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9762A - 온라인 운동자세 교정시스템 - Google Patents

온라인 운동자세 교정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9762A
KR20060109762A KR1020050032081A KR20050032081A KR20060109762A KR 20060109762 A KR20060109762 A KR 20060109762A KR 1020050032081 A KR1020050032081 A KR 1020050032081A KR 20050032081 A KR20050032081 A KR 20050032081A KR 20060109762 A KR20060109762 A KR 200601097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ercise
user
data
posture correction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2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자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해즈인터내셔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해즈인터내셔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해즈인터내셔널
Priority to KR10200500320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09762A/ko
Publication of KR200601097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97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3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physical therapies or activities, e.g. physiotherapy, acupressure or exerc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동자세 교정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운동 동작 영상을 분석하여 운동자세에 대한 교정 데이터를 제공하는 온라인 운동자세 교정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온라인 운동자세 교정시스템은 기저장된 운동 영상을 포함하는 피분석 데이터를 소정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운동자세 교정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운동자세 교정서버로부터 교정 데이터를 수신하는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피분석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운동 영상과 기준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운동에 대한 비교결과를 포함하는 교정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운동 교정 서버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온라인 운동자세 교정시스템{ON-LINE MOTION POSTURE CORRECTION SYSTEM}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운동자세 교정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사용자 단말기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의 운동자세 교정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교정 시스템의 교정 순서도이다.
도 5a 내지 5d는 사용자의 운동 모습의 실시예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교정 시스템의 다른 서비스 제공의 실시예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사용자 단말기 10: 인터넷
30: 운동자세 교정서버
본 발명은 운동자세 교정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운동 동작 영상을 분석하여 운동자세에 대한 교정 데이터를 제공하는 온라인 운동자세 교정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웨이트 트레이닝, 에어로빅이나 태권도, 검도 등과 같이 동작을 주로 하는 운동의 학습에 있어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은 실제 트레이닝 센터나 학원에서의 현장 강좌를 통한 방법이다. 실제 현장 강좌는 강사의 실제 동작 모습을 보고 배울 수 있고, 강사가 직접 지도할 수 있다는 현장감이 있다. 그러나, 현장 강좌는 강사마다의 실제 동작에서 차이가 있으며, 또한, 그 지도에 따른 동작에서도 차이가 생기게 된다. 또한 강습료나 학원으로의 이동에 걸리는 부대시간 등에 대한 부담도 컸었다.
한편, 현장 강좌의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TV 강좌 프로그램이나 비디오 강좌 프로그램 등이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TV 강좌 프로그램은 시간을 맞추어 시청해야 하므로 역시 시간상의 제약을 극복하지 못하였고 일회성 프로그램으로 제작됨에 따라 반복연습이 불가했다. 그리고 비디오 강좌 프로그램은 시간상의 제약은 없고 반복연습도 가능하지만 TV 강좌 프로그램이나 비디오 강좌 프로그램 공히 일방적인 전달 교육 형태이므로 사용자 본인의 동작을 강사의 동작과 비교하여 잘못된 부분에 대한 지적을 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자신의 동작을 교정할 수 있게 하거나 수치화하여 피드백을 줄 수는 없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발명으로서 인공시각과 패턴인식을 이용한 체감형 게임 장치(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등록 제0239844호)가 있다. 인공시각과 패턴인식을 이용한 체감형 게임 장치는 댄스 게임에 관한 것이지만 웨이트 트레이닝, 에어로빅이나 다른 스포츠 게임에도 응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크로마키 스크린 안 에 있는 인체의 동작을 촬영하는 카메라 앞에서 기본춤으로 설정된 동영상 캐릭터의 춤을 흉내내면 그 결과를 정지된 상태의 표준영상과 비교하여 점수를 채점하는 댄스 게임장치이다. 상기 장치는 표준영상을 출력용 모니터에 출력하고, 사용자의 동작을 광각 카메라로 촬영하여 음영을 추출한 입력영상을 표본동작 자료와 대조 판독하는 계측수단을 가진다. 또한 이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신체사이즈에 맞춰 세부적인 표준모델을 화면상에 제시하고 내부적으로는 인공시각 및 패턴인식 원리를 이용하여 사용자 특정 패턴을 추출한 뒤 인식하고 평가한다.
여기에서 패턴 인식과 표준영상 및 사용자 입력영상의 비교계측은 두 가지 방법으로 이루어지는데, 첫번째는 3D 캐릭터의 음영만으로 이루어진 표준영상을 입력영상과 비교하여 일치하지 않는 영역의 면적을 산출하여 비교하는 것이고, 두번째는 표준영상에 해당하는 3D 캐릭터의 인체골격선의 정점위치를 입력영상에서 추출한 골격선과 비교하여 사각정점 이내에 포함되지 않는 외부영역을 검사하여 일치도를 측정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방법은 결국은 모두 표준영상과 입력영상이 겹쳐지는 면적을 단순하게 비교함으로써 일치도를 평가하는 방법이었다. 또한, 동작의 비교에 의한 점수화만 가능할 뿐 틀린 동작 또는 부분을 정확하게 지적해 낼 수 없기 때문에 어떤 동작 또는 부분을 어떻게 교정하라는 안내를 해 줄 수 없으므로 운동을 하면서 사용자 스스로 틀린 동작을 교정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기술은 틀린 동작 또는 부위를 정확하게 지적해 낼 수 없기 때문 에 어느 특정 동작 또는 부위의 운동을 강조하는 프로그램에 있어서 활용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은 틀린 동작 또는 부위의 반복적인 훈련으로 인하여, 부상의 위험이 있을 뿐 아니라, 신체의 균형 발달 및 근육 등의 정확한 발달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은 상술된 장치가 설치된 트레이닝 센터나 학원에 직접 방문하여야 하므로, 상당한 비용과 시간을 요구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시간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강습료나 부대시간에 대한 부담이 없이 온라인을 통하여 소정의 운동자세에 대한 교정 정보를 제공하는 온라인 운동자세 교정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운동 동작 영상을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이 운동 동작에 대한 수치 데이터를 생성하여 이 수치 데이터를 처리함으로써, 동작이나 부위에 대한 정확한 교정 정보를 제공하는 온라인 운동자세 교정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소정의 운동 동작에 대한 기준 운동 데이터를 제공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이 교정 정보와 함께 이 운동 동작에 대한 정확한 자세 정보를 획득하도록 하는 온라인 운동자세 교정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정확한 동작의 교정으로 부상의 위험을 미연에 방지하고, 신체의 균형 발달 및 근육 등의 정확한 발달을 조장하도록 하는 온라인 운동자세 교정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로부터 운동 능력 및/또는 영양 상태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에 대응하여 운동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온라인 운동자세 교정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인 온라인 운동자세 교정시스템은 기저장된 운동 영상을 포함하는 피분석 데이터를 소정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운동자세 교정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운동자세 교정서버로부터 교정 데이터를 수신하는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피분석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운동 영상과 기준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운동에 대한 비교결과를 포함하는 교정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운동 교정 서버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운동자세 교정서버는 상기 운동에 대한 수치 데이터인 기준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운동 영상을 수치화하여 사용자 수치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수치 데이터와 상기 기준 데이터를 비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준 데이터와 사용자 수치 데이터는 동적 부분 및/또는 정적 부분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사용자의 운동을 촬영하는 촬상 수단을 적어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촬상 수단은 상기 사용자의 운동에서 정적 부분 및/또는 동적 부분을 촬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피분석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의 운동에 대한 식별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운동자세 교정서버는 상기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 수치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사용자 수치 데이터와 기준 데이터는 각도 및/또는 각속력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운동자세 교정서버는 상기 사용자의 운동에 대응하는 기준 운동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추가적으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피분석 데이터는 사용자의 운동 능력 및/또는 영양 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운동자세 교정서버는 상기 사용자의 운동 능력 및/또는 영양 상태에 따라 운동 프로그램을 추가적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운동자세 교정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온라인 운동자세 교정시스템은 기저장된 운동 영상을 적어도 포함하는 피분석 데이터를 인터넷(20)을 통하여 운동자세 교정서버(30)로 송신하고, 운동자세 교정서버(30)로부터 교정 데이터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기(10)와, 인터넷(20)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피분석 데이터를 수신하고, 피분석 데이터로부터 운동 영상을 판독하고, 이 판독된 운동 영상과 기저장된 기준 데이터를 비교하여, 그 비교결과를 적어도 포함하는 교정 데이터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10)로 송신하는 운동자세 교정서버(30)로 이루어진다.
사용자 단말기(10)와, 운동자세 교정서버(30)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도 2 및 3과 관련하여 상세하게 설명된다.
여기서, 인터넷(20)은 원거리 또는 근거리에 위치된 사용자 단말기(10)와 운동자세 교정서버(30) 간의 데이터 통신을 가능하도록 하는 네트워크로서, 일반적인 TCP/IP 프로토콜에 따른 네트워크가 사용될 수도 있고, LAN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가 사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기(10)는 운동자세 교정서버(30)의 유무선 웹페이지에 접속하여, 다양한 피분석 데이터를 송신하고, 그에 따른 교정 데이터 및/또는 운동 프로그램 등을 제공받을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사용자 단말기의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10)는 사용자로부터의 제어명령 등을 입력받는 입력수단(11)과, 사용자의 운동 동작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는 촬상 수단(12)과, 인터넷(20)과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통신수단(13)과, 사용자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사용자의 운동 동작 영상, 사용자의 운동 능력 및/또는 영양 상태에 관한 정보, 사용자의 운동 동작에 대 한 정보 등을 저장하는 저장수단(14)과, 사용자에게 교정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수단(15)과, 상술된 구성요소들을 제어하여 사용자의 운동 동작에 대한 교정 데이터를 획득하여 제공하는 중앙처리장치(16)로 이루어진다. 이 사용자 단말기(10)는 네트워크 연결이 가능한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및, 유무선 휴대용 단말기, 휴대폰, 개인 휴대 단말기(PDA) 등을 포함하는 구성요소이다.
자세하게는, 입력수단(11)은 사용자로부터의 영상 획득을 위한 촬상 명령, 피분석 데이터의 송신 명령, 운동 능력 및/또는 영상 상태에 관한 정보 및 사용자의 운동 동작에 대한 정보의 입력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입력수단(11)은 키버튼식이거나, 터치패드식일 수도 있다. 이 입력수단(11)은 저장수단(14)에 저장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운동자세 교정서버(30)가 제공하는 유무선 웹페이지에 연관되어, 상술된 입력이 수행되도록 한다. 예를 들면, 운동 능력 및/또는 영상 상태의 경우, 운동자세 교정서버(30)가 사용자가 쉽게 입력가능하도록 문진 데이터(객관식 및/또는 서술식)를 제공하여, 입력수단(11)이 단순화되도록 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촬상수단(12)은 사용자의 운동 상태, 운동 동작 등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수단으로, 예를 들면, 디지털 카메라 등이 포함된다. 이 촬상수단(12)은 사용자 단말기(10) 본체에 설치될 수도 있고, 사용자 단말기(10)와 소정의 데이터 케이블로 연결되어, 사용자의 운동 동작의 영상을 획득하기 용이한 위치에 설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운동의 동작이 측면에서 촬영되는 것이 보다 운동의 동작의 특징이 명확하게 파악될 경우, 촬상 수단(12)은 사용자가 운동할 때의 측면에서 촬 영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촬상 수단(12)은 예를 들면, 웨이트 트레이닝 동작을 촬영할 때, 각 운동 기구에 특성에 따라 그 설치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이때, 각 운동 기구는 각 운동 기구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기호 또는 식별정보(예를 들면, 바코드, 운동 기구 명칭 등)가 부착되어, 운동 영상의 촬영시에 함께 획득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식별기호 또는 식별정보는 상술된 입력수단(11)을 통하여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어, 피분석 데이터에 포함될 수도 있다.
이러한 사용자의 운동 동작 영상은 적어도 사용자의 동적 부분을 포함하여야 한다. 즉, 동적 부분은 사용자가 운동을 할 때, 운동의 대상이 되는 부분으로, 예를 들면, 웨이트 트레이닝 중에서 레그 익스텐션(leg extension)의 경우, 다리부분(또는 무름 관절 이하)이 운동 동작 영상에 포함되어야 한다. 또한, 사용자의 운동 동작 영상은 사용자의 정적 부분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레그 익스텐션의 경우, 사용자의 허리부분, 팔부분 등으로 직접적인 운동 대상이 되는 부분은 아니나, 균형 유지 등을 위한 부분이 정적 부분에 포함된다. 이러한 운동 동작 영상을 위해, 상술된 촬상 수단(12)의 설치 위치가 결정될 수도 있다.
또한, 통신수단(13)은 중앙처리장치(16)로부터의 피분석 데이터를 인터넷(20)을 통하여 운동자세 교정서버(30)로 송신하고, 운동자세 교정서버(30)로부터의 교정 데이터를 수신하여 중앙처리장치(16)로 송신한다. 이때, 통신수단(13)은 운동자세 교정서버(30)의 유무선 웹페이지에 접속하여, 이 웹페이지를 전송받아 중앙처리장치(16)에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수단(14)은 운동자세 교정 서비스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익스플로어와 같은 인터넷 접속 프로그램을 저장하여, 운동자세 교정서버(30)와의 통신 접속 시에 사용자의 사용의 편의를 도모한다. 또한, 저장수단(14)은 촬상수단(12)에 의해 획득된 사용자의 운동 동작에 대한 영상 및/또는 운동기구를 사용하는 경우, 그 운동기구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사용자의 운동 동작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저장수단(14)은 추가적으로 예를 들면, 신체구성(신장, 체중 등), 근력, 근지구력, 심폐지구력, 유연성 등을 포함하는 운동 능력에 관한 정보와, 예를 들면, 식이습관, 섭취 영양 정도 등을 포함하는 사용자의 영상 상태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표시수단(15)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등과 같은 운동자세 교정 서비스를 위한 디스플레이를 수행하고, 교정 데이터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운동자세 교정에 반영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중앙처리장치(16)는 상술된 구성요소를 제어하여, 사용자의 운동 동작 촬상 명령을 입력수단(11)으로부터 입력받아, 촬상수단(12)이 사용자의 운동 동작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도록 하고, 이 획득된 영상을 저장수단(14)에 저장한다. 또한, 중앙처리장치(16)는 사용자로부터의 명령 또는 디폴트적으로 인터넷(20)을 통하여 운동자세 교정서버(30)에 접속하도록 통신수단(13)을 동작시키고, 운동자세 교정서버(30)의 유무선 웹페이지를 표시수단(15)을 통하여 표시하도록 한다. 이후에, 중앙처리장치(16)는 저장수단(14)으로부터 판독된 사용자의 운동 동작 영상을 포함하는 피분석 데이터를 생성하여, 통신 수단(13)을 통하여 전송하도록 하고, 교정 데이터를 통신 수단(13)을 통하여 수신하고, 저장수단(14)에 저장하고, 이 수신 된 교정 데이터를 표시수단(15)에 표시되도록 한다. 이때, 중앙처리장치(16)는 피분석 데이터에 저장수단(14)에 저장된 운동 능력 및/또는 영양 상태에 관한 정보를 포함시켜 송신하거나, 운동자세 교정서버(30)로부터 문진 데이터를 수신하여 입력수단(11)으로부터의 사용자 입력에 의해 생성된 운동 능력 및/또는 영양 상태에 관한 정보를 포함시켜 송신한다. 또한, 이 피분석 데이터는 사용자의 운동 동작에 대한 정보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이후에는, 사용자 단말기(10) 내부의 동작에 대해서는 상세히 설명하지 않으나, 이러한 동작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 익숙한 사람들에게는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3은 도 1의 운동자세 교정서버의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운동자세 교정서버(30)는 인터넷(20)을 통한 데이터 통신을 위한 통신수단(31)과, 사용자의 운동 동작 영상의 비교 대상인 기준 데이터와, 소정의 운동 동작에 대한 기준 운동 데이터 및, 운동 능력 및/또는 영양 상태에 따른 운동 프로그램 정보 등을 저장하는 저장수단(32)과, 사용자의 운동 동작 영상으로부터 소정의 사용자 수치 데이터를 추출하는 수치화 수단(33)과, 사용자 수치 데이터와 기준 데이터를 비교하여, 그 비교결과를 생성하는 분석수단(34)과, 상술된 구성요소들을 제어하여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수신된 피분석 데이터에 대한, 교정 데이터 및/또는 운동 프로그램을 생성하여 제공하거나 기준 운동 데이터를 제공하는 중앙처리장치(35)로 이루어진다.
자세하게는, 통신수단(31)은 상술된 통신수단(13)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인터넷(20)을 통한 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한다. 즉, 통신수단(31)은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피분석 데이터를 수신하여 중앙처리장치(35)에 송신하고, 중앙처리장치(35)로부터 유무선 웹페이지, 문진 데이터, 교정 정보, 운동 프로그램, 기준 운동 데이터 등을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기(10)에 제공한다.
다음으로, 저장수단(32)은 사용자의 운동 동작 영상의 비교 대상인 기준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러한 기준 데이터는 피분석 데이터에 포함되는 식별 기호 또는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운동 동작에 따른 수치 데이터를 의미한다. 이 기준 데이터는 운동 동작 중에서 동적 부분 및/또는 정정 부분에 대한 수치 데이터를 포함한다. 또한, 저장수단(32)은 사용자의 운동 동작과 동일한 운동 동작에 대한 기준 운동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 기준 운동 데이터는 사용자의 운동 동작과 동일하되, 운동학적으로 올바른 자세 또는 속도, 강도를 포함하는 데이터로서, 영상 데이터이거나 텍스트 또는 이미지 등을 포함한다. 또한, 저장수단(32)은 사용자의 운동 능력 및/또는 영양 상태에 따른 운동 프로그램 정보를 저장한다. 이 운동 프로그램 정보는 사용자의 운동 능력 및/또는 영양 상태에 따라, 운동 종목, 반복 횟수, 운동 강도, 운동 시간 등으로 이루어진 일련의 운동 안내 정보가 된다.
또한, 수치화 수단(33)은 사용자의 운동 동작 영상의 동적 부분 및/또는 정적 부분을 영상이 아닌 수치 데이터로 변환하는 수단이다. 이 수치화 수단(33)은 사용자의 운동 동작에 따라, 즉 식별 기호 또는 식별 정보에 따라 또는 그것과 상관없이 종래의 영상 인식 방법에 의해 사용자의 운동 동작의 변화를 식별하고, 이 식별된 운동 동작을 분석하여, 각도 및/또는 각속력 등을 획득하여, 이러한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수치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에 사용자 수치 데이터는 동적 부분 및/또는 정적 부분에 대한 수치 데이터를 당연히 포함한다. 하기의 도 5a 내지 5d와 관련하여 상세하게 설명된다.
또한, 분석 수단(34)은 사용자 수치 데이터와 기준 데이터를 비교하여, 그 비교결과를 생성하여 중앙처리장치(35)로 전송한다. 이 비교 결과는 수치 데이터의 각 항목이 비교되고, 비교된 항목 간의 차이를 산출하고, 이러한 산출된 차이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분석 수단(34)은 사용자의 운동 능력 및/또는 영양 상태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종합적인 신체 상태 정보를 중앙처리장치(35)에 제공한다.
다음으로, 중앙처리장치(35)는 통신수단(31)을 통하여 접속된 사용자 단말기(10)로 저장수단(32)에 저장된 유무선 웹페이지를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사용자의 운동 동작 영상(식별 기호 또는 식별정보도 포함할 수 있음) 또는 운동 능력 및/또는 영양 상태를 포함하는 피분석 데이터를 수신하여, 수치화 수단(33)으로 하여금 운동 동작 영상에 대한 사용자 수치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하고, 생성된 사용자 수치 데이터와 저장수단(32)에 저장된 기준 데이터를 분석수단(34)에 전송하여, 분석수단(34)으로부터 비교결과를 수신한다. 이에 중앙처리장치(35)는 비교결과를 포함하는 교정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10)에 제공한다. 또한, 중앙처리장치(35)는 분석수단(34)으로 운동 능력 및/또는 영양 상태를 전송하고, 이에 대한 사용자의 신체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저장수단(32)에 저장된 신체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운동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이 운동 프로그램을 사용자 단말기(10)에 통신수단(31)을 통하여 제공한다. 또한, 중앙처리장치(35)는 사용자 운동 동작 정 보(또는 식별 기호 또는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기준 운동 데이터를 저장수단(32)으로부터 판독하여 사용자 단말기(10)에 제공한다.
이후에는, 운동자세 교정서버(30) 내부의 동작에 대해서는 상세히 설명하지 않으나, 이러한 동작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 익숙한 사람들에게는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교정 시스템의 교정 순서도이다.
자세하게는, 단계(S41)에서, 사용자 단말기(10)는 기저장된 사용자의 운동 영상 및/또는 식별 기호 또는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피분석 데이터를 인터넷(20)을 통하여 운동자세 교정서버(30)로 송신하고, 운동자세 교정서버(30)는 피분석 데이터를 수신한다.
단계(S42)에서, 운동자세 교정서버(30)는 피분석 데이터에 포함된 식별 기호 또는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기저장된 기준 데이터가 있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기준 데이터가 없으면 단계(S43)로 진행하고, 만약 기준 데이터가 있으면 단계(S44)로 진행한다.
단계(S43)에서, 운동자세 교정서버(30)는 전송된 피분석 데이터에 대응하는 기준 데이터가 없으므로, 자세교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다는 내용의 안내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기(10)로 송신하고, 사용자 단말기(10)는 이 안내 메시지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한다.
단계(S44)에서, 운동자세 교정서버(30)는 사용자의 운동 영상을 수치화하여 사용자 수치 데이터를 생성한다.
단계(S45)에서, 운동자세 교정서버(30)는 생성된 사용자 수치 데이터와, 피분석 데이터에 대응하는 기준 데이터를 비교하여, 그 비교결과를 생성한다.
단계(S46)에서, 운동자세 교정서버(30)는 생성된 비교결과를 포함하는 교정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때, 이 교정 데이터는 사용자의 운동 동작에 대응하는 기준 운동 데이터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도 있다.
단계(S47)에서, 운동자세 교정서버(30)는 교정 데이터를 인터넷(20)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10)로 송신하고, 사용자 단말기(10)는 교정 데이터를 수신하여 사용자에 표시한다.
여기서, 단계(S43)는 현재의 순서 이외에도, 단계(S44)와 (S45) 사이에 포함될 수도 있다.
도 5a 내지 5d는 사용자의 운동 모습의 실시예들이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치화 수단(33)은 피분석 데이터에 포함된 사용자 운동 영상에 대하여 식별기호에 따라 동적 부분과 정적 부분을 영상 분석 기법을 통하여 분석한다. 예를 들면, 레그 익스텐션의 경우, 동적 부분은 무릎 이하 부분이 되고, 나머지 부분이 정적부분이 된다.
먼저 동적 부분의 분석을 위해, 수치화 수단(33)은 동적 부분과 정적 부분이 만나는 부분을 일종의 축(X1)(도면에서는 무릎 부분)으로 설정하고, 이 축(X1)에 대하여 운동 동작 또는 운동 부위가 움직이는 각도를 수치화함으로써 동적 부분에 대한 사용자 수치 데이터를 생성한다. 도 5a 및 도 5b에서는, 축(X1)의 수직부 좌측으로의 각도(즉, 다리가 사용자 몸측 외부로 동작하는 부분)(이하에서, '제1각 도'라 함)는 90도이고, 축(X1)의 수직부 우측으로의 각도(즉, 다리가 사용자 몸측으로 동작하는 부분)(이하에서, '제2각도'라 함)는 16도이며, 이 동적 부분에 대한 사용자 수치 데이터는 제1각도와 제2각도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각도는 다리 운동시에 무릎에 무리가 갈 수 있는지를 판단하는 것이고, 제2각도는 사용자의 다리 둘레에 따라 변동가능한 것이다.
또한, 이때 수치화 수단(33)은 각도에 추가하여 사용자의 다리가 반복되는 시간을 산정하여, 각속력을 추가적으로 산정하여 동적 부분에 대한 사용자 수치 데이터에 포함시킬 수도 있다.
다음으로, 정적 부분의 분석을 위해, 수치화 수단(33)은 영상 분석 기법에 의해 소정의 축(X2)(여기서는 귀)을 설정하고, 등부분에 대한 수직 접선을 설정하고, 축(X2)의 수직부와, 등부분의 접점(M1) 간의 각도(이하에서, '제3각도'라 함)를 산정한다. 여기서, 정적 부분에 대한 사용자 수치 데이터는 35도인 제3각도를 포함한다. 이 제3각도는 사용자가 운동시에 과도하게 몸을 앞으로 숙이게 되면 허리에 무리가 되므로, 그에 대한 판단 자료가 된다.
이에, 운동자세 교정서버(30)의 중앙처리장치(35)는 수치화 수단(33)으로부터 동적 부분 및/또는 정적 부분에 대한 사용자 수치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수단(32)으로부터 판독된 기준 데이터와 사용자 수치 데이터를 분석수단(34)으로 전송한다.
도 5c 및 5d는 기준 데이터를 시각화한 도면으로서, 기준 데이터는 동적 부분과 정적 부분에 대한 수치화된 데이터를 포함하며, 예를 들면 제1각도인 (A)는 88도이고, 제2각도인 (B)는 15 내지 47도이고, 제3각도인 (C)는 30도 이하이다. 또한, 기준 데이터는 적절한 각속력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 분석수단(34)은 먼저 동적 부분에 대한 비교를 수행하여, 사용자의 제1각도가 기준 데이터보다 2도 크고, 제3각도가 5도 크다는 비교결과를 중앙처리장치(35)로 송신한다. 이에 중앙처리장치(35)는 사용자에게 제1각도를 2도 낮출 것과 제3각도를 5도 낮출 것에 대한 안내를 포함하는 교정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때, 교정 데이터는 각속력에 대한 비교 결과를 포함하여, 그 각속력의 가감에 대한 안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교정 데이터는 상술된 바와 같이 수치를 포함할 수도 있고, 또한 제1각도를 위한 다리 높이의 수정 사항 및 제3각도를 위한 허리 자세에 대한 사항을 텍스트로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중앙처리장치(35)가 기준운동 데이터를 함께 교정 데이터에 포함시켜, 사용자가 보다 운동자세 교정에 대한 이해를 명확하게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교정 시스템의 다른 서비스 제공의 실시예이다.
자세하게는, 단계(S61)에서, 사용자 단말기(10)는 운동 능력 및/또는 영양 상태를 포함하는 피분석 데이터를 운동자세 교정서버(30)로 인터넷(20)을 통하여 송신하고, 이에 운동자세 교정서버(30)는 피분석 데이터를 수신한다.
단계(S62)에서, 운동자세 교정서버(30)는 피분석 데이터에 포함된 운동 능력 및/또는 영양 상태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신체 상태 정보를 획득한다.
단계(S63)에서, 운동자세 교정서버(30)는 획득된 신체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운동 프로그램을 검색하여, 교정 데이터에 이 운동 프로그램을 포함시켜 인터넷 (20)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10)에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기(10)는 사용자에게 표시한다.
이러한 운동 프로그램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가 자신의 운동 동작 영상을 촬영하여 사용자 단말기(10)를 통하여 운동자세 교정서버(30)로 송신하여, 운동자세 교정서버(30)로부터의 교정 데이터에 따라 운동 동작을 교정할 수도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은 시간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강습료나 부대시간에 대한 부담이 없이 온라인을 통하여 소정의 운동자세에 대한 교정 정보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운동 동작 영상을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이 운동 동작에 대한 수치 데이터를 생성하여 이 수치 데이터를 처리함으로써, 동작이나 부위에 대한 정확한 교정 정보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소정의 운동 동작에 대한 기준 운동 데이터를 제공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이 교정 정보와 함께 이 운동 동작에 대한 정확한 자세 정보를 획득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교정 자세의 제공에 따라 부상의 위험을 감소시키고, 신체의 균형 발달 및 근육 등의 정확한 발달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로부터 운동 능력 및/또는 영양 상태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에 대응하여 운동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기저장된 운동 영상을 포함하는 피분석 데이터를 소정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운동자세 교정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운동자세 교정서버로부터 교정 데이터를 수신하는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피분석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운동 영상과 기준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운동에 대한 비교결과를 포함하는 교정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운동 교정 서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운동자세 교정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자세 교정서버는 상기 운동에 대한 수치 데이터인 기준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운동 영상을 수치화하여 사용자 수치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수치 데이터와 상기 기준 데이터를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운동자세 교정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데이터와 사용자 수치 데이터는 동적 부분 및/또는 정적 부분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운동자세 교정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사용자의 운동을 촬영하는 촬상 수단을 적어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운동자세 교정시스템.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수단은 상기 사용자의 운동에서 정적 부분 및/또는 동적 부분을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운동자세 교정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분석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의 운동에 대한 식별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운동자세 교정서버는 상기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 수치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운동자세 교정시스템.
  7.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수치 데이터와 기준 데이터는 각도 및/또는 각속력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운동자세 교정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자세 교정서버는 상기 사용자의 운동에 대응하는 기준 운동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추가적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운동자세 교정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분석 데이터는 사용자의 운동 능력 및/또는 영양 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운동자세 교정시스템.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자세 교정서버는 상기 사용자의 운동 능력 및/또는 영양 상태에 따라 운동 프로그램을 추가적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운동자세 교정시스템.
KR1020050032081A 2005-04-18 2005-04-18 온라인 운동자세 교정시스템 KR200601097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2081A KR20060109762A (ko) 2005-04-18 2005-04-18 온라인 운동자세 교정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2081A KR20060109762A (ko) 2005-04-18 2005-04-18 온라인 운동자세 교정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9762A true KR20060109762A (ko) 2006-10-23

Family

ID=37615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2081A KR20060109762A (ko) 2005-04-18 2005-04-18 온라인 운동자세 교정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09762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1784B1 (ko) * 2011-07-20 2013-01-11 장우빈 카메라를 이용한 운동 분석평가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WO2016163793A1 (ko) * 2015-04-08 2016-10-13 (주) 프로차일드 개인 트레이닝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WO2017183819A1 (ko) * 2016-04-18 2017-10-26 주식회사 아이들 운동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WO2019216453A1 (ko) * 2018-05-09 2019-11-14 Jeong Gyumin 자세 교정 가이드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45688A (ko) 2018-10-23 2020-05-06 이승욱 테이핑 의복에 의한 건강 관리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을 이용한 건강 관리 방법
KR102304946B1 (ko) * 2020-09-11 2021-09-24 김민종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자세 교정 방법 및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자세 교정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CN117788775A (zh) * 2024-02-28 2024-03-29 广州趣丸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数字人手掌骨骼姿态校正方法、装置、设备及介质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1784B1 (ko) * 2011-07-20 2013-01-11 장우빈 카메라를 이용한 운동 분석평가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WO2016163793A1 (ko) * 2015-04-08 2016-10-13 (주) 프로차일드 개인 트레이닝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WO2017183819A1 (ko) * 2016-04-18 2017-10-26 주식회사 아이들 운동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WO2019216453A1 (ko) * 2018-05-09 2019-11-14 Jeong Gyumin 자세 교정 가이드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45688A (ko) 2018-10-23 2020-05-06 이승욱 테이핑 의복에 의한 건강 관리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을 이용한 건강 관리 방법
KR102304946B1 (ko) * 2020-09-11 2021-09-24 김민종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자세 교정 방법 및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자세 교정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CN117788775A (zh) * 2024-02-28 2024-03-29 广州趣丸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数字人手掌骨骼姿态校正方法、装置、设备及介质
CN117788775B (zh) * 2024-02-28 2024-05-07 广州趣丸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数字人手掌骨骼姿态校正方法、装置、设备及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8333B1 (ko) 혼합 현실 기반 운동 장치를 이용한 팀 트레이닝 시스템
CN108734104B (zh) 基于深度学习图像识别的健身动作纠错方法及系统
US11113988B2 (en) Apparatus for writing motion script, apparatus for self-teaching of motion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KR102050558B1 (ko) 신체 측정 및 성장 곡선을 이용한 어린이 또는 청소년 회원의 회원 관리 시스템
KR101859549B1 (ko) 웨어러블 센서 기반의 동작 훈련 가이드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10039659A1 (en) User-Participating Type Fitness Lecture System and Fitness Training Method Using the Same
KR20060109762A (ko) 온라인 운동자세 교정시스템
EP2203896B1 (en)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ng the viewing configuration of a rendered figure
KR102251315B1 (ko) 운동 트레이닝 시스템
US20210060385A1 (en) Advancement Manager In A Handheld User Device
JP2020174910A (ja) 運動支援システム
JP6959898B2 (ja) 情報処理装置、サポート方法、及びサポートシステム
TWI380837B (zh) Body Muscle Training Feedback System and Method
CN113409651B (zh) 直播健身方法、系统、电子设备、存储介质
JP2020141806A (ja) 運動評価システム
KR102058547B1 (ko) 사용자 대전 방식의 혼합 현실 기반 운동 시스템
KR102259011B1 (ko) 사용자 동작 교정 지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2023168557A (ja) プログラム、方法、情報処理装置
Meleiro et al. Natural user interfaces in the motor development of disabled children
KR102387730B1 (ko) 프로젝션 맵핑을 이용한 사용자 정보 기반 인터페이스 자동 조절 시스템
US20140073383A1 (en) Method and system for motion comparison
KR102095647B1 (ko)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동작 비교장치 및 동작 비교장치를 통한 댄스 비교방법
KR20230005693A (ko) 태그를 사용한 운동관리 헬스케어 서비스 시스템
KR20220070885A (ko) 스마트 트레이닝 시스템과 그 방법
JP2021191356A (ja) 矯正内容学習装置、動作矯正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