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2248A - 방자유기(方字鍮器) - Google Patents

방자유기(方字鍮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2248A
KR20060102248A KR1020050024234A KR20050024234A KR20060102248A KR 20060102248 A KR20060102248 A KR 20060102248A KR 1020050024234 A KR1020050024234 A KR 1020050024234A KR 20050024234 A KR20050024234 A KR 20050024234A KR 20060102248 A KR20060102248 A KR 200601022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organic
weight
heating
art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4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덕
Original Assignee
이종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덕 filed Critical 이종덕
Priority to KR10200500242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02248A/ko
Publication of KR200601022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22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KMAKING FORGED OR PRESSED METAL PRODUCTS, e.g. HORSE-SHOES, RIVETS, BOLTS OR WHEELS
    • B21K23/00Making othe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KMAKING FORGED OR PRESSED METAL PRODUCTS, e.g. HORSE-SHOES, RIVETS, BOLTS OR WHEELS
    • B21K29/00Arrangements for heating or cooling during process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F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AND NON-FERROUS ALLOYS
    • C22F1/00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or alloys by heat treatment or by hot or cold working
    • C22F1/08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or alloys by heat treatment or by hot or cold working of copper or alloys based thereon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8/00Coating for obtaining at least two superposed coatings either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groups C23C2/00 - C23C26/00 or by combinations of methods provided for in subclasses C23C and C25C or C25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자유기(方字鍮器)에 관한 것으로, 구리와 주석의 중량비율을 각각 약 78% 중량과 약 22% 중량으로 하여 약 1300℃에서 용해시켜 합금하는 제1 공정, 상기 합금공정에 의하여 형성된 기물을 가열하여 소정의 두께로 압연하는 제2 공정, 상기 압연공정에 의하여 형성된 판형상의 기물을 제조하고자 하는 유기제품이 갖게 되는 질량이 유지될 수 있는 크기로 절단하는 제3 공정, 상기 절단공정에 의하여 형성된 기물의 연성을 좋게 하기 위하여 상기 기물을 단조하는 제4 공정, 상기 단조공정에 의하여 형성된 기물을 가열하여 완성품 모형에 넣은 후 상기 기물의 내외부를 가압하여 성형하는 제5 공정, 상기 가압공정에서 성형된 기물을 약 600℃에서 가열한 후 급랭(急冷)시키는 제6 공정, 상기 열처리공정에 의하여 변형된 부분의 표면을 편평하게 하기 위하여 상온에서 압착 성형하는 제7 공정 및 상기 제7 공정에 의하여 성형된 기물의 표면이 침식되거나 산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기물의 표면 전체 또는 일부에 대하여 소정의 두께로 금속이나 세라믹을 도포시키는 제8 공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자유기(方字鍮器)의 제조방법과 위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기물을 인체에 착용하여 상기 인체와 접촉될 수 있도록 그 일부가 단절된 고리형상의 구조를 갖는 다양한 방자유기(方字鍮器)의 제품들을 제공한다.
방자유기(方字鍮器), 방자팔찌, 도포층, 돌출부

Description

방자유기(方字鍮器){Bangjja Bronzeware}
도 1은 종래의 전통기법에 의한 방자유기 제조방법에 관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자유기 제조방법에 관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자팔찌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자팔찌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0: 팔찌 11: 도포층
12: 돌출부
본 발명은 방자유기(方字鍮器)의 제조방법과 위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방자유기(方字鍮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현대식 기계들을 통하여 제조공정수를 줄이고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며 제품의 침식 및 산화를 막기 위한 방자유기의 현대식 제조기법과 위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기물을 인체에 접촉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방자유기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에는 세계적으로 특이한 놋쇠라는 금속이 있다. 이 놋쇠로 식기를 비롯하여 촛대, 향로, 소반, 대야, 악기, 불구(佛具) 등 다양한 일상 생활용품이나 기구를 만들어 써왔다. 놋쇠로 만든 이러한 제품들을 통틀어 '유기 제품'이라고 한다.
동(銅)과 건강에 대한 연관관계를 찾는 연구가 현재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데, 놋쇠가 살균작용과 전자파의 차단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방자유기의 경우 다른 유기제품과 달리 이러한 특성들이 보다 더 우수하며, 특히 방자유기는 옛부터 인체의 질병을 막는데 유용한 기능을 발휘하였다. 지금까지 밝혀진 바에 의하면 이는 놋쇠가 경혈을 자극하여 혈액순환 등을 돕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져있다.
일반적으로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유기의 제작방법은 크게 주물 유기법, 방자 유기법(方字鍮器法) 및 궁그름 옥성기법의 세 가지로 분류된다.
주물 유기법은 불에 녹인 쇳물을 일정한 틀에 부어서 만들어 내는 방법으로서, 동일 규격의 제품을 다량으로 생산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단조가 불가능하여 주물유기는 불에 달구어 두드리면 늘어나지 않을뿐더러 오히려 갈라지거나 깨지고 만다.
방자 유기법(方字鍮器法)이란 구리와 주석을 일정 비율로 합금한 우리나라 특유의 금속기법이다. 주물유기와는 달리 정확히 합금된 놋쇠를 불에 달구어 메질(망치질)을 되풀이해서 얇게 늘여가며 형태를 잡아가는 기법이다. 이런 기법으로 만들어진 방자유기는 잘 깨지지 않으며 비교적 변색이 잘 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쓸수록 윤기가 나는 장점이 있다. 특히 성형할 때 두드린 메(망치) 자국, 즉 울퉁 불퉁한 자국은 수공예품으로서 은근한 멋과 품위를 풍겨 그 격이 한층 더하는 장점이 있다.
궁그름 옥성 기법은 흔히 반방자라고 불리는 것으로서, 주물 유기기법으로 그릇을 U자 모양으로 만든 다음 여러 차례 불에 달구어 가면서 오목하게 패어진 곱돌 위에 놓고 궁그름대라는 공구로 옥은(오무라든) 부분을 방자식으로 늘여가면서 만드는 방법이다. 결국 궁그름 옥성기법이란 주조기법과 방자 기법을 절충한 방법이라 할 수 있다. 궁그름이란 공구의 이름이며 옥성기란 그릇의 윗부분이 옥은 모양의 그릇이라는 뜻이다. 따라서, 이는 오목한 형태의 식기를 만들 때만이 유용한 기법이다.
도 1은 종래의 전통기법에 의한 방자유기 제조방법에 관한 흐름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대로, 수공에 의한 방자유기 제조에 관한 전통적인 기법을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첫번째 공정인 합금공정(101)에서는 원재료인 동과 주석을 계량하여 도가니에 넣고 합금용해한다. 그런 다음, 용해된 쇳물은 이를 퍼내어 제조하고자 하는 제품 종류의 크기에 따른 중량에 맞추어 물판에 부음으로써 제품의 기초 성형재료인 기물(일명 "바둑"이라 칭함)을 만든다.
두번째 공정으로서 땜질공정(103)을 하게 되는데, 상기 기물에 깨진 부분이나 구멍이 난 부분에 기물과 동시에 땜쇠를 달구어 구멍 등을 메운다. 구멍이 때워지는 순간에는 땜 부위에 신속히 물을 뿌려 과열로 오히려 더 갈라지거나 더 녹지 않도록 주의하며 땜질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세번째 공정으로서 네핌질공정(105)을 하게 되는데, 화덕(일명 "소탕"이라 칭함) 위에서 상기 바둑을 달궈 망치로 쳐 늘리는 작업으로서 여러번 반복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네핌질로 인해 테두리가 불규칙하고 갈라지게 되므로, 협도질로서 완제품의 무게를 감안하여 진원(眞圓)으로 다시 잘라내야만 한다.
네번째 공정으로서 우김질공정(107)이 있는데, 이는 만들고자 하는 형태의 원형을 만드는 작업으로서 원재료인 바둑 여러 장을 한 가운데에 겹친 다음 메로 쳐 늘리면서 바둑을 붙이는 공정이다. 통상적으로 바둑 10개 정도를 적층시키게 되며, 이를 한 짝이라고 한다. 이 때 바둑은 위로 갈수록 무게가 가벼운 것을 위치시키며, 겹쳐진 상태의 바둑 한 짝을 잘 달구어 모루 위에 올려놓고 그 크기를 완제품 형태가 만들어질 때까지 메질을 하게 된다.
다섯번째 공정으로서 냄질공정(109)은 상기 우김질로 U자 모양으로 겹쳐진 재료를 불에 달궈 ‘뒤조이’라는 공구를 사용하여 하나씩 분리하여 떼어놓는 작업을 말한다. 이 때, 분리된 낱개 하나하나를 ‘우개리’라고 하며, 냄질이 끝난 우개리는 그 높이가 일정치 않으므로 다시 협도질을 하여 높이를 맞춰야만 한다.
여섯번째 공정은 닥침질공정(111)으로서, 우개리를 한 개씩 불에 잘 달구어 닥침 메로 쳐서 완제품 모양에 가까운 형태의 넓이와 높이로 조절하면서 작업을 하게 된다. 이 때 우개리는 그 두께가 얇아 그 끝이 쉽게 터지거나 깨질 수 있으므로 작업 중 수시로 불에 달구어야만 한다. 특히, 단순히 위에서 아래로 내려치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며, 닥침질을 하는 사람 전원이 일시에 동일한 동작으로 닥침 메를 내리치는 동시에 자기 몸쪽으로 당기면서 쳐 늘려야 한다.
일곱번째 공정으로서 제질공정(113)을 하게 되는데, 이는 '간수(MgCl2)'를 우개리 각각에 바른 다음 우개리를 소탕 위에 올려놓고, 우개리를 집게로 들어올려 부분적으로 달군 다음, 달구어진 부위를 제질 메로 쳐서 고른 형태로 만드는 마무리 작업을 말한다. 본 공정은 여러 번 반복해서 완제품에 가까운 형태가 될 때까지 수행하게 된다.
여덟번째 공정으로서 담금질공정(115)을 하여야 하는데, 이는 제질작업으로 완제품 형태가 만들어지면 우개리를 다시 전체적으로 고루 달군 다음 제품 전체를 찬물에 집어 넣게 된다.
아홉번째 공정으로서 벼름질공정(117)이 있는데, 이는 담금질로 기물의 형태가 꼬이거나 비틀어져 변형된 것을 바로 잡기 위한 것으로서, 변형된 부분을 모루 위에 올려놓고 벼름질 메로 쳐서 잘 다듬어 표면은 편평하게 하고 형태는 진원으로 만드는 것이다.
마지막 공정으로 가질공정(119)이 있는데, 이는 벼름질이 끝난 후 형성된 산화피막이나 흠집 등을 제거하여 놋쇠 특유의 색이 나오도록 표면 전체 또는 그 일부를 깎아내는 작업을 말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방자 제조의 전통적인 기법은 제품의 우수성에 비추어 그 공정은 매우 많은 단계를 거치고 작업을 수행하는 것 자체가 용이하지 않아 대량 생산이 현실적으로 어려웠다. 즉, 유기 중 최상품으로 인정을 받아온 방자기법에 의해 제조된 놋쇠는 대량생산이 가능한 주물유기와 달리 수공에 의하여 낱개로 생 산될 수 밖에 없는 단점으로 인해 주물유기를 방자유기로 속여 소비자들에 판매되는 폐단까지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어서 전통 방자유기의 보호가 시급한 문제로 되었다. 그리고, 종래의 방자유기를 포함하여 여러 놋쇠제품들은 공기 중에서 쉽게 침식되거나 산화되어 놋쇠 고유의 광택을 잃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실용신안 공개번호 제96-33322호에 제안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혈액속에 철분이 포함되어 있다는 사실에 기인하여 혈액순환을 촉진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손목에 착탈되는 C형 팔찌의 일단에 자성물체를 도포 내지 물리적으로 결합시킨 형태의 자석팔찌가 소개되었다. 그러나 혈액속의 철분성분은 사람마다 철분함량이 다르므로 이러한 자석팔찌가 착용한 모든사람에게 혈액순환을 촉진시켜주는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것은 아니다. 또한, 현대인은 휴대폰이나 크레디트카드 등 자성체에 약한 여러가지 장비를 착용하거나 몸 한쪽에 보관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에 제안된 자석팔찌등과 같이 자성체를 띈 물체가 근처에 있게되면 상기 유용한 현대인의 필수품의 기능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거나 혹은 자성체의 자기장에 영향을 받아 영원히 그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 밖에도, 방자유기가 인체에 미치는 이로운 점을 활용할 수 있는 적절한 수단이 마련되지 않아 제대로 검증되지 않은 건강용 장신구들이 소비자를 현혹시켜 경제적으로나 신체적으로 해를 끼치는 문제점이 초래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현대식 기계들을 이용하여 공정수를 줄이고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함 과 동시에 놋쇠가 가진 단점들을 극복할 수 있는 방자유기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방자유기가 인체에 이로운 점을 활용하기 위하여 인체에 용이하게 접촉될 수 있도록 착용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방자유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체에 해로운 전자파를 유도하지 않으며 몸에부착된 다른 유용한 통신장비나 크레디트카드 등 자성에 약한 제품에 영향을 주지 않는 방자건강팔찌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자유기의 제조방법은, 구리와 주석의 중량비율을 각각 약 78%중량과 약 22%중량으로 하여 약 1300℃에서 용해시켜 합금하는 제1 공정; 상기 합금공정에 의하여 형성된 기물을 가열하여 소정의 두께로 압연하는 제2 공정; 상기 압연공정에 의하여 형성된 판형상의 기물을 제조하고자 하는 유기제품이 갖게 되는 질량이 유지될 수 있는 크기로 절단하는 제3 공정; 상기 절단공정에 의하여 형성된 기물의 연성을 좋게 하기 위하여 상기 기물을 단조하는 제4 공정; 상기 단조공정에 의하여 형성된 기물을 가열하여 완성품 모형에 넣은 후 상기 기물의 내외부를 가압하여 성형하는 제5 공정; 상기 가압공정에서 성형된 기물을 약 600℃에서 가열한 후 급랭(急冷)시키는 제6 공정; 상기 열처리공정에 의하여 변형된 부분의 표면을 편평하게 하기 위하여 상온에서 압착 성형하는 제7 공정; 상기 제7 공정에 의하여 성형된 기물의 표면이 침식되거나 산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기물의 표면 전체 또는 일부에 대하여 소정의 두께로 금속이나 세라믹을 도포시키는 제8 공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7 공정에 의하여 형성된 산화피막 또는 흠집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기물의 전체 또는 일부를 연마하는 공정이 상기 제7 공정과 상기 제8 공정 사이에 더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8 공정은 상기 금속 또는 세라믹을 도포하는 대신 유동체로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자유기는 구리와 주석의 중량비율을 각각 약 78%중량과 약 22%중량으로 하여 약 1300℃에서 용해시켜 합금하는 제1 공정; 상기 합금공정에 의하여 형성된 기물을 가열하여 소정의 두께로 압연하는 제2 공정; 상기 압연공정에 의하여 형성된 판형상의 기물을 제조하고자 하는 유기제품이 갖게 되는 질량이 유지될 수 있는 크기로 절단하는 제3 공정; 상기 절단공정에 의하여 형성된 기물의 연성을 좋게 하기 위하여 상기 기물을 단조하는 제4 공정; 상기 단조공정에 의하여 형성된 기물을 가열하여 완성품 모형에 넣은 후 상기 기물의 내외부를 가압하여 성형하는 제5 공정; 상기 가압공정에서 성형된 기물을 약 600℃에서 가열한 후 급랭(急冷)시키는 제6 공정; 상기 열처리공정에 의하여 변형된 부분의 표면을 편평하게 하기 위하여 상온에서 압착 성형하는 제7 공정; 상기 제7 공정에 의하여 성형된 기물의 표면이 침식되거나 산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기물의 표면 전체 또는 일부에 대하여 소정의 두께로 금속이나 세라믹을 도포시키는 제8 공정으로 제조된 기물을 인체에 착 용하여 상기 인체와 접촉될 수 있도록 그 일부가 단절된 고리형상의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포 부분은 인체와 접촉하는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리의 양단에는 구형의 돌출부가 각각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자유기의 제조방법의 구성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자유기 제조방법에 관한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대적 기법에 의한 방자유기의 제조방법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합금공정(201)
본래 방자(方字)란 일정한 비율의 구리와 주석의 합금을 일컷는 말이며, 방자유기(方字鍮器)란 이 놋쇠로 두들겨 만든 놋 제품을 총칭한다. 한자어로는 양대납청성기(良大納淸成器)라고 하며 일반적으로는 '방짜'라고 발음한다. 그러나 전통적으로 구리 한 근에 주석 넉냥 닷돈을 정확하게 넣어야 질 좋은 놋쇠가 나온다 고 하였으나, 이는 정확하지 않고 오랜 경험과 실험으로 측정해본 결과 방자의 특성을 가장 잘 나타낼 수 있는 합금의 비율은 78%중량의 구리와 22%중량의 주석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상기의 비율로 구리와 주석을 1300℃ 내외에서 용해시켜 기초 성형재료를 만든다. 한편, 구리와 주석을 용해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전기로가 있으나 쇳물의 정확한 온도 파악이 곤란하고, 크기가 다양한 각종 소재를 만드는 데 불편함이 있어 용해로에 관해서는 여전히 전통 재래식 방법을 이용함이 바람직하다. 다만, 전통방식의 연료인 화목이나 숯 대신 석유나 경유를 사용하는 것이 작업시간을 단축시키고 작업 수행을 보다 더 용이하게 해줄 수가 있다.
압연공정(203)
전통기법에서의 땜질은 효율성이 떨어져 제품의 크기가 커서 재작업이 어렵다거나 단일 제품으로 작품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를 수행할 필요 없이 곧바로 압연공정을 진행한다. 즉, 상기 합금공정에서 형성된 기물을 달구어 압연 로울러에서 일정한 두께로 압연시킨다. 놋쇠의 연신율(延伸律)을 감안하여 압연은 한 번에 하지 않고 3~4차례로 나누어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방자의 연성을 무시한 채 과하게 압연할 경우 구리에 포함된 주석이 한 쪽 방향으로 배열되어 방자소재가 갖추어야 할 물리적 성질이 떨어지게 되기 때문이다.
절단공정(205)
상기 압연공정에 의하여 압연된 판 형상의 기물을 완성하고자 하는 제품의 크기에 맞게 프레스나 원형절단기를 이용하여 절단한다.
단조공정(207)
징, 꽹과리, 제금 바라, 좌종 등은 단조기(에어해머)로 전통방법을 살려 제작할 필요가 있지만, 그 외의 제품들은 제품의 크기에 맞게 절단된 판을 성형기인 수동 선반(훼라 시보리기)에 소재를 걸어 놓고 유류나 LPG로 달구어 스틱 훼라로 압착시킨다. 이는 놋쇠의 연성을 좋게 하기 위한 것인데, 전통적인 방법으로 기물을 메로 쳐서 작업하게 되면 하루에 몇 개 정도 밖에 만들 수 없지만, 위와 같은 압연으로 작업을 수행할 경우 수십 배의 생산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프레스 성형공정(209)
전통기법에서의 냄질은 이전 공정에서 소재가 서로 눌러 붙는 등의 상황에서만 예외적으로 필요하며, 닥침질 또한 대형 기물이나 악기류 등의 제품에만 필요할 뿐 형태가 이미 갖춰진 틀에 대고 눌러서 제작하는 공정이므로 생략하여도 무방하므로 곧바로 성형공정을 진행하면 된다. 즉, 프레스 성형공정은 제작된 기물들을 다시 불에 달구어 완성품 모형에 넣고 내부나 외부를 기계나 기타 다른 도구로 가압하여 형태를 완성한다. 특히, 스피닝기(성형기)로 제작하게 되면 완성품 형태의 틀에 소재의 판을 대고 고정시킨 다음 불에 달구어 압착하여 만들고자 하는 형태를 간단히 완성시킬 수가 있다.
열처리공정(211)
놋쇠를 무르게 하는 성질로 인해 제질 및 가질작업을 용이하게 해주고, 특히 절삭성을 좋게 해주기 위하여 크기와 형태가 완성된 기물을 바닷물과 비슷한 염도의 소금물에 기물 전체를 담가 소금물을 소재의 표면에 잘 흡착시킨 후 소금물이 마르면 기물을 600℃ 정도로 불에 골고루 달군 다음 차가운 물에 급랭시킨다. 상 기 열처리공정은 방자유기 제작과정에 있어 필수적 공정에 해당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즉, 이러한 열처리를 하여야만 경도와 인성이 낮게 하여 제품의 질을 연하게 만들어 기물이 잘 깨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압착 성형공정(213)
열처리를 마친 소재는 반드시 변형이 수반되기 마련이므로 불량품의 양산을 막기 위하여 반드시 기물을 압착시키는 공정이 수반되어야 한다. 열처리 직후에는 소재의 재질이 연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소재가 강해져 변형을 바로잡기가 힘들므로 본 공정은 열처리 후 곧바로 이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상기 열처리공정으로 재료에 강한 성질을 부여해 놓았으므로 본 공정은 불에 달구지 않고 상온에서 작업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포공정(215)
놋쇠는 다른 금속과 비교하여 공기 중에서, 특히 일산화탄소나 습기에 표면이 산화되기 쉬우며, 또한 재질의 특성상 외부의 영향으로 표면이 쉽게 침식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방자유기의 경우 그 제품의 표면에 대한 보호의 필요성이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약 0.03 ~ 0.5mm 정도의 두께로 세라믹코팅을 하고, 상기 세라믹이 완성물에 보다 완전하게 흡착되도록 고열의 가마에 넣고 가열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방자유기 고유의 성질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세라믹을 이용해 파스텔 톤의 매우 다양한 색들을 표현할 수 있어 외관상으로도 매우 화려하고 아름다운 유기제품을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표면의 마모 등을 막고 방자유기의 고유의 광택의 유지는 물론 다양한 색상의 표현이 가능한 천연수지나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표면 전체 또는 일부에 대하여 도포작업을 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고 할 것이다.
한편, 기물의 표면에 형성된 산화피막이나 흠질들을 제거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도포작업 전단계로서 상기 압착 성형공정 후에 상기 기물의 표면을 깍아내는 연마공정을 수행하면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위에서 상술한 방자유기의 현대적 기법에 의해 제조된 것으로서 인체에 용이하게 착용될 수 있는 방자유기의 구성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방자유기의 인체에 유익한 성질을 통해 건강을 유지하기 위하여 방자기법으로 제작된 유기를 신체에 직접 접촉시키는 수단으로서 목걸이, 팔찌, 발찌나 반지 등과 같은 수단들을 적절히 이용할 수가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방자팔찌의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체로부터 착탈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고리의 형상 중 그 일부를 단절시켰다. 신체와 마찰이 많은 부분에 대해서는 상기 도포공정에서, 특히 유동체를 도포공정의 소재로 사용하는 경우 도포층(311)이 닳아 없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기타 외부로부터 눈에 잘 띠는 부분만 소정의 소재로 도포시킴으로써 외관미를 유지하고 방자유기 제품의 기능성을 더욱 높일 수가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방자팔찌는 자성체가 전혀 포함되어 있지 않아 손목에 착용시 외부로부터 전자파를 유도하지 않음은 물론, 몸측에 부착되어 있거나 방자팔찌에 근접하여 놓여진 휴대폰이나 크레디트카드 등 자성에 영향을 받는 현대인의 필수품에 어떠한 영향도 주 지 않는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자팔찌의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체로부터 착탈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고리의 형상 중 그 일부를 단절시킨것과 신체와 마찰이 많은 부분에 대해서는 상기 도포공정에서, 특히 유동체를 도포공정의 소재로 사용하는 경우 도포층(411)이 닳아 없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기타 외부로부터 눈에 잘 띠는 부분만 소정의 소재로 도포시킨것은 도 3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팔찌(410)의 양단에 돌출부(412)를 형성시킴으로써 자석이나 옥, 티타늄, 토르마린, 게르마늄 등과 같은 물질을 상기 돌출부(412) 내부에 내장시켜 인체 내부에 전하를 유도하는 기능도 아울러 가질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형태의 방자팔찌는 방자고유의 특성으로 경혈을 자극하여 혈액의 순환을 돕는 동시에 혈액속에 철분함량이 많은 이용자에게는 자성의 성질을 이용하여 혈액순환을 돕게 되므로 이중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자유기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작업 공정의 단계를 줄이고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유기 제품의 침식 및 산화를 막아 제품의 표면을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상기 기법에 의하여 제조된 방자유기를 인체에 용이하게 착용하여 인체에 직접 접촉시킴으로써 방자유기가 갖는 인체에 유익한 특성들을 그대로 얻을 수 있게 해준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방자유기는 경혈을 자극하여 혈액의 원활한 순환을 도와 이와 관련된 인류의 질병을 예방 또는 치료해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이는 단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과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 내에 속하는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할 것이라고 여겨진다.

Claims (6)

  1. 방자유기(方字鍮器)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구리와 주석의 중량비율을 각각 약 78%중량과 약 22%중량으로 하여 약 1300℃에서 용해시켜 합금하는 제1 공정;
    상기 합금공정에 의하여 형성된 기물을 가열하여 소정의 두께로 압연하는 제2 공정;
    상기 압연공정에 의하여 형성된 판형상의 기물을 제조하고자 하는 유기제품이 갖게 되는 질량이 유지될 수 있는 크기로 절단하는 제3 공정;
    상기 절단공정에 의하여 형성된 기물의 연성을 좋게 하기 위하여 상기 기물을 단조하는 제4 공정;
    상기 단조공정에 의하여 형성된 기물을 가열하여 완성품 모형에 넣은 후 상기 기물의 내외부를 가압하여 성형하는 제5 공정;
    상기 가압공정에서 성형된 기물을 약 600℃에서 가열한 후 급랭(急冷)시키는 제6 공정;
    상기 열처리공정에 의하여 변형된 부분의 표면을 편평하게 하기 위하여 상온에서 압착 성형하는 제7 공정;
    상기 제7 공정에 의하여 성형된 기물의 표면이 침식되거나 산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기물의 표면 전체 또는 일부에 대하여 소정의 두께로 금속이나 세라믹을 도포시키는 제8 공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자유기(方字鍮 器)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7 공정에 의하여 형성된 산화피막 또는 흠집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기물의 전체 또는 일부를 연마하는 공정이 상기 제7 공정과 상기 제8 공정 사이에 더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자유기(方字鍮器)의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8 공정은 상기 금속 또는 세라믹을 도포하는 대신 유동체로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자유기(方字鍮器)의 제조방법.
  4. 구리와 주석의 중량비율을 각각 약 78%중량과 약 22%중량으로 하여 약 1300℃로 용해시켜 합금한것으로 표면자체 또는 일부에 대하여 소정의 두께로 금속이나 세라믹으로 도포한 부분을 가지며 손목에 착탈되는 C자형 몸체와 상기몸체 양 끝에 환형돌출부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자팔찌.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 부분은 인체와 접촉하는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자팔찌.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돌출부에는 자석, 옥, 티타늄, 토르마린, 게르마늄 중 적어도 하나의 물질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자팔찌.
KR1020050024234A 2005-03-23 2005-03-23 방자유기(方字鍮器) KR200601022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4234A KR20060102248A (ko) 2005-03-23 2005-03-23 방자유기(方字鍮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4234A KR20060102248A (ko) 2005-03-23 2005-03-23 방자유기(方字鍮器)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7946U Division KR200386175Y1 (ko) 2005-03-23 2005-03-23 방자유기(方字鍮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2248A true KR20060102248A (ko) 2006-09-27

Family

ID=37633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4234A KR20060102248A (ko) 2005-03-23 2005-03-23 방자유기(方字鍮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02248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8610B1 (ko) * 2010-05-20 2012-03-13 이경동 옻을 이용한 유기제품의 칼라문양 형성방법 및 이에 의한 칼라문양을 형성한 유기제품
KR101118902B1 (ko) * 2010-05-06 2012-03-20 노인호 부식이 방지되는 방짜의 제조방법
KR101404052B1 (ko) * 2013-03-05 2014-06-10 이상민 싱크대 배수구 유기거름망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03547A (ko) 2018-07-02 2020-01-10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연신율이 우수한 유기 주조재 제조 방법
KR20210089925A (ko) * 2020-01-09 2021-07-19 박영자 내주면을 가공한 유기그릇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8902B1 (ko) * 2010-05-06 2012-03-20 노인호 부식이 방지되는 방짜의 제조방법
KR101118610B1 (ko) * 2010-05-20 2012-03-13 이경동 옻을 이용한 유기제품의 칼라문양 형성방법 및 이에 의한 칼라문양을 형성한 유기제품
KR101404052B1 (ko) * 2013-03-05 2014-06-10 이상민 싱크대 배수구 유기거름망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03547A (ko) 2018-07-02 2020-01-10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연신율이 우수한 유기 주조재 제조 방법
KR20210089925A (ko) * 2020-01-09 2021-07-19 박영자 내주면을 가공한 유기그릇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aryon Metalwork and enamelling
WO1997037049A1 (fr) Alliage de titane a haute resistance, produits issus de cet alliage et procede de fabrication
CN101736177A (zh) 一种18k金弹金手镯材料配方及18k金弹金手镯的制备工艺
KR101296779B1 (ko) 청동 칼 및 그 제조방법
CN102057067A (zh) 贵金属合金物品的生产方法
WO2008047232A2 (en) White precious metal alloy
KR20060102248A (ko) 방자유기(方字鍮器)
US20120304694A1 (en) Methods for producing a design in a sintered product
KR200386175Y1 (ko) 방자유기(方字鍮器)
Armbruster Gold technology of the ancient Scythians–gold from the kurgan Arzhan 2, Tuva
JP3376240B2 (ja) 高強度チタン合金およびその製品並びに該製品の製造方法
CN105511252A (zh) 一种在手表表圈上包金的方法及手表表圈
KR102115089B1 (ko) 특수 제작된 방짜유기를 이용한 섹소폰 마우스피스 제조 방법 및 마우스 피스
JP3653089B1 (ja) 銀合金製品と装身具および銀合金製品の製造方法
JP4191719B2 (ja) 機能性貴金属製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8660333A (zh) 一种耐腐蚀不含银14k玫瑰金及其加工工艺
JP2007195808A (ja) 装身具用銀合金及びこれを用いた装身具
CN101994029B (zh) 一种制作首饰的合金材料与制作首饰方法
JP3122677U (ja) こすり傷,当たり傷,掻き傷の生じないブレスレット等の身飾品
CN108728685A (zh) 首饰用耐摩擦高强度具备玫瑰金色泽14k玫瑰银合金
Esguerra Philippine gold working techniques
JP6590559B2 (ja) 時計又は装飾物の外装部品用のチタン−マンガン合金、時計又は装飾物の外装部品、及び腕時計バンド
KR200378688Y1 (ko) 귀금속 장신구
CN106636721A (zh) 黄金合金
CN105087996A (zh) 一种用于烧制高温透明珐琅的黄色金合金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