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4732A - 자동차의 고장 진단을 통한 점검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시스템 및 서버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고장 진단을 통한 점검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시스템 및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4732A
KR20060104732A KR1020050027114A KR20050027114A KR20060104732A KR 20060104732 A KR20060104732 A KR 20060104732A KR 1020050027114 A KR1020050027114 A KR 1020050027114A KR 20050027114 A KR20050027114 A KR 20050027114A KR 20060104732 A KR20060104732 A KR 200601047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mobile communication
maintenance shop
vehicle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71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기안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271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04732A/ko
Publication of KR200601047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47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고장 진단을 통한 점검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시스템 및 서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a) 전자 제어 장치에서 자동차의 부속 장치 및 부속품의 상태를 파악하여 부품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b) 부품 상태 정보를 수신한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부품 상태 정보를 수신하면서 자동차의 점검을 요청 받는 단계; (c) 부품 상태 정보를 분석하여 소정의 알고리즘에 따라 자동차를 점검하고 자동차의 고장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d) 단계 (c)에서 확인한 결과, 자동차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에는 고장 부위를 확인하고 고장 발생 사실 및 고장 부위 정보를 포함하는 고장 결과 정보를 생성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e)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추천 정비 업소의 선정을 요청 받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f) 단계 (e)의 확인 결과,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추천 정비 업소의 선정을 요청 받는 경우에는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정비 업소 중에서 추천 정비 업소를 선정하여 추천 정비 업소 정보를 생성한 후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g)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추천 정비 업소로의 길 안내를 요청 받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h) 단계 (g)의 확인 결과,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추천 정비 업소로의 길 안내를 요청 받은 경우에는 추천 정비 업소까지의 경로 정보를 생성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및 (i)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추천 정비 업소까지의 경로 정보를 네비게이션(Navigation) 기능을 이용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자동차의 고장 진단을 통한 점검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운행 전에 자동차의 고장 여부, 고장 부위 등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안전한 운전을 보장 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장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수리할 수 있다.
자동차, 고장, 점검, 정비 업소, 이동통신 단말기, 네비게이션

Description

자동차의 고장 진단을 통한 점검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시스템 및 서버{Method, System and Server for Providing Inspection Guidance Service by Using Trouble Diagnosis of Automobil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고장 진단을 통한 점검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점검 안내 서버를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고장 진단을 통한 점검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고장 진단을 통한 점검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이 이동통신 단말기에 출력된 화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ECU 112: 센서
120: 이동통신 단말기 130: 이동통신망
132: 무선 기지국 134: 이동통신 교환국
136: 데이터 코어망 140: 인터넷
150: 점검 안내 서버 160: 정비 업소 단말기
210: 정비 업소 관리부 220: 고장 진단부
230: 정비 업소 선정부 240: 네비게이션 지원부
250: 제어부
본 발명은 자동차의 고장 진단을 통한 점검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시스템 및 서버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자동차를 안전하게 운전할 수 있도록 자동차 운행 전에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자동차의 상태를 수집한 후 분석하여 자동차의 고장 여부를 판별하고, 고장인 경우 고장 발생 사실과 고장 부위를 통보하며, 고장을 해결하는 데에 적합한 주변 정비 업소를 내비게이션(Navigation)을 이용하여 안내하는 자동차의 고장 진단을 통한 점검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시스템 및 서버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자동차를 구성하고 있는 부품은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부품과 정기적으로 교환해 주어야 하는 부품으로 나눌 수 있는데, 정기적으로 교환해주어야 하는 부품으로는 피스톤과 크랭크축 그리고 캠축 등의 동작을 원활하게 하는 엔진오일, 유압식 브레이크 장치에 사용되는 브레이크 오일, 변속기 오일, 타이어, 브레이크 라이닝 및 배터리 등이 있다.
이러한 교환 부품을 정기적으로 교환해 줌으로써, 자동차의 출력이나 각종 기능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운전자는 자동차를 안전하게 운전할 수 있 다. 따라서, 운전자는 자동차를 운행하는 중에 수시로 엔진오일이나 브레이크 오일, 변속기 오일 등의 충전 상태, 타이어, 브레이크 라이닝, 배터리 등의 사용 상태를 수시로 확인하여 보충 또는 교환하거나 자동차 부속품 등의 상태를 파악하여 손상된 부품들은 정상 부품들로 교체한 후 자동차를 운전해야 한다.
한편, 전자 제어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에 따라 자동차 시스템은 점차 고도화되고 최첨단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자동차의 부속품들은 복잡해지고 주변의 환경에 매우 민감해지면서 그 고장의 발생 형태도 다양해지고 있고, 이러한 자동차의 고장을 점검하고 진단하여 그 해결책을 찾아 수리하는 기법도 발전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기술 발전에 따라 최근에 출시되는 자동차에는 통상적으로 전자 제어 장치(ECU: Electronic Control Unit, 이하 'ECU'라 칭함)가 설치된다. ECU는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변환하는 입력 인터페이스, 정해진 순서에 따라 입력 데이터의 산술 연산 또는 논리 연산을 행하는 컴퓨터부(마이크로 컴퓨터)과 그 결과를 액츄에이터(Actuator) 작동 신호로 변환하는 출력 인터페이스로 구성된다.
ECU는 각종의 센서로부터 자동차의 부속 장치들을 조작하기 위한 정보를 읽어 들여서, 이를 분석하여 액츄에이터나 밸브(Valve), 스위치(Switch) 등을 제어하는 기본적인 기능을 갖는다. 또한, ECU는 자동차의 각 센서들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수시로 검사하면서 센서 및 자동차의 부품에 이상이 발생하면 해당 센서나 부품을 지시하여 이상 상태의 발생 사실을 운전자에게 통보한다.
한편, 이러한 ECU는 자동차에 탑재되는 전자 제어 장치이므로 그 규모나 가 격 등의 측면에서 자동차를 종합적으로 정확하게 진단하도록 구현되는 것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이에 따라 운전자는 ECU에 의해 진단된 검사 결과를 신뢰할 수 없기 때문에 스스로 유관으로나 별도의 테스트를 통해서 자동차를 진단해야 하는 불편함이 따르고 개인의 미숙한 진단으로 인해 고장 여부 및 고장 부위를 판단이 어려워 사고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또한, 운전자가 고장 여부와 고장 부위를 정확히 파악하여 수리를 하는 경우에 고장을 스스로 수리하기에는 역부족이므로 정비 업소를 찾아 수리를 맡기는 것이 통상적인 수리 방법이지만 주변의 정비 업소를 찾는 데에 많은 시간과 노력을 투자해야 할 뿐만 아니라 찾은 정비 업소가 수리에 필요한 적절한 부품과 기술을 가진 정비 업소임을 보장할 수 없기 때문에 운전자 개인 각각이 고장을 진단하고 그 고장을 해결하기에는 많은 불편함이 따른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자동차를 안전하게 운전할 수 있도록 자동차 운행 전에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자동차의 상태를 수집한 후 분석하여 자동차의 고장 여부를 판별하고, 고장인 경우 고장 발생 사실과 고장 부위를 통보하며, 고장을 해결하는 데에 적합한 주변 정비 업소를 내비게이션(Navigation)을 이용하여 안내하는 자동차의 고장 진단을 통한 점검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시스템 및 서버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자동차의 부속 장치들을 제어하는 전자 제어 장치(ECU: Electronic Control Unit),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무선 데이터 서비스 또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망, 자동차의 고장 여부를 확인하는 점검 안내 서버 및 정비 업소가 운용하는 정비 업소 단말기를 포함하는 시스템에서 자동차의 고장 및 수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전자 제어 장치에서 자동차의 부속 장치 및 부속품의 상태를 파악하여 부품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b) 부품 상태 정보를 수신한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부품 상태 정보를 수신하면서 자동차의 점검을 요청 받는 단계; (c) 부품 상태 정보를 분석하여 소정의 알고리즘에 따라 자동차를 점검하고 자동차의 고장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d) 단계 (c)에서 확인한 결과, 자동차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에는 고장 부위를 확인하고 고장 발생 사실 및 고장 부위 정보를 포함하는 고장 결과 정보를 생성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e)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추천 정비 업소의 선정을 요청 받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f) 단계 (e)의 확인 결과,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추천 정비 업소의 선정을 요청 받는 경우에는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정비 업소 중에서 추천 정비 업소를 선정하여 추천 정비 업소 정보를 생성한 후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g)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추천 정비 업소로의 길 안내를 요청 받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h) 단계 (g)의 확인 결과,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추천 정비 업소로의 길 안내를 요청 받은 경우에는 추천 정비 업소까지의 경로 정보를 생성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및 (i)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추천 정비 업소까지의 경로 정보를 네비게이션(Navigation) 기능을 이용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고장 진단을 통한 점검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에 의하면, 자동차를 운전하는 운전자의 요청에 따라 자동차의 고장 및 수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자동차의 부속 장치 및 부속품에 부착된 센서로부터 부속 장치 및 부속품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고 분석함으로써 부품 상태 정보를 생성하여 전달하는 전자 제어 장치(ECU: Electronic Control Unit); 전자 제어 장치와 연결되어 전자 제어 장치로부터 부품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전달하면서 자동차의 점검을 요청하고, 자동차를 점검한 결과를 고장 결과 정보로서 수신하여 출력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이동통신 단말기로 무선 데이터 서비스 또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추적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전달하는 이동통신망; 및 이동통신망과 연결되어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부품 상태 정보를 수신하면서 자동차의 점검을 요청 받으면 부품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자동차의 고장 여부를 판단한 후 고장 결과 정보를 생성하고, 등록된 정비 업소 중에 추천 정비 업소를 선정하여 추천 정비 업소 정보를 생성하고, 자동차의 위치로부터 추천 정비 업소의 위치까지의 경로 정보를 생성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하는 점검 안내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고장 진단을 통한 점검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에 의하면, 무선 데이터 서비스 또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하며 자동차의 부 속 장치들을 제어하는 전자 제어 장치(ECU: Electronic Control Unit)와 연결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자동차의 고장 및 수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에 있어서, 정비 업소를 등록하기 위한 웹 페이지를 구성하여 웹 페이지에 정비 업소 단말기가 접속하면 정비 업소 단말기를 인증하고 인증에 성공하면 정비 업소 단말기로부터 정비 업소 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함으로써 정비 업소를 등록하는 정비 업소 관리부;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부품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분석하고 자동차의 고장 여부를 판단한 후 자동차가 고장인 경우에는 고장 부위를 파악하여 고장 여부에 대한 정보와 고장 부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고장 결과 정보를 생성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하는 고장 진단부;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추천 정비 업소의 선정을 요청 받으면 이동통신망으로부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자동차의 위치를 파악하고, 고장 결과 정보를 이용하여 고장 부위와 고장을 수리하기 위한 부품 및 기술을 파악하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비 업소 정보를 검색함으로써 자동차가 위치한 지역 주변의 정비 업소 중에서 부품 및 기술을 보유한 정비 업소를 추천 정비 업소로서 선정한 후 추천 정비 업소에 관한 정보를 추천 정비 업소 정보로서 생성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하는 정비 업소 선정부;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추천 정비 업소에 대한 길 안내를 요청 받으면 자동차의 위치 정보와 추천 정비 업소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자동차가 위치한 지역으로부터 추천 정비 업소가 위치한 지역으로 이동하기 위한 경로를 계산하여 경로 정보를 생성한 후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로 하여금 경로 정보를 네비게이션(Navigation) 기능을 이용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네비게이션 지원부; 및 정비 업소 관리부, 고장 진단부, 정비 업소 선정부 및 네비게이션 지원부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하며, 이동통신 단말기 및 정비 업소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고장 진단을 통한 점검 안내 서비스 제공 서버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이동통신 시스템으로서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2000 시스템을 이용한다는 가정 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한다. 단, CDMA 2000 시스템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지정한 시스템으로서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이동통신 시스템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무선 데이터 서비스 또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휴대 인터넷(HPi: High Speed Portable Internet 또는 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시스템, WCDMA(Wide 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등이 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고장 진단을 통한 점검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고장 진단을 통한 점검 안내 서 비스 제공 시스템은 전자 제어 장치(ECU: Electronic Control Unit, 이하 'ECU'라 칭함)(110), 이동통신 단말기(120), 이동통신망(130), 인터넷(140), 점검 안내 서버(150) 및 정비 업소 단말기(160)를 포함한다.
전자 제어 장치(110)는 각종의 센서로부터 자동차의 부속 장치들을 조작하기 위한 정보를 읽어 들여서, 이를 분석하여 액츄에이터나 밸브(Valve), 스위치(Switch) 등을 제어한다. 또한, 전자 제어 장치(110)는 센서로부터 수신한 부속 장치나 부속품들의 상태 정보를 이동통신 단말기(120)로 전달한다.
이를 위해 전자 제어 장치(110)는 자동차의 부속 장치나 부속품에 설치되어 그 상태를 감지하여 자동차의 부속 장치나 부속품의 상태 정보(이하, '부품 상태 정보'라 칭함)를 신호로서 전송하는 센서와 센서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변환하는 입력 인터페이스, 소정의 알고리즘에 따라 입력 데이터의 산술 연산 또는 논리 연산을 행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제어부, 그 연산 결과를 액츄에이터(Actuator) 작동 신호로 변환하는 출력 인터페이스 및 센서로부터 부품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달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이동통신 단말기(120)는 이동통신망(130)과 무선으로 연결되어 이동통신망(130)을 이용하여 음성 및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기이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120)는 전자 제어 장치(110)와 연결되어 전자 제어 장치(110)로부터 부품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이동통신망(130)과 인터넷(140)을 이용하여 점검 안내 서버(150)로 전달하고 점검 안내 서버(150)로부터 고장 여부와 고장 부위가 지시된 고장 결과 정보를 수신하여 구비된 화면에 출력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점검 안 내 서버(150)로부터 주변 정비 업소를 안내하기 위한 정비 업소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구비한 네비게이션(Navigation) 기능을 이용하여 화면에 출력한다.
이를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120)는 이동통신망(130)을 이용하여 음성 및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기본 구성뿐만 아니라 수신한 정보를 지도에 표시하여 운전자의 운행을 돕는 네비게이션 프로그램을 내장한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110)로서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셀룰러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핸드헬드 PC(Hand-Held PC), GSM(Global System for Mobile)폰, W-CDMA(Wide band CDMA)폰, CDMA-2000폰,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 등이 될 수 있다. 여기서, MBS폰은 현재 논의되고 있는 제 4세대 시스템에서 사용될 핸드폰을 말한다.
이동통신망(130)은 무선기지국(132), 이동통신 교환국(134) 및 데이터 코어망(136)을 포함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20)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이동통신 단말기(120)로 하여금 인터넷(140)에 접속하여 점검 안내 서버(15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이동통신 단말기(120)로 무선 데이터 서비스 또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한다.
여기서, 무선 기지국(132)은 위치 등록 기능, 무선 채널을 할당하는 기능, 핸드오프 등 무선 호 처리에 필요한 제반 기능 등을 수행한다. 이동통신 교환국(134)은 음성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본 및 부가 서비스 처리, 가입자의 착신 및 발신 호 처리, 위치등록 절차 및 핸드오프 절차 처리, 타망과의 연동 기능 등을 수행한다. 데이터 코어망(136)은 패킷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고속 데이터 서비스, 인터넷/인트라넷 접속 서비스, 가상 사설망(VPN: Virtual Private Network) 접속 서비스, 심플(Simple) IP 및 모바일(Mobile) IP 서비스, PPP(Point-to-Point Protocol) 인증, 과금 및 패킷 압축 기능 등을 수행한다.
인터넷(140)은 TCP/IP 프로토콜 및 그 상위계층에 존재하는 여러 서비스, 즉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Telnet, FTP(File Transfer Protocol), DNS(Domain Name System),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SNT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NFS(Network File Service) 및 NIS(Network Information Service)를 제공하는 전 세계적인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 구조를 의미한다.
점검 안내 서버(150)는 네트워크 서버로 구현되고, 인터넷(140)에 연결되어 이동통신 단말기(120)로부터 부품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분석하고 소정의 알고리즘에 따라 자동차의 고장 여부를 판단하고 자동차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에는 그 고장 부위를 확인하여 그에 대한 결과를 고장 결과 정보로서 생성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20)로 송신한다. 또한, 점검 안내 서버(150)는 자동차를 운전하는 운전자의 선택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20)의 요청에 따라 자동차의 고장을 수리하기에 적합한 추천 정비 업소를 선정하고 그 결과를 정비 업소 위치 정보로서 생성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20)로 송신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20)로 하여금 네비게이션 기능을 이용하여 추천 정비 업소로 안내하도록 제어한다.
이를 위해 점검 안내 서버(150)는 부품 상태 정보를 분석하여 고장 여부를 판단하고 고장 부위를 확인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내장하고 자동차를 수리하는 정비 업소와 연계하여 그 정비 업소에 대한 정보(예를 들면, 정비 업소의 이름, 전화번호, 주소 등), 그 정비 업소가 보유한 자동차 부품 및 그 정비 업소가 수리할 수 있는 고장의 종류를 포함하는 정비 업소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서 저장하여 관리하고 이를 이용하여 추천 정비 업소를 선정한다. 또한, 점검 안내 서버(150)는 정비 업소의 등록을 웹 상에서 관리하여 정비 업소에서 운용하는 정비 업소 단말기(160)로부터 정비 업소 정보를 수신하여 등록 및 저장함으로써 정비 업소를 관리할 수도 있다. 점검 안내 서버(150)에 관해서는 도 2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정비 업소 단말기(160)는 인터넷(140)과 연결되어 전술한 정비 업소 정보를 생성하여 점검 안내 서버(150)로 송신하고 등록을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기이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란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라 정보를 생성하고, 인터넷(140)에 접속하여 정보를 송수신하고, 수신한 정보를 저장 및 출력하는 컴퓨터 등을 말하는 것이며, 데스크톱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정비 업소 단말기(160)는 인터넷(140)에 접속하기 위한 웹 브라우저와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연산 및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데이터를 입출력하기 위한 입출력부 등을 내장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점검 안내 서버를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점검 안내 서버(150)는 정비 업소 관리부(210), 고장 진단부(220), 네비게이션 지원부(230) 및 제어부(240)를 포함한다.
정비 업소 관리부(210)는 도 1을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정비 업소와 연계하 여 다수의 정비 업소 단말기(160)로부터 정비 업소 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한다. 즉, 정비 업소 관리부(210)는 정비 업소를 등록하기 위한 웹 페이지를 구성하여 그 웹 페이지에 정비 업소 단말기(160)가 접속하면 정비 업소 단말기(160)를 인증하고 인증에 성공하면 정비 업소 단말기(160)로부터 정비 업소 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본 발명에서 정비 업소 정보는 정비 업소 단말기(160)를 운용하는 정비 업소가 보유한 자동차 부품에 대한 정보 및 그 정비 업소가 수리할 수 있는 고장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따라서, 정비 업소 관리부(2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정비 업소 정보를 수신하면 데이터베이스의 해당 정비 업소에 대한 필드에 자동차 부품에 대한 정보와 수리할 수 있는 고장의 종류에 대한 정보별로 구분하여 저장한다.
고장 진단부(220)는 이동통신 단말기(120)로부터 수신한 부품 상태 정보를 분석하여 해당 자동차의 고장 여부를 판단하고 해당 자동차가 고장인 경우에는 고장 부위를 파악하여 고장 여부에 대한 정보와 고장 부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고장 결과 정보를 생성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20)로 송신한다.
정비 업소 선정부(230)는 이동통신 단말기(120)의 요청에 따라 즉, 이동통신 단말기(120)로부터 추천 정비 업소의 선정을 요청 받으면 이동통신망(130)으로 이동통신 단말기(120)의 위치 정보를 요청하고 수신하여 해당 자동차의 위치를 파악하고, 고장 진단부(220)에 의해 생성된 고장 결과 정보를 이용하여 고장 부위와 고장을 수리하기 위한 부품, 기술 등을 파악하며, 정비 업소 관리부(210)에 저장된 정비 업소 정보를 검색함으로써 해당 자동차가 위치한 지역 주변의 정비 업소 중에서 해당 자동차의 고장을 수리하기 위한 기술과 부품을 보유한 정비 업소를 선정하여 그 정비 업소의 위치 정보를 추천 정비 업소 정보로서 생성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한다.
네비게이션 지원부(230)는 이동통신 단말기(120)의 요청에 따라 즉, 이동통신 단말기(120)로부터 추천 정비 업소에 대한 길 안내를 요청 받으면 정비 업소 선정부(230)에서 파악한 해당 자동차의 위치 정보와 추천 정비 업소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자동차가 위치한 지역에서 추천 정비 업소가 위치한 지역으로 이동하기 위한 경로를 계산하여 경로 정보를 생성한 후 이동통신 단말기(120)로 송신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120)로 하여금 계산된 경로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네비게이션 지원부(230)는 자동차가 이동 중인 경우에는 이동통신 단말기(120)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자동차가 이동한 위치에서 추천 업소가 위치한 지역으로 이동하기 위한 경로를 계산함으로써 경로를 바로잡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250)는 정비 업소 관리부(210), 고장 진단부(220), 정비 업소 선정부(230), 네비게이션 지원부(240)를 제어하여 점검 안내 서버(150)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하며, 점검 안내 서버(150)의 각 구성 요소(210, 220, 230, 240) 간이나 인터넷(140)을 통해 외부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통신 기능을 제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고장 진단을 통한 점검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점검 안내 서버(150)는 평상 시에 정비 업소와 연계하여 정비 업소 단말기 (160)와 통신을 수행하면서 정비 업소 정보를 수신하여 정비 업소를 데이터베이스에 등록 및 저장하여 관리하면서 신규 접수와 갱신 등록의 삭제 등의 작업을 수행한다.
운전자는 자동차에 탑승하여 자동차의 시동을 걸면 자동차에 장착된 ECU(110)는 자동차의 부속 장치와 부속품에 부착된 센서(112)로부터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부품 상태 정보를 생성한다(S310).
운전자는 운전하기 전에 자동차 내에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120)의 전원을 켜고 이동통신 단말기(120)가 제공하는 자동차 점검 안내 메뉴를 선택한 후 운행 전 자동차 점검을 선택하면 이동통신 단말기(120)는 연결된 ECU(110)로부터ECU(110)로부터 부품 상태 정보를 수신한다(S320). 본 발명에서 이동통신 단말기(120)는 ECU(110)로부터 수신한 부품 상태 정보를 구비된 화면에 출력하여 운전자에게 자동차의 상태를 알리게 할 수도 있다.
ECU(110)로부터 부품 상태 정보를 수신한 이동통신 단말기(120)는 이동통신망(130)을 이용하여 인터넷(140)에 접속하여 점검 안내 서버(150)로 부품 상태 정보를 송신하면서 자동차의 점검을 요청한다(S330).
이동통신 단말기(120)로부터 부품 상태 정보를 수신하면서 자동차의 점검을 요청 받은 점검 안내 서버(150)는 수신한 부품 상태 정보를 분석하여 자동차를 진단하여(S340) 자동차의 고장 여부를 확인한다(S350).
점검 안내 서버(150)는 단계 S350에서 자동차의 고장 여부를 확인한 결과 고장이 아닌 경우에는 이동통신 단말기(120)로 고장이 아님을 나타내는 고장 결과 정 보를 생성하여 송신한다(S352).
점검 안내 서버(150)는 단계 S350에서 자동차의 고장 여부를 확인한 결과, 고장인 경우에는 고장 부위를 확인하고 고장 부위와 고장 발생 사실을 나타내는 고장 결과 정보를 생성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20)로 송신한다(S360).
단계 S360에서 고장 결과 정보를 수신한 이동통신 단말기(120)는 구비된 화면에 고장 결과 정보를 출력하여 운전자로 하여금 고장 발생 사실과 고장 부위를 숙지하게 하고 추천 정비 업소 선정 메뉴를 제공하여 운전자로 하여금 추천 정비 업소의 선정을 요청할 것인지 여부를 선택하게 하여 선택된 경우에는 점검 안내 서버(150)로 추천 정비 업소의 선정을 요청한다.
이동통신 단말기(120)로 고장 결과 정보를 송신한 점검 안내 서버(150)는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추천 정비 업소의 선정을 요청 받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370).
점검 안내 서버(150)는 단계 S370에서 추천 정비 업소의 선정을 요청 받는지 여부를 확인한 결과, 추천 정비 업소를 선정하여 추천 정비 업소 정보를 생성한 후 이동통신 단말기(120)로 추천 정비 업소 정보를 송신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20)로 하여금 추천 정비 업소 정보를 구비된 화면에 출력하게 하여 운전자에게 추천 정비 업소 정보를 통보한다(S380). 이동통신 단말기(120)는 구비된 화면에 네비게이션 선택 메뉴를 제공하여 운전자로 하여금 추천 정비 업소로 가는 경로를 내비게이션으로 확인할 것인지 여부를 선택하게 하여 선택된 경우에는 점검 안내 서버(150)로 내비게이션을 요청한다.
이동통신 단말기(120)로 추천 정비 업소 정보를 송신한 점검 안내 서버(150)는 네비게이션 요청을 받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390).
점검 안내 서버(150)는 단계 S390에서 네비게이션 요청을 받는지 여부를 확인한 결과, 네비게이션 요청을 받은 경우에는 자동차의 현재 위치로부터 추천 정비 업소의 위치까지의 경로 정보를 실시간으로 이동통신 단말기(120)로 송신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20)로 하여금 구비된 화면에 경로 정보를 출력하게 하여 운전자에게 경로 안내를 제공한다(S392).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고장 진단을 통한 점검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이 이동통신 단말기에 출력된 화면이다.
4A는 이동통신 단말기(120)에서 자동차 점검 메뉴가 선택된 화면이다. 운전자는 자동차에 탑승하여 시동을 건 후 이동통신 단말기(120)의 전원을 켜고 자동차를 운행하기 전에 자동차를 점검하기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120)에 의해 제공되는 자동차 점검 메뉴를 선택하면 4A와 같이 자동차 점검 여부를 묻는 메시지를 확인하고 자동차 점검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4B는 고장 결과 정보가 이동통신 단말기(120)에 의해 출력된 화면이다. 4A와 같이 도시된 화면에서 '예'를 선택하여 운전자가 자동차 점검을 선택하면 ECU(110)에 의해 수집된 부품 상태 정보가 이동통신 단말기(120)를 통해 점검 안내 서버(150)로 전달되고 점검 안내 서버(150)는 부품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고장 여부를 확인하고 고장 결과 정보를 생성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20)로 송신하면 이동통신 단말기(120)는 구비된 화면에 고장 결과 정보를 4B와 같이 출력한다. 이때, 고장 결과 정보는 "브레이크 오일의 보충이 필요합니다."라는 고장 발생 사실(브레이크 오일 부족)과 고장 부위(브레이크 오일)을 나타내는 메시지와 함께 "브레이크의 오작동이 발생할 수 있으니 보충해 주세요"라는 수리에 관한 설명 메시지를 함께 나타낼 수 있다.
4C는 추천 정비 업소 선정 메뉴가 이동통신 단말기(120)에 출력된 화면이다. 운전자가 4B와 같이 도시된 화면에서 '확인'을 선택하면 추천 정비 업소를 선정할 것인지 여부를 묻는 메시지가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에 출력된다. 운전자는 추천 정비 업소 선정 메뉴를 이용하여 자동차를 수리할 수 있는 가까운 주변의 정비 업소를 찾을 수 있다.
4D는 추천 정비 업소 정보가 이동통신 단말기(120)에 출력된 화면이다. 운전자가 4C와 같이 도시된 화면에서 '예'를 선택하면 이동통신 단말기(120)는 점검 안내 서버(150)로 추천 정비 업소의 선정을 요청하고 점검 안내 서버(150)는 자동차가 위치한 곳에서 가까우면서 자동차의 고장을 수리하는 데에 가장 적합한 추천 정비 업소를 선정하여 그 결과를 이동통신 단말기(120)로 송신하고 이동통신 단말기(120)는 추천 정비 업소를 4D와 같이 구비된 화면에 출력한다.
4E는 네비게이션 메뉴가 이동통신 단말기(120)에 출력된 화면이다. 운전자가 4D와 같이 도시된 화면에서 '확인'을 선택하면 이동통신 단말기(120)는 구비된 화면에 네비게이션 기능을 이용하여 길 안내를 받을 것인지 여부를 묻는 메시지를 4E와 같이 출력한다. 운전자는 네비게이션 기능을 이용하여 가까운 정비 업소를 방문하여 자동차를 수리하기 위해 '예'를 선택하여 길 안내를 받을 수 있다.
4F는 이동통신 단말기(120)에 가까운 정비 업소로의 경로가 네비게이션 기능을 이용하여 출력된 화면이다. 이동통신 단말기(120)는 자동차가 현재 위치한 곳 주변의 모든 등록 정비 업소와 그 중에서 추천 정비 업소를 화면에 출력하고 자동차가 이동하면 실시간으로 그 경로를 바로잡아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화면에 출력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운전자는 운행 전에 자동차의 고장 여부, 고장 부위 등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안전한 운전을 보장 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장을 수리하기 위한 정비 업소를 직접 찾지 않고 자동차가 위치한 지역 주변으로부터 가까우면서도 고장 수리에 가장 적합한 정비 업소를 제공 받음으로써 고장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수리할 수 있다.

Claims (10)

  1. 자동차의 부속 장치들을 제어하는 전자 제어 장치(ECU: Electronic Control Unit),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무선 데이터 서비스 또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망, 상기 자동차의 고장 여부를 확인하는 점검 안내 서버 및 정비 업소가 운용하는 정비 업소 단말기를 포함하는 시스템에서 상기 자동차의 고장 및 수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전자 제어 장치에서 상기 자동차의 부속 장치 및 부속품의 상태를 파악하여 부품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b) 상기 부품 상태 정보를 수신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부품 상태 정보를 수신하면서 상기 자동차의 점검을 요청 받는 단계;
    (c) 상기 부품 상태 정보를 분석하여 소정의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자동차를 점검하고 상기 자동차의 고장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d) 상기 단계 (c)에서 확인한 결과, 상기 자동차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에는 고장 부위를 확인하고 고장 발생 사실 및 고장 부위 정보를 포함하는 고장 결과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e)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추천 정비 업소의 선정을 요청 받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f) 상기 단계 (e)의 확인 결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추천 정 비 업소의 선정을 요청 받는 경우에는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정비 업소 중에서 상기 추천 정비 업소를 선정하여 추천 정비 업소 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g)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추천 정비 업소로의 길 안내를 요청 받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h) 상기 단계 (g)의 확인 결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추천 정비 업소로의 길 안내를 요청 받은 경우에는 상기 추천 정비 업소까지의 경로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및
    (i)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추천 정비 업소까지의 경로 정보를 네비게이션(Navigation) 기능을 이용하여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고장 진단을 통한 점검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검 안내 서비스는, 상기 단계 (e) 이후에,
    (e1) 상기 정비 업소 단말기로부터 상기 정비 업소에 대한 정보, 상기 정비 업소가 보유한 자동차 부품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정비 업소에 의해 수리 가능한 고장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정비 업소 정보를 수신하면서 정비 업소의 등록을 요청 받는 단계; 및
    (e2) 상기 정비 업소별로 상기 정비 업소에 대한 정보, 상기 자동차 부품에 대한 정보 및 상기 고장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저장하여 상기 정비 업소를 등록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고장 진단을 통한 점검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f)는,
    (f1)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정비 업소의 선정을 요청 받는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망으로부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는 단계;
    (f2) 상기 고장 부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자동차의 고장을 수리하는 데에 이용되는 부품 및 기술을 확인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부품 및 기술을 보유한 상기 등록된 정비 업소 중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와 가까운 주변 정비 업소를 추천 정비 업소로서 선정하고 상기 추천 정비 업소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f3)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상기 추천 정비 업소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고장 진단을 통한 점검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검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단계 (c) 및 상기 단계 (d) 사이에,
    (c1) 상기 단계 (c)에서 확인한 결과, 상기 자동차에 고장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는 고장이 아님을 나타내는 고장 결과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고장 진단을 통한 점검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5. 자동차를 운전하는 운전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자동차의 고장 및 수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의 부속 장치 및 부속품에 부착된 센서로부터 상기 부속 장치 및 상기 부속품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고 분석함으로써 부품 상태 정보를 생성하여 전달하는 전자 제어 장치(ECU: Electronic Control Unit);
    상기 전자 제어 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전자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부품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전달하면서 상기 자동차의 점검을 요청하고, 상기 자동차를 점검한 결과를 고장 결과 정보로서 수신하여 출력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무선 데이터 서비스 또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추적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전달하는 이동통신망; 및
    상기 이동통신망과 연결되어 상기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부품 상태 정보를 수신하면서 상기 자동차의 점검을 요청 받으면 상기 부품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자동차의 고장 여부를 판단한 후 상기 고장 결과 정보를 생성하고, 등록된 정비 업소 중에 추천 정비 업소를 선정하여 추천 정비 업소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자동차의 위치로부터 상기 추천 정비 업소의 위치 까지의 경로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하는 점검 안내 서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고장 진단을 통한 점검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점검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점검 안내 서버와 연결되어 상기 정비 업소에 대한 정보, 상기 정비 업소가 보유한 자동차 부품 정보 및 상기 정비 업소에 의해 수리 가능한 고장의 종류를 포함하는 정비 업소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점검 안내 서버로 송신하면서 상기 정비 업소의 등록을 요청하는 다수의 정비 업소 단말기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고장 진단을 통한 점검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점검 안내 서버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추천 정비 업소의 검색을 요청 받으면 상기 이동통신망으로부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고, 상기 고장 결과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자동차의 고장을 수리하는 데에 이용되는 부품 및 기술을 확인하고 상기 부품 및 상기 기술을 보유한 상기 정비 업소 중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와 가까운 주변 정비 업소를 추천 정비 업소로서 선정한 후 상기 추천 정비 업소에 대한 정보를 상기 추천 정비 업소 정보로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고장 진단을 통한 점검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점검 안내 서버는,
    상기 자동차의 고장 여부를 판단한 결과 상기 자동차가 고장인 경우에는 상기 자동차의 고장 부위를 파악하여 상기 자동차의 고장 발생 사실 및 상기 고장 부위를 포함하는 상기 고장 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고장 진단을 통한 점검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점검 안내 서버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추천 정비 업소로의 길 안내를 요청 받으면 실시간으로 상기 이동통신망으로부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자동차의 위치를 파악하고, 상기 자동차의 위치로부터 상기 추천 정비 업소의 위치까지의 경로 정보를 실시간으로 생성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함으로써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하여금 상기 경로 정보를 네비게이션 기능을 이용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고장 진단을 통한 점검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
  10. 무선 데이터 서비스 또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하며 자동차의 부속 장치들을 제어하는 전자 제어 장치(ECU: Electronic Control Unit)와 연결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자동차의 고장 및 수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에 있어서,
    정비 업소를 등록하기 위한 웹 페이지를 구성하여 상기 웹 페이지에 상기 정비 업소 단말기가 접속하면 상기 정비 업소 단말기를 인증하고 인증에 성공하면 상기 정비 업소 단말기로부터 정비 업소 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함으로써 상기 정비 업소를 등록하는 정비 업소 관리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부품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분석하고 상기 자동차의 고장 여부를 판단한 후 상기 자동차가 고장인 경우에는 고장 부위를 파악하여 상기 고장 여부에 대한 정보와 상기 고장 부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고장 결과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하는 고장 진단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추천 정비 업소의 선정을 요청 받으면 상기 이동통신망으로부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자동차의 위치를 파악하고, 상기 고장 결과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고장 부위와 고장을 수리하기 위한 부품 및 기술을 파악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정비 업소 정보를 검색함으로써 상기 자동차가 위치한 지역 주변의 상기 정비 업소 중에서 상기 부품 및 상기 기술을 보유한 정비 업소를 추천 정비 업소로서 선정한 후 상기 추천 정비 업소에 관한 정보를 추천 정비 업소 정보로서 생성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하는 정비 업소 선정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추천 정비 업소에 대한 길 안내를 요청 받으면 상기 자동차의 위치 정보와 상기 추천 정비 업소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자동차가 위치한 지역으로부터 상기 추천 정비 업소가 위치한 지역으로 이동하 기 위한 경로를 계산하여 경로 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함으로써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하여금 상기 경로 정보를 네비게이션(Navigation) 기능을 이용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네비게이션 지원부; 및
    상기 정비 업소 관리부, 상기 고장 진단부, 상기 정비 업소 선정부 및 상기 네비게이션 지원부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하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및 상기 정비 업소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고장 진단을 통한 점검 안내 서비스 제공 서버.
KR1020050027114A 2005-03-31 2005-03-31 자동차의 고장 진단을 통한 점검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시스템 및 서버 KR200601047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7114A KR20060104732A (ko) 2005-03-31 2005-03-31 자동차의 고장 진단을 통한 점검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시스템 및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7114A KR20060104732A (ko) 2005-03-31 2005-03-31 자동차의 고장 진단을 통한 점검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시스템 및 서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4732A true KR20060104732A (ko) 2006-10-09

Family

ID=37634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7114A KR20060104732A (ko) 2005-03-31 2005-03-31 자동차의 고장 진단을 통한 점검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시스템 및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04732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93358B2 (en) 2013-09-26 2015-11-24 Hyundai Motor Company System for informing functions of vehicle
KR101936895B1 (ko) * 2017-09-18 2019-04-03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소음을 이용한 딥러닝 기반 자동차 고장진단 시스템 및 방법
KR102032359B1 (ko) * 2018-04-10 2019-10-15 주식회사 한컴위드 차량의 고장 여부에 대한 알림 메시지 전송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00061735A (ko) 2018-11-26 2020-06-03 주식회사 프리네이쳐커머스 증강 현실 자동차 점검 서비스 앱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93358B2 (en) 2013-09-26 2015-11-24 Hyundai Motor Company System for informing functions of vehicle
KR101936895B1 (ko) * 2017-09-18 2019-04-03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소음을 이용한 딥러닝 기반 자동차 고장진단 시스템 및 방법
KR102032359B1 (ko) * 2018-04-10 2019-10-15 주식회사 한컴위드 차량의 고장 여부에 대한 알림 메시지 전송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00061735A (ko) 2018-11-26 2020-06-03 주식회사 프리네이쳐커머스 증강 현실 자동차 점검 서비스 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14910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vehicle data to third party authorized recipients
US20120123629A1 (en) Method of providing directions to a vehicle service facility
KR101118903B1 (ko) 차량 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서비스 제공 방법
US7436843B2 (en) Method for access selection
US6553292B2 (en) Device and method for performing remote diagnostics on vehicles
US20140121888A1 (en) Method, server and system for vehicle diagnosis
KR101083216B1 (ko) 무선방식의 차량 결함 수정 방법
US7545262B2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ed recall notification
KR20010103907A (ko)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한 자동차 자가진단 시스템
JP2005507113A (ja) 業務用車両をモニタリングするためのシステム
BRPI1103445A2 (pt) Método para fornecer informação de manutenção de veículo e serviço
CN103826322B (zh) 移动终端分组连接
US7562167B2 (en) Managing heterogeneous data streams for remote access
KR20130030583A (ko) 차량용 운행정보 확인장치 및 영상 저장장치의 원격 감시제어 시스템
US20090171684A1 (en) Enhanced on-demand diagnostic and maintenance reporting
JP2008511821A (ja) 自動車の制御装置のための改良されたチェック方法
US20120271503A1 (en) Bulb outage detection and part number lookup using a telematics-equipped vehicle
US11170585B2 (en) Vehicle fault diagnosis and analysis based on augmented design failure mode and effect analysis (DFMEA) data
KR100866617B1 (ko) 차량 운행정보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60104732A (ko) 자동차의 고장 진단을 통한 점검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시스템 및 서버
CN110825073A (zh) 发动机远程标定系统及方法
CN109547401A (zh) 网络安全漏洞优先化和修复
JP2002058102A (ja) 電動車両の電池保守サービスシステム
KR101412289B1 (ko) 이씨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7123907B2 (en) Method and system for testing cellular network integrity using telematic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