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5726B1 - 보청기 호환성을 갖는 전화용 스피커 - Google Patents

보청기 호환성을 갖는 전화용 스피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5726B1
KR100695726B1 KR1020050052193A KR20050052193A KR100695726B1 KR 100695726 B1 KR100695726 B1 KR 100695726B1 KR 1020050052193 A KR1020050052193 A KR 1020050052193A KR 20050052193 A KR20050052193 A KR 20050052193A KR 100695726 B1 KR100695726 B1 KR 1006957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frame
hearing aid
yoke
spe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2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32080A (ko
Inventor
김주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블루콤
김주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블루콤, 김주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블루콤
Priority to KR10200500521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5726B1/ko
Publication of KR200601320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20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57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57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10Telephone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3/00Transducers other than those covered by groups H04R9/00 - H04R21/00
    • H04R23/02Transducers using more than one principle simultaneous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02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adapted to be supported entirely by ea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eurosurgery (AREA)
  • Otolaryngology (AREA)
  • Audible-Bandwidth Dynamoelectric Transducers Other Than Picku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레임의 중앙에 배치된 요크의 상부에 마그네트와 플레이트가 상기 요크의 내면과 일정간격을 두고 적층되고, 상기 요크보다 높게 형성된 상기 프레임 외곽에 진동판이 안착되며, 상기 진동판의 밑면에 부착되고 환형으로 감겨진 보이스 코일이 상기 요크와 마그네트 사이의 공간까지 내려오도록 배치된 보청기 호환성을 갖는 전화용 스피커에 있어,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프레임과 일체형으로 연장된 보조 프레임에 상자성체의 폴(pole)에 HAC(Hearing Aid Compatibility) 코일이 감겨진 전자석이 고정되고, 상기 HAC 코일이 상기 스피커의 보이스 코일과 직렬 또는 병렬로 접속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전화용 스피커는 그의 부피 증가를 최소화하면서 보청기 호환성 코일을 구비할 수 있다.
보청기, 호환, 전자석, 휴대전화, 스피커.

Description

보청기 호환성을 갖는 전화용 스피커{Speaker having Hearing Aid Compatibility}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보청기 호환성을 갖는 전화용 스피커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보청기 호환성을 갖는 전화용 스피커의 단면도이다.
도3은 보청기 호환성 수화기의 자계 특성시험에서, - 19 dB을 초과한 유도전압 주파수 응답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4는 보청기 호환성 수화기의 자계 특성시험에서, - 27 dB을 초과한 유도전압 주파수 응답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5는 HAC 코일과 보청기와의 작동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HAC 코일 11 : 폴
12 : 전자석 13 : 보조 프레임
15 : 요크 16 : 마그네트
17 : 플레이트 18 : 프레임
19 : 수평면 20 : 기공
21 : 캡 22 : 밑면
24 : 보이스 코일 25 : 진동판
29 : 증폭수단 30 : 픽업코일
31 : 증폭기 32 : 스피커
33 : 보청기
본 발명은 보청기 호환성을 갖는 전화용 스피커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청각장애인을 위한 보청기를 구성하는 픽업코일(pick up)을 구동시키기에 충분한 강도의 자계를 확보하고, 스피커 및 휴대전화의 두께 확장에 영향을 주지 않고 조립이 용이하도록 HAC 코일의 형상을 개선한 보청기 호환성을 갖는 전화용 스피커에 관한 것이다.
전화기나 헤드셋 등과 같이 귀에 가까이 대고 사용하는 기기들은 통화음이나 기타 음을 듣기 위해, 정상인을 위한 통상의 스피커와 함께 청각장애인을 위한 보청기 호환성 코일이 구비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359447호(2002. 11. 07. 공고)에 개시된 "청각장애자용 스피커 유닛"과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39455호(2002. 11. 07. 공고)에 개시된 "청각장애자용 스피커 유닛"은 다공 캡의 홈에 보조 유도코일이 설치됨으로써 기존의 유도코일에 의한 다이어프램의 진동과 더불어 유도코일의 신호를 되받아 전달하는 제2유도신호에 의하여 신호가 보청기의 유도(픽업)코일에 전달되고 보청기에서 이를 증폭함으로써 난청자가 외부와의 의사소통을 가능케 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3-0059718호(2003. 07. 10. 공개)에 개시된 "양 면 스피커"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443366호(2004. 08. 09. 공고)에 개시된 "양면 스피커 유닛"에도 청각장애인을 위한 보조코일이 구비되어 있으나, 위의 두 가지 경우와 마찬가지로 보조코일(보조 유도코일)은 일정높이를 가지는 고리형상으로 감겨진 형상을 갖는다.
이 때문에 보조코일(보조 유도코일)을 고리형상으로 제조하기 위한 고도의 기술을 필요로 하며, 이렇게 제조된 보조코일을 스피커에 부착하기도 어렵다. 또한, 고리형상으로 감겨지는 보조코일(보조 유도코일)이 보청기의 유도코일(픽업코일)을 구동시키기 위해, 일정강도의 자계를 가져야 하므로 보조코일의 높이가 높아지고, 이로 인해 스피커, 더 나아가서는 스피커가 장착되는 휴대전화 등과 같은 제품의 두께가 커지는 결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보청기 호환성을 갖는 코일의 구조를 단순화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청각장애인이 착용하는 보청기의 픽업코일을 구동시키기에 충분한 강도의 자계(磁界)를 형성시켜 보청기 호환성을 갖는 유도전압 주파수 응답특성을 픽업코일로부터 얻을 수 있어, 보청기를 사용하는 청각장애인도 휴대전화로 상대방과의 원활한 통화가 가능하고, 장거리 통화에서도 수신감도가 좋아지며, 보청기 호환성을 갖는 코일과 이를 구비한 스피커의 부피, 즉 두께가 늘어나는 것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도록 하는 보청기 호환성을 갖는 휴대전화용 스피커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보청기 호환성을 갖는 전화용 스피커는, 프레임의 중앙에 배치된 요크의 상부에 마그네트와 플레이트가 상기 요크의 내면과 일정간격을 두고 적층되고, 상기 요크보다 높게 형성된 상기 프레임 외곽에 진동판이 안착되며, 상기 진동판의 밑면에 부착되고 환형으로 감겨진 보이스 코일이 상기 요크와 마그네트 사이의 공간까지 내려오도록 배치된 보청기 호환성을 갖는 전화용 스피커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프레임과 일체형으로 보조 프레임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 프레임에 상자성체의 폴(pole)에 HAC(Hearing Aid Compatibility) 코일이 감겨진 전자석이 고정되며, 상기 HAC 코일이 상기 스피커의 보이스 코일과 직렬 또는 병렬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HAC 코일의 주변에 형성되는 자계강도는, 강자성체의 폴에 감겨진 HAC 코일의 권선 수에 의해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HAC 코일의 주변에 형성되는 자계강도는, 강자성체의 폴에 감겨진 HAC 코일에 흐르는 음성전류의 세기에 의해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폴에 HAC 코일이 감겨진 전자석은, 보조 프레임과 일체형으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HAC 코일(10)을 채용한 전화기(휴대전화)의 특성, 즉 보청기 호환성 수화기의 자계특성 시험규격에 따른 시험에 의하면, 축방향 자계강도가 측정 축에 따른 방향에서 측정 면에 위치한 축 방향성분은 주파수 1,000 Hz에서 10 dBV의 신호입력에 대하여 1 A/m를 기준으로 시험규격에 의한 위치에서 - 27 dB 이상이어야 한다. 다만, 축방향 성분의 크기가 1 A/m를 기준으로 - 19 dB를 초과하는 주파수 응답에서는 완화가 인정된다.
또한, 반경방향 자계강도는 90도 간격으로 4점 및 수화기의 측정 축에서 16 mm 이상 떨어져 시험한 자계의 반경방향 성분이 1,000 Hz에서 - 10 dBV의 신호입력에 대하여 1 A/m를 기준으로 하여 시험규격에 의한 위치에서 - 27 dB 이상이어야 한다.
그리고, 유도전압의 주파수 응답은 규정에서 시험한 자계의 축방향성분에 따라 시험규격에 의한 프로브 코일에 유도되는 전압의 주파수 응답이 300 Hz 이상 3,300 Hz 이하의 주파수 대역에서 도3 및 도4에 나타내는 허용 범위 내에 있어야 한다.
특히, 시험에 규정에 의해 축방향성분의 크기가 1 A/m를 기준으로 - 19 dB을 초과하는 수화기(휴대전화)는 주파수 응답이 도3에 나타내는 허용범위 내에 있어야 하고, - 19 dB 이하이고 - 27 dB을 초과하는 주파수 응답은 도4에 나타내는 허용범위 내에 있어야 한다.
위에서 언급한 자계강도나 주파수 응답은 현재 시행중인 규정에 의한 것을 예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폴(11)에 감겨진 HAC 코일(10)의 권선 수나 이에 흐르는 음성전류의 세기를 조절함으로써 새롭게 강화된 새로운 규정에도 적극적으로 대처하는 한편 스피커의 높이가 낮아지도록 하는 데에도 기여할 수 있다.
도1 및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보청기 호환성을 갖는 전화용 스피커를 보인 것으로서, 용기 형상의 요크(15) 중앙 상부에 원기둥 형상의 마그네트(16)와 플레이트(17)가 요크(15) 내면과 일정간격을 두고 적층된 상태로, 상기 요크(15)의 외주면 을 감싸면서 이들과 일체형으로 프레임(18)이 형성된다.
위에서 원기둥 형상의 마그네트(16)와 요크(15)의 내면 사이에 일정간격의 공간을 형성시키는 것은 이 공간의 내부로 보이스 코일(24)이 내입되어 마그네트(16)와 플레이트(17) 및 요크(15)에 의해 형성된 자기 폐회로에 대응되는 자기 폐회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플레이트(17)는 마그네트(16)보다 큰 직경을 가지고, 요크(15)의 외곽에 위치한 수평면(19)과 같은 높이를 갖는다. 프레임(18)의 수평면(19)은 진동판(25)의 저주파 영역을 충분히 확보하기 위한 공간으로서, 상기 요크(15) 중 마그네트(16)가 설치되지 않은 공간에는 진동판(25)이 진동할 때 요크(15)와 진동판(25) 사이의 공간으로 공기가 들어오고 나갈 수 있도록 다수의 기공(20)이 천공되어 있다.
이 프레임(18) 수평면(19)의 외곽에는 플레이트(17)를 감쌀 수 있는 진동판(25)이 부착되고, 이 진동판(25)의 밑면에는 환형으로 감겨진 보이스 코일(24)이 부착된다. 이때 진동판(25)의 밑면에 부착된 보이스 코일(24)은 마그네트(17)와 요크(15) 사이에 형성된 공간까지 내려온다.
또한, 수평면(19)의 외곽에는 진동판(25)과 함께 캡(21)이 결합되는데, 이 캡(21)은 스피커의 내부구성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뿐만 아니라, 위와 같이 구성된 스피커에는 보청기를 착용한 청각장애인을 위한 전자석(12)이 부착된다. 이때 전자석(12)이 프레임(18)과 일체형으로 성형된 보조 프레임(13)에 장착된다.
다시 말해, 원통 형상의 상자성체의 폴(11)에 HAC 코일(10)이 감겨진 상태의 전자 석(12)이 프레임(18)과 일체형으로 성형되는 보조 프레임(13)을 성형하는 과정에서 보조 프레임(13)과 일체형으로 성형된다. 물론, 보조 프레임(13)에 전자석(12)을 장착할 수 있는 별도의 장착홈을 구비하고, 스피커를 제조한 후에 조립하거나 전자석(12)이 포함하는 보조 프레임(13)을 프레임(18)에 부착하여 일체형으로 성형할 수도 있다.
이때 스피커의 보이스 코일(24)과 전자석(12)의 HAC 코일(10)은 직렬 또는 병렬 접속될 수 있으며, 이들을 외부와 연결하기 위한 단자가 프레임(18)의 밑면(22)에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전자석(12), 즉 HAC 코일(10)의 주변에 형성되는 자계강도는 강자성체의 폴(11)에 감겨진 HAC 코일(10)의 권선 수나 강자성체의 폴(11)에 감겨진 HAC 코일(10)에 흐르는 음성전류의 세기에 의해 조절된다.
도5는 위에서 설명된 HAC 코일(10)과 보청기(33)와의 작동상태를 보인 것으로서, 보이스 코일에 입력되는 음성전류가 증폭수단(29)에 의해 일정레벨로 증폭된 후 HAC 코일(10)에 인가되면, 음성전류에 의해 HAC 코일(10)의 주변, 즉 청각 장애인의 귀에 장착된 보청기(33) 주변에 자계가 형성된다.
이로 인하여, 보청기(33)의 픽업코일(30)에 자계강도에 대응되게 유도전류가 형성되고, 이 유도전류가 증폭기(31)에 의해 증폭되어 스피커(32)를 구동시킴으로써 청각 장애인은 휴대전화의 스피커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을 들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보청기 호환성을 갖는 코일의 구조를 단순화하였음에도 불구하 고 청각장애인이 착용하는 보청기의 픽업코일을 구동시키기에 충분한 강도의 자계(磁界)를 형성시켜 보청기 호환성을 갖는 유도전압 주파수 응답특성을 픽업코일로부터 얻을 수 있어, 보청기를 사용하는 청각장애인도 휴대전화로 상대방과의 원활한 통화가 가능하고, 장거리 통화에서도 수신감도가 좋아지며, 보청기 호환성을 갖는 코일과 이를 구비한 스피커의 부피, 즉 두께가 늘어나는 것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4)

  1. 삭제
  2. 프레임의 중앙에 배치된 요크의 상부에 마그네트와 플레이트가 상기 요크의 내면과 일정간격을 두고 적층되고, 상기 요크보다 높게 형성된 상기 프레임 외곽에 진동판이 안착되며, 상기 진동판의 밑면에 부착되고 환형으로 감겨진 보이스 코일이 상기 요크와 마그네트 사이의 공간까지 내려오도록 배치된 보청기 호환성을 갖는 전화용 스피커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프레임과 일체형으로 보조 프레임의 형성되고, 상기 보조 프레임에 상자성체의 폴(pole)에 HAC 코일의 권선수 또는 HAC 코일의 흐르는 음성전류의 세기에 의해 HAC 코일의 주변에 형성되는 자계강도가 조절되는 HAC(Hearing Aid Compatibility) 코일이 감겨진 전자석이 고정되며, 상기 HAC 코일이 상기 스피커의 보이스 코일과 직렬 또는 병렬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청기 호환성을 갖는 전화용 스피커.
  3. 삭제
  4. 삭제
KR1020050052193A 2005-06-17 2005-06-17 보청기 호환성을 갖는 전화용 스피커 KR1006957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2193A KR100695726B1 (ko) 2005-06-17 2005-06-17 보청기 호환성을 갖는 전화용 스피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2193A KR100695726B1 (ko) 2005-06-17 2005-06-17 보청기 호환성을 갖는 전화용 스피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2080A KR20060132080A (ko) 2006-12-21
KR100695726B1 true KR100695726B1 (ko) 2007-03-15

Family

ID=37811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2193A KR100695726B1 (ko) 2005-06-17 2005-06-17 보청기 호환성을 갖는 전화용 스피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57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1945B1 (ko) * 2007-08-16 2009-08-13 부전전자 주식회사 보청기 호환용 이동통신 단말기 마이크로 스피커
CN104936107A (zh) * 2015-06-09 2015-09-23 歌尔声学股份有限公司 扬声器装置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2012A (ja) * 1992-04-09 1994-01-28 Philips Gloeilampenfab:Nv 電話受話器のダイナミックレシーバカプセル
KR20020075013A (ko) * 2001-03-23 2002-10-04 크레신 주식회사 청각장애자용 스피커 유닛
KR20020075012A (ko) * 2001-03-23 2002-10-04 크레신 주식회사 청각장애자용 이어폰 마이크
KR20030011745A (ko) * 2002-12-23 2003-02-11 주식회사 이엠텍 전자기파가 증대된 이동통신 단말기용 양방향 마이크로스피커
KR20030059718A (ko) * 2002-01-04 2003-07-10 지에스엠텔레콤(주) 양면 스피커
KR20030087457A (ko) * 2002-05-10 2003-11-14 하영숙 도로 표지판
KR100443366B1 (ko) 2002-02-25 2004-08-09 지에스엠텔레콤(주) 양면 스피커 유닛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2012A (ja) * 1992-04-09 1994-01-28 Philips Gloeilampenfab:Nv 電話受話器のダイナミックレシーバカプセル
KR20020075013A (ko) * 2001-03-23 2002-10-04 크레신 주식회사 청각장애자용 스피커 유닛
KR20020075012A (ko) * 2001-03-23 2002-10-04 크레신 주식회사 청각장애자용 이어폰 마이크
KR20030059718A (ko) * 2002-01-04 2003-07-10 지에스엠텔레콤(주) 양면 스피커
KR100443366B1 (ko) 2002-02-25 2004-08-09 지에스엠텔레콤(주) 양면 스피커 유닛
KR20030087457A (ko) * 2002-05-10 2003-11-14 하영숙 도로 표지판
KR20030011745A (ko) * 2002-12-23 2003-02-11 주식회사 이엠텍 전자기파가 증대된 이동통신 단말기용 양방향 마이크로스피커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30011745 *
2003874570000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2080A (ko) 2006-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2032B1 (ko) 마이크로 스피커
US7577269B2 (en) Acoustic transducer
US20010017922A1 (en) Speaker having a device capable of generating sound and vibration
KR100663118B1 (ko) 스피커와 그 제조방법, 그것을 이용한 휴대전화
US654610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propagation of magnetic fields by electrodynamic/magnetic transducers in telecommunication devices
KR20020073876A (ko) 진동스피커의 이중 마그네트 구조
KR20020085811A (ko) 스피커
KR100872762B1 (ko) 골전도 스피커용 보이스 코일 구조체 및 골전도 스피커
KR20090126193A (ko) 스피커
TWI322626B (ko)
JP2004096670A (ja) スピーカ
KR100695726B1 (ko) 보청기 호환성을 갖는 전화용 스피커
US20120328147A1 (en) Speaker
GB2421140A (en) Stereo speakers combined in a single unit
KR20020003169A (ko) 휴대용 통신 단말기의 수신 유니트
CN1527638B (zh) 电声传感器
JP2012119845A (ja) 電磁型電気音響変換器
KR200432030Y1 (ko) 보청기 호환용 이동통신 단말기 마이크로스피커
KR100510364B1 (ko) 전자기파가 증대된 이동통신 단말기용 양방향 마이크로스피커
KR20060109725A (ko) 보청기 호환용 전기음향변환기 및 통신 기기
KR100291503B1 (ko) 일체형스피커/부저
KR20060099662A (ko) 보청기용 코일과 이와 스피커의 결합구조
KR20060095425A (ko) 보청기 사용자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용 마이크로 스피커
JP3834508B2 (ja) スピーカの磁気回路
US20240073586A1 (en) Two-Way Speak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0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