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9726A - 보청기 호환용 전기음향변환기 및 통신 기기 - Google Patents

보청기 호환용 전기음향변환기 및 통신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9726A
KR20060109726A KR1020050032019A KR20050032019A KR20060109726A KR 20060109726 A KR20060109726 A KR 20060109726A KR 1020050032019 A KR1020050032019 A KR 1020050032019A KR 20050032019 A KR20050032019 A KR 20050032019A KR 20060109726 A KR20060109726 A KR 200601097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ring aid
coil
electroacoustic transducer
frame
prot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2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오수
정현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320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09726A/ko
Publication of KR20060109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97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4Construction, mounting, or centering of coil
    • H04R9/046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25Magnetic circu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dible-Bandwidth Dynamoelectric Transducers Other Than Picku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청기 호환용 전기음향변환기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다이어프램을 진동시키기 위한 보이스 코일 및 보청기의 유도코일에 대응하여 자기장을 형성하기 위한 보조코일을 포함하는 보청기 호환용 전기음향변환기에 있어서, 보조코일에서 발생하는 유도 자기장의 세기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보조코일을 자성체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러한 구조적 특징을 통하여 보청기를 착용한 사용자에게 보다 명확한 음성 전달을 가능하게 하는 전기음향변환기 및 이를 포함하는 통신 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보청기 호환성(HAC), 보이스 코일, 보조코일, 전기음향변환기, 스피커, 자성체

Description

보청기 호환용 전기음향변환기 및 통신 기기 {Electroacoustic transducer for hearing aid compatibility and communications device comprising the same}
도 1은 종래의 일 예에 따른 보청기 호환용 스피커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다른 예에 따른 보청기 호환용 스피커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청기 호환용 전기음향변환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3의 평면도;
도 5는 도 3의 전기음향변환기를 포함하는 구성의 일 예를 전기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6은 자성체 유무에 따른 자기장의 변화를 전기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및
도 7은 도 3의 전기음향변환기를 활용하여 실시한 실험값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전기음향변환기 120 : 프레임
122 : 상부 플레이트 124 : 마그네트
130 : 다이어프램 132 ; 보이스 코일
140 : 보조코일 142 : 자성체
150 : 프로텍터 152 : 음배출공
210 : 음성신호 발생부 220 : 전기음향변환기
232 : 보이스 코일 240 : 보조코일
242 : 자성체 250 : 보청기의 유도코일
종래기술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2-75013호 (2002년 10월 4일 공개)
종래기술 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3-11745호 (2003년 2월 11일 공개)
본 발명은 보청기 호환용 전기음향변환기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다이어프램을 진동시키기 위한 보이스 코일 및 보청기의 유도코일에 대응하여 자기장을 형성하기 위한 보조코일을 포함하는 전기음향변환기에 있어서, 보조코일을 자성체로 지지함으로써 보청기 착용자에게 보다 명확한 음성 전달을 가능하게 하는 전기음향변환기에 관한 것이다.
난청자 또는 청각장애자가 통신 기기를 이용하여 통화를 하고자 하는 경우에, 기존의 일반 스피커를 채택한 휴대폰과 같은 통신 기기는 사용이 불가하며, 일반적으로 난청자 또는 청각장애자들이 보청기를 착용하고 있다는 점에 기초하여, 보청기 호환성(HAC; hearing aid compatibility)을 갖는 스피커를 구비한 휴대폰 등의 통신 기기가 사용된다.
이처럼 보청기 호환성을 구비한 스피커에 관하여 다음과 같은 종래기술들을 인용하여 그 구조를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크레신 주식회사에 의해 출원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2-75013호(2002년 10월 21일 공개)에 나타난 청각장애자용 스피커 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스피커 유닛(10)은 요크(20)에 자석(22)과 자석판(24), 다이어프램(26) 및 유도코일(28)을 내장하고 이들 모든 내장요소들을 다공캡(30)으로 보호한 것에 있어서, 다공캡(30)의 외면 가장자리에 홈(32)을 형성하고, 이 홈에 보조유도코일(34)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에서, 보조유도코일(34)은 유도코일(28)의 유도 신호에 따라 반응하며, 기존의 유도코일(28)에 의한 다이어프램(26)의 진동과 더불어 보조유도코일(34)로부터 제2의 전자기를 발생함으로써 보청기의 유도코일(도시되지 않음)과 작용하여 보청기를 착용한 난청자가 외부와의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도 2는 주식회사 이엠텍에 의해 출원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3-11745호(2003년 2월 11일 공개)에 나타난 양방향 마이크로스피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마이크로스피커(40)는 크게 스피커부(S)와 리시버부(R)의 양면 구조를 가지며, 진동판(44)의 진동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리시 버부(또는 스피커부)의 요크(42) 하단으로 피시비 코일(PCB coil)이나 권선 코일로 형성된 보청기 감지신호 재생용 코일 유니트(50)를 형성시킴으로써, 그 코일 유니트(50)를 통해 리시버부(또는 스피커부)의 전자기력이 증대되며, 증대된 전자기력을 통해 발생되는 전자기파를 보청기에서 감지하여 보청기를 착용한 상태에서도 단말기에서 출력되는 수신음을 정상적으로 청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처럼,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보청기 호환용 스피커들은 보청기 내 유도코일과 작용하는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별도의 코일이 부가된 점에 특징이 있으며, 이를 통하여 보청기를 착용한 난청자가 그러한 종래의 스피커들을 통하여 음성을 더욱 분명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이러한 구조의 스피커에서 보청기의 유도코일과 작용하는 자기장의 세기를 크게 하면 할수록 보청기를 착용한 사용자가 음성을 더욱 분명하게 인식할 수 있으나, 실질적으로 자기장의 세기를 크게 하기 위해서는 코일의 권선 길이를 길게 하거나 코일에 흐르는 전류의 세기를 크게 하여야 한다.
코일의 권선 길이를 크게 한다는 것은 결국 코일이 차지하는 용적을 크게 함으로써, 스피커의 전체 크기의 증가를 가져오게 되며, 이에 최근의 소형화 추세에 부합하지 못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코일에 흐르는 전류의 세기를 크게 한다는 것은 다이어프램에 의해 발생되는 음성의 크기마저 커지는 효과를 가져오게 됨으로, 전류의 세기를 증폭시키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유도 자기장의 세기를 증가시킬 수 있는 전기음향변환기를 제공하 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유도 자기장의 세기를 증가시켜 보청기를 착용한 사용자가 보다 명확하게 음성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 기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수의 음배출공이 형성된 프로텍터와; 프로텍터의 외측 둘레가 지지되며, 프로텍터와 함께 소정의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프레임과;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며, 진동에 의해 음향을 발생하는 다이어프램과; 다이어프램의 하단에 장착되는 보이스 코일과; 보이스 코일에 대응하여 프레임에 장착된 마그네트; 및 마그네트의 상부에 형성되어, 프레임과 함께 마그네트를 지지하는 상부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프레임의 외측에 보청기의 유도코일에 대응하여 자기장을 형성하는 보조코일을 더 포함하고, 보조코일은 자성체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청기 호환용 전기음향변환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보조코일을 지지하는 자성체는 철판 또는 진동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위에서 기술한 전기음향변환기를 포함하는 통신 기기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청기 호환용 전기음향변환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평면도, 그리고 도 5는 도 3의 전기음향변환기를 포함 하는 구성의 일 예를 전기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음향변환기(110)는 다수의 음배출공(152)이 형성된 프로텍터(150)와, 프로텍터의 외측 둘레가 지지되며 프로텍터와 함께 소정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프레임(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전기음향변환기는 프레임(120)에 의해 지지되며, 진동에 의해 음향을 발생하는 다이어프램(130)을 포함하며, 이 다이어프램(130)의 하단에는 보이스 코일(132)이 장착된다. 보이스 코일(132)에 대응하여 프레임(120)의 중앙에 마그네트(124)가 장착되며, 마그네트(124)의 상부에는 상부 플레이트(122)가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전기음향변환기는 보청기 호환용으로 제작되며, 이러한 구성을 위하여, 보청기의 유도코일에 대응하여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보조코일(140)이 프레임(120) 외측에 형성되고, 이러한 보조코일은 철판(steel)과 같은 자성체(142)에 의해 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덧붙여, 보청기의 유도코일은 텔레코일(telecoil)이라 칭해지기도 한다.
즉, 본 발명은 보청기 호환용 전기음향변환기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하여 음향을 출력하는 보이스 코일(132)과 보청기의 유도코일에 대응하여 자기장을 형성하는 보조코일(1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특히 보조코일(140)을 프레임(120) 외측에 형성하고 자성체(142)로 지지함으로써 보청기의 유도코일과 작용하는 유도 자기장의 세기를 증가시킴으로써 보청기를 착용한 사용자가 더욱 명확하게 음성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한 점에 특징이 있다.
이처럼, 보조코일에서 발생하는 유도 자기장의 세기를 증가시키는 방법은 예 컨대, 철, 합금 등과 같은 자성체를 이용하여 보조코일을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는 대부분의 통신 기기에서 전기음향변환기와 함께 사용되고 있는 진동모터 등을 이용하여 보조코일을 지지함으로서 구현할 수 있다. 예컨대, 보조코일에 대하여 보청기의 유도코일과 작용하는 방향의 반대면을 자성체를 이용하여 지지함으로써, 유도코일과 작용하는 자기장의 세기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보청기를 착용한 사용자가 보다 명확하게 음성을 인식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러한 전기적 구성이 도 5에 블록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음향변환기를 포함하는 통신 기기의 일 예를 간략히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며, 전기음향변환기(220)는 보이스 코일(232)의 진동에 의해 진동막을 진동시켜 음향을 발생시키는 음향 발생부와 보조코일(240)로부터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자기장 발생부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전기음향변환기(220)로 음성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음성신호 발생부(210)가 연결된다. 이때, 보조코일(240)은 자성체(242)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보청기의 유도코일(250)과 작용하는 방향으로 실선으로 표시되는 자기장의 세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예컨대, 보조코일에 전류가 흐름으로써 발생하는 자기장에 있어서, 보조코일을 지지하는 자성체를 통하여 자기장이 통과하게 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자성체에 의해 지지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즉, 보청기의 유도코일에 면한 방향)으로 유도 자기장의 세기가 증가될 수 있다.
도면에 따르면, 음성신호 발생부(210)로부터 보이스 코일(232) 및 보조코일 (240)이 서로 병렬로 연결되어 있으며, 보조코일(240)이 자성체(242)에 의해 지지되어 구성된다. 이때, 자성체는 단순한 철판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기존에 휴대폰과 같은 통신 기기에서 사용되는 다른 구성요소(예컨대, 휴대폰을 진동시키기 위한 진동모터 등)를 활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보조코일을 지지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써 별도로 철판 등의 부가 구조물을 추가하는 것에 비하여, 기존의 구성요소(예컨대, 진동모터)를 활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도 6은 자성체의 유무에 따른 자기장의 변화를 비교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6에 따르면, 자성체가 없는 보조코일(240)의 경우 자기장이 보조코일을 중심으로 형성되고, 자성체(242)가 구비된 보조코일(240)의 경우 자기장이 보청기의 유도코일(250)을 향한 방향으로 편향되어 형성된다. 이처럼, 자성체(242)를 구비함으로써 보청기의 유도코일(250)에 면한 방향으로 보조코일(240)에 흐르는 자기장의 세기가 증가될 수 있으며, 이는 자성체를 통해 자기장이 형성됨으로써 자성체의 반대 방향으로 자기장의 세기가 증가하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음향변환기를 적용하여 얻어지는 효과를 실험을 통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 실험은 CCL: HAC-A100/R100의 프로브(probe)를 구비한 스웨덴의 B&K사 테스트 장치를 이용하여 실시되었으며,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보조코일을 자성체(예컨대, 진동모터)로 지지한 것과 그렇지 않은 샘플에 대하여 그 결과를 비교 측정한 것이다.
도 7에서, 가로축은 Hz 단위의 주파수를 그리고 세로축은 dB 단위의 음량 (gain)을 나타내고 있으며, 종래의 샘플은 빨간색으로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샘플은 파란색으로 그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을 살펴보면, 자성체를 구비한 샘플의 음량(파란색 실선)이 자성체를 구비하지 않은 기존 샘플의 음량(빨간색 실선)에 대비하여 대략 2.2 dB의 증가를 가져옴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보조코일을 프레임 외측에 형성하고 진동모터와 같은 자성체로 지지함으로써 보조코일에서 발생하는 유도 자기장의 세기를 보청기의 유도코일에 면한 방향으로 증가시킬 수 있고, 결과적으로 보청기를 착용한 사용자가 더욱 명확한 음성을 전달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음향변환기 및 이를 포함하는 통신 기기는 보청기 호환성(HAC; hearing aid compatibility)을 가지며, 특히 보청기를 착용한 사용자에게 보다 명확히 음성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보청기의 유도코일에 작용하는 자기장을 형성하는 보조코일을 자성체로 지지하도록 한 점에 특징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보청기 호환용 전기음향변환기는 음향을 내는 보이스 코일과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보조코일을 포함하며, 이때 보청기의 유도코일에 작용하는 보조코일을 자성체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따라 보청기를 착용한 사용자가 보다 명확하게 음성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Claims (4)

  1. 다수의 음배출공이 형성된 프로텍터;
    상기 프로텍터의 외측 둘레가 지지되며, 상기 프로텍터와 함께 소정의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며, 진동에 의해 음향을 발생하는 다이어프램;
    상기 다이어프램의 하단에 장착되는 보이스 코일;
    상기 보이스 코일에 대응하여 상기 프레임에 장착된 마그네트; 및
    상기 마그네트의 상부에 형성되어, 프레임과 함께 상기 마그네트를 지지하는 상부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의 외측에 보청기의 유도코일에 대응하여 자기장을 형성하는 보조코일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코일은 자성체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청기 호환용 전기음향변환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는 철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청기 호환용 전기음향변환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는 진동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청기 호환용 전기음향변환기.
  4. 제 1 항에 따른 전기음향변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기기.
KR1020050032019A 2005-04-18 2005-04-18 보청기 호환용 전기음향변환기 및 통신 기기 KR200601097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2019A KR20060109726A (ko) 2005-04-18 2005-04-18 보청기 호환용 전기음향변환기 및 통신 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2019A KR20060109726A (ko) 2005-04-18 2005-04-18 보청기 호환용 전기음향변환기 및 통신 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9726A true KR20060109726A (ko) 2006-10-23

Family

ID=37615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2019A KR20060109726A (ko) 2005-04-18 2005-04-18 보청기 호환용 전기음향변환기 및 통신 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0972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2048B1 (ko) * 2012-08-13 2014-03-07 부전전자 주식회사 보청기 호환용 마이크로스피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5409A (ko) * 2000-02-29 2001-09-07 아키오 스즈끼 전자음향 변환기
KR20010106898A (ko) * 2000-05-24 2001-12-07 박승길 초소형 음향 진동자
KR20020075013A (ko) * 2001-03-23 2002-10-04 크레신 주식회사 청각장애자용 스피커 유닛
KR20030011745A (ko) * 2002-12-23 2003-02-11 주식회사 이엠텍 전자기파가 증대된 이동통신 단말기용 양방향 마이크로스피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5409A (ko) * 2000-02-29 2001-09-07 아키오 스즈끼 전자음향 변환기
KR20010106898A (ko) * 2000-05-24 2001-12-07 박승길 초소형 음향 진동자
KR20020075013A (ko) * 2001-03-23 2002-10-04 크레신 주식회사 청각장애자용 스피커 유닛
KR20030011745A (ko) * 2002-12-23 2003-02-11 주식회사 이엠텍 전자기파가 증대된 이동통신 단말기용 양방향 마이크로스피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2048B1 (ko) * 2012-08-13 2014-03-07 부전전자 주식회사 보청기 호환용 마이크로스피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50838B1 (ko) 원격 통신 장치에서 전기 역학적/전자기 트랜스듀서에의해 자기장의 전파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JP5543933B2 (ja) 改良されたハンドセット型送受話器
KR101092958B1 (ko) 이어셋
JP2002273343A (ja) 振動スピーカの二重マグネット構造
US20160314779A1 (en) Central noise reduction loudspeaker
EP3694221A1 (en) Sound output device, earphone, hearing aid, and mobile terminal device
US9456281B2 (en) Miniature speaker
JP2017153076A (ja) 聴取器用スピーカモジュールおよび聴取器
JP2002058094A (ja) レシーバが結合されたスピーカ
KR20060109725A (ko) 보청기 호환용 전기음향변환기 및 통신 기기
KR20060109726A (ko) 보청기 호환용 전기음향변환기 및 통신 기기
KR100510364B1 (ko) 전자기파가 증대된 이동통신 단말기용 양방향 마이크로스피커
KR101364670B1 (ko) 아마츄어 타입 스피커
KR100359455B1 (ko) 청각장애자용 스피커 유닛
KR100695726B1 (ko) 보청기 호환성을 갖는 전화용 스피커
KR100359447B1 (ko) 청각장애자용 이어폰 마이크
KR100685451B1 (ko)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리시버 유니트
KR200396654Y1 (ko) 피로 감소를 위한 소형 스피커 유닛
KR100817844B1 (ko) 보청기 사용자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용 리시버
KR100616317B1 (ko) 휴대폰용 스피커
JP2004282761A (ja) 音響変換器
KR20020071381A (ko) 진동모터 일체형 스피커
KR200333043Y1 (ko) 진동 스피커
JP3195572U (ja) イヤホン
WO2005046067A1 (en) Mobile telephone having speaker with waterproof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