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9763A -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생약 조성물 - Google Patents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생약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9763A
KR20060109763A KR1020050032082A KR20050032082A KR20060109763A KR 20060109763 A KR20060109763 A KR 20060109763A KR 1020050032082 A KR1020050032082 A KR 1020050032082A KR 20050032082 A KR20050032082 A KR 20050032082A KR 20060109763 A KR20060109763 A KR 200601097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weight
hair
hair loss
herbal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2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56531B1 (ko
Inventor
장기영
Original Assignee
(주)파워모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파워모코리아 filed Critical (주)파워모코리아
Priority to KR10200500320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6531B1/ko
Publication of KR200601097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97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65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65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2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adjustable in position
    • B60J3/0204Sun visors
    • B60J3/0213Sun visor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삼 및 천궁 추출물 각 11-14 중량%, 산초 추출물 9-11 중량%, 홍화 및 알로에 추출물 각 7-8 중량%, 당귀 및 석류 추출물 각 14-16 중량%, 쑥, 녹차, 은행잎 및 인삼 추출물 각 4-6 중량%로 구성된 생약 혼합물과, 에칠알콜 98.8-99.2 중량%와 멘톨 0.8-1.2 중량%로 구성된 멘톨 용액, 그리고 정제수 92-93 중량%와 니코틴산 아미드, 초산 토코페롤, 살리실산 7-8 중량%로 구성된 비타민 용액을 2 : 4 : 4의 비율로 혼합하고, 여기에 프로파 게르마늄, 방부제 및 향신료 0.8-1.2 중량%를 첨가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생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탈모방지, 발모촉진, 생약

Description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생약 조성물{Herb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loss of hair}
본 발명은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생약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단삼, 천궁, 산초 등 천연 생약성분을 주성분으로 하여 인체에 대한 독성이나 부작용이 전혀 없고, 탈모방지는 물론 발모촉진에도 매우 우수한 효과가 있는 생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의 의학적 수준으로는 아직 탈모 문제를 효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예방 또는 치료방법 개발되어 있지않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탈모 관련 치료법은 탈모의 가장 주된 요인으로 꼽히고 있는 남성호르몬을 제어하여 탈모를 막거나, 또는 발모를 촉진시키는 물질을 두피에 도포하는 방법 등이 사용되고 있지만, 이러한 종래의 방법으로는 아직 탈모문제를 완전히 정복하지는 못하고 있다.
탈모의 기전은 아직 정확하게 밝혀져 있지 않지만, 대체적으로 호르몬의 불균형 등 내분비계의 이상이나, 자율 신경계, 혈액순환 장애 등 순환계의 이상에 의 한 과도한 피지 생성, 모근의 영양 결핍, 알레르기, 세균 감염 및 유전적 요인, 노화 등이 주원인으로 추정되고 있다. 최근에는 복잡한 사회적 환경에서 오는 정신적 스트레스, 대기 오염, 음식물 등에 의한 원인설도 대두되고 있다.
과거에는 중·장년층에서 주로 탈모 증상이 나타났지만, 최근에는 샴푸, 무스, 퍼머, 염색, 드라이 열에 의한 모발 및 두피 손상으로 인하여 20~30대 젊은 층에서도 탈모증이 두드러지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탈모증은 삶의 질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기 때문에 전세계적으로 탈모증을 치료하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으며, 여성 호르몬제, 혈행 촉진제, 비타민 E, 비타민 B2 조성물, 카로틴 용해제, 살균제 등의 약물요법과 모발 이식법 등이 연구되고 왔다.
예컨대, 미국 머크(Merck)사가 판매하고 있는 탈모 치료제인 '프로페시아(Propecia)'인 경우, 임상연구 결과에서 86% 정도의 탈모 방지효과를 나타내고 있으며, 약물 투여군의 66% 정도에서 발모 현상을 보였다고 보고되어 있지만, 이러한 임상결과는 약물투여 당시에 나타나는 일시적인 효과일 뿐, 투약을 중단하면 다시 탈모가 진행되기 때문에 약물을 지속적으로 복용 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더구나 약가가 매우 고가인 데다가 일부 투여군에서는 성욕감퇴, 발기부전 등의 부작용이 보고되기도 하였다.
또한, 파마시아 앤 업죤(Pharmacia & Upjohn)사는 오래 전에 '미녹시딜(Minoxidil)' 이라는 물질을 개발하여 당초에는 혈관이완 작용을 하는 고혈압 치료제로 사용하여 왔으나, 고혈압 환자들이 이 약물을 복용하면 부작용으로 머리, 팔, 다리 등의 전신에 털이 2∼4cm 까지 자란다는 사실에 착안, '미녹시딜'을 바르는 발모제로 개발하여 '로가인(Rogaine)' 이란 상품명으로 판매하기 시작 하였다. 그러나, 이 제제 역시, 과다 사용시 두피 건조, 홍반 등의 두피 자극 증상, 알레르기성 접촉 피부염, 안면부 다모증과 혈관 확장 즉, 항고혈압 작용에 의함 허탈감, 저혈압, 빈맥 등의 부작용을 일으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와 같이 지금까지 사용되고 있는 종래의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제는 탈모방지 및 발모에도 충분한 효과를 보여주기 못하고 있을 뿐 아니라, 여러 가지 부작용으로 인하여 이를 장기적으로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한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대부분의 탈모환자들은 탈모증상을 완치하지는 못하지만 여러 가지 발모촉진제들을 번갈아 사용해 가면서 일시적인 개선효과에 만족해 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보다 안전하고 장기적인 사용이 가능한 새로운 발모방지 및 발모촉진제의 개발에 대한 요구가 계속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단삼, 천궁, 산초 등 천연 생약성분을 주성분으로 하여 인체에 대한 독성이나 부작용이 전혀 없으면서도, 두피에 꼭 필요한 영양을 공급하고 혈액순환을 촉진하므로서, 탈모방지는 물론 발모촉진에도 매우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생약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단삼 및 천궁 추출물 각 11-14 중량%, 산초 추출물 9-11 중량%, 홍화 및 알로에 추출물 각 7-8 중량%, 당귀 및 석류 추출물 각 14-16 중량%, 쑥, 녹차, 은행잎 및 인삼 추출물 각 4-6 중량%로 구성된 생약 혼합물과, 에칠알콜 98.8-99.2 중량%와 멘톨 0.8-1.2 중량%로 구성된 멘톨 용액, 그리고 정제수 92-93 중량%와 니코틴산 아미드, 초산 토코페롤, 살리실산 7-8 중량%로 구성된 비타민 용액을 2 : 4 : 4의 비율로 혼합하고, 여기에 프로파 게르마늄, 방부제 및 향신료 0.8-1.2 중량%를 첨가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생약 조성물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생약 조성물은 생약 혼합물과 멘톨 용액, 그리고 비타민 용액이 2 : 4 : 4의 비율로 혼합되고, 여기에 프로파 게르마늄과 방부제 및 향신료 0.8-1.2 중량%가 첨가된 것이다. 먼저 생약 홍합물은 단삼 및 천궁 추출물 각 11-14 중량%, 산초 추출물 9-11 중량%, 홍화 및 알로에 추출물 각 7-8 중량%, 당귀 및 석류 추출물 각 14-16 중량%, 쑥, 녹차, 은행잎 및 인삼 추출물 각 4-6 중량%로 구성된다. 이들 각 구성 성분들은 시중에서 유통되고 있는 통상적인 추출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그 특징을 하나 하나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단삼은 중국이 원산지로 산지에서 자란다. 높이는 40∼80cm이고 전체에 털이 많이 난다. 줄기는 모나고 자줏빛을 띠며 곧게 자라고 가지를 친다. 뿌리는 붉 은 색이다. 잎은 마주 나고 홀잎 또는 2회 깃꼴 겹잎으로 긴 잎자루가 있다. 작은 잎은 1∼3쌍으로 달걀 모양 또는 바소 모양이고, 밑 부분이 심장 모양이며,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꽃은 5∼6월에 자주색으로 피고 줄기 끝에 층층이 달린다. 꽃대에 선모(腺毛)가 빽빽이 있다. 포는 줄 모양 또는 바소 모양이고 작은 꽃자루보다 짧다. 꽃받침은 길이 8∼10cm의 통(筒) 모양이고 자줏빛이 돈다. 화관은 입술 모양이고, 길이가 2∼2.5cm 이며, 아랫입술 꽃잎이 3갈래로 갈라진다. 갈라진 조각 중 가운데 것이 가장 길고 끝이 파지며,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다. 수술은 꽃 밖으로 길게 나온다. 열매는 2∼3개의 소견과 이고 둥근 달걀 모양이다. 뿌리는 특이한 냄새가 나고 약간 쓴맛이 나는데 한방에서 약재로 쓴다. 부인의 생리불순·생리통·산후 복통에 쓰이고, 어혈성의 심복부 동통과 타박상을 치료하며, 불면증, 피부 발진 등에 사용된다.
천궁은 중국 원산이며 약용식물로 재배한다. 높이 30∼60cm이며 속이 비어 있고 가지가 다소 갈라진다. 잎은 어긋나고 2회 3출 깃꼴 겹잎이며 갈래조각은 달걀 모양의 바소꼴이고 다소 깊은 톱니가 있다. 뿌리잎과 밑부분의 잎은 긴 잎자루가 있고 밑부분이 잎집으로 되어 줄기를 감싼다. 꽃은 8월에 피고 흰색이며 복산형 꽃차례를 이룬다. 꽃잎은 5개이고 안쪽으로 말리며 수술은 5개, 암술은 1개이다. 총포와 소총포는 각각 5∼6개이며 줄 모양이다. 열매는 열리지만 성숙하지 않는다. 땅 속에 있는 마디 사이는 길이 5∼10cm, 지름 3∼5cm의 덩어리처럼 생기고 강한 향기가 있다. 한방에서는 뿌리줄기를 진정 ·진통 ·강장에 효능이 있어 두통, 빈 혈증, 부인병 등에 사용한다. 방향성 식물이며 민간에서는 좀을 예방하기 위해 옷장에 넣어 두기도 한다.
산초는 천초, 향초자, 야초, 항초유, 분지나무, 분디나무, 민산초나무, 상초, 애초 등으로 불리기도 하며, 운행과의 낙엽관목(落葉灌木)으로서 높이가 3m 내외이고 잔가지에 가시가 많다. 잔잎은 13∼21개이고 타원형 피침형으로 끝이 좁아지면서 요두(凹頭)로 끝난다. 잎의 길이는 1.5∼5㎝ 정도이며 가장자리에 파도모양의 잔톱니가 있고 엽축(葉軸)에 가시가 있다. 8∼9월에 꽃이 피는데 꽃은 연한 녹색이며 향기가 없고 가지나 줄기 끝에 나는 길이 5∼10㎝의 산방화서(山房化序)에 달린다. 10월에 삭과가 여무는데, 삭과는 녹갈색이고 검은색의 종자가 들어왔다. 우리나라에서는 어린 줄기와 새싹 잎을 덜 익은 과실과 함께 장채(醬菜)를 하여 먹었으며 과실은 짜내어 점등료(點燈料) 및 향미료로 널리 쓰인다.
 산초는 공업용, 밀원용, 약용으로 쓰이고, 민간요법으로는 열매나 나무껍질, 잎을 말려 가루로 내어 밀가루와 초(酢)로 반죽하여 튼튼한 종이나 헝겁에 펴 바르면 유선염과 종기, 타박상에 좋으며, 치질에는 산초의 어느 부분이든지 달인 물로 씻으면 효과가 있고, 뿌리는 불에 태워 소말(燒末)로 하여 쓰기도 한다. 달인 물을 마시면 두통과 기침을 멈추게 하며 입에 물고 있으면 충치의 아픔도 멈춘다고 한다. 한방에서는 탕을 끓이거나 욕탕에 넣어 사지슬통(四肢膝痛)을 제거하는 데 쓰이고, 풍한습비(風寒濕痺)에도 좋으며, 또 산초는 온성인 자극성 살충 살균제로서 건위, 구풍, 해응(解凝), 이뇨작용이 있다. 열매, 나무 껍질, 잎 등을 달여 찌꺼기 를 제거하고, 더욱 졸여 엿 같이 만든 다음 이것을 작은 스푼으로 한 스푼씩 1일 3회 복용하면 부종에도 효과 있다고 한다.
홍화는 예로부터 자연색소로 많이 사용되며, 골절 치료에 신비한 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금속인 백금(Pt)은 사람이나 동물에 치명적인 독이 될 수 있는데, 홍화씨에 들어있는 유기 백금은 항암작용이 뛰어나고 골절, 다공증을 치료하며, 사람의 수명을 늘리는 등 놀라운 약성을 지니고 있다. 홍화유의 주성분은 리놀산(linoleicacid)과 유산(glyceride)인데, 노화를 억제하는 비타민E도 다량 함유되어 있다. 또한 홍화(잇꽃)은 약성이 따뜻하며 피를 다스리므로 어혈, 통경약으로 쓰고 있다. 꽃은 파혈(破血)하나 동시에 생혈(生血), 보혈(補血)한다.
알로에는 세균과 곰팡이에 대한 살균력이 있고, 독소를 중화하는 알로에틴이 들어 있으며, 궤양에 효과가 있는 알로에 우르신과 항암효과가 있는 알로미틴이 들어 있다. 이 밖에도 스테로이드, 아미노산, 사포닌, 항생물질, 상처치유 호르몬, 무기질 등 다양한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알로에는 과로로 인한 피로 회복과 과음으로 인한 숙취 해소 등에 효과가 있고, 알로에의 잎을 잘라두면 유난히 쓴 황색물질이 흘러 나오는데, 이것은 변비에 특히 효과가 있다. 민간에서는 알로에 잎의 액즙을 위장병에 내복하고 외상이나 화상 등에도 이용한다. 또한 건성 피부와 지성 피부를 중성화시키고 피부 보습 효과가 있다.
당귀(當歸)는 산과 들에 자라며, 재배하기도 한다. 잎과 줄기는 이른 봄에 나물로 먹기도 하며, 뿌리를 캐어 말려서 약으로 쓴다. 살이 많고 여위지 않은 것 이 약효가 좋다. 당귀는 모든 풍병, 혈병, 허로를 낫게 하고, 굳은 피를 헤치고 새로운 피가 생겨나게 한다. 가슴에 무언가 맺혀있는 증상과 부인의 탈질, 임신 못하는 증상에 좋으며, 여러 가지 나쁜 염증과 쇠붙이에 다쳐서 어혈이 뭉친 것을 낫게 한다. 이질로 배가 아픈 증상과 추웠다 더웠다 하는 증상을 낫게 하고, 오장을 보하며, 새살이 살아나게 한다. 당귀의 머리 부분을 쓰면 어혈을 헤치고, 잔뿌리를 쓰면 출혈이 멈춘다. 만일 전체를 쓰면 한편으로는 피를 헤치고, 한편으로는 피가 멈추므로 피를 고르게 한다. 당귀는 보혈작용이 강하기 때문에 가장 흔히 쓰는 한약재이다.
석류는 지름 6~8cm에 둥근 모양의 열매이다. 단단하고 노르스름한 껍질이 감싸고 있으며, 과육 속에는 많은 종자가 있다. 먹을 수 있는 부분이 약 20% 인데, 과육은 새콤달콤한 맛이 나고 껍질은 약으로 쓴다. 종류는 단맛이 강한 감과와 신맛이 강한 산과로 나뉜다. 원산지는 서아시아와 인도 서북부 지역이며, 한국에는 고려 초기에 중국에서 들어온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 중부와 남부지방에서 정원수와 과수로 재배한다.  주요 성분은 당질(포도당·과당)이 약 40%를 차지하며 유기산으로는 새콤한 맛을 내는 시트르산이 약 1.5% 들어 있다. 수용성 비타민 (B1·B2·나이아신)도 들어 있으나 양은 적다. 껍질에는 타닌, 종자에는 갱년기 장애에 좋은 천연식물성 에스트로겐이 들어 있다.
열매와 껍질 모두 고혈압·동맥경화 예방에 좋으며, 부인병·부스럼에 효과가 있다. 특히 이질이 걸렸을 때 약효가 뛰어나고, 휘발성 알카로이드가 들어 있어 기생충, 특히 촌충 구제약으로 쓴다. 과즙은 빛깔이 고와 과일주를 담그거나 농축과즙을 만들어 음료나 과자를 만드는 데 쓴다. 올리브유와 섞어 변비에 좋은 오일을 만들기도 한다.
쑥은 예로부터 우리 조상들이 즐겨 애용하던 약초로 암 예방, 세포의 노화 지연작용, 알레르기성 질환에 대한 예방효과가 있고, 지방의 분해력이 강하며, 동맥경화 예방, 피를 맑게 하고 자궁 출혈, 보혈에 탁월한 효과 있다.
녹차 잎은 그 성분 중 에피카테친-3-갈레이트와 에피갈로카테친-3-갈레이트가 5-알파 리덕타제 효소를 선택적으로 저해하고, 녹차 잎에서 추출한 카테친(Catechins) 성분이 항 안드로겐 특성을 가짐으로 해서 탈모방지에 효능이 있다는 미국 시카고 대학의 연구 발표가 있었다. 또한 탄닌 성분인 카데친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 모발이 빠지거나 탈색 되는 것은 체내 섭취된 불포화 지방산이 산화되어 생기는 과산화지질이 세포 조직 속의 세포막을 파괴하여 일어나는데, 녹차 잎에 들어있는 카데친은 비타민 C가 항 산화력을 높여주기 때문에 과산화지질을 억제하여 노화를 억제시킨다. 또한 녹차는 알카리성 무기질, 비타민B군과 C군을 함유한 것으로 피부의 탄력을 주며 멜라닌 색소의 생성을 저해하여 피부를 곱게 한다.
은행잎에는 징코라이드 A B C, 진놀, 프라보놀 등의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서 말초혈관 장애, 노인성 치매 등을 치료하고 예방하는데 획기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인삼에는 사포닌 글리코시드(사포닌 배당체)인 긴세노사이드류, 스테로이드, 비타민 B군, 콜린 등이 함유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한방에서 인정되고 있는 인삼의 약효를 요약하면 강장, 강심, 건위, 보정, 진정, 자양 등의 약으로 사용되고 위장 등의 기능 쇠약에 의한 물질대사 기능의 저하에 부활제로 사용된다.
다음으로 멘톨 용액은 에칠알콜 98.8-99.2 중량%와 멘톨 0.8-1.2 중량%로 구성된다. 멘톨은 알코올에 용해되는 성질을 가지고 있으며, 가려움증의 완화 및 진통의 효과가 있고, 시원함과 청량감을 주며, 물질의 방부에도 관여한다.
마지막으로 비타민 용액은 정제수 92-93 중량%와 니코틴산 아미드, 초산 토코페롤, 살리실산의 혼합물 7-8 중량%로 구성된다. 비타민 용액은 기존에 알려진 효능과 같이 두피에 영양분을 공급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생약 혼합물과 멘톨 용액, 그리고 비타민 용액을 잘 혼합하고, 여기에 프로파 게르마늄, 방부제 및 향신료 0.8-1.2 중량%를 첨가한다. 여기서 프로파 게르마늄은 전기의 극 초미립자의 응집체라고 할 수 있는 유기 게르마늄으로서, 인체에 작용하여 세포의 신진대사를 활성화 시키는 작용을 한다. 또한, 인터페론 유도체로 작용하여 여러가지 질병을 예방하는 신비한 효능을 보이며, 특히 피부미용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는 사실이 많은 학자들의 연구에서 발표되었다. 유기 게르마늄은 피부 3mm 속에 서식하고 있는 데모덱스(일명 진드기, 모낭 충)에 의해 오염 된 피부 표면을 청결하게 한다. 또한 데모덱스가 서식하지 못하도록 피부환경을 만들어 노화요인을 없애고 모공 속의 화장품 찌꺼기 오염물질 노폐물들을 효과적으로 빼내주는 특징이 있다. 피부를 상하게 하는 데모덱스 번식을 억제해 줄 뿐만 아니라 아름다운 피부를 유지 시켜 부드럽고 매끄러운 피부를 유지해 주므로 보다 맑고 투명한 피부를 간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생약 조성물은 본 발명의 목적을 해지치 않는 범위 내에서 약리적으로 허용 가능한 사용할 수 있는 다른 약물들, 예컨대 살균제, 항생제, 부패방지제, 산화방지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생약 조성물은 두피에 직접 바르는 경피 흡수제나 스프레이식으로 분무하는 액상 형태로 제제화 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실시예]
먼저 시중에서 유통되고 있는 단삼 및 천궁 추출물 각 12 중량%, 산초 추출물 10 중량%, 홍화 및 알로에 추출물 8 중량%, 당귀 및 석류 추출물 각 15 중량%, 쑥, 녹차, 은행잎 및 인삼 추출물 각 5 중량%를 잘 혼합하여 생약 혼합물을 제조한다. 이어 별도로 에칠 알콜 99 중량%와 멘톨 1중량%를 혼합하여 멘톨 용액을 제조하고, 다시 별도로 정제수 92 중량%와 니코틴산아미드와 초산토코페롤, 살리실산의 혼합물 8 중량%를 혼합하여 비타민 용액을 제조한다.
다음으로 상기 생약 혼합물과 멘톨 용액 및 비타민용액을 2:4:4의 비율로 혼합하고, 여기에 프로파게르마늄 0.03 중량%와 방부제 및 향료 1.2 중량%첨가하여 본 발명의 생약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탈모환자 21명을 대상으로 하여 상기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생약 조성물의 효능을 시험하였다. 치료방법은 상기 생약 조성물을 일일 2회 환부에 충분히 도포하게 하였다. 피험자의 현황 및 임상결과는 다음 < 표 1 >과 같다.
< 표 1 > 피험자 현황 및 임상결과
NO 성별 연령 탈모기간 탈모종류 누약기간 임상결과
1 37 4년 여성탈모 4개월 70% 개선 및 양모
2 36 3년 부분탈모 3개월 60% 개선, 비듬완화
3 71 23년 여성탈모 5개월 50% 개선 및 양모
4 37 2년 원형탈모 4개월 원형탈모 해소
5 45 1년 남성탈모 2개월 50% 개선 및 육모
6 36 4년 여성탈모 5개월 80% 개선 및 양모
7 23 6월 남성탈모 3개월 80% 개선 및 육모
8 32 1년 남성탈모 4개월 70% 개선
9 53 12년 남성탈모 3개월 효과미약
10 30 1년 여성탈모 3개월 70% 개선 및 양모
11 26 8월 남성탈모 2개월 50% 개선 및 육모
12 32 3년 남성탈모 3개월 70% 개선
13 28 1년 남성탈모 2개월 70% 개선 및 양모
14 39 3년 여성탈모 3개월 80% 개선 및 양모
15 32 4년 남성탈모 3개월 60% 개선 및 양모
16 48 12년 남성탈모 2개월 효과 미약
17 24 1년 남성탈모 3개월 70% 개선, 양모
18 30 2년 남성탈모 3개월 50% 개선, 양모
19 35 4년 남성탈모 2개월 40% 개선, 양모
20 19 6월 남성탈모 2개월 70% 개선, 양모
21 36 2년 여성탈모 3개월 50% 개선
상기 표 1의 임상결과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생약 조성물은 총 피험자 21명 중 2명(9.5%)에 대해서는 유의할 만한 개선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 나, 나머지 19명(89.5%)에서는 확실한 개선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9명(42.8%)에서는 70% 이상의 뚜렷한 개선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투약기간 중에 피부발진이나 소양증, 비듬 등 유의할 만한 부작용을 호소하는 경우는 한 사람도 발견되지 않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생약 조성물은 거의 대부분 천연 생약원료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인체에 대한 독성이나 부작용이 전혀 없으며, 각 구성재료 중에 함유된 성분들이 두피의 혈액 순환을 돕고 발모에 필요한 영양분을 충분히 공급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모모 세포를 활성화하여 머리카락의 신진대사를 촉진하고, 두피의 항산화 작용을 도와서 탈모방지는 물론, 발모촉진에도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Claims (1)

  1. 단삼 및 천궁 추출물 각 11-14 중량%, 산초 추출물 9-11 중량%, 홍화 및 알로에 추출물 각 7-8 중량%, 당귀 및 석류 추출물 각 14-16 중량%, 쑥, 녹차, 은행잎 및 인삼 추출물 각 4-6 중량%로 구성된 생약 혼합물과, 에칠알콜 98.8-99.2 중량%와 멘톨 0.8-1.2 중량%로 구성된 멘톨 용액, 그리고 정제수 92-93 중량%와 니코틴산 아미드, 초산 토코페롤, 살리실산 7-8 중량%로 구성된 비타민 용액을 2 : 4 : 4의 비율로 혼합하고, 여기에 프로파 게르마늄, 방부제 및 향신료 0.8-1.2 중량%를 첨가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생약 조성물.
KR1020050032082A 2005-04-18 2005-04-18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생약 조성물 KR1006565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2082A KR100656531B1 (ko) 2005-04-18 2005-04-18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생약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2082A KR100656531B1 (ko) 2005-04-18 2005-04-18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생약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9763A true KR20060109763A (ko) 2006-10-23
KR100656531B1 KR100656531B1 (ko) 2006-12-11

Family

ID=37615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2082A KR100656531B1 (ko) 2005-04-18 2005-04-18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생약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653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7237B1 (ko) * 2006-12-28 2007-09-10 김지활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기능을 갖는 나노입자 조성물
KR100960054B1 (ko) * 2009-11-11 2010-05-31 주식회사 휴먼텍 탈모방지 및 두피개선을 위한 두발 화장품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4236B1 (ko) 1997-08-27 2005-09-0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모발성장촉진조성물
KR20030070686A (ko) * 2002-02-26 2003-09-02 정성인 발모 촉진 및 탈모 예방용 외용제의 제조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7237B1 (ko) * 2006-12-28 2007-09-10 김지활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기능을 갖는 나노입자 조성물
WO2008082123A1 (en) * 2006-12-28 2008-07-10 Ji Hwal Kim Nanoparticle composition for prevention of hair loss and promotion of hair growth
KR100960054B1 (ko) * 2009-11-11 2010-05-31 주식회사 휴먼텍 탈모방지 및 두피개선을 위한 두발 화장품 조성물
WO2011059180A2 (ko) * 2009-11-11 2011-05-19 주식회사 휴먼텍 탈모방지 및 두피개선을 위한 두발 화장품 조성물
WO2011059180A3 (ko) * 2009-11-11 2011-11-03 주식회사 휴먼텍 탈모방지 및 두피개선을 위한 두발 화장품 조성물
CN102639099A (zh) * 2009-11-11 2012-08-15 人技术株式会社 防脱发和改善头皮的发用化妆品组合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6531B1 (ko) 2006-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7237B1 (ko)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기능을 갖는 나노입자 조성물
KR100668878B1 (ko) 발모제 조성물, 발모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발모제조성물, 발모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0794447B1 (ko) 발모촉진제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893106B1 (ko) 발모용 조성물
JP2014530905A (ja) 薬用花を活用した包み発酵法およびこれを活用した皮膚外用剤組成物
KR100870253B1 (ko) 샴푸
KR101744103B1 (ko)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953779B1 (ko) 복합 한방 조성물, 한방 샴푸 제작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복합 한방 조성물 및 한방 샴푸
JP5646117B2 (ja) 発毛促進剤及び製造方法
KR100747651B1 (ko) 두발 건강유지 및 모발 생장촉진 원료추출물
JPH10295325A (ja) 健康食品
Kozak et al. Health properties of selected herbal plants
CN111135209A (zh) 一种具有防疟驱蚊止痒修复的青蒿喷剂及其制备方法
KR100989944B1 (ko) 항산화 미백 활성을 갖는 생약 혼합 추출물
KR100656531B1 (ko)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생약 조성물
KR20190133085A (ko) 종대황 추출물과 산사나무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탈모 방지 및 모발생장 촉진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90059445A (ko) 한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양이온/음이온 계면활성제 혼합베시클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용 또는 모발 성장용 조성물
KR20070067542A (ko) 팥 추출물을 함유하여 슬리밍에 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27533B1 (ko) 한방 식물약재를 이용한 샴푸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20691A (ko) 발모촉진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2764416B (zh) 一种乌发制剂及制备方法
KR100753863B1 (ko) 탈모방지 및 양모 활성 보조기능을 갖는 조성물과 그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558185B1 (ko) 대나무수액을 함유한 모발 및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723962B1 (ko) 친환경 천연성분을 이용한 아토피 피부염 완화용 기능성 조성물
KR102256711B1 (ko) 토르말린과 복합 천연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6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