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6163793A1 - 개인 트레이닝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개인 트레이닝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6163793A1
WO2016163793A1 PCT/KR2016/003683 KR2016003683W WO2016163793A1 WO 2016163793 A1 WO2016163793 A1 WO 2016163793A1 KR 2016003683 W KR2016003683 W KR 2016003683W WO 2016163793 A1 WO2016163793 A1 WO 201616379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motion
training
exerciser
image
exerci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6/00368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고락곤
한원섭
한지현
김윤주
Original Assignee
(주) 프로차일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프로차일드 filed Critical (주) 프로차일드
Publication of WO201616379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616379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3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physical therapies or activities, e.g. physiotherapy, acupressure or exercising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system for personal training service, and in particular, to provide a training motion image in a terminal possessed by an athlete according to an individual exercise schedule, and to recognize the movement of an athlete following the exercise so that the user can exercise with the correct movement. It relates to a service method.
  •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210269 name of the invention: a customized self-training system; referred to as 'quoting invention' hereinafter).
  • the cited invention is an agent;
  • the customized self-training system comprising a server,
  • the agent sends the user's body information and health status information to the server,
  • the server provides the exercise program to the schedule interface by reflecting the physical information and the health state information.
  • the agent further transmits the target information including the weight to be lost and the period to be lost, exercise result information, and meal information ingested by the user to the server;
  • the server reflects the target information, exercise result information and meal information to readjust the exercise program and schedule to provide the schedule interface
  • the server receives the meal information
  • the schedule interface The schedule interface
  • This invention allows users to edit their own schedules to reflect their own health status, present the type of workout and time of the workout on a daily, weekly, or monthly schedule, and determine whether these exercises were actually performed. It is effective in providing customized exercise programs that manage and reflect the results.
  • the cited invention only presents the schedule, and the user does not know whether the user has exercised according to the schedule at all,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ser cannot perform any management or reschedule unless the user inputs the exercise result and meal information. It is a problem that the correct exercise management is impossible because it is impossible to distinguish the false input from the case that the exercise is not completed input.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ersonal training service method that informs a training motion in an image to solve such a problem, senses the movement of an exerciser, counts only the movement made with the correct motion, and corrects the wrong motion. .
  • the motion count is increased when the training is completed to match the training motion, thereby providing a virtual personal training service method including a training confirmation step in which an exercise is recognized.
  •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member DB for managing the member information, a schedule DB for managing the individual training schedule of each member, and an image DB for storing and managing the training motion image photographing the motion of each training is registered as a member
  • the sensor unit which is worn on the exerciser's body and outputs motion data for sensing the movement of the exerciser, a memory storing reference motion data for each training motion, the motion data sensed by the sensor unit, and the reference motion data stored in the memory.
  • a wearable device including a comparison unit configured to compare the communication unit to determine a correspondence,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configured to perform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terminal,
  • Personal training comprising a communication terminal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server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for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wearable device, and an exercise schedule of an exerciser, and a display unit for outputting a training motion image received from the server.
  • a communication terminal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server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 a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for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wearable device, and an exercise schedule of an exerciser
  • a display unit for outputting a training motion image received from the server.
  •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manages the training schedule but also measures the movements of the athlete, and compares the training motion to count the actual number of exercises according to the consistency so that accurate exercise is achieved, and informs the athlete of the incorrect movement and corrects them.
  • This can be useful, such as getting personal training (PT) directly from a professional trainer.
  • FIG. 1 is a flow chart showing the overall flow of a specific embodiment of a personal training servic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specifically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personal training servi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3 to 6 are explanatory diagrams explaining a personal training servic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Image DB 20 Terminal 21: Display
  • the reference motion data corresponding to the training motion image output in the training motion image output step and the motion recognition step are sensed among the reference motion data obtained by sensing the motion of the trainer in the same way as the motion of the exerciser is sensed.
  • a training check step in which an exercise count is increased when the training is completed in accordance with the training motion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of the motion comparing step, and the exercise is recognized;
  • the member DB that manages the member information, the schedule DB that manages the individual training schedule of each member, and the image DB that stores and manages the training motion images photographing the motion of each training, are configured as smartphones of registered athletes.
  • the server for transmitting the training motion image according to the training schedule set in the terminal such as,
  • a wearable device having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configured to
  • a communication unit communicating with the server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perform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wearable device, an exercise schedule of an exerciser, outputting a training motion image transmitted from the server, and sensing by the wearable device
  • Personal training service system comprising a terminal having a display unit for reconstructing and displaying the data as an image.
  • Figure 1 shows the overall flow of a specific embodiment of a personal training servic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wearable device 30 senses and stores reference motion data of a training motion of a trainer wearing the wearable device 30 for sensing a movement, A preliminary step (S10) in which the photographing apparatus photographs the movement of the trainer to generate a training motion image, and the server 10 managing the exercise schedule for each individual stores the training motion images;
  • An operation comparison step S50 in which the wearable device 30 compares the training motion of the output training motion image with the motion data sensed in the operation recognition step S40 to determine a match;
  • a training check step S60 may be configured in which an exercise count is increased when the training is completed as the operation is matched with the training motion.
  • the server 10 as illustrated in detail in Figure 2, the member DB 11 for managing the member information, and the schedule DB for managing the individual training schedule of each member 12 and an image DB 13 for storing and managing a training motion image capturing the motion of each training, the training motion according to a training schedule set in a terminal 20 such as a smartphone of an athlete registered as a member.
  • a terminal 20 such as a smartphone of an athlete registered as a member.
  • the exerciser terminal 20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22 communicating with the server 10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r an internet network, and a 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23 for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wearable device 30 such as Bluetooth, ANT communication, and the like. And a display unit 21 for displaying an exercise schedule of an athlete and outputting a training motion image received from the server 10, and may be configured as a smartphone, a tab, a tablet PC, a laptop, a PDA, and the like. Do.
  • the wearable device 30 is worn on the human body of the exerciser, and a sensor unit 31 for outputting motion data sensing the movement of the exerciser by a gyro sensor, a gravity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a geomagnetic sensor, and each training motion.
  • a memory 32 storing reference motion data
  • a comparison unit 33 comparing the motion data sensed by the sensor unit 31 with the reference motion data to determine consistency
  • a display unit from the terminal 20.
  • a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34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an ID of a training motion image output through the 21 and to transmit the motion data and the consistency determination information of the comparator 33 to the terminal 20.
  • the comparison unit 33 compares the reference motion data and the motion data in real time in units of one cycle of repeated training motion, and compares the reference motion data rather than the numerical absolute comparison of the data values. It determines the correspondence by comparing a variation pattern of the operation data sensed for the patterning, because it can minimize the correspondence determination error due to the error caused in accordance with the body size of the individual.
  • the exerciser prepares to exercise such as wearing the wearable device 30, and as illustrated in FIG. 3, the exercise is performed by a command such as pressing a start button on the terminal 20.
  • the training motion image of the terminal 20 and the reference motion data of the wearable device 30 may be associated with each other, and the wearable device 30 may be connected.
  • the terminal 20 displays a training motion image on a display device.
  • An output training motion image output step S30 is performed.
  • the wearable device 30 When the exerciser reports the motion, the wearable device 30 performs the motion recognition step S40 of sensing the motion of the exerciser through the sensor unit 31 in real time, and the motion detected by the motion recognition step S40.
  • An operation comparison step (S50) of comparing the data with the training motion of the training motion image output from the terminal 20 and determining the correspondence is performed.
  • the motion comparison step (S50) compares the reference motion data sensed by the motion of the trainer with the motion data of the exerciser to determine consistency, or the motion range set in the output training motion image and the motion recognition step (S40).
  • the motion data may be determined by comparing the motion data sensed in the motion range to be included in the motion range, and the exercise count is increased when the training is completed as the motion is matched with the training motion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of the motion comparison step S50. If the recognized training check step (S60) is carried out and the exercise count is made over the specified number of repetitions, the exercise is completed as shown in FIG. 5 and the exercise schedule can be updated in the server 10. Otherwise, if the exercise count is insufficient As shown in Figure 6, it can be directed to repeat the exercise again.
  • the motion display step (S41) for displaying the motion of the exerciser along with the training motion image by outputting the motion data sensed in the motion recognition step (S40) to the display unit 21 by the terminal 20 Can be configured,
  • a motion correction step S51 for determining a match and displaying a mismatched motion in a training motion image may be configured.
  • the motion correcting step S51 may include a step of inducing a correct motion by displaying a similar degree of each motion of the exerciser for the training mo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Biophys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인별 운동 스케줄에 따라 운동자가 소지한 단말기에서 트레이닝 모션 영상을 제공하고, 이를 따라하는 운동자의 동작을 인식하여 바른 동작으로 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개인 트레이닝 서비스 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개인 트레이닝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본 발명은 개인 트레이닝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개인별 운동 스케줄에 따라 운동자가 소지한 단말기에서 트레이닝 모션 영상을 제공하고, 이를 따라하는 운동자의 동작을 인식하여 바른 동작으로 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개인 트레이닝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개인 트레이닝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들이 제안된바 있으며, 그 대표적인 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10269호 (발명의 명칭 : 맞춤형 셀프 트레이닝 시스템 ; 이하 '인용발명'이라 함)가 있다.
상기 인용발명은 에이전트; 서버;를 포함하는 맞춤형 셀프 트레이닝 시스템에 있어서,
에이전트는 사용자의 신체정보 및 건강상태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고,
서버는 상기 신체정보 및 건강상태 정보를 반영하여 운동 프로그램을 스케쥴 인터페이스로 제공하되,
- 상기 에이전트는 감량할 체중 및 감량할 기간을 포함하는 목표 정보, 운동 결과 정보, 사용자가 섭취한 식사정보를 추가로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 상기 서버는, 상기 목표정보, 운동 결과 정보, 식사정보를 반영하여 상기 운동 프로그램 및 스케쥴을 재조정하여 상기 스케쥴 인터페이스로 제공하며,
- 상기 서버는, 상기 식사 정보를 전송받아서,
상기 재조정된 운동 프로그램에 따른 식단 정보와 상기 식단 정보에 따른 식단을 제공할 수 있는 주변 식당 정보를 제공하며,
- 상기 스케쥴 인터페이스는,
일, 주, 월 단위로 운동시간 및 운동종류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이고, 사용자가 상기 운동시간 및 운동종류를 편집가능한 인터페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셀프 트레이닝 시스템이다.
이러한 인용발명은 사용자가 직접 스케줄을 편집할 수 있도록 하여 자신의 건강 상태를 반영할 수 있도록 하며, 운동 종류 및 운동 시간을 일, 주, 달 단위의 스케줄로 제시하고, 이러한 운동이 실제로 수행되었는지를 관리하고, 그 결과를 반영하는 맞춤형 운동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인용발명은 스케줄만 제시할 뿐이지 자체적으로 사용자가 스케줄대로 운동을 했는지 안 했는지를 전혀 알 수 없어서 사용자가 운동 결과 및 식사 정보를 입력하지 않으면 아무런 관리나 스케줄 재조정 등을 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며, 운동을 하였으나 완료 입력을 하지 않은 경우와 허위로 입력된 것을 구별할 수 없기 때문에 정확한 운동 관리가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트레이닝 모션을 영상으로 알려주고, 운동자의 동작을 센싱하여 정확한 동작으로 운동이 이루어진 것만을 카운트하며, 잘못된 동작을 교정할 수 있는 개인 트레이닝 서비스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운동자의 단말기가 서버로부터 개인별 운동 스케줄에 따른 트레이닝 모션 영상을 전송받는 트레이닝 모션 영상 입력 단계와,
웨어러블 장치를 착용한 운동자가 트레이닝 모션을 따라할 수 있도록 상기 단말기가 트레이닝 모션 영상을 디스플레이부에서 출력하는 트레이닝 모션 영상 출력 단계와,
상기 웨어러블 장치가 운동자의 동작을 센싱하는 동작 인식 단계와,
출력되는 트레이닝 모션 영상의 트레이닝 모션과 상기 동작 인식 단계에서 센싱된 동작 데이터를 상기 웨어러블 장치가 비교하여 일치성을 판단하는 동작 비교 단계와,
상기 동작 비교 단계의 판단에 따라 트레이닝 모션과 일치되는 동작으로 트레이닝 완료 시 운동 카운트가 증가되어 운동이 인정되는 트레이닝 확인 단계가 구성된 가상의 개인 트레이닝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회원정보를 관리하는 회원DB와, 각 회원의 개인별 트레이닝 스케줄을 관리하는 스케줄DB와, 각 트레이닝의 모션을 촬영한 트레이닝 모션 영상을 저장 및 관리하는 영상DB가 구성되어 회원으로 등록된 운동자의 스마트폰과 같은 단말기에 설정된 트레이닝 스케줄에 따라 트레이닝 모션 영상을 전송하는 서버와,
운동자의 인체에 착용되며, 운동자의 움직임을 센싱한 동작 데이터를 출력하는 센서부와, 각 트레이닝 모션별 기준모션 데이터를 저장한 메모리와, 상기 센서부에서 센싱한 동작 데이터와 메모리에 저장된 기준모션 데이터를 비교하여 일치성을 판단하는 비교부와,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하는 근거리통신모듈이 구성된 웨어러블 장치와,
상기 서버와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웨어러블 장치와 근거리 무선 통신하는 근거리통신부와, 운동자의 운동 스케줄을 표시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트레이닝 모션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가 구성 단말기가 구성된 개인 트레이닝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은 트레이닝 스케줄만 관리하는 것이 아니라 운동자의 동작을 실측하고, 트레이닝 모션과 비교하여 일치성에 따라 실질적인 운동 횟수를 카운트하는 것이어서 정확한 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며, 잘못된 동작을 운동자에게 알려주고 교정할 수 있도록 지도할 수 있어서 전문 트레이너에게 직접 PT(Personal Training)을 받는 것과 같은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개인 트레이닝 서비스 방법의 구체적인 실시예의 전체적인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개인 트레이닝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예시하는 구성도.
도3 내지 도6은 본 발명에 의한 개인 트레이닝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는 설명도.
* 도면부호의 설명
10:서버 11:회원DB 12:스케줄DB
13:영상DB 20:단말기 21:디스플레이부
22:통신부 23:근거리통신부 30:웨어러블 장치
31:센서부 32:메모리 33:비교부
34:근거리통신모듈 S10:사전 단계
S20:트레이닝 모션 영상 입력 단계
S30:트레이닝 모션 영상 출력 단계
S40:동작 인식 단계 S41:동작 표시 단계
S50:동작 비교 단계 S51:동작 교정 단계
S60:트레이닝 확인 단계
운동자의 단말기가 서버로부터 개인별 운동 스케줄에 따른 트레이닝 모션 영상을 전송받는 트레이닝 모션 영상 입력 단계와,
웨어러블 장치를 착용한 운동자가 트레이닝 모션을 따라할 수 있도록 상기 운동자의 단말기가 트레이닝 모션 영상을 디스플레이부에서 출력하는 트레이닝 모션 영상 출력 단계와,
상기 웨어러블 장치가 운동자의 동작을 자이로센서, 중력센서, 가속도센서, 지자기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직접 센싱하여 동작을 동작 데이터화 하는 동작 인식 단계와,
상기 운동자의 동작을 센싱한 방식과 동일하게 트레이너의 모션을 센싱하여 동작 데이터화 한 기준모션 데이터 중 상기 트레이닝 모션 영상 출력 단계에서 출력되는 트레이닝 모션 영상에 해당하는 기준모션 데이터와 상기 동작 인식 단계에서 센싱한 동작 데이터의 패턴을 상기 운동자가 착용한 웨어러블 장치가 비교하여 일치성을 판단하는 동작 비교 단계와,
상기 동작 비교 단계의 판단에 따라 트레이닝 모션과 일치되는 동작으로 트레이닝 완료 시 운동 카운트가 증가되어 운동이 인정되는 트레이닝 확인 단계와,
상기 동작 인식 단계에서 센싱된 동작 데이터를 단말기기가 영상으로 재구성하여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운동자의 동작을 표시하는 동작 표시 단계와,
상기 동작 표시 단계에서 표시되는 동작 중 트레이닝 모션에 대한 운동자의 각각의 동작이 유사한 정도를 표시하여 정확한 동작으로 유도하는 단계가 구성된 개인 트레이닝 서비스 방법.
회원정보를 관리하는 회원DB와, 각 회원의 개인별 트레이닝 스케줄을 관리하는 스케줄DB와, 각 트레이닝의 모션을 촬영한 트레이닝 모션 영상을 저장 및 관리하는 영상DB가 구성되어 회원으로 등록된 운동자의 스마트폰과 같은 단말기에 설정된 트레이닝 스케줄에 따라 트레이닝 모션 영상을 전송하는 서버와,
운동자의 인체에 착용되며, 자이로센서, 중력센서, 가속도센서, 지자기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되어 운동자의 움직임을 동작 데이터로 센싱하여 출력하는 센서부와, 상기 운동자의 움직임 센싱과 같은 방식으로 센싱되어 동작 데이터화 된 각 트레이닝 모션별 기준모션 데이터를 저장한 메모리와, 상기 센서부에서 센싱한 동작 데이터와 메모리에 저장된 기준모션 데이터의 패턴을 비교하여 일치성을 판단하는 비교부와,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하는 근거리통신모듈이 구성된 웨어러블 장치와,
상기 서버와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웨어러블 장치와 근거리 무선 통신하는 근거리통신부와, 운동자의 운동 스케줄을 표시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트레이닝 모션 영상을 출력하며, 상기 웨어러블 장치가 센싱한 동작 데이터를 영상으로 재구성하여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된 단말기가 구성된 개인 트레이닝 서비스 시스템.
이러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개인 트레이닝 서비스 방법의 구체적인 실시예의 전체적인 흐름을 도 1로 도시하였다.
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개인 트레이닝 서비스 방법은 움직임을 센싱하는 웨어러블 장치(30)를 착용한 트레이너가 움직이는 트레이닝 모션의 기준모션 데이터를 웨어러블 장치(30)가 센싱하여 저장하고, 이러한 트레이너의 움직임을 촬영장치가 촬영하여 트레이닝 모션 영상을 생성하여 각 개인별로 운동 스케줄을 관리하는 서버(10)가 상기 트레이닝 모션 영상들을 저장하는 사전 단계(S10)와,
운동자의 단말기(20)가 상기 서버(10)로부터 개인별 운동 스케줄에 따른 트레이닝 모션 영상을 전송받는 트레이닝 모션 영상 입력 단계(S20)와,
웨어러블 장치(30)를 착용한 운동자가 트레이닝 모션을 따라할 수 있도록 상기 단말기(20)가 트레이닝 모션 영상을 디스플레이부(21)에서 출력하는 트레이닝 모션 영상 출력 단계(S30)와,
상기 웨어러블 장치(30)가 운동자의 동작을 센싱하는 동작 인식 단계(S40)와,
출력되는 트레이닝 모션 영상의 트레이닝 모션과 상기 동작 인식 단계(S40)에서 센싱된 동작 데이터를 상기 웨어러블 장치(30)가 비교하여 일치성을 판단하는 동작 비교 단계(S50)와,
상기 동작 비교 단계(S50)의 판단에 따라 트레이닝 모션과 일치되는 동작으로 트레이닝 완료 시 운동 카운트가 증가되어 운동이 인정되는 트레이닝 확인 단계(S60)가 구성될 수 있다.
이를 각 구성요소별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서버(10)는 도 2에서 구체적으로 예시한 바와 같이, 회원정보를 관리하는 회원DB(11)와, 각 회원의 개인별 트레이닝 스케줄을 관리하는 스케줄DB(12)와, 각 트레이닝의 모션을 촬영한 트레이닝 모션 영상을 저장 및 관리하는 영상DB(13)가 구성되어 회원으로 등록된 운동자의 스마트폰과 같은 단말기(20)에 설정된 트레이닝 스케줄에 따라 트레이닝 모션 영상을 전송하는 것이며,
상기 운동자의 단말기(20)는 서버(10)와 이동통신망 또는 인터넷망 등을 통해 통신하는 통신부(22)와, 웨어러블 장치(30)와 블루투스, ANT통신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하는 근거리통신부(23)와, 운동자의 운동 스케줄을 표시하고, 상기 서버(10)로부터 전송받은 트레이닝 모션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21)가 구성된 것으로 스마트폰, 탭(Tab), 태블릿PC, 노트북, PDA 등으로 구성 가능하다.
여기에서 웨어러블 장치(30)는 운동자의 인체에 착용되는 것으로 자이로센서, 중력센서, 가속도센서, 지자기센서 등에 의해 운동자의 움직임을 센싱한 동작 데이터를 출력하는 센서부(31)와, 각 트레이닝 모션별 기준모션 데이터를 저장한 메모리(32)와, 상기 센서부(31)에서 센싱한 동작 데이터와 기준모션 데이터를 비교하여 일치성을 판단하는 비교부(33)와, 상기 단말기(20)로부터 디스플레이부(21)를 통해 출력되는 트레이닝 모션 영상의 아이디를 수신하고, 상기 동작 데이터, 상기 비교부(33)의 일치성 판단 정보 등을 단말기(20)로 전송하는 근거리통신모듈(34)이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비교부(33)는 반복되는 트레이닝 모션의 한 사이클 단위로 기준모션 데이터와 동작 데이터를 실시간 비교하며, 데이터 값의 수치적인 절대 비교보다는 기준모션 데이터의 변화 패턴에 대해 센싱되는 동작 데이터의 변화 패턴을 비교하여 일치성을 판단하므로 개인의 신체 사이즈에 따라 발생되는 오차에 의한 일치성 판단 오류를 최소화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웨어러블 장치(30)를 이용한 개인 트레이닝 서비스 방법을 구체적으로 예시하여 설명하면, 운동자의 단말기(20)가 서버(10)로부터 개인별 운동 스케줄에 따른 트레이닝 모션 영상을 전송받는 트레이닝 모션 영상 입력 단계(S20)가 실시되며, 상기 운동자가 웨어러블 장치(30)를 착용하는 등의 운동 준비가 이루어지고, 도 3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단말기(20)에서 시작 버튼을 누르는 등의 명령에 의해 운동을 실시할 때 상기 단말기(20)와 웨어러블 장치(30)가 서로 통신하여 동기화될 수 있어서, 단말기(20)의 트레이닝 모션 영상과 웨어러블 장치(30)의 기준모션 데이터가 연계될 수 있으며, 상기 웨어러블 장치(30)를 착용한 운동자가 트레이닝 모션을 따라할 수 있도록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단말기(20)가 트레이닝 모션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출력하는 트레이닝 모션 영상 출력 단계(S30)가 실시된다.
이를 보고 운동자가 따라서 운동하면 상기 웨어러블 장치(30)가 센서부(31)를 통해 운동자의 동작을 센싱하는 동작 인식 단계(S40)를 실시간으로 실시하고, 상기 동작 인식 단계(S40)에서 센싱한 동작 데이터를 단말기(20)에서 출력되는 트레이닝 모션 영상의 트레이닝 모션과 비교하여 일치성을 판단하는 동작 비교 단계(S50)가 실시되며,
여기에서 상기 동작 비교 단계(S50)는 트레이너의 모션을 센싱한 기준모션 데이터와 운동자의 동작 데이터를 비교하여 일치성을 판단하거나, 출력되는 트레이닝 모션 영상에 설정된 동작 범위와 상기 동작 인식 단계(S40)에서 센싱된 동작 데이터를 비교하여 동작 범위 내에 동작 데이터가 포함됨을 판단하는 것일 수 있고, 상기 동작 비교 단계(S50)의 판단에 따라 트레이닝 모션과 일치되는 동작으로 트레이닝 완료 시 운동 카운트가 증가되어 운동이 인정되는 트레이닝 확인 단계(S60)가 실시되어 지정된 반복 횟수 이상 운동 카운트가 이루어지면 도 5에서와 같이 운동 완료가 되어 서버(10)에 운동 스케줄이 갱신될 수 있는 것이며, 그렇지 못하여 운동 카운트가 부족하면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다시 운동을 반복할 수 있도록 지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작 인식 단계(S40)에서 센싱된 동작 데이터를 단말기(20)기가 영상으로 구성하여 디스플레이부(21)를 통해 출력하여 운동자의 동작을 트레이닝 모션 영상과 함께 표시하는 동작 표시 단계(S41)가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동작 비교 단계(S50)에서 일치성을 판단하여 불일치하는 동작을 트레이닝 모션 영상에서 표시하는 동작 교정 단계(S51)가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동작 교정 단계(S51)는 트레이닝 모션에 대한 운동자의 각각의 동작이 유사한 정도를 표시하여 정확한 동작으로 유도하는 단계가 포함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수 및 모양 그리고 구조 등의 다양한 변형 및 모방할 수 있음은 명백한 사실이며 이러한 변형 및 모방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6)

  1. 운동자의 단말기가 서버로부터 개인별 운동 스케줄에 따른 트레이닝 모션 영상을 전송받는 트레이닝 모션 영상 입력 단계와,
    웨어러블 장치를 착용한 운동자가 트레이닝 모션을 따라할 수 있도록 상기 단말기가 트레이닝 모션 영상을 디스플레이부에서 출력하는 트레이닝 모션 영상 출력 단계와,
    상기 웨어러블 장치가 운동자의 동작을 센싱하는 동작 인식 단계와,
    출력되는 트레이닝 모션 영상의 트레이닝 모션과 상기 동작 인식 단계에서 센싱된 동작 데이터를 상기 웨어러블 장치가 비교하여 일치성을 판단하는 동작 비교 단계와,
    상기 동작 비교 단계의 판단에 따라 트레이닝 모션과 일치되는 동작으로 트레이닝 완료 시 운동 카운트가 증가되어 운동이 인정되는 트레이닝 확인 단계가 구성된 개인 트레이닝 서비스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비교 단계는 트레이너의 모션을 센싱한 기준모션 데이터와 운동자의 동작 데이터를 비교하여 일치성을 판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트레이닝 서비스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인식 단계에서 센싱된 동작 데이터를 단말기기가 영상으로 구성하여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운동자의 동작을 표시하는 동작 표시 단계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트레이닝 서비스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비교 단계에서 일치성을 판단하여 불일치하는 동작을 트레이닝 모션 영상에서 표시하는 동작 교정 단계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트레이닝 서비스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교정 단계는 트레이닝 모션에 대한 운동자의 각각의 동작이 유사한 정도를 표시하여 정확한 동작으로 유도하는 단계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트레이닝 서비스 방법.
  6. 회원정보를 관리하는 회원DB와, 각 회원의 개인별 트레이닝 스케줄을 관리하는 스케줄DB와, 각 트레이닝의 모션을 촬영한 트레이닝 모션 영상을 저장 및 관리하는 영상DB가 구성되어 회원으로 등록된 운동자의 스마트폰과 같은 단말기에 설정된 트레이닝 스케줄에 따라 트레이닝 모션 영상을 전송하는 서버와,
    운동자의 인체에 착용되며, 운동자의 움직임을 센싱한 동작 데이터를 출력하는 센서부와, 각 트레이닝 모션별 기준모션 데이터를 저장한 메모리와, 상기 센서부에서 센싱한 동작 데이터와 메모리에 저장된 기준모션 데이터를 비교하여 일치성을 판단하는 비교부와,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하는 근거리통신모듈이 구성된 웨어러블 장치와,
    상기 서버와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웨어러블 장치와 근거리 무선 통신하는 근거리통신부와, 운동자의 운동 스케줄을 표시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트레이닝 모션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가 구성 단말기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트레이닝 서비스 시스템.
PCT/KR2016/003683 2015-04-08 2016-04-08 개인 트레이닝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WO2016163793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9850A KR101582347B1 (ko) 2015-04-08 2015-04-08 개인 트레이닝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2015-0049850 2015-04-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63793A1 true WO2016163793A1 (ko) 2016-10-13

Family

ID=55164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6/003683 WO2016163793A1 (ko) 2015-04-08 2016-04-08 개인 트레이닝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82347B1 (ko)
WO (1) WO201616379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162987A4 (en) * 2020-06-10 2023-12-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WEARABLE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5255B1 (ko) * 2016-04-18 2022-07-27 (주)아이들 운동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2430305B1 (ko) * 2016-04-18 2022-08-09 (주)아이들 운동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2430306B1 (ko) * 2016-04-18 2022-08-09 (주)아이들 운동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2425256B1 (ko) * 2016-04-18 2022-07-27 (주)아이들 운동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2425254B1 (ko) * 2016-04-18 2022-07-27 (주)아이들 운동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1880198B1 (ko) * 2016-08-19 2018-07-19 최준 스마트밴드를 이용한 운동 프로그램 관리 시스템,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1992113B1 (ko) * 2016-08-31 2019-06-24 (주)그린콤 피트니스 모니터링 시스템
KR101864987B1 (ko) * 2017-03-17 2018-06-07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트레이닝 서비스 제공 단말 및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945339B1 (ko) 2017-11-04 2019-02-07 주식회사 스포츠패나틱 체력 측정 시스템
KR101945338B1 (ko) 2017-11-04 2019-02-07 주식회사 스포츠패나틱 체력 측정 진단에 대한 체력 개선 시스템
KR101859549B1 (ko) * 2017-11-15 2018-05-21 (주)컬처릿 웨어러블 센서 기반의 동작 훈련 가이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102473A (ko) 2018-02-26 2019-09-04 황의재 센서를 이용한 운동자의 움직임 가이드 및 피드백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282092B1 (ko) * 2019-09-10 2021-08-03 장은주 피트니스 및 바이오 데이터 기반 큐레이션 제공방법
KR102245338B1 (ko) * 2019-12-16 2021-04-29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웨어러블 기반 셀프형 운동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20001862A (ko) * 2020-06-30 2022-01-06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모니터링 및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102488560B1 (ko) 2021-02-19 2023-01-12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근감소증 진단 및 훈련 장치 및 방법
CN113304457A (zh) * 2021-04-13 2021-08-27 北京卡路里信息技术有限公司 健身训练的交互方法及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2558A (ko) * 2004-01-07 2005-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웨어러블 컴퓨터 시스템
KR20060109762A (ko) * 2005-04-18 2006-10-23 주식회사 해즈인터내셔널 온라인 운동자세 교정시스템
KR101210269B1 (ko) * 2012-05-29 2012-12-11 주식회사 사마미디어 맞춤형 셀프 트레이닝 시스템
KR101447145B1 (ko) * 2014-03-21 2014-10-06 주식회사 와이즈웰니스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운동 관리 시스템
KR20140133373A (ko) * 2013-05-11 2014-11-19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 운동 패턴을 이용한 모션 인식 기반의 운동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2558A (ko) * 2004-01-07 2005-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웨어러블 컴퓨터 시스템
KR20060109762A (ko) * 2005-04-18 2006-10-23 주식회사 해즈인터내셔널 온라인 운동자세 교정시스템
KR101210269B1 (ko) * 2012-05-29 2012-12-11 주식회사 사마미디어 맞춤형 셀프 트레이닝 시스템
KR20140133373A (ko) * 2013-05-11 2014-11-19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 운동 패턴을 이용한 모션 인식 기반의 운동 시스템 및 방법
KR101447145B1 (ko) * 2014-03-21 2014-10-06 주식회사 와이즈웰니스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운동 관리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162987A4 (en) * 2020-06-10 2023-12-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WEARABLE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2347B1 (ko) 2016-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163793A1 (ko) 개인 트레이닝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1796664B1 (ko) 헬스 트레이닝 시스템
US20150265903A1 (en) Social web interactive fitness training
KR101636759B1 (ko) 심폐소생술 훈련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CN107754225A (zh) 一种智能健身教练系统
KR20190113265A (ko) 헬스케어를 위한 증강현실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헬스케어 시스템
WO201821765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rkerless tracking of subjects
WO2009123396A2 (en) Training apparatus and method based on motion content
KR101367801B1 (ko) 손가락 재활 운동 장치 및 재활 운동 보조 방법
KR20180103280A (ko) 관절 사이의 거리 유사성을 토대로 자세인식을 수행하는 노인전용 운동안내 시스템
KR102221580B1 (ko) 스마트 미러 기반 헬스 트레이닝 코칭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102032681B1 (ko) 운동 기구를 이용한 운동 지도용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US20210060385A1 (en) Advancement Manager In A Handheld User Device
WO2016208893A1 (ko) 사용자 위치 인식에 기반한, 운동 프로그램 제공 및 관리 시스템
KR20210043174A (ko) 운동 코칭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KR102275175B1 (ko) IoT 기술을 활용하여 모든 피트니스 기구에 연동되는 장착형 스마트 짐 통합 솔루션 장치와 그 운영 방법
WO2022050489A1 (ko) 온라인 그룹을 기반으로 하는 홈 트레이닝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059428A (ko) 웨어러블 디바이스 기반의 운동 관리 시스템
CN110477924B (zh) 适应性运动姿态感测系统与方法
WO2014104463A1 (ko) 네츄럴 인터렉션 기반의 건강 및 재활 장치
KR20060109762A (ko) 온라인 운동자세 교정시스템
JP6884306B1 (ja) システム、方法、情報処理装置
WO2018044059A1 (ko) 피트니스 모니터링 시스템
WO2019035586A1 (ko) 자세 가이드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WO2017217567A1 (ko) 피트니스 모니터링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677689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677689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