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9416A - 수전금구 - Google Patents

수전금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9416A
KR20060109416A KR1020060096947A KR20060096947A KR20060109416A KR 20060109416 A KR20060109416 A KR 20060109416A KR 1020060096947 A KR1020060096947 A KR 1020060096947A KR 20060096947 A KR20060096947 A KR 20060096947A KR 20060109416 A KR20060109416 A KR 200601094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d
hot water
main body
faucet
sanit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69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58846B1 (ko
Inventor
윤완중
Original Assignee
윤완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완중 filed Critical 윤완중
Priority to KR10200600969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8846B1/ko
Publication of KR200601094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94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88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88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1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two or more closure members not moving as a unit
    • F16K11/14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two or more closure members not moving as a unit operated by one actuating member, e.g. a hand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전금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장기간 사용하여도 수전금구의 내부에 부식 및 녹이 발생하지 않아 물의 오염이 없음은 물론, 장시간 사용 후에는 케이싱부의 본체 내부를 세척할 수 있도록 된 수전금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수전금구는, 냉,온수 수도배관(211,212)에 연결설치된 케이싱부(110)의 본체(111)로 유입된 냉,온수가 수전금구 카트리지(120)의 조작을 통해서 냉,온수가 상기 본체(111)의 토출수노즐(112)을 통해 선택적으로 토출되도록 되되, 상기 냉,온수 수도배관에서 공급되는 냉,온수가 상기 본체에 설치한 부식되지 않는 각각의 냉,온수위생배관(131,132)을 통해 상기 수전금구 카트리지(120)에 공급되도록 연결 구성되는 한편, 상기 수전금구 카트리지(120)로 공급된 냉,온수는 토출수위생배관(133)을 통해서 상기 본체(111)에 설치된 토출수노즐(112)로 바로 배출되도록 연결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전금구, 냉,온수위생배관, 토출수위생배관

Description

수전금구{WATER SUPPLY VALV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전금구를 설명하는 조립상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도 2의 A방향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전금구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전금구의 캐이싱부를 구성하는 본체를 나타내는 우측면도,
도 6은 도 2의 B - B선 단면도,
도 7은 도 2의 C - C선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체형 배관자재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9는 종래 수전금구 카트리지를 이용하여 온수와 냉수가 토출되도록 한 일반적인 수전금구를 설명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수전금구 110 : 케이싱부
111 : 본체 112 : 토출수노즐
120 : 수전금구 카트리지 131,132 : 냉,온수위생배관
133 : 토출수위생배관 140 : 일체형 배관자재
141 : 하우징 142 : 부시링
143 : 오링 144 : 클립퍼
145 : 고정보울트 150 : 파이프지지홀더
154 : 수전금구 카트리지 고정부재 190 : 다용도함
본 발명은 수전금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장기간 사용하여도 수전금구의 내부에 부식 및 녹이 발생하지 않아 사용기간을 연장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물의 오염이 없음은 물론, 장시간 사용 후에는 케이싱부의 본체 내부를 세척할 수 있도록 된 수전금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면기와 욕조 및 싱크대에 설치되어 물을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단속밸브(이하, 수전금구라 칭함)는 사용자가 손잡이를 회전시키거나 상하조작을 하여 밸브를 열면 수전금구의 토수구를 통해 냉,온수물이 토출되고, 손잡이를 상하조작하거나 회전시키켜 밸브를 잠그면 수전금구의 토수구를 통해 나오던 물의 토출이 차단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수전금구는 대한민국특허청에 등록번호 10-0445456호로 등록된 발명의 명칭이 "냉온수의 온도조절기능을 갖는 수전금구"가 개시되어 있는바,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크게 외장이 되는 케이싱부(10)와, 이 케이싱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취출되는 용수의 단속 및 냉,온수의 온도조절을 수행하는 단속부(20;수전금구 카트리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케이싱부(10)는 냉수와 온수가 유입되고 유입된 냉,온수를 취출하는 토출수노즐(11)을 갖는 본체(12)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냉온수를 목적하는 비율로 혼합하여 용수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레버(13)와, 상기 레버(13)와 본체(12)의 사이에 설치되어 레버(13)에 의해 용수의 단속 및 온도를 조절하는 수전금구 카트리지(20)가 내장되는 위장커버(14)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케이싱부(10)의 본체(12)에는 온수연결구(12a) 및 냉수연결구(12b)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상기 온수연결구와 냉수연결구의 사이에 상기 수전금구 카트리지(20)측으로 냉온수를 각각 구분하여 공급하기 위해 결합홈(16)이 형성되고, 이 결합홈의 바닥면에 온수와 냉수가 유입되는 온/냉입수구(18,19)와, 상기 온/냉입수구(18,19)에서 유입되어 단속부(20)를 통과한 용수가 출수되기 위한 출수구(17)가 토출수노즐(11)과 연통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온수연결구(12a)와 냉수연결구(12b)를 통해 온수와 냉수가 유입되면 상기 수전금구 카트리지(20)를 조작하여 즉, 사용자는 상부측으로 돌출된 손잡이레버(21a)를 레버(13)를 이용하여 조정함으로써 냉수, 온수 또는 적당한 온도의 냉온혼합수를 출탕한다.
그러나 이러한 케이싱부(10)의 본체(12)는 주조를 이용하여 내부가 복잡하게 성형되고, 또 이 본체(12)의 내부로 온수와 냉수가 흐르면서 장기간 사용하게 되면 내부에 부식 및 녹이 발생하여 아무리 좋은 수질의 물을 공급하여도 오염된 물이 수전금구의 토출수노즐(11)를 통해 공급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장기간 사용하여도 내부에 부식 및 녹이 발생하지 않아 사용기간을 연장시 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물의 오염이 없음은 물론, 장시간 사용 후에는 케이싱부의 본체 내부를 세척할 수 있도록 된 수전금구를 제공함에 제1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케이싱부의 본체쪽의 배관을 용이하도록 한 일체형배관자재를 구비한 수전금구를 제공함에 제2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케이싱부의 본체쪽에 세면 및 목욕 용품을 올려 놓아도 떨어지지 않도록 된 수점금구를 제공함에 제3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전금구는, 냉,온수 수도배관에 연결설치된 케이싱부의 본체로 유입된 냉,온수가 수전금구 카트리지의 조작을 통해서 냉,온수가 상기 본체의 토출수노즐을 통해 선택적으로 토출되되, 상기 냉,온수 수도배관에서 공급되는 냉,온수가 상기 본체에 설치한 부식되지 않는 각각의 냉,온수위생배관을 통해 상기 수전금구 카트리지에 공급되도록 연결 구성되는 한편, 상기 수전금구 카트리지로 공급된 냉,온수는 토출수위생배관을 통해서 상기 본체에 설치 된 토출수노즐로 바로 배출되도록 연결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수전금구는, 상기 냉,온수 수도배관과 상기 냉,온수위생배관은 일체형배관자재에 의해 조립되되, 상기 일체형배관자재는, 일단은 상기 냉,온수 수도배관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본체에 연결됨과 더불어 축 중심 방향으로 유체가 흐르도록 관통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으로 일정한 직경과 깊이로 형성된 홈에 일정한 간격으로 삽입된 부시링과, 상기 부시링의 사이에 설치한 오링과, 상기 오링의 후방에 설치한 원형스틸 클립퍼와, 상기 부시링과 오링 및 클립퍼를 일정한 압력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체결된 고정보울트로 구성되는 한편, 상기 고정보울트와 부시링 및 오링과 클립퍼의 축중심으로 상기 냉,온수위생배관이 끼워지면 상기 원형스틸 클립퍼가 상기 냉,온수위생배관이 끼워지는 방향으로 변형되면서 상기 원형스틸 클립퍼의 축방향이동이 제한될 때 상기 냉,온수위생배관도 축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수전금구는, 상기 본체에 고정됨은 물론, 상기 냉,온수위생배관의 단부가 고정되어 냉,온수가 유입되도록 구성됨과 더불어, 상기 토출수위생배관의 단부가 고정되어 냉,온수 또는 혼합수가 배출되는 한편, 타측면으로는 상기 수전금구 카트리지가 고정되도록 된 파이프지지홀더와, 상기 파이프지지홀더에 체결되면서 상기 수전금구 카트리지가 파이프지지홀더에 밀착되어 누수됨을 방지하도록 된 수전금구 카트리지 고정부재와, 상기 수전금구 카트리지에 냉,온수와 혼합수의 토출을 조정하도록 설치된 조정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수전금구는, 상기 본체에 세면 및 목욕 용품을 올려 놓아도 떨어 지지 않도록 된 다용도함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전금구의 구성 및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전금구를 설명하는 조립상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A방향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전금구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전금구의 캐이싱부를 구성하는 본체를 나타내는 우측면도이고, 도 6은 도 2의 B - B선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2의 C - C선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체형 배관자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도 1 및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냉,온수 수도배관(211,212)에 연결설치된 케이싱부(110)의 본체(111)로 유입된 냉,온수가 수전금구 카트리지(120)의 조작을 통해서 냉,온수가 상기 본체(111)에 설치된 토출수노즐(112)을 통해 선택적으로 토출되도록 된 수전금구(100)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수전금구(100)는, 상기 냉,온수 수도배관(211,212)에서 공급되는 냉,온수가 상기 본체(111)에 설치한 부식되지 않는 각각의 냉,온수위생배관(131,132)을 통해 상기 수전금구 카트리지(120)에 공급되도록 연결 구성되는 한편, 상기 수전금구 카트리지(120)로 공급된 냉,온수는 토출수위생배관(133)을 통해서 상기 본체(111)에 설치된 토출수노즐(112)로 바로 배출되도록 연결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냉,온수 수도배관(211,212)과 상기 냉,온수위생배관(131,132)은 일체형배관자재(140)에 의해 조립되되, 상기 일체형배관자재(140)는, 일단은 상기 냉,온 수 수도배관(211,212)과 연결되도록 외주에 나사가 형성되고 타단은 상기 본체(111)에 연결되도록 나사가 형성됨과 더불어 축 중심 방향으로 유체가 흐르도록 관통된 하우징(141)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으로 일정한 직경과 깊이로 형성된 홈(141a)에 일정한 간격으로 삽입된 복수개의 부시링(142)과, 상기 부시링의 사이에 설치한 오링(143)과, 상기 오링의 후방에 설치한 원형스틸 클립퍼(144)와, 상기 부시링과 오링 및 클립퍼를 일정한 압력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체결된 고정보울트(145)로 구성되는 한편, 상기 고정보울트(145)와 부시링(142) 및 오링(143)과 클립퍼(144)의 축중심으로 상기 냉,온수위생배관(131,132)이 끼워지면 상기 원형스틸 클립퍼(144)가 상기 냉,온수위생배관(131,132)이 끼워지는 방향으로 변형되면서 상기 원형스틸 클립퍼(144)의 축방향이동이 제한될 때 상기 냉,온수위생배관(131,132)도 축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되게 된다.
또한 상기 냉,온수 수도배관(211,212)과 일체형배관자재(140)은 조립이 용이하도록 공지의 S니플을 이용하여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하우징(141)은 상기 냉,온수 수도배관(211,212)과 연결되는 쪽으로 즉, S니플과 연결되는 축방향 중심에 육각 또는 사각 렌치자리(146)가 관통구멍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어서 상기 하우징(141)을 본체(111)의 후술하는 조립부(111b,111c)에 체결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상기 홈(141a)과 렌치자리(141b)는 관통구멍(141c)에 의해 축방향으로 연통되게 된다. 또 상기 수도배관(211,212)과 S니플을 매개로 연결되도록 외주에 나사(141d)가 형성되고, 타단은 상기 본체(111)에 연결되도록 나사(141e)가 형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수전금구(100)는, 상기 본체(111)에 고정됨은 물론, 상기 냉,온수위생배관(131,132)의 단부가 고정되어 냉,온수가 유입되도록 구성됨과 더불어, 상기 토출수위생배관(133)의 단부가 고정되어 냉,온수 또는 혼합수가 배출되는 한편, 타측면에는 냉,온수가 선택적으로 토출되는 공지의 상기 수전금구 카트리지(120)가 고정되는 파이프지지홀더(150)와, 상기 파이프지지홀더에 체결되면서 상기 수전금구 카트리지가 파이프지지홀더에 밀착되어 누수됨을 방지하도록 된 수전금구 카트리지 고정부재(154)와, 상기 수전금구 카트리지(120)에 냉,온수와 혼합수의 토출을 조정하도록 조정핸들(160)이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파이프지지홀더(150)는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본체(111)의 관통구멍(111a)내부에 일정한 각도로 돌출 형성된 다수개의 홀더지지부(111h)에 도시되지 않은 나사못으로 설치되도록 형성된 고정구멍(151)과, 상기 냉,온수위생배관(131,132)과 토출수위생배관(133)이 설치되도록 형성된 위생배관설치부(152)와, 상기 관통구멍(111a)에 끼워져 상기 수전금구 카트리지(120)의 하부면과 외주면을 감싸도록 되면서 내주면에 암나사(153a)가 형성된 수용부(15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전금구 카트리지 고정부재(154)는 상기 암나사(153a)에 체결되도록 외주면에 숫나사(154a)가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상기 수전금구 카트리지(120)의 조정핀쪽을 감싸면서 조정핀이 돌출되도록 관통구멍(154b)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파이프지지홀더(150)는 상기 본체(111)의 내부에 끼워지지 않고 본체(111)의 측면에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또 본체(111)의 상부에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본체(111)는 상기 냉,온수위생배관(131,132)과 토출수위생배관(133)을 조립할 수 있도록 좌우측으로 연통된 관통구멍(111a)이 형성된 구조이면서, 후방으로는 상기 냉,온수위생배관(131,132)을 상기 일체형배관자재(140)를 이용하여 상기 냉,온수 수도배관(211,212)과 조립하기 위한 조립부(111b,111c)가 관통구멍(111a)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전방으로는 상기 조립부(111b,111c)와 동일한 선상에 상기 냉,온수위생배관(131,132)을 조립하고 분해하기 용이하도록 조립공(111d,111e)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토출수노즐(112)과 조립되도록 토출수노즐조립부(111f)가 형성되며, 상부에는 상기 토출수노즐조립부(111f)쪽으로 상기 토출수위생배관(131)을 상기 일체형배관자재(140)를 이용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조립공(111g)가 형성된다.
상기 조립공(111d,111e,111g)은 상기 냉,온수위생배관(131,132) 및 토출수위생배관(131)을 일체형배관자재(140)에 조립하고 나서 마감자재(111n)를 끼워서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정리하게 된다.
상기 관통구멍(111a)의 일측 즉, 상기 파이프지지홀더(150)가 설치되지 않는 쪽에는 상기 본체(111)의 관통구멍(111a)내부에 일정한 각도로 돌출 형성된 다수개의 홀더지지부(111h)에 끼워져 관통구멍(111a)을 막도록 된 캡(111k)이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캡(111k)은 사출성형에 의해 성형된 것이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냉,온수위생배관(131,132)과 토출수위생배관(133)의 단부와 상기 파이프지지홀더(150)의 사이에 조립이 용이하도록 공지의 암수부재로 이루어진 연 결구(17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본체(111)와 파이프지지홀더(150) 및 상기 파이프지지홀더(150)와 수전금구 카트리지(120)의 사이에 이중으로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실링(182)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본체(111)에 세면 및 목욕 용품을 올려 놓아도 떨어지지 않도록 된 다용도함(190)이 더 설치되게 되면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상기 다용도함(190)은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111)의 상부에 나사못(191)으로 와셔(192)를 매개로 설치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 고정하는 방법을 변경하여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앞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냉,온수 수도배관에서 공급되는 냉,온수가 본체에 설치한 부식되지 않는 각각의 냉,온수위생배관을 통해 수전금구 카트리지에 공급되도록 연결 구성되는 한편, 수전금구 카트리지로 공급된 냉,온수 는 토출수위생배관을 통해서 본체에 설치된 토출수노즐로 바로 배출되어, 장기간 사용하여도 수전금구의 내부에 부식 및 녹이 발생하지 않아 물의 오염이 없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냉,온수 수도배관과 냉,온수위생배관은 일체형배관자재에 의해 조립되어 냉,온수 수도배관과 냉,온수위생배관의 조립이 매우 간편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케이싱부의 본체에 냉,온수위생배관과 토출수위생배관을 설치함으로서 장시간 사용 후에는 케이싱부의 본체 내부를 세척할 수 있어 위생적으로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파이프지지홀더와 수전금구 카트리지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수전금구 카트리지를 간단하게 본체에 설치할 수 있어서 조립이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본체의 상부에 설치한 다용도함에 의해 다양한 세면 및 목욕 용품을 사용하기가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냉,온수 수도배관(211,212)에 연결설치된 케이싱부(110)의 본체(111)로 유입된 냉,온수가 수전금구 카트리지(120)의 조작을 통해서 냉,온수가 상기 본체(111)의 토출수노즐(112)을 통해 선택적으로 토출되도록 된 수전금구에 있어서,
    상기 냉,온수 수도배관에서 공급되는 냉,온수가 상기 본체에 설치한 부식되지 않는 각각의 냉,온수위생배관(131,132)을 통해 상기 수전금구 카트리지(120)에 공급되도록 연결 구성되는 한편, 상기 수전금구 카트리지(120)로 공급된 냉,온수는 토출수위생배관(133)을 통해서 상기 본체(111)에 설치된 토출수노즐(112)로 바로 배출되도록 연결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금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냉,온수 수도배관과 상기 냉,온수위생배관은 일체형배관자재(140)에 의해 조립되되, 상기 일체형배관자재는, 일단은 상기 냉,온수 수도배관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본체에 연결됨과 더불어 축 중심 방향으로 유체가 흐르도록 관통된 하우징(141)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으로 일정한 직경과 깊이로 형성된 홈에 일정한 간격으로 삽입된 부시링(142)과, 상기 부시링의 사이에 설치한 오링(143)과, 상기 오링의 후방에 설치한 원형스틸 클립퍼(144)와, 상기 부시링과 오링 및 클립퍼를 일정한 압력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체결된 고정보울트(145)로 구성되는 한편, 상기 고정보울트와 부시링 및 오링과 클립퍼의 축중심으로 상기 냉,온수위생배 관이 끼워지면 상기 원형스틸 클립퍼가 상기 냉,온수위생배관이 끼워지는 방향으로 변형되면서 상기 원형스틸 클립퍼의 축방향이동이 제한될 때 상기 냉,온수위생배관도 축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 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금구.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고정됨은 물론, 상기 냉,온수위생배관의 단부가 고정되어 냉,온수가 유입되도록 구성됨과 더불어, 상기 토출수위생배관의 단부가 고정되어 냉,온수 또는 혼합수가 배출되는 한편, 타측면으로는 상기 수전금구 카트리지가 고정되도록 된 파이프지지홀더(150)와, 상기 파이프지지홀더에 체결되면서 상기 수전금구 카트리지가 파이프지지홀더에 밀착되어 누수됨을 방지하도록 된 수전금구 카트리지 고정부재(154)와, 상기 수전금구 카트리지에 냉,온수와 혼합수의 토출을 조정하도록 설치된 조정핸들(1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금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세면 및 목욕 용품을 올려 놓아도 떨어지지 않도록 된 다용도함(190)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금구.
KR1020060096947A 2006-10-02 2006-10-02 수전금구 KR1008588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6947A KR100858846B1 (ko) 2006-10-02 2006-10-02 수전금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6947A KR100858846B1 (ko) 2006-10-02 2006-10-02 수전금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9416A true KR20060109416A (ko) 2006-10-20
KR100858846B1 KR100858846B1 (ko) 2008-09-19

Family

ID=37615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6947A KR100858846B1 (ko) 2006-10-02 2006-10-02 수전금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884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9440B1 (ko) * 2007-06-26 2008-05-15 김홍만 자동 온도조절 급수밸브
KR100837391B1 (ko) * 2007-07-24 2008-06-12 권오선 정수기용 파우셋
KR20190120689A (ko) * 2018-04-16 2019-10-24 케이제이바스컬렉션 주식회사 수전장치용 어댑터 및 이를 적용한 카트리지 유닛
KR102097601B1 (ko) * 2020-01-07 2020-04-06 케이제이바스컬렉션 주식회사 수전장치용 어댑터
KR102160882B1 (ko) * 2019-05-21 2020-09-28 고종애 수전금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0121B1 (ko) 2010-01-26 2011-11-04 주식회사 한도 수전금구용 냉수 및 온수이동관의 체결구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79743A (ja) 2000-03-31 2001-10-10 Toto Ltd 棚付き水栓
JP2002004354A (ja) 2000-06-20 2002-01-09 Toto Ltd 棚付水栓
JP4583586B2 (ja) 2000-12-05 2010-11-17 株式会社ケーブイケー 分岐接続具
KR200327195Y1 (ko) * 2003-05-16 2003-09-19 세림델타 주식회사 수도꼭지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9440B1 (ko) * 2007-06-26 2008-05-15 김홍만 자동 온도조절 급수밸브
KR100837391B1 (ko) * 2007-07-24 2008-06-12 권오선 정수기용 파우셋
KR20190120689A (ko) * 2018-04-16 2019-10-24 케이제이바스컬렉션 주식회사 수전장치용 어댑터 및 이를 적용한 카트리지 유닛
KR102160882B1 (ko) * 2019-05-21 2020-09-28 고종애 수전금구
KR102097601B1 (ko) * 2020-01-07 2020-04-06 케이제이바스컬렉션 주식회사 수전장치용 어댑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8846B1 (ko) 2008-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58128A (en) One-hole mount mixing faucet
EP2145052B1 (en) Swivel joint for faucet
US7198059B2 (en) Apparatus and system for retrofitting water control valves
KR100858846B1 (ko) 수전금구
CA2674419C (en) Cartridge underbody attachment
US6868564B2 (en) Sanitary fitting, particularly kitchen mixer
US7814927B2 (en) Faucet with accessible waterway assembly
US20140034166A1 (en) Water control valve assembly
US8215334B2 (en) Coupling assembly for plumbing fitting
US6457191B2 (en) Dual outlet faucet
US9464415B2 (en) Faucet
US20180258621A1 (en) Fluid mixer tap or valve
US20230106648A1 (en) Sanitary fitting and method for assembling such a sanitary fitting
US20060085908A1 (en) Modular faucet fixture
JP2001026954A (ja) 切り替え弁
US20050138726A1 (en) Modular faucet fixture
KR102341283B1 (ko) 경량 구조를 갖는 수전
US3565112A (en) Means for water conditioning
JP3712216B2 (ja) 湯水混合水栓
US9879407B2 (en) Faucet handle fitting
RU211055U1 (ru) Водопроводный кран-смеситель
AU2009100154A4 (en) Mixer fitting
US11920329B2 (en) Bath faucet system
US20240003124A1 (en) A device for mounting sanitary equipment to a wall and a sanitary installation comprising such a device
JP6485752B2 (ja) 配管用取付け部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