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5589A - 인증 장치, 기지국 및 휴대기 - Google Patents

인증 장치, 기지국 및 휴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5589A
KR20060105589A KR1020060028984A KR20060028984A KR20060105589A KR 20060105589 A KR20060105589 A KR 20060105589A KR 1020060028984 A KR1020060028984 A KR 1020060028984A KR 20060028984 A KR20060028984 A KR 20060028984A KR 20060105589 A KR20060105589 A KR 200601055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encryption
data
portable device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8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지 오스기
마사히로 우메와까
히로야 야마모또
가즈유끼 고바야시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055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55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8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the pass enabling tracking or indicating pres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07C2009/00412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the transmitted data signal being encrypted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579Power supply for the keyless data carrier
    • G07C2009/00587Power supply for the keyless data carrier by battery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579Power supply for the keyless data carrier
    • G07C2009/00603Power supply for the keyless data carrier by power transmission from lock
    • G07C2009/00611Power supply for the keyless data carrier by power transmission from lock by using inductive transmiss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220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 - G07C9/38
    • G07C2209/6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174 - G07C9/00944
    • G07C2209/61Signal comprising different frequencies, e.g. frequency hopp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기가 전지와 전자 유도에 의해서 동작 가능한 인증 장치에 있어서, 양 방식을 동일 장치에 의해서 행하고, 시큐러티 레벨이 낮은 전자 유도에 의한 방식을 사용하는 시간을 짧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사용자가 복수의 휴대기를 소유하고 있을 때, 전지에 의한 동작이 가능한 휴대기를 우선하여 인증 동작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복수의 휴대기와 기지국으로 이루어지는 인증 장치에 있어서, 휴대기측이 내장 전지에 의해서 동작하는 경우에는, 높은 암호화 처리를 한 ID 데이터를 송수신(통상 모드)하고, 휴대기측이 기지국과의 전자 유도 작용에 의해서 동작하는 경우에는, 낮은 암호화 처리를 한 ID 데이터를 송수신(백업 모드)한다. 본 발명은 이들 2개의 통신 모드를 동일한 통신 장치에 의해서 행한다. 휴대기는 전지 전압의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를 기지국측에 송신하고, 휴대기와 기지국이 전원 전지의 상태를 메모리에 기억한다. 통신이 개시되면, 휴대기는, 우선 제1회째의 통신으로서, 통상 모드에 있는 신호를 송신한다. 휴대기로부터 응답하지 않은 경우에는, 휴대기는 기억 장치를 참조하여, 전압이 불충분한 휴대기가 있는 경우만, 기지국은 백업 모드에 의한 통신으로 이행한다.
휴대기, 기지국, 안테나, 불휘발성 메모리, 제어 회로

Description

인증 장치, 기지국 및 휴대기{AUTHENTICATION APPARATUS, BASE STATION AND PORTABLE EQUIPMEN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증 회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증 회로의 동작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증 회로의 동작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인증 회로의 동작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인증 회로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인증 회로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인증 회로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x, 1y, 1z : 휴대기
2 : 기지국
11 : 전원 전지
12 : 전지 전압 검지 회로
13, 24 : 제어 회로
14, 22 : 수신 회로
15, 23 : 안테나
16, 21 : 송신 회로
17, 25 : 불휘발성 메모리
18 : 통지 장치
19 : 코일
26 : 타이머
27 : 전지 잔량 통지 장치
[특허 문헌 1] 일본 특개 2001-115698호 공보
본 발명은, 특히 전지 전원과 전자 유도 작용에 의한 전원 공급의 쌍방을 갖고, 전원 공급 방법 및 암호화 방법의 절환 시퀀스를 갖는 인증 장치, 및 인증 장치에 이용되는 휴대기와 기지국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등의 키를 잠그는 방법으로서, 키를 열쇠 구멍에 넣는 기계식 키의 접촉 동작에 의하지 않고, 전파나 적외선을 이용하여 시정이나 해정 또는 엔진 스타트 등의 원하는 동작을 행하는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이 있다.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은, 자동차 소유자가 갖는 휴대기와, 자동차측에 내장된 기지국으로 이루어진다. 지금까지는, 휴대기측의 버튼을 누름으로써, 휴대기측으로부터 ID 데이터를 송신하여, 원하는 동작을 시키는 것이 널리 알려져 있지만, 휴대기를 기지국으로 되는 도어 등의 장치에 가까이 가져가거나, 혹은 도어 노브를 끌어당기는 등의 조작을 행하는 것만으로, 양자 사이에서 ID 데이터 등을 교환하고, ID 데이터의 대조에 의해 원하는 동작을 시키는 것이 있다.
그러나 이들의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에 있어서는, 휴대기에 전지를 내장하여 전파나 적외선을 송수신하지만, 이 휴대기측의 전지 용량이 소모된 경우, 원하는 동작을 시키는 것이 불가능하게 되어, 사용자에게 불편을 초래하는 것이 문제로 되어 있었다. 따라서, 전원 공급 방법에는, 전지를 이용하는 것 외에, 전자 유도 작용에 의해서 휴대기측에 전력 공급을 행하는 것이 있었다. 이러한 장치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휴대기를 기지국에 일정 거리 이내로 가까이 가져가서, 휴대기 내에 설치된 코일과, 기지국으로부터 발신되는 전자파와의 전자 유도 작용에 의한 전압을 발생시킨다. 휴대기를 가까이 가져간 상태를 일정 시간 유지함으로써, 휴대기측에 ID 데이터의 송신에 필요한 전력이 공급되어, 휴대기 및 기지국이 ID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할 수 있다.
종래 방법에서는, 전지에 의한 전원 공급 방식(이하, 전지 모드)과 전자 유도에 의한 전원 공급 방식(이하, 전자 유도 모드)의 양쪽을 구비하여, 전지 용량이 다하더라도 키의 시정 및 해정을 행할 수 있는 것이 고안되어 있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되는 기술 문헌으로서는, 상기한 특허 문헌을 들 수 있다.
종래 이용되는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에 있어서는, 전지 모드와 전자 유도 모드에서 각각 개별의 통신 장치가 이용되고 있기 때문에, 양쪽의 모드를 항상 사용 할 수 있는 상태에 있었다.
전지 모드로 ID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경우, 항상 충분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고도의 암호화로 높은 시큐러티에 의해 ID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한편, 전자 유도 모드에 의해서 ID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경우, 공급되는 전력이 적어, 일정 시간밖에 공급할 수 없기 때문에, 전지 사용 시에 비해서 통상적으로, 경도의 암호화에 의해서 매우 적은 정보가 송신된다. 이러한 상태에 있어서는, 전지 모드 시에 아무리 고도의 암호화를 행해도, 전자 유도 모드로 ID 데이터의 송수신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낮은 시큐러티 레벨이 지배적으로 된다. 즉, 절도범이 전자 유도 모드의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을 모방하면, 간단하게 키를 열 수 있어, 효과적으로 방범할 수 없었다.
또한, 종래, 전지 전압의 부족 등에 의해 전자 유도 모드에 의한 통신이 필요한 경우, 사용자는 인위적 동작에 의해, 기지국(자동차 등의 도어측에 설치되는 키)에 대하여, 전자 유도 가능한 전파를 송신 시키는 등의 지시를 행하여야 했다. 그렇치 않으면, 인증을 위한 통신을 행할 때, 항상, 기지국이 전자 유도 가능한 전파를 송신하는 것이 필요해져서, 인증 시의 시간이나 전력을 낭비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주된 특징은 이하와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인증 장치는, 전지 전원에 의한 전력 공급 및, 기지국과의 전자 유도 결합에 의한 전력 공급 중 어느 하나에 의해 동작하는 것으로, 상기 전원 전지의 전압을 검지하는 검지 회로, 고유의 ID 코드와 상기 검지 회로의 검지 결과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 장치, 상기 ID 코드 또는 상기 검지 결과를 나타내는 데이터로 이루어지는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 장치, 및 기지국이 송신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장치를 갖는 휴대기와, 고유의 ID 코드를 기억하는 기억 장치, 상기 ID 코드를 포함하는 신호를, 상기 휴대기에 송신하는 송신 장치, 상기 휴대기가 송신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장치, 상기 수신 회로가 수신한 신호로부터, 상기 휴대기 고유의 ID 코드 또는 상기 검지 결과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얻어, 상기 휴대기 고유의 ID 코드를 얻었을 때는, 상기 기지국 고유의 ID 데이터와 대조함과 함께, 상기 검지 결과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상기 기억 장치에 기억시키는 제어 회로를 갖는 기지국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증 장치는, 상기 휴대기 및 기지국의 제어 장치가, 각각에 고유의 상기 ID 데이터를 소정의 방식에 의해서 암호화하는 기능을 갖고, 각각의 기억 장치에 기억된 상기 검지 결과를 나타내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암호화 방식을 절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 밖의 본 발명에 따른 인증 장치는, 상기 기지국의 기억 장치에 휴대기의 전원 전지 저하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있는 경우, 상기 기지국의 제어 회로는 전력 소비가 적은 방식에 의해 상기 고유의 ID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상기 암호화된 ID 데이터를 송신하기 전에, 휴대기가 전자 유도 가능한 신호를 일정 시간 송신하는 것을 특징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기는, 고유의 정보를 암호화하는 암호화 수단을 갖고, 상기 암호화 수단에 의해 암호화된 정보를 기지국에 무선으로 송신함으로써, 상기 기지국과의 사이에서 인증을 행하는 휴대기로서, 전원 전압을 검지하는 검지 수단과, 상기 검지 수단의 검지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 수단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암호화 수단을 지시하는 지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상기 지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암호화 수단의 암호화 방법을 절환하는 절단하는 절환 수단
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은, 암호화된 정보를 휴대기로부터 무선으로 수신하고, 상기 휴대기와의 인증을 행하는 기지국으로서, 상기 휴대기의 전원 전압 레벨을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전원 전압 레벨을 나타내는 상기 신호에 따라서, 상기 휴대기에 송신하는 송신 신호를 절환하는 절환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그 밖의 휴대기는, 상기 기지국에 고유의 정보를 암호화하는 암호화 수단을 갖고, 상기 절환 수단은, 상기 암호화 수단을 절환함으로써, 상기 송신 신호를 절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의 상기 절환 수단은, 상기 휴대기가 채용할 암호화 방법을 나타내는 신호를 상기 송신 신호에 부가함으로써, 상기 송신 신호를 절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절환 수단은, 상기 휴대기가 전자 유도에 의해 전원 전압을 얻는 것이 가능한 전파를, 상기 송신 신호에 부가함으로써, 상기 송신 신호를 절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기의 상기 암호화 수단은, 상기 정보를 제1 암호화 방법으로 암호화하는 제1 암호화 수단과, 상기 정보를 제2 암호화 방법으로 암호화하는 제2 암호화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의 상기 암호화 수단은, 상기 정보를 제1 암호화 방법으로 암호화하는 제1 암호화 수단과, 상기 정보를 제2 암호화 방법으로 암호화하는 제2 암호화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기의 상기 암호화 수단은, 전력 소비가 많은 방법에 의해 상기 정보를 암호화하는 제1 암호화 수단과, 전력 소비가 적은 방법에 의해 상기 정보를 암호화하는 제2 암호화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의 상기 암호화 수단은, 전력 소비가 많은 방법에 의해 상기 정보를 암호화하는 제1 암호화 수단과, 전력 소비가 적은 방법에 의해 상기 정보를 암호화하는 제2 암호화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기의 상기 암호화 수단은, 전력 소비가 상이한 복수의 암호화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의 상기 암호화 수단은, 전력 소비가 상이한 복수의 암호화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기는, 기타, 고유의 정보를 암호화하는 암호화 수단을 갖고, 상기 암호화 수단에 의해, 암호화된 정보를 기지국에 송신함으로써, 인증을 행하는 휴대기로서, 전지에 의한 제1 전원 공급 수단과, 전자 유도에 의한 제2 전원 공급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전원 공급 수단과, 상기 휴대기에 고유의 정보를 전기적 수단에 의해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전력 소비가 많은 방법에 의해 상기 정보를 암호화하는 제1 암호화 수단과, 전력 소비가 적은 방법에 의해 상기 정보를 암호화하는 제2 암호화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암호화 수단을 갖고, 상기 제1 전원 공급 수단에 의해 동작할 때는, 상기 제1 암호화 수단에 의해 암호화를 행하고, 상기 제2 전원 공급 수단에 의해 동작할 때는, 상기 제2 암호화 수단에 의해 암호화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기는, 기타, 고유의 정보를 암호화하는 암호화 수단을 갖고, 상기 암호화 수단에 의해, 암호화된 정보를 기지국에 송신함으로써, 인증을 행하는 휴대기로서, 전지에 의한 제1 전원 공급 수단과, 전자 유도에 의한 제2 전원 공급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전원 공급 수단을 갖고,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휴대기의 전원 공급 수단을 지정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전원 공급 수단을 지정하는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전원 공급 수단을 절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휴대기(1)와 기지국(2)으로 구성된다. 기지국(2)은 자동차의 도어 등에 내장되어 있다.
휴대기(1)는 전원 전지(11), 전원 전압 검지 회로(12), 제어 회로(13), 수신 회로(14), 안테나(15), 송신 회로(16), 불휘발성 메모리(17), 통지 장치(18), 및 코일(19)로 구성된다. 또한 휴대기(1)는 전지 전원(11)과 코일(19)에 의한 전력 공급의 양방에서 동작할 수 있어, 종래와는 달리 일체화되어 있다.
불휘발성 메모리(17)는 휴대기(1) 자신의 ID 코드 A와 휴대기(1)의 통신 모드를 지정하는 데이터를 기억하고 있고, 제어 회로(13)는 ID 코드 A가 지정된 통신 모드에 의한 암호화를 행할 수 있다. 제어 회로(13)는 수신 회로(14)와 전원 전압 검지 회로(12)로부터 입력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송신 회로(16) 및 불휘발성 메모리(17)를 이하와 같이 제어한다.
우선 수신 회로(14)는 안테나(15)를 통하여, 기지국(2)으로부터 ID 코드 B, 전자 유도용 데이터 및 통신 모드를 지정하는 데이터를 수신한다. 수신 회로(14)의 코일(19)에 의해, 전자 유도용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에는, 전자 유도 작용에 의해서 전력을 발생하여, 제어 회로(13)에 전력 공급을 행하고, 또한 기지국(2)의 ID 코드 B 및 통신 모드를 지정하는 데이터는 제어 회로(13)로 보내진다. 제어 회로(13)는 수신한 데이터로부터 ID 코드 부분을 분리하여, 불휘발성 메모리(17)에 기억된 휴대기(1) 자신의 ID 코드 A와의 대조를 행한다.
일치가 확인된 경우, 이번에는 불휘발성 메모리(17)로부터 ID 코드 A를 판독하고, 그 ID 코드 A를 불휘발성 메모리(17) 내에 기억된 통신 모드에 의해서 암호화한다. 또한 기지국(2)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중에 통신 모드를 지정하는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으면, 그 데이터를 불휘발성 메모리(17)에 기억시킨다.
한편, 전원 전압 검지 회로(12)는 전원 전지(11)의 전압을 검지하고, 검지 결과를 제어 회로(13)에 출력한다. 여기서 전원 전지(11)는, 일반적으로 리튬 이온 등의 유한 수명의 전지이지만, 기지국(2)과의 전자 유도 결합에 의한 전력을 충전할 수 있는 축전지이어도 된다. 제어 회로(13)는 전원 전압 검지 회로(12)로부터 전원 전지(11)의 전압 저하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수취한 경우, 암호화한 ID 코드 A에, 그 데이터를 부가시킨다. 이 때 제어 회로(13)는 불휘발성 메모리(17)에 전압 저하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기억시킨다. 제어 회로(13)는 이상과 같이 준비한 데이터를 송신 회로(16)로 보낸다. 송신 회로(16)는, 제어 회로(13)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기지국(2)에 대하여, 제어 회로(13)가 준비한 데이터를 송신한다. 송신 회로(16)에 의해서 데이터의 송신이 완료된 후, 제어 회로(13)는 LED 등 발행 소자로 이루어지는 통지 장치(18)를 점등시켜, 사용자에게 전지 전원(11)의 전압이 충분히 있으며, 데이터 송신이 완료된 것을 통지한다.
또한, 기지국(2)은, 송신 회로(21), 수신 회로(22), 안테나(23), 제어 회로(24), 불휘발성 메모리(25), 타이머(26), 및 전지 잔량 통지 장치(27)로 구성된다. 불휘발성 메모리(25)는 기지국(2) 자신의 ID 코드 B와 휴대기(1)의 통신 모드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기억하고 있다.
제어 회로(24)는 수신 회로(22)를 통하여 얻은 휴대기(1)의 암호화된 ID 코드 A를 복호하고, 내부에 기억된 기지국(2) 자신의 ID 코드 B와의 대조를 행한다. 타이머(26)는 송신 회로(21)에 의해서 휴대기(1)에 데이터를 송신한 시점부터의 시간 경과를 측정하고,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소정의 데이터를 제어 회로(24)로 전달한다. 제어 회로(24)는, 첫째로 타이머(26)가 정하는 시간 내에 휴대기(1)로부터 데이터가 얻어졌는지의 여부, 둘째로 얻어진 경우에는 그 데이터 중에 전원 전지(11)의 전압 저하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 또한 셋째로 불휘발성 메모리(25)에 기억된 휴대기(1)의 통신 모드를 나타내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암호화된 기지국(2)의 ID 코드 B에 통신 모드를 지정하는 데이터를 부가시킨 데이터를 준비하여, 송신 회로(21)에 송신 시킨다.
또한, 송신 회로(21)는 제어 회로(24)의 지시가 있었던 경우에는, 제어 회로(24)가 준비한 데이터를 송신하기 직전에 전자 유도용 데이터를 일정 시간 송신한다. 그 밖에, 제어 회로(24)는 수신 회로(22)를 통하여 얻은 휴대기(1)로부터의 데이터 중에 전원 전지(11)의 전압 저하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전지 잔량 통지 장치(27)를 점등시켜, 사용자에게 통지한다.
기지국(2)은 제어 회로(24)의 지시에 기초하여, 2개의 통신 모드를 선택하고, 송신할 데이터의 내용을 절환할 수 있다. 이들 2개의 통신 방식은 이하, 통상 모드와 백업 모드라고 부른다. 통상 모드에 의한 통신 시에는 ID 데이터, 및 통신 모드와 전지 전원(11)의 전압 저하를 나타내는 데이터만을 휴대기(1)에 송신하고, 백업 모드에 의한 통신 시에는, 통상 모드 시에 송신하는 데이터 외에, 휴대기(1)와의 전자 유도 결합이 가능한 데이터를 휴대기(1)에 송신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ID 데이터를 송신하기 직전에 일정 시간, 전자 유도 결합이 가능한 데이터를 휴대기에 송신하는 등의 방법이 있다.
또한,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에 있어서는, 암호화된 ID 데이터가 송수신된다. 여기서 암호화의 방법으로서는, ID 데이터에 대하여 일정한 비트수의 키 데이터를 부가한 후, 그 데이터를 일정한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셔플하고, 랜덤화하는 것이 있다. 여기서 키 데이터는 비트수가 가능한 한 길고, 또한 셔플의 횟수가 보다 많은 쪽이 시큐러티성은 보다 강해진다. 그러나 키 데이터가 긴 경우나 셔플 횟수가 많은 경우에는, 데이터의 수신 시간이나 암호화의 복원 시에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상당한 전력이 필요로 된다.
따라서 통상 모드에 의한 통신 시에는 휴대기(1)의 전원 전지(11)가 제어 회로(13)에 대하여 충분한 전력 공급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긴 비트수의 키 데이터를 부가하여, 셔플의 횟수를 늘리는 등으로 한 고도의 랜덤화를 행한다. 또한 백업 모드에 의한 통신 시에는 짧은 비트수의 키 데이터를 부가하여, 적은 셔플 횟수에 의해서 랜덤화한다.
다음에 휴대기(1) 및 기지국(2) 사이의 송수신에 대하여 도 3의 플로우차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최초로, 사용자가 어떠한 조작을 행하여, 기지국(2)의 통신 준비를 개시시킨다. 여기서 조작이라는 것은 도어 노브를 잡아당기거나, 또는 돌리는 등의 동작을 나타낸다. B1의 조작에 의해 기지국(2)은 통상 모드에 의한 통신 시퀀스를 준비하고(B1), 다음 단에서 기지국(2)은 휴대기(1)를 향하여, 불휘발성 메모리(25)에 기억된 기지국(2)의 ID 데이터 B로 이루어지는 송신 데이터 B1을 송신한다(B2). 또한 기지국(2) 내부에 타이머를 설치하여, 일정 시간 간격마다 휴대기(1)를 향하여 전파를 송신함으로써 사용자의 조작을 불필요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스텝 B3 이후에 기지국(2)은 휴대기(1)로부터의 신호 대기 상태로 되어 타이머(26)의 시간 측정을 개시시킨다(B3).
한편, 전지 절약을 위해, 휴대기(1)는 통신 시간 이외에서는 수신 회로(14)만을 동작시킨 상태에서, 기지국(2)으로부터의 신호를 대기하고, 수신 회로(14)가 일정 강도를 초과하는 전파를 수신했을 때, 수신 회로(14)로부터 제어 회로(13)를 기동시키는 데이터가 보내지도록 설계되어 있다. 제어 회로(13)는 수신 회로(14)로부터 데이터를 수취한 후, 전지 전원(11)으로부터의 전압 공급에 의해서 기동된 다. 또한 전지 전원(11)가 부족하여, 충분한 전압 공급이 얻어지지 않은 경우에는, 수신 회로(14)의 코일(19)이 기지국(2)으로부터의 전자 유도용의 데이터를 수신함으로써 전압을 발생하고, 제어 회로(13)는 전압 공급을 얻어 기동된다. 여기서는, 수신 회로(14)가 기지국(2)으로부터 송신 데이터 B1을 수신함으로써, 제어 회로(13)가 기동된다(A1).
이 때 송신 데이터 B1에는 전자 유도용의 데이터는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스텝 A1에 있어서 제어 회로(13)가 기동하지 않은 경우에는, 휴대기(1)의 전지가 충분한 전력을 공급할 수 없어, 통상 모드에서의 통신이 불가능한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경우, 휴대기(1)는 기지국(2)으로부터의 신호 대기 상태로서, 수신 회로(14)만이 기동한 상태로 된다(A8). 제어 회로(13)가 기동한 경우에는, 기지국(2)으로부터 송신된 송신 데이터 B1과 휴대기(1) 자신이 갖는 ID 데이터 A를 대조한다(A3). 양자의 ID 데이터의 일치가 확인된 경우, 휴대기(1)에 있어서 통상 모드에 의한 통신 준비가 행해진다(A4).
다음에 전원 전압 검지 회로(12)에 의해서 전원 전지(11)의 전압 검지가 행해진다(A5). 전압이 저하되어 있는 경우, 제어 회로(13)는 전원 전압 검지 회로(12)로부터 전압 저하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수취하고, ID 데이터 A에, 다음회부터의 통신은 백업 모드로 행할 것을 지시하는 데이터를 부가시키고(A6), 통상 모드에 의한 암호화를 행한 후, 송신 데이터 A1을 기지국(2)에 송신한다(A7).
스텝 A5에 있어서 전원 전압이 저하되어 있다고 판단되지 않으면, 통신 모드 이행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부가하지 않고, 송신 데이터 A1을 기지국(2)에 송신한다 (A7). 이 후, 휴대기(1)는 기지국(2)으로부터의 신호 대기 상태로서, 수신 회로(14)만이 기동한 상태로 된다(A8). 또한, 전단 스텝 A2에 있어서, 기지국(2)으로부터 송신된 송신 데이터 B1과 휴대기(1) 자신의 ID 데이터 A가 일치하지 않은 경우에는, 휴대기는 송신 데이터 A1을 송신하지 않고, 스텝 A8의 신호 대기 상태로 된다.
다음으로, 기지국(2)이 타이머(26)가 측정하는 일정 시간 내에, 휴대기(1)로부터 송신 데이터 A1을 수신한 경우(B4), 제어 회로(24)는 송신 데이터 A1을 통상 모드에 의해서 복호하고, 얻어진 휴대기(1)의 ID 데이터 A와 기지국(2) 자신의 ID 데이터 B를 대조한다(B5). 양 ID 데이터의 일치가 확인된 경우, 제어 회로(24)는 휴대기(1)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중에 휴대기(1)의 전원 전지(11)의 전압 저하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B6). 휴대기(1)의 전원 전지(11)의 전압이 저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제어 회로(23)는 불휘발성 메모리(25)에 액세스하여, 불휘발성 메모리(25)에 기억된, 휴대기(1)의 통신 모드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판독하여, 휴대기(1)가 통상 모드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B7).
스텝 B7에 있어서 휴대기(1)가 통상 모드라고 판단된 경우, 기지국(2)의 ID 데이터 B만으로 이루어지는 데이터를 통상 모드로써 암호화하고, 송신 데이터 B2를 휴대기(1)에 송신한다(B8).
스텝 B6에 있어서 휴대기(1)의 전지 전원(11)의 전압이 저하되어 있다고 확인된 경우, 제어 회로(24)는 휴대기(1)를 백업 모드로 이행시키는 것을 결정하고, 제어 회로(24)는 불휘발성 메모리(25)에 액세스하여, 휴대기(1)가 백업 모드로 이 행하는 것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기억시킨다(B9). 계속해서 제어 회로(24)에 있어서, 기지국(2)의 ID 데이터 B에, 다음회부터 백업 모드로 이행할 것을 지시하는 데이터를 부가한 데이터를 준비하고(B9), 통상 모드로 암호화한 후, 송신 데이터 B2로서, 송신 회로(21)로부터 휴대기(1)에 송신한다(B8).
또한, 스텝 B7에 있어서, 불휘발성 메모리(25)에 휴대기(1)가 백업 모드라는 정보가 기입되어 있는 경우, 전회까지의 통신에서는 휴대기(1)는 백업 모드에서 통신하고 있었지만, 금회는 휴대기(1)의 전원 전압이 전지 교환 또는 충전에 의해 부활했다고 간주된다. 따라서 제어 회로(24)는 통상 모드로 이행하는 것을 결정하고, 불휘발성 메모리(25)에 액세스하여, 휴대기(1)가 통상 모드로 이행하는 것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기억시킨다(B10). 계속해서 제어 회로(24)에 있어서, 기지국(2)의 ID 데이터 B에, 이 후 통상 모드로 이행할 것을 지시하는 데이터를 부가한 송신 데이터 B2를 준비하고, 송신 회로(21)로부터 휴대기(1)에 송신한다(B8).
그런데, 전단의 B4에 있어서, 일정 시간 내에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았던 경우, 및 B5에 있어서 휴대기측으로부터 수신한 송신 데이터 A1과 기지국(2) 자신이 갖는 ID 데이터 B와의 대조에 실패한 경우에는, 제어 회로(24)는 불휘발성 메모리(25)를 참조하여, 현 시점에서 휴대기(1)가 백업 모드로서 기억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B11). 휴대기(1)가 백업 모드가 아니라, 통상 모드라고 기억되어 있는 경우, 이하의 원인으로부터, 기지국(2)은 정지 상태로 된다. 즉, 첫째로 스텝 A1에 있어서 조작을 한 사람이 휴대기(1)의 소유자가 아닌 경우, 둘째로 1회 전의 통신까지는 정상적으로 조작하고 있던 휴대기가 금회의 통신부터 고장 등에 의해 정상적으로 통신할 수 없게 된 경우, 등이 상정되기 때문이다.
스텝 B11에 있어서, 제어 회로(24)가 불휘발성 메모리(25)를 참조하여, 휴대기(1)가 백업 모드로 동작 중이라고 확인된 경우, 사용자는 휴대기(1)의 소유자로, 전원 전지(11)의 부족에 의해서 응답할 수 없었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제어 회로(24)는 전지 잔량 통지 장치(27)를 점등시켜, 백업 모드에 의한 통신이 필요한 것을 사용자에게 통지한다(B12). 그 후, 제어 회로(24)는 백업 모드에 의한 데이터 송신을 준비하여, 기지국(2)의 ID 데이터 B 전에 전자 유도용 데이터를 부가시킨 송신 데이터 B3을 송신한다(B13). 기지국(2)은 휴대기(1)에, 송신 데이터 B2 또는 B3을 송신한 후, 각각 휴대기로부터의 신호 대기 상태로 되어 타이머(26)의 시간 측정을 개시시킨다(B14 및 B15).
한편, 휴대기(1)의 수신 회로(14)는 기지국(2)으로부터의 송신 데이터 B2 또는 B3을 수신하고, 전원 전지(11)로부터의 전력 공급을 받아, 제어 회로(13)가 기동된다(A9). 전원 전지(11)가 부족한 경우에는, 전단의 스텝 A5에서 이미 전원 전압 저하가 검지되어 있으며, 기지국(2)은 휴대기(1)로부터의 송신 데이터 A1에 따라, 백업 모드에 의한 통신을 행하기 때문에, 코일(19)과의 전자 유도 작용에 의해 전압을 발생하여, 전력을 제어 회로(13)에 공급할 수 있다. 만약에 백업 모드에 의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없는 경우에는, 고장이라고 간주되어, 휴대기(1)는 기지국(2)으로부터의 신호 대기 상태로서, 수신 회로(14)만이 기동한 상태로 되고, 휴대기(1)의 플로우는 종료한다(A18).
다음으로, 기동한 제어 회로(13)는 불휘발성 메모리(17)를 참조한다(A11). 현 시점에서 휴대기(1)는 통상 모드에서 동작한다고 기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어 회로(13)는 통상 모드에 의한 통신 시퀀스의 준비를 행한다(A12). 다음에 제어 회로(13)에 있어서, 송신 데이터 B2에 포함되는 기지국(2)의 ID 데이터 B와 휴대기(1) 자신이 갖는 ID 데이터 A와의 대조가 행해진다(A13). 양 ID 데이터의 일치가 확인된 경우, 또 제어 회로(13)에 있어서, 기지국(2)으로부터 수신한 송신 데이터 B2 중에 모드 이행을 지시하는 데이터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A14).
모드 이행을 지시하는 데이터가 있었던 경우, 제어 회로(13)는 불휘발 메모리(17)를 기지국(2)의 지시에 따라서 재기입한 후(A15), 휴대기(1)의 ID 데이터 A를 통상 모드에 의해서 암호화하고, 송신 데이터 A2를 송신한다(A16). 스텝 A13에서 모드 이행의 지시가 없다고 확인된 경우, 제어 회로(13)는 불휘발성 메모리에의 기입을 행하지 않고 기지국(2)으로 송신 데이터 A2를 송신한다(A16). 송신 후, 제어 장치(13)는 통지 장치(18)를 점등시켜, 데이터 송신 완료를 사용자에게 통지한다(A17). 그 후, 휴대기(1)는 기지국(2)으로부터의 신호 대기 상태로서, 수신 회로(14)만이 기동한 상태로 되고, 휴대기(1)의 플로우는 종료한다(A18).
또한 전단 스텝 A13에서, 송신 데이터 B2에 포함되는 기지국(2)의 ID 데이터 B가 휴대기(1) 자신이 갖는 ID 데이터 A와 불일치한 경우, 1회째의 통신에서 휴대기(1) 및 기지국(2)의 ID 데이터의 일치가 확인되었음에도 불구하고, 2회째에서는 불일치가 발생한 것으로 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휴대기(1) 또는 기지국(2)의 고장 등의 기능 문제라고 간주되어, 휴대기(1)는 기지국(2)으로부터의 신호 대기 상태로서, 수신 회로(14)만 기동한 상태로 되어(A18), 휴대기(1)의 플로우는 종료 한다.
또 전단 스텝 A11에 있어서, 휴대기(1)는 백업 모드로 동작한다고 기억되어 있는 경우, 제어 회로(13)는 백업 모드에서의 통신 시퀀스를 준비한 후(A19), 제어 회로(13)에 의해, 송신 데이터 B3에 포함되는 기지국(2)의 ID 데이터 B와 휴대기(1) 자신이 갖는 ID 데이터의 대조를 행한다(A20).
다음에 스텝 A20에서, 양 ID 데이터의 일치가 확인된 경우, 또 제어 회로(13)에 있어서, 기지국(2)으로부터 수신한 송신 데이터 B3 중에 모드 이행을 지시하는 데이터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A21). 모드 이행을 지시하는 데이터가 있었던 경우, 제어 회로(13)는 불휘발 메모리(17)를 기지국(2)의 지시에 따라 재기입한 후(A22), 휴대기(1)의 ID 데이터 A를 백업 모드에 의해서 암호화하여, 송신 데이터 A3을 송신한다(A23). 스텝 A21에서 모드 이행의 지시가 없다고 확인된 경우, 제어 회로(13)는 불휘발성 메모리에의 기입을 행하지 않고 기지국(2)에 송신 데이터 A3을 송신한다(A23). 송신 후, 휴대기(1)는 기지국(2)으로부터의 신호 대기 상태로서, 수신 회로(14)만이 기동한 상태로 되고(A18), 휴대기(1)의 플로우는 종료한다.
또한 전단 스텝 A20에서 ID 코드의 불일치가 확인된 경우, 1회째의 통신에서 휴대기(1) 및 기지국(2)의 ID 데이터의 일치가 확인되었음에도 불구하고, 2회째에서는 불일치가 발생한 것으로 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휴대기(1) 또는 기지국(2)의 고장 등의 기능 문제라고 간주되어, 휴대기(1)는 기지국(2)으로부터의 신호 대기 상태로서, 수신 회로(14)만 기동한 상태로 되고(A18), 휴대기(1)의 플로우는 종료한다.
다음으로, 스텝 B16에 있어서 타이머(26)가 측정하는 일정 시간 내에, 휴대기(1)로부터의 송신 데이터 A2가 수신된 경우, 제어 회로(24)는 휴대기(1)로부터 수신한 송신 데이터 A2를 복호하고, 휴대기(1)의 ID 데이터 A와 기지국(2) 자신이 갖는 ID 데이터 B의 인증을 행한다(B17). ID 데이터의 인증 결과가 판단되어, 양 ID 코드의 일치가 확인된 경우, 기지국(2)은 시정, 해정, 엔진 스타트 등 사용자가 요구하는 동작을 행한다(B18). 또한 일정 시간 내에 휴대기(1)로부터의 응답 신호가 얻어지지 않은 경우나 스텝 B17에 있어서 양 ID 데이터의 불일치가 확인된 경우, 기지국(2)의 동작은 정지한다.
한편, 스텝 B19에 있어서 타이머(26)가 측정하는 일정 시간 내에, 휴대기(1)로부터의 송신 데이터 A2가 수신된 경우, 제어 회로(24)는 휴대기(1)로부터 수신한 송신 데이터 A3을 복호하고, 휴대기(1)의 ID 데이터 A와 기지국(2) 자신이 갖는 ID 데이터 B의 인증을 행한다(B20). ID 데이터의 인증 결과가 판단되어, 양 ID 코드의 일치가 확인된 경우, 기지국(2)은 시정, 해정, 엔진 스타트 등 사용자가 요구하는 동작을 행한다(B21). 또한 일정 시간 내에 휴대기(1)로부터의 응답 신호가 얻어지지 않은 경우나 스텝 B20에 있어서 양 ID 데이터의 불일치가 확인된 경우, 기지국(2)의 동작은 정지한다.
이상,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되는 플로우차트를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인증 장치의 시퀀스가 설명되었다.
여기서, 송신 데이터의 비트 길이에 대하여, 설명을 추가한다. 우선, 송신 데이터 A1의 비트 길이는, 스텝 A6에서, 전원 전압의 검지 신호가 부가되기 때문에, 길어진다. 또한, 송신 데이터 B2의 비트 길이는, 스텝 B9 및 스텝 B10에서, 통신 모드 이행의 지시 신호가 부가되기 때문에, 길어진다.
송신 데이터의 비트 길이를 일정하게 하는 경우에는, 일정한 비트 폭을 커맨드 부분으로서 설치하고, 커맨드 부분의 데이터를 변화시킴으로써, 전원 전압의 검지 결과 및 통신 모드 이행의 지시 내용을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로서, 통신 모드의 커맨드 부분이 1100일 때는 통신 모드는 변경되지 않고, 0011일 때는 모드의 이행이 지시된다. 또한, 검지 신호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일정 비트 폭의 커맨드 부분을 설치하는 것이 생각된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여, 사용자의 사용 상황에 따른 인증 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휴대기 및 기지국간에 화살표로 표시되는 전파에 첨부된 N 또는 B와의 표기는, 각각 통상 모드 또는 백업 모드에 의한 신호가 송수신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괄호 내의 숫자는 송신되는 신호의 순서를 나타낸다. 또한, 기억 장치(17, 25)를 나타내는 틀 내에 기입된 N 또는 B와의 표기도, 마찬가지의 통신 모드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기억 장치에 기입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장면 1에서는, 휴대기(1)의 전원 전지의 전압은 충분히 유지되고 있다. 우선,제1회째의 통상 모드에 의한 송수신이 행해진다(A). 계속해서, 제2회째의 통상 모드에 의한 ID 데이터가 재차 송수신되어, 기지국(2)은 해정 등의 동작을 행한다(B).
다음으로, 장면 2에서, 휴대기(1)의 전원 전지의 전압이 규정 값 이하로 저 하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제1회째의 통상 모드에 의한 송수신이 행해진다. 이 때, 전원 전지의 전압 저하가 검지 회로에 의해 검지되기 때문에, 휴대기(1)로부터의 송신 데이터에 전지 저하를 나타내는 검지 신호가 부가된다. 기지국(2)이 검지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기지국(2)의 기억 장치(25)가 재기입되며, 백업 모드에의 이행을 나타내는 데이터가 기입된다(A). 계속해서, 제2회째의 통상 모드에 의한 ID 데이터가 재차 송수신되어, 기지국(2)은 해정 등의 동작을 행한다. 이 때, 모드 이행을 나타내는 데이터가, 기지국(2)으로부터의 송신 신호에 부가되어 있고, 휴대기(1)의 기억 장치(17)는 백업 모드로 절환된다(B).
장면 3에서는, 휴대기(1)의 전원 전지가 더욱 소모하고 있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장면 1 및 2와 마찬가지로, 제1회째의 통상 모드에 의한 ID 데이터가 기지국(2)으로부터 송신되지만, 휴대기(1)의 전원 전지는 소모하고 있기 때문에, 휴대기(1)로부터 응답한 신호는 송신되지 않는다. 휴대기(1)로부터 응답 신호가 얻어지지 않은 경우, 기지국(2)은 기억 장치(23)를 참조하여, 휴대기(1)가 현재 백업 모드로 이행하고 있는지를 판단한다. 여기서는, 휴대기(1)는 백업 모드라고 인식된다. 따라서, 기지국(2)은 통지 장치(27) 등을 점등시켜, 사용자에 대하여, 휴대기(1)를 기지국(2)에 가까이 가져가는 등의, 백업 모드에 의한 통신을 행하기 위한 인위적 동작을 요구한다(A). 다음으로, 기지국(2) 및 휴대기(1)는 백업 모드에 의한 송수신을 행하고, 기지국(2)은 해정 등의 동작을 행한다. 송수신이 완료되면, 휴대기(1)는 통지 장치(18) 등의 점등에 의해, 인증의 완료를 사용자에게 나타낸다(B). 여기서 시큐러티가 중시되는 경우에는, 통지 장치(27)의 점등에 의한 사 용자의 통지를 행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장면 2의 B단에서, 다음 회부터 백업 모드로 이행하는 것을 예고 통지하는 것도 생각된다.
그런데, 인증 장치가 자동차용의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으로서 이용되는 경우 등에는, 스페어 키가 필요해져, 1개의 기지국에 대하여, 복수의 휴대기가 설치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휴대기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기지국(2)의 기억 장치(25)에는, 휴대기의 수에 대응한 기억 영역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복수의 휴대기가 존재하는 경우에, 휴대기로부터의 응답이 얻어질 때는, 기지국(2)은 기억 장치(25)를 존재하여, 현재 백업 모드로 이행하고 있는 휴대기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즉, 모든 휴대기가 통상 모드라고 판단되는 경우만, 기지국은 동작을 정지하고, 반대로 1개라도 백업 모드라고 기억되어 있는 휴대기가 존재하면, 기지국은 백업 모드에 의한 통신으로 이행한다. 왜냐하면, 휴대기가 응답 신호를 송신하지 않는 이상, 기지국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현재 어떤 휴대기를 사용하여, 인증을 시도하고 있는 것인지를 판단할 수 없기 때문이다.
장면 4에서는, 휴대기(1)의 전지가 회복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제1회째의 통상 모드에 의한 ID 데이터가 기지국(2)으로부터 송신된다. 휴대기(1)의 전지가 회복되어 있기 때문에, 기지국(2)으로부터의 신호에 응답하여, 통상 모드에 의한 신호가 휴대기로부터 송신된다. 기지국(2)은 휴대기(1)로부터의 응답 신호를 수신한다. 응답 신호가 얻어졌기 때문에, 기지국(2)은 휴대기(1)의 전지가 회복한 것을 판단하고, 기억 장치(25)에 액세스하여, 통상 모드로의 이행을 나타내는 데이터에 재기입한다(A). 계속해서, 제2회째의 통상 모드에 의한 ID 데이터가 재차 송수신되며, 기지국(2)은 해정 등의 동작을 행한다. 이 때, 모드 이행을 나타내는 데이터가, 기지국(2)으로부터의 송신 신호에 부가되어 있다. 휴대기(1)는 수신한 신호로부터, 모드 이행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수취하고, 기억 장치(17)를 통상 모드로 재기입한다(B).
장면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압 검지 수단은, 전압의 저하를 검지하여, 검지 신호를 발생하지만, 전압 저하를 검지하기 위해, 전압의 임계값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 임계값의 설정에 대하여, 이하 설명한다.
우선, 예로서, 전압이 임계값 이상으로 유지되고 있는 상태(장면 1)로부터, 전원 전지가 자연 방전 등에 의해 소모하여, 잔량이 제로로 되고(장면 3), 그 동안, 사용자가 휴대기(1)를 한번도 사용하지 않았던 경우를 상정한다. 이러한 상황은, 예를 들면, 사용자가 장기간의 부재 등에 의해, 휴대기를 사용하지 않았던 경우, 특히, 휴대기가 스페어 키로, 장기간에 걸쳐서 사용되지 않고 보관되어 있던 경우 등에 상당한다.
이 경우, 휴대기(1)는 전지 잔량의 저하를 기지국(2)에 통지하고, 기지국(2)의 기억 장치(25)를 재기입할 수 없다. 따라서, 장면 3 B단에서, 백업 모드에 의한 신호가 기지국(2)으로부터 발생하지 않아, 해정이 불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은, 전압의 임계값을 적절하게 설정함으로써, 회피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전지 용량이 작은 경우, 소비 전력이 큰 경우, 또는 사용자의 휴대기의 사용 빈도가 낮은 경우에는, 비교적 높은 전압을 임계값으로 하고, 되도록이면 빠른 단계에서, 백업 모드로 이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자동차용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 등에서, 사용자가 복수의 휴대기(1x 내지 1z)를 휴대하여, 기지국(2)에 가까이 가져가는 등으로 하여 인증을 행하는 경우에 대해 도 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이 상황은, 사용자가 우연히, 본래 스페어 키로서 이용되는 그 밖의 휴대기도 동시에, 가지고 있거나, 각각 스페어 키를 휴대하는 가족 등이, 동시에 인증하려 하는 경우 등으로 생각된다.
휴대기(1x)의 전지 잔량은 제로로 되어 있지만(도 5의 장면 3에 상당), 사용자는 전지 잔량을 갖는 휴대기(1y)를 갖고 있다. 기지국은 제1회째의 통신에서는, 통상 모드에 의한 신호를 송신하기 위해서, 휴대기(1y)가 응답하고, 응답 신호를 송신한다(A). 계속해서, 휴대기(1y) 사이에서 제2회째의 송수신이 이루어져, 해정이 행해진다(B).
백업 모드에 의한 통신에서는, 통상 모드보다도 긴 시간이 필요하다. 이상의 설명에 의해서 분명해지도록, 기지국(2)이 제1회째의 통신에서는, 통상 모드에 의한 신호를 송신하도록 동작함으로써, 통상 모드로 통신 가능한 휴대기를 우선하여 선택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인증에서의 시간 낭비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도 7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사용하는 휴대기(1)가, 위조나 고장에 의해, 기지국로부터의 신호에 응답한 신호가 일정 시간 응답하지 않은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기지국은, 백업 모드로 기억된 휴대기가 존재하지 않는 한, 백업 모드에 의한 신호를 송신하는 일은 없다. 따라서, 시큐러티가 낮은 백업 모드에 의해 암호화된 신호를 외부로 누설하는 것을 최저한으로 억제할 수 있어, 시큐러티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시큐러티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백업 모드로 기억된 휴대기가 존재하는 경우에도, 통상 모드에 의한 신호를 복수회, 기지국(2)으로부터 송신하고, 휴대기로부터의 응답을 보다 장시간 대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대로, 원래 휴대기가 1개밖에 존재하지 않고,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복수의 휴대기를 사용하는 일이 없는 경우, 기지국의 기억 장치에, 기지국이 백업 모드로 기억되어 있을 때는, 제1회째로부터 백업 모드의 통신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시큐러티는 확보되지 않았지만, 인증 시에 발생하는 시간 낭비가 저감된다.
또한, 시큐러티를 확보하는 다른 방법으로서는, 전압 검지 수단의 전압 임계값을 보다 낮게 설정하는 것이 생각된다. 보다 낮게 임계값을 설정함으로써 각 휴대기에 대응하는 기억 장치에서, 백업 모드를 기억하고 있는 시간을 보다 적게 할 수 있어, 백업 모드의 사용 빈도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인증 장치는, 전지에 의한 전력 공급 방식과 전자 유도에 의한 전력 공급 방식을 이용한 통신을 동일 통신 장치에서 행할 수 있다. 또한 휴대기와 기지국이 통신을 개시할 때마다, 휴대기는 전원 전지의 상태가 검지되고, 결과를 ID 데이터와 함께 기지국에 송신하기 때문에, 휴대기와 기지국의 양방이 휴대기의 전원 전지의 상태를 인식하고 있는 상태로 된다.
실제의 통신에서는, 제1회째의 통신의 경우, 기지국은 반드시 통상 모드로써 ID 데이터를 송신하고, 휴대기로부터의 응답을 대기한다. 응답이 얻어지지 않은 경우에는, 기지국은 불휘발성 메모리를 참조하여, 현재의 휴대기의 전원 전지의 상 태를 확인한다. 이 때, 휴대기의 전지 전원이 저하하여 백업 모드로 동작하고 있다고 확인될 때만, 기지국은 백업 모드에 의한 통신으로 이행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인식 장치에서는, 사용자가 전원 전지를 충분한 전압이 얻어지는 상태로 유지되고 있으면, 시큐러티성이 약한 백업 모드가 작동하는 일은 없기 때문에, 높은 시큐러티성을 실현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통신이 개시하면, 휴대기는, 우선 제1회째의 통신으로서, 통상 모드에 의한 신호를 송신한다. 사용자가 복수의 휴대기를 소유하고 있을 때, 전지에 의한 동작이 가능한 휴대기를 우선하여 인증 동작시킬 수 있어, 인증 동작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하여, 소비 전력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16)

  1. 전지 전원에 의한 전력 공급 및 기지국과의 전자 유도 결합에 의한 전력 공급 중 어느 하나에 의해 동작하는 것으로,
    상기 전원 전지의 전압을 검지하는 검지 회로와,
    고유의 ID 코드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 장치와,
    상기 ID 코드 또는 상기 검지 결과를 나타내는 데이터로 이루어지는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 장치, 및,
    기지국이 송신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장치를 갖는 휴대기와,
    고유의 ID 코드를 기억하는 기억 장치와,
    상기 ID 코드를 포함하는 신호를, 상기 휴대기에 송신하는 송신 장치와,
    상기 휴대기가 송신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장치와,
    상기 수신 회로가 수신한 신호로부터, 상기 휴대기 고유의 ID 코드 또는 상기 검지 결과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얻고, 상기 휴대기 고유의 ID 코드를 얻었을 때는, 상기 기지국 고유의 ID 데이터와 대조함과 함께, 상기 검지 결과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상기 기억 장치에 기억시키는 제어 회로를 갖는 기지국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기 및 기지국의 제어 장치는, 각각에 고유의 상기 ID 데이터를 소 정의 방식에 의해서 암호화하는 기능을 갖고, 각각의 기억 장치에 기억된 상기 검지 결과를 나타내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암호화 방식을 절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증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의 기억 장치에 휴대기의 전원 전지 저하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있는 경우, 상기 기지국의 제어 회로는 전력 소비가 적은 방식에 의해서 상기 고유의 ID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상기 암호화된 ID 데이터를 송신하기 전에, 휴대기가 전자 유도 가능한 신호를 일정 시간 송신하는 인증 장치.
  4. 고유의 정보를 암호화하는 암호화 수단을 갖고,
    상기 암호화 수단에 의해 암호화된 정보를 기지국에 무선으로 송신함으로써, 상기 기지국과의 사이에 인증을 행하는 휴대기로서,
    전원 전압을 검지하는 검지 수단과,
    상기 검지 수단의 검지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 수단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암호화 수단을 지시하는 지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상기 지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암호화 수단의 암호화 방법을 절환하는 절환 수단
    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
  5. 암호화된 정보를 휴대기로부터 무선으로 수신하고, 상기 휴대기와의 사이에서 인증을 행하는 기지국으로서,
    상기 휴대기의 전원 전압 레벨을 나타내는 검지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상기 검지 신호에 따라서, 상기 휴대기에 송신하는 송신 신호를 절환하는 절환 수단
    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에 고유의 정보를 암호화하는 암호화 수단을 갖고,
    상기 절환 수단은, 상기 암호화 수단을 절환함으로써, 상기 송신 신호를 절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절환 수단은, 상기 휴대기가 채용할 암호화 방법을 나타내는 신호를 상기 송신 신호에 부가함으로써,
    상기 송신 신호를 절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절환 수단은, 상기 휴대기가 전자 유도에 의해 전원 전압을 얻는 것이 가능한 전파를,
    상기 송신 신호에 부가함으로써,
    상기 송신 신호를 절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 수단은,
    상기 정보를 제1 암호화 방법으로 암호화하는 제1 암호화 수단과,
    상기 정보를 제2 암호화 방법으로 암호화하는 제2 암호화 수단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 수단은,
    상기 정보를 제1 암호화 방법으로 암호화하는 제1 암호화 수단과,
    상기 정보를 제2 암호화 방법으로 암호화하는 제2 암호화 수단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 수단은,
    전력 소비가 많은 방법에 의해 상기 정보를 암호화하는 제1 암호화 수단과,
    전력 소비가 적은 방법에 의해 상기 정보를 암호화하는 제2 암호화 수단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 수단은,
    전력 소비가 많은 방법에 의해 상기 정보를 암호화하는 제1 암호화 수단과,
    전력 소비가 적은 방법에 의해 상기 정보를 암호화하는 제2 암호화 수단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3.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 수단은, 전력 소비가 상이한 복수의 암호화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
  14.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 수단은, 전력 소비가 상이한 복수의 암호화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5. 고유의 정보를 암호화하는 암호화 수단을 갖고,
    상기 암호화 수단에 의해, 암호화된 정보를 기지국에 송신함으로써,
    인증을 행하는 휴대기로서,
    전지에 의한 제1 전원 공급 수단과,
    전자 유도에 의한 제2 전원 공급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전원 공급 수단과,
    상기 휴대기에 고유의 정보를 전기적 수단에 의해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전력 소비가 많은 방법에 의해 상기 정보를 암호화하는 제1 암호화 수단과,
    전력 소비가 적은 방법에 의해 상기 정보를 암호화하는 제2 암호화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암호화 수단을 갖고,
    상기 제1 전원 공급 수단에 의해 동작할 때는,
    상기 제1 암호화 수단에 의해 암호화를 행하고,
    상기 제2 전원 공급 수단에 의해 동작할 때는,
    상기 제2 암호화 수단에 의해 암호화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
  16. 고유의 정보를 암호화하는 암호화 수단을 갖고,
    상기 암호화 수단에 의해, 암호화된 정보를 기지국에 송신함으로써,
    인증을 행하는 휴대기로서,
    전지에 의한 제1 전원 공급 수단과,
    전자 유도에 의한 제2 전원 공급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전원 공급 수단을 갖고,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휴대기의 전원 공급 수단을 지정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전원 공급 수단을 지정하는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전원 공급 수단을 절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
KR1020060028984A 2005-03-31 2006-03-30 인증 장치, 기지국 및 휴대기 KR2006010558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105222 2005-03-31
JPJP-P-2005-00105222 2005-03-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5589A true KR20060105589A (ko) 2006-10-11

Family

ID=36579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8984A KR20060105589A (ko) 2005-03-31 2006-03-30 인증 장치, 기지국 및 휴대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60223500A1 (ko)
EP (1) EP1710755A3 (ko)
KR (1) KR20060105589A (ko)
CN (1) CN1847590A (ko)
TW (1) TWI313722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9069A (ko) * 2017-12-11 2019-06-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제어권 관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17326B2 (ja) * 2007-03-13 2011-01-2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盗難防止システム
JP5012111B2 (ja) * 2007-03-15 2012-08-29 富士通株式会社 電子機器、不正アクセス防止方法、不正アクセス防止プログラム
US20080319732A1 (en) * 2007-06-22 2008-12-25 Farnsworth Jeffrey S Serial channel emulator
JP5159396B2 (ja) * 2008-04-03 2013-03-06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FR2932594A1 (fr) * 2008-12-19 2009-12-18 Continental Automotive France Procede de gestion de la reception, par une entite centrale montee sur un vehicule, de signaux electromagnetiques emis par des boitiers electroniques
US9369905B2 (en) * 2012-05-18 2016-06-14 Qualcomm Incorporated Battery power reporting for UE relays
JP5788924B2 (ja) * 2013-03-28 2015-10-0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盗難防止装置および盗難防止方法
JP6394571B2 (ja) * 2015-11-12 2018-09-2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施解錠システム
JP7194932B2 (ja) * 2018-10-17 2022-12-2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施解錠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方式
WO2020210990A1 (en) 2019-04-16 2020-10-22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authenticating a connection between a user device and a vehicle using bluetooth low energy technology
US11055941B1 (en) * 2020-03-31 2021-07-06 Nxp B.V. System and method of improving security during backup functionality of electronic control key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89883B1 (en) * 1997-04-30 2002-12-0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Non-contact data carrier system
EP0922823B1 (de) * 1997-12-10 2004-02-11 Delphi Automotive Systems Deutschland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Zugangsberechtigungsprüfung
EP0926623A1 (fr) * 1997-12-23 1999-06-30 EM Microelectronic-Marin SA Transpondeur actif commutable en transpondeur passif
EP1360652A1 (de) * 2001-02-15 2003-11-12 Leopold Kostal GmbH & Co. KG Schlüssellose zugangsberechtigungskontrolleinrichtu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9069A (ko) * 2017-12-11 2019-06-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제어권 관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10755A2 (en) 2006-10-11
CN1847590A (zh) 2006-10-18
EP1710755A3 (en) 2006-12-06
TW200634219A (en) 2006-10-01
TWI313722B (en) 2009-08-21
US20060223500A1 (en) 2006-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105589A (ko) 인증 장치, 기지국 및 휴대기
US7498766B2 (en) System and method for authenticating a battery
US20120007712A1 (en) Non-contact control method and device
JP2014205978A (ja) スマートエントリー用携帯機
JP6733539B2 (ja) 車両用認証システム
JP2010053632A (ja) 携帯型無線通信機
JP4953147B1 (ja) 盗電防止機能付給電システム
JP2007217971A (ja) 無線通信機能を有する携帯機
JP2006306379A (ja) 認証装置、基地局および携帯機
JP2007107249A (ja) 車両キーレス装置用携帯機
JP6597538B2 (ja) 車両用携帯機
US20090027160A1 (en) Entry system for vehicle
JP7180512B2 (ja) 通信装置、システム及び方法
JP2006124943A (ja) 情報通信システム
KR101314108B1 (ko) 차량용 충전 포트 록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7297774A (ja) ドア錠制御装置
JP2008127777A (ja) 車両用キーレスシステム
JP2000129977A (ja) オートロック機構制御用送信機および受信機とその運用方法
JP2005226254A (ja) 携帯機
JP5938361B2 (ja) 始動制御装置および始動制御方法
JP2012016132A (ja) 充電装置
JP4510604B2 (ja) 車両盗難防止装置
US11458928B2 (en) Vehicle control apparatus
JP2010042777A (ja) 盗難防止装置
JP2010121361A (ja) 電子キーシステム及び携帯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