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0684A - 대전 제어가 가능한 화상형성장치 및 그 대전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대전 제어가 가능한 화상형성장치 및 그 대전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0684A
KR20060110684A KR1020050033171A KR20050033171A KR20060110684A KR 20060110684 A KR20060110684 A KR 20060110684A KR 1020050033171 A KR1020050033171 A KR 1020050033171A KR 20050033171 A KR20050033171 A KR 20050033171A KR 20060110684 A KR20060110684 A KR 200601106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photosensitive member
transfer
forming apparatus
image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3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우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331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10684A/ko
Publication of KR200601106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06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laying down a uniform charge, e.g. for sensitising; Corona discharge devic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laying down a uniform charge, e.g. for sensitising; Corona discharge devices
    • G03G15/02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laying down a uniform charge, e.g. for sensitising; Corona discharge devices by contact, friction or induction, e.g. liquid charging apparatus
    • G03G15/02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laying down a uniform charge, e.g. for sensitising; Corona discharge devices by contact, friction or induction, e.g. liquid charging apparatus by bringing a charging member into contact with the member to be charged, e.g. roller, brush chargers
    • G03G15/0233Structure, details of the charging member, e.g. chemical composition, surface propert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laying down a uniform charge, e.g. for sensitising; Corona discharge devices
    • G03G15/0266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charg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33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by measuring the photoconductor characteristics, e.g. temperature, or the characteristics of an image on the photoconductor
    • G03G15/5045Detecting the temperat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static Charge, Transfer And Separation In Electrography (AREA)

Abstract

대전 제어가 가능한 화상형성장치 및 그 대전 제어방법이 개시된다. 본 화상형성장치는 감광체, 감광체를 제전시키는 전전사램프, 감광체를 대전시키는 대전 롤러, 및 전전사램프에 제전 구동전류를 인가하여 감광체를 제전시키도록 제어하며, 대전 롤러에 대전 전류를 인가하여 감광체를 대전시키도록 제어하고, 대전 전류량을 측정하여 내부의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변화에 따라 대전 전류량을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를 구비한다. 이에 의해, 제전을 위한 별도의 제전 장치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원가 부담이 감소할 뿐만 아니라 내부 환경상태의 변화를 고려하여 대전을 제어함으로써 인쇄 품질이 향상된다.
PTL(Pre Transfer Lamp), LSU(Laser Scanning Unit), 환경변화, 대전제어

Description

대전 제어가 가능한 화상형성장치 및 그 대전 제어방법{Image forming apparatus for controlling charging and charging control method thereof}
도 1은 종래의 화상형성장치의 대전 제어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구비된 PTL구동 회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대전 제어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대전 제어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0 : 감광체 210 : 대전 롤러
220 : 레이저 스캐닝부 230 : 현상기
235 : 현상기 구동부 240 : 전전사램프
250 : 증간전사벨트 260 : T1 전압 제어부
265 : T2 전압 제어부 270, 270a : 클리닝 날
280 : 환경상태 검출부 285 : 메모리
290 : 중앙처리장치 P : 인쇄용지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 및 대전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쇄시 일정한 전위를 유지하기 위해 대전을 하기 전에 충분히 낮은 전위를 형성하여 대전시에 감광체로 인가되는 전류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한 화상형성장치 및 그 대전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상형성장치는 자체적으로 생성한 인쇄데이터나 외부로부터 전송된 인쇄데이터를 인쇄용지에 출력하기 위한 장치로써, 토너와 같은 현상제를 이용하여 인쇄용지에 인쇄데이터를 출력하는 장치이다. 통상적으로, 화상형성장치의 예로는 프린터, 복사기, 스캐너, 팩시밀리, 및 이들의 기능을 하나의 장치를 통해 복합적으로 구현한 복합기(Multi Function Peripheral : MFP) 등을 들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는 인쇄데이터를 인쇄용지에 출력하기 위해 대전, 노광, 현상, 전사, 및 정착 과정을 수행한다. 대전 과정은 감광체 표면을 음 전하로 대전시키는 과정, 노광 과정은 대전된 감광체 표면에 레이저 빔을 주사하여 노광된 영역에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과정, 현상 과정은 정전잠상을 토너 입자에 의해 토너화상으로 바꾸는 과정, 전사 과정은 토너화상을 인쇄용지에 이동시키는 과정, 정착 과정은 인쇄용지에 부착된 토너화상을 정착시키는 과정이다. 상기의 과정 외에 화상형성장치는 다음 인쇄 동작의 준비를 위해 감광체 표면에 남아있는 토너를 제거하는 클리닝 과정, 감광체 표면에 남아있는 전위를 제거하는 제전 과정을 수행한다.
화상형성장치는 인쇄 품질을 위해 감광체에 일정한 전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화상형성장치는 일정한 전위를 유지하기 위해 대전 과정 시에 감광체로 인가되는 대전 전류를 측정한다. 그리고, 화상형성장치는 측정한 대전 전류에 기초하여 일정한 전위를 유지하기 위해 대전을 제어한다. 이때, 감광체에 인가되는 대전 전류는 대전 과정 전 제전 전위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으므로 정확한 대전 전류 측정을 위해서는 제전 과정 시에 충분히 낮은 전위를 형성하는 것 또한 중요하다.
그런데, 종래의 화상형성장치는 충분히 낮은 전위를 형성하기 위한 제전 과정을 수행하기 위해 별도의 제전 장치를 이용하였다. 그리고, 종래의 화상형성장치는 일정한 전위를 유지하기 위한 대전 제어시, 환경변화에 따른 감광체, 대전 롤러 등의 특성 변화를 고려하지 않았다.
도 1은 종래의 화상형성장치의 대전 제어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1를 참조하면, 종래의 화상형성장치는 감광체(100), 대전 과정을 수행하는 대전 롤러(110), 노광 과정을 수행하는 레이저 스캐닝부(120), 현상 과정을 수행하는 현상기(130), 현상기(130)를 구동시키는 현상기 구동부(135), 전사 효율을 증가시키는 전전사램프(140), 전사 과정을 수행하는 중간전사벨트(150), T1, 및 T2 전압 제어부(160, 165), 클리닝 과정을 수행하는 클리닝 날(170, 170a), 제 전 과정을 수행하는 제전 장치(180), 메모리(185), 및 대전 전류를 측정하고 대전을 제어하여 인쇄용지(P)에 인쇄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상기 구성요소들을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190)를 포함한다.
이처럼, 종래의 화상형성장치는 정확한 대전 전류 측정을 위한 제전 과정을 수행하기 위해 별도의 제전 장치(180)를 구비해야 한다. 그리고, 종래의 화상형성장치는 내부의 환경상태 변화에 따라 감광체(100), 및 대전 롤러(110)의 특성이 변화하여 발생할 수 있는 오차를 고려하지 않는다.
따라서, 별도의 제전 장치(180) 구비에 의한 원가 증가에 의해 사용자의 비용 부담이 증가할 뿐더러 내부의 환경상태 변화를 고려하지 않아 일정한 전위의 유지가 어려워 인쇄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제전 장치를 구비하지 않고 기존에 구비된 구성요소를 이용하여 제전 과정을 수행하고, 환경상태 변화에 따른 구성요소들의 특성 변화를 고려하여 대전 제어가 가능한 화상형성장치 및 그 대전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감광체, 상기 감광체를 제전시키는 전전사램프, 상기 감광체를 대전시키는 대전 롤러, 및 상기 전전사램프에 제전 구동전류를 인가하여 상기 감광체를 제전시키도록 제어하며, 상기 대전 롤러에 대전 전류를 인가하여 상기 감광체를 대전시키도록 제어하고, 상기 대전 전류량을 측정하여 내부의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변화에 따라 상기 대전 전류량을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일단은 전원전압에 접속된 제1 저항, 상기 제1 저항의 타단에 일단이 접속된 제2 저항, 상기 제2 저항의 타단과 상기 전전사램프 사이에 접속되는 제1 스위칭소자, 및 상기 제1 및 제2 저항의 접속점과 상기 전전사램프 사이에 접속된 제2 스위칭소자를 포함하며, 전사동작시 상기 제1 스위칭소자는 온(on)되고, 상기 제2 스위칭소자는 오프(off)되어 상기 전전사램프에 전사 구동전류를 공급하고, 제전동작시 상기 제1 스위칭소자는 오프(off)되고, 상기 제2 스위칭소자는 온(on)되어 상기 전전사램프에 상기 제전 구동전류를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감광체, 상기 감광체를 제전시키는 레이저 스캐닝부, 상기 감광체를 대전시키는 대전 롤러, 및 내부 온도에 따라 설정한 제전 전력을 상기 레이저 스캐닝부에 인가하여 상기 감광체를 제전시키도록 제어하고, 상기 대전 롤러에 대전 전류를 인가하여 상기 감광체를 대전시키도록 제어하여 상기 대전 전류량을 측정하여 내부의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변화에 따라 상기 대전 전류량을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를 포함한다.
한편, 감광체를 포함한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의 대전 제어방법은, 상기 감광체를 제전시키는 단계, 대전 전류량을 측정하고 내부의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변화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내부의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변화에 따라 측정한 상기 대전 전류량에 기초하여 상기 대전 전류량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감광체의 제전은, 전전사램프 및 레이저 스캐닝부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제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화상형성장치는, 감광체(200), 대전 롤러(210), 레이저스캐닝부(220), 현상기(230), 현상기 구동부(235), 전전사램프(240), 중간전사벨트(250), T1 전압 제어부(260), T2 전압 제어부(265), 클리닝 날(270, 270a), 환경상태 검출부(280), 메모리(285), 및 중앙처리장치(290)를 포함한다.
감광체(Organic Photo Conductive : OPC)(200)는 인쇄데이터가 인쇄용지(P)에 인쇄되기 전에 레이저에 의해 인쇄데이터에 대응하는 인쇄이미지가 형성되는 영역이다. 대전 롤러(210)는 감광체(200)에 대전 전류를 인가하여 음 전하로 대전시킨다. 레이저 스캐닝부(Laser Scanning Unit : LSU)(220)는 인쇄하고자 하는 인쇄데이터에 따라 레이저 빔을 변조하여 대전된 감광체(200) 표면에 조사한다. 레이저 스캐닝부(220)에 의해 감광체(200) 표면의 노광된 영역에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현상기(230)는 레이저 스캐닝부(220)에 의해 감광체(200) 표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Y(Yellow), M(Magenta), C(Cyon), K(Black) 4가지 색깔의 토너 입자를 부착시켜 토너화상으로 현상한다. 현상기 구동부(235)는 현상기(230)를 구동한다.
전전사램프(Pre Transfer Lamp : PTL)(240)는 감광체(200)에 대한 토너의 결 합력을 저하시켜 전사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제1 소정 양의 광 에너지를 조사한다. 그리고, 전전사램프(240)는 감광체(200) 표면에 제2 소정 양의 광 에너지를 조사하여 감광체(200) 표면의 전위를 제거한다.
전전사램프(240)에서 조사된 광 에너지는 감광체(200) 표면의 전위층을 파괴하여 전위를 다운시킨다. 제1 소정 양의 광 에너지는 감광체(200)에 대한 토너의 결합력을 저하시킬 만큼의 적정 양의 광 에너지이고, 제2 소정 양의 광 에너지는 감광체(200) 표면의 전위층을 파괴하여 최대한 낮은 전위로 다운시킬 만큼의 충분한 광 에너지이다.
중간전사벨트(250)는 감광체(200) 표면에 현상된 토너화상이 이동되는 영역으로, 전사 롤러로 대체 가능하다. T1 전압 제어부(260)는 감광체(200) 표면에 현상된 토너화상을 중간전사벨트(250)에 전사시킨다. T2 전압 제어부(265)는 중간전사벨트(250)에 전사된 토너화상을 인쇄용지(P)에 전사시킨다.
클리닝 날(cleaning blade)(270, 270a)은 중간전사벨트(250)에 남은 토너, 감광체(200) 표면에 남은 토너를 제거한다.
환경상태 검출부(280)는 화상형성장치 내부의 온도, 습도를 측정한다. 메모리(290)에는 화상형성장치 내부의 환경상태를 검출할 수 있는 기준온도데이터, 기준습도데이터가 저장된다.
중앙처리장치(290)는 전전사램프 구동회로를 포함하며, 포함한 전전사램프 구동회로를 이용해 전사 과정에 요구되는 전사 구동전류 및 제전 과정에 요구되는 제전 구동전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전전사램프(240)에 인가한다. 제전 후, 중앙 처리장치(290)는 대전 롤러(210)를 통해 감광체(200)에 인가되는 대전 전류량을 측정한다. 그리고, 중앙처리장치(290)는 환경상태 검출부(280)가 측정한 온도, 습도를 메모리(290)에 저장되어 있는 기준온도데이터, 기준습도데이터와 비교하여 화상형성장치 내부의 환경상태를 판단하여 측정한 대전 전류량에 기초하여 감광체(200)의 대전을 제어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구비된 전전사램프 구동 회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전사램프 구동회로는 두 개의 저항 R1, R2, 두 개의 트랜지스터 Q1, Q2를 포함한다. R1의 일단은 전원전압에 접속되고, R1의 타단에는 R2가 직렬 접속된다. 그리고, Q1은 콜렉터는 R2의 타단에 접속되고, 베이스에는 전사 제어 신호가 입력되며, 이미터로 전사 구동전류를 출력한다. Q2는 콜렉터는 R1 및 R2의 접속점에 접속되고, 베이스에는 제전 제어 신호가 입력되며, 이미터는 Q1의 이미터에 접속되고 제전 구동전류를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중앙처리장치(290)는 전전사램프 구동회로에 구비된 두 개의 입력단자 즉, Q1 측의 입력단자에 전사 제어 신호를 인가하고, Q2 측의 입력단자에 제전 제어 신호를 인가한다.
중앙처리장치(290)는 전사 과정을 수행하고자 할 경우, Q1의 입력단자 즉 베이스에 전사 제어 신호를 하이(high)로 인가하고, Q2의 입력단자 베이스에 제전 제어 신호를 로우(low)로 인가한다. 전사 제어 신호가 하이로 인가되면 Q1은 온(on)되고, 제전 제어 신호가 로우로 인가되면 Q2는 오프(off)된다. Q1를 통과하는 전전 사램프 구동전류는 R1, R2에 의해 감소되어 전전사램프(240)에 인가된다. 이때, 인가되는 전전사램프 구동전류가 전사 과정을 수행하기 위한 전사 구동전류이다. 전전사램프(240)는 인가된 전사 구동전류에 의해 제1 소정 양의 광 에너지를 감광체(200)에 조사하여 전사효율을 증가시킨다.
제전 과정을 수행하고자 할 경우, 중앙처리장치(290)는 Q1 측의 입력단자에 전사 제어 신호를 로우로 인가하고, Q2 측의 입력단자에 제전 제어 신호를 하이로 인가한다. 전사 제어 신호가 로우로 인가되면 Q1은 오프되고, 제전 제어 신호가 하이로 인가되면 Q2는 온된다. Q2를 통과하는 전전사램프 구동전류는 R1에 의해 구동부하가 감소하게 되어 전사 과정 시의 구동전류보다 증가된다. 증가된 구동전류는 전전사램프(240)에 인가된다. 이때, 증가된 구동전류가 제전 과정을 수행하기 위한 제전 구동전류이다. 전전사램프(240)는 인가된 제전 구동전류에 의해 제1 소정 양의 광 에너지보다 증가된 제2 소정 양의 광 에너지를 감광체(200)에 조사하여 감광체(200)를 제전시킨다. 이로 인해, 감광체(200)의 전위가 낮게 다운되어 정확한 대전 전류를 측정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전전사램프 구동회로가 중앙처리장치(290)에 구비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 중앙처리장치(290)와 분리되어 구비되는 것으로도 구현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는 감광체(400), 대전 롤러(410), 레이저 스캐닝부(420), 현상기(430), 현상기 구동부(435), 환경상태 검출부(440), 중간전사 벨트(450), T1 전압 제어부(460), T2 전압 제어부(465), 클리닝 날(470, 470a), 메모리(480), 및 중앙처리장치(490)를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본 화상형성장치에 포함된 상기 구성 요소들은 도 2에 도시된 화상형성장치에 포함된 구성 요소들과 동일한 동작을 수행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화상형성장치는 별도의 제전 장치 또는 전전사램프(240), 및 전전사램프(240)를 구동하기 위한 전전사램프 구동회로를 구비하지 않고, 레이저 스캐닝부(420)를 이용하여 제전 과정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중앙처리장치(490)는 화상형성장치의 내부 온도 변화에 따른 감광체(400)의 전압 변화를 나타내는 PIDC(Photo Induced Discharge Curve)의 데이터에 따라 레이저 스캐닝부(420)에 구비된 레이저 다이오드(미도시)의 전력을 설정한다. 이때, 설정된 전력이 감광체(400) 표면의 전위층을 파괴하여 전위를 다운시키기 위해 요구되는 제전 전력이다. 그리고, 중앙처리장치(490)는 테스트 이미지에 따라 레이저 다이오드를 조절한다. 레이저 스캐닝부(420)는 설정된 제전 전력으로 감광체(400)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감광체(400)를 노광시켜 제전시킨다. 레이저 스캐닝부(420)가 조사한 레이저 빔은 감광체(400) 표면의 전위층을 파괴하여 전위를 다운시킨다.
제전 후, 중앙처리장치(490)는 대전 롤러(410)를 통해 감광체(400)에 인가되는 대전 전류량을 측정하여 측정한 대전 전류량에 기초하여 감광체(400)의 대전을 제어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대전 제어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중앙처리장치(290)는 제전 과정을 수행하기 위해 전전사램프 구동전류를 증가시켜 전전사램프(240)에 인가한다(S500). 중앙처리장치(290)는 구비된 전전사램프 구동회로를 제어하여 전전사램프 구동전류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도 3를 참조하여 상술하였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전전사램프(240)는 증가된 구동전류에 의해 감광체(200)를 제전시킨다(S510). 전전사램프(240)는 인가된 구동전류에 따른 제2 소정 양의 광 에너지를 감광체(200)에 조사하여 감광체(200)를 제전시킨다.
제전 후, 중앙처리장치(290)는 대전 롤러(210)를 통해 감광체(200)에 인가되는 대전 전류를 측정한다(S520).
중앙처리장치(290)는 화상형성장치의 내부 환경상태가 변화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530). 환경상태 검출부(280)는 화상형성장치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한다. 중앙처리장치(290)는 환경상태 검출부(280)가 측정한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메모리(285)에 저장된 기준온도데이터, 기준습도데이터와 비교하여 화상형성장치 내부의 환경상태가 저온저습 상태, 정상 상태, 및 고온고습 상태 중 어느 하나인지를 판단한다.
내부 환경상태가 변화한 것으로 판단되면, 중앙처리장치(290)는 변화한 환경상태에 따라 측정한 대전 전류에 기초하여 감광체(200)의 대전을 제어한다(S540). 중앙처리장치(290)는 측정한 대전 전류에 기초하여 감광체(200)의 대전 전압이 최적화되도록 대전을 제어하여 감광체(200)가 일정한 전위를 유지하도록 한다.
내부 환경상태가 변화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중앙처리장치(290)는 측정한 대전 전류에 기초하여 감광체(200)의 대전을 제어한다(S550).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대전 제어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 6를 참조하면, 환경상태 검출부(440)는 화상형성장치 내부의 온도를 측정한다(S600).
중앙처리장치(490)는 환경상태 검출부(440)에 의해 측정된 내부 온도에 기초하여 레이저 스캐닝부(420)에 인가할 전력을 설정한다(S610). 이때, 설정된 전력은 감광체(400)를 제전시키기 위해 요구되는 제전 전력이다.
레이저 스캐닝부(420)는 설정된 제전 전력에 의해 감광체(400)를 제전시킨다(S620). 레이저 스캐닝부(420)는 제전 전력에 따른 레이저 빔을 감광체(400)에 조사하여 감광체(400)의 전위를 다운시킨다.
중앙처리장치(490)는 대전 롤러(410)를 통해 감광체(400)에 인가되는 대전 전류를 측정한다(S630).
그리고, 중앙처리장치(490)는 내부 온도의 변화 및 측정된 대전 전류에 기초하여 대전을 제어한다(S640).
상기와 같이 별도의 제전 장치를 구비하지 않고 전전사램프(240), 및 레이저 스캐닝부(420)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감광체(200, 400)를 제전시켜 낮은 전위를 형성하고, 내부의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고려하여 일정한 전위를 유지하기 위한 대전 제어가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제전을 위한 별도의 제전 장치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원가 부담이 감소할 뿐만 아니라 내부 환경상태의 변화를 고려하여 대전을 제어함으로써 인쇄 품질이 향상된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Claims (5)

  1. 감광체;
    상기 감광체를 제전시키는 전전사램프;
    상기 감광체를 대전시키는 대전 롤러; 및
    상기 전전사램프에 제전 구동전류를 인가하여 상기 감광체를 제전시키도록 제어하며, 상기 대전 롤러에 대전 전류를 인가하여 상기 감광체를 대전시키도록 제어하고, 상기 대전 전류량을 측정하여 내부의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변화에 따라 상기 대전 전류량을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일단은 전원전압에 접속된 제1 저항;
    상기 제1 저항의 타단에 일단이 접속된 제2 저항;
    상기 제2 저항의 타단과 상기 전전사램프 사이에 접속되는 제1 스위칭소자; 및
    상기 제1 및 제2 저항의 접속점과 상기 전전사램프 사이에 접속된 제2 스위칭소자;를 포함하며,
    전사동작시 상기 제1 스위칭소자는 온(on)되고, 상기 제2 스위칭소자는 오프(off)되어 상기 전전사램프에 전사 구동전류를 공급하고, 제전동작시 상기 제1 스위칭소자는 오프(off)되고, 상기 제2 스위칭소자는 온(on)되어 상기 전전사램프에 상기 제전 구동전류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 감광체;
    상기 감광체를 제전시키는 레이저 스캐닝부;
    상기 감광체를 대전시키는 대전 롤러; 및
    내부 온도에 따라 설정한 제전 전력을 상기 레이저 스캐닝부에 인가하여 상기 감광체를 제전시키도록 제어하며, 상기 대전 롤러에 대전 전류를 인가하여 상기 감광체를 대전시키도록 제어하고, 상기 대전 전류량을 측정하여 내부의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변화에 따라 상기 대전 전류량을 제어하는 중앙처리장 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 감광체를 포함한 화상형성장치의 대전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감광체를 제전시키는 단계;
    대전 전류량을 측정하고 내부의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변화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내부의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변화에 따라 측정한 상기 대전 전류량에 기초하여 상기 대전 전류량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대전 제어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체의 제전은, 전전사램프 및 레이저 스캐닝부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제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대전 제어방법.
KR1020050033171A 2005-04-21 2005-04-21 대전 제어가 가능한 화상형성장치 및 그 대전 제어방법 KR200601106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3171A KR20060110684A (ko) 2005-04-21 2005-04-21 대전 제어가 가능한 화상형성장치 및 그 대전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3171A KR20060110684A (ko) 2005-04-21 2005-04-21 대전 제어가 가능한 화상형성장치 및 그 대전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0684A true KR20060110684A (ko) 2006-10-25

Family

ID=37616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3171A KR20060110684A (ko) 2005-04-21 2005-04-21 대전 제어가 가능한 화상형성장치 및 그 대전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1068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54109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controlling transfer conditions based on resistance of transfer member
JP2013109322A (ja) 画像形成装置
JP2011100015A (ja) 画像形成装置
JP4900434B2 (ja) 画像形成装置
US9829825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20080170867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ower supplying method thereof
JP2010048960A (ja) 画像形成装置
KR20060110684A (ko) 대전 제어가 가능한 화상형성장치 및 그 대전 제어방법
JP2004078088A (ja) 画像形成装置
JPH11194554A (ja) 画像形成装置
JP2010044205A (ja) 画像形成装置
JP2000338752A (ja) 画像形成装置
US20190025742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3767328B2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方法
KR100193816B1 (ko) 인쇄환경 인식을 위한 현상 바이어스전압 제어방법
KR100312724B1 (ko)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전압 제어방법
JPH0683179A (ja) 電子写真装置
JP2001117325A (ja) 帯電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KR100987752B1 (ko) 화상 형성 장치의 정착 램프 전원 공급 제어 장치
KR940001006Y1 (ko) 전자사진 응용기기의 현상바이어스 전압 자동 조정 시스템
KR100631198B1 (ko) 피드백을 이용하여 전사전압을 제어하는 화상형성장치 및그 제어방법
KR100541446B1 (ko)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23015948A (ja) 画像形成装置
US20180267424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rol program of image forming apparatus
KR20050023698A (ko)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및 광파워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