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5451B1 -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리시버 유니트 - Google Patents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리시버 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5451B1
KR100685451B1 KR1020040047357A KR20040047357A KR100685451B1 KR 100685451 B1 KR100685451 B1 KR 100685451B1 KR 1020040047357 A KR1020040047357 A KR 1020040047357A KR 20040047357 A KR20040047357 A KR 20040047357A KR 100685451 B1 KR100685451 B1 KR 1006854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iver unit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portable mobile
voice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73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66064A (ko
Inventor
최광민
Original Assignee
신기음향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기음향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기음향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473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5451B1/ko
Publication of KR200400660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60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54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54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3/00Transducers having an acoustic diaphragm of magnetisable material directly co-acting with electromagnet
    • H04R13/02Telephone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08Constructional details, e.g. cabinet
    • H04B1/086Portable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3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e.g. telephone hand-sets
    • H04M1/035Improving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by means of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housing, e.g. ribs, walls, resonating chambers or cav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체적으로 직사각형의 형태를 갖도록 하되 세로방향의 길이를 줄여서 공간활용의 효율성을 높이고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부의 크기를 더 크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리시버 유니트에 관한 것으로서,
프레임(frame), 영구자석(magnet), 요크(yoke), 보이스 코일(voice coil), 진동판(diaphragm) 및 그릴(grill)을 포함하여 전체적으로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리시버 유니트에 있어서,
전체적으로 가로의 길이를 12.6± 0.2mm 하고,
세로의 길이를 6.0± 1.2mm를 갖도록 하여 저음분야의 음량이 풍부해지도록 상기 보이스 코일(50)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리시버 유니트{RECEIVER UNIT FOR MOBILE PHONE}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용 전화기의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종래 기술의 휴대용 전화기에 리시버 유니트가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리시버 유니트의 외형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리시버 유니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리시버 유니트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내는 분해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프레임(frame) 20 : 영구자석(magnet)
30 : 요크(yoke) 40 : 플레이트(plate)
50 보이스 코일(voice coil) 60 : 진동판(diaphragm)
70 : 그릴(grill) 71 : 방음구
80 : 그릴 스크린(grill screen)
본 발명은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리시버 유니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를 직사각형으로 구성하여 공간활용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소형화를 이룰 수 있도록 개선한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리시버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라 함은 일반적인 휴대폰, PDA 등을 포함하여 통신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를 의미하는 것이다.
최근에,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는 휴대하기 간편하고 장소에 제약을 거의 받지 않고 통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생활에 편리하고 다방면으로 유익하게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들이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단말기 내부에는 벨소리를 발생시키는 부저(buzzer)와, 수신된 통화음을 발생시키는 리시버(receiver) 및 단말기의 진동을 유발시키는 진동모터(vibration motor)가 장착되어 있다. 그런데, 부저는 알람이나 단선율의 재생만 가능하여 소비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는데 한계가 있었다. 이에 따라, 최근의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들은 부저 대신에 초소형의 마이크로 스피커를 사용하고 있는 추세인데, 스피커의 발음 원리 및 구조 특성상 부저보다 상대적으로 많은 공간을 차지하여 소형화, 박형화에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참고적으로, 스피커와 리시버는 기계적 및 전자기적 구조에는 차이는 없으며, 이들은 전류가 흐르는 도체가 자계속에 있으면 힘을 받는다는 "플레밍의 왼손 법칙"에 의해 공극 사이에 존재하는 보이스 코일에 의해 전기 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것이다. 여러 주파수가 포함된 전류 신호가 보이스 코일에 인가되면 보이스 코일은 전류의 세기와 포함된 주파수에 따라 기계적 에너지를 발생시키고 보이스 코일에 부착되어 있는 다이어프램에 진동을 발생시켜 궁극적으로 사람의 귀가 인지할 수 있도록 음압(音壓)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때, 인간의 귀에 가까이 밀착시켜 사용하며 비교적 낮은 음압을 발생시키는 것들을 흔히 "리시버"라 칭하고, 이와 달리 상대적으로 크기와 음압이 크고 인간의 귀로부터 상당 거리를 두고 사용되는 것들을 "스피커"로 칭한다.
현재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조경향은 소형화와 박형화, 경량화를 지향하여 부품제조업체 또한 이에 적합한 부품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용 전화기의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종래 기술의 휴대용 전화기에 리시버 유니트가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사시도이다.
상기 첨부도면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용 전화기(100)의 전면 케이스(110)에 데이터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120) 및 수신된 통화음이 잘 들리도록 하는 다수 개의 수신공(130)이 형성되고, 그 수신공(130)을 중심으로하여 내측면에는 원형의 하우징(14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140)에는 도넛 형상의 양면테이프(150)가 부착되고, 그 양면테이프(150)에 리시버 유니트(160)가 접착 고정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리시버 유니트(160)가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 다. 통상적으로 종래의 리시버 유니트(160)는 그 직경이 8mm 내지 10mm로 이루어지며, 특별한 경우는 그 직경이 12mm 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부 있다.
결국, 종래 기술에 의한 리시버 유니트(160)를 장착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직경이 10mm 인 경우에 10mm * 10mm 의 공간이 필요하게 된다. 그에 따라 휴대용 전화기(100) 내부의 공간 활용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디스플레이부(120)의 최대 크기가 제한되어 대형화면을 사용하고자 하는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전체적으로 직사각형의 형태를 갖도록 하되 세로방향의 길이를 줄여서 공간활용의 효율성을 높이고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부의 크기를 더 크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리시버 유니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이스 코일의 위치를 조정함에 따라 저음분야의 음량이 풍부해지도록 할 수 있는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리시버 유니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프레임(frame), 영구자석(magnet), 요크(yoke), 보이스 코일(voice coil), 진동판(diaphragm) 및 그릴(grill)을 포함하여 전체적으로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리시버 유니트에 있어서,
전체적으로 가로의 길이를 12.6± 0.2mm 하고,
세로의 길이를 6.0± 1.2mm를 갖도록 하여 저음분야의 음량이 풍부해지도록 상기 보이스 코일(50)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리시버 유니트를 제공한다.
삭제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리시버 유니트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첨부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리시버 유니트의 외형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리시버 유니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리시버 유니트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내는 분해 단면도이다.
상기 첨부도면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리시버 유니트를 설명하면, 전체적으로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가로의 길이는 12.6± 0.2mm 이며, 세로의 길이는 6.0± 1.2mm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첨부도면에서 참조번호 10은 전체적으로 직사각형의 단면을 갖고 중앙부가 관통되도록 형상되며 인서트(insert) 사출된 프레임(frame)을 나타내고, 20은 상기 프레임(10)의 중앙 관통부에 압입되어 전자기장을 발생시키는 도우넛 형태의 영구자석(magnet)을 나타내며, 30은 상기 영구자석(20)의 내부에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위치하는 요크(yoke)를 나타낸다.
또한, 참조번호 40은 상기 영구자석(20)의 상면에 접착되는 플레이트(plate)를 나타내고, 50은 상기 영구자석(20)과 요크(30)의 사이에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위치하여 인가되는 입력전류에 의하여 기전력을 발생시키는 보이스 코일(voice coil)을 나타내며, 60은 상기 보이스 코일(50)과 결합되어 보이스 코일(50)에서 발생된 기전력에 의하여 상하로 진동하여 그 진동에 의하여 음압을 발생시키는 진동판(diaphragm)을 나타낸다.
또한, 참조번호 70은 상기 프레임(10)에 고정되어 내부의 보이스 코일(50) 및 진동판(60)을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관통된 다수의 방음구(71)가 형성된 그릴(grill)을 나타내고, 80은 상기 그릴(70)의 외부에 부착되어 상기 그릴(70)의 방음구(71)를 통해 이물질이 내부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그릴 스크린(grill screen)을 나타낸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리시버 유니트는, 상기 보이스 코일(50)에 전류가 가해지게 되면 상기 영구자석(20)과의 사이에서 "플레밍의 왼손 법칙"에 의해 전기 에너지가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진동판(60)에서 음압이 발생되고 상기 그릴(70)의 방음구(71)를 통해 외부로 발산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리시버 유니트는 결국 종래의 원형으로 이루어진 리시버 유니트에 비하여 작은 공간을 차지하게 된다. 즉, 세로 길이가 대력 6mm를 가짐으로써 종래의 10mm에 비하여 좁은 공간을 차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인해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부의 크기를 더욱 크게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종래 기술에 비하여 세로 방향의 길이가 더 길기 때문에 상기 보이스 코일(5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게 되며, 상기 보이스 코일(50)의 위치를 조정함에 따라 저음분야의 음량이 풍부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된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되는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리시버 유니트는 전체적으로 직사각형의 형태를 갖도록 하되 세로방향의 길이를 줄여서 공간활용의 효율성을 높이고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부의 크기를 더 크게 할 수 있게 됨으로써 소비자들의 대형화면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세로방향의 길이가 길어져서 보이스 코일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저음분야의 음량이 풍부해지도록 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통화음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프레임(frame), 영구자석(magnet), 요크(yoke), 보이스 코일(voice coil), 진동판(diaphragm) 및 그릴(grill)을 포함하여 전체적으로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리시버 유니트에 있어서,
    전체적으로 가로의 길이를 12.6± 0.2mm 하고,
    세로의 길이를 6.0± 1.2mm를 갖도록 하여 저음분야의 음량이 풍부해지도록 상기 보이스 코일(50)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리시버 유니트.
  2. 삭제
KR1020040047357A 2004-06-24 2004-06-24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리시버 유니트 KR1006854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7357A KR100685451B1 (ko) 2004-06-24 2004-06-24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리시버 유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7357A KR100685451B1 (ko) 2004-06-24 2004-06-24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리시버 유니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6064A KR20040066064A (ko) 2004-07-23
KR100685451B1 true KR100685451B1 (ko) 2007-02-23

Family

ID=37356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7357A KR100685451B1 (ko) 2004-06-24 2004-06-24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리시버 유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54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67031B2 (ja) * 2005-12-27 2012-02-01 並木精密宝石株式会社 多機能型振動アクチュエータ
EP3859981A4 (en) * 2018-11-16 2021-11-10 Huawei Technologies Co., Ltd. MOBILE DEVICE
CN113115182A (zh) * 2018-11-16 2021-07-1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6064A (ko) 2004-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8511Y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스피커
CN114554369B (zh) 发声装置和电子设备
KR20150004079A (ko) 밸런스드 아마추어 트랜스듀서의 성능 개선 장치
JP2003111194A (ja) スピーカおよび携帯端末装置
KR100540678B1 (ko) 휴대용 통신 단말장치 및 그에 사용되는 전기 음향 변환기
US10820113B2 (en) Speaker
US20140119591A1 (en) Micro-speaker
KR100394321B1 (ko)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용 양방향 스피커
KR20020003169A (ko) 휴대용 통신 단말기의 수신 유니트
KR100685451B1 (ko)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리시버 유니트
JP2002058094A (ja) レシーバが結合されたスピーカ
KR100413374B1 (ko) 스피커 일체형 리시버
KR200349093Y1 (ko) 두개의 코일을 이용한 골전도 특성을 구비한 체감 진동형마이크로 스피커
JP2002077352A (ja) 携帯端末システム
KR100503011B1 (ko) 소형 스피커
KR20020065419A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양방향 마이크로 스피커
JP6439894B1 (ja) スピーカ湾曲振動板
KR100401000B1 (ko) 리시버가 결합된 스피커
JP2006217518A (ja) 電気音響変換装置
KR100817844B1 (ko) 보청기 사용자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용 리시버
KR200420925Y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스피커의 진동판 고정구조
KR200290891Y1 (ko) 스피커용 하우징
CN115696148A (zh) 扬声器及电子设备
KR100495763B1 (ko) 스피커용 하우징
KR200326984Y1 (ko) 전기-음향변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0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