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1941A - 자원 절약 유도시스템 - Google Patents

자원 절약 유도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1941A
KR20060111941A KR1020050033930A KR20050033930A KR20060111941A KR 20060111941 A KR20060111941 A KR 20060111941A KR 1020050033930 A KR1020050033930 A KR 1020050033930A KR 20050033930 A KR20050033930 A KR 20050033930A KR 20060111941 A KR20060111941 A KR 200601119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age
amount
display device
met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3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장원
최승만
Original Assignee
이경욱
박장원
최승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욱, 박장원, 최승만 filed Critical 이경욱
Priority to KR10200500339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11941A/ko
Publication of KR200601119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19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 E04G11/50Girders, beams, or the like as supporting members for forms
    • E04G11/54Girders, beams, or the like as supporting members for forms of extensible type, with or without adjustable supporting shoes, fishplates, or the like
    • E04G11/56Girders, beams, or the like as supporting members for forms of extensible type, with or without adjustable supporting shoes, fishplates, or the like of telescopic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2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non-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 E04G11/50Girders, beams, or the like as supporting members for forms
    • E04G2011/505Girders, beams, or the like as supporting members for forms with nailable or screwable inse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은 옥외 또는 잘 보이지 않는 장소에 위치한 계량기의 사용량을 거실 등과 같이 사용자들이 쉽게 볼 수 있는 장소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사용량과 함께 현재까지의 사용요금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자원 절약 유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전기 또는 수도 또는 가스의 사용량을 계측하여 사용량을 숫자로 표시하는 계량기; 상기 계량기를 통해 표시되는 사용량을 판독하여 외부로 전송하는 판독장치; 및 상기 판독장치로부터 사용량이 수신되면 상기 사용량을 이용하여 부과 예정 금액을 산출하고, 산출된 부과 예정 금액을 표시하는 표시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계량기, 사용량, 사용요금, 실시간, 표시

Description

자원 절약 유도시스템{RESOURCES SAVING ENTRAP SYSTEM}
도 1는 본 발명에 따른 자원 절약 유도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도 1에 적용된 판독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3은 도 1에 적용된 표시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4는 도 1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0 : 아날로그 계량기
200 : 판독장치
300 : 표시장치
400 : 데이터 통신망
500 : 자원사용 관리서버
600 : 디지털 계량기
본 발명은 자원 절약 유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옥외 또는 잘 보이지 않는 장소에 위치한 계량기의 사용량을 거실 등과 같이 사용자들이 쉽게 볼 수 있는 장소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사용량과 함께 현재까지의 사용요금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자원 절약 유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상 생활에서 사용하는 전기, 수도, 가스 등의 다양한 형태의 자원은 그 촐량이 한정되어 있어서 국가적인 자원이나 전 세계적으로 자원 절약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적인 일상생활에서는 피부에 와 닿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사용자들이 자원절약을 피부로 느끼지 못하는 이유 중 가장 큰 이유는 사용자들이 실제적인 사용량 및 그에 따른 부과 예정 요금이 직접적으로 실생활에서 느낄 수 없다는 것이다. 즉, 전기, 수도 및 가스 등의 대부부의 자원은 각기 고유한 방식의 계량기에 의해 그 사용량이 측정되고, 계량기에 표시된 사용량을 검침하여 별도의 기관에서 사용요금을 청구하고데, 대부분의 계량기는 옥외에 설치되어 있어서 일반 가정의 경우 현재까지 사용량이나 현 시점의 사용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현재까지의 사용량에 따른 부과 예정 요금에 대해서서는 더더욱 알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사용자들은 자원을 과다하게 사용하거나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낭비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상황이 피부에 와 닿지 않는 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옥외 또는 잘 보이지 않는 장소에 위치한 계량기의 사용량을 거실 등과 같이 사용자들이 쉽게 볼 수 있는 장소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사용량과 함께 현재까지의 사용요금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자원 절약 유도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기 또는 수도 또는 가스의 사용량을 계측하여 사용량을 숫자로 표시하는 계량기; 상기 계량기를 통해 표시되는 사용량을 판독하여 외부로 전송하는 판독장치; 및 상기 판독장치로부터 사용량이 수신되면 상기 사용량을 이용하여 부과 예정 금액을 산출하고, 산출된 부과 예정 금액을 표시하는 표시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전기 또는 수도 또는 가스의 사용량을 계측하여 출력하고, 상기 계측된 사용량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켜 외부로 전송하는 계량기; 및 상기 계량기로부터 사용량이 수신되면 상기 사용량을 이용하여 부과 예정 금액을 산출하고, 산출된 예상 부과요금을 표시하는 표시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자원 절약 유도시스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는 본 발명에 따른 자원 절약 유도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적용된 판독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며, 도 3은 도 1에 적용된 표시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실시예1)
본 발명에 따른 자원 절약 유도시스템은 첨부 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가정이나 업소에 설치되어있는 전기 계량기(100), 수도 계량기(100), 가스계량기(100)에 상기 계량기를 통해 계측된 사용량을 판독하기 위한 판독장치(200)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판독장치(200)들은 하나의 표시장치(300)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판독한 사용량 정보를 전송한다. 이때, 상기 전기 계량기(100), 수도 계량기(100), 가스계량기(100)는 아날로그 계량기이다.
그리고, 상기 표시장치(300)는 전력선, 케이블, 인터넷, 인프라, 왑 등과 같은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400)을 통해 자원사용 관리서버(500)에 연결되어 있다. 이때 자원사용 관리서버(500)는 한전, 수도공사, 가스공사에서 운영하는 서버를 의미하며, 상기 표시장치(300)에서 사용량에 대한 사용 예상 요금을 산출할 때 이용되는 사용량에 따른 요율, 누진 적용 기준 사용량이 변경될 경우 변경된 사용량에 따른 요율, 누진 적용 기준 사용량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여 변경되도록 지원한다.
상기 계량기(100)를 통해 표시되는 사용량을 판독하여 상기 표시장치(300)로 전송하는 상기 판독장치(200)는 첨부 도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계량기(100)를 통해 표시되는 사용량을 촬영하여 이미지로 출력하는 카메라(210)와, 상기 카메라(210)로부터 입력되는 이미지로부터 숫자만 인식하여 사용량 수치를 추출하는 제1 제어부(220)와, 상기 제1 제어부(220)의 제어에 따라 수치로 추출된 사용량을 상기 표시장치(300)로 송출하는 제1 통신부(23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판독장치(200)는 전기, 수도, 가스 계량기(100)에 구비되며, 상기 계량기(100)에 의해 표시된 사용량을 전송할 때 계량기 식별정보도 포함시켜 상기 표시장치(300)로 전송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판독장치(200)로부터 사용량이 수신되면 상기 사용량을 이용하여 부과 예정 금액을 산출하고, 산출된 부과 예정 금액을 표시하는 표시장치(200)는 첨부 도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판독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사용량을 수신받는 제2 통신부(310)와, 상기 제2 통신부(310)로부터 사용량을 입력받아 미리 설정된 사용량 예상 부과 요금 산출식에 따라 예상 부과 요금을 계산하여 출력하는 한편, 사용자가 후술하는 버튼부(340)의 출력버튼을 누른 경우 예상 부과요금 출력신호를 출력하는 제2 제어부(320)와, 상기 제2 제어부(320)의 제어에 응하여 상기 예상 부과 요금을 표시하는 표시부(330)와, 사용자가 조작하여 상기 표시부를 통해 원하는 값이 표시되도록 하는 표시버튼과 출력버튼을 포함하는 버튼부(340)와, 예상 부과요금을 산출하기 위한 사용량에 따른 요율, 누진 적용 기준 사용량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전원 사용량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 (350)와, 상기 제2 제어부(320)의 예상 부과요금 출력신호에 응하여 상기 표시부(330) 상에 기록된 예상 부과 요금을 출력하는 인쇄부(360)로 구성된다.
상기 제2 제어부(320)는 전월 사용량을 상기 저장부(350)에 저장해 두고 현재의 사용량과 비교하여 금월 사용량을 산출하고, 상기 금월 사용량을 이용하여 금월의 예상 부과요금을 산출하여 표시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표시장치(30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전기, 수도, 가스 계량기(100)에 의해 계측되는 사용량을 미리 설정된 순서대로 출력되도록 한다.
상기 표시장치(300)의 제 2 제어부(320)는 일정 간격으로 트리거를 발생시켜 상기 판독장치(200)와 동기화되도록 하며, 상기 트리거 발생 간격은, 상기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 통신부(230) 및 제2 통신부(310)는 첨부 도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독장치(200) 및 표시장치(300) 내부에 구비되는 내장형 통신모듈이거나, 판독장치(200) 및 표시장치(300) 외부에 구비되는 외장형 통신모듈로 구현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통신부(230) 및 제2 통신부(310)가 외장형 통신모듈일 경우 상기 판독장치(200) 및 표시장치(300)는 커넥터를 구비하고 있어야 하며, 상기 커넥터에 상기 외장형 통신모듈인 제1 통신부(230) 및 제2 통신부(310)가 각각 결합되어 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좀더 상세히 기술하면, 상기 판독장치(200)의 제1 통신부(230) 및 표시장치(300)의 제2 통신부(310)는 UART 등의 시리얼(Serial) 통신 칩으로서, 시리얼 통신 을 통해 사용량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시리얼 통신은 패럴(Parallel) 통신, USB 통신, AIO(Analog Input/Output), DIO(Digital Input/Output) 등과 같은 유선통신으로 대체될 수 있다.
상기 인쇄부(360)는 롤종이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제어부(320)의 예상 부과 요금 출력신호에 응하여 상기 롤종이 상부에 계량기의 식별정보, 사용량, 예상 부과 요금 등을 인쇄하여 출력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자원 절약 유도시스템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각 계량기(100)에 설치되어 있는 판독장치(200)의 카메라(210)는 계량기(100)에 의해 계측된 사용량을 촬영하여 제1 제어부(220)로 출력한다.
그러면 제1 제어부(220)는 상기 사용량 이미지로부터 숫자만 인식하여 사용량 정보를 생성해낸다. 제1 제어부(220)는 상기 사용량 정보가 제1 통신부(230)를 통해 표시장치(300)로 전송되도록 한다.
상기 표시장치(300)의 제2 통신부(310)는 판독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사용량 정보를 수신받아 제2 제어부(320)로 출력한다.
그러면 제2 제어부(320)는 저장부(350)에 저장되어 있는 전월 사용량을 읽어들이고, 상기 제2 통신부(310)를 통해 입력된 현재의 사용량과 비교하여 금월 사용량을 산출하고, 상기 금월 사용량을 이용하여 금월의 예상 부과요금을 산출하여 표 시부(330)를 통해 표시되도록 한다.
이때 제2 제어부(320)는 상기 각 계량기(100)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로부터 계량기 식별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계량기 식별정보에 매칭시켜 전월 사용량이 저장되도록 한다. 이때 전월 사용량은 저장부(350)에 저장된다.
그리고, 제2 제어부(320)는 사용자가 버튼부(340)의 표시버튼을 누르는 것을 인식하여 미리 설정된 순서대로 전기, 수도, 가스 사용량 및 예상 부과요금을 표시부(330)를 통해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제2 제어부(320)는 사용자가 버튼부(340)의 출력버튼을 누른 경우 인쇄부(360)로 예상 부과요금 출력신호를 출력하여 인쇄부(360)로 하여금 현재 표시부(330)의 화면상에 표시된 예상 부과요금을 기록매체 상에 기록하여 외부로 출력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저장부(350)에 저장된 사용량에 따른 요율, 누진 적용 기준 사용량, 계절별 기준요금, 시간대별 기준요금, 용도별 기준요금 등의 정보가 변경될 경우 상기 자원사용 관리서버(500)는 데이터 통신망(400)과 연결되어 있는 표시장치(300)로 변경된 사용량에 따른 요율, 누진 적용 기준 사용량, 계절별 기준요금, 시간대별 기준요금, 용도별 기준요금 등의 정보를 제공하여 표시장치(300)에 저장된 사용량에 따른 요율, 누진 적용 기준 사용량, 계절별 기준요금, 시간대별 기준요금, 용도별 기준요금 등의 정보가 갱신되도록 한다.
(실시예2)
도 4는 도 1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실시예1의 자원 절약 유도시스템은 첨부 도면 도 4에 도시된 자원 절약 유도 시스템의 실시예2로 대체될 수 있다.
즉, 실시예2의 자원 절약 유도시스템은 전기, 수도, 가스의 사용량을 계측하는 계량기(600)로 디지털 계량기가 구비된 것으로서, 상기 디지털 계량기는 계측한 전기 또는 수도 또는 가스의 사용량을 디지털신호 상태로 표시장치(300)에 바로 전송한다. 즉 실시예1과는 달리 실시예2는 사용량을 판독하는 판독장치를 제거한 자원 절약 유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2는 실시예1에서 아날로그 계량기를 디지털 계량기로 바꿔줌으로써, 판독장치(200)를 통해 사용량을 표시장치(300)로 전송하던 과정을 생략하고 계량기(600)에서 바로 표시장치(300)로 전송하여 표시되도록 구현한 것으로서, 아날로그 계량기가 디지털 계량기로 변경되고, 판독장치(200)가 생략된 것 이외에는 실시예1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들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포함되는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작용 그리고 바람직한 실시예를 가지는 본 발명은 시선이 자주 미치지 않는 장소에 설치된 계량기의 사용량 및 그에 따른 부과 예상 요금을 사용자들이 쉽게 볼 수 있는 장소에서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일반 가정에서의 에너지 낭비를 막고 국가적/세계적 차원에서의 에너지 절약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3)

  1. 전기 또는 수도 또는 가스의 사용량을 계측하여 사용량을 숫자로 표시하는 계량기;
    상기 계량기를 통해 표시되는 사용량을 판독하여 외부로 전송하는 판독장치; 및
    상기 판독장치로부터 사용량이 수신되면 상기 사용량을 이용하여 부과 예정 금액을 산출하고, 산출된 부과 예정 금액을 표시하는 표시장치;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절약 유도시스템.
  2. 전기 또는 수도 또는 가스의 사용량을 계측하여 출력하고, 상기 계측된 사용량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켜 외부로 전송하는 계량기; 및
    상기 계량기로부터 사용량이 수신되면 상기 사용량을 이용하여 부과 예정 금액을 산출하고, 산출된 예상 부과요금을 표시하는 표시장치;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절약 유도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독장치는,
    상기 계량기를 통해 표시되는 사용량을 촬영하여 이미지로 출력하는 카메라 와,
    상기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이미지로부터 숫자만 인식하여 사용량 수치를 추출하는 제1 제어부와,
    상기 제1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수치로 추출된 사용량을 상기 표시장치로 송출하는 제1 통신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절약 유도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독장치는,
    커넥터를 더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제1 통신부는,
    상기 커넥터에 결합되는 외장형 통신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절약 유도시스템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장치는,
    상기 판독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사용량을 수신받는 제2 통신부와,
    상기 제2 통신부로부터 사용량을 입력받아 미리 설정된 사용량 예상 부과 요금 산출식에 따라 예상 부과 요금을 계산하여 출력하는 제2 제어부와,
    상기 제2 제어부의 제어에 응하여 상기 예상 부과 요금을 표시하는 표시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절약 유도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장치는,
    커넥터를 더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제2 통신부는,
    상기 커넥터에 결합되는 외장형 통신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절약 유도시스템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장치는,
    사용자가 조작하여 상기 표시부를 통해 원하는 값이 표시되도록 하는 버튼부를 더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제2 제어부는, 전월 사용량을 저장해 두고 현재의 사용량과 비교하여 금월 사용량을 산출하고, 상기 금월 사용량을 이용하여 금월의 예상 부과요금을 산출하여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절약 유도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가 버튼부에 구비된 출력버튼을 클릭하는 경우 예상 부과요금 출 력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제2 제어부의 예상 부과요금 출력신호에 응하여 현재 표시부의 화면상에 표시된 예상 부과요금을 기록매체 상에 기록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인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절약 유도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독장치는,
    상기 계량기에 구비되며, 상기 계량기에 의해 표시된 사용량을 전송할 때 계량기 식별정보도 포함시켜 상기 표시장치로 전송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절약 유도시스템.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계량기는,
    상기 사용량을 전송할 때 계량기 식별정보도 포함시켜 상기 표시장치로 전송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절약 유도시스템.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장치의 제2 제어부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계량기에 의해 계측되는 사용량을 미리 설정된 순서대로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절약 유도시스 템.
  1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장치의 제 2 제어부는,
    일정 간격으로 트리거를 발생시켜 상기 판독장치와 동기화되도록 하며,
    상기 트리거 발생 간격은, 상기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절약 유도시스템.
  1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절약 유도시스템은,
    상기 표시장치에서 사용량에 대한 예상 부과요금을 산출할 때 이용되는 사용량에 따른 요율, 누진 적용 기준 사용량, 용도별 기준요금, 계절별 기준요금, 시간대별 기준요금이 변경될 경우 변경된 정보들을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상기 표시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표시장치에 저장된 정보들을 갱신시키는 자원사용 관리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절약 유도시스템.
KR1020050033930A 2005-04-25 2005-04-25 자원 절약 유도시스템 KR200601119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3930A KR20060111941A (ko) 2005-04-25 2005-04-25 자원 절약 유도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3930A KR20060111941A (ko) 2005-04-25 2005-04-25 자원 절약 유도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1941A true KR20060111941A (ko) 2006-10-31

Family

ID=37620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3930A KR20060111941A (ko) 2005-04-25 2005-04-25 자원 절약 유도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1194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2292B1 (ko) * 2009-01-22 2009-09-11 주식회사 태스콘 에너지 관리 시스템
KR200449499Y1 (ko) * 2008-12-18 2010-07-14 홍건영 공공요금 통합 표시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499Y1 (ko) * 2008-12-18 2010-07-14 홍건영 공공요금 통합 표시장치
KR100912292B1 (ko) * 2009-01-22 2009-09-11 주식회사 태스콘 에너지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31101B2 (en) Power management apparatus, power management system including the power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power management system
JP2011112626A (ja) 可搬型検針装置
CN103067426A (zh) 远程智能抄表系统、方法和仪表前端采集设备
US2012016623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ing Consumer Awareness Of Utility Consumption And Cost Data
CN201867812U (zh) 一种设备点检仪
JP5877530B1 (ja) 通知システム及び通知方法
CN205594789U (zh) 智能支付秤
JP2009032012A (ja) 電力量自動検針装置および自動検針システム
JP2009037279A (ja) 検針方法および検針システム
JP5476602B2 (ja) ガスメータ遠隔管理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携帯型情報端末
KR101393142B1 (ko) 전력 사용량 모니터링을 통한 자율적 의지에 기반한 전기 사용량 절감을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60111941A (ko) 자원 절약 유도시스템
KR101298831B1 (ko) 사용자를 위한 공공요금 실시간 원격 검침 시스템
KR20210119347A (ko) 자율형 통합 원격검침 및 요금고지 시스템
JP3641443B2 (ja) 電気機器の消費電力管理システム
CN202486888U (zh) 自助照片打印机
TWI559643B (zh) Personalized energy resource management system and its portable miniature meter
CN109685991A (zh) 一种基于射频电子标签技术的煤气费计费系统
JP6135953B2 (ja) 給与計算システム、給与計算方法、給与計算プログラム
JP5050571B2 (ja) 情報管理システム、情報収集装置、及びプログラム
WO2002073137A1 (en) Remote monitoring system
JP2007011665A (ja) 検針システム
JP7150796B2 (ja) 充電情報管理システムおよび充電情報管理方法
JP2015035126A (ja) 検針用携帯端末及びプログラム
CN204143551U (zh) 一种基于人体生物特征采集的保险单自助出单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