 침투에 의해 충격을 받지 않기 때문에 실런트(46)와의 거리를 포토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 공정의 정밀도인 수십 ㎛ 이하로 좁히더라도 전기적인 역할에 전혀 영향을 받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레퍼런스 배선(56)을 우측 스캔구동부(48b)와 실런트(46) 사이에 배치하므로써, 우측 경화여유폭(W4)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우측 베젤폭(W2)을 최소할 수 있다.
특히, 좌측 GND 배선(54)의 폭이 레퍼런스 배선(56)보다 크므로 좌우측 경화여유폭(W3, W4)을 최소화하면서 우측 경화여유폭(W4)을 조정하므로써 좌우측 베젤폭(W1, W2)을 동일하게 할 수 있는 여유를 가질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위 실시예에서, 온오프스위치 배선과 GND 배선이 좌측에, 레퍼런스 배선이 우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들의 배선 위치는 필요한 경우 자유롭게 바뀔 수 있다.
위 실시예들에서, 배선들로 GND 배선과 온오프스위치 배선, 레퍼런스 배선 등을 설명하였으나, 다른 배선들이 존재할 수 있으며 이 배선들 중 일부가 존재하지 않거나 다른 측면에 형성되어 스캔구동부와 동일한 측면에 위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경화여유폭을 최소화하여 베젤폭을 최소화하므로 불필요한 공간사용을 줄이며 시각적으로나 디자인상으로 제약을 주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좌우측 베젤폭을 동일하게 하여 제조공정을 개선하고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유기전계발광소자에 스캔신호를 인가하는 스캔구동부와;
    상기 스캔구동부의 측부에 형성되되,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스캔구동부보다 실런트에 인접해 있는 가장자리 배선들을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패널의 배선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장자리 배선들은 GND 배선, 온오프스위치배선, 레퍼런스 배선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패널의 배선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구동부는 제1측 스캔구동부와 제2측 스캔구동부를 가지며,
    상기 GND 배선, 상기 온오프스위치배선, 상기 레퍼런스 배선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제1측 스캔구동부보다 상기 실런트에 인접해 있고, 적어도 다른 하나가 상기 제2층 스캔구동부보다 상기 실런트에 인접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패널의 배선구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GND 배선이 상기 제1측 스캔구동부보다 상기 실런트에 인접해 있고, 상 기 레퍼런스 배선이 상기 제2측 스캔구동부보다 상기 실런트에 인접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패널의 배선구조.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항의 배선구조를 갖는 유기전계발광패널.
KR1020050034752A 2005-04-26 2005-04-26 유기전계발광패널 KR1011499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4752A KR101149936B1 (ko) 2005-04-26 2005-04-26 유기전계발광패널
EP06007905.0A EP1717789B1 (en) 2005-04-26 2006-04-13 Electro luminescence display device
CNB200610073586XA CN100452157C (zh) 2005-04-26 2006-04-13 电致发光显示装置
US11/402,865 US20060238463A1 (en) 2005-04-26 2006-04-13 Electro luminescence display device
JP2006114978A JP2006309223A (ja) 2005-04-26 2006-04-18 電界発光表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4752A KR101149936B1 (ko) 2005-04-26 2005-04-26 유기전계발광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3821A true KR20060113821A (ko) 2006-11-03
KR101149936B1 KR101149936B1 (ko) 2012-05-30

Family

ID=37195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4752A KR101149936B1 (ko) 2005-04-26 2005-04-26 유기전계발광패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49936B1 (ko)
CN (1) CN100452157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9592A (ko) * 2011-11-04 2013-05-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5874B1 (ko) * 2014-07-24 2021-08-3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104464603A (zh) * 2014-12-30 2015-03-2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05742312B (zh) * 2014-12-31 2019-02-12 乐金显示有限公司 有机发光显示装置
KR102339648B1 (ko) * 2015-06-24 2021-12-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게이트 구동회로와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CN110310976B (zh) * 2019-07-12 2022-01-1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基板和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19718B2 (en) * 2000-07-25 2006-03-28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JP4789369B2 (ja) * 2001-08-08 2011-10-12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3108021A (ja) * 2001-09-28 2003-04-11 Hitachi Ltd 表示装置
JP2003316284A (ja) * 2002-04-24 2003-11-07 Sanyo Electric Co Ltd 表示装置
JP2004200034A (ja) * 2002-12-19 2004-07-15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電子機器
KR100544123B1 (ko) * 2003-07-29 2006-01-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평판표시장치
JP3873965B2 (ja) * 2003-11-10 2007-01-3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アクテブマトリクス基板
KR100600865B1 (ko) * 2003-11-19 2006-07-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자파차폐수단을 포함하는 능동소자표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9592A (ko) * 2011-11-04 2013-05-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452157C (zh) 2009-01-14
CN1855201A (zh) 2006-11-01
KR101149936B1 (ko) 2012-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48422B1 (ko) 대면적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JP6756538B2 (ja) 表示装置
KR102403234B1 (ko) 표시 장치
KR10256210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25492B1 (ko) 디스플레이장치
CN107785392B (zh) 显示装置
KR20170049705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80032255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70024197A (ko) 투명표시장치
KR102443121B1 (ko)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160149385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제조 방법
CN110265423B (zh) 一种柔性显示基板、柔性显示面板、柔性显示装置
US10025416B2 (en) Display panel and method for forming the same
KR101696483B1 (ko)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KR20170023300A (ko) 투명표시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투명표시장치
EP3301731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11309379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including a power supply wire
KR20150055377A (ko)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101149936B1 (ko) 유기전계발광패널
US20190294280A1 (en) Manufacturing method for display panel,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KR20180062522A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KR101227134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WO2021207930A9 (zh) 显示基板及显示装置
CN106897692A (zh) 指纹识别组件和显示装置
KR20060116516A (ko) 유기전계발광패널의 배선구조 및 그 유기전계발광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