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2680A - 연료 전지 시스템 및 연료 전지 전류의 보정방법 - Google Patents

연료 전지 시스템 및 연료 전지 전류의 보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2680A
KR20060112680A KR1020067013407A KR20067013407A KR20060112680A KR 20060112680 A KR20060112680 A KR 20060112680A KR 1020067013407 A KR1020067013407 A KR 1020067013407A KR 20067013407 A KR20067013407 A KR 20067013407A KR 20060112680 A KR20060112680 A KR 200601126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cell
voltage
load
current
current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3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42760B1 (ko
Inventor
마사히로 시게
Original Assignee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126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26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27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27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7/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 H02P27/04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 H02P27/06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using dc to ac converters or inverters
    • H02P27/08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using dc to ac converters or inverters with pulse width modul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6/00Structural combinations of different types of electrochemical generators
    • H01M16/003Structural combinations of different types of electrochemical generators of fuel cells with other electrochemical devices, e.g. capacitors, electrolysers
    • H01M16/006Structural combinations of different types of electrochemical generators of fuel cells with other electrochemical devices, e.g. capacitors, electrolysers of fuel cells with rechargeable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1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variable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01M8/04537Electric variables
    • H01M8/04544Voltage
    • H01M8/04559Voltage of fuel cell st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1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variable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01M8/04537Electric variables
    • H01M8/04544Voltage
    • H01M8/04567Voltage of auxiliary devices, e.g. batteries, capaci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1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variable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01M8/04537Electric variables
    • H01M8/04574Current
    • H01M8/04589Current of fuel cell st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694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variables to be controlled
    • H01M8/04858Electric variables
    • H01M8/04865Voltage
    • H01M8/0488Voltage of fuel cell st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694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variables to be controlled
    • H01M8/04858Electric variables
    • H01M8/04865Voltage
    • H01M8/04888Voltage of auxiliary devices, e.g. batteries, capaci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50/00Fuel cell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Specific features of fuel cell system
    • H01M2250/20Fuel cell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40Application of hydrogen technology to transportation, e.g. using fuel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Fuel Cell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연료 전지 시스템은, 부하에 접속되어 전력을 공급하는 연료전지와, 상기 연료전지와 상기 부하와의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부하의 양쪽 끝 전압을 제어하는 전압 조정장치와, 상기 연료전지와 상기 부하와의 사이에서 상기 전압 조정장치와의 접속부로부터 상기 연료전지측에 접속되어 연료전지 전류의 역류를 방지하는 정류기와, 연료전지 전류를 검지하는 전류센서를 구비하고 있다. 이 연료 전지 시스템은, 상기 전압 조정장치에 의하여 상기 부하의 양쪽 끝 전압을 상승시킨 후의 상기 전류센서의 출력을 검지하고, 이 검지된 전류센서의 출력을 기준으로 하여 전류센서로 검지되는 연료 전지 전류의 보정값을 결정한다.

Description

연료 전지 시스템 및 연료 전지 전류의 보정방법{FUEL CELL SYSTEM AND METHOD OF CORRECTING FUEL CELL CURRENT}
본 발명은 연료 전지 시스템 및 연료 전지 전류의 보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연료전지의 전류센서 출력을 기초로, 연료 전지 전류를 정확하게 검출하기 위한 보정기능을 구비한 연료 전지 시스템 및 연료 전지 전류의 보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연료전지는, 환경이 우수한 깨끗한 전원으로서 주목받고 있다. 연료전지 단체로는 부하변동에 대한 대처가 곤란한 경우가 있기 때문에, 연료전지와 다른 전원을 조합시켜 하이브리드 전원 시스템을 구성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2002-118979호 공보에는, 연료전지와 배터리를 병렬로 접속하여 전원을 구성하고, 연료전지의 출력전압을 DC-DC 컨버터로 변환하여 배터리에 대한 충전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이 연료전지에는, 배터리로부터의 전류 또는 부하로 회생 발전된 전류가 연료전지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다이오드가 접속되어 있다.
또, 일본국 특개2003-197229호 공보에는, 연료전지로의 역류를 방지하는 다이오드 외에, 연료전지와 그 밖의 기기와의 접속을 차단하는 스위치를 구비하는 것 이 기재되어 있다. 이 스위치를 개방함으로써, 저부하시에 연료전지를 그 밖의 기기로부터 차단하여 시스템의 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2002-118979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국 특개2003-197229호 공보
그러나, 상기 일본국 특개2002-118979호 공보의 구성에서는, 연료 전지 전압을 발전정지 전압으로 제어하여도 연료 전지 전류가 엄밀하게는 0이 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연료 전지 전류가 0이 되지 않으면, 연료 전지 전류센서의 0점 보정을 정확하게 할 수 없어 연료 전지 전류의 계측을 정확하게 할 수 없게 된다. 연료전지의 발전정지 전압은, 시스템의 내압 설계의 관점으로부터 용이하게 변경하는 것은 곤란하기 때문에, 연료전지의 발전정지 전압을 연료전지의 개방전압과 동일하게 하는 것도 곤란하다.
또, 상기 일본국 특개2002-118979호 공보와 같이 스위치에 의하여 전원배선으로부터 연료전지를 차단하여 버리면 연료 전지 전류의 0점이 얻어지나, 재접속시의 전압차에 의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별도의 구성이 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은, 연료 전지 전류의 0점 보정을 단순한 구성으로 확실하게 달성하는 것이 가능한 연료 전지 시스템 및 연료 전지 전류의 보정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연료 전지 시스템은, 부하에 접속되어 전력을 공급하는 연료전지와, 상기 연료전지와 상기 부하와의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부하의 양쪽 끝 전압을 제어하는 전압 조정장치와, 상기 연료전지와 상기 부하와의 사이에서 상기 전압 조정장치와의 접속부로부터 상기 연료전지측에 접속되어 연료 전지 전류의 역류를 방지하는 정류기와, 연료 전지 전류를 검지하는 전류센서를 구비하고 있다. 이 연료 전지 시스템은, 상기 전압 조정장치에 의하여 상기 부하의 양쪽 끝 전압을 상승시킨 후의 상기 전류센서의 출력을 검지하고, 이 검지된 전류센서의 출력을 기준으로 하여 전류센서로 검지되는 연료 전지 전류의 보정값을 결정한다. 또 본 발명의 연료 전지 전류의 보정방법은, 부하에 접속되어 전력을 공급하는 연료전지의 전류센서로 검지되는 연료 전지 전류의 보정방법으로서, 상기 부하측으로부터 연료전지측으로의 역류를 방지하면서 상기 부하의 양쪽 끝 전압을 상승시킨 후의 상기 전류센서의 출력을 검지하는 단계와, 이 검지된 전류센서의 출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전류센서로 검지되는 연료 전지 전류의 보정값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부하 전압의 상승에 따라 연료전지 전압도 상승하나, 용량 성분이 있기 때문에 부하 전압의 상승보다 지연되어 연료전지 전압이 상승한다. 이때 부하 전압이 연료전지 전압보다 높아도 정류기가 있기 때문에 또는 부하측으로부터 연료전지측으로의 역류를 방지하고 있어 부하로부터 연료전지로의 전류가 흐르지 않기 때문에, 연료 전지 전류가 0 이 된다. 이 때의 전류센서 출력을 기준으로 하여 연료 전지 전류의 보정값을 결정함으로써, 연료 전지 전류의 정확한 보정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연료 전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압 조정장치에 의한 상기 부하의 양쪽 끝 전압의 상승은, 상기 연료전지의 발전정지 전압으로부터 일단 하강시킨 후에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연료 전지 전류의 보정방법에 있어서, 상기 부하의 양쪽 끝 전압의 상승은, 상기 연료전지의 발전정지 전압으로부터 일단 하강시킨 후에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연료전지를 발전정지 전압으로 하고 나서 일정기간 전압을 내림으로써 연료 전지 전류가 0의 상태를 만들기 쉽게 할 수 있다.
상기 연료 전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압 조정장치에 의하여 상기 부하의 양쪽 끝 전압을 상기 연료전지의 발전정지 전압으로부터 일단 하강시키고 나서 상승시키기까지의 시간은, 50 밀리초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연료 전지 전류의 보정방법에 있어서, 상기 부하의 양쪽 끝 전압을 상기 연료전지의 발전정지 전압으로부터 일단 하강시키고 나서 상승시키기까지의 시간은, 50 밀리초 이상으로 설정하여도 좋다. 부하 전압을 급격하게 하강시키면 연료 전지 전류가 일단 상승하나, 50 밀리초 이상이면 충분히 감쇠시킬 수 있다.
상기 연료 전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압 조정장치에 의한 상기 부하의 양쪽 끝 전압의 상승은, 상기 연료전지의 발전정지 전압까지 상승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연료 전지 전류의 보정방법에 있어서, 상기 부하의 양쪽 끝 전압의 상승은, 상기 연료전지의 발전정지 전압까지 상승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이들에 의하여 연료 전지 전류가 0의 기간을 길게 취할 수 있다.
상기 연료 전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압 조정장치에 의하여 상기 부하의 양쪽 끝 전압을 상승시킨 후의 일정기간에 있어서의 전류센서의 출력의 평균값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보정값을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연료 전지 전류의 보정방법에 있어서, 상기 부하의 양쪽 끝 전압을 상승시킨 후의 일정기간에 있어서의 전류센서의 출력의 평균값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보정값을 결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상기 연료 전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연료전지의 양쪽 끝 전압과 상기 부하의 양쪽 끝 전압을 비교하는 전압 비교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연료전지의 양쪽 끝 전압이 상기 부하의 양쪽 끝 전압보다 낮은 기간에 있어서의 상기 전류센서의 출력을 기준으로 하여 전류센서로 검지되는 연료 전지 전류의 보정값을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연료 전지 전류의 보정방법에 있어서, 상기 연료전지의 양쪽 끝 전압이 상기 부하의 양쪽 끝 전압보다 낮은 기간에 있어서의 상기 전류센서의 출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전류센서로 검지되는 연료 전지 전류의 보정값을 결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들에 의하여 연료 전지 전류가 0의 상태를 확실하게 판별할 수 있다.
상기 연료 전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압 조정장치는, 직류전압 변환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직류전압 변환기에는 배터리가 접속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이브리드 전원 시스템에서 통상 사용되는 직류전압 변환기로 전압을 조정하기 때문에, 특별한 구성이 불필요하여 간략한 시스템으로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연료 전지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
도 2는 연료전지의 전류-전압특성을 나타내는 도,
도 3은 연료 전지 전류의 0점을 검지하여 보정값을 산출하기 위한 전압제어 플로우를 나타내는 도,
도 4는 상기 전압제어 플로우를 사용한 연료 전지 전류 보정의 구체적 순서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다음에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1. 장치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연료 전지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다. 이연료 전지 시스템은, 연료전지(40) 및 배터리(20)가 병렬로 접속되어 전원을 구성하고, 부하인 트랙션 인버터(60) 및 고압 보조기기(50)에 접속되어 직류전력을 공급한다.
전원의 연료전지(40)측에는 연료 전지 전류센서(41), 역류 방지 다이오드(42), 연료전지 전압센서(43), 인버터 전압센서(44)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연료 전지 전류센서(41)는 전자력을 사용한 것 등, 임의의 것을 채용할 수 있다. 역류 방지 다이오드(42)는 본 발명의 정류기에 상당하고, 부하측으로부터 연료전지(40)로의 역류를 방지한다. 연료전지 전압센서(43)는 연료전지의 전압을 검지하는 것이고, 인버터 전압센서(44)는 부하의 전압을 검지하는 것이다. 연료전지(40)는, 수소와 산소의 전기화학반응에 의하여 발전하는 장치이다.
전원의 배터리(20)측에는, 전압 조정장치인 고압 컨버터(30)가 접속되어 있 다. 고압 컨버터(30)는 직류전압 변환기이고, 배터리(20)로부터 입력된 DC 전압을 조정하여 인버터(60)측으로 출력하는 기능, 연료전지(40) 또는 모터(61)로부터 입력된 DC 전압을 조정하여 배터리(20)에 공급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고압 컨버터(30)의 기능에 의하여 배터리(20)의 충방전이 실현된다. 또 고압 컨버터(30)에 의하여 트랙션 인버터(60)에 대한 입력 전압이 결정된다. 그리고 연료전지 전압도 이것에 따른다. 또한, 배터리(20)는 충방전 가능한 축전기이면 2차 전지이어도 콘덴서이어도 좋다.
부하인 트랙션 인버터(60)에는 차륜 등의 구동부에 연결된 동기모터(61)가 접속되어 있다. 트랙션 인버터(60)에서는 전원으로부터의 직류를 3상 교류로 변환하여 동기모터(61)에 공급한다. 고압 보조기기(50)는, 고압 직류 전원을 필요로 하는 모든 기기로서, 예를 들면 공기 압축기, 수소 펌프, 냉각수 펌프, 에어컨디셔너 등이 해당한다.
< 2. 연료전지의 특성 >
도 2는 연료전지의 전류-전압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연료전지는 전류가 증대하면 전압이 저하하는 경향에 있다. 특히, 연료 전지 전류가 작아져 0에 도달하였을 때의 연료전지 전압은 개방 전압(OCV)이라 하고, 출력 특성 중의 최대값이 된다. 연료전지의 발전제어는, 이 특성을 이용하여 미리 설정한 발전정지전압으로 까지 연료전지 전압을 상승시켜 개방 전압에 근접함으로써 발전을 정지시킨다. 이 연료전지 전압의 상승은, 고압 컨버터(30)에 의하여 행할 수 있다.
그러나 미리 설정한 발전정지 전압보다 개방 전압이 높은 경우에는, 연료 전지 전류가 완전하게는 0이 되지 않는다. 따라서 연료 전지 전류의 0점 학습을 하기위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하의 방법을 취하고 있다.
< 3. 보정방법 >
도 3은 연료 전지 전류의 0점을 검지하여 전류센서 출력의 보정값을 산출하기 위한 전압제어 플로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부호 S1∼S7은, 뒤에서 설명하는 도 4의 S1∼S7의 처리 타이밍에 상당한다.
S1, S2에 있어서, 고압 컨버터(30)에 의하여 인버터 전압과 연료전지 전압을 발전정지 전압으로 제어하고 있을 때, 연료전지(40)에는 약간의 전류가 흐르고 있다.
S3, S4에 있어서, 고압 컨버터(30)에 의하여 인버터 전압을 일단 하강시키면 연료전지 전압은 즉시 이것에 따른다. 이때 연료전지(40)에 콘덴서성분이 있기 때문에 연료전지(40)로부터 비교적 큰 전류 펄스가 흐르나, 이 전류 펄스도 단시간에 감쇠하여 일정값에 수속된다. 수속 후의 전류값은 전압을 하강시킨 후의 연료전지 전압과, 도 2의 전류-전압특성에 의하여 정해지는 값으로, 발전정지 전압시의 전류보다 약간 큰 값이 된다. 전압을 내리고 있는 기간은 임의이나, 상기 전류 펄스의 감쇠가 충분히 이루어지기 위한 시간으로서, 예를 들면 50 밀리초 이상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시간은 스택의 재질, 매수 등, 여러가지의 조건에 의하여 변경 가능하다.
다음에 S5에서 고압 컨버터(30)에 의하여 인버터 전압을 다시 상승시킨다. 이와 같이 하면 인버터 전압은 즉시 상승하나, 연료전지(40)에는 콘덴서성분이 있기 때문에 연료전지 전압은 즉시 인버터 전압과 동일하게는 되지 않는다. 또한 고압 컨버터(30) 및 트랙션 인버터(60)와, 연료전지(40)와의 사이에는 역류 방지 다이오드(42)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인버터 전압이 연료전지 전압보다 높은 상태로 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연료전지(40)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따라서 연료 전지 전류가 0이 된다.
따라서, S6, S7에서 전류센서(41) 등의 출력을 취득한다. 상기 연료 전지 전류가 0인 기간 내의 전류센서(41)의 출력값이 IA 인 경우, 이 전류센서(41)는 실제의 연료 전지 전류(0)보다 IA만큼 큰 전류값을 출력하고 있게 되기 때문에 이 IA를 보정량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통상 통작시에 전류센서(41)에 의하여 전류출력(I)가 얻어진 경우, 보정후의 연료 전지 전류는, I-IA로 구할 수 있다.
고압 컨버터(30)에 의하여 인버터 전압을 상승시켜도, 연료 전지 전압은 시정수(RC)(R은 저항값, C는 용량값)를 가지고 인버터 전압에 수속된다. 따라서 연료 전지 전류가 0인 기간은 길게는 계속되지 않고, 연료전지 전압이 인버터 전압에 도달하면 연료전지에도 전류가 흐르기 시작한다. 따라서 연료 전지 전류가 0인 기간을 충분히 취하기 위해서는 인버터 전압의 상승시에는 발전정지 전압까지 상승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연료 전지 전류가 0인 기간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이 기간을 특정할 필요가 있다. 연료 전지 전류가 0인 기간을 특정하기 위한 방법으로서는, 연료전 지전압센서(43)와 인버터 전압센서(44)에 의하여 양자의 전압차를 검지하여 연료전지 전압보다 인버터 전압이 높았던 기간을, 연료 전지 전류가 0인 기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외, 연료 전지 전류가 0인 기간을 특정하기 위한 방법으로서는, 전원회로의 저항성분(R)과 용량성분(C)으로부터 시정수(RC)를 구하는 방법, 인버터 전압 상승후의 전류센서(41)의 출력변화를 검출하여 일정기간을 경계로 전류센서(41)의 출력이 상승하면 상승전의 출력을 전류 0의 출력으로 하는 방법 등을 생각할 수 있다.
도 4는 상기 전압제어 플로우를 사용한 연료 전지 전류 보정의 구체적 순서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이 처리는, 전류센서로 검지되는 연료 전지 전류의 보정값을 산출할 때에, 마이크로컴퓨터를 사용한 제어유닛(70)의 지령에 의하여 행하여진다. 이 제어유닛(70)은, 연료전지(40)의 양쪽 끝 전압과 부하(50, 60)의 양쪽 끝 전압을 비교하는 전압 비교부(71)와, 연료 전지 전류의 보정값[예를 들면 뒤에서 설명하는 평균값(IA)]을 기억하는 기억장치(72)를 포함하고 있다.
먼저 단계 S1에서, 고압 컨버터(30)에 지령을 발하여, 출력 전압을 발전 정지 전압으로 제어한다. 이에 의하여 인버터 전압과 연료전지 전압이 발전정지 전압으로 제어된다. 그리고 단계 S2에서 연료전지 전압센서(43)와 인버터 전압센서(44)의 출력을 취득하여 연료전지 전압과 인버터 전압이 발전 정지 전압으로 안정되는 것을 기다린다.
다음에 단계 S3에서 고압 컨버터(30)에 지령을 발하여 출력전압을 일단 하강 시킨다. 이에 의하여 인버터 전압도 하강한다. 단계 S4에서 일단 하강후 소정시간(본 실시예에서는 50 밀리초 이상)이 경과하면 단계 S5에서 다시 고압 컨버터(30)에 지령을 발하여, 출력 전압을 발전정지 전압으로 제어한다. 이에 의하여 인버터 전압도 발전정지 전압으로 제어된다.
컨버터(30)의 출력 전압을 발전정지 전압으로 제어하면, 즉시 단계 S6에 서, 연료전지의 전류센서(41), 연료전지 전압센서(43), 인버터 전압센서(44)의 출력을 취득한다. 여기서는 출력값을 각각 예를 들면 10 밀리초마다 샘플링하여 데이터를 취득한다.
다음에 단계 S7에서 연료전지 전압센서(43)의 출력과 인버터 전압센서(44)의 출력을 전압 비교부(71)에서 비교하여 연료전지 전압이 인버터 전압보다 낮은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연료전지 전압이 인버터 전압보다 낮은 경우는 측정을 계속한다. 낮아지지 않은 경우, 즉 연료전지 전압이 인버터 전압과 동일하거나 그것 이상이 되면 다음 단계로 진행한다.
단계 S8에서, 연료전지 전압이 인버터 전압보다 낮았던 기간에서의 전류센서(41)의 출력을 인출하여 평균값(IA)을 산출한다. 이 값(IA)이 전류센서 출력의 보정값이 되기 때문에, 단계 S9에서 기억장치(72)에 IA를 보정값으로서 기억한다. 통상 운전시의 전류센서(41)의 출력을 I라 하면, 보정후의 연료 전지 전류는, I-IA로 산출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연료전지의 발전정지 전압을 변경하지 않고 연료 전지 전류가 완전히 0의 상태를 만들어 낼 수 있어, 고정밀도의 전류센서 옵셋 보정을 할 수 있다.
또, 연료전지를 전기적으로 절단하지 않고, 연료 전지 전류가 완전히 0의 상태를 만들어 낼 수 있어, 고정밀도의 전류센서 옵셋 보정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압 조정장치에 의하여 부하의 양쪽 끝 전압을 상승시킨 후의 전류센서의 출력을 검지하고, 이 검지된 전류센서의 출력을 기준으로 하여 전류센서로 검지되는 연료 전지 전류의 보정값을 결정함으로써 연료전지 전류의 0점 보정을 단순한 구성으로 확실하게 달성하는 것이 가능한 점에서 유용하며, 그와 같은 요구가 있는 연료 전지 시스템에 널리 이용할 수 있다.

Claims (13)

  1. 부하에 접속되어 전력을 공급하는 연료전지와,
    상기 연료전지와 상기 부하와의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부하의 양쪽 끝 전압을 제어하는 전압 조정장치와,
    상기 연료전지와 상기 부하와의 사이에서 상기 전압 조정장치와의 접속부로부터 상기 연료전지측에 접속되어 연료 전지 전류의 역류를 방지하는 정류기와,
    연료 전지 전류를 검지하는 전류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전압 조정장치에 의하여 상기 부하의 양쪽 끝 전압을 상승시킨 후의 상기 전류센서의 출력을 검지하고,
    상기 검지된 전류센서의 출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전류센서로 검지되는 연료 전지 전류의 보정값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전지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조정장치에 의한 상기 부하의 양쪽 끝 전압의 상승은, 상기 연료전지의 발전정지 전압으로부터 일단 하강시킨 후에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전지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조정장치에 의하여 상기 부하의 양쪽 끝 전압을 상기 연료전지의 발전정지 전압으로부터 일단 하강시키고 나서 상승시키기까지의 시간은, 50 밀리초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전지 시스템.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조정장치에 의한 상기 부하의 양쪽 끝 전압의 상승은, 상기 연료전지의 발전정지 전압까지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전지 시스템.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조정장치에 의하여 상기 부하의 양쪽 끝 전압을 상승시킨 후의 일정기간에 있어서의 전류센서의 출력의 평균값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보정값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전지 시스템.
  6.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전지의 양쪽 끝 전압과 상기 부하의 양쪽 끝 전압을 비교하는 전압비교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연료전지의 양쪽 끝 전압이 상기 부하의 양쪽 끝 전압보다 낮은 기간에 있어서의 상기 전류센서의 출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전류센서로 검지되는 연료 전지 전류의 보정값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전지 시스템.
  7.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조정장치는, 직류전압 변환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직류전압 변환기에는 배터리가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전지 시스템.
  8. 부하에 접속되어 전력을 공급하는 연료전지의 전류센서로 검지되는 연료 전지 전류의 보정방법에 있어서,
    상기 부하측으로부터 연료전지측으로의 역류를 방지하면서 상기 부하의 양쪽 끝 전압을 상승시킨 후의 상기 전류센서의 출력을 검지하는 단계와,
    상기 검지된 전류센서의 출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전류센서로 검지되는 연료 전지 전류의 보정값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전지 전류의 보정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의 양쪽 끝 전압의 상승은, 상기 연료전지의 발전정지 전압으로부터 일단 하강시킨 후에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전지 전류의 보정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의 양쪽 끝 전압을 상기 연료전지의 발전정지 전압으로부터 일단 하강시키고 나서 상승시키기까지의 시간은, 50 밀리초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전지 전류의 보정방법.
  11. 제 8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의 양쪽 끝 전압의 상승은, 상기 연료전지의 발전정지 전압까지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전지 전류의 보정방법.
  12. 제 8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의 양쪽 끝 전압을 상승시킨 후의 일정기간에 있어서의 전류센서의 출력의 평균값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보정값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전지 전류의 보정방법.
  13. 제 8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전지의 양쪽 끝 전압이 상기 부하의 양쪽 끝 전압보다 낮은 기간에 있어서의 상기 전류센서의 출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전류센서로 검지되는 연료 전지 전류의 보정값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전지 전류의 보정방법.
KR1020067013407A 2004-01-05 2005-01-05 연료 전지 시스템 및 연료 전지 전류의 보정방법 KR1007427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000493A JP2005197030A (ja) 2004-01-05 2004-01-05 電流センサ補正機能を備えた燃料電池システム
JPJP-P-2004-00000493 2004-01-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2680A true KR20060112680A (ko) 2006-11-01
KR100742760B1 KR100742760B1 (ko) 2007-07-25

Family

ID=34746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3407A KR100742760B1 (ko) 2004-01-05 2005-01-05 연료 전지 시스템 및 연료 전지 전류의 보정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70077467A1 (ko)
EP (1) EP1703575A1 (ko)
JP (1) JP2005197030A (ko)
KR (1) KR100742760B1 (ko)
CN (1) CN1906786A (ko)
WO (1) WO200506708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1355B1 (ko) * 2013-12-30 2015-0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압 동기화 방법 및 시스템
KR101673795B1 (ko) * 2015-07-29 2016-11-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 차량의 전압 동기화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48967B2 (ja) 2007-01-30 2011-12-2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システム
JP4910791B2 (ja) * 2007-03-12 2012-04-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システム
US8069941B2 (en) 2007-06-12 2011-12-06 Honda Motor Co., Ltd. Fuel cell vehicle
JP4329043B2 (ja) * 2007-08-28 2009-09-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システム
JP4561827B2 (ja) * 2007-12-28 2010-10-1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システム、及び燃料電池用昇圧コンバータ
JP2010238531A (ja) * 2009-03-31 2010-10-21 Toyota Motor Corp 燃料電池システムおよび燃料電池システムを搭載した電動車両
WO2011013212A1 (ja) * 2009-07-29 2011-02-0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システム
CN101706557B (zh) * 2009-11-19 2012-06-27 辽宁省电力有限公司鞍山供电公司 通信蓄电池自动检测装置
JP5673354B2 (ja) * 2011-05-27 2015-02-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システム
JP6621264B2 (ja) * 2015-08-10 2019-12-1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燃料電池システムの制御方法及び燃料電池自動車
KR101906011B1 (ko) 2016-12-13 2018-10-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모터의 소모 전력 추정 방법
JP6990610B2 (ja) * 2018-03-23 2022-02-0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燃料電池の電流リーク検査方法
CN112415401B (zh) * 2020-10-26 2022-08-05 潍柴动力股份有限公司 应用于车辆的电池监控方法、装置和设备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04389B2 (ja) * 2001-05-09 2011-01-05 株式会社デンソー 燃料電池システム
JP4136770B2 (ja) * 2003-04-22 2008-08-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システム
JP4811626B2 (ja) * 2003-08-25 2011-11-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の燃料電池システム及び電気自動車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1355B1 (ko) * 2013-12-30 2015-0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압 동기화 방법 및 시스템
US9847541B2 (en) 2013-12-30 2017-12-19 Hyundai Motor Company Voltage synchronization method and system
KR101673795B1 (ko) * 2015-07-29 2016-11-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 차량의 전압 동기화 방법
CN106394266A (zh) * 2015-07-29 2017-02-15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同步燃料电池车辆的电压的方法
US10270110B2 (en) 2015-07-29 2019-04-23 Hyundai Motor Company Method for synchronizing voltage of fuel cell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5067083A1 (ja) 2005-07-21
EP1703575A1 (en) 2006-09-20
JP2005197030A (ja) 2005-07-21
KR100742760B1 (ko) 2007-07-25
US20070077467A1 (en) 2007-04-05
CN1906786A (zh) 2007-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2760B1 (ko) 연료 전지 시스템 및 연료 전지 전류의 보정방법
US9755528B2 (en) AC-DC converter with output power suppression
US7994765B2 (en) Power supply device
US6297617B1 (en) Battery charger and charge control circuit
US664641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uel cell protection
JP2009247184A (ja) 太陽光発電システムおよびその起動方法
KR101864107B1 (ko) 전력 조정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US10273951B2 (en) Solar pump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solar pump system
WO2002097909A1 (en) Hybrid power supply control system and method
KR101586349B1 (ko) 레독스 흐름전지용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11362352B2 (en) Fuel cell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fuel cell system
EP2325987B1 (en) Automatic current limit adjustment for linear and switching regulators
CN116670958A (zh) 一种光伏发电系统、功率控制装置及储能系统
CN111032417B (zh) 电源系统及其控制方法
KR101363627B1 (ko) 연료전지와 슈퍼 커패시터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무정전 전원장치 및 그 동작 방법
JP2013169083A (ja) 電力供給システム
US20080032165A1 (en) Fuel cell device, control device, control method, and control program
JP2005269843A (ja) 系統連系装置
US20190305681A1 (en) Dc/dc converter having failure detection based on voltage sensor values
JP2004193063A (ja) 燃料電池システム
US20190165439A1 (en) Fuel cell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fuel cell system
JP2011211812A (ja) 電源装置
KR101829510B1 (ko) 연료 전지 시스템 및 연료 전지 시스템의 제어 방법
JP6593779B2 (ja) 燃料電池システム
JP2021027749A (ja) 充放電制御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バッテリ並びに直流給電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