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2370A - 휴대단말기용 키패드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용 키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2370A
KR20060102370A KR1020050023878A KR20050023878A KR20060102370A KR 20060102370 A KR20060102370 A KR 20060102370A KR 1020050023878 A KR1020050023878 A KR 1020050023878A KR 20050023878 A KR20050023878 A KR 20050023878A KR 20060102370 A KR20060102370 A KR 200601023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pad
font
key
key module
fpc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38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50917B1 (ko
Inventor
양윤홍
이주화
Original Assignee
디케이 유아이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케이 유아이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디케이 유아이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238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0917B1/ko
Publication of KR200601023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23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0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09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5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 mounting or arrangement of operating parts, e.g. push-buttons or ke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23Light-emitting indic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18Distinguishing marks on switches, e.g. for indicating switch location in the dark; Adaptation of switches to receive distinguishing ma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09/00Layers
    • H01H2209/002Materials
    • H01H2209/0021Materials with metallic appearance, e.g. polymers with dispersed particles to produce a metallic appearan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36Light emitt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폰트(F)에 대향되는 키 모듈(10)의 하면에 LED(L)가 직하방향으로 설치되도록 홈(G)을 부여함과 동시에 FPCB(30)를 통하여 LED(L)의 구동전원을 제공토록 하여 폰트(F)와 광원의 거리를 극히 근접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높은 휘도를 갖는 폰트(F)를 구현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용 키패드(100)에 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용 키패드{KEYPAD FOR PORTABLE APPLIANCE}
도 1a는 종래의 일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키패드를 나타내는 회로기판 및 돔 스위치를 포함한 단면도.
도 1b는 종래의 다른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키패드를 나타내는 회로기판 및 돔 스위치를 포함한 단면도.
도 2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키패드를 나타내는 회로기판 및 돔 스위치를 포함한 단면도.
도 2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키패드를 나타내는 회로기판 및 돔 스위치를 포함한 단면도.
도 2c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키패드를 나타내는 회로기판 및 돔 스위치를 포함한 단면도.
도 2d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키패드를 나타내는 회로기판 및 돔 스위치를 포함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도 2a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키 모듈 11 : 낱개형 키
11a: 수지필름 11b : 구멍
20 : 패드 21 : 돌기
30 : FPCB 40 : 양면 접착테이프
41 : 천공구멍 50 : 프라이머
100 : 키패드
도 2b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키 모듈 12 : 키 세트
12a : 키탑 12b : 베이스
20 : 패드 21 : 돌기
30 : FPCB 40 : 양면 접착테이프
41 : 천공구멍 50 : 프라이머
100 : 키패드
도 2c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키 모듈 13 : 메탈 키 플레이트
13a: 라인홀 13b : 수지필름
13c : 라인돌기 20 : 패드
21 : 돌기 30 : FPCB
40 : 양면 접착테이프 41 : 천공구멍
50 : 프라이머 100 : 키패드
도 2d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키 모듈 14 : 시트
14a : 금속 증착층 14b : 수지필름
20 : 패드 21 : 돌기
30 : FPCB 40 : 양면 접착테이프
41 : 천공구멍 50 : 프라이머
100 : 키패드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용 키패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FPCB에 표면 실장된 LED를 키 모듈의 하면에 형성된 홈에 직하방향으로 설치시켜 폰트에 제공되는 광원의 휘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 휴대단말기용 키패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단말기용 키패드는 가정용 전화기, PDA, 셀룰러폰 등을 포함하는 휴대단말기에 적용되고 있으며 회로기판과 연동되어 시그널을 발생시키는 스위칭 부재로서 사용되고 있다.
이하 소개되는 휴대단말기용 키패드는 편의상 셀룰러폰용 키패드를 하나의 예로서 설명하기로 하고 본 발명에서는 이에 크게 제한되지 않는 것으로 한다.
도 1a는 종래의 일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키패드(50)를 나타내는 회로기판(H) 및 돔 스위치(D)를 포함한 단면도이다.
종래의 일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키패드(50)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폰트(F)가 부여되어 프런트 하우징(FH)의 외부로 노출되는 다수 개의 낱개형 키(51)들이 수지필름(51a)에 부착된 후 돔 스위치(D)를 가압하기 위한 돌기(52a)를 갖는 패드(52)에 세팅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돔 스위치(D)의 탄성적인 상하 이동으로 회로기판(H)의 접점(H1)을 터치토록 함으로써 시그널을 발생할 수 있도록 하 며, 돔 스위치(D)와 회로기판(H) 사이에는 접점(H1)을 수용하는 홀(S1)을 구비한 스페이서(S)가 위치된다.
낱개형 키(51)의 폰트(F)는 시각적으로 뚜렷하게 확인될 수 있도록 광원을 필요로 하고, 이 광원은 다수 개의 낱개형 키(51)들 사이, 즉 패드(52)의 돌기(52a)들 사이에 위치되는 돔 스위치(D) 및 스페이서(S)를 관통하여 회로기판(H)에 접속된 LED(L)에 의하여 제공된다.
통상적으로 LED(L)는 휘도가 높을수록 폰트(F)를 더욱 선명하게 비출 수 있는데, 종래의 일 예에서는 LED(L)가 낱개형 키(51)들 사이에 위치됨으로 인하여 패드(52)나 돌기(52a) 또는 낱개형 키(51) 자체에 의한 빛의 반사, 굴절, 빛가림 또는 빛샘 등이 심하게 일어나 폰트(F)에 입사되는 빛의 효율을 오히려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고, LED(L)가 돔 스위치(D) 및 스페이서(S)를 관통하여 회로기판(H)에 접속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그 조립 작업 또한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도 1b는 종래의 다른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키패드(50)를 나타내는 회로기판(H) 및 돔 스위치(D)를 포함한 단면도이다.
종래의 다른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키패드(50)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폰트(F)가 부여되어 프런트 하우징(FH)의 외부로 노출되는 키탑(53a)/베이스(53b) 일체형 키 세트(53)로 이루어지고, 키탑(53a)의 하면에는 돔 스위치(D)를 가압하기 위한 돌기(53d)가 성형되며, 이들 돌기(53d)와 돌기(53d) 사이에 존재하는 베이스(53b)의 하면에는 돔 스위치(D) 및 스페이서(S)를 관통하여 회로기판(H)에 접속된 LED(L)를 수용하기 위한 홈(53c)이 구비되고, 스페이서(S)는 돔 스위치(D) 와 회로기판(H)을 격리시키면서 접점(H1)을 수용하기 위한 홀(S1)을 갖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종래의 다른 예 역시 LED(L)가 키탑(53a)들 사이에 위치됨으로 인하여 패드(52) 자체는 물론 돌기(53d) 또는 키탑(53a) 등에 의한 빛의 반사, 굴절, 빛가림 내지는 빛샘 등이 발생하여 폰트(F)에 입사되는 빛의 효율을 크게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고, 아울러 종래의 일 예와 마찬가지로 LED(L)가 돔 스위치(D) 및 스페이서(S)를 관통하여 회로기판(H)에 접속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그 조립 작업 또한 용이하지 않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FPCB에 표면 실장된 LED를 키 모듈의 하면에 형성된 홈에 직하방향으로 곧바로 설치하여 폰트와 광원의 거리를 최소화시켜 높은 휘도를 갖는 컬러플한 폰트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한 휴대단말기용 키패드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폰트가 부여된 키 모듈과, 상기 키 모듈을 지지하면서 돌기를 갖는 패드를 포함하는 휴대단말기용 키패드에 있어서,
상기 폰트에 대향되는 상기 키 모듈의 하면에 각각 형성된 홈과,
상기 키 모듈 및 패드 사이에 접착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FPCB와,
상기 FPCB에 표면 실장되어 상기 홈에 각각 삽입되는 LED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고, 이들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을 보다 더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의 제 1 내지 제 4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키패드(100)를 나타내는 회로기판(H) 및 돔 스위치(D)를 포함한 단면도이며, 이 중 양면 접착테이프(40) 및 프라이머(50)를 이용한 접착 설명은 제 1 내지 제 4 실시예에 공히 적용할 수 있어 아래의 서두에 구체적으로 기술하기로 하고, 이후 도 2a 내지 도 2d를 참조하면서 설명되는 제 1 내지 제 4 실시예에서는 설명상의 번잡함을 피하기 위하여 약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키패드(100)는 도 2a 내지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폰트(F)가 부여된 키 모듈(10)을 기본으로 하며, 이 키 모듈(10)을 지지하면서 돔 스위치(D)를 가압하기 위한 돌기(21)를 갖는 패드(20)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폰트(F)에 대향되는 키 모듈(10)의 하면에는 홈(G; Groove)이 각각 형성되고, 키 모듈(10)을 지지하는 패드(20) 위에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FPCB[30; 연성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으로서 필름에 적층된 동박(FCCL: Flexible Copper Clad Laminate)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설계됨]가 접착되며, 이 FPCB(30)에는 키 모듈(10)의 홈(G)에 삽입되는 LED[ℓ;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로서 표면실장소자(SMD; Surface Mount Devices)임]가 표면 실장된다.
폰트(F)에 대향되는 키 모듈(10)의 하면에 LED(L)가 직하방향으로 곧바로 설치됨으로써 폰트(F)와 광원의 거리가 극히 근접하게 이루어져 높은 휘도로서 폰트(F)를 비춰줄 수 있게 되며, 경우에 따라서 서로 다른 컬러를 발광하는 LED(L)를 FPCB(30)에 표면 실장할 경우 빛의 컬러플(Colorful)한 미감을 통한 휴대단말기의 고급스런 가치를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
이때, FPCB(30)와 패드(20)는 서로 프라이머(50) 접착시켜 상호간의 긴밀한 결합을 이룰 수 있도록 하며, 더욱 구체적으로 FPCB(30)의 배면에 잔존하는 먼지나 기타 오염물질을 완전히 제거하고 충분히 건조된 상태에서 붓, 롤러, 에어건 또는 인쇄방식 등으로 프라이머(50)를 도포한 후 패드(20)를 성형공정으로 형성하면서 접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LED(L)가 표면 실장되어 패드(20) 위에 프라이머(50) 접착된 FPCB(30)와 키 모듈(10) 상호간의 접착은 작업상의 편리함을 위하여 키 모듈(10)의 홈(G)에 일치하는 천공구멍(41)을 갖는 양면 접착테이프(40)를 이용한다.
즉, 도 2a 내지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실시예에 따라 키 모듈(10)이 다양하게 제작될 수 있으므로, 이들 키 모듈(10)에 이형지(미 도시됨)를 구비한 양면 접착테이프(40)를 적절히(예를 들어, 키 모듈(10)에 상측 이형지를 제거 한 양면 접착테이프(40)를 먼저 접착시키고 작업 중 하측 이형지가 씌워진 양면 접착테이프(40)의 하면에 불필요하게 이물질이 부착되는 현상을 방지토록 적절히) 활용함으로써 FPCB(30)의 접착작업을 더욱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라 키 모듈(10)의 폰트(F)가 LED(L)의 광원을 최근거리에서 받을 수 있게 되어 높은 휘도의 컬러플한 색상으로 프런트 하우징(FH)의 외부로 표출될 수 있고, 휴대단말기의 기능동작을 위한 폰트(F)의 선택적 접촉시 패드(20)의 돌기(21)가 돔 스위치(D)를 탄성적으로 가압하면서 회로기판(H)의 접점(H1)을 터치토록 함으로써 소정의 시그널을 수득할 수 있게 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키패드(100)를 나타내는 회로기판(H) 및 돔 스위치(D)를 포함한 단면도이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키패드(100)에 적용된 키 모듈(10)은 폰트(F)가 부여됨과 동시에 홈(G)을 갖는 낱개형 키(11)로 이루어질 수 있고, LED(L)를 수용하는 낱개형 키(11)의 홈(G)에 연통되는 구멍(11b)을 구비하여 FPCB(30)와 낱개형 키(11) 사이에 접착되는 수지필름(11a)을 포함할 수 있다.
수지필름(11a)은 낱개형 키(11)들을 미리 정위치(숫자 및 기호 등의 폰트(F)가 각각 부여된 낱개형 키(11)마다의 바른 위치)로 접착시켜 세트화된 키 모듈(10)을 완성시키기 위한 것이고, 수지필름(11a)과 FPCB(30)는 천공구멍(41)을 갖는 양면 접착테이프(40)로서 상호간의 접착을 이루며, FPCB(30)와 패드(20)는 서로 프라이머(50) 접착된다.
도 2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키패드(100)를 나타내는 회로기판(H) 및 돔 스위치(D)를 포함한 단면도이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키패드(100)에 적용된 키 모듈(10)은 폰트(F)가 부여됨과 동시에 홈(G)을 갖는 키탑(12a)/베이스(12b) 일체형 키 세트(12)로 이루어진다.
키탑(12a)과 베이스(12b)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키 세트(12)일 경우 천공구멍(41)을 갖는 양면 접착테이프(40)를 이용하여 FPCB(30)에 직접 접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그 조립공정을 훨씬 더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게 되며, 아울러 FPCB(30)와 패드(20)는 프라이머(50) 접착될 수 있도록 한다.
도 2c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키패드(100)를 나타내는 회로기판(H) 및 돔 스위치(D)를 포함한 단면도이다.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키패드(100)에 적용된 키 모듈(10)은 폰트(F)가 뚫려진 메탈 키 플레이트(13)를 기본으로 하고, 메탈 키 플레이트(13)의 폰트(F)에 충진되면서 홈(G)을 갖는 수지필름(13b)을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더불어 폰트(F)를 구획하기 위한 라인홀(13a)을 메탈 키 플레이트(13)에 구비시킴과 동시에 메탈 키 플레이트(13)의 라인홀(13a)에 끼워지는 라인돌기(13c)를 수지필름(13b)에 형성시켜 조립할 수 있도록 하고, 수지필름(13b)과 FPCB(30)는 천공구멍(41)을 갖는 양면 접착테이프(40)로서 상호 접착시키며, FPCB(30)와 패드(20)는 프라이머(50) 접착되도록 한다.
키 모듈(10)을 메탈 키 플레이트(13)로서 제작할 경우 평탄성를 갖는 금속질 감을 향유할 수 있어 바람직하고, 메탈 키 플레이트(13)의 폰트(F) 또는 라인홀(13a)은 에칭, 펀칭 또는 밀링(Milling) 등으로 부여할 수 있으며, 이 중 라인홀(13a)은 폰트(F) 상호간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고, 더불어 폰트(F)에 수지필름(13b)을 충진시키면서 라인홀(13a)에 라인돌기(13c)가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외부의 이물질이 침착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2d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키패드(100)를 나타내는 회로기판(H) 및 돔 스위치(D)를 포함한 단면도이다.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키패드(100)에 적용된 키 모듈(10)은 폰트(F)가 부여된 금속 증착층(14a)을 갖는 시트(14)를 기본으로 하고, 이 시트(14)에 접착되면서 홈(G)을 갖는 수지필름(14b)을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수지필름(14b)과 FPCB(30)는 천공구멍(41)을 갖는 양면 접착테이프(40)로서 상호간의 접착을 이루고, FPCB(30)와 패드(20)는 프라이머(50) 접착되도록 한다.
금속 증착층(14a)은 진공상태의 밀폐된 공간에서 알루미늄, 은, 니켈, 크롬, 아연과 같은 순수 금속물질을 투입한 후 금속물질의 표면을 전자빔으로 녹여 미세한 증기상태의 금속물질이 시트(14)에 증착되도록 하거나, 알루미늄, 은, 니켈, 크롬, 아연, 스테인레스합금 또는 아연합금 등과 같은 금속물질을 밀폐된 공간에 투입한 후 스퍼터를 이용하여 미세한 분말상태로 시트(14)에 직접 증착되도록 함으로써 제작될 수 있다.
시트(14)에 금속 증착층(14a)을 미량으로 제공할 경우 반투명화할 수 있고, 이와 연동하여 수지필름(14b) 위에 컬러플한 인쇄층을 추가할 경우 고급스런 질감과 미감을 함께 연출할 수 있으며, 금속 증착층(14a)을 에칭하여 폰트(F)를 구현함으로써 그 제작공정의 편리성을 한층 증진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키패드(100)는 폰트(F)에 대향되는 키 모듈(10)의 하면에 LED(L)가 직하방향으로 곧바로 설치되도록 홈(G)을 부여함과 동시에 FPCB(30)를 통하여 LED(L)의 구동전원을 제공하여 폰트(F)와 광원의 거리를 극히 근접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높은 휘도를 갖는 폰트(F)를 구현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서로 다른 컬러를 발광하는 LED(L)를 FPCB(30)에 표면 실장하여 빛의 컬러플(Colorful)한 미감을 통한 휴대단말기의 고급스런 가치를 한층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더불어, FPCB(30)와 패드(20)를 서로 프라이머(50) 접착시켜 상호간의 긴밀한 결합을 이룰 수 있도록 하며, 또한 FPCB(30)와 키 모듈(10) 상호간의 접착은 키 모듈(10)의 홈(G)에 일치하는 천공구멍(41)을 갖는 양면 접착테이프(40)를 이용함으로써 조립 작업상의 편리함을 함께 증진시킬 수 있는 유용함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목적, 구성 및 작용효과를 통하여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은 FPCB(30)에 표면 실장된 LED(L)가 키 모듈(10)의 하면에 형성된 홈(G)에 직하방향으로 곧바로 설치되도록 하여 폰트(F)와 광원의 거리를 극소화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가장 큰 핵심 사상으로 하고, 기타 변화 가능한 공정 및 구성들은 다양한 경우의 수로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변화 가능한 경우의 수를 모두 포함하며 특허청구범위의 해석 또한 이에 준하는 것으로 한다.

Claims (9)

  1. 폰트(F)가 부여된 키 모듈(10)과, 상기 키 모듈(10)을 지지하면서 돌기(21)를 갖는 패드(20)를 포함하는 휴대단말기용 키패드(100)에 있어서,
    상기 폰트(F)에 대향되는 상기 키 모듈(10)의 하면에 각각 형성된 홈(G)과,
    상기 키 모듈(10) 및 패드(20) 사이에 접착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FPCB(30)와,
    상기 FPCB(30)에 표면 실장되어 상기 홈(G)에 각각 삽입되는 LED(L)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키패드(100).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키 모듈(10)은
    상기 폰트(F)가 부여됨과 동시에 상기 홈(G)을 갖는 낱개형 키(11)와,
    상기 홈(G)에 연통되는 구멍(11b)을 구비하여 상기 낱개형 키(11)와 FPCB(30) 사이에 접착되는 수지필름(11a)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키패드(100).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키 모듈(10)은
    상기 폰트(F)가 부여됨과 동시에 상기 홈(G)을 갖는 키탑(12a)/베이스(12b) 일체형 키 세트(1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키패드(100).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키 모듈(10)은
    상기 폰트(F)가 뚫려진 메탈 키 플레이트(13)와,
    상기 폰트(F)에 충진되면서 상기 홈(G)을 갖는 수지필름(13b)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키패드(100).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탈 키 플레이트(13)는 상기 폰트(F)를 구획하는 라인홀(13a)을 구비하고,
    상기 수지필름(13b)은 상기 라인홀(13a)에 끼워지는 라인돌기(13c)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키패드(100).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키 모듈(10)은
    상기 폰트(F)가 부여된 금속 증착층(14a)을 갖는 시트(14)와,
    상기 시트(14)에 접착되면서 상기 홈(G)을 갖는 수지필름(14b)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키패드(100).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키 모듈(10)과 FPCB(30)는 상기 홈(G)에 일치하는 천공구멍(41)을 구비한 양면 접착테이프(40)로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키패드(100).
  8.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FPCB(30)와 패드(20)는 서로 프라이머(50)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키패드(100).
  9.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LED(L)는 서로 다른 컬러를 발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키패드(100).
KR1020050023878A 2005-03-23 2005-03-23 휴대단말기용 키패드 KR1006509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3878A KR100650917B1 (ko) 2005-03-23 2005-03-23 휴대단말기용 키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3878A KR100650917B1 (ko) 2005-03-23 2005-03-23 휴대단말기용 키패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2370A true KR20060102370A (ko) 2006-09-27
KR100650917B1 KR100650917B1 (ko) 2006-11-29

Family

ID=37633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3878A KR100650917B1 (ko) 2005-03-23 2005-03-23 휴대단말기용 키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091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5969B1 (ko) * 2007-03-21 2014-04-17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CN113871228A (zh) * 2021-09-29 2021-12-31 歌尔科技有限公司 按键模组的组装设备
CN113903613A (zh) * 2021-08-30 2022-01-07 苏州宏云智能科技有限公司 灯光按键组件、键盘及电子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2924B1 (ko) * 2009-08-10 2012-01-11 삼본정밀전자(주)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5969B1 (ko) * 2007-03-21 2014-04-17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US8749509B2 (en) 2007-03-21 2014-06-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Touch pad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US9557838B2 (en) 2007-03-21 2017-01-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Touch pad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CN113903613A (zh) * 2021-08-30 2022-01-07 苏州宏云智能科技有限公司 灯光按键组件、键盘及电子设备
CN113903613B (zh) * 2021-08-30 2024-03-12 苏州宏云智能科技有限公司 灯光按键组件、键盘及电子设备
CN113871228A (zh) * 2021-09-29 2021-12-31 歌尔科技有限公司 按键模组的组装设备
CN113871228B (zh) * 2021-09-29 2023-12-01 歌尔科技有限公司 按键模组的组装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0917B1 (ko) 2006-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01118B2 (ja) キーアセンブリ及びこれを備えた携帯端末機
KR200358531Y1 (ko) El 메탈 돔 키패드
US20080084401A1 (en) Input device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same
KR20070089934A (ko) 박형 키 시트 및 해당 박형 키 시트를 조립한 박형 키 유닛
JP2005166609A (ja) キーシートモジュール
KR20070007828A (ko) 보강판 부착 키 유닛
CN101361149A (zh) 按键用部件及其制造方法
JP2012512596A (ja) 光拡散アクチュエータフィルム(ldaf)・キーパッドモジュール
KR100650917B1 (ko) 휴대단말기용 키패드
KR100477080B1 (ko) 안정성과 클릭감이 향상된 el 방식 메탈 돔 키패드
CN215118195U (zh) 一种具有透光图案的电子设备保护壳和电子设备
KR100880412B1 (ko) El 일체형 키패드
KR200438047Y1 (ko) 광원 일체형 도파로 시트
KR100737932B1 (ko) 이엘 램프시트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695520B1 (ko) 금속재질감을 갖는 휴대폰용 이엘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
KR100501402B1 (ko) 휴대단말기용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
KR200426231Y1 (ko) 윈도우 일체형 키패드 및 이를 구비한 무선단말기
KR100472000B1 (ko) 박막형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
JP2005085582A (ja) キーパッド
CN215682362U (zh) 一种通电发光的电子设备保护壳和电子设备
CN101409165A (zh) 键盘组件及具有该键盘组件的便携式电子装置
KR200426230Y1 (ko) 발광 키패드
JP2007194092A (ja) メンブレンシート及びスイッチ装置
KR10092872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
KR100773713B1 (ko) El 소자 및 el 소자를 적용한 el 키패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