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7328A - 촬상 장치, 음성 기록 장치 및 음성 기록 방법 - Google Patents

촬상 장치, 음성 기록 장치 및 음성 기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7328A
KR20060107328A KR1020060030845A KR20060030845A KR20060107328A KR 20060107328 A KR20060107328 A KR 20060107328A KR 1020060030845 A KR1020060030845 A KR 1020060030845A KR 20060030845 A KR20060030845 A KR 20060030845A KR 20060107328 A KR20060107328 A KR 200601073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channel
sound
signal
channe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0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쇼고 가와따
마사미 세끼구찌
야스따까 고따니
도시찌까 우루시바라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073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73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60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04N23/661Transmitting camera control signals through networks, e.g. control via the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Control of means for changing angle of the field of view, e.g. optical zoom objectives or electronic zoom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 Stereophonic System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Obtaining Desirable Characteristics In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 Stereophonic Arrangement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멀티 채널의 음성 기록에 의해 현장감이 높은 음성 재생이 가능하고, 또한 겨냥한 피사체가 발하는 음성을 명료하게 재생 가능하도록 한다. 피사체에 장착된 와이어리스 마이크에서의 수음 신호가, 비디오 카메라(30)에 대하여 무선 송신된다. 비디오 카메라(30)는, 멀티 채널 수음 처리부(35)에서 복수의 마이크로폰(35a∼35d)에 의해 음성을 수음하고, 각 음성 신호에 기초하여 멀티 채널 음성 합성부(37)에서 멀티 채널 음성 신호를 생성한다. 이와 함께, 와이어리스 마이크로부터의 수음 신호를 수신하여, 그 수음 신호를 멀티 채널 음성 합성부(37)에서, 멀티 채널 음성 신호의 1개 이상의 임의의 채널에 할당하고, 각각 임의의 합성비로 합성하여, 촬상 화상 신호와 함께 기록 매체에 기록한다.
비디오 카메라, 멀티 채널, 와이어리스 마이크, 음성 신호, 음성 합성, 마이크로폰, 무선 통신부, 줌 배율

Description

촬상 장치, 음성 기록 장치 및 음성 기록 방법{IMAGING DEVICE, SOUND RECORD DEVICE, AND SOUND RECORD METHOD}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음성 수록 장치와 그 주변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카메라의 사용 형태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비디오 카메라의 주요부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카메라에서의 음성 합성의 수순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도 5는 전파 강도 데이터에 의한 거리 추정 수순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도 6은 렌즈의 줌 배율에 따른 음성 합성 처리의 수순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도 7은 렌즈의 촛점 거리 데이터에 의한 음성 합성 처리의 수순을 도시하는 블로우차트.
도 8은 멀티 채널 수음 처리부에서 생성되는 음성 신호의 지향성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제3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카메라의 주요부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줌 배율이 광각측 영역에 있는 경우의 출력 채널 할당을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줌 배율이 중간 영역에 있는 경우의 출력 채널 할당을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줌 배율이 망원측 영역에 있는 경우의 출력 채널 할당을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비디오 카메라의 줌 동작에 의해서 변화하는 촬영 범위를 도시하는 도면.
도 14는 제3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카메라에서의 음성 합성의 수순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음성 수록 장치
11 : 멀티 채널 수음 처리부
11a∼11d, 21, 35a∼35d : 마이크로폰
12, 23, 36 : 무선 통신부
13, 24, 36a : 안테나
14, 37 : 멀티 채널 음성 합성부
15, 38 : 기록 재생부
16, 39: 제어부
20 : 와이어리스 마이크
22 : 수음 처리부
30: 비디오 카메라
31: 카메라 블록
32: 카메라 신호 처리부
33: 렌즈 컨트롤부
34: 줌 컨트롤부
35: 멀티 채널 수음 처리부
(특허 문헌1) 일본 특허 공개 2003-18543호 공보(단락 번호〔0018〕∼〔0028〕, 도 2)
(특허 문헌2) 일본 특허 공개 2002-223493호 공보(단락 번호〔0026〕∼〔0041〕, 도 1)
본 발명은, 화상을 촬상함과 함께 음성을 수음하여 함께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촬상 장치, 수음 신호를 기록하는 음성 기록 장치 및 음성 기록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음성 신호를 멀티 채널로 수음하여 기록하는 촬상 장치, 음성 기록 장치 및 음성 기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촬상·수음 기능과 화상·음성 기록 기능을 일체화한 비디오 카메 라가 잘 알려져 있다. 이러한 비디오 카메라에서는, 모노럴 신호를 기록·재생하는 경우를 제외하면, 좌측 채널과 우측 채널의 2 채널의 음성 신호를 기록하고, 재생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이 방법에 따르면, 비디오 카메라에 의한 촬상 방향을 향하여 좌우 방향으로의 발음원의 위치 변화에 대해서는 명료하게 기록할 수 있으므로, 재생 시에서 음원의 위치의 좌우 방향에서의 변화를 재현할 수 있지만, 촬영자의 전후 방향의 음장 변화는 명료하게는 재현할 수 없다.
따라서, 최근에는 음성의 현장감의 재현성을 높이기 위해서, 좌우 방향 외에 전후 방향의 수음 신호를 포함해서 멀티 채널로 기록하고, 재생하는 서라운드라고 불리는 입체 음장 재생 시스템이 잘 알려지도록 되어 오고 있다. 그리고, 가정용의 비디오 카메라에서도, 입체 음장을 수음하기 위해서 복수의 마이크로폰이 탑재되도록 되어, 일반 청취자가 촬영해도 손쉽게 입체 음장을 재현할 수 있도록 되어 왔다.
음성을 멀티 채널로 수음하는 종래의 장치의 예로서는, 복수의 마이크로폰으로부터의 복수 채널의 음성 신호와, 이들의 전체 채널의 음성 신호를 1개의 채널에 처리한 신호를 기록하고, 이들을 독립하여 재생 가능하게 한 것에 의해, 현장감이 넘치는 음향 재생을 행할 수 있게 한 비디오 카메라가 있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1 참조).
또한, 전방, 후방, 좌측, 우측에 배치한 4개의 무지향성 마이크로폰과, 이 4개의 무지향성 마이크로폰의 출력으로부터, 45° 간격으로 수평면 내 전체 둘레의 8 방향으로 지향성을 향한 8개의 지향성 마이크로폰의 출력을 합성하는 8개의 제1 내지 제8 합성 수단과, 이 8개의 합성 수단의 출력으로부터 멀티 채널 스테레오 신호를 합성하는 제9 합성 수단을 구비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4개의 무지향성 마이크로폰만으로, 다양한 음장, 다양한 방식의 멀티 채널 스테레오에 대응 가능하게 한 소형이면서 저코스트의 멀티 채널 수음 장치도 있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2 참조).
그러나, 전술한 멀티 채널의 음성 기록이 가능한 비디오 카메라에서는, 겨냥한 피사체가 발하는 음성과 비교하여, 그 주위의 음성이 잘 들리는 상황에서 수음하면, 서라운드 재생 시스템으로 재생해도, 겨냥한 피사체의 음성이 상대적으로 들리기 어렵게 된다. 또한, 겨냥한 피사체가 이동하고 있는 경우, 그 피사체가 발하는 음성이 복수의 채널로 분할되어 녹음되기 때문에, 재생 시의 음상정위(音像定位)가 불명료해진다. 또한 이들의 사태는 비디오 카메라에 한하지 않고, 포터블 녹음 장치 등 음성 기록만 가능한 장치이더라도 발생할 수 있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멀티 채널의 음성 기록에 의해 현장감이 높은 음성 재생이 가능하고, 또한 겨냥한 피사체가 발하는 음성을 명료하게 재생할 수 있게 한 촬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멀티 채널의 음성 기록에 의해 현장감이 높은 음성 재생이 가능하고, 또한 겨냥한 대상물이 발하는 음성을 명료하게 재생할 수 있게 한 음성 기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멀티 채널의 음성 기록에 의해 현장감이 높은 음성 재생이 가능하고, 또한 겨냥한 대상물이 발하는 음성을 명료하게 재생할 수 있게 한 음성 기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화상을 촬상함과 함께 음성을 수음하여 함께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촬상 장치에서, 복수 채널의 음성을 수음하는 수음부와, 외부의 수음 장치로부터 무선 송신된 음성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통신부와, 상기 무선 통신부에 의해 수신된 음성 신호를, 상기 수음부에 의해 수음된 음성 신호 중, 1개 이상의 임의의 채널에 합성하는 음성 합성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가 제공된다.
이러한 촬상 장치에서는, 복수 채널의 음성이 수음부에 의해 수음됨과 함께, 외부의 수음 장치에서 수음되어 무선 송신된 음성 신호가, 무선 통신부에 의해 수신된다. 무선 통신부에 의해 수신된 음성 신호는, 음성 합성부에 의해, 수음부로부터의 복수 채널의 음성 신호 중, 임의의 채널에 합성된다. 이에 의해, 예를 들면 외부의 수음 장치를 촬상 중인 피사체에 근접시켜 설치해 놓음으로써, 그 피사체가 발하는 음성을 임의의 채널의 음성 신호에 합성하여, 기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수음 신호를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음성 기록 장치에서, 복수 채널의 수음 신호의 입력을 유선에 의해 접수하는 음성 입력부와, 외부의 수음 장치로부터 무선 송신된 음성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통신부와, 상기 무선 통신부에 의해 수신된 음성 신호를, 상기 음성 입력부에 입력된 수음 신호 중, 1개 이상의 임의의 채널에 합성하는 음성 합성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기록 장치가 제공된다.
이러한 음성 기록 장치에서는, 복수 채널의 수음 음성이 유선에 의해 음성 입력부에서 접수됨과 함께, 외부의 수음 장치에서 수음되어 무선 송신된 음성 신호가, 무선 통신부에 의해 수신된다. 무선 통신부에 의해 수신된 음성 신호는, 음성 합성부에 의해, 복수 채널의 수음 신호 중, 임의의 채널에 합성된다. 이에 의해, 예를 들면 외부의 수음 장치를 특정한 대상물에 근접시켜 설치해 놓음으로써, 그 대상물이 발하는 음성을 임의의 채널의 수음 신호에 합성하여, 기록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예>
우선, 음성 신호를 멀티 채널로 수음하여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음성 수록 장치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음성 수록 장치와 그 주변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하는 음성 수록 장치(10)는, 멀티 채널의 수음·기록 기능과 함께, 와이어리스 마이크(20)에 의해서 수음되고, 무선 송신된 음성 신호를 수신하여 기록하는 기능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와이어리스 마이크(20)에 의해서 수음된 음성 신호를, 와이어리스 음성 신호라고 호칭한다.
이 음성 수록 장치(10)에서, 멀티 채널 수음 처리부(11)는, 복수의 마이크로폰(11a∼11d)에 의해서 수음된 음성 신호를 각각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멀티 채 널 음성 합성부(14)에 출력한다. 또한, 마이크로폰(11a∼11d)의 각각은, 음성 수록 장치(10)에 내장된 것이어도 되고, 그 외부에 접속된 것이어도 된다. 무선 통신부(12)는, 와이어리스 마이크(20)로부터 송신된 음성 신호(와이어리스 음성 신호)를 안테나(13)를 통하여 수신하여, 멀티 채널 음성 합성부(14)에 출력한다.
멀티 채널 음성 합성부(14)는, 멀티 채널 수음 처리부(11)로부터 보내어진 복수 채널의 음성 신호를, 소정의 멀티 채널 규격에 준한 음성 신호로 변환한다. 예를 들면, 전방의 좌우 및 중앙, 후방의 좌우, 및 서브 우퍼의 각 채널로 구성되는, 소위 51 채널의 멀티 채널 음성 신호로 변환한다. 또한, 무선 통신부(12)로부터의 와이어리스 음성 신호를, 멀티 채널 음성 신호 중, 제어부(16)에 의해 지정된 임의의 1개 이상의 채널(예를 들면 센터 채널)에 합성하고, 합성 후의 음성 신호를 기록 재생부(15)에 출력한다. 또한, 멀티 채널 음성 합성부(14)는, 기록 재생부(15)에 의해서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낸 음성 신호를 복호화하는 기능도 구비하고 있다.
기록 재생부(15)는, 멀티 채널 음성 합성부(14)로부터 출력된 멀티 채널 음성 신호를, 광 디스크나 자기 테이프 등의 기록 매체에 기록한다. 또한, 기록한 음성 신호를 재생하는 것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어부(16)는, 음성 수록 장치(10) 전체를 통괄적으로 제어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유저로부터의 조작 입력 등에 따라서, 멀티 채널 음성 합성부(14)에서의 와이어리스 음성 신호의 합성 채널 할당이나 합성비(0%∼100%)의 제어, 기록 재생부(15)의 기록·재생 동작 제어 등을 행한다.
한편, 와이어리스 마이크(20)에서, 수음 처리부(22)는, 마이크로폰(21)에 의해서 수음된 음성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무선 통신부(23)는, 수음 처리부(22)로부터의 음성 신호(와이어리스 음성 신호)를 안테나(24)를 통하여 무선 송신한다.
이러한 음성 수록 장치(10)에서는, 멀티 채널 음성 신호를 기록 매체에 기록할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전후좌우 방향의 음장이 재현된 현장감이 높은 음성 재생을 행할 수 있다. 이에 덧붙여, 무선 통신부(12)에 의해 수신한 와이어리스 음성 신호를, 멀티 채널 음성 신호의 임의의 채널에 합성할 수 있기 때문에, 재생 시에는 와이어리스 마이크(20)에 의해서 수음한 음성을 명료하게 재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와이어리스 마이크(20)를, 이동하는 인물 등의 대상물에 휴대시키는 등 근접시켜 배치하고, 그 대상물이 발하는 음성을 수음시킴으로써, 음성 수록 장치(10)의 주위의 음성이 대상물이 발하는 음성보다 상대적으로 큰 상황에서 기록한 경우에도, 재생 시에는 대상물이 발하는 음성을 명료하게 들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멀티 채널 음성 합성부(14)에서는, 와이어리스 마이크(20)로부터의 와이어리스 음성 신호를 멀티 채널 음성 신호의 임의의 채널에, 임의의 합성비로 합성할 수 있도록 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와이어리스 음성 신호를 센터 채널에 가장 크게 합성하고, 전방의 좌우 채널에 그것보다 작은 동일 레벨로 합성함으로써, 재생 시에는, 와이어리스 마이크(20)를 장착한 대상물이 발하는 음성의 정위를 한층 명료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합성하는 채널 할당이나 합성비는, 예를 들면 유저의 조작 입력 등에 따라서 임의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대상물이 이동한 경우에는, 그 이동에 따라서 각 채널에 대한 와이어리스 음성 신호의 합성비를 변화시켜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와이어리스 마이크(20)의 안테나(24)로서 무지향성의 것을 이용하고, 음성 수록 장치(10)측에서 수신하는 안테나(13)에 지향성 가변의 것을 이용함으로써, 전파의 도래 방향을 추정할 수 있다. 즉, 대상물과 음성 수록 장치(10)와의 위치 관계가 변화하는 경우, 무선 통신부(12)에서 수신 전파 강도에 기초하여 와이어리스 음성 신호의 도래 방향을 추정하여, 제어부(16)에 방위 정보를 적절하게 출력함으로써, 와이어리스 음성 신호를 할당해야 할 채널이 확정되고, 또한 그 합성비가 적절하게 결정된다.
또한, 지향성 가변 안테나로서는, 예를 들면 어댑티브 어레이 안테나나 다이버시티 방식의 안테나를 사용할 수 있다. 어댑티브 어레이 안테나는 복수의 안테나로 이루어지고, 각 안테나에서 수신한 전파의 진폭과 위상을 독립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안테나의 지향성을 바꾸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는, 무선 통신부(12)에 의해서 안테나(13)를 제어하여 그 지향성의 각도마다 수신되는 무선 신호의 강도를 검출하고, 그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제어부(16)가 전파의 도래 방향을 추정하고 있다. 다이버시티 방식의 안테나에서는, 각각 지향성이 겹치지 않도록 배치된 복수의 지향성 안테나가 이용된다.
또한, 상기 구성의 음성 수록 장치(10)로서는, 예를 들면, 자기 테이프나 MD(Mini Disc, 등록 상표) 등에 수음 음성을 기록하는 휴대형 레코더나, 방송국이나 콘서트 회장 등에서 다수의 수음 신호의 입력을 받아 합성하고, 기록하는 거치 형의 레코더 등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와이어리스 마이크(20)와 음성 수록 장치(10) 사이의 음성 신호의 무선 통신 방식으로서는, 예를 들면 블루투스(Bluetooth)나 무선 LAN(Local Area Network), FM 변조 방식, 적외선 통신 방식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다음으로, 멀티 채널 음성 신호를 촬상 화상 신호와 함께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비디오 카메라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카메라의 사용 형태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여기서는, 피사체로 되는 인물(1)이 상기 와이어리스 마이크(20)를 장착하고 있다. 그리고, 이 와이어리스 마이크(20)로부터 송신된 와이어리스 음성 신호가, 촬영자(2)가 들고 있는 비디오 카메라(30)에 의해 수신되고, 이 비디오 카메라(30) 자체의 마이크로폰에서 수음된 멀티 채널 음성에 와이어리스 음성 신호가 합성되어 기록된다. 이에 의해, 인물(1)과의 거리가 떨어져 있는 경우 그 주위의 음성 레벨이 인물(1)의 음성과 비교하여 크다고 하는 상황에서 촬상·수음한 화상·음성 신호라도, 그 재생 시에는 인물(1)의 음성을 명료하게 알아들을 수 있게 된다.
도 3은, 비디오 카메라(30)의 주요부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하는 비디오 카메라(30)는, 카메라 블록(31), 카메라 신호 처리부(32), 렌즈 컨트롤부(33), 줌 컨트롤부(34), 멀티 채널 수음 처리부(35), 무선 통신부(36), 안테나(36a), 멀티 채널 음성 합성부(37), 기록 재생부(38), 및 제어부(39)를 구비하고 있다.
이 비디오 카메라(30)에서, 카메라 블록(31), 카메라 신호 처리부(32), 렌즈 컨트롤부(33), 및 줌 컨트롤부(34)는, 촬상 기능에 관한 블록이다. 카메라 블록(31)은, 피사체로부터의 입사광을 받는 렌즈나 셔터, 아이리스 기구, 촬상 소자 등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 카메라 블록(31)은 줌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카메라 신호 처리부(32)는, 카메라 블록(31)의 촬상 소자로부터의 출력 화상 신호에 대하여, 디지털 변환 처리나 소정의 화질 보정 처리, 압축 부호화 처리를 실시하여, 기록 재생부(38)에 출력한다. 또한, 기록 재생부(38)에 의해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낸 화상 신호를 신장 부호화하는 기능도 구비하고 있다.
렌즈 컨트롤부(33)는, 카메라 블록(31)의 동작을 제어하는 블록으로서, 카메라 신호 처리부(32)로부터 공급된 촬상 화상 신호에 기초하여 자동적으로 초점을 맞추는 오토 포커스 기능이나, 줌 컨트롤부(34)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줌 배율을 제어하는 기능 등을 구비하고 있다. 줌 컨트롤부(34)는, 줌 레버 등의 조작에 의해서 비디오 카메라(30)의 조작자가 임의의 줌 배율을 선택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한편, 멀티 채널 수음 처리부(35), 무선 통신부(36), 및 멀티 채널 음성 합성부(37)는, 수음 기능에 관한 블록으로서, 각각 도 1에 도시한 멀티 채널 수음 처리부(11), 무선 통신부(12), 멀티 채널 음성 합성부(14)에 대응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즉, 마이크로폰(35a∼35d)에 의해 수음한 수음 신호가, 멀티 채널 수음 처리부(35)에서 소정의 멀티 채널 규격에 준한 멀티 채널 신호(예를 들면 5.1 채널 신호)로 변환된다. 또한, 와이어리스 마이크(20)로부터의 와이어리스 음성 신호는 안테나(36a)를 통하여 무선 통신부(36)에 수신되고, 그 와이어리스 음성 신호가 멀티 채널 음성 합성부(37)에 의해, 소정의 채널의 음성 신호에 합성된다.
기록 재생부(38)는, 카메라 신호 처리부(32)로부터의 화상 신호와 멀티 채널 음성 합성부(37)로부터의 멀티 채널 음성 신호를 다중화하여, 자기 테이프나 광 디스크 등의 소정의 기록 매체에 기록한다. 또한, 기록한 신호를 읽어내어, 카메라 신호 처리부(32) 및 멀티 채널 음성 합성부(37)에서 복호화함으로써, 기록 신호가 재생된다.
제어부(39)는, 비디오 카메라(30) 전체를 통괄적으로 제어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유저로부터의 조작 입력 등에 따라서, 멀티 채널 음성 합성부(37)에서의 와이어리스 음성 신호의 합성 채널 할당이나 합성비의 제어, 기록 재생부(15)의 기록·재생 동작 제어 등을 행한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와이어리스 음성 신호의 방위 정보와, 줌 배율 제어 정보 등으로부터 추정되는 와이어리스 마이크(20)까지의 거리 정보에 기초하여, 멀티 채널 음성 합성부(37)의 합성비를 제어하는 기능도 갖고 있다.
다음으로, 비디오 카메라(30)에서 실행되는 음성 합성 제어 수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카메라에서의 음성 합성의 수순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스텝 S1에서, 제어부(39)는, 와이어리스 마이크(20)의 방위 정보를 무선 통신부(36)로부터 수취한다.
또한, 무선 통신부(36)로부터의 방위 정보에 대해서는,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즉, 무선 통신부(36)는, 지향성 가변의 안테나(36a)의 수신 강도에 기초하여 와이어리스 음성 신호의 도래 방향을 추정하고, 그 추정 결과를 방위 정보로서 제어부(39)에 출력한다. 또한, 이 외에 예를 들면, 촬상 화상 신호에 기초하여 화상 인식 처리에 의해 피사체의 화면 내의 위치를 검출하고, 그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방위 정보를 생성하여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면, 피사체에 특정한 색을 갖는 식별체(예를 들면 리본이나 팔찌, 배지 등) 혹은 발광체 등을 장착시켜, 그 식별체나 발광체의 색을 인식함으로써, 방위의 검출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스텝 S2에서, 제어부(39)는, 음원(즉 와이어리스 마이크(20))까지의 거리를 추정하고, 거리 추정값을 연산한다.
스텝 S3에서, 제어부(39)는, 연산한 거리 추정값으로부터 음성 합성비 정보를 생성하고, 이에 의해 멀티 채널 수음 처리부(35)에서 수음된 각 음성 신호에 합성하는 음량이 결정된다.
스텝 S4에서, 제어부(39)는, 멀티 채널 음성 합성부(37)에 방위 정보와 음성 합성비 정보를 출력한다. 멀티 채널 음성 합성부(37)는, 수신한 방위 정보에 기초하는 채널간의 합성비 정보와 음성 합성비 정보를 기초로, 멀티 채널 음성 신호에 무선 통신부(36)로부터의 와이어리스 음성 신호를 합성한다.
스텝 S5에서, 멀티 채널 음성 신호의 각 채널에 소정의 합성비로 와이어리스 음성 신호를 합성한 음성 신호가 기록 재생부(38)에 출력되고, 영상 신호와 함께 기록 매체에 기록된다.
다음으로, 음원까지의 거리를 추정하여 음성 합성비 정보를 생성하는 수순(도 4의 스텝 S1∼S3에 대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전파 강도 데이터에 의한 거리 추정 수순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스텝 S11에서, 무선 통신부(36)는, 와이어리스 마이크(20)로부터의 수신 전파의 전파 강도 정보를 제어부(39)에 출력한다.
스텝 S12에서, 제어부(39)는, 전파 강도의 변화에 따라서 음성 합성비를 제어한다. 여기서는, 전파 강도가 강해지면 와이어리스 음성 신호의 합성비를 작게 하고, 반대로 전파 강도가 약해지면 와이어리스 음성 신호의 합성비를 크게 한다. 이에 의해, 와이어리스 마이크(20)를 휴대한 음원까지의 거리에 관계없이, 무선 송신된 와이어리스 음성 신호가 적절한 음량으로 되도록 음성 신호를 기록할 수 있다.
또한, 렌즈의 줌 배율에 기초하여 거리를 추정함으로써 음성 합성비를 제어하여도 된다. 도 6은, 렌즈의 줌 배율에 따른 음성 합성 처리의 수순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스텝 S21에서, 비디오 카메라(30)의 줌 컨트롤부(34)에 대하여, 촬영자로부터 줌 배율이 명령된다.
스텝 S22에서, 렌즈 컨트롤부(33)에 대하여 줌 컨트롤부(34)가 줌 배율 제어 정보를 출력한다.
스텝 S23에서, 렌즈 컨트롤부(33)는, 카메라 블록(31)의 줌 배율을 소정값로 제어한다.
스텝 S24에서, 렌즈 컨트롤부(33)는, 제어부(39)에 대하여 줌 배율 제어 정보를 출력한다. 제어부(39)는, 수신한 줌 배율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와이어리스 마이크(20)를 휴대한 음원까지의 거리를 추정하고, 이 거리 추정 정보에 기초하여 멀티 채널 음성 합성부(37)에서의 음성 합성비를 제어한다. 여기서는, 줌 배율이 작게 설정되면 와이어리스 음성 신호의 합성비를 작게 하고, 반대로 줌 배율이 크게 설정되었을 때에는 와이어리스 음성 신호의 합성비를 크게 한다. 이에 의해, 와이어리스 마이크(20)를 휴대한 음원까지의 거리에 관계없이, 무선 송신된 와이어리스 음성 신호가 적절한 음량으로 되도록 음성 신호를 기록할 수 있다. 또한, 피사체의 확대율이 높아지면, 그 피사체로부터의 음량도 크게 되기 때문에, 화상과 음량이 연동하여, 현장감이 증가하는 효과도 얻어진다.
또한, 제어부(39)는, 렌즈 컨트롤부(33)가 출력하는 줌 배율 제어 정보 대신에, 예를 들면, 카메라 블록(31)에서 검출되는 줌 렌즈의 위치 정보 등에 기초하여, 음원까지의 거리를 추정하여도 된다.
또한, 렌즈의 촛점 거리 데이터에 의해서 거리를 추정하여, 음성 합성 처리를 실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7은, 렌즈의 촛점 거리 데이터에 의한 음성 합성 처리의 수순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스텝 S31에서, 카메라 신호 처리부(32)는, 카메라 블록(31)에서 영상 신호의 초점이 맞았는지의 여부를 해석한다.
스텝 S32에서, 카메라 신호 처리부(32)는, 초점의 해석 결과에 따른 촛점 거 리 정보를, 렌즈 컨트롤부(33)에 출력한다.
스텝 S33에서, 렌즈 컨트롤부(33)는, 입력된 촛점 거리 정보에 따라서 카메라 블록(31)을 제어하여 촛점 거리를 맞춤과 함께, 제어부(39)에 대하여 촛점 거리 정보를 출력한다.
스텝 S34에서, 제어부(39)는, 촛점 거리 정보에 기초하여 멀티 채널 음성 합성부(37)에서의 음성 합성비를 제어한다. 여기서는, 촛점 거리가 짧게 설정되면 와이어리스 음성 신호의 합성비를 작게 하고, 반대로 촛점 거리가 길게 설정되었을 때에는 와이어리스 음성 신호의 합성비를 크게 한다. 이에 의해, 와이어리스 마이크(20)를 휴대한 음원까지의 거리에 관계없이, 무선 송신된 와이어리스 음성 신호가 적절한 음량으로 되도록 음성 신호를 기록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의 비디오 카메라(30)에서는, 와이어리스 마이크(20)를 휴대한 특정한 피사체를 촬영하여, 그 영상 신호와 함께 음성 신호를 멀티 채널로 기록하도록 했기 때문에, 입체 음장 재생 시에, 피사체가 발하는 음성을 명료하게 재생할 수 있어, 적절한 음상 정위감이 얻어짐과 함께, 재생 화면과 음성의 위화감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피사체로부터의 거리나 방향에 따라서 와이어리스 음성 신호의 각 채널에의 합성 할당이나 합성비를 조정함으로써, 촬상 화상 내의 피사체의 움직임과 재생 음성을 조화시킬 수 있어, 입체 음장을 효과적으로 이용한 고품질의 영상·음성 콘텐츠를 손쉽게 작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3 실시예>
다음으로, 멀티 채널 음성 신호를 촬상 화상 신호와 함께 기록 매체에 기록 하는 비디오 카메라로서, 전술한 제2 실시예와는 상이한 것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제3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카메라에서는, 기본적인 구성은 상기의 제2 실시예와 동일하다. 단, 멀티 채널 수음 처리부(35)에서, 지향성이 상이한 복수의 음성 신호를 출력하고, 멀티 채널 음성 합성부(37)에서, 이들 음성 신호의 출력 채널에의 할당 또는 합성비를, 줌 배율에 따라서 변화시킨다. 또한, 와이어리스 마이크(20)로부터의 음성 신호(와이어리스 음성 신호)의 출력 채널에의 할당 또는 합성비도, 줌 배율에 따라서 변화시킨다. 이들 동작에 의해, 줌 동작에 연동한 현장감이 높은 음성을 기록할 수 있게 한다.
도 8은, 멀티 채널 수음 처리부에서 생성되는 음성 신호의 지향성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멀티 채널 수음 처리부(35)에서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디오 카메라(30a)의 전방(D1), 후방(D2), 좌측 방향(D3), 우측 방향(D4), 좌측 전방(D5), 우측 전방(D6), 좌측 후방(D7), 및 우측 후방(D8)의 8가지의 지향 특성으로 수음된 음성 신호가 출력된다. 또한, 도 8에서는, 이들의 각 지향 특성에 대응하는 폴라 패턴도 도시하고 있다.
이들 음성 신호는, 예를 들면, D1∼D8의 각각에 대응하는 지향성 마이크로폰을 이용하여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이 이외의 수의 복수의 지향성 마이크로폰에 의한 수음 신호를 합성하여, 생성할 수도 있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무지향성 마이크로폰에 의한 수음 신호에 기초하여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예로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4개의 무지향성의 마 이크로폰(35a∼35d)을 이용하여, 8가지의 지향 특성을 갖는 음성 신호를 생성한다.
도 9는, 제3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카메라의 주요부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멀티 채널 수음 처리부(35)는, 4개의 무지향성의 마이크로폰(35a∼35d)으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받아, 음성 합성부(351∼358)에 의해, 전술한 D1∼D8의 지향 특성을 갖는 음성 신호를, 멀티 채널 음성 합성부(37)에 대하여 출력한다.
음성 합성부(351∼358)는, 각각 지연기와 감산기를 구비하고, 2개의 무지향성 마이크로폰으로부터의 음성 신호에 기초하여, 소정 방향에 대한 단일 지향성 마이크로폰의 출력을 의사적으로 생성한다. 예를 들면, 음성 합성부(351)는, 전방 및 후방에 설치된 마이크로폰(35a 및 35b)의 출력 신호를 받아, 마이크로폰(35b)으로부터 마이크로폰(35a)까지의 거리를 음파가 전파하는 시간만큼, 지연기에 의해서 마이크로폰(35b)의 출력을 지연시킨다. 다음으로, 마이크로폰(35a)의 출력으로부터 지연기의 출력을 감산기에 의해서 감산한다. 이에 의해, 음성 합성부(351)로부터는, 도 8의 D1에 대응하는 폴라 패턴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에 지향성을 갖는 1차 음압 경도형의 단일 지향성 마이크로폰의 출력이 얻어진다.
마찬가지로, 음성 합성부(352)에서는, 마이크로폰(35a 및 35b)의 출력을 합성하여, 후방(D2)에 지향성을 갖는 단일 지향성 마이크로폰의 출력이 얻어진다. 또한, 음성 합성부(353)에서는, 우측 및 좌측에 설치된 마이크로폰(35c 및 35d)의 출력을 합성하여, 좌측 방향(D3)에 지향성을 갖는 단일 지향성 마이크로폰의 출력이 얻어진다. 또한, 음성 합성부(354)에서는, 마이크로폰(35c 및 35d)의 출력을 합성하여, 우측 방향(D4)에 지향성을 갖는 단일 지향성 마이크로폰의 출력이 얻어진다.
또한, 음성 합성부(355)에서는, 마이크로폰(35a 및 35d)의 출력을 합성하여, 좌측 전방(D5)에 지향성을 갖는 단일 지향성 마이크로폰의 출력이 얻어진다. 또한, 음성 합성부(356)에서는, 마이크로폰(35a 및 35c)의 출력을 합성하여, 우측 전방(D6)에 지향성을 갖는 단일 지향성 마이크로폰의 출력이 얻어진다. 또한, 음성 합성부(357)에서는, 마이크로폰(35b 및 35d)의 출력을 합성하여, 좌측 후방(D7)에 지향성을 갖는 단일 지향성 마이크로폰의 출력이 얻어진다. 또한, 음성 합성부(358)에서는, 마이크로폰(35b 및 35c)의 출력을 합성하여, 우측 후방(D8)에 지향성을 갖는 단일 지향성 마이크로폰의 출력이 얻어진다.
또한, 이상의 도 9에 도시한 멀티 채널 수음 처리부(35)의 구성은, 4개의 무지향성 마이크로폰으로부터 D1∼D8의 8가지의 지향 특성을 갖는 음성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일례로서, 다른 구성에서 마찬가지의 지향 특성을 갖는 음성 신호를 생성하여도 된다.
한편, 멀티 채널 음성 합성부(37)는, 멀티 채널 수음 처리부(35)로부터 음성 신호와, 와이어리스 마이크(20)로부터 수신한 와이어리스 음성 신호를, 소정의 멀티 채널 규격에 준한 멀티 채널 신호로서 합성한다. 여기서는 예로서, C 채널, L 채널, R 채널, SL 채널, 및 SR 채널의 5개의 출력 채널에 대하여, 입력 음성 신호를 합성한다. 또한, 소위 5.1 채널의 신호를 얻는 경우에는, 서브 우퍼 채널(0.1 채널)로서, 예를 들면, 마이크로폰(35a∼35d) 중 소정의 것의 출력 신호, 혹은, 각 마이크로폰(35a∼35d)의 출력을 동일한 비율로 합성한 신호 등을 출력하면 된다.
멀티 채널 음성 합성부(37)는, 제어부(39)의 제어 하에서, 입력 음성 신호를, 소정의 출력 채널에 소정의 레벨로 합성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멀티 채널 수음 처리부(35)로부터의 8개의 음성 신호의 출력 채널에의 할당을, 줌 배율에 따라서 변화시킨다. 이와 함께, 와이어리스 음성 신호의 출력 채널에의 할당도, 줌 배율에 따라서 변화시킨다.
이하, 이러한 멀티 채널 음성 합성부(37)에서의 합성 처리 제어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여기서는 예로서, 줌 배율의 제어 영역을 광각측, 망원측, 및 이들의 중간의 3개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이들 영역마다, 음성 합성의 상태를 변화시키도록 한다.
우선, 도 10은, 줌 배율이 광각측 영역에 있는 경우의 출력 채널 할당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줌 배율이 광각측 영역에 있는 경우, 멀티 채널 수음 처리부(35)에서 생성된 전방(D1)으로 지향 특성을 갖는 음성 신호가 C 채널에 합성되고, 좌측 방향(D3)으로 지향 특성을 갖는 음성 신호가 L 채널에 합성되고, 우측 방향(D4)으로 지향 특성을 갖는 음성 신호가 R 채널에 합성되고, 후방(D2)으로 지향 특성을 갖는 음성 신호가 SL 채널 및 SR 채널에 합성된다.
한편, 와이어리스 음성 신호는, 와이어리스 마이크(20)의 방위 정보에 따라, 가장 각도가 가까운 지향 특성을 갖는 음성 신호가 할당된 출력 채널에 합성된다. 예로서, 전방(D1)의 각도를 기준(±0°)으로 하여, 좌측 방향을 플러스, 우측 방향 을 마이너스로 하면, 좌측 방향(D3)은 +90°로 된다. 여기서, 130°의 위치에 와이어리스 마이크(20)를 휴대한 인물(1)이 있는 경우, 출력 채널에 합성된 음성의 지향 특성 중, 가장 가까운 각도는 0°로 된다. 이 방향으로 지향 특성을 갖는 음성 신호는 C 채널에 합성되어 있기 때문에, 와이어리스 음성 신호도 C 채널에 합성한다.
또한, 가장 각도가 가까운 지향 특성을 갖는 음성 신호와 동일한 출력 채널을 단순히 선택할 뿐만 아니라, 인접하는 출력 채널에 대하여, 와이어리스 마이크(20)의 방향(각도)에 따른 합성비로 와이어리스 음성 신호를 합성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도 10에서, 130°의 위치로부터의 와이어리스 음성 신호를, C 채널과 L 채널에 합성하고, 이들 채널간의 합성비를, 와이어리스 마이크(20)와 각 출력 채널에 대응하는 지향 특성의 방향의 관계에 따른 비율로 한다. 이 예에서는, C 채널의 합성 레벨은 L 채널보다 커진다. 이러한 제어에 의해, 와이어리스 마이크(20)로부터의 음성을, 보다 자연스럽게 재생할 수 있게 된다.
도 11은, 줌 배율이 중간 영역에 있는 경우의 출력 채널 할당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줌 배율이 중간 영역에 있는 경우, 멀티 채널 수음 처리부(35)에서 생성된 전방(D1)으로 지향 특성을 갖는 음성 신호가 C 채널에 합성되고, 좌측 전방향(D5)으로 지향 특성을 갖는 음성 신호가 L 채널에 합성되고, 우측 전방향(D6)으로 지향 특성을 갖는 음성 신호가 R 채널에 합성되고, 좌측 후방(D7)으로 지향 특성을 갖는 음성 신호가 SL 채널에 합성되고, 우측 후방(D8)으로 지향 특성을 갖는 음성 신호가 SR 채널에 합성된다.
한편, 와이어리스 음성은, 광각측 영역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와이어리스 마이크(20)의 방위 정보에 따라서, 가장 각도가 가까운 지향 특성을 갖는 음성 신호가 할당된 출력 채널에 합성되지만, 각 출력 채널에 대한 지향 특성이 변화하고 있기 때문에, 와이어리스 음성의 합성 채널도 변화하게 된다. 예로서, +30°의 위치에 와이어리스 마이크(20)가 존재하는 경우, 가장 가까운 각도는 +45°로 되는 D5의 방향으로 되고, 이 방향으로 지향 특성을 갖는 음성 신호는 L 채널에 합성되어 있기 때문에, 와이어리스 음성 신호도 L 채널에 합성한다.
또한, 도 1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와이어리스 음성 신호를 L 채널에만 합성하는 것은 아니고, C 채널과 L 채널에, 와이어리스 마이크(20)의 방위에 따른 적절한 음량비로 합성하여도 된다.
도 12는, 줌 배율이 망원측 영역에 있는 경우의 출력 채널 할당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줌 배율이 망원측 영역에 있는 경우, 멀티 채널 수음 처리부(35)에서 생성된 전방(D1)으로 지향 특성을 갖는 음성 신호가 C 채널에 합성되고, 좌측 전방향(D5)으로 지향 특성을 갖는 음성 신호가 L 채널에 합성되고, 우측 전방향(D6)으로 지향 특성을 갖는 음성 신호가 R 채널에 합성되고, 좌측 방향(D3)으로 지향 특성을 갖는 음성 신호가 SL 채널에 합성되고, 우측 방향(D4)으로 지향 특성을 갖는 음성 신호가 SR 채널에 합성된다.
한편, 예를 들면 +30°의 위치에 와이어리스 마이크(20)가 존재하는 경우, 가장 가까운 각도는 +45°로 되는 D5의 방향으로 되고, 이 방향으로 지향 특성을 갖는 음성 신호는 L 채널에 합성되어 있기 때문에, 와이어리스 음성 신호도 L 채널에 합성된다.
또한, 도 10 및 도 1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와이어리스 음성 신호를 L 채널에만 합성하는 것은 아니고, C 채널과 L 채널에, 와이어리스 마이크(20)의 방위에 따른 적절한 음량비로 합성하여도 된다.
도 13은, 비디오 카메라의 줌 동작에 의해 변화하는 촬영 범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도 13을 이용하여, 상기의 음성 합성 제어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비디오 카메라(30a)의 전방(0°)의 직선 상에, P1, P2, P3의 3점을 생각한다. P1을, 거의 비디오 카메라(30a)의 촬영 위치로 하고, P3을, 피사체(여기서는 인물(1)로 함)의 근방 위치로 하고, P2를 이들의 거의 중간 위치로 한다.
우선, 멀티 채널 수음 처리부(35)로부터의 지향 특성이 상이한 음성 신호를 출력 채널에 합성하는 경우라고 생각하면, 도 10과 같이 줌 배율이 광각측 영역에 있는 경우에는, 비디오 카메라(30a)의 촬영 위치, 즉 P1의 위치에서의 전후 좌우의 음성이, 그 방향과 거의 일치하는 출력 채널에 합성되므로, P1의 위치에서의 음장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도 12와 같이 줌 배율이 망원측 영역에 있는 경우에는, P1보다 전방의 음성만이 출력 채널에 합성된다. 이에 의해, 피사체에 가까운 P3에서의 음장을 의사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방(0°)의 위치에 피사체가 있고, 줌 배율 을 망원측에 설정한 경우에는, 이 피사체가 화면 상에 크게 비치기 때문에, 이 피사체의 주위의 음장을 재현함으로써, 현장감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도 11과 같이 줌 배율이 중간 영역에 있는 경우에는, P1과 P3의 거의 중간에 있는 P2에서의 음장이 의사적으로 생성된다. 이와 같이, 줌 배율에 따라서, 내장 마이크로폰의 지향 특성을 변화시켜, 출력 채널에 합성함으로써, 화면 상태와 연동한 음장을 재현할 수 있어, 현장감을 높일 수 있다.
다음으로, 와이어리스 마이크(20)로부터의 음성 신호(와이어리스 음성 신호)의 합성 제어에 대하여 생각한다. 도 10과 같이 줌 배율이 광각측 영역에 있는 경우에는, ±0°의 위치(P3 부근)에 있는 피사체로부터의 와이어리스 음성 신호는, C 채널에 합성된다. 이 상태로부터, 피사체가 예를 들면 좌측으로 이동했다고 하면, +45°의 위치를 초과했을 때에, 와이어리스 음성 신호의 합성처는 C 채널로부터 L 채널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도 12와 같이 줌 배율이 망원측 영역에 있는 경우에는, 피사체가 ±0°의 위치로부터 좌측으로 이동했다고 하면, +22.5°의 위치를 초과하면, 와이어리스 음성 신호의 합성처가 C 채널로부터 L 채널로 이동한다.
즉, 전방 부근에 있는 피사체가 좌우로 동일한 속도로 이동한 경우에는, 줌 배율이 망원측 영역으로 될수록, 와이어리스 음성 신호는 C 채널로부터 L(또는 R) 채널로 단시간에 이동하도록 된다. 따라서, 이러한 멀티 채널 음성을 재생한 경우에는, 줌 배율이 높을수록, 피사체의 음상은 전방으로부터 신속하게 좌우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피사체 위치로부터의 각도가 큰 영역(예를 들면, ±90°∼±180°)에서는, 반대로, 줌 배율이 높을수록, 피사체의 음상은 그다지 이동하지 않게 된다.
여기서, 이러한 음성의 상태와, 화면의 상태의 관련에 대하여 생각한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메라 블록(31)에 의한 촬영 범위는, 줌 배율에 따라서 변화한다. 줌 배율이 가장 망원측의 촬영 범위는, 가장 광각측의 촬영 범위보다도 좁아지고, 이들의 중간 위치에서는, 촬영 범위도 중간적인 넓이로 된다.
따라서, 피사체가 P3의 위치로부터 좌측 방향(또는 우측 방향)으로 일정한 속도로 이동했다고 하면, 줌 배율이 광각측 영역에 있는 경우에는, 피사체를 오랜 시간, 화면 상에서 포착할 수 있다. 그리고, 피사체의 음상은, 전방으로부터 천천히 좌우 방향으로 이동한다. 한편, 줌 배율이 망원측 영역에 있는 경우에는, 피사체가 동일한 속도로 이동했다고 하더라도, 그 피사체는 보다 짧은 시간에 프레임 아웃한다. 그리고, 피사체의 음상도, 전방으로부터 단시간에 좌우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러한 음성 신호의 합성 제어에 의해, 줌 배율이 광각측 영역에 있는 경우에는, 비디오 카메라(30a) 부근에서의 피사체가 보이는 방법에, 그 피사체로부터의 음성이 들리는 방법을 맞출 수 있고, 반대로, 줌 배율이 망원측 영역에 있는 경우에는, 피사체의 근방에서의 피사체가 보이는 방법에, 그 피사체로부터의 음성이 들리는 방법을 맞출 수 있다. 즉, 이러한 와이어리스 음성 신호의 합성 제어에 의해, 멀티 채널 수음 처리부(35)로부터의 음성 신호의 합성 제어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줌 배율이 광각측 영역에 있는 경우에는, P1에서의 피사체로부터의 음성이 들리는 방법을 재현할 수 있고, 줌 배율이 망원측 영역에 있는 경우에는, P3에서의 피사체로부터의 음성이 들리는 방법을 재현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화면 상태와 연동한 효과적인 음장을 재현할 수 있고, 멀티 채널 수음 처리부(35)로부터의 음성 신호의 합성 제어 기능과, 줌 기능의 상승 효과로, 현장감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다음으로, 비디오 카메라(30a)에서 실행되는 상기의 음성 합성 제어 수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제3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카메라에서의 음성 합성의 수순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스텝 S41에서, 제어부(39)는, 비디오 카메라(30a)의 줌 동작에 따른 상태 신호로서, 렌즈 컨트롤부(33)로부터 줌 배율 제어 정보(또는 줌 렌즈 위치 정보 등이어도 됨)를 수취한다.
스텝 S42에서, 제어부(39)는, 멀티 채널 음성 합성부(37)에 대하여, 멀티 채널 수음 처리부(35)로부터의 지향 특성이 상이한 음성 신호의, 출력 채널에 대한 합성 패턴을 설정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어부(39)는, 줌 배율 제어 정보로부터, 현재의 줌 배율이, 전술한 3개의 줌 배율의 제어 영역 중 어느 것인지를 판단하고, 그 제어 영역에 대응하는 합성 패턴을, 예를 들면 도시하지 않은 ROM(Read Only Memory) 등으로부터 읽어내어, 멀티 채널 음성 합성부(37)에 설정한다. 합성 패턴에는, 예를 들면, 멀티 채널 수음 처리부(35)로부터의 각 음성 신호와, 출력 채널의 대응이, 줌 배율의 제어 영역마다 기술되어 있다.
스텝 S43에서, 제어부(39)는, 무선 통신부(36)에서의 와이어리스 마이크(20) 로부터의 수신 전파 강도에 기초하여, 와이어리스 음성 신호의 도래 방향을 추정한다.
스텝 S44에서, 제어부(39)는, 추정한 와이어리스 음성 신호의 방위 정보와, 줌 배율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와이어리스 음성 신호를 합성하는 출력 채널을 결정하여, 멀티 채널 음성 합성부(37)에 설정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예를 들면, 방위 정보의 수치 또는 그 범위와, 대응하는 출력 채널을, 3개의 줌 배율의 제어 영역마다 ROM 등에 기록해 놓고, 스텝 S44에서 읽어내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방위 정보와, 현재의 출력 채널 상의 지향 특성의 할당으로부터, 출력하는 채널이나 채널간 합성비를 연산에 의해 구하여도 된다.
이상의 처리에 의해, 멀티 채널 음성 합성부(37)에서는, 멀티 채널 수음 처리부(35)로부터의 음성 신호와, 와이어리스 음성 신호가, 소정의 비율로 합성되어, 현장감이 높은 음성 신호가 기록 재생부(38)에 의해 기록된다.
또한, 이상의 제3 실시예에서는, 일례로서, 줌 배율의 제어 영역을 광각측 영역, 중간 영역, 및 망원측 영역의 3 영역으로 구분하고, 이들 영역마다 음성 신호의 합성 채널을 변화시키도록 했지만, 더욱 영역을 미세하게 구분하여 제어하여도 된다. 혹은, 줌 배율에 따라서, 합성 채널이나 합성비를 연속적으로 변화시키도록 하여도 된다. 이들 제어에 의해, 보다 자연스럽고 현장감이 있는 음장을 재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와이어리스 음성 신호의 합성 채널을, 줌 배율에 따라서 바꾸는 제어에 덧붙여, 그 전체적인 합성량도 줌 배율에 따라서 변화시켜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6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줌 배율을 높게 할수록, 와이어리스 음성 신호의 합성량을 크게 한다. 와이어리스 음성 신호를 복수의 출력 채널에 합성하는 경우에는, 각 출력 채널간의 합성비를 바꾸지 않고서, 전체의 합성량을 변화시킨다. 이에 의해, 와이어리스 마이크(20)에서 수음된 음성을 보다 명료하게 알아들을 수 있게 됨과 함께, 화면 상의 피사체가 확대될수록, 그 피사체로부터의 음량도 커지기 때문에, 현장감이 더욱 높아진다.
또한, 도 5 혹은 도 7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와이어리스 마이크(20)로부터의 전파 강도나, 카메라 블록(31)에서의 촛점 거리 등에 기초하여, 와이어리스 마이크(20)로부터의 거리를 추정하고, 거리가 짧을수록, 와이어리스 음성 신호의 합성량을 작게 하도록 해도 된다. 이에 의해, 와이어리스 마이크(20)를 휴대한 피사체까지의 거리에 관계없이, 그 와이어리스 마이크(20)에서 수음된 음성을 보다 명료하게 알아들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경우, 와이어리스 마이크(20)가 비디오 카메라(30a)에 근접하면, 와이어리스 음성 신호의 합성량이 작아지는 대신에, 내장 마이크로폰에서 피사체가 발하는 음성을 수음할 수 있기 때문에, 음장을 정확하게 재현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와이어리스 음성 신호의 합성 채널을, 줌 배율에 따라서 바꾸지 않고서, 임의의 채널에 고정적으로 합성하도록 하여, 내장 마이크로폰의 수음 신호에 기초한 지향 특성이 상이한 복수의 음성 신호의 합성 채널을, 줌 배율에 따라서 바꾸도록 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와이어리스 마이크(20)를 휴대한 피사체를 항상 화면 내에 포착하여 촬상하고 있는 경우에는, 와이어리스 음성 신호를 예를 들면 C 채널에 고정적으로 합성해도, 그 주위의 음성의 현장감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 줌 배율이나, 전파 강도 혹은 촛점 거리 등으로부터 추정한 와이어리스 마이크(20)로부터의 거리에 따라서, 와이어리스 음성 신호의 합성량을 변화시키도록 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촬상 장치에 따르면, 예를 들면 외부의 수음 장치를 촬상 중인 피사체에 근접시켜 설치해 놓음으로써, 그 피사체가 발하는 음성을 임의의 채널의 음성 신호에 합성하여, 기록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복수 채널의 수음 신호에 의해 현장감이 높은 음성 재생이 가능함과 함께, 겨냥한 피사체가 발하는 음성을 명료하게 재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음성 기록 장치에 따르면, 예를 들면 외부의 수음 장치를 특정한 대상물에 근접시켜 설치해 놓음으로써, 그 대상물이 발하는 음성을 임의의 채널의 수음 신호에 합성하여, 기록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복수 채널의 수음 신호에 의해 현장감이 높은 음성 재생이 가능함과 함께, 겨냥한 대상물이 발하는 음성을 명료하게 재생할 수 있다.

Claims (15)

  1. 화상을 촬상함과 함께 음성을 수음하여 함께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촬상 장치에 있어서,
    복수 채널의 음성을 수음하는 수음부와,
    외부의 수음 장치로부터 무선 송신된 음성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통신부와,
    상기 무선 통신부에 의해 수신된 음성 신호를, 상기 수음부에 의해 수음된 음성 신호 중, 1개 이상의 임의의 채널에 합성하는 음성 합성부,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합성부는, 상기 무선 통신부에 의해 수신된 음성 신호를, 상기 수음부에 의해 수음된 음성 신호의 임의의 채널에 임의의 합성비로 합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의 수음 장치의 방향을 추정하는 음원 방향 추정부를 더 갖고,
    상기 음성 합성부는, 상기 음원 방향 추정부에 의해 추정된 방향에 따라서, 상기 무선 통신부에 의해 수신된 음성 신호를 합성하는 채널 또는 채널간의 합성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부는 지향성 가변 안테나에 의해 음성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음원 방향 추정부는, 상기 지향성 가변 안테나에 의한 수신 신호 강도에 기초하여 방향을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의 수음 장치까지의 거리를 추정하는 음원 위치 추정부를 더 갖고,
    상기 음성 합성부는, 상기 음원 위치 추정부에 의해 추정된 거리에 따라서, 상기 무선 통신부에 의해 수신된 음성 신호를 임의의 채널에 합성할 때의 전체의 합성 레벨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 위치 추정부는, 상기 무선 통신부에 의한 수신 신호 강도에 기초하여 거리를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피사체로부터의 입사광의 상을 확대하는 줌 기구를 더 갖고,
    상기 음원 위치 추정부는, 상기 줌 기구의 줌 배율 제어값에 기초하여 거리를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피사체로부터의 입사광을 촬상면에 초점을 맞추는 포커스 기구를 더 갖고,
    상기 음원 위치 추정부는, 상기 포커스 기구의 제어값에 기초하여 거리를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피사체로부터의 입사광의 상을 확대하는 줌 기구를 더 갖고,
    상기 수음부는, 복수의 마이크로폰에서 수음된 음성 신호를, 상기 줌 기구의 줌 배율 제어값에 따라, 채널마다 각각 상이한 지향 특성의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음부는, 상기 복수의 마이크로폰에서 수음된 음성 신호에 기초하는 지향 특성이 상이한 복수의 음성 신호를, 복수의 음성 출력 채널에 대하여, 상기 줌 배율 제어값에 따라서 상이한 합성비로 합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의 수음 장치의 방향을 추정하는 음원 방향 추정부를 더 갖고,
    상기 음성 합성부는, 상기 음원 방향 추정부에 의해 추정된 방향과, 상기 줌 기구의 줌 배율 제어값에 따라서, 상기 무선 통신부에 의해 수신된 음성 신호를 합성하는 채널 또는 채널간의 합성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합성부는, 상기 수음부에 의해 지향 특성이 상이한 음성 신호가 출력된 채널 중, 상기 음원 방향 추정부에 의해 추정된 방향에 가장 가까운 지향 특성을 갖는 음성 신호가 출력된 채널에, 상기 무선 통신부에 의해 수신된 음성 신호를 합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합성부는, 상기 수음부에 의해 지향 특성이 상이한 음성 신호가 출력된 채널 중, 상기 음원 방향 추정부에 의해 추정된 방향에 가까운 지향 특성을 갖는 음성 신호가 출력된 근접한 복수의 채널에, 상기 무선 통신부에 의해 수신된 음성 신호를, 추정된 방향에 따른 채널간의 비율로 합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14. 수음 신호를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음성 기록 장치에 있어서,
    복수 채널의 수음 신호의 입력을 유선에 의해 접수하는 음성 입력부와,
    외부의 수음 장치로부터 무선 송신된 음성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통신부와,
    상기 무선 통신부에 의해 수신된 음성 신호를, 상기 음성 입력부에 입력된 수음 신호 중, 1개 이상의 임의의 채널에 합성하는 음성 합성부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기록 장치.
  15. 수음 신호를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음성 기록 방법에 있어서,
    복수 채널의 수음 신호의 입력을 유선에 의해 접수함과 함께, 외부의 수음 장치로부터 무선 송신된 음성 신호를 수신하고,
    무선에 의해 수신한 음성 신호를, 유선에 의해 입력된 수음 신호 중, 1개 이상의 임의의 채널에 합성하여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기록 방법.
KR1020060030845A 2005-04-06 2006-04-05 촬상 장치, 음성 기록 장치 및 음성 기록 방법 KR2006010732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109379 2005-04-06
JPJP-P-2005-00109379 2005-04-06
JP2006036655A JP2006314078A (ja) 2005-04-06 2006-02-14 撮像装置、音声記録装置および音声記録方法
JPJP-P-2006-00036655 2006-02-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7328A true KR20060107328A (ko) 2006-10-13

Family

ID=36637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0845A KR20060107328A (ko) 2005-04-06 2006-04-05 촬상 장치, 음성 기록 장치 및 음성 기록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60227224A1 (ko)
EP (1) EP1711003A3 (ko)
JP (1) JP2006314078A (ko)
KR (1) KR20060107328A (ko)
CN (1) CN1845582B (ko)
TW (1) TWI39096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42839A1 (en) * 2006-04-13 2007-10-18 Stanley Kim Remote wireless microphone system for a video camera
JP4345784B2 (ja) * 2006-08-21 2009-10-14 ソニー株式会社 音響収音装置及び音響収音方法
JP5156757B2 (ja) * 2006-12-13 2013-03-06 ジーブイビービー ホールディングス エス.エイ.アール.エル. オーディオ・データおよびビデオ・データを取得および編集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8199954B2 (en) 2007-12-12 2012-06-12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capturing apparatus
JP5014101B2 (ja) * 2007-12-12 2012-08-29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JP5014100B2 (ja) * 2007-12-12 2012-08-29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WO2009126561A1 (en) * 2008-04-07 2009-10-15 Dolby Laboratories Licensing Corporation Surround sound generation from a microphone array
JP5349850B2 (ja) * 2008-06-18 2013-11-20 キヤノン株式会社 信号処理装置、撮像装置
JP5072730B2 (ja) * 2008-06-18 2012-11-14 キヤノン株式会社 信号処理装置、撮像装置
JP5369993B2 (ja) 2008-08-22 2013-12-18 ヤマハ株式会社 録音再生装置
JP5155092B2 (ja) * 2008-10-10 2013-02-27 オリンパス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カメラ、再生装置、および再生方法
US8589738B2 (en) * 2009-05-05 2013-11-19 Freescale Semiconductor, Inc. Program trace message generation for page crossing events for debug
US8438547B2 (en) * 2009-05-05 2013-05-07 Freescale Semiconductor, Inc. Address translation trace message generation for debug
JP5446568B2 (ja) * 2009-08-11 2014-03-19 株式会社ニコン 撮像装置及び撮像システム
TW201120741A (en) * 2009-12-04 2011-06-16 Alcor Micro Corp Vidoe/audio data detecting module and video/audio data detecting method
CN102131041A (zh) * 2010-01-18 2011-07-20 安国国际科技股份有限公司 音视频数据感测模块以及音视频数据感测方法
KR20120016928A (ko) * 2010-08-17 2012-02-2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촬영 시스템
CN102572382B (zh) * 2010-12-29 2015-04-08 南陵县生产力促进中心有限公司 摄像系统及其同步播放影像及声音的方法
JP5815956B2 (ja) * 2011-02-10 2015-11-17 キヤノン株式会社 音声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5762168B2 (ja) * 2011-06-22 2015-08-12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再生装置
JP6216169B2 (ja) * 2012-09-26 2017-10-18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
US9250653B2 (en) * 2012-09-28 2016-02-02 City University Of Hong Kong Capturing, processing, and reconstructing audio and video content of mobile devices
KR101439509B1 (ko) 2013-09-13 2014-09-12 주식회사 세나테크놀로지 원격 음성녹음 카메라 시스템
JP6289121B2 (ja) * 2014-01-23 2018-03-07 キヤノン株式会社 音響信号処理装置、動画撮影装置およびそれらの制御方法
CN103888703B (zh) * 2014-03-28 2015-11-25 努比亚技术有限公司 增强录音的拍摄方法和摄像装置
JP6377557B2 (ja) * 2015-03-20 2018-08-22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17045077A1 (en) * 2015-09-16 2017-03-23 Rising Sun Productions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reproducing three-dimensional audio with a selectable perspective
CN105979469B (zh) * 2016-06-29 2020-01-3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录音处理方法及终端
US10194117B2 (en) * 2016-10-20 2019-01-29 Plantronics, Inc. Combining audio and video streams for a video headset
CN107105183A (zh) * 2017-04-28 2017-08-29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录音音量调节方法及装置
CN110326309B (zh) * 2017-09-01 2021-04-09 深圳市台电实业有限公司 一种拾音设备和系统
CN112866604B (zh) * 2019-11-27 2022-06-14 深圳市万普拉斯科技有限公司 视频文件生成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CN113365012A (zh) * 2020-03-06 2021-09-0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音频处理方法及设备
CN115225840A (zh) * 2021-04-17 2022-10-2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视频录制方法和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07707A (en) * 1989-10-30 1991-04-16 Bertagni Jose J Integrated sound and video screen
US5092670A (en) * 1990-01-17 1992-03-03 Preston Howard J Automatic focusing system for use with a motion picture camera
US5047860A (en) * 1990-06-01 1991-09-10 Gary Rogalski Wireless audio and video signal transmitter and receiver system apparatus
JPH06318087A (ja) * 1993-05-07 1994-11-15 Mitsui Constr Co Ltd 舞台用音響制御方法と装置
US5568205A (en) * 1993-07-26 1996-10-22 Telex Communications, Inc. Camera mounted wireless audio/video transmitter system
JPH07288512A (ja) * 1994-04-15 1995-10-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ワイヤレスマイク装置
US5594498A (en) * 1994-10-14 1997-01-14 Semco, Inc. Personal audio/video surveillance system
DE69636099T2 (de) * 1996-09-06 2006-11-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Suwon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Umwandlung von Datentransferraten für digitale Audio- und Videodaten
JPH1141507A (ja) * 1997-07-23 1999-02-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ビデオカメラ
US5995763A (en) * 1997-10-10 1999-11-30 Posa; John G. Remote microphone and range-finding configurations
US6587152B1 (en) * 1998-10-19 2003-07-01 International Police Technologies, Inc. Camcorder mounting and control system
US6825875B1 (en) * 1999-01-05 2004-11-30 Interval Research Corporation Hybrid recording unit including portable video recorder and auxillary device
US6826284B1 (en) * 2000-02-04 2004-11-30 Agere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assive acoustic source localization for video camera steering applications
JP2002027496A (ja) * 2000-07-03 2002-01-25 Canon Inc 撮影レンズユニット、撮影装置及び撮影システム
JP2002223493A (ja) 2001-01-26 2002-08-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マルチチャンネル収音装置
US7148917B2 (en) * 2001-02-01 2006-12-12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ndicating a location of a person with respect to a video capturing volume of a camera
JP2003018543A (ja) 2001-04-27 2003-01-17 Sony Corp ビデオカメラ
US6583808B2 (en) * 2001-10-04 2003-06-24 National Research Council Of Canada Method and system for stereo videoconferencing
JP2003154900A (ja) * 2001-11-22 2003-05-27 Pioneer Electronic Corp リアエンタテイメント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KR100628569B1 (ko) * 2002-02-09 2006-09-26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음향취득장치가 결합 가능한 캠코더
US7852369B2 (en) * 2002-06-27 2010-12-14 Microsoft Corp. Integrated design for omni-directional camera and microphone array
US6782238B2 (en) * 2002-08-06 2004-08-2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thod for presenting media on an electronic device
US7225414B1 (en) * 2002-09-10 2007-05-29 Videomining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virtual touch entertainment
JP4091850B2 (ja) * 2003-01-20 2008-05-2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画像撮影装置
US7397504B2 (en) * 2003-06-24 2008-07-08 Microsoft Corp. Whiteboard view camera
JP3931889B2 (ja) * 2003-08-19 2007-06-20 ソニー株式会社 画像表示システム、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方法
CA2545508C (en) * 2003-10-07 2008-11-25 Librestream Technologies Inc. Camera for communication of streaming media to a remote client
US7430004B2 (en) * 2003-11-08 2008-09-3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Volume control linked with zoom control
CA2563478A1 (en) * 2004-04-16 2005-10-27 James A. Aman Automatic event videoing, tracking and content generation system
JP4517716B2 (ja) * 2004-05-10 2010-08-0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会議記録装置、会議記録方法、設計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070182812A1 (en) * 2004-05-19 2007-08-09 Ritchey Kurtis J Panoramic image-based virtual reality/telepresence audio-visual system and method
US7394366B2 (en) * 2005-11-15 2008-07-01 Mitel Networks Corporation Method of detecting audio/video devices within a roo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845582B (zh) 2013-11-13
EP1711003A2 (en) 2006-10-11
JP2006314078A (ja) 2006-11-16
TW200718179A (en) 2007-05-01
CN1845582A (zh) 2006-10-11
TWI390964B (zh) 2013-03-21
EP1711003A3 (en) 2010-04-28
US20060227224A1 (en) 2006-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107328A (ko) 촬상 장치, 음성 기록 장치 및 음성 기록 방법
US9936323B2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consistent acoustic scene reproduction based on informed spatial filtering
US8340315B2 (en) Assembly, system and method for acoustic transducers
US8218033B2 (en) Sound corrector, sound recording device, sound reproducing device, and sound correcting method
US20110316996A1 (en) Camera-equipped loudspeaker, signal processor, and av system
JP4934968B2 (ja) カメラ装置、カメラ制御プログラム及び記録音声制御方法
US20080219485A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Acoustic Signals
JP4692095B2 (ja) 記録装置、記録方法、再生装置、再生方法、記録方法の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方法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10206451A5 (ko)
WO2006129640A1 (ja) マルチチャンネル収音装置、マルチチャンネル音声再生装置、およびマルチチャンネル収音再生装置
US20030151678A1 (en) Camcorder combinable with a plurality of sound acquiring units
JP2005223713A (ja) 音響再生装置、音響再生方法
US20020071661A1 (en) Audio and video reproduction apparatus
JP5020845B2 (ja) 音声処理装置
CN102196354A (zh) 视听装置
CN112513982A (zh) 空间音频参数
JP2000278581A (ja) ビデオカメラ
JP5241865B2 (ja) ビデオカメラ
JP2023078689A (ja) 音情報収録装置、音情報収録再生システム及び音情報収録方法
JPH07193798A (ja) 映像音響通信装置
JP2002171482A (ja) 記録装置およびビデオカメラ
JP2001333489A (ja) マイクロホン装置
JP2000196940A (ja) ビデオカメ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