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4306A - 열교환기용 플레이트 - Google Patents

열교환기용 플레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4306A
KR20060104306A KR1020050026353A KR20050026353A KR20060104306A KR 20060104306 A KR20060104306 A KR 20060104306A KR 1020050026353 A KR1020050026353 A KR 1020050026353A KR 20050026353 A KR20050026353 A KR 20050026353A KR 20060104306 A KR20060104306 A KR 200601043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d
heat exchanger
flow path
refrigeran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6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04278B1 (ko
Inventor
오광헌
이성제
임홍영
Original Assignee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263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4278B1/ko
Publication of KR200601043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43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42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42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22Steps or handrails for shaf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9/0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 E06C9/02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rigidly mount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1Connec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embedding in concrete or masonry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08Special construction of longitudinal members, or rungs or other treads
    • E06C7/081Rungs or other treads comprising anti-slip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교환기용 플레이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목비드부의 비드를 비대칭으로 형성하고 유로상의 비드들은 유선형 및 동일 개수를 지그재그로 배열 형성하여 탱크내를 유동하는 냉매가 각 튜브로 균일하게 분배되어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냉매 유동분포를 균일하게 개선하고 냉매측의 압력강하량을 감소하여 방열량 증가 및 열교환효율을 향상하고 열교환기의 박형화, 소형화에 더욱 유리한 열교환기용 플레이트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내부의 유로(102)와 연통되게 단부측에 구비되는 탱크(140)와, 상기 탱크(140)를 통해 유로(102)내를 흐르는 냉매를 난류화시키기 위해 마주하는 양측면이 서로 접합되어 배열되는 다수의 제 1 비드(105)와, 상기 유로(102)의 입,출구측에 형성됨과 아울러 하나 이상의 제 2 비드(106a)들로 구획되어 복수개의 통로(106b)를 갖는 목비드부(106)로 구성된 튜브(100)를 이루는 열교환기용 플레이트에 있어서, 상기 제 1 비드(105)는 동일 개수로 형성된 각 열이 서로 지그재그로 반복 배열되고, 상기 제 2 비드(106a)는 상기 유로(102)의 중심선(C)을 기준으로 하여 비대칭으로 배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열교환기, 증발기, 플레이트, 튜브, 목비드부, 유로, 비드

Description

열교환기용 플레이트{Plate for heat exchanger}
도 1은 종래의 열교환기(증발기)를 나타내는 전체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열교환기에서 튜브의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플레이트의 상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3의 플레이트에 대한 냉매유동분포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에서 튜브의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도 5에서 플레이트의 상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제 1 비드의 폭과 길이의 비에 대한 방열성능 및 냉매측 압력강하량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8은 도 6의 플레이트에 대한 냉매유동분포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에서 플레이트에 형성된 제 1,2 비드의 다른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에서 플레이트의 유로 입,출구측에 형성된 각각 제 1,2 비드를 대칭으로 구성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증발기 2: 입구파이프
3: 출구파이프 10,100: 튜브
20,20a: 매니폴드 튜브 30: 엔드 플레이트
40,140: 탱크 50: 방열핀
101: 플레이트 102: 유로
103: 구획비드 104: 컵
105: 제 1 비드 106: 목비드부
106a: 제 2 비드 106b: 통로
본 발명은 열교환기용 플레이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목비드부의 비드를 비대칭으로 형성하고 유로상의 비드들은 유선형 및 동일 개수를 지그재그로 배열 형성하여 탱크내를 유동하는 냉매가 각 튜브로 균일하게 분배되어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냉매 유동분포를 균일하게 개선하고 냉매측의 압력강하량을 감소하여 방열량 증가 및 열교환효율을 향상하고 열교환기의 박형화, 소형화에 더욱 유리한 열교환기용 플레이트에 관한 것이다.
열교환기는 그 내부에 열교환매체가 흐를 수 있는 유로를 구비함으로써 열교환매체와 외기가 열교환되도록 이루어진 장치로서 각종 공조장치에 사용되며 사용조건에 따라 핀 튜브 타입, 서펜틴 타입, 드론 컵 타입, 패러렐 플로우 타입 등 여러가지 형식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상기 열교환기 중에서 냉매를 열교환매체로 사용하는 증발기는 일단부에 한 쌍의 컵이 형성됨과 아울러 내부의 구획비드에 의해 "U"자형 유로가 구비된 두 개의 1탱크 플레이트들을 접합하여 이루어진 튜브들과 방열핀들을 교대로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1탱크 타입과,
상,하 양단부에 각각 컵이 형성된 두 개의 2탱크 플레이트들을 접합하여 이루어진 튜브들과 방열핀들을 교대로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2탱크 타입과,
상,하 양단부에 각각 한 쌍의 컵이 형성됨과 아울러 내부의 구획비드에 의해 양쪽으로 독립된 두 개의 유로가 구비된 두 개의 4탱크 플레이트들을 접합하여 이루어진 튜브들과 방열핀들을 교대로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4탱크 타입 등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서는 편의상 1탱크 타입의 열교환기를 일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한 열교환기(1)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 또는 상,하단부에 각각 슬로트(14a)가 형성된 한 쌍의 컵(14)을 나란하게 갖는 플레이트(11) 두 개를 접합하여 이루어짐과 아울러 서로 접합되는 컵(14)들에 의해 한 쌍의 탱크(40)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한 쌍의 탱크(40) 사이에서 수직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형성된 구획비드(13)를 중심으로서 상기 한 쌍의 탱크(40)를 연통시키는 "U"자형 유로(12)가 형성되어 다수 적층되는 튜브(10)와, 상기 튜브(10)들 사이에 적층되는 방열핀(50)들과, 그리고 상기 튜브(10)들 및 방열핀(50)들의 보강을 위하여 이들의 최외곽에 설치되는 두 엔드 플레이트(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튜브(10)의 유로(12)내를 흐르는 냉매를 난류화시키기 위해 마 주하는 양측 플레이트(11)가 엠보싱 가공에 의하여 다수의 제 1 비드(15)들이 내측으로 돌출되어 접합된다.
또한, 상기 각 튜브(10)의 유로(12) 입,출구측에는 냉매가 상기 유로(12)로 골고루 분배되도록 복수개의 제 2 비드(16a)로 구획된 복수개의 통로(16b)를 갖는 목비드부(16)가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양두형 플레이트는 하단부에 2개의 컵이 더 형성되어 있다는 것을 제외하고 편두형 플레이트(11)와 동일하므로 이하 편의상 상단부에 2개의 컵(14)이 형성된 편두형 플레이트(11)만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그리고, 상기한 튜브(10)들 중에는 입구파이프(2)와 연결되어 냉매를 유입할 수 있도록 탱크(40)의 일측으로 입구측 매니폴드(21)를 돌출시킨 매니폴드 튜브(20)와, 출구파이프(3)와 연결되어 냉매를 배출할 수 있도록 탱크(40)의 일측으로 출구측 매니폴드(21a)를 돌출시킨 매니폴드 튜브(20a)도 사용된다.
상기 매니폴드(21)(21a)는 반원형 매니폴드(21)(21a)를 가진 두 매니폴드 플레이트를 서로 접촉시킴으로써 원형의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며, 이와 같이 형성되는 매니폴드(21)(21a)를 링 형태의 브레이징재에 의하여 입구파이프(2) 및 출구파이프(3)와 결합한 다음 브레이징함으로써 매니폴드(21)(21a)와 입구파이프(2) 및 출구파이프(3)가 서로 접합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매니폴드 튜브(20)(20a)는 매니폴드(21)(21a)를 제외하면 상기 튜브(10)와 그 구성이 동일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열교환기(1)내에서의 냉매흐름을 도 1 을 참조하 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하기에 앞서, 상기 냉매의 입,출구측 매니폴드(21)(21a)가 형성된 탱크(40)는 유입되는 냉매와 배출되는 냉매를 구획하기 위한 배플(60)이 내부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한 쌍의 탱크(40)는 상기 배플(60)을 기준으로 냉매가 유입되는 입구측(4)과 냉매가 배출되는 출구측(5)으로 구분되는데, 상기 입구측(4) 탱크(40)는 도면상에서 "A", "B"라 하고, 냉매가 배출되는 출구측(5) 탱크(40)는 도면상에서 "C", "D"라고 할 때,
상기 입구측 매니폴드(21)를 통해 유입되는 냉매는 상기 탱크(40)의 "A"측에 고루 분배된 후 튜브(10)(20)들의 "U"자형 유로(12)를 따라 흐르다가 인접한 타측 탱크(40)의 "B"측으로 유입되고 계속해서 동일탱크(40)의 "C"측으로 흐르게 되고, 다시 튜브(10)(20a)들의 "U"자형 유로(12)를 따라 흐르다가 출구측 매니폴드(21a)가 형성된 탱크(40)의 "D"측으로 유입되어 최종 배출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열교환기(1)는 냉매 라인을 따라 냉각 시스템 내에서 순환하는 냉매를 유입하고 배출하는 과정에서 상기 튜브(10)(20)(20a)들 사이를 통해 송풍되는 공기와 열교환하여 증발시킴으로써 냉매의 증발잠열에 의한 흡열작용으로 차실내측으로 송풍되는 공기를 냉각하게 되는 것이다.
최근 열교환기(1) 개발의 경향은 박형화, 소형화이며 따라서 열교환기(1) 구조 및 성능은 고효율, 저냉매측 압력강하량을 만족시켜야 한다. 특히 냉매측 압력강하량의 경우 열교환기(1)의 폭이 얇아지면서 기존의 형태를 가지는 플레이트(11) 로 제작을 할 경우 높은 냉매측 압력강하량이 발생하여 압축기(미도시) 일 증가 및 시스템 효율 감소 등의 문제가 있다.
즉, 종래에는 상기와 같이 전열성능을 촉진시키고 열교환기(1)의 내구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내부의 유로(12)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제 1 비드(15)를 형성하여 상호간에 접합되는 구조이며, 또한 탱크(40)에 저류된 냉매를 상기 유로(12)로 균일한 배분과 내구성을 확보하기 위해 역시 등간격으로 제 2 비드(16a)를 형성한 목비드부(16)를 설치한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플레이트(11)와 같이 상기 제 1 비드(15)와 상기 목비드부(16)에 형성되는 제 2 비드(16a)를 등간격 및 대칭으로 형성 할 경우, 도 4와 같이 냉매 유동분포가 불균일하게 되어 방열량 및 열교환효율이 저하되고 이에 따라 열교환기(1)의 박형화, 소형화에도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즉, 도 4를 보면, 적색은 냉매의 유동속도가 빠르고 유량이 많은 부분이고, 청색은 냉매의 유동속도가 느리고 유량이 적은 부분이다.
따라서, 플레이트(11) 전체적으로 볼 때, 폭(좌,우)방향에서의 중앙부분이 유량이 적고 그 양측으로 유량이 편중되는 문제가 있으며, 아울러 목비드부(16)의 중앙부분에는 유량이 많이 흐르나 양측으로 멀어질수록 유속이 낮아지게 되어 유량이 적어지면서 불균일함을 볼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11) 길이(상,하)방향으로 볼 때, 목비드부(16)와 멀어질수록 유량이 많이 흐르게 되어 역시 편중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플레이트(11)는 전체적으로 상,하,좌,우의 냉매유동분포 가 불균일함은 알 수 있다.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플레이트의 목비드부에 형성된 제 2 비드는 유로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비대칭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유로를 따라 형성되는 제 1 비드는 유선형으로 형성하되 동일 개수로 형성된 각 열을 서로 지그재그로 배열함으로서, 탱크내의 냉매가 각 튜브의 유로로 균일하게 분배/유입되어 냉매 유동분포가 균일하게 개선되고 냉매측의 압력강하량이 감소하여 방열량 증가 및 열교환효율이 향상되고 열교환기의 박형화, 소형화에 더욱 유리한 열교환기용 플레이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의 유로와 연통되게 단부측에 구비되는 탱크와, 상기 탱크를 통해 유로내를 흐르는 냉매를 난류화시키기 위해 마주하는 양측면이 서로 접합되어 배열되는 다수의 제 1 비드와, 상기 유로의 입,출구측에 형성됨과 아울러 하나 이상의 제 2 비드들로 구획되어 복수개의 통로를 갖는 목비드부로 구성된 튜브를 이루는 열교환기용 플레이트에 있어서, 상기 제 1 비드는 동일 개수로 형성된 각 열이 서로 지그재그로 반복 배열되고, 상기 제 2 비드는 상기 유로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하여 비대칭으로 배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에 있어서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종래 도면을 참조 및 동일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고, 그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에서 튜브의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서 플레이트의 상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7은 제 1 비드의 폭과 길이의 비에 대한 방열성능 및 냉매측 압력강하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8은 도 6의 플레이트에 대한 냉매유동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에서 플레이트에 형성된 제 1,2 비드의 다른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에서 플레이트의 유로 입,출구측에 형성된 각각 제 1,2 비드를 대칭으로 구성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본 발명은 1탱크 타입, 2탱크 타입, 4탱크 타입의 열교환기에 모두 동일하게 적용이 가능함을 미리 밝혀두며, 편의상 1탱크 타입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1)는, 상단부에 상호 나란하게 형성된 한 쌍의 컵(104)을 갖는 플레이트(101) 두 개를 접합하여 이루어짐과 아울러 서로 접합되는 컵(104)들에 의해 한 쌍의 탱크(140)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한 쌍의 탱크(140) 사이에서 수직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형성된 구획비드(103)를 중심으로 한 쌍의 탱크(140)를 연통시키는 "U"자형 유로(102)가 형성되어 다수 적층되는 튜브(100)와,
상기 튜브(100)들 사이에 절곡된 형태로 개재되며 전열면적을 넓혀 열교환을 촉진시키는 방열핀(50)과,
상기 튜브(100) 및 방열핀(50)을 보강하기 위해 이들의 최외곽에 설치되는 두 엔드 플레이트(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튜브(100)들 중에는 입구파이프(2)와 연결되어 냉매를 유입할 수 있도록 탱크(140)의 일측으로 입구측 매니폴드(21)를 돌출시킨 매니폴드 튜브(20)와, 출구파이프(3)와 연결되어 냉매를 배출할 수 있도록 탱크(140)의 일측으로 출구측 매니폴드(21a)를 돌출시킨 매니폴드 튜브(20a)도 사용된다.
여기서, 상기 매니폴드 튜브(20,20a)는 일측으로 돌출된 입,출구측 매니폴드(21,21a)를 제외하면 상기 튜브(100)와 그 구성이 동일하다.
또한, 상기 입,출구측 매니폴드(21,21a)가 형성된 일측 탱크(140)의 내부에는 유입되는 냉매와 배출되는 냉매를 구획하기 위한 배플(60)이 형성된다.
이러한 배플(60)에 의해 상기 적층된 다수의 튜브(100)들은 냉매가 유입되는 입구측(4)과 냉매가 배출되는 출구측(5)으로 구분된다.
따라서, 상기 입구파이프(2)로 유입되는 냉매는 상기 배플(60)에 의해 구분된 입구측(4) 튜브(20)(100)들의 "U"자형 유로(102)를 따라 흐른후 출구측(5)으로 넘어가게 되고, 이후 출구측(5) 튜브(20a)(100)들의 "U"자형 유로(102)를 따라 흐른후 출구파이프(3)를 통해 배출된다. 물론 냉매는 상기 입,출구측(4)(5) 튜브(100)들을 순차적으로 흐르는 과정에서 외부공기와의 열교환으로 외부 공기를 냉각시키게 된다.
상기한 열교환기(1)에 있어서, 상기 튜브(100)들의 유로(102) 입,출구측에는 복수개의 제 2 비드(106a)들로 구획된 복수개의 통로(106b)를 갖는 목비드부(106) 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2 비드(106a)는 상기 탱크(140)에 저류된 냉매가 상기 유로(102)로 균일하게 분배되어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유로(102)의 중심선(C)을 기준으로 하여 비대칭으로 배열 형성된다.
즉, 상기 제 2 비드(106a)는 상기 유로(102)의 중심선(C)을 기준으로 하여 개수 또는 간격 또는 형상 등을 비대칭으로 형성한 것이다.
도 6 은 상기 제 2 비드를 비대칭으로 형성한 플레이트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상기 유로(102)의 중심선(C)을 기준으로 하여 일측에는 두 개의 제 2 비드(106a)를 형성하고, 타측에는 한 개의 제 2 비드(106a)를 형성한 것이다. 또한 제 2 비드(106a)는 각각의 사이 간격 및 형상도 비대칭으로 형성된 것임을 알 수 있다.
물론, 도면에는 상기 제 2 비드(106a)가 개수, 간격, 형상 모두 비대칭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반드시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개수, 간격, 형상 중 적어도 한가지 이상을 비대칭으로 형성할 수 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각각의 제 2 비드(106a)는 제 1 비드(105)의 첫 열과의 이격 거리(L1,L2,L3)가 각각 비균일하게 형성되는데, 즉, 제 2 비드(106a)의 적어도 하나 이상을 비균일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비대칭으로 형성된 상기 제 2 비드(106a)는 유로(102)의 중심선(C)을 기준으로 하여 개수가 적은쪽의 비드(106a)는 많은쪽 보다 길게 또는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비드(106a)의 개수가 적은만큼 그 크기를 길게 또는 크게 형성하여 탱크(140)내의 냉매가 상기 유로(102)로 균일하게 분배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기 목비드부(106)의 각각의 제 2 비드(106a)는 형상 및 크기가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점차 증가하게 되고, 또한, 적어도 하나의 제 2 비드(106a)와 적어도 하나의 제 1 비드(105)는 동일선상에 배열된다.
그리고, 상기 각 튜브(100)들의 유로(102)내를 흐르는 냉매를 난류화시키기 위해 마주하는 한 쌍의 플레이트(101)의 측면을 서로 접합하여 배열되는 다수의 제 1 비드(105)가 형성된다.
즉, 상기 제 1 비드(105)는 상기 플레이트(101)의 유로(102)를 따라 엠보싱 성형방법에 의해 안쪽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냉매의 유동성 향상과 난류를 유도하도록 사선방향으로 격자배열되어 있다. 이렇게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101)에 각각 형성된 제 1 비드(105)들은 서로 접촉된 상태에서 브레이징에 의해 접합되게 된다.
또한, 상기 제 1 비드(105)는 냉매의 유동분포를 균일하게 하기 위해 동일 개수로 형성된 각 열이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배열되되, 서로 지그재그로 반복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 1 비드(105)는 냉매측의 압력강하량을 감소할 수 있도록 유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 1 비드(105)가 유선형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냉매측 압력강하량이 감소하여 제 1 비드(105)의 냉매 유입방향의 정체점에서 큰 압력이 생기지 않고 제 1 비드(105)의 유선형 면을 따라 부드럽게 유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제 1 비드(105)는 냉매가 유입되는 방향에서 선단의 압력을 줄이고 냉매 유동분포의 불균일성을 개선하고 전열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유선형으로 형성하되, 제 1 비드(105)의 폭(W)과 길이(L)의 비(W/L)를 제한하였으며, 이는 도 7 에 도시된 그래프와 같이,
상기 제 1 비드(105)의 폭(W)과 길이(L)의 비(W/L)가 작을수록 냉매측의 압력강하량이 감소되어 유리한 반면, 방열성능은 저하되고(대략 2∼3%),
또한, 폭(W)과 길이(L)의 비(W/L)가 클수록 방열성능은 다소 증가하여 유리한 반면, 냉매측의 압력강하량이 증가하여 냉매의 유동분포가 불균일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제 1 비드(105)의 폭(W)과 길이(L)의 비(W/L)를 적정범위인 다음식, 0.3 ≤ W/L ≤ 0.9 를 만족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제 1 비드(105)와 제 2 비드(106a)의 배열 형태에 의한 냉매의 유동분포는 도 8 에 도시되어 있으며,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제 1 비드(15) 및 제 2 비드(16a)를 유로(12)의 중심선(C)을 기준으로 하여 등간격 및 대칭으로 구성한 경우 보다 냉매의 유동분포가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개선 되었음을 알 수 있다. 즉, 상기 플레이트(101) 전체적으로 볼 때, 유로(102)의 폭(좌,우)방향 및 길이(상,하)방향으로 속도 편차가 적어 균일한 유량이 흐름을 알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에서 플레이트에 형성된 제 1,2 비드의 다른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앞서 설명한 제 1 비드(105) 및 제 2 비드(106a) 보다 개수를 증가시킨 형태이며, 즉, 제 1 비드(105)는 각 열에 3개씩 형성하고 제 2 비드(106a)는 4개를 형성한 경우이다.
이 경우에도 상기 목비드부(106)의 제 2 비드(106a)는 상기 유로(102)의 중심선(C)을 기준으로 하여 비대칭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비드(105)는 유선형으로 형성되되 동일 개수로 형성된 각 열이 서로 지그재그로 반복 배열된다.
한편, 상기에서는 "U"자형 유로(102)의 입,출구측에 형성된 목비드부(106)의 제 2 비드(106a)가 각각 동일형상으로 형성되었지만, 도 10과 같이, 상호 대칭형상으로 형성할 수 도 있다. 또한, 한 쌍의 컵(104)의 형상도 원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 1 비드(105)와 제 2 비드(106a)의 개수에 관계없이 목비드부(106)의 제 2 비드(106a)는 유로(102)의 중심선(C)을 기준으로 하여 비대칭으로 형성하고 제 1 비드(105)는 유선형으로 형성하되 동일 개수로 형성된 각 열을 지그재그로 반복 배열함으로서, 냉매의 유동분포가 균일하게 됨과 동시에 냉매측 압력강하량이 감소되어 방열량 증가 및 열교환효율이 향상되어 열교환기의 박형화, 소형화에 더욱 유리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 1 비드(105) 및 제 2 비드(106a)의 배열 형태를 1탱크 타입의 열교환기(1)에 적용한 것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지만,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제 1 비드(105)와 제 2 비드(106a)는 본 발명 의 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함과 아울러 동일한 구조를 2탱크 타입 또는 4탱크 타입의 열교환기에 적용하여도 본 발명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플레이트의 목비드부에 형성된 제 2 비드는 유로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비대칭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유로를 따라 형성되는 제 1 비드는 유선형으로 형성하되 동일 개수로 형성된 각 열을 서로 지그재그로 배열 형성함으로서, 탱크내의 냉매가 각 튜브의 유로로 균일하게 분배/유입되어 냉매 유동분포가 균일하게 개선되고 냉매측의 압력강하량이 감소하여 방열량 증가 및 열교환효율이 향상되고 열교환기의 박형화, 소형화에 더욱 유리하다.

Claims (6)

  1. 내부의 유로(102)와 연통되게 단부측에 구비되는 탱크(140)와, 상기 탱크(140)를 통해 유로(102)내를 흐르는 냉매를 난류화시키기 위해 마주하는 양측면이 서로 접합되어 배열되는 다수의 제 1 비드(105)와, 상기 유로(102)의 입,출구측에 형성됨과 아울러 하나 이상의 제 2 비드(106a)들로 구획되어 복수개의 통로(106b)를 갖는 목비드부(106)로 구성된 튜브(100)를 이루는 열교환기용 플레이트에 있어서,
    상기 제 1 비드(105)는 동일 개수로 형성된 각 열이 서로 지그재그로 반복 배열되고, 상기 제 2 비드(106a)는 상기 유로(102)의 중심선(C)을 기준으로 하여 비대칭으로 배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용 플레이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비드(106a)는 개수가 비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용 플레이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비드(106a)는 각각의 사이 간격이 비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용 플레이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비드(106a)는 형상이 비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용 플레이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제 2 비드(106a)는 상기 제 1 비드(105)의 첫 열과의 이격 거리(L1,L2,L3)가 비균일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용 플레이트.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비드(105)는 유선형으로 이루어지되, 폭(W)과 길이(L)의 비(W/L)가 다음식, 0.3 ≤ W/L ≤ 0.9 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용 플레이트.
KR1020050026353A 2005-03-30 2005-03-30 열교환기용 플레이트 KR1011042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6353A KR101104278B1 (ko) 2005-03-30 2005-03-30 열교환기용 플레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6353A KR101104278B1 (ko) 2005-03-30 2005-03-30 열교환기용 플레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4306A true KR20060104306A (ko) 2006-10-09
KR101104278B1 KR101104278B1 (ko) 2012-01-12

Family

ID=37634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6353A KR101104278B1 (ko) 2005-03-30 2005-03-30 열교환기용 플레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42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62653A1 (en) * 2012-10-16 2014-04-24 Cole Barry R Heat exchanger including manifold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36179A (ja) * 1994-11-04 1996-05-31 Zexel Corp 積層型熱交換器
JP2002107004A (ja) * 2000-09-27 2002-04-10 Calsonic Kansei Corp 積層型エバポレータ
KR100950714B1 (ko) * 2003-05-29 2010-03-31 한라공조주식회사 열교환기용 플레이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62653A1 (en) * 2012-10-16 2014-04-24 Cole Barry R Heat exchanger including manifold
CN104937363A (zh) * 2012-10-16 2015-09-23 阿贝尔基金会 包括歧管的热交换器
US10619944B2 (en) 2012-10-16 2020-04-14 The Abell Foundation, Inc. Heat exchanger including manifol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4278B1 (ko) 2012-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13003B2 (en) Plate for heat exchanger
KR100950714B1 (ko) 열교환기용 플레이트
JP2012132679A (ja) 蒸発器
JP2005083733A (ja) フラットチューブ型熱交換器
US20150053384A1 (en) Heat exchanger header, heat exchanger having the heat exchanger header, refrigeration cycle apparatus and air-conditioning apparatus
US20210254907A1 (en) Heat exchanger
KR101104276B1 (ko) 열교환기
CN100533046C (zh) 用于热交换器的板
KR101104278B1 (ko) 열교환기용 플레이트
KR101075164B1 (ko) 열교환기
KR20120002075A (ko) 판형 열교환기
JP2015059669A (ja) 積層型熱交換器
JP2018044707A (ja) 熱交換器
KR101401987B1 (ko) 판형 열교환기
KR20110134650A (ko) 판형 열교환기
KR100528997B1 (ko) 적층형열교환기
JPH02171591A (ja) 積層形熱交換器
KR200366753Y1 (ko) 열교환기
US11280559B2 (en) Dumbbell shaped plate fin
KR101472778B1 (ko) 열교환기
JP2000329487A (ja) 熱交換器
KR100344994B1 (ko) 열교환기용 적층형 증발기의 유로
KR20040102489A (ko) 적층형 열교환기의 플레이트
JP2003148833A (ja) 熱交換器
KR20030052631A (ko) 핀이 없는 열교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