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8482A - 구조물의 하중을 지지하는 박스 빔 - Google Patents

구조물의 하중을 지지하는 박스 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8482A
KR20060108482A KR1020050030895A KR20050030895A KR20060108482A KR 20060108482 A KR20060108482 A KR 20060108482A KR 1020050030895 A KR1020050030895 A KR 1020050030895A KR 20050030895 A KR20050030895 A KR 20050030895A KR 20060108482 A KR20060108482 A KR 200601084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beam
reinforcement
longitudinal
beam structur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0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39044B1 (ko
Inventor
김현수
고성훈
김성윤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308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9044B1/ko
Publication of KR200601084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84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90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90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7/00Sporting games or accessories therefor,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B1/00 - A63B65/00
    • A63B67/02Special golf games, e.g. miniature golf or golf putting games played on putting tracks; putting practice apparatus having an elongated platform as a putting trac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67Golf stance aids, e.g. means for positioning a golfer's feet
    • A63B69/3673Foot inclining aids; Foot wobbl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7/00Sporting games or accessories therefor,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B1/00 - A63B65/00
    • A63B67/02Special golf games, e.g. miniature golf or golf putting games played on putting tracks; putting practice apparatus having an elongated platform as a putting track
    • A63B2067/025Special golf games, e.g. miniature golf or golf putting games played on putting tracks; putting practice apparatus having an elongated platform as a putting track with incorporated means acting on the track surface for varying its topography, e.g. slop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물의 하중을 지지하는 박스 빔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원형관이 구비된 박스 빔 구조를 설계하여 횡 보강 부재의 수량 감소로 인하여 강재 및 작업 공수가 감소하여 생산성이 향상되고, 보강 부재 수량의 감소로 용접선 교차부가 감소되어 응력집중부위가 감소함에 따라 반복되는 외력의 작용에 의한 피로파괴 현상을 방지하는 구조물의 하중을 지지하는 박스 빔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되, 중심부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다각형 변의 일정부위에 다수의 슬롯이 형성되며 박스빔의 일정거리마다 설치되는 다수의 종 보강재와, 상기 종 보강재의 관통홀에 끼워져 용접 고정되는 원형관과, 상기 종 보강재에 교차되도록 슬롯에 끼워져 용접 결합되는 횡 보강재와, 상기 종 보강재와 횡 보강재의 단부에 용접되어 박스 형상을 이루도록 하는 외판으로 구성된 것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박스 빔, 원형관, 종 보강재, 횡 보강재, 휨, 비틀림, 좌굴

Description

구조물의 하중을 지지하는 박스 빔{Box beam structure for improving stiffness and reducing production cost}
도 1 은 종래의 박스 빔 구조 단면 형상을 나타낸 예시도,
도 2 는 종래의 박스 빔 구조의 제작 공정을 나타낸 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강성 향상 및 생산공수 절감 박스 빔 구조의 단면 형상을 나타낸 예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강성 향상 및 생산공수 절감 박스 빔 구조의 제작 공정을 나타낸 예시도,
도 5 는 종래의 박스 빔 구조의 휨, 비틀림, 전단에 대한 강도를 나타낸 예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박스 빔 구조의 휨, 비틀림, 좌굴에 대한 강도를 나타낸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원형 관 (20) : 횡 보강재
(30) : 종 보강재 (31) : 관통홀
(40) : 외판
본 발명은 구조물의 하중을 지지하는 박스 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 교량 및 고층 강구조물 제작시 사용되는 박스 빔 구조로서, 박스 빔 구조의 내부에 원형 파이프를 삽입함으로써 강성 및 강도를 향상하고 생산공수를 절감 할 수 있다.
종래에는 박스 빔(Box beam) 구조를 만들기 위해서는 도 1, 2 에서와 같이 등 간격의 종 보강재(30)(Diagonal stiffener)에 다수의 횡 보강재(20)(longitudinal stiffener)를 끼워 용접하여 내부 보강 구조를 형성하고, 여기에 외판(40)(Side plate)을 용접하여 박스 형태의 빔 구조를 만든다.
상기와 같이 종 보강재(30)에 횡 보강재(20)를 용접하는 경우 횡 보강재(20)가 종 보강재에 원활히 삽입되도록 종 보강재(30)는 슬롯(slot)이 형성되며, 삽입 후 종 보강재(30)와 횡 보강재(20)를 용접하여 내부 보강 구조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횡 보강재(20)는 L형태의 측면종보강재(20a)와, I형태의 상하종보강재(20b)로 나누어진다.
상기 내부 보강 구조를 외판과 용접하는 경우 종 보강재(30)의 용접선과 횡 보강재(20)의 용접선의 교차부가 발생하고 이 부위는 구조적 응력 집중 및 용접부 형상에 따른 응력집중이 중첩되는 부위로 박스 빔 구조에 변동 외력의 작용에 의하 여 사용 중 피로손상이 발생되고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박스 빔 구조의 강성 및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박스 빔 내부에 종 보강재(30) 및 횡 보강재(20)의 개수를 증가시켜야 하나 상기 보강재(20)(30)의 증가로 인하여 용접선 교차부의 수가 증가하고 따라서 응력집중부위가 증가하여 피로손상 확률이 증가하며, 강재 사용량 및 작업공수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원형관이 구비된 박스 빔 구조를 설계하여 횡 보강 부재의 수량 감소로 인하여 강재 및 작업 공수가 감소하여 생산성이 향상되고, 보강 부재 수량의 감소로 용접선 교차부가 감소되어 응력집중부위가 감소함에 따라 반복되는 외력의 작용에 의한 피로파괴 현상을 방지하는 구조물의 하중을 지지하는 박스 빔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되, 중심부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다각형 변의 일정부위에 다수의 슬롯이 형성되며 박스빔의 일정거리마다 설치되는 다수의 종 보강재와,상기 종 보강재의 관통홀에 끼워져 용접 고정되는 원형관과, 상기 종 보강재에 교차되도록 슬롯에 끼워져 용접 결합되는 횡 보강재와, 상기 종 보강재와 횡 보강재의 단부에 용접되어 박스 형상을 이루도록 하는 외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횡 보강재는 원통을 중심으로 상호 대칭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인 구성과 그 작용을 첨부도면에 연계시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은 본 발명의 강성 향상 및 생산공수 절감 박스 빔 구조의 단면 형상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의 강성 향상 및 생산공수 절감 박스 빔 구조의 제작 공정을 나타낸 예시도로서,
본 발명은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되, 중심부에 관통홀(31)이 형성되고 다각형 변의 일정부위에 다수의 슬롯이 형성되며 박스빔의 일정거리마다 설치되는 다수의 종 보강재(30)의 관통홀(31)에 원형관(10)을 끼워 용접 고정하고, 상기 종 보강재(30)의 슬롯에 다수의 횡 보강재(20)를 끼워 원형관(10)의 외면에 용접 고정한 후 상기 종 보강재(30)와 횡 보강재(20)의 단부에 외판을 용접하여 박스형태의 구조물을 형성한다.
상기 횡 보강재(20)는 원형관(10)의 상하에 서로 대칭되게 설치되고, 또한 양측면으로도 더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생산되는 박스의 크기에 따라 상기 종 보강재(30)를 소 정의 간격으로 다수개를 설치하고, 상기 종 보강재(30)를 상호 연결하도록 횡방향으로 연장된 원형관(10)을 종 보강재(30)의 관통홀(31)에 끼워 용접하고, 상기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횡 보강재(20)를 종 보강재(30)의 슬롯에 끼워 원형관(10)에 용접하여 구성한다.
한편 상기 종 보강재(30)는 주로 비틀림에 대한 저항을 하게 되고 횡 보강재(20)는 휨에 대한 저항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박스 빔 구조와 종래의 박스 빔 구조를 실험을 통해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도 5 는 종래의 박스 빔 구조의 휨, 비틀림, 전단에 대한 강도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6 은 본 발명의 박스 빔 구조의 휨, 비틀림, 좌굴에 대한 강도를 나타낸 것으로,
종래의 박스 빔 구조는 1,000×1,000×10,000mm로서, 박스 빔을 구성하는 구성품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L형태의 측면종보강재 : 150×50×10×15t(플랜지길이×웨브길이×플랜지두께×웨브두께)
I형태의 상하종보강재 : 100×10t(플랜지길이×플랜지두께)
외판 : 20t
횡보강재 : 20t
여기서 t는 각 부재의 두께로서 단위는 mm 이다.
한편, 본 발명의 박스 빔 구조는 1,000×1,000×10,000mm 로서, 박스 빔을 구성하는 구성품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개선형상 원형관d900-12t, 횡보강재2개-20t
여기서 t는 각 부재의 두께로서 단위는 mm 이고, D는 원형관의 지름으로 단위는 mm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박스 빔 구조와 종래의 박스 빔 구조에 휨(bending), 비틀림(torsion), 좌굴(linear buckling)을 가했을 경우 나타난 해석결과를 표1 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표 1]
종류 비틀림 좌굴
최대응력 최대변위 최대응력 최대변위 최대하중 단위 1kgf/㎟
종래 박스 빔 45.9 50.5 3.28 0.88 140
개선형상 46.1 44.6 1.76 0.65 1020
상기와 같이 나타난 해석 결과를 통한 본 발명과 종래 발명의 차이점을 표2 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표 2]
종류 부재수/ 감소량,% 용접길이, m/감소량, % 강재무게,ton/감소량,%
종래 박스 빔 33 264 9.78
개선형상 18/46 166/37 9.77/0
상기와 같은 차이점을 통해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박스 빔 구조는 종래의 박스 빔 구조보다 동일한 무게의 강재를 이용하여 실험한 결과, 부재수는 40%이상, 용접선의 길이는 30%이상 감소하고, 동일한 굽힘하중이 작용하는 경우 굽힘 강성이 10%이상 향상되며, 동일한 비틀림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 비틀림 강성이 15% 이상 향상되고, 특히 종 보강재의 좌굴강도는 7배 이상 증가한다. 또한 기둥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도 좌굴 강도는 기존에 비하여 10%이상 임계 작용 하중이 증가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작용에 의한 본 발명의 효과는 원형 파이프에 의해 박스 빔 구조의 횡 보강재의 부재 수를 줄임으로써 생산공수를 절감하고 용접길이가 줄어짐에 따라 응력집중부위가 감소하여 강성 및 강도를 향상시켜주어 반복 외력에 의한 피로손상을 방지해주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2)

  1.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되, 중심부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다각형 변의 일정부위에 다수의 슬롯이 형성되며 박스빔의 일정거리마다 설치되는 다수의 종 보강재와,
    상기 다수의 종 보강재의 관통홀에 끼워져 용접 고정되는 원형관과,
    상기 종 보강재에 교차되도록 종보강재에 형성된 슬롯에 끼워지며 원형관에 용접 결합되는 횡 보강재와,
    상기 종 보강재와 횡 보강재의 단부에 용접되어 박스 형상을 이루도록 하는 외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의 하중을 지지하는 박스 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횡 보강재는 원통을 중심으로 상호 대칭되도록 다수개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의 하중을 지지하는 박스 빔
KR1020050030895A 2005-04-14 2005-04-14 구조물의 하중을 지지하는 박스 빔 KR1011390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0895A KR101139044B1 (ko) 2005-04-14 2005-04-14 구조물의 하중을 지지하는 박스 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0895A KR101139044B1 (ko) 2005-04-14 2005-04-14 구조물의 하중을 지지하는 박스 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8482A true KR20060108482A (ko) 2006-10-18
KR101139044B1 KR101139044B1 (ko) 2012-04-30

Family

ID=37628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0895A KR101139044B1 (ko) 2005-04-14 2005-04-14 구조물의 하중을 지지하는 박스 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904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7044Y1 (ko) * 2014-06-03 2015-05-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보강 유닛
KR20210056704A (ko) * 2019-11-11 2021-05-20 황민욱 지지바의 처짐을 최소화한 쿨링버퍼
KR102292294B1 (ko) * 2020-11-30 2021-08-20 김정 공용중 교량 거더의 휨저항 성능 향상을 위한 강박스 거더 내부 보강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38015A (ja) * 1997-02-24 1998-09-08 J S K:Kk パイプ梁およびパイプ梁を用いた格子状骨組み
JP3504107B2 (ja) * 1997-04-15 2004-03-08 ナカジマ鋼管株式会社 内部補強材付き鋼管の製造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7044Y1 (ko) * 2014-06-03 2015-05-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보강 유닛
KR20210056704A (ko) * 2019-11-11 2021-05-20 황민욱 지지바의 처짐을 최소화한 쿨링버퍼
KR102292294B1 (ko) * 2020-11-30 2021-08-20 김정 공용중 교량 거더의 휨저항 성능 향상을 위한 강박스 거더 내부 보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9044B1 (ko) 2012-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38652A (en) Concrete-filled steel bearing wall
KR100773385B1 (ko) I빔 세그먼트에 고강도 강재를 덧대어 프리스트레스를도입시 i빔 세그먼트 연결 조립용 볼트구멍 천공부를이용한 정밀한 프리스트레스 도입방법
CN107386462B (zh) 单边屈曲约束式钢梁柱连接节点和钢结构建筑
US20230287640A1 (en) Composite deck structure for bridge and bridge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CN105625585A (zh) 屈曲约束钢结构梁柱连接节点和钢结构建筑
KR101139044B1 (ko) 구조물의 하중을 지지하는 박스 빔
JP6065690B2 (ja) 梁端部の接合構造
JP5577676B2 (ja) 柱と梁の溶接接合構造
WO2020160582A1 (de) Tübbing aus bewehrtem beton
KR102114593B1 (ko) 트러스 기제 강관 빔
CN104695623B (zh) 一种轻质钢梁及其结构钢骨架
Al-Thabhawee et al. Experimental study for strengthening octagonal castellated steel beams using circular and octagonal ring stiffeners
KR102076549B1 (ko) Cpi 강재 거더 제작방법
WO2010105594A1 (de) Aus einem einstückigen stahlbauprofil bestehender träger
JP6128058B2 (ja) 梁端部の接合構造
CN210164092U (zh) 横向钢筋焊接与纵向连接筋交叉预埋式墙梁连接节点
CN103061411B (zh) 失稳变形方向可控的支撑及框架
KR101393497B1 (ko) 계단형 강선정착블록
CN217705944U (zh) 副梁架及作业机械
CN109057156B (zh) 一种提高抗扭承载力的混凝土柱的施工方法
CN220377655U (zh) 钢筋混凝土构件用横向钢筋
CN104389374B (zh) 组合密肋板及其制作方法、装配式板柱结构
KR102159395B1 (ko) 강성 재배치를 이용한 강박스 거더의 보수/보강 공법
CN210857523U (zh) 一种错位双层翼缘钢牛腿与钢筋焊接结构
CN204112582U (zh) 组合密肋板及装配式板柱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