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3111A - 피부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부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3111A
KR20060113111A KR1020050035987A KR20050035987A KR20060113111A KR 20060113111 A KR20060113111 A KR 20060113111A KR 1020050035987 A KR1020050035987 A KR 1020050035987A KR 20050035987 A KR20050035987 A KR 20050035987A KR 20060113111 A KR20060113111 A KR 200601131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powder
cosmetic composition
soothing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59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51076B1 (ko
Inventor
강찬구
박창훈
한상훈
안성연
김진우
권금주
임선주
정혜진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0500359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1076B1/ko
Publication of KR200601131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31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10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10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1Am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2Am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5Ketones, e.g. benzophen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4Thermal properties
    • A61K2800/244Endothermic; Cooling; Cooling sens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레아(urea) 파우더를 함유하여 피부에 시원함과 진정효과를 주는 피부진정용 화장료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피부진정용 화장료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30~90중량%의 우레아 파우더를 함유함으로써 피부에 시원함 및 청량감을 주고 피부탄력증진, 피부자극진정과 같은 미용효과를 나타낸다.
우레아 * 파우더 * 시원함 * 피부진정 * 화장료 조성물 * 시트타입 팩

Description

피부진정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soothing effect on the skin}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에 해당하는 실시예 1(A), 실시예 2(B), 및 비교예 1(C)의 냉각효과를 온도변화로 측정한 결과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해당하는 실시예 1(A), 실시예 2(B), 및 비교예 1(C)의 피부진정 효과를 온도변화율로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를 도포한 피부의 실제 IR 카메라 측정 이미지로, (a)는 운동직후 화장료 조성물의 도포 전 IR 카메라 측정 이미지이고, (b)는 비교예 1을 도포하고 제거 10분 후 IR 카메라 측정 이미지이고, (c)는 실시예 1을 도포하고 제거 10분 후 IR 카메라 측정 이미지이다.
본 발명은 우레아(urea) 파우더를 함유하여 피부에 시원함과 진정효과를 주는 피부진정용 화장료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피부진정용 화장료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30~90중량%의 우레아 파우더를 함유함 으로써 피부에 시원함 및 청량감을 주고 피부탄력증진, 피부자극진정과 같은 미용효과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화장품은 신체를 청결히 하고 자신을 아름답고 매력적으로 가꾸며, 자외선이나 건조, 공해 물질 등으로부터 피부나 모발을 보호하여 노화를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편, 최근 산업사회의 발달과 사회활동의 증가로 자기 자신을 적극적으로 표현하고자 하는 자아의식이 높아지면서 화장품을 이용하여 자기 자신의 피부를 가꾸고 건강하게 유지하고자 하는 욕구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일시적으로 얼굴에 얇은 피막을 씌워 외부의 공기유입과 수분증발을 차단시켜 피부를 유연하게 하고 유효성분의 침투를 용이하게 하는 팩 유형의 화장품 개발이 최근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특히, 시트타입의 팩 화장품은 즉각적인 효과와 간편한 사용법으로 인해 관련 시장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피부는 신체의 바깥쪽을 둘러싸고 있는 얇은 막으로서, 인체를 외부 환경의 물리적, 화학적인 자극으로부터 보호해 주는 기능을 한다. 피부를 수직으로 잘라 그 단면을 보면 표피, 진피, 피하조직의 3개층으로 나누어지는데, 그 중에서도 표피의 각질층은 약 10~20%의 수분을 함유하며 인체의 최외각에 존재하여 체내로부터의 수분 증발을 억제하는 한편 외부로부터의 물질 과잉 침투를 차단한다(J. Invest. Dermatol. 80(Suppl.), 44-49. 1983). 그러나, 환경의 변화 혹은 생활 패턴의 변화, 사회 생활에서 발생되는 각종 스트레스와 공해물질로 인한 환경 오염, 화장 습관에 따른 잦은 세안 및 연령 증가에 따른 자연적인 피부 노화 등의 원인으 로 피부가 건조해지고 표면이 거칠게 되며 피부가 윤기를 잃어 칙칙하게 보이는 등의 현상이 자주 발생하게 되면서 피부 건강에 관한 문제는 그 중요성이 점점 더 커지고 있다.
다양한 피부 스트레스로부터 피부를 건강하게 유지시키고자 하는 방법들로 종래에는 피부 수분의 건조를 막고 각질층에서의 수분 보유능을 향상시키는 피부 보습용 기술들이 주로 사용되어 왔다. 수분을 흡수하는 휴멕턴트(humectant)나 수분 증발을 방지하는 폐쇄 보습제(Occlusive Moisturizer)를 사용하여 결국 각질층에서의 수분 보유를 증가시키는 방식이 행하여져 왔다(J. Invest. Dermatol. 54, 24-31, 1970). 또한, 각질층의 분화가 피부수분의 건조를 막는데 중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되면서 각질층의 정상적인 턴오버(turn over)를 촉진시키는 각질케어 기술도 개발되어 왔다. 최근에는 현대사회의 다양화에 따른 소비자의 욕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자외선에 의한 손상을 막거나, 유해한 활성산소를 제거해 주는 등의 생리활성이 높은 기능성 화장품 개발도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이처럼 다양한 효능 · 효과를 갖는 화장품들이 개발 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피부의 열에 대한 연구는 충분하지 못한 상태이고, 관련 제품 개발도 다른 분야에 비해 상대적으로 미미한 실정이다. 최근 피부에 가해지는 열에 의해 피부내 단백질의 발현이 비정상적으로 되고 활성산소 증가로 인한 노화, 탄력섬유의 분해로 인한 피부쳐짐 현상이 발생한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되었다(J. Invest. Dermatol. 124, 70-78, 2005). 이는 열에 의하여 탄력 섬유의 구성성분인 피브릴린(Fibrillin)의 합성이 저하되고, 증가된 활성 산소에 의해 트로포엘라스틴 (Tropoelastin)의 합성은 과도하게 증가되어 정상적인 탄력 섬유 형성이 이루어지지 않고 피부 노화가 촉진된다는 것이다. 이에, 더운 날씨, 태양 광선, 난방시설 등에 의한 과도한 열로부터 피부를 보호하여 열에 의한 피부손상을 억제하고 피부를 진정시켜 건강하게 가꾸어 줄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한편, 우레아를 함유한 화장료에 대한 연구로는 항염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한국 특허출원 제1999-65626), 피부진정용 화장료 조성물(일본 특개 1999-209234호), 피부에 시원함을 주는 액상 샴푸조성물(일본 특개 1987-149611호) 등이 있다.
본 발명자들은 일반 소비자들이 지속적이고 간편하게 피부에 가해지는 열을 완화시켜줄 수 있도록 냉각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 피부에 실질적인 시원함과 청량감을 부여해 줄 수 있는 물질을 찾고자 연구한 결과, 우레아 파우더가 물에 용해시 흡열반응을 통해 냉각효과를 나타내어 과도한 열에 의해 발생하는 활성산소수를 감소시켜 피부를 건강하게 가꾸어 줄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물에 용해시 흡열반응을 통해 냉각효과를 갖는 우레아 파우더를 함유하여 피부에 시원함, 탄력증진, 자극진정 등의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30~90중량%의 우레아 파우더를 함유하여 물에 용해시 흡열반응을 통해 시원한 냉각효과를 갖고, 이를 통해 피부탄력 증진, 자극진정, 활성산소 감소와 같은 피부개선효과를 나타냄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은 우레아 파우더에 자일리톨을 더 함유하여 본 발명이 목적하는 피부진정 효과를 더욱 극대화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피부진정이란 피부에 시원함을 주는 것, 피부온도를 강화시키는 것, 피부에 청량감을 부여하는 것, 또는 피부에 냉감을 부여하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우레아는 탄산의 디아미드에 해당하는 화합물로 무색 · 무취의 기둥모양결정 물질이다. 일반적으로 암모니아와 이산화탄소를 가압 · 가열하에 반응시켜 카르밤산암모늄을 만들고, 이것을 탈수분해하여 제조하게 된다. 이는 동물계에 널리 존재하며, 척추동물의 혈액 및 체액을 비롯하여 연체동물, 버섯과 같은 균류, 연골어류의 근육 속에서도 우레아가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다. 또한, 우레아는 각질층에 존재하는 천연보습인자(NMF, Natural Moisturizing Factor)들 중에 7%를 차지하고 있는 물질로서 흡습성이 뛰어나고, 각질제거 및 연화기능까지 있어 보습 및 각질케어 화장료 조성물에 주로 사용되어 왔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우레아와 함께 더 함유될 수 있는 자일리톨은 문헌(미국 특허 제 4008825호)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식물성 원료에 함유된 자일란을 가수분해하여 얻은 자일로스(xylose)를 촉매 존재하에 환원시킨 것이다. 자일리톨은 충치 예방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주로 추잉검, 의약품, 구강 위생제 등에 적합한 천연 감미료로 주로 인식되어 왔다. 이외에도 물에 용해시 흡열반응을 통해 주변을 시원하게 해 주는 청량효과가 있고, 피부 보습에도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우레아 및 자일리톨은 건조된 파우더 형태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30~90중량%, 바람직하게는 50~80중량%로 함유한다. 이는 사용함량이 적을 경우 냉각효과가 미미하여 실질적인 피부개선효과를 얻기 어렵고 소비자들이 인지하기 힘들어지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상기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피부진정용 화장료 조성물은 그 제형에 있어서 물이 사용되지 않는 제형으로만 한정되며, 예를들면 오일, 시트타입 팩, 파우더, 세안제, 립케어제품 또는 피부 점착타입 화장료의 제형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의 제형 중 마스크 부직포 내에 파우더 형태의 우레아 또는 우레아 및 자일리톨을 함유하여 제조하는 건조된 시트타입 팩 제형이 가장 바람직하며, 마스크 시트 내에 우레아 파우더 또는 자일리톨 파우더를 더 함입시켜 마스크 팩을 제조하고, 이를 물에 적신 후 얼굴에 적용하게 되면 흡열반응을 통한 냉각효과로 최적의 피부진정 효과를 느낄 수 있다.
마스크 시트의 냉각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조성물 파우더를 고 함량으로 함입시키는 방법이 매우 중요하다. 파우더 함유 마스크 시트 제조 방법으로는 마스크 시트 두 장 사이에 파우더를 함입시킨 후 두 시트를 촘촘히 붙이는 방법, 파우더 스프레이를 이용하여 마스크 시트위에 파우더를 고르게 코팅하는 방법, 및 마스크 시트와 파우더에 정전기적 인력과 같은 힘을 발생시켜 물리적으로 파우더를 코팅하는 방법이 있다. 그 외에도 파우더를 알콜, 물과 같은 적당한 용매에 분산ㆍ용해시킨 후 마스크 시트를 적시고 건조시켜 파우더만을 시트에 남기는 방법도 있다. 상기 제조방법들은 파우더의 함량 조절이 용이하고 제조 공정이 단순하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제조방법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마스크 시트 두 장 사이에 파우더를 함입시킨 후 두 시트를 촘촘히 붙이는 방법의 경우에는 물에 상기 파우더를 50%농도로 용해시킨 고농도 용액을 제조한 후, 이 용액에 마스크 시트를 충분히 적시고 빠른 속도로 물을 증발시키면 시트마스크에 파우더만 남게 된다. 이 제조방법을 통하여 얼굴면적의 마스크 시트에 약 2~3g정도의 파우더를 로딩시킬 수 있어 물에 적셔서 사용시에 약 20%정도의 용액을 피부에 도포하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이 제조방법에서 파우더 코팅의 시트 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바인더 역할을 할 수 있는 폴리머를 상기 파우더 용액내에 0.1~5%정도 추가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파우더 코팅으로 인해 야기되는 마스크 시트의 뻑뻑함을 개선하기 위해 가소제를 상기 파우더 용액내에 0.1~10%까지 추가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시트타입 팩 제형의 제조방법은 상기의 방법으로만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통상적 인 시트타입 팩 제형의 제조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피부진정용 화장료조성물은 우레아 파우더에 자일리톨을 더 함유함으로써, 물에 용해시 흡열반응을 통한 냉각효과로 최적의 피부진정 효과를 더욱 극대화시킬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시험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 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2 및 비교예 1]
하기 표 1의 조성으로 시트타입 팩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배합성분 함량(중량%)
실시예 1(A) 실시예 2(B) 비교예 1(C)
우레아 80.0 40.0 0.0
자일리톨 0.0 40.0 0.0
토코페롤 10.0 10.0 10.0
실리카 10.0 10.0 90.0
시험예1 : 냉각 효과 측정
본 발명의 우레아 파우더 성분과 여기에 더 함유되는 자일리톨 성분이 갖는 냉각효과를 직접적으로 측정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 1~2 및 비교예 1의 화장료 조성물에 온도계를 이용하여 시간에 따른 온도변화를 측정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때, 각 마스크 시트에 증류수 30mL(온도: 21℃)를 뿌려준 후 시간에 따른 온도변화를 측정하였으며, 주위 환경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온도계로 측정하는 부분은 알루미늄 호일과 단열 스티로폼을 사용하여 외부와 차단을 시켜주었다. 그 결과를 하기 표 2 및 도 1에 나타내었다.
시간 온도(℃)
실시예 1(A) 실시예 2(B) 비교예 1(C)
0분(실험전) 23 23 23
0.5분(30초) 18 18 21
1분 17 17 21
2분 17 17 20.5
3분 16.5 16.5 20
5분 16 16 20
7분 16 16 20
10분 16.5 16 20.5
15분 17 16.5 21
20분 18 17.5 21.5
30분 20 19.5 22
상기 표 2 및 하기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비교예 1에 비하여 우레아 파우더와 여기에 자일리톨 파우더를 더 함유하는 실시예 1~2가 온도 냉각효과가 탁월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우레아 및 자일리톨이 모두 함유되었을 때(실시예 2) 온도 냉각효과가 조금 더 증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일반적으로 마스크 시트에 증류수(온도: 21℃)를 뿌려주자마자 증류수 자체의 온도 때문에 마스크 시트의 온도가 떨어지게 된다. 그러나, 비교예 1의 경우 5분정도 경과 후에 실온의 90%수준으로 온도가 회복되는 모습을 보였고,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1 및 실시예 2는 실온으로 회복되는 데 약 30분 이상의 시간이 걸림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우레아와 자일리톨이 동시에 함유된 실시예 2의 경우는 최저온도가 좀 더 오래 유지되는 것을 알 수 있었는데, 이는 우레아와 자일리톨 파우더의 혼합효과로 보여진다. 또한, 우레아 파우더와 여기에 자일리톨을 더 함유하는 마스크 시트의 경우는 3~5분 후 최저온도에 도달하게 되고 10분 정도까지 그 온도가 유지되며 그 후 서서히 실온 수준으로 온도가 상승하였다. 이를 통해 우레아 및 자일리톨을 함유하는 마스크 시트는 물에 적셔진 후 주변의 열을 흡수함으로써, 피부의 열을 완화시키고 시원함 및 진정효과와 같은 화장품으로서의 미용효과를 충분히 제공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시험예 2 :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진정 효과 측정
자극에 민감하거나, 민감성 피부라 생각되는 성인 남, 녀 30명(나이 28±3)을 선발하여, 항온, 항습 조건(24 ~ 26℃, 상대 습도 40 ~ 50%)에서 1시간을 대기시킨 후, 여름철 얼굴의 온도 상승시와 같은 효과를 나타내기 위해 운동(25분간 줄넘기)을 통해 얼굴에 열을 발생시켰다. 상기 실시예 1~2 및 비교예 1의 화장료 조성물이 함유된 마스크 시트를 물에 적시자마자 한쪽 광대뼈 부위에 올려 놓고 10분간 방치한 후 시료를 제거하고 제거직후부터 시간에 따른 피부 온도를 측정하였다. 도포 개시 전(-10분)과 도포 후 0, 10, 20, 30분이 경과한 시점에서 IR 카메라(ThermaCAM™ PM575, FLIR system™)를 이용하여 측정 이미지를 얻은 후, 측정 이미지 중 양쪽 광대뼈 부위에 ROI(regions of interest)를 설정하고 ROI 내 피부 온도의 평균값을 취하여 시간에 따른 온도 변화율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3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또한, 실제 IR 카메라 측정 이미지의 몇 개 예시를 하기 도 3에 제시하였다.
피부 발열 후 시간에 따른 온도 변화 측정 결과
시간 온도(℃)
실시예1(A) 실시예 2(B) 비교예 1(C)
운동 후(-10분) 33.8 33.5 33.3
시료 제거직후(0분) 30.5 30.0 33.0
10분 31.5 31.3 32.3
20분 31.2 31.0 32.6
30분 31.4 31.1 32.4
하기 도 2 및 표 3의 결과, 피부 온도 변화에 있어서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1~2의 화장료 조성물이 비교예 1에 비하여 화장료 조성물 도포 후 온도 저하 정도가 더 큼을 알 수 있었다. 비교예 1의 경우에는 운동 후 피부 온도가 약간 감소하고 곧바로 회복되는 모습을 보였으며, 실시예 1~2의 화장료를 포함한 마스크 시트를 도포한 경우에는 우레아 파우더 및 자일리톨 파우더의 영향으로 온도가 급격히 낮아졌다가 서서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하기 도 3의 IR 카메라의 이미지를 보면, 약 20분정도까지 피부온도 냉각 효과가 지속되었다. 상기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이 낮은 피부온도를 지속적으로 유지시켜주어 고객들이 피부진정효과를 실질적으로 느낄 수 있게 하는 효과적인 방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피부 진정용 화장료는 물에 용해시 흡열반응을 일으키는 우레아 파우더와 여기에 자일리톨 파우더를 더 함유하여 간편하고 빠르게 피부에 시원함을 주고 피부진정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우레아 파우더 및 자일리톨 파우더를 건조된 상태로 마스크 시트 내에 함유시키 고 물에 적시자마자 피부에 얹어 사용하는 새로운 마스크 시트 제형을 개발함으로써 간편한 사용법으로 피부 진정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었다. 또한, 상기 화장품 제형은 피부에 적용시 발열된 피부온도를 30분 이상 지속적으로 냉각시켜 주어 소비자들이 실질적으로 피부진정효과를 느낄 수 있다.

Claims (13)

  1. 유효성분으로 우레아 파우더를 함유하는 피부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 자일리톨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30~90중량%의 양으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물을 함유하지 않은 제형의 형태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시트타입 팩 제형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타입 팩 제형은 건조형태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7. 상기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진정은 우레아 파우더 성분이 물에 용해시 흡열반응으로 인한 시원한 냉각효과를 통하여 나타내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8. 마스크 부직포 내에 유효성분으로 파우더 형태의 우레아 성분을 함유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타입 팩 제형의 피부진정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유효성분으로 자일리톨 파우더 성분을 더 함유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타입 팩 제형의 피부진정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10. 제 8항 또는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방법은 마스크 시트 두 장 사이에 파우더 성분을 함입시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타입 팩 제형의 피부진정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11.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방법은 파우더 스프레이로 파우더를 분사시키면서 마스크 시트 위에 파우더를 코팅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타입 팩 제형의 피부진정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12.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방법은 마스크 시트와 파우더에 정전기적 인력과 같은 물리적 힘을 발생시킨 후 파우더를 코팅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시트타입 팩 제형의 피부진정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13.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방법은 파우더를 용매에 분산 용해시킨 후 마스크 시트를 적시고 건조시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타입 팩 제형의 피부진정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050035987A 2005-04-29 2005-04-29 피부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510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5987A KR101151076B1 (ko) 2005-04-29 2005-04-29 피부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5987A KR101151076B1 (ko) 2005-04-29 2005-04-29 피부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3111A true KR20060113111A (ko) 2006-11-02
KR101151076B1 KR101151076B1 (ko) 2012-06-01

Family

ID=37651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5987A KR101151076B1 (ko) 2005-04-29 2005-04-29 피부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107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MI20091518A1 (it) * 2009-09-01 2011-03-02 Pool Service S R L Composizione cosmetica con effetto raffreddante e rassodante
WO2019066158A1 (ko) * 2017-09-28 2019-04-04 주식회사 아주화장품 뷰리엘 민트차차 쿨아이스크림
KR20200104537A (ko) * 2019-02-27 2020-09-04 동덕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수화 액정형 베시클을 포함하는 피부 냉각용 조성물
KR102240484B1 (ko) 2020-06-30 2021-04-16 오창렬 마스크존을 케어하는 분리형 투웨이 마스크팩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087828A (ko) 2020-12-18 2022-06-27 김정엽 윈도우 홀을 구비하는 경골 근위부 절골술용 플레이트 몸체 및 이를 이용한 경골 근위부 절골술용 고정 플레이트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MI20091518A1 (it) * 2009-09-01 2011-03-02 Pool Service S R L Composizione cosmetica con effetto raffreddante e rassodante
WO2019066158A1 (ko) * 2017-09-28 2019-04-04 주식회사 아주화장품 뷰리엘 민트차차 쿨아이스크림
KR20200104537A (ko) * 2019-02-27 2020-09-04 동덕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수화 액정형 베시클을 포함하는 피부 냉각용 조성물
KR102240484B1 (ko) 2020-06-30 2021-04-16 오창렬 마스크존을 케어하는 분리형 투웨이 마스크팩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087828A (ko) 2020-12-18 2022-06-27 김정엽 윈도우 홀을 구비하는 경골 근위부 절골술용 플레이트 몸체 및 이를 이용한 경골 근위부 절골술용 고정 플레이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1076B1 (ko) 2012-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7558B1 (ko) 이중으로 안정된 세라마이드 나노 캡슐 포함 에멀젼조성물, 그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피부 화장료 조성물
KR20090064442A (ko) 피부 냉각 조성물
KR101151076B1 (ko) 피부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JP6760732B2 (ja) 皮膚形状変化抑制剤
JP3853292B2 (ja) 冷却組成物
CN102940590A (zh) 护肤组合物及应用其的纸巾
KR20130090169A (ko) 글루코노락톤과 락토바이오닉산을 포함하는 피부 각질 제거, 피부 미백 또는 피부 톤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10573136B (zh) 用于改善头发保湿力的化妆品组合物
KR101986513B1 (ko) 토코페릴아세테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입술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51071B1 (ko) 피부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KR20090054777A (ko) 피부의 pΗ 조절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KR20160114777A (ko) 이중 효과 닌자 마스크
CN108078793A (zh) 一种石墨烯免洗干法喷雾及其制备方法
JP2016196435A (ja) スキンケア用組成物
Morris Depilatories, masks, scrubs and bleaching preparations
JP7148257B2 (ja) 身体化粧料
KR20070121239A (ko) 꿀 추출물 및 호박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조성물
KR101440844B1 (ko) 아마씨 점액 또는 점액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359947B1 (ko) 보습 복합물을 함유한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JP2005289995A (ja) ポリグリセリル−3メチルグルコースジステアレートを使用して製造された水中油型の化粧料組成物
RU2328324C2 (ru) Способ устранения косметических недостатков и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возрастных изменений кожи
JP2005342275A (ja) 家庭用衛生薄葉紙
EP3607933B1 (en) Body cosmetic
KR101351858B1 (ko) 쿨링 팩용 아로마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쿨링 팩
KR102523118B1 (ko) 아이소부탄을 유용성분으로 포함하는 헤어케어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