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7096A - 헤드레스트 높이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헤드레스트 높이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7096A
KR20060107096A KR1020050029099A KR20050029099A KR20060107096A KR 20060107096 A KR20060107096 A KR 20060107096A KR 1020050029099 A KR1020050029099 A KR 1020050029099A KR 20050029099 A KR20050029099 A KR 20050029099A KR 20060107096 A KR20060107096 A KR 200601070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rest
motor
unit
height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90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43858B1 (ko
Inventor
홍정명
Original Assignee
홍정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정명 filed Critical 홍정명
Priority to KR10200500290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3858B1/ko
Publication of KR200601070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70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38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38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0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 E04H12/08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of met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 F21S8/085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드레스트 높이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 하부에 시트백(3)의 상부로 수직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바(2)가 구비되며, 탑승자의 머리를 받치는 헤드레스트몸체(1)와, 시트백(3)의 내부에 장착되며, 스위치조작에 의해 전기전원을 공급받아 회전하는 모터(5)와, 외주면에 연속된 나선형 홈이 파여져 있으며, 양 단이 시트백(3)의 상, 하부를 향하도록 상기 모터(5)의 회전축에 장착되어 모터(5)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스크류바(6)와, 상기 스크류바(6)에 나사결합되며, 양 측에 상기 헤드레스트몸체(1)의 가이드바(2)가 고정되는 고정구(7a)가 구비된 승하강너트(7)와, 상기 모터(5)로 공급되는 전기전원을 공급, 차단하고, 스위치 조작에 따라 모터(5)의 회전 방향을 변환하여 헤드레스트몸체(1)의 승, 하강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8)으로 구성되어 헤드레스트몸체(1)는 제어수단(8)의 조작으로 모터(5)가 회전하면 스크류바(6)가 회전하면서 승하강너트(7)를 회전 방향에 따라 승, 하강시켜 헤드레스트몸체(1)가 승, 하강 되는 것이다.
즉, 탑승자가 제어수단(8)을 조작하여 간단히 헤드레스트의 높이를 간단히 조절할 수 있으며, 자신의 머리 높이에 딱 맞는 높이로 헤드레스트를 위치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탑승자가 자신의 체형에 맞는 헤드레스트의 높이를 메모리스위치를 통해 저장할 수 있어 탑승할 때 헤드레스트의 높이가 달라져 있어도 저장된 메모리스위치만 누르면 간단히 자신의 체형에 맞게 헤드레스트의 높이를 위치시킬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탑승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차량의 상품성을 획기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헤드레스트 높이 조절 장치{Height Control Device Of Head Rest}
도 1은 종래의 헤드레스트를 도시한 요부확대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인 헤드레스트 높이 조절 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3 은 본 발명인 헤드레스트 높이 조절 장치의 제어수단을 도시한 블록도
*도면 중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 : 헤드레스트몸체 2 : 가이드바
3 : 시트백 5 : 자동승하강수단
6 : 제어수단 10 : 전원제어부
20 : 승하강스위치부 21 : 승강스위치
22 : 하강스위치 30 : 메모리스위치부
31 : 메모리스위치 40 : 입력부
50 : 위치검출센서부 60 : 프로그램제어부
70 : 위치저장부 80 : 모터구동제어부
본 발명은 헤드 레스트의 높이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헤드 레스트의 높이를 저장하여, 탑승자에 따라 헤드 헤드레스트가 저장된 높이로 자동으로 이동하여 탑승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시트는 탑승자가 앉아 탑승자의 신체를 지지하는 구조물이며, 탑승자가 앉아 탑승자의 하체를 지지하는 시트 쿠션과, 시트쿠션의 후단에 세워져 탑승자가 시트 쿠션에 앉았을 경우 탑승자의 등을 지지하는 시트백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시트백 상단에는 탑승자의 머리를 받쳐줄 수 있는 헤드 레스트가 장착되어, 주행 중 탑승자의 머리부를 편하게 받쳐주어 주행 중 편안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 헤드 레스트는 상기한 바와 같이 자동차의 시트에 착석하는 탑승자가 머리를 기댈 때 지지해 주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충돌 사고 등이 발생할 경우 탑승자의 머리가 심하게 앞 뒤로 흔들리지 않게 받쳐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한편, 자동차 시트의 시트백은 그 높이가 일정하게 고정되어 있어 이 시트백에 기대는 탑승자의 앉은키에 따라 머리를 받쳐줄 수 없어 헤드레스트를 시트백의 상부에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하여 탑승자의 앉은키에 맞게 헤드 레스트의 높이를 조절하여 탑승자의 머리를 편하게 받쳐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헤드 레스트는 통상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레스트몸체(1)의 하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다 수개의 높이조절홈(2a)이 파여진 가이드바(2)가 설치된다.
그리고 시트백(3)의 상부에 상기 가이드바(2)가 결합되고, 이 가이드바(2)의 높이조절홈(2a)을 단속하는 록킹구(4a)가 구비된 가이드스테이(4)를 설치한다.
즉, 헤드레스트는 헤드레스트몸체(1)의 하부에 설치된 가이드바(2)를 시트백(3)의 상부에 설치된 가이드스테이(4)에 끼워 결합되며, 끼워 결합된 상태에서 이 가이드스테이(4)에 구비된 록킹구(4a)가 가이드바(2)의 높이조절홈(2a)에 끼워 걸려 그 헤드레스트몸체(1)의 위치가 고정되게 되는 것이다.
헤드레스트몸체(1)는 록킹구(4a)를 조작하여 가이드바(2)의 높이조절홈(2a)에서 이탈한 후 헤드레스트(1)의 몸체를 위, 아래로 이동시켜 탑승자의 머리 높이에 맞춘 후 록킹구(4a)를 조절된 높이에 해당하는 높이조절홈(2a)에 끼워 걸리도록 함으로써 그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헤드레스트는 탑승자가 헤드레스트몸체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손으로 록킹구를 조작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던 것이다.
또, 가이드바의 높이조절홈에 록킹구가 끼워 결합되는 높이에서만 그 위치가 고정되므로 미세한 높이 조절이 불가능하고, 탑승하는 탑승자의 체형에 따라 매번 번거롭게 헤드레스트의 높이를 새로 조절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즉, 탑승자가 자신의 체형에 맞게 헤드레스트의 높이를 조절한 후 다른 탑승자가 탄 후 다시 탑승할 경우 자신의 체형에 맞게 다시 헤드레스트의 높이를 조절해야 했던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에 주로 탑승하는 탑승자의 체형의 맞는 헤드레스트의 높이를 모터의 회전으로 간단히 승, 하강시켜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미세한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헤드레스트 높이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탑승자의 체형의 맞는 헤드레스트의 높이를 저장하여 자신의 체형에 맞는 입력번호를 선택하면 헤드레스트의 높이가 자동으로 조절되어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헤드레스트 높이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부에 시트백(3)의 상부로 수직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바(2)가 구비되며, 탑승자의 머리를 받치는 헤드레스트몸체(1)와;
시트백(3)의 내부에 장착되며, 스위치조작에 의해 전기전원을 공급받아 회전하는 모터(5)와;
외주면에 연속된 나선형 홈이 파여져 있으며, 양 단이 시트백(3)의 상, 하부를 향하도록 상기 모터(5)의 회전축에 장착되어 모터(5)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스크류바(6)와;
상기 스크류바(6)에 나사결합되며, 양 측에 상기 헤드레스트몸체(1)의 가이드바(2)가 고정되는 고정구(7a)가 구비된 승하강너트(7)와;
상기 모터(5)로 공급되는 전기전원을 공급, 차단하고, 스위치 조작에 따라 모터(5)의 회전 방향을 변환하여 헤드레스트몸체(1)의 승, 하강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8)으로 구성됨으로써 달성된다.
즉, 상기 헤드레스트몸체(1)는 제어수단(8)의 조작으로 모터(5)가 회전하면 스크류바(6)가 회전하면서 승하강너트(7)를 회전 방향에 따라 승, 하강시키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 승하강너트(7)의 고정구에 고정된 헤드레스트몸체(1)가 자동으로 승하강되어 헤드레스트의 높이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는 본 발명인 헤드레스트 높이 조절 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개략도로서, 시트백의 내부에 헤드레스트몸체를 승, 하강시키는 자동승하강수단이 내장되며, 이 자동승하강수단에 의해 헤드레스트몸체가 작동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3 은 본 발명인 헤드레스트 높이 조절 장치의 제어수단을 도시한 블록도로서, 제어수단의 각 연계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하,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시트백(3)의 상부에 결합되는 헤드레스트몸체(1)는 하부에 간격을 두고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가이드바(2)가 구비되어 있다.
이 헤드레스트몸체(1)는 시트백(3)의 상부로 가이드바(2)가 삽입되어 결합됨으로서, 시트백(3)의 상부에 일정높이로 위치되는 것이며, 푹신한 쿠션으로 형성 되어 승차감을 쾌적하게 유지하고, 머리가 헤드레스트몸체(1)에 강하게 부딪쳐도 다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시트백(3) 내부에는 상기 헤드레스트몸체(1)를 자동으로 승하강시키는 모터(5)가 내장되며, 이 모터(5)는 전기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발생시키며, 그 회전축이 시트백(3)의 상부를 향하도록 시트백(3)의 내부에 장착된다.
이 모터(5)의 회전축에는 외주면에 연속된 나선형 홈이 파여진 스크류바(6)가 장착되어 모터(5)의 회전에 의해 회전한다.
상기 스크류바(6)에 승하강너트(7)가 나사결합되며, 이 승하강너트(7)의 양 측에 상기 헤드레스트몸체(1)의 가이드바(2)가 고정되는 고정구(7a)가 구비된다.
즉, 모터(5)가 전기전원을 공급받아 회전하면 스크류바(6)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승하강너트(7)가 상, 하로 이동하게 되고, 이 승하강너트(7)가 상, 하로 이동하면 이 양측에 고정된 가이드바(2)도 따라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모터(5)가 승하강너트(7)를 상부로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회전하면 스크류바(6)가 회전하면서 승하강너트(7)를 상부로 이동시키고 이에 따라 헤드레스트몸체(1)가 승강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모터(5)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면 스크류바(6)가 반대로 회전하면서 승하강너트(7)를 하부로 이동시키고 이에 따라 헤드레스트몸체(1)가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자동승하강수단(5)은 승하강스위치부(20)를 포함한 제어수단(8)에 의해 그 작동이 제어된다.
본 발명의 제어수단(8)은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전원제어부(10), 승하강스위치부(20), 메모리스위치부(30), 입력부(40), 위치검출센서부(50)와, 프로그램제어부(60), 위치저장부(70), 모터구동제어부(80)로 구성된다.
전원제어부(10)는 자동차의 배터리에 연계되어 모터(5)를 회전시키는 전기전원을 공급 차단하며, 이 공급, 차단은 후술될 승하강스위치부(20)와 메모리스위치부(30)의 조작에 의해 제어된다.
그리고 상기 전원제어부(10)는 프로그램제어부(60)를 통해 승하강스위치부(20)와 메모리스위치부(30)에 연계되어 이 승하강스위치부(20)와 메모리스위치부(30)의 조작에 의해 제어되는 것이다.
승하강스위치부(20)는 승강스위치(21)와 하강스위치(22)로 구성되며, 승강스위치(21)와 하강스위치(22)는 시트백(3)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탑승자가 확인하고 조작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또 메모리스위치부(30)는 다수의 메모리스위치(31)로 구성되며, 이 각 메모리스위치(31)는 번호가 매겨져 사용자가 사용 중 식별하기 쉽게 한다.
이 승하강스위치부(20)와 메모리스위치부(30)는 입력부(40)를 거쳐 입력신호가 전기적신호로 변환되어 프로그램제어부(60)로 전송된다.
또 모터(5)에는 헤드레스트몸체(1)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검출센서부(50)가 설치되고, 모터구동제어부(80)에 연계되어 그 회전방향과 회전수가 제어된다.
그리고 프로그램제어부(60)는 상기 위치검출센서부(50)와 메모리스위치부(30)의 조작에 의해 헤드레스트몸체(1)의 위치를 저장하는 위치저장부(70)가 연계 된다.
이 프로그램제어부(60)는 승하강스위치부(20)의 승강스위치(21) 또는 하강스위치(22)를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는 모터(5)가 헤드레스트몸체(1)를 승, 하강 시키는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회전되도록 프로그램이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제어부(60)는 메모리스위치부(30)의 조작에 의해 위치저장부(70)에 헤드레스트의 조절된 위치를 저장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되고, 본 발명에서는 메모리스위치(31)의 원하는 번호의 메모리스위치(31)를 일정시간 이상으로 길게 누르면 그 위치가 자동으로 해당하는 번호의 메모리스위치(31)에 저장되도록 프로그램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이 프로그램제어부(60)는 탑승자가 원하는 위치로 저장된 번호의 메모리스위치(31)를 일정시간 이하로 짧게 누르면 모터(5)가 회전하여 헤드레스트몸체(1)를 해당하는 번호의 메모리스위치(31)에 저장된 헤드레스트몸체(1)의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프로그램된다.
즉, 프로그램제어부(60)는 메모리스위치부(30)의 각 메모리스위치(31)를 일정시간 이상으로 길게 누르면 해당하는 번호의 메모리스위치(31)에 승하강스위치부(20)에 의해 조절된 헤드레스트몸체(1)의 위치가 위치저장부(70)에 저장되도록 하고, 메모리스위치(31)를 일정시간 이하로 짧게 누르면 해당하는 번호의 메모리스위치(31)에 저장된 헤드레스트의 몸체로 헤드레스트몸체(1)를 이동시키도록 모터구동제어부(80)를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해 헤드레스트의 높이를 조절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탑승자가 탑승하여 승하강스위치부(20)의 승, 하강스위치(21, 22)를 누르면, 입력부(40)에서 전기신호를 프로그램제어부(60)로 전송하여 모터구동제어부(80)를 제어하여 모터(5)를 헤드레스트몸체(1)가 승, 하강되는 방향으로 회전되어 헤드레스트몸체(1)가 눌러진 승, 하강스위치(21, 22)에 따라 승, 하강되는 것이다.
그리고 탑승자가 원하는 높이로 헤드레스트몸체(1)가 위치하면 누르고 있었던 승, 하강스위치(21, 22)에서 손을 떼어 헤드레스트몸체(1)의 위치를 고정시키고 이 고정된 위치를 메모리스위치부(30)에서 원하는 번호의 메모리스위치(31)를 일정시간 이상 동안 길게 누르면 위치저장부(70)에 해당하는 번호의 메모리스위치(31)로 그 위치가 저장된다.
그 후 탑승자가 하차한 후 다시 탑승했을 때 헤드레스트몸체(1)의 위치가 변경되어도, 자신이 저장한 번호의 메모리스위치(31)를 짧게 누르면 모터구동제어부(80)에서 모터(5)를 작동시켜 이 메모리스위치(31)에 저장된 위치로 헤드레스트몸체(1)를 이동시킨다.
따라서 탑승자가 탈 때마다 자신의 체형에 맞게 헤드레스트의 높이를 조절할 필요없이 저장된 메모리스위치(31)를 누름으로써 간단히 헤드레스트의 높이를 자신의 체형에 맞게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탑승자가 승, 하강스위치(21, 22)를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는 모터(5)가 계속 회전하여 헤드레스트몸체(1)를 승, 하강시키도록 되어 있으므로, 이 헤드레스트몸체(1)가 승, 하강되어 위치되는 최상단과 최하단에는 기계 적인 스토퍼를 장착하여 더 이상 승, 하강이 진행되지 못하도록 하고 모터(5)가 이 힘을 받아 움직이지 않을 경우에는 즉시 모터구동제어부(80)에서 입력부(40)에서의 키신호를 무시하고, 모터(5)의 구동을 정지하도록 하여 모터(5)에 과부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돌고 한다.
또 헤드레스트몸체(1)가 최상단에 위치한 경우에서 하강스위치(22)는 인지하고, 최하단에 위치한 경우에서 승강스위치(21)를 인지하여 모터(5)를 작동시켜 헤드레스트몸체(1)를 이동시킨다.
메모리스위치부(30)는 헤드레스트몸체(1)의 위치에 관계없이 인지되어 작동됨을 밝혀둔다.
그리고 상기 전원제어부(10)에는 시동키의 동작상태를 확인하여 이 전원제어부(10)에 전기전원의 공급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전원확인램프(11)가 연계되어 이 확인램프로 탑승자가 본 발명인 헤드레스트 높이 조절 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는 지 여부를 확인하고 승하강스위치부(20) 또는 메모리스위치부(30)를 조작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탑승자가 제어수단을 조작하여 간단히 헤드레스트의 높이를 간단히 조절할 수 있으며, 자신의 머리 높이에 딱 맞는 높이로 헤드레스트를 위치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탑승자가 자신의 체형에 맞는 헤드레스트의 높이를 메모리스위치를 통 해 저장할 수 있어 탑승할 때 헤드레스트의 높이가 달라져 있어도 저장된 메모리스위치만 누르면 간단히 자신의 체형에 맞게 헤드레스트의 높이를 위치시킬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탑승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차량의 상품성을 획기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3)

  1. 하부에 시트백(3)의 상부로 수직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바(2)가 구비되며, 탑승자의 머리를 받치는 헤드레스트몸체(1)와;
    시트백(3)의 내부에 장착되며, 스위치조작에 의해 전기전원을 공급받아 회전하는 모터(5)와;
    외주면에 연속된 나선형 홈이 파여져 있으며, 양 단이 시트백(3)의 상, 하부를 향하도록 상기 모터(5)의 회전축에 장착되어 모터(5)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스크류바(6)와;
    상기 스크류바(6)에 나사결합되며, 양 측에 상기 헤드레스트몸체(1)의 가이드바(2)가 고정되는 고정구(7a)가 구비된 승하강너트(7)와;
    상기 모터(5)로 공급되는 전기전원을 공급, 차단하고, 스위치 조작에 따라 모터(5)의 회전 방향을 변환하여 헤드레스트몸체(1)의 승, 하강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8)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높이 조절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8)은 모터(5)에 공급되는 전기전원을 제어하는 전원제어부(10)와;
    모터(5)를 헤드레스트몸체(1)가 승, 하강되도록 정, 역회전시키는 승하강스위치부(20)와;
    상기 승하강스위치부(20)로 조절되어 저장된 헤드레스트몸체(1)의 높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다 수의 메모리스위치부(30)와;
    상기 승하강스위치부(20)와 메모리스위치부(30)에 연계되어 이 각 스위치의 입력신호를 전기적신호로 바꿔 전송시키는 입력부(40)와;
    상기 모터(5)에 연계되고, 헤드레스트몸체(1)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검출센서부(50)와;
    상기 입력부(40), 위치검출센서부(50), 전원제어부(10)에 각각 연계되어 이 입력부(40), 위치검출센서부(50), 전원제어부(10)에서 전달되는 전기적신호를 처리하여 모터(5)를 제어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제어부(60)와;
    상기 프로그램제어부(60)에 연계되어 메모리스위치부(30)의 조작으로 헤드레스트몸체(1)의 위치를 저장하는 위치저장부(70)와;
    상기 프로그램제어부(60)에 연계되어 모터제어신호를 받아 모터(5)의 구동을 제어하는 모터구동제어부(8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높이 조절 장치.
  3. 청구항 2항에 있어서, 프로그램제어부(60)는 메모리스위치부(30)의 각 메모리스위치(31)를 일정시간 이상으로 길게 누르면 해당하는 번호의 메모리스위치(31)에 승하강스위치부(20)에 의해 조절된 헤드레스트몸체(1)의 위치가 위치저장부(70)에 저장되도록 하고, 메모리스위치(31)를 일정시간 이하로 짧게 누르면 해당하는 번호의 메모리스위치(31)에 저장된 헤드레스트의 몸체로 헤드레스트몸체(1)를 이동시키도록 모터구동제어부(80)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높이 조절 장치.
KR1020050029099A 2005-04-07 2005-04-07 헤드레스트 높이 조절 장치 KR1006438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9099A KR100643858B1 (ko) 2005-04-07 2005-04-07 헤드레스트 높이 조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9099A KR100643858B1 (ko) 2005-04-07 2005-04-07 헤드레스트 높이 조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7096A true KR20060107096A (ko) 2006-10-13
KR100643858B1 KR100643858B1 (ko) 2006-11-10

Family

ID=37627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9099A KR100643858B1 (ko) 2005-04-07 2005-04-07 헤드레스트 높이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385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91072A1 (en) * 2007-01-26 2008-07-31 Ddd Co., Ltd. Car seat headrest mounting structure
CN103302896A (zh) * 2013-05-21 2013-09-18 吴江市美晟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分切机刀架抬升机构
WO2017188629A1 (en) * 2016-04-26 2017-11-02 Woobo Tech Co., Ltd. Headrest fold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8096U (ko) * 1996-09-25 1998-07-06 임경춘 헤드 레스트 위치조절장치 및 그 회로
JP2000219070A (ja) 1999-02-01 2000-08-08 Aisin Seiki Co Ltd 電動シ−ト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91072A1 (en) * 2007-01-26 2008-07-31 Ddd Co., Ltd. Car seat headrest mounting structure
US8167376B2 (en) 2007-01-26 2012-05-01 Ddd Co., Ltd Car seat headrest mounting structure
CN103302896A (zh) * 2013-05-21 2013-09-18 吴江市美晟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分切机刀架抬升机构
WO2017188629A1 (en) * 2016-04-26 2017-11-02 Woobo Tech Co., Ltd. Headrest folding device
JP2019513624A (ja) * 2016-04-26 2019-05-30 ウーボ テク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ヘッドレストフォールディング装置
US10836289B2 (en) 2016-04-26 2020-11-17 Woobo Tech Co., Ltd. Headrest fold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3858B1 (ko) 2006-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04185B2 (ja) 車両用シートの昇降速度可変スイッチ
US6573673B1 (en) Adjustable vehicle seat with horizontal seat adjustment and/or seat height adjustment and/or seat depth adjustment and neck-rest that can be displaced by an electric motor and guided by a sensor system influenced by the size of the user
JP2002522131A (ja) 可調節型ヘッドレスト
KR100643858B1 (ko) 헤드레스트 높이 조절 장치
JP4352971B2 (ja) フットレスト装置およびオットマン装置付き乗物用シートの制御方法
CN110525284A (zh) 一种便于后排乘客上下车的前排汽车座椅
KR20070117966A (ko) 헤드레스트의 자동조절장치
CN108058630B (zh) 座椅头枕的自调节方法及系统
JP4720415B2 (ja) 車両用シート
JP2007153166A (ja) 車両用シート装置
JP4404293B2 (ja) 施療機
KR20140065299A (ko) 운전석 시트 조정 장치 및 그 방법
JP4483547B2 (ja) マッサージ機
JP4649660B2 (ja) 脚部支持装置及びその脚部支持装置を備える車両用シート
JP2570727Y2 (ja) 自動車用シート
JP4961290B2 (ja) 椅子型マッサージ機
KR101548565B1 (ko) 기능성 침대
JPH0759629A (ja) 車両用シートのヘッドレスト装置
JP2001252319A (ja) 電動マッサージ機
KR102309253B1 (ko) 이중 기어를 이용한 시트쿠션 익스텐션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트쿠션
JP2022110553A (ja) 車両用シート
JP2001137067A (ja) 高さ自動調節ヘッドレスト付き座席
JPH07111927A (ja) サイドサポート付シート装置
JPH0513631Y2 (ko)
KR200416769Y1 (ko) 승ㆍ하강 장치가 구비된 리어 아암레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3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