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3516A - 푸시풀 용기 클로저 - Google Patents

푸시풀 용기 클로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3516A
KR20060103516A KR1020067010778A KR20067010778A KR20060103516A KR 20060103516 A KR20060103516 A KR 20060103516A KR 1020067010778 A KR1020067010778 A KR 1020067010778A KR 20067010778 A KR20067010778 A KR 20067010778A KR 20060103516 A KR20060103516 A KR 200601035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p
shell
closure
tip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07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54716B1 (ko
Inventor
코이 엠. 헤랄드
라메쉬 엠. 카마쓰
Original Assignee
알코아 클로져 시스템즈 인터내셔날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코아 클로져 시스템즈 인터내셔날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알코아 클로져 시스템즈 인터내셔날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601035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35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47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47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poppet valves or lift valves, i.e. valves opening or closing a passageway by a relative mo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poppet valves or lift valves, i.e. valves opening or closing a passageway by a relative mo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seat
    • B65D47/241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poppet valves or lift valves, i.e. valves opening or closing a passageway by a relative mo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seat the valve being opened or closed by actuating a cap-like element
    • B65D47/243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poppet valves or lift valves, i.e. valves opening or closing a passageway by a relative mo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seat the valve being opened or closed by actuating a cap-like element moving linearly, i.e. without rotational mo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푸시풀 클로저(10)는 쉘(14)과 팁(50)을 포함한다. 쉘(14)은 유체 개구(40), 개구를 통해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템(36), 및 본체 외부 표면상의 제1 립(44)과 본체 내부 표면상의 제2 립(46)을 포함하고, 립은 상기 제2 립이 제1 립보다 쉘의 일단부로부터 더 멀리 있는 상태로 쉘의 일단부에 면한다. 팁은 본체 외부 표면을 넘어서 수용 가능한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3 립(60)을 갖는 외부 플랜지(56) 및 본체 개구 내에 수용 가능하고 스템(36)으로부터 이격된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4 립(62)을 갖는 내부 플랜지(54)를 구비하는 주입 구멍(52)을 갖는다. 제3 립(60)은 쉘의 일단부 및 제1 립(44) 사이에 위치되고, 제4 립(62)은 쉘의 일단부 및 제 2 립(46) 사이에 위치된다. 제1 립은 제3 립의 내경보다 더 큰 외경을 갖고, 제2 립은 제4 립의 외경보다 더 작은 내경을 갖는다.
푸시풀 클로저, 쉘, 팁, 스템, 립, 내부 플랜지, 외부 플랜지, 주입 구멍

Description

푸시풀 용기 클로저 {PUSH-PULL CONTAINER CLOSURE}
본 발명은 용기 클로저에 대한 것이며, 특히 액체 함유 병을 위한 푸시/풀 방식의 캡에 대한 것이다.
많은 용기, 특히 분배 유체(예컨대 음용 액체 또는 세척 유체)를 함유하는 플라스틱 병은 액체를 분배하기 위한 통로를 개방하기 위하여 비틀리거나 잡아 당겨지는 클로저 또는 캡을 구비하고, 용기를 밀폐시키기 위해 밀봉부를 제공하여 사용하지 않을 때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종래의 캡 구조에 있어서, 팁(tip)은 캡의 쉘상에서 중앙 스템상으로 활주가능하고, 상기 쉘은 유체를 분배하기 위해 스템 주위에 개구를 형성한다. 플라스틱 팁은 스템 위로 활주식으로 고정되고 팁이 밀려들어갈 때 유체를 차단하기 위해 스템 주위를 밀봉하는 중앙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 개구는 팁이 밀려 나올 때 스템 주위 및 팁을 통해 유체가 분배되도록 스템으로부터 이격된다. 이러한 유형의 클로저는 예컨대 미국특허 제5,472,120호 및 제5,975,369호에 개시되어 있고, 그 완전한 개시물이 본 명세서에 참조로 포함된다.
클로저의 쉘에 팁을 연결하는 것은 특히 이러한 클로저의 상업상 허용을 위해서도 중요하다. 예컨대, 용기를 밀폐시키기 위해 팁을 밀고 방출시 용기를 개방 하기 위해 팁을 당기는데 요구되는 힘이 허용 가능한 범위 내에 있다는 것은 중요하다. 소비자는 밀어서 밀폐시키고 당겨서 개방하는 것이 너무 어려운 캡을 받아들이지는 않을 것이다. 동시에, 너무 쉽게 개방되는 캡은 또한 비의도적으로 개방되어 용기로부터 액체를 누설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게다가, 캡이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고 동시에 부품들이 떨어지는(캡의 유용성을 본질적으로 파괴하는) 가능성이 최소화되도록 함께 충분히 고정된 캡의 부품들을 구비한다. 이러한 캡의 가동 팁을 안전하게 보유하는 것은 이러한 캡의 팁이 가령 팁을 개방하는데 사용되는 축방향 하중뿐만 아니라 측하중 또는 비틀림 하중을 포함하는 많은 상이한 힘을 받기 쉬운 경우에 제공하기가 특히 어려울 수 있다. 측하중은 예컨대 사용자가 종종 사용하는 동안 팁을 물 때(예컨대 용기로부터 음용할 때) 특히 커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하나 이상의 문제점들을 극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태양 및 행태에 따르면, 심미적이고 기능적 양쪽 모두가 바람직한 푸시풀 클로저가 제공된다. 클로저는 용이하게 조립됨과 동시에 바람직한 밀고 당기는 힘에 의해 개방 및 밀폐될 수 있는 팁을 제공하고, 게다가 사용 중에 받을 수 있는 넓은 범위의 축방향 및 횡방향 또는 측방향 힘을 견디는 클로저 쉘상에 신뢰성 있게 유지되는 것을 보장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있어서, 쉘 및 팁을 포함하는 푸시풀 클로저가 제공된다. 쉘은 용기의 일단부에 부착 가능하고, 유체 개구를 구비하는 본체, 개구 내의 스템, 및 본체 외부 표면상의 제1 립(first lip)과 본체 내부 표면상의 제2 립(second lip)을 포함하며, 상기 립은 쉘의 일단부와 면한다. 팁은 일단부에 주입 구멍과, 본체 외부 표면상에 수용 가능한 외부 플랜지 및 본체 개구 내에 수용 가능하고 사이에 일반적으로 환형 유체 통로를 형성하기 위해 스템으로부터 이격된 내부 플랜지를 구비한다. 외부 플랜지는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3 립을 포함하고, 내부 플랜지는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4 립을 포함한다. 제3 립은 쉘의 일단부 및 제1 립 사이에 위치되고 제4 립은 쉘의 일단부 및 제2 립 사이에 위치되어, 쉘 본체로부터 팁을 제거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1 립은 제3 립과 결합하고 제2 립은 제4 립과 결합한다.
본 발명의 이러한 태양의 한 형태에 있어서, 본체 외부 표면은 원통형이고, 제1 립은 외부 원통형 표면 주위로 연장된다. 다른 형태에 있어서, 제3 립은 본체 외부 표면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편향되고, 본체 외부 표면은 제1 립으로부터 쉘의 일단부를 향해 외측으로 테이퍼진다.
본 발명의 이러한 태양의 다른 형태에 있어서, 립은 내경 및 외경을 갖는 링 형상이며, 제1 립은 제3 립의 내경보다 더 큰 외경을 가지고 제2 립은 제4 립의 외경보다 더 작은 내경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이러한 태양의 또 다른 형태에 있어서, 스템은 본체 개구를 통해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 및 제2 립은 축방향으로 이격된다. 다른 유리한 형태에 있어서는, 제3 및 제4립은 제1 및 제2 립 사이에 축방향 이격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정도의 거리만큼 축방향으로 이격되고, 제1 립은 제2 립보다 쉘의 일단부에 더욱 근접하고, 및/또는 제1 및 제2 립은 쉘의 일단부에 면하는 정지 표면을 형성하여 정지 표면이 실질적으로 축방향에 대해 횡방향이 된다.
본 발명의 이러한 태양의 또 다른 형태에 있어서, 제4 립은 본체 개구의 전체 주위에 본체 내부 표면에 대하여 활주식으로 밀봉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있어서, 쉘 및 팁을 포함하는 클로저가 제공된다. 쉘은 용기의 일단부에 부착 가능하고, 유체 개구를 구비하는 본체, 개구를 통해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템, 및 본체 외부 표면상의 제1 립과 본체 내부 표면상의 제2 립을 포함하며, 상기 립은 쉘의 일단부에 면하여 제2 립이 제1 립보다 쉘의 일단부로부터 더 멀리 있다. 팁은 일단부에 주입 구멍과, 본체 외부 표면상에 수용 가능한 외부 플랜지 및 본체 개구 내에 수용 가능하고 사이에 일반적으로 환형 유체 통로를 형성하기 위해 스템으로부터 이격된 내부 플랜지를 구비한다. 외부 플랜지는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3 립을 포함하고, 내부 플랜지는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4 립을 포함한다. 립은 내경 및 외경을 갖는 링 형상이며, 제3 립은 쉘의 일단부 및 제1 립 사이에 위치되고 제4 립은 쉘의 일단부 및 제2 립 사이에 위치된다. 제1 립은 제3 립의 내경보다 더 큰 외경을 가지고 제2 립은 제4 립의 외경보다 더 작은 내경을 가져서, 쉘 본체로부터 팁을 제거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1 립은 제3 립과 결합하고 제2 립은 제4 립과 결합한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의 한 형태에 있어서, 제1 및 제2 립은 쉘의 일단부에 면하는 정지 표면을 형성하여 정지 표면이 축방향에 대해 실질적으로 횡방향이 된다.
도1은 클로저가 밀폐 위치에 있는 본 발명에 따르는 푸시풀 클로저의 사시도이다.
도2는 클로저 팁이 개방 위치에 있는 도1의 클로저를 통해 취한 단면도이다.
도3은 도1의 선3-3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4는 도1의 선4-4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5는 도4와 유사하지만 쉘에 개방 위치에 있는 클로저 팁의 고정부를 도시하는 확대도이다.
도6은 도5와 유사하지만 클로저 팁이 폐쇄 위치에 있는 도면이다.
도7은 도1의 클로저의 저면도이다.
본 발명을 실시하는 푸시풀 클로저(10)가 도1에 도시된다. 캡부가 용기의 나사부와 결합하도록 구성된 내부 나사부(20)를 갖는 외부 원통형 벽(18)을 구비하는 바와 같이, 클로저(10)는 용기의 개구에 부착되도록 구성된 쉘(14)을 포함한다.
쉘(14)은 일반적으로 원통형 내부 및 외부 벽 또는 표면(28, 30)을 형성하는 환형 본체(26)에 의해 둘러싸이는 중앙 개구(24)를 포함한다. 스템(36)은 레이디얼 레그(38, 도4 내지 도7을 보라)와 같이 환형 본체(26) 내부에서 지지되어, 본체(26)를 통해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스템(36) 주위로 일반적으로 원통형 유동 통로(40)를 형성하게 된다. 개구는 만일 필요하면 용기로부터 유동 통로(40)까지 더욱 많은 액체 유동을 허용하도록 레그(38)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환형 본체(26)는 외부 벽(30)상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립 또는 팡(fang, 44)과 내부 벽(28)상에서 내측으로 연장되는 립 또는 팡(46)을 포함한다. 이들 립(44, 46)은 일반적으로 원통형 또는 링 형상이고, 캡부(16)에 면하고 일반적으로 축방향에 대하여 횡방향인 방향으로 반사상으로 연장되는 표면을 형성한다. 립(44, 46)은 또한 선택된 거리만큼 축방향으로 서로로부터 이격되어, 외측으로 연장되는 립(44)이 내측으로 연장되는 립(46)보다 캡부(16)에 더 근접한다.
푸시풀 팁(50)은 일단부에서 내부 및 외부 플랜지(54, 56)를 구비하고 상기 단부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주입 구멍(52)을 포함한다. 내부 플랜지(54)는 쉘 환형 본체(26) 내부에 끼워지고, 외부 플랜지(56)는 환형 본체의 외부 벽(30) 주위에 끼워진다.
내측으로 연장되는 립 또는 팡(60)은 팁 외부 플랜지(56)의 내측 주위에 제공되고, 외측으로 연장되는 립 또는 팡(62)은 팁 내부 플랜지(54)의 외측 주위에 제공된다. 립(60, 62)은 환형 본체 립(44, 46) 사이를 이격시키는 것과 동일한 거리만큼 축방향으로 서로로부터 유리하게 이격될 수 있다. 게다가, 내부 플랜지 립(62)은 유동 통로(40) 전체 주위에서 본체 내부 벽(28)에 대해 활주식으로 밀봉하여, 내부 플랜지(54)와 환형 본체(26) 사이에서 만일 있다고 하더라고 통로(40)에서 유체가 거의 누설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장한다. 이러한 밀봉은 결합하는 성분 사이에 재료의 탄성 압축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조립될 때, 팁 립(60, 62)은 캡부(16) 및 환형 본체 립(44, 46) 사이에 위치된다. 이것은 재료의 압축에 의해 환형 본체(26)상으로 팁(50)을 가압함으로써 달 성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플랜지(54, 56)의 굽힘은 팁 립(60, 62)이 환형 본체 립(44, 46) 및 쉘 환형 본체(26)의 상부를 지나서 이동되는 것을 허용할 것이다. 이러한 조립은 립(44, 46 및 60, 62)의 이격에 의해 용이하게 될 수 있고, 그러므로 팁 립(60, 62)이 환형 본체(26)의 임의의 두꺼운 부분상에 동시에 가압될 필요는 없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일단 이렇게 조립되면, 립(44, 46, 60, 62)은 팁을 쉘(14)상에 보유하기 위해 협동하여, 팁(50)이 이하에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그 이동 한계까지 당겨질 때 립(44)은 립(60)과 결합하고 립(46)은 립(62)과 결합한다. 즉, 일반적으로 내경 및 외경을 갖는 링 형상의 립(44, 46, 60, 62)은 간섭 중첩부를 가지며, 환형 본체의 외측으로 연장하는 립(44)은 내측으로 연장하는 팁 립(60)의 내경보다 더 큰 외경을 갖고, 환형 본체의 내측으로 연장하는 립(46)은 외측으로 연장하는 팁 립(62)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다.
립(44, 46, 60, 62)은 완전히 연속일 필요가 없다는 것을 알아야 하고, 따라서 이들 환형 형상에 파단부를 가지면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예컨대 환형 본체 립(44, 46)을 완전한 360도로 형성하기가 어려운 몰드 요소가 사용될 수 있다[예컨대, 레그(38)를 형성하는데 사용된 몰드 요소는 레그(38)와 축방향으로 정렬된 상태로 환형 본체 내부 립(46)을 형성하는데 필수적인 몰드 요소를 차단할 수 있고, 이러한 경우의 내측으로 돌출하는 립(46)은 도4 내지 도6에는 도시되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립의 충분한 연장은 쉘 환형 본체(25) 및 팁(50) 사이의 바람직한 고정부를 제공하도록 립(44, 46, 60, 62) 사이에 필수적인 중첩부를 생성 하기 위해 용이하게 몰딩될 수 있다.
밀봉 부재(70)는 주입 구멍(52) 주위에 제공되고,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팁(50)이 밀폐 위치에 있을 때 밀봉 부재가 스템(36) 주위를 밀봉하도록 구성된다. 팁(50)이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스포츠 음료와 같은 유체가 용기로부터 캡부(16)[화살표(74)]와 스템(36)[화살표(76)] 주위의 원통형 유동 통로(40)를 통해 주입 구멍(52)[화살표(78)]을 통해 밖으로 유동한다.
도5 및 도6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쉘 환형 본체(26)의 내부 및/또는 외부 벽(28, 30)은 립(44, 46)으로부터 외측으로 캡부(16)를 향해 미소하게 테이퍼질 수 있다. 결론적으로, 팁(50)이 개방 위치를 향해 뽑혀질 때, 팁(50)이 더 제거되어지는 것을 중단시키기 위해 립(44, 46, 60, 62)이 결합되는 한계부에 팁(50)이 접근함에 따라 요구된 당기는 힘에 대한 탐지 가능한 감소가 있을 수 있다. 즉, 팁 립(60, 62)과 환형 본체 내부 및 외부 벽(28, 30) 사이의 압축력이 감소하게 되고, 그러므로 립(60, 62)과 벽(28, 30) 사이의 축방향 마찰이 유사하게 감소하게 된다. 이러한 확실한 느낌은 팁(50)을 당기는 사람이 그 당기는 힘을 감소하게 하는 장점을 가질 수 있고, 그럼으로써 팁(50)이 정지 한계부에 도달했을 때 쉘 환형 본체(26) 상에 확실하게 보유될 것이라는 것을 보장하는 것을 돕는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개방 및 밀폐 위치 사이를 넘어서 활주하도록 팁 립(60, 62)을 위한 균일한 형상의 표면을 제공하기 위해, 내부 및 외부 벽(28, 30)이 직선 단면으로 된다.
게다가, 축방향으로 이격된 내부 및 외부 립(62, 60)이 쉘 환형 본체(26)의 내부 및 외부 벽(28, 30)과 활주식으로 결합하는 상술된 구조는 환형 본체(26)를 넘어서 밀리고 당겨질 때 팁(50)의 견고한 축방향 위치 설정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축을 벗어나는 비틀림을 최소화), 이는 소비자에게 중요한 밀고 당기는 힘이 제어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즉, 요구된 밀고 당기는 힘의 상당한 양은 팁(50)과 환형 본체(26) 사이의 마찰에 기초하기 때문에, 그리고 이 마찰은 마찰식으로 결합하는 표면에 크게 의존하기 때문에, 립이 팁(50)의 푸시풀 움직임의 완전함 범위에 거쳐 완전 결합 위치로 유지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마찰의 제어는 본 발명에 의해 비교적 용이하다[즉, 접촉 표면 및 이와 같은 마찰력은 팁(50)이 뽑힐 때 팁(50)과 환형 본체(26) 사이에서의 중첩이 감소함에도 불구하고 두드러지게 감소하지 않는다].
더욱이, 본 발명은 팁(50)상에서 당기는 힘에 대항하여 환형 본체(26)에 팁(50)의 안전한 장착을 위해 제공할 뿐만 아니라, 또한 우연히 만날 수 있는 측방향으로 당기는 힘[예컨대, 사용중에 사용자가 팁(50)을 물 때]과 같은 다른 힘에 대항하여 안전한 장착을 제공한다. 이런 모든 힘에 대항하여 이렇게 안전한 장착의 제공은 기능적으로 그리고 상업적으로도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술된 본 발명은 심미적으로 바람직하고, 개방될 때 클로저를 통해 소정 유동을 제공할 수 있고, 스포츠 음료병을 위한 푸시풀 클로저를 사용하는데 용이함을 제공함과 통시에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는 클로저를 제공한다. 더욱이, 이렇게 유용한 클로저는 사용중에 받게 될 수 있는 넓은 범위의 힘들에도 불구하고 클로저 쉘상에 안전하게 유지될 수 있는 푸시풀 팁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 목적 및 장점은 명세서, 도면 및 동봉된 청구범위의 연구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된 바와 같은 양호한 실시예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이 얻어지는 변형된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Claims (13)

  1. 일단부에서 용기에 부착 가능한 쉘과 팁을 포함하는 클로저이며,
    상기 쉘은
    용기 개구에 부착 가능하고, 외부 표면, 및 용기 개구에 부착될 때 용기 개구와 유체 연통하는 개구를 형성하는 내부 표면을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 표면과 스템 사이에 일반적으로 원통형 유체 통로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본체 개구 내부에 위치된 스템과,
    상기 쉘의 일단부에 면하고 상기 본체 외부 표면상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1 립과,
    상기 쉘의 일단부에 면하고 상기 본체 내부 표면상에서 내측으로 연장하는 제2 립을 포함하고,
    상기 팁은
    일단부에 주입 구멍과,
    상기 본체 외부 표면을 넘어서 수용 가능하고,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3 립을 포함하는 외부 플랜지와,
    상기 본체 개구 내에서 수용 가능하고, 일반적으로 환형 유체 통로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스템으로부터 이격되고,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4 립을 추가로 포함하는 내부 플랜지를 구비하고,
    상기 제3 립은 상기 쉘의 일단부와 상기 제1 립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제4 립은 상기 쉘의 일단부와 상기 제2 립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쉘 본체로부터 상기 팁의 제거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 립은 상기 제3 립과 결합하고 상기 제2 립은 상기 제4 립과 결합하는 클로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제3 및 제4 립은 각각 연속적인 클로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외부 표면은 원통형이고, 상기 제1 립은 외부 원통형 표면 주위로 연장되는 클로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립은 상기 본체 외부 표면에 대항하여 탄성적으로 편향되고, 상기 본체 외부 표면은 상기 제1 립으로부터 상기 쉘의 일단부를 향해 테이퍼진 클로저.
  5. 제1항에 있어서, 립은 내경 및 외경을 갖는 링 형상이고, 상기 제1 립은 상기 제3 립의 내경보다 더 큰 외경을 갖고, 상기 제2 립은 상기 제4 립의 외경보다 더 작은 내경을 갖는 클로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템은 상기 본체 개구를 통해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및 제2 립은 축방향으로 이격되는 클로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및 제4 립은 상기 제1 및 제2 립 사이의 축방향 이격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거리만큼 축방향으로 이격되는 클로저.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립은 상기 제2 립보다 상기 쉘의 일단부에 더 근접한 클로저.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립은 상기 쉘의 일단부에 면하는 정지 표면을 형성하고, 상기 정지 표면은 상기 축방향에 대해 실질적으로 횡방향인 클로저.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립은 상기 본체 개구의 전체 주위를 상기 본체 내부 표면에 대항하여 활주식으로 밀봉하는 클로저.
  11. 일단부에서 용기에 부착 가능한 쉘과 팁을 포함하는 클로저이며,
    상기 쉘은
    용기 개구에 부착 가능하고, 원통형 외부 표면, 및 용기 개구에 부착될 때 용기 개구와 유체 연통하는 개구를 형성하는 내부 표면을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 표면과 스템 사이에 일반적으로 원통형 유체 통로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본체 개구 내부를 통해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템과,
    상기 쉘의 일단부에 면하고 상기 본체 외부 표면상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1 립과,
    상기 제1 립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쉘의 일단부에 면하고, 상기 제1 립보다 상기 쉘의 일단부로부터 더 멀리 있으며, 상기 본체 내부 표면상에서 내측으로 연장하는 제2 립을 포함하고,
    상기 팁은
    일단부에 주입 구멍과,
    상기 본체 외부 표면을 넘어서 수용 가능하고,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3 립을 포함하는 외부 플랜지와,
    상기 본체 개구 내에서 수용 가능하고, 일반적으로 환형 유체 통로를 형성하기 위해 스템으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제1 립 및 제2 립 사이의 축방향 이격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거리만큼 상기 제3 립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이격되고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4 립을 추가로 포함하는 내부 플랜지를 구비하고,
    상기 제3 립은 상기 쉘의 일단부와 상기 제1 립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제4 립은 상기 쉘의 일단부와 상기 제2 립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립은 내경과 외경을 갖는 링 형상이며, 상기 제1 립은 상기 제3 립의 내경보다 더 큰 외경을 갖고, 상기 제2 립은 상기 제4 립의 외경보다 더 작은 내경을 가지며, 이에 의해 상기 쉘 본체로부터 상기 팁의 제거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 립은 제3 립과 결합하고 상기 제2 립은 제4 립과 결합하는 클로저.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립은 상기 쉘의 일단부에 면하는 정지 표 면을 형성하고, 상기 정지 표면은 상기 축방향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횡방향인 클로저.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제3 및 제4 립은 각각 연속적인 클로저.
KR1020067010778A 2003-11-05 2004-11-04 푸시풀 용기 클로저 KR1011547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701,847 US7066360B2 (en) 2003-11-05 2003-11-05 Push-pull container closure
US10/701,847 2003-11-05
PCT/US2004/040203 WO2005044685A1 (en) 2003-11-05 2004-11-04 Push-pull container clos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3516A true KR20060103516A (ko) 2006-10-02
KR101154716B1 KR101154716B1 (ko) 2012-06-08

Family

ID=34551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0778A KR101154716B1 (ko) 2003-11-05 2004-11-04 푸시풀 용기 클로저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7066360B2 (ko)
EP (1) EP1697225B1 (ko)
JP (1) JP2007510599A (ko)
KR (1) KR101154716B1 (ko)
CN (1) CN1902101B (ko)
AU (1) AU2004287885A1 (ko)
BR (1) BRPI0416176A (ko)
CA (1) CA2544968C (ko)
EG (1) EG24827A (ko)
ES (1) ES2367570T3 (ko)
RU (1) RU2358890C2 (ko)
WO (1) WO2005044685A1 (ko)
ZA (1) ZA20060356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99914A1 (en) * 2006-02-24 2007-08-30 Ming-Hua Hung Cap assembly for bottles
US7661560B2 (en) * 2006-04-28 2010-02-16 Pouch Pac Innovations, Llc Flexible pouch with a tamper-evident outer cap fitment and method of forming
US8573445B2 (en) 2006-04-28 2013-11-05 Pouch Pac Innovations, Llc Flexible pouch with a tube spout fitment and flexible sleeve
GB0700334D0 (en) * 2007-01-09 2007-02-14 Imi Vision Ltd Pump
US8474665B2 (en) * 2008-07-24 2013-07-02 Sports Pouch Beverage Co., Inc. Re-sealable spigot for a collapsible beverage container
US8459512B2 (en) * 2008-07-24 2013-06-11 Sports Pouch Beverage Co., Inc. Re-sealable spigot for a collapsible beverage container
DE102008060773A1 (de) 2008-12-05 2010-06-10 Sartorius Stedim Biotech Gmbh Verschluss für einen Behälter
EP2421767A1 (en) * 2009-04-21 2012-02-29 Sistema Plastics Limited Dispensing closure assemblies ("spring twist")
US8167490B2 (en) 2009-04-22 2012-05-01 Reynolds Consumer Products Inc. Multilayer stretchy drawstring
US8770428B2 (en) * 2009-05-19 2014-07-08 Weener Plastik Gmbh Lid for closing an opening of a container, packaging including a container with such a lid and process for sealing a container with such a lid
US8631977B2 (en) * 2009-06-02 2014-01-21 Weener Plastik Gmbh Closure for a container
DE102010019691A1 (de) 2010-05-07 2011-11-10 Sartorius Stedim Biotech Gmbh Ventil für einen Behälter
DE102012002935A1 (de) * 2012-02-16 2013-08-22 Mapa Gmbh Push-Pull-Verschluss für einen Trinkbehälter
PT106472A (pt) * 2012-07-31 2014-10-07 Vieira Araújo S A Tampa para vasilhames
US9586740B2 (en) 2013-02-20 2017-03-07 Dow Global Technologies Llc Dispensing container and method
EP3094571B1 (en) * 2014-01-14 2019-08-28 Closure Systems International Inc. Dispensing closure assembly with pre-venting
JP6286257B2 (ja) * 2014-03-31 2018-02-28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プッシュプルキャップ
USD768492S1 (en) * 2014-10-20 2016-10-11 Hanlim Pharmaceutical Co., Ltd. Safety cap
CH710842A1 (de) * 2015-03-11 2016-09-15 Alpla Werke Alwin Lehner Gmbh & Co Kg Dosier- und Ausgiessvorrichtung für fliessfähige Substanzen und mit einer derartigen Dosier- und Ausgiessvorrichtung ausgestatteter Behälter.
USD784084S1 (en) * 2015-08-03 2017-04-18 Overton Enterprises, Llc Water bottle cap design
DE102016007556B3 (de) * 2016-06-06 2017-09-21 Beiersdorf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zum Verschließen sowie zur Produktabgabe
USD834368S1 (en) * 2016-08-22 2018-11-27 Calibre International, Llc Lid with sip drinking member
US10610452B2 (en) * 2016-12-29 2020-04-07 Bracco Imaging Spa Container closure operated by a connecting device
US10407225B2 (en) 2017-11-07 2019-09-10 Closure Systems International Inc. Closure and package that vents at high pressure
RU193991U1 (ru) * 2018-07-30 2019-11-22 Игнат Игоревич Лавренчук Укупор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USD903408S1 (en) * 2019-09-18 2020-12-01 Hydrapak Llc Bottle cap
USD907955S1 (en) * 2019-09-18 2021-01-19 Hydrapak Llc Bottle cap
USD999630S1 (en) * 2022-01-24 2023-09-26 Helen Of Troy Limited Lid for a bottl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99845A (en) * 1969-07-23 1971-08-17 Vca Corp Container closure
US5472120A (en) 1994-03-31 1995-12-05 Erie Plastics Bottle with two-stage opening
US5456374A (en) * 1994-09-19 1995-10-10 Beck; Matthew R. Tamper evident container closure
DE19514793C1 (de) 1995-04-21 1996-11-21 Henkel Kgaa Verschluß für einen Behälter für fließfähige Produkte
US5975369A (en) * 1997-06-05 1999-11-02 Erie County Plastics Corporation Resealable pushable container closure and cover therefor
JP2000016451A (ja) * 1998-06-27 2000-01-18 Yoshino Kogyosho Co Ltd 中空容器の液体注出キャップ
IT1306677B1 (it) * 1999-06-29 2001-10-02 San Benedetto Acqua Minerale Tappo asettico per contenitori di liquidi.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066360B2 (en) 2006-06-27
WO2005044685A1 (en) 2005-05-19
ZA200603560B (en) 2008-04-30
AU2004287885A1 (en) 2005-05-19
US20050092785A1 (en) 2005-05-05
RU2006119450A (ru) 2007-12-27
RU2358890C2 (ru) 2009-06-20
EP1697225A1 (en) 2006-09-06
BRPI0416176A (pt) 2007-01-09
EP1697225B1 (en) 2011-06-08
CA2544968C (en) 2012-01-17
KR101154716B1 (ko) 2012-06-08
ES2367570T3 (es) 2011-11-04
CN1902101B (zh) 2010-04-07
CN1902101A (zh) 2007-01-24
JP2007510599A (ja) 2007-04-26
EG24827A (en) 2010-09-27
CA2544968A1 (en) 2005-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4716B1 (ko) 푸시풀 용기 클로저
KR101989217B1 (ko) 병과 같은 용기를 위한 뚜껑
US6138290A (en) Movable fitting members for use with drain fittings
US5145094A (en) Dispensing closure for squeeze bottle
US6840410B2 (en) Fluid dispensing valve and method of use
RU2493076C2 (ru) Комплект из контейнера и крышки
US6997359B2 (en) Bottle closure
EP1700791A2 (en) System including a hinged closure and tube container and method for sealing a hinged closure on a tube container
EP3409610A1 (en) Water bottle with self-closing valve
CA2947623C (en) Liquid dispenser with valve
US20050087571A1 (en) Fluid dispensing valve and method of assembly
US5419467A (en) Two-piece pouring spout with dome-shaped nozzle
WO2010004252A2 (en) Closure element a fluid container
WO2003026999A1 (en) Container closure with horizontal and vertical seals
US20200148433A1 (en) Lid for drinking container with push pull lid core component
US20150353246A1 (en) Lockable Closure Device
MXPA06005124A (en) Push-pull container closure
US7182230B2 (en) Resealable closure system
US20090026231A1 (en) Valves for drinking cups
GB1573502A (en) Dispensing tap
JP2019131234A (ja) 内容物を計量して塗布する塗布容器
EP2952448A1 (en) A lockable closure device
JP2008081130A (ja) 液体ディスペンサー
WO2012099669A1 (en) Cap and spout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