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6873A - 네가티브형 포토레지스트 조성물 - Google Patents

네가티브형 포토레지스트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6873A
KR20060106873A KR1020060014902A KR20060014902A KR20060106873A KR 20060106873 A KR20060106873 A KR 20060106873A KR 1020060014902 A KR1020060014902 A KR 1020060014902A KR 20060014902 A KR20060014902 A KR 20060014902A KR 20060106873 A KR20060106873 A KR 200601068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resist composition
negative photoresist
azide
poly
eth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4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수
이학준
박찬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Publication of KR200601068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6873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38Macromolecular compounds which are rendered insoluble or differentially wettable
    • G03F7/0382Macromolecular compounds which are rendered insoluble or differentially wettable the macromolecular compound being present in a chemically amplified negative photoresist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01/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09D101/08Cellulose derivatives
    • C09D101/26Cellulose ethers
    • C09D101/28Alkyl ethers
    • C09D101/284Alkyl ethers with hydroxylated hydrocarbon radica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045Photosensitive materials with organic non-macromolecular light-sensitive compoun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issolution inhibito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38Macromolecular compounds which are rendered insoluble or differentially wettabl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9Photosensitive material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details, e.g. supports, auxiliary layers
    • G03F7/091Photosensitive material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details, e.g. supports, auxiliary layers characterised by antireflection means or light filtering or absorbing means, e.g. anti-halation, contrast enhance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2111/00Clean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objects to be cleaned; Clean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non-standard cleaning or washing processes
    • C11D2111/10Objects to be cleaned
    • C11D2111/14Hard surfaces
    • C11D2111/22Electronic devices, e.g. PCBs or semicondu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For Photolithography (AREA)
  • Exposure And Positioning Against Photoresist Photosensitive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네가티브형 포토레지스트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폴리(2-에틸-2-옥사졸린), 아지드계 감광제, 및 순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가티브형 포토레지스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네가티브형 포토레지스트 조성물은 CRT용 B/M 제조공정, 섀도우 마스크 제조공정 등에 적용하여 Cr이 적용되는 포토레지스트를 대체하여 환경 유해성을 방지할 수 있고, 노광시 광흡수밴드가 공정조건에 맞게 광을 선택함으로써 감도를 증가시킬 수 있어 접착성 및 해상도가 우수한 도트/스트라이프(DOT/STRIPE)의 포토레지스트막을 얻을 수 있어 품질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포토레지스트 조성물, 폴리(2-에틸-2-옥사졸린), 아지드계 감광제, CRT, 섀도우 마스크

Description

네가티브형 포토레지스트 조성물 {NEGATIVE PHOTORESIST COMPOSITION}
본 발명은 네가티브형 포토레지스트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Cr의 환경 유해성을 방지할 수 있고, 노광시 광흡수밴드가 공정조건에 맞게 광을 선택함으로써 감도를 증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시에 CRT용 B/M 제조공정, 섀도우 마스크 제조공정 등에 적용하여 접착성 및 해상도가 우수한 도트/스트라이프(DOT/STRIPE)의 포토레지스트막을 얻을 수 있어 품질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네가티브형 포토레지스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 네가티브형 포토레지스트 조성물로는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PVA)계와 카세인계에 감광제로 중크롬산나트륨(SDC), 중크롬산암모늄(ADC) 등을 사용한 포토레지스트 조성물과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 pyrrolidone)계와 PAD(poly acrylamide diacetoneacrylamide)계에 아지드계 감광제를 사용한 포토레지스트 조성물이 주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포토레지스트 조성물들은 CRT용 B/M 제조공정, 섀도우 마스크 제조공정 등에 적용할 경우 접착력 및 해상도가 낮아 이에 대한 개선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편, 폴리비닐알코올에 감광제 디크롬메이트(dichromate)를 혼합한 혼합용액인 포토레지스트 조성물은 감광제 물질인 디크롬메이트는 345∼365 ㎚에 최대 흡광 피크가 있어 광원인 초고압 수은등의 최대 발광 피크 365 ㎚에 근접하여 우수한 감도와 접착력을 보이나, 크롬에 의한 중금속 오염을 발생시킨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최근 폴리비닐알코올에 SbQ(4-[2-(4-포르밀 페닐)에테닐]-1-메틸피리듐염, 4-[2-(4-formyl phenyl)ethenyl]-1-methylpyridium salt)를 도입한 포토레지스트 조성물이 제안되고 있다. 이 화합물은 특히 고분자와 감광제를 별도의 공정으로 투입하여 혼합하였던 종래의 중합체 조성공정과는 달리 폴리비닐알코올에 SbQ를 반응시켜서 얻은 PVA-SbQ의 혼합물을 포토레지스트 조성물로 적용함으로써 혼합에 따른 교반공정과 같은 별도의 공정이 필요 없는 간단한 방법으로 포토레지스트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초고온 수은등의 발광 피크는 365 ㎚와 405 ㎚의 부근에서 최대 피크를 나타내는데 반하여, 상기 PVA-SbQ 화합물의 흡광 피크는 345 ㎚에서 최대 흡광 피크를 나타내어 수은등의 발광피크인 335 ㎚의 낮은 감도만을 이용할 수 있게 되어 노광시간이 길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Cr의 환경 유해성을 방지할 수 있고, 노광시 광흡수밴드가 공정조건에 맞게 광을 선택함으로써 감도를 증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시에 CRT용 B/M 제조공정, 섀도우 마스크 제조공정 등에 적용하여 접착성 및 해상도가 우수한 도트/스트라이프(DOT/STRIPE)의 포토레지스트막을 얻을 수 있어 품질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네가티브형 포토레지스트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접착성 및 해상도가 우수한 도트/스트라이프(DOT/STRIPE)의 포토레지스트막을 얻을 수 있어 품질이 현저히 향상된 CRT용 B/M 형성방법 및 섀도우 마스크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네가티브형 포토레지스트 조성물에 있어서,
a) 폴리(2-에틸-2-옥사졸린);
b) 아지드계 감광제; 및
c) 순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가티브형 포토레지스트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포토레지스트 조성물을 이용한 CRT용 B/M 형성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CRT용 B/M 형성방법으로 형성되는 CRT용 B/M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포토레지스트 조성물을 이용한 섀도우 마스크 형성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섀도우 마스크 형성방법으로 형성되는 섀도우 마스크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네가티브형 포토레지스트 조성물은 a) 폴리(2-에틸-2-옥사졸린), b) 아지드계 감광제, 및 c) 순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a)의 폴리(2-에틸-2-옥사졸린)(poly(2-ethyl-2-oxazoline; POZ, CAS No. 25805-17-8)은 ISP사에서 제조한 상품명 Aquazol poly(2-ethyl-2-oxazoline)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a) 폴리(2-에틸-2-옥사졸린)의 함량은 1 내지 15 중량%가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접착성이 떨어지거나 형성하고자 하는 패턴의 형상에 변형이 발생되며 심하게는 패턴이 불규칙하게 형성되는 문제가 초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b)의 아지드계 감광제는 통상의 아지드계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디아지도 스틸벤 디설포닉 산 디소듐 염(diazido stilbene disulfonic acid disodium salt), 2,5-비스(4'-아지도-2'-설포벤질리덴)시클로펜타논 디설포늄 염(2,5-bis(4'-azido-2'-sulfobenzylidene)cyclopentanone disodium salt), 비스 아지드(4,4'-Diaaidostillben-2,2'-disodium sulfonate), 또는 디에이피(2,5 Bis(4'Azide-2'Sulfonobenzylene)Pentanone disodium; DAP)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아지드계 감광제는 디아지도 스틸벤 디설포닉 산 디소듐 염 또는 2,5-비스(4'-아지도-2'-설포벤질리덴)시클로펜타논 디설포늄 염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아지드계 감광제의 함량은 0.05 내지 5 중량%가 바람직하 며,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해상도를 충분히 얻을 수 없거나 패턴의 형상에 변형이 발생되며 심하게는 패턴이 불규칙하게 형성되는 문제가 초래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폴리(2-에틸-2-옥사졸린)과 아지드계 감광제의 혼합비가 100 : 5 내지 25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 10 내지 20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이다. 상기 혼합비율이 상기 범위 내인 경우에는 CRT용 B/M 제조공정, 섀도우 마스크 제조공정 등에 적용시 접착성 및 해상도의 충분한 향상을 얻을 수 있으며, 감광성을 높이고, 또한 감광성 수지막의 배열을 균일하게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폴리(2-에틸-2-옥사졸린)과 아지드계 감광제를 혼합한 본 발명의 포토레지스트 조성물은 336 ㎚, 342 ㎚, 및 380 ㎚ 부근에서 높은 흡광계수를 나타내어 노광시 광흡수 밴드가 공정조건에 맞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빛에 대한 감광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에서 c) 상기 순수는 반도체 공정용으로 사용가능한 순도의 것이 바람직하며, 시판되는 것을 사용하거나, 공업용 등급을 당업계에 통상적으로 공지된 방법에 따라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반도체 공정용 순수는 일반적으로 초순수(ultra pure water)이며, 바람직하게는 16 mΩ 이하의 물을 사용한다.
상기와 같은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네가티브형 포토레지스트 조성물은 최종 고형분 함량(Solid Content)이 1 내지 15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며, 고형분 및 감광제의 함량이 벗어나면 형성하고자 하는 패턴의 형상에 변형이 발생되며 심하게는 패턴이 불규칙하게 형성되는 문제가 초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 pyllolidone) 또는 PAD(poly acrylamide diacetoneacrylamide)를 더욱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때 폴리비닐피롤리돈 또는 PAD의 사용량은 사용되는 폴리(2-에틸-2-옥사졸린)과 합하여 본 발명의 포토레지스트 조성물의 1 내지 15 중량%의 범위에서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폴리(2-에틸-2-옥사졸린) 100 중량부에 대하여 최대 400 중량부 이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포토레지스트 조성물은 상기 성분 이외에 통상의 포토레지스트 조성물에 사용되는 계면활성제, 실란화합물, 또는 안정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란화합물은 계면활성제의 작용을 하며, 폴리(2-에틸-2-옥사졸린)이 기판의 내면에 잘 접착하도록 접착강도를 향상시키는 작용을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네가티브형 포토레지스트 조성물을 이용한 CRT용 B/M 형성방법 또는 섀도우 마스크 형성방법을 제공하는 바, 상기 CRT용 B/M 형성방법 또는 섀도우 마스크 형성방법은 당업계에서 사용하는 통상의 방법에 따라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그 조건은 다른 공정 조건 및 요인에 의해 필요에 따라 달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네가티브형 포토레지스트 조성물은 노광시 광흡수밴드가 공정조건에 맞게 광을 선택함으로써 감도를 증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시에 CRT용 B/M 제조공정, 섀도우 마스크 제조공정 등에 적용하여 접착성 및 해상도가 우수한 도트/스트라이프(DOT/STRIPE)의 포토레지스트막을 얻을 수 있어 품 질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순수 100 g에 폴리(2-에틸-2-옥사졸린)(Aquazol poly(2-ethyl-2-oxazoline, ISP사) 4 g을 용해한 후, 여기에 디아지도 스틸벤 디설포닉 산 디소듐 염 0.5 g을 투입하여 혼합하고, 다시 계면활성제 0.05 g, 실란 화합물 0.05 g, 및 안정제 0.0025 g를 추가로 투입하여 균일하게 교반하여 포토레지스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디아지도 스틸벤 디설포닉 산 디소듐 염 0.5 g을 대신하여 디아지도 스틸벤 디설포닉 산 디소듐 염 0.3 g 및 2,5-비스(4'-아지도-2'-설포벤질리덴)시클로펜타논 디설포늄 염 0.3 g을 혼합하여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디아지도 스틸벤 디설포닉 산 디소듐 염을 대신하여 2,5-비스(4'-아지도-2'-설포벤질리덴)시클로펜타논 디설포늄 염을 혼합하여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1에서 순수 100 g에 폴리(2-에틸-2-옥사졸린)(Aquazol poly(2-ethyl-2-oxazoline, ISP사) 4 g을 대신하여 폴리(2-에틸-2-옥사졸린)(Aquazol poly(2-ethyl-2-oxazoline, ISP사) 1.2 g 및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 pyllolidone) 2.8 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포토레지스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종래 폴리비닐피롤리돈과 아지드계 감광제를 사용한 포토레지스트 조성물을 이용하였다.
비교예 2
종래 폴리비닐알코올과 중크롬산나트륨을 사용한 포토레지스트 조성물을 이용하였다.
비교예 3
종래 폴리 아크릴아미드 디아세톤아크릴아미드와 아지드계 감광제를 사용한 포토레지스트 조성물을 이용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3의 포토레지스트 조성물을 CRT용 B/M 제조와 섀도우 마스크 제조에 적용한 후, 접착력과 해상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접착력은 screen된 P/R층의 강도를 측정하여 단단한 정도로 대체하였으며 하드니스 측정기로 3 gf의 힘으로 눌러 눌리는 량을 측정한 data로 적을수록 우수한 접착력을 나타내며, 해상도는 현미경을 통해 육안으로 평가한 것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우수한 것으로 평가하였다.
구분 실시예 비교예
1 2 3 4 1 2 3
접착력 (um) 0.35 0.33 0.30 0.36 0.53 0.46 0.48
해상도 4 5 5 5 5 2 4
상기 표 1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라 폴리(2-에틸-2-옥사졸린)과 아지드계 감광제를 사용한 실시예 1 내지 4의 포토레지스트 조성물은 종래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알코올 또는 폴리 아크릴아미드 디아세톤아크릴아미드의 고분자를 사용한 비교예 1 내지 3와 비교하여 감도가 우수하고, 접착력과 해상도 또한 동등 수준 이상으로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네가티브형 포토레지스트 조성물은 Cr의 환경 유해성을 방지할 수 있고, 노광시 광흡수밴드가 공정조건에 맞게 광을 선택함으로써 감도를 증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시에 CRT용 B/M 제조공정, 섀도우 마스크 제조공정 등에 적용하여 접착성 및 해상도가 우수한 도트/스트라이프(DOT/STRIPE)의 포토레지스트막을 얻을 수 있어 품질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네가티브형 포토레지스트 조성물에 있어서,
    a) 폴리(2-에틸-2-옥사졸린);
    b) 아지드계 감광제; 및
    c) 순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가티브형 포토레지스트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2-에틸-2-옥사졸린)과 아지드계 감광제가 100 : 0.5 내지 25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가티브형 포토레지스트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의 아지드계 감광제가 디아지도 스틸벤 디설포닉 산 디소듐 염(diazido stilbene disulfonic acid disodium salt), 2,5-비스(4'-아지도-2'-설포벤질리덴)시클로펜타논 디설포늄 염(2,5-bis(4'-azido-2'-sulfobenzylidene)cyclopentanone disodium salt), 비스 아지드(4,4'-Diaaidostillben-2,2'-disodium sulfonate), 및 디에이피(2,5 Bis(4'Azide-2'Sulfonobenzylene)Pentanone disodium; DAP)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가티브형 포토레지스트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가티브형 포토레지스트 조성물의 최종 고형분 함량이 1 내지 15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가티브형 포토레지스트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가티브형 포토레지스트 조성물이 계면활성제, 실란화합물, 및 안정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가티브형 포토레지스트 조성물.
  6. 제1항 기재의 포토레지스트 조성물을 이용한 CRT용 B/M 형성방법.
  7. 제6항 기재의 방법으로 형성되는 CRT용 B/M.
  8. 제1항 기재의 포토레지스트 조성물을 이용한 섀도우 마스크 형성방법.
  9. 제8항 기재의 방법으로 형성되는 섀도우 마스크.
KR1020060014902A 2005-04-04 2006-02-16 네가티브형 포토레지스트 조성물 KR2006010687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28124 2005-04-04
KR1020050028124 2005-04-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6873A true KR20060106873A (ko) 2006-10-12

Family

ID=37077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4902A KR20060106873A (ko) 2005-04-04 2006-02-16 네가티브형 포토레지스트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60106873A (ko)
CN (1) CN1847981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61737A1 (de) * 2021-02-01 2022-08-04 Giesecke+Devrient Currency Technology Gmbh Maskenbelichtungsverfahren, transparente, leitfähige metallisierung und pigment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14358A (ja) * 1991-10-24 1993-05-07 Toshiba Corp シヤドウマスクの製造方法
JP3561061B2 (ja) * 1995-12-11 2004-09-02 東洋合成工業株式会社 ポリビニルアルコール系感光性樹脂および感光性樹脂組成物並びにそれを用いたパターン形成方法
KR980010618A (ko) * 1996-07-16 1998-04-30 손욱 포토레지스트 조성물
TW454219B (en) * 1998-04-02 2001-09-11 Toshiba Corp Dispersion composition for black matrix, display, and process for producing displa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61737A1 (de) * 2021-02-01 2022-08-04 Giesecke+Devrient Currency Technology Gmbh Maskenbelichtungsverfahren, transparente, leitfähige metallisierung und pig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847981B (zh) 2010-09-08
CN1847981A (zh) 2006-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48655A (en) Photosensitive composition of aromatic azido compound
KR20060106873A (ko) 네가티브형 포토레지스트 조성물
KR860000707B1 (ko) 포토레지스트(photoresist) 조성물
EP2095969B1 (en) Laser engravable printing original plate
US6835526B2 (en) Photosensitive compositions
JPH02204750A (ja) 感光性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パターン形成方法
KR100404331B1 (ko) 카제인 용액 조성물
US3118765A (en) Lithographic product comprising lightsensitive diazido stilbene sulfonic acid salt
EP0819983B1 (en) Photoresist composition
US2199865A (en) Production of plates for printing in lithographic manner
JPS59114100A (ja) 感光性平版印刷版の製造方法
US2179245A (en) Lithographic plate and method of making same
US20020170878A1 (en) Etching resistance of protein-based photoresist layers
KR102471746B1 (ko) 감광성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한 감광성 수지막 및 컬러필터
EP0878739A1 (en) Photosensitive compounds, photosensitive resin compositions, and pattern formation method making use of the compounds or compositions
KR102483993B1 (ko) 감광성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한 감광성 수지막, 컬러필터 및 디스플레이 장치
JPS60198535A (ja) ホトレジスト組成物
KR100260771B1 (ko) 감광성수지 조성물용 고분자 및 그 제조방법
JP3728349B2 (ja) 水溶性感光材料
JP2749056B2 (ja) カラー陰極線管の螢光面形成方法
JPH10228101A (ja) 印刷版用感光性樹脂組成物および感光性樹脂版材
JP3351739B2 (ja) 水溶性ネガ型感光性組成物およびこれを用いたブラックマトリックスパターンの形成方法
KR100297684B1 (ko) 감광성수지조성물
JPS60169847A (ja) ホトレジスト組成物
JPS58225182A (ja) ブラツクマトリツクスカラ−受像管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