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0477A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0477A
KR20060110477A KR1020050032751A KR20050032751A KR20060110477A KR 20060110477 A KR20060110477 A KR 20060110477A KR 1020050032751 A KR1020050032751 A KR 1020050032751A KR 20050032751 A KR20050032751 A KR 20050032751A KR 20060110477 A KR20060110477 A KR 200601104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ssis base
panel
plasma display
double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2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광진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327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10477A/ko
Publication of KR20060110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04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11/00Plasma display panels with alternate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C-PDPs
    • H01J22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2211/66Cooling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패널을 지지하는 샤시베이스의 전면에 돌출부를 형성하여 패널과 샤시베이스를 이격시켜 대류에 의한 냉각효과를 구현하고, 패널에 샤시베이스를 부착시키기 위한 양면 테이프의 위치선정이 용이해지도록 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샤시베이스, 돌출부

Description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Plasma display device}
도 1은 일반적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패널과 샤시베이스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패널과 샤시베이스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결합상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2,14 ; 전,후방 기판
21 ; 양면 테이프 22' ; 열전도매체
30,30' ; 샤시베이스 31.31' ; 돌출부
40 ; 회로기판 41,42 ; 보스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패널을 지지하는 샤시베이스의 전면에 돌출부를 형성하여 패널과 샤시베이스를 이격시 켜 대류에 의한 냉각효과를 구현하고, 패널에 샤시베이스를 부착시키기 위한 양면 테이프의 위치선정이 용이해지도록 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과, 상기 패널의 후방에서 패널을 지지하는 샤시 및 상기 샤시의 후면에 장착되면 구동회로가 설치되는 회로기판(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은 두 개의 기판(12)(14)으로 구성되는데, 전방 기판(12)에는 수평으로 서로 평행하게 직선 형태를 갖는 유지 전극(미도시)들이 형성되고, 후방 기판(14)에는 수직으로 서로 평행하게 직선 형태를 갖는 어드레스 전극(미도시)들이 형성된다. 상기 어드레스 전극과 평행하게 격벽이 위치되고, 어드레스 전극의 상측에는 형광체층이 형성된다.
상기 샤시는 플레이트형 샤시베이스(30)와, 상기 샤시베이스(30)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재(32)로 이루어진다. 상기 샤시베이스(30)는 상기 후방 기판(14)의 후면에 양면 테이프(20) 등과 같은 접착수단으로 고정된다. 또한, 상기 샤시베이스(30)와 상기 후방 기판(14) 사이에는 상기 양면 테이프와 함께 열전도매체(22)가 개재된다.
상기 샤시베이스(30)의 후방에는 다수의 회로기판(40) 및 전원장치 등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회로기판(40)에는 패널의 구동에 필요한 집적회로 칩 및 기타 전기전자적인 요소 장치들이 설치된다. 상기 회로기판(40)은 보스(42)를 구비하여 상기 샤시베이스(30)와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설치된다.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의 가장자리에는 다수의 인출 전극이 형 성되어 상기 어드레스 전극과 유지 전극 등의 다수의 전극을 상기 회로기판(40)의 구동회로와 연결된다. 이때, 상기 구동회로의 전기적인 신호를 상기 인출전극에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인출전극과 구동회로를 연결하는 신호전달 수단이 구비된다.
상기 신호전달 수단은 일단의 전극과 일단의 구동회로의 단자를 하나의 단위로 묶어 연결하는 신호선이 사용된다. 이러한 신호선들은 하나의 구동칩에 의해 제어된다. 이러한 구동칩이 종래에는 구동 회로기판에 장착되는 경우가 많았으나 최근에는 패널에 직접 부착되거나, 신호선과 결합되는 경우가 보편화되고 있다. 상기 구동칩이 신호선에 결합된 형태가 TCP(Tape Carrier Package) 또는 COF(Chip On Film)이다. 도면에 도시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신호전달 수단은 TCP(50)가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TCP는 유연성을 가지고 일단은 패널(10)을 구성하는 기판에 연결되고 타단은 샤시베이스(30)에 설치된 회로기판(40)에 연결된다. 따라서 TCP(50)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패널(10)의 상하단 외측에는 통상적으로 보호 플레이트(60)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패널(10)의 후면에 샤시베이스(30)가 설치되어 패널(10)을 물리적으로 지지함과 아울러 패널에서 발생되는 열이 전도되어 방출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샤시베이스(30)는 상기 패널의 후방 기판(14)의 후면에 각 변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길게 부착된 양면 테이프(20)에 의하여 상기 패널(10)을 지지하면서 접착고정된다.
이처럼 패널의 후방 기판(14)의 후면에 샤시베이스(30)의 전면이 밀착되는 상태로 부착되는 경우에는 상기 패널(10)과 샤시베이스(30) 사이의 간격이 매우 밀 접하고 아울러 양면 테이프(20)에 의하여 가장자리의 공간이 밀폐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패널(10)과 샤시베이스(30) 사이에서 공기의 유동으로 인한 냉각효과는 기대할 수 없다.
한편, 종래에는 양면 테이프를 길게 형성하지 않고 다수개로 분리하여 일정간격 만큼 이격시키는 상태로 부착시켜 패널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양면 테이프를 통해 샤시베이스에 그대로 전달되지 않아 소음을 저감시키는 방식도 제안되어 있으나, 이와 같이 다수의 양면 테이프를 이용하여 패널과 샤시베이스를 부착하는 방식은 다수의 양면 테이프를 동일한 길이로 절단하여 일정간격을 갖고 일일이 부착하는 공정이 작업상 번거롭고 작업성도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샤시베이스의 전면에 돌출부를 구비하여 패널과 샤시베이스 사이의 간격을 이격시켜 대류의 활성화로 인한 패널의 냉각 효과를 향상시키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샤시베이스의 전면에 돌출부를 각 변에 일렬로 다수 형성하여 돌출부의 상면에 양면 테이프를 부착함으로써 패널의 진동에 의한 소음을 저감시킴과 아울러 양면 테이프의 부착 위치의 선정이 용이해져 작업성을 향상시키려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두 기판으로 이루어지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서 상기 후방 기판의 후면에 접착수단을 이용하여 고정되어 상기 패널을 지지하는 샤시베이스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샤시베이스의 전면에 상기 패널의 후방 기판의 후면을 지지하는 돌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돌출부의 상면에 상기 접착수단을 부착하여 상기 패널의 후방 기판에 상기 샤시베이스를 고정함으로써 상기 패널과 상기 샤시베이스가 이격되어 공간을 갖는 상태로 양면 테이프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패널과 샤시베이스 사이의 이격된 공간을 통해 대류가 활성화되어 상기 패널에서 발생되는 열을 효율적으로 냉각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상기 샤시베이스에 형성된 돌출부에 양면 테이프를 부착하므로 양면 테이프의 부착 공정이 간편해지고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샤시베이스의 돌출부는 상기 샤시베이스의 전면에서 각 변의 내측으로 일렬로 복수개 형성되고, 각 돌출부들은 일정 간격을 갖고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샤시베이스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상기 샤시베이스가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샤시베이스의 후면에 설치되는 회로기판의 보스의 높이를 낮출 수 있어 전체 장치의 박형화에 기여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패널과 샤시베이스의 분해사시 도이고, 도 4는 도 3의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과, 상기 패널(10)의 후방에서 패널을 지지하는 샤시 및 상기 샤시의 후면에 장착되면 구동회로가 설치되는 회로기판(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은 전,후방 기판(12)(14)으로 구성되며, 상기 샤시는 플레이트형 샤시베이스(30)와, 상기 샤시베이스(30)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재(32)로 이루어진다. 상기 샤시베이스(30)는 상기 후방 기판(14)의 후면에 양면 테이프(21) 등과 같은 접착수단으로 고정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샤시베이스(30)의 전면에서 샤시베이스의 각 변의 내측으로 다수의 돌출부(31)가 형성된다. 이러한 돌출부(31)는 네 변으로 형성된 샤시베이스의 각 변에 대하여 일렬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돌출부(31)들은 동일한 형상과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31)들 간의 간격은 일정한 간격을 갖고 형성된다. 이처럼 동일한 형상 및 크기와 상호 간격을 갖고 형성되는 돌출부(31)들에 의하여 상기 패널(10)을 일정한 지지면적을 갖고 지지하기에 적합하게 된다.
또한, 상기 돌출부(31)의 상면에는 양면 테이프(21)가 부착되어 상기 샤시베이스(30)가 상기 패널(10)의 후방 기판(14)의 후면에 부착된다.
또한, 상기 후방 기판(14)의 후면에는 열전도매체(22')가 구비되어 상기 패널(10)에서 발생되는 열이 열전도매체(22')를 통해 상기 패널(10)에서 편중되게 발 생되는 열이 열전도매체(22')의 전면적에 걸쳐 분산되도록 한다. 도면에는 열전도매체(22')가 상기 샤시베이스의 전면과 이격되는 상태로 설치되어 후방 기판(14)과 샤시베이스(30) 사이의 공간을 이격시켜 공기의 유동이 원활해지게 된다.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후방 기판과 샤시베이스 사이에 열전도매체를 개재시킴으로써 패널에서 발생되는 열을 샤시베이스쪽으로 전도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작용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패널(10)의 후방 기판(14)의 후면에 샤시베이스(30)의 전면이 밀착되는 상태로 부착된다. 이때, 상기 샤시베이스(30)의 전면에는 각 변의 내측에 일렬로 다수의 돌출부(31)가 각 변을 따라 일정 간격을 갖고 돌출형성되어 있어 이러한 돌출부(31)의 상면에 양면 테이프(21)가 부착된 상태로 상기 샤시베이스(30)가 패널의 후방 기판(14)의 후면에 부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후방 기판과 샤시베이스는 양면 테이프(21)의 두께와 돌출부(31)의 높이를 합한 길이만큼 이격되고, 아울러 다수의 돌출부(31)가 상호 일정 간격을 갖고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후방 기판(14)과 샤시베이스(30)가 이격되어 전후방향으로 형성된 공간과, 샤시베이스(30)의 전면에 형성된 돌출부와 돌출부 사이의 좌우방향으로 형성된 공간을 통해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게 진행되므로 패널(10)에서 발생되는 열을 냉각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후방 기판(14)과 샤시베이스(30) 사이에 형성된 간격 만큼 상기 패널(10)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샤시베이스(30)측으로 저감되어 전달되므로 전체적 인 소음을 줄이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양면 테이프의 부착시 상기 샤시베이스(30)의 전면에 동일한 길이와 일정 간격을 갖고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31)의 상면에 양면 테이프(21)를 부착하면 되므로 작업이 일률적으로 이루어져 작업을 수행하기가 간편해지고, 작업성이 향상된다.
한편, 상기 후방 기판(14)의 후면에 구비되는 열전도매체(22')에 의하여 상기 패널(10)에서 발생되는 열이 균일하게 분산되고, 후방 기판(14)과 샤시베이스(30)가 이격된 공간을 통해 상하,좌우 방향으로 유동되는 공기에 인해 열전도매체(22')로 전도되는 열이 냉각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결합 상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샤시베이스를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한 플라스틱 샤시베이스(30')를 구비하여 플라스틱 샤시베이스(30')의 전면에서 각 변의 내측에 다수의 돌출부(31')를 일정 간격을 갖고 동일한 길이로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샤시베이스를 플라스틱으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샤시베이스(30')의 후면에 구비되는 회로기판(40)이 샤시베이스(30')와 간격을 유지하면서 설치하기 위한 보스(41)의 길이를 짧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일반적으로 금속재질의 샤시베이스(30)와 회로기판(40)과의 절연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보스(42)의 높이(h1)를 길게 형성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샤시베이스(30')의 재질이 플라스틱이므로 회로기판(40)과의 절연문제가 해결되므로 보스(41)의 높이 (h2)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샤시베이스의 전면에 형성되는 돌출부에 의한 두께의 증가분을 보스의 길이를 줄임으로써 감소시킬 수 있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두께를 박형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고 있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향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특허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샤시베이스의 전면에 돌출부를 구비하여 패널과 샤시베이스 사이의 간격을 이격시켜 대류의 활성화로 인한 패널의 냉각 효과를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샤시베이스의 전면에 돌출부를 각 변에 일렬로 다수 형성하여 샤시베이스의 형성된 돌출부에 각각 양면 테이프를 부착하는 구조에 의하여 패널의 진동에 의한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그리고 양면 테이프의 부착 위치의 선정이 용이해져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플라스틱 재질의 샤시베이스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회로기판이 샤시베이스에 설치되는 보스의 높이를 최소화할 수 있어 샤시베이스의 돌출부에 의한 두께의 증가분을 보상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2)

  1. 두 기판으로 이루어지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서 상기 후방 기판의 후면에 접착수단을 이용하여 고정되어 상기 패널을 지지하는 샤시베이스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샤시베이스의 전면에, 상기 패널의 후방 기판의 후면을 지지하면서 상기 접착수단이 부착되는 돌출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샤시베이스의 돌출부는 상기 샤시베이스의 각 변의 내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샤시베이스의 돌출부는 상기 샤시베이스의 각 변의 내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샤시베이스의 돌출부는 상기 샤시베이스의 각 변의 내측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돌출부는 상호 일정 간격을 갖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돌출부에서 상기 패널을 지지하는 면은 동일한 형상과 면적을 갖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샤시베이스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샤시베이스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수단은 양면 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양면 테이프는 상기 돌출부의 표면 형상과 동일한 형상과 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과 상기 샤시베이스 사이에는 열전도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체는 상기 패널의 후방 기판에 일측면이 접촉되고, 타측은 상기 샤시베이스와 이격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050032751A 2005-04-20 2005-04-20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200601104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2751A KR20060110477A (ko) 2005-04-20 2005-04-20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2751A KR20060110477A (ko) 2005-04-20 2005-04-20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0477A true KR20060110477A (ko) 2006-10-25

Family

ID=37616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2751A KR20060110477A (ko) 2005-04-20 2005-04-20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1047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9572B1 (ko) * 2006-03-30 2007-09-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9572B1 (ko) * 2006-03-30 2007-09-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0770B1 (ko) 플라즈마 표시장치
US20070249224A1 (en) Fixing structure of circuit board and display module comprising the same
JP2006237558A (ja) 集積回路チップの放熱構造及びそれを備えたディスプレイ装置
US20060181853A1 (en) Plasma display device
KR100669327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JP2006317906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US20080284765A1 (en) Plasma display device and signal transmitting unit for plasma display device
KR20060110477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8375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88542B1 (ko) 플라즈마 표시장치
KR100683690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
KR100670524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46565B1 (ko) 플라즈마 표시장치
KR100731439B1 (ko) 플라즈마 표시장치
KR100741109B1 (ko) 디스플레이 모듈
KR20080001114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96835B1 (ko) 수지층 샤시 베이스를 가지는 플라즈마 표시 장치
KR100670511B1 (ko) 플라즈마 표시장치
KR100696842B1 (ko) 플라즈마 표시장치
KR10081384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83731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823476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US20080111769A1 (en) Plasma display device
KR100708751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20080024331A (ko) 플라즈마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