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1042A - 무전 통신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의 통신 수행 방법 - Google Patents

무전 통신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의 통신 수행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1042A
KR20060101042A KR1020050022870A KR20050022870A KR20060101042A KR 20060101042 A KR20060101042 A KR 20060101042A KR 1020050022870 A KR1020050022870 A KR 1020050022870A KR 20050022870 A KR20050022870 A KR 20050022870A KR 20060101042 A KR20060101042 A KR 200601010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o
radio channel
paging
communication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28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03505B1 (ko
Inventor
백종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228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3505B1/ko
Priority to US11/384,849 priority patent/US7532903B2/en
Publication of KR20060101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10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35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35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8Trunked mobile radi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30Resource management for broadcast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04W4/10Push-to-Talk [PTT] or Push-On-Call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40Connection management for selective distribution or broadcast
    • H04W76/45Connection management for selective distribution or broadcast for Push-to-Talk [PTT] or Push-to-Talk over cellular [PoC]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전 통신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이 통화중이거나 무전 통신 중에도 다른 무전 통신 채널이나 이동 통신 페이징 채널을 주기적으로 검색하여, 채널 인증 코드를 가지는 무전 페이징 신호가 수신되거나 호가 착신되면 이를 사용자에게 알려, 사용자 선택에 따라 다른 무전 통신을 수행하거나 통화 연결하여 이동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다수의 무전 채널 또는 이동 통신 채널 관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으며, 불특정 다수의 무선 신호중 특정 무전 채널 인증 코드를 포함하는 무전 신호만을 수신하여 처리함으로써, 이동 통신 단말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무전 통신, 페이징 주기, 무전 채널 인증 코드

Description

무전 통신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의 통신 수행 방법{COMMUNICATION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PERFORMING TRS }
도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 구성도,
도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 통신 단말의 구성도,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의 통신 모드를 설정하는 과정에 따른 동작 흐름도,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무전/이동 통신 공용 모드하에서 통화중인 경우 이동 통신 단말의 동작 흐름도,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무전/이동 통신 공용 모드하에서 호착신이된 경우 이동 통신 단말의 동작 흐름도,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무전/이동 통신 공용 모드하에서 무전 통신 중인 경우 이동 통신 단말의 동작 흐름도,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무전 통신 전용 모드하에서 이동 통신 단말의 동작 흐름도,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이징 주기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무전 통신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 통신과 무전 통신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전 통신은 특정 채널을 계속적으로 열어서 불특정 다수를 호출함을 특징으로 한다. 즉, 여러 채널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선택된 각 채널에 대해서 불특정 다수를 호출하는 방식이다. 일예로, TRS(Trunked Radio System)등을 들 수 있다. 따라서 이동 통신 단말에서 무전 통신을 구현하여 위해서는 이동 통신 채널을 잡고 있는 상황에서 무전 통신 채널을 항상 연결하여 수신되는 불특정 다수의 신호에 응답하도록 해야 한다. 때문에 무전 통신에서의 다른 채널 사용시 비효율성과 무전 통신 채널 검색에 따른 전력 낭비가 발생한다. 또한 무전 통신 채널을 고정했더라도 불특정 다수의 메시지에 대해서 모두 처리해야 하는 비효율성이 대두된다. 전력낭비는 이동 통신 단말 사용에 아주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따라서 이동 통신과 무전 통신 간에 효율적으로 채널을 검색하고 무전 통신 단일 모드에서도 다른 채널을 효율적으로 검색 관리함으로써 전력 낭비를 막을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종래의 무전 통신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이 무전 통신 모드로 들어가기 위해서 모드를 변경하고 채널을 사용자가 수동적으로 변경하여야 한다. 채널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사용자끼리 미리 채널을 정하고 무전 통신 채널을 설정 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여러 그룹이 지정되어 복수의 채널과 무전 통신하기 위해서는 모든 그룹과 통신하는 것이 아니라 지정된 그룹만을 선택하여 채널을 고정함으로써 불편함을 유발한다. 또한 동일 무전 채널 내에서도 원하지 않는 불특정 사람의 호출에 대해서 응답해야 하는 불편함이 유발된다. 동일한 무전 채널을 사용하는 모든 사용자가 동일지역에서 불특정 다수로부터 간섭을 받는 문제점을 야기한다.
사용자가 여러 그룹과 통신하기 위하여 여러 무전 채널을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있지만, 사용자는 원하는 그룹과 통신하기 위하여 해당 무전 채널을 고정해야 한다는 불편함이 생기게 된다. 또한 그 무전 채널에서 다른 그룹과 통신하기 위해서 채널을 변경하여 지금 통신하고 있는 무전 채널과는 연계성을 가질 수 없다. 또한 동일한 무전 채널을 사용하는 모든 사용자가 동일지역에서 계속적인 불특정 다수의 호출을 받게 됨으로써 배터리 전력 낭비가 많이 생겨 이동 통신 단말의 기능을 못하는 경우가 많다.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채널과 다수의 무전 채널을 효율적으로 검색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의 전력 소비를 감소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필요한 무전 신호만을 수신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미리 설정된 페이징 주기에 따라 현재 시점이 임의의 무전 채널의 페이징 수신 시점이면, 상기 임의의 무전 채널과 연결하여 상기 임의의 무전 채널과 대응되어 미리 설정된 무전 채널 인증 코드를 포함하는 페이징 신호를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무전 채널 인증 코드를 포함하는 페이징 신호가 검출되면 상기 임의의 무전 채널과 연결하여 무전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을 더 가짐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미리 설정된 페이징 주기에 따라 현재 시점이 임의의 무전 채널의 페이징 수신 시점이고 통화중 이라면 상기 무전 채널 페이징 수신 간격 동안만 통화 대기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임의의 무전 채널과 연결하여 상기 임의의 무전 채널과 대응되어 미리 설정된 무전 채널 인증 코드를 포함하는 페이징 신호를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무전 채널 인증 코드를 포함하는 페이징 신호가 검출되면 사용자에게 무전 신호가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과정과, 사용자로부터 무전 통신 전환 요구가 있으면 통화 대기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무전 채널과 연결하여 무전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 및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도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 구성을 살펴본다. 도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은 이동 통신망(20)과, 무전 통신망(30)과, 다수의 무전 통신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1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동 통신망(20)과 무전 통신망(30)은 연동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10)로 이동 통신 과 무전 통신을 서비스 한다.
상기 무전 통신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10)의 구성을 도2에 도시하였다. 도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 통신 단말의 구성도이다. 도2를 참조하여, 이동 통신 단말(10)은 제어부(11), 메모리부(13), 디스플레이장치(15), 키입력부(17), 무선부(19), 음성처리부(2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메모리부(13)는 제어부(11)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참조 데이터, 갱신 가능한 각종 보관용 데이터 등을 저장하며, 제어부(11)의 워킹 메모리(working memory)로 제공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5)는 각종 화상 정보와 통신망으로부터 수신 또는 메모리부(13)에 저장되어 있는 화상을 제어부(11)의 제어에 의해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키 입력부(17)는 0 ~ 9의 숫자 키들과, *, #키, 그리고 이동 통신 단말이 구비하는 여러 가지 기능에 대응되게 메뉴(menu), 선택, 통화, 지움, 전원/종료, 볼륨(volume), 촬영 등 다수 기능 키들을 구비하며 사용자가 누르는 키에 대응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제어부(11)에 제공한다. 상기 무선부(21)는 안테나를 통해 이동 통신망(20)과 무전 통신망(30)과 송,수신하며, 제어부(11)로부터 입력되는 송신할 신호를 변조하여 RF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신호를 복조하여 제어부(11)에 제공한다. 제어부(11)와 연결된 상기 음성처리부(23)와, 음성처리부(23)에 접속된 마이크(MIC) 및 스피커(SPK)는 전화 통화 및 음성 녹음에 사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무전 통신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10)은 본 발명에 따라 무전/이동 통신 공용 모드, 무전 통신 전용 모드, 이동 통신 전용 모드 중 하나의 모드로 동작한다. 상기 무전/이동 통신 공용 모드는 무전 통신과 이동 통신을 같이 수행할 수 있는 동작 모드이고, 상기 무전 통신 전용 모드는 무전 통신만을 수행하는 동작 모드이며, 상기 이동 통신 전용 모드는 일반적인 이동 통신을 수행하는 동작 모드이다.
상기 무전/이동 통신 공용 모드가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이동 통신 단말(10)은 미리 설정된 페이징 주기에 따라 이동 통신 페이징 채널과 다수의 무전 채널을 검색하여 특정 페이징 신호가 검출되면, 해당 페이징 신호가 검출된 채널과 연결하여 통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무전 통신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10)은 미리 정해진 무전 채널 인증 코드를 포함하는 무전 통신 페이징 신호만가 검출될 시에만 무전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무전 채널 인증 코드란 임의의 무전 채널을 통해 서로 무전 통신을 하고자하는 다수의 이동 통신 단말로 이루어지는 각각의 무전 통신 그룹 마다 할당되는 인증 코드이다. 상기 무전 채널 인증 코드는 이동 통신 단말(10)에 무전 채널 설정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어, 각 무전 채널에 대응되게 설정되며, 해당 무전 채널을 통한 음성 데이터를 전송시 음성데이터에 자동으로 포함되어 전송된다. 그리고 이동 통신 단말(10)은 수신되는 음성데이터 중 상기 무전 채널 인증 코드를 포함하는 음성 데이터가 수신될 때에만 해당 무전 채널을 연결하여 무전 통신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하나의 무전 채널을 사용하는 다수의 무전 통신 그룹이 존재한다 하여도, 동일한 무전 채널 인증 코드를 할당 받은 이동 통신 단말들 간에만 무전 통신을 할 수 있다.
상기 페이징 주기는 임의의 해당 채널의 인증 코드를 포함한 페이징 신호를 검출하기 위해 무전 채널을 검색하는 주기이다. 상기 각 무전 채널에 대응하는 페이징 주기는 각 무전 채널의 페이징 신호를 수신하는 기간, 즉, 페이징 수신 간격이 중복되지 않고, 이동 통신 페이징 채널 수신 간격과도 중복 되지 않도록 설정되어야 한다. 상기 페이징 수신 간격은 사람이 인지하지 못할 정도로 짧은 시간 간격이다. 그리고 이동 통신 단말(10)은 무전 통신시 상기 페이징 주기에 맞추어 음성 데이터를 전송한다. 상기 페이징 신호는 상기 페이징 주기에 수신되어지는 상기 음성 데이터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무전 채널에 대한 상기 페이징 주기를 도8에 도시하였다.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이징 주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통신 페이징 수신 간격(50)과 제1무전 채널 페이징 수신 간격(ch1)(51), 제2무전 채널 페이징 수신 간격(ch2)(53), 제3무전 채널 페이징 수신 간격(ch3)(55)은 서로 중복되지 않도록 무전 채널의 페이징 주기가 설정되어야 한다.
한편, 상기 이동 통신 단말(10)은 무전 통신 전용 모드가 설정되어 있으면 다수의 무전 채널을 미리 정해진 각각의 페이징 주기에 따라 검색하여 각 무전 채널에 대응하는 무전 채널 인증 코드를 포함하는 페이징 신호를 검출하면 해당 무전 채널과 연결하여 무전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무전/이동 통신 공용 모드와 무전 통신 전용 모드는 무전 통신 모드 설정 모드하에서 이루어지며, 그 과정을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10)이 통신 모드를 설정하는 과정에 따른 동작 흐름도이다. 도3을 참조하여, 무전 통신 모드 설정 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이동 통신 단말(10)의 제어부(11)는 101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무전 통신 모드를 선택하고 103단계로 진행한다. 103단계에서 제어부(11)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하나 이상의 무전 채널을 선택하고 105단계로 진행한다. 105단계에서 제어부(11)는 선택된 각 무전 채널에 대응되는 무전 채널 인증 코드를 입력받아 각 무전 채널에 설정하고 107단계로 진행한다. 107단계에서 제어부(11)는 상기 101단계에서 선택된 무전 통신 모드가 무전/이동 통신 공용 모드인지 체크하여, 무전/이동 통신 공용 모드이며 109단계로 진행하고, 무전/이동 통신 공용 모드가 아니면, 즉, 무전 통신 전용 모드이면 113단계로 진행한다. 109단계에서 제어부(11)는 이동 통신 페이징 수신간격과 무전 채널 페이징 수신간격이 중복되지 않도록 상기 선택된 각 무전 채널에 대응하는 페이징 주기를 설정하고 111단계로 진행한다. 111단계에서 제어부(11)는 무전/이동 통신 공용 모드를 설정하고 동작 과정을 종료한다.
한편, 상기 101단계에서 선택된 무전 통신 모드가 무전 통신 전용 모드인 경우, 113단계에서 제어부(101)는 무전 채널 페이징 수신 간격이 중복되지 않도록 상기 선택된 각 무전 채널에 대응하는 페이징 주기를 설정하고 115단계로 진행한다. 115단계에서 제어부(11)는 무전 통신 전용 모드를 설정하고 동작 과정을 종료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무전/이동 통신 공용 모드 또는 무전 통신 전용 모드로 설정된 이동 통신 단말(10)의 동작 과정을 도4 내지 도7에 도시하였다. 먼저 도4 내지 도6을 참조하여 무전/이동 통신 공용 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이동 통신 단말(10)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무전/이동 통신 공용 모드하에서 통화중인 경우 이동 통신 단말의 동작 흐름도이고,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무전/이동 통신 공용 모드하에서 호착신이된 경우 이동 통신 단말의 동작 흐름도이고,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무전/이동 통신 공용 모드하에서 무전 통신 중인 경우 이동 통신 단말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4를 참조하여 이동 통신 단말(10)의 제어부(11)는 201단계에서 현재 시각이 임의의 무전 채널 페이징 수신 시점인지 판단한다. 판단 결과 제어부(11)는 현재 시각이 임의의 무전 채널 페이징 수신 시점이면 203단계로 진행하고, 임의의 무전 채널 페이징 수신 시점이 아니면 A로 진행하여 상기 도5의 219단계로 진행한다. 203단계에서 제어부(11)는 현재 이동 통신 단말(10)이 통화중인지 체크하여 통화중이면 205단계로 진행하고, 통화중이 아니면 B로 진행하여 상기 도6의 235단계로 진행한다. 205단계에서 제어부(11)는 무전 페이징 수신 간격 동안만 통화 채널을 통화 대기모드로 전한하고, 해당 무전 채널과 연결하여 페이징 신호를 수신하고 207단계로 진행한다. 즉, 무전 페이징 수신 간격이 끝나면 상기 통화 대기 모드를 종료하고 통화채널을 연결한다. 207단계에서 제어부(11)는 수신되는 페이징 신호 중에 상기 임의의 무전 채널에 대응하여 이동 통신 단말(10)이 미리 설정한 무전 채 널 인증 코드를 가지는 페이징 신호가 존재하는지 검출하여, 해당 무전 채널 인증 코드를 가지는 페이징 신호가 검출되면 209단계로 진행한다. 209단계에서 제어부(11)는 무전 신호 수신 알림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한다. 이후, 211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무전 통신 전환 요구 입력이 있으면 213단계로 진행한다. 213단계에서 제어부(11)는 통화 대기 모드로 전환하고, 해당 무전 채널을 연결하여 무전 통신을 수행한다. 이후, 215단계에서 제어부(11)는 통화 전환 요구가 있으면 217단계로진행하여 무전 채널은 단절하고, 통화 대기 모드를 해제하여 통화 채널과 연결하고 상기 201단계로 진행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무전/이동 통신 공용 모드에서 이동 통신 단말(10)은 통화중에도 주기적으로 무전 채널을 검색하여 무전 페이징 신호가 감지되면 이를 사용자에게 알리고, 사용자 선택에 따라 무전 채널과 연결하여 무전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이때, 감지되는 무선 페이징 신호는 특정 무전 채널 인증 코드를 포함하는 페이징 신호만이 감지되기 때문에, 필요한 무전 통신만이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201단계에서 현재 시각이 임의의 무전 채널 페이징 수신 시점이 아니라면 제어부(11)는 A로 진행하여 상기 도5의 219단계로 진행한다. 도5를 참조하여, 219단계에서 제어부(11)는 이동 통신 페이징 수신 시점인지 체크하여 이동 통신 페이징 수신 시점이 아니면 C로 진행하여 상기 도4의 201단계로 진행한다. 그리고 제어부(11)는 현재 시각이 이동 통신 페이징 수신 시점이면 221단계로 진행한다. 221단계에서 제어부(11)는 무전 통신 중인지 체크하여 무전 통신 중이면 223단계로 진행하고 무전 통신중이 아니면 233단계로 진행하여 이동 통신 페이징을 수신신하고 C로 진행하여 상기 도4의 201단계로 진행한다. 223단계에서 제어부(11)는 이동 통신 페이징 수신 동안만 현재 통신중인 무전 채널을 단절하여 이동 통신 페이징을 수신하고 225단계로 진행한다. 225단계에서 제어부(11)는 호가 착신되는지 체크하여 호가 착신되면 227단계로 진행하고, 호가 착신되지 않으면 233단계로 진행하여 이동 통신 페이징을 수신하고 C로 진행하여 상기 도4의 201단계로 진행한다. 227단계에서 제어부(11)는 호착신 알림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고 229단계로 진행한다. 229단계에서 제어부(11)는 사용자로부터 통화 연결 요구가 있는지 체크하여 통화 연결 요구가 있으면 231단계로 진행한다. 231단계에서 제어부(11)는 무전 통신을 중단하고 통화 연결을하고 C로 진행하여 상기 도4의 201단계로 진행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10)은 무전/이동 통신 모드하에서 무전 통신 수행 중에도 이동 통신 채널의 페이징을 주기적으로 체크하여 호착신이 있으면 이를 사용자에게 알리고, 사용자 선택에 따라 통화 연결을 함으로서 이동 통신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도4의 상기 203단게에서 제어부(11)는 임의의 무선 채널 페이징 수신 시점에 이동 통신 단말(10)이 통화중이 아니라면 B로 진행하여 상기 도6의 235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도6을 참조하여 235단계에서 제어부(11)는 이동 통신 단말(10)이 무전 통신 중인지 체크하여 무전 통신 중이면 237단계로 진행한다. 237단계에서 제어부(11)는 상기 임의의 무전 채널의 무전 페이징 수신 간격 동안만 통신중인 무전 채널을 단절하고 해당 무전 채널과 연결하여 페이징 신호를 수신하고 239단계로 진행한다. 239단계에서 제어부(11)는 상기 임의의 무전 채널에 대응하여 이동 통신 단말(10)이 미리 설정한 무전 채널 인증 코드를 가지는 페이징 신호가 존재하는지 검출하여, 무전 채널 인증 코드를 가지는 페이징 신호가 존재하면 241단계로 진행한다. 241단계에서 제어부(11)는 다른 무전 채널 신호가 수신 알림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고 243단계로 진행한다. 243단계에서 제어부(11)는 무전 채널 전환 요구 입력이 있는지 체크하여 무전 채널 전환 요구 입력이 있으면 245단계로 진행한다. 245단계에서 제어부(11)는 통신중인 무전 채널을 단절하고 해당 무전 채널을 연결하여 무전 통신을 수행하고 C로 진행하여 상기 도4의 201단계로 진행한다.
한편, 상기 235단계에서 제어부(11)는 이동 통신 단말(10)이 무전 통신 중이 아니라면 247단계로 진행한다. 247단계에서 제어부(11)는 해당 무전 채널을 연결하여 페이징 신호를 수신하고 249단계로 진행한다. 249단계에서 제어부(11)는 상기 임의의 무전 채널에 대응하여 이동 통신 단말(10)이 미리 설정한 무전 채널 인증 코드를 가지는 페이징 신호가 존재하는지 검출하여, 무전 채널 인증 코드를 가지는 페이징 신호가 존재하면 251단계로 진행하고 무전 채널 인증 코드를 가지는 페이징 신호가 존재하지 않으면 C로 진행하여 상기 도4의 201단계로 진행한다. 251단계에서 제어부(11)는 상기 임의의 무전 채널의 연결을 유지하여 무전 신호 수신 및 무전 통신을 수행하고 C로 진행하여 상기 도4의 201단계로 진행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10)은 무전/이동 통신 모드하에서 무전 통신 수행중에도 다른 무전 채널을 검색하여 특정 페이징 신호가 검출되면 다른 무전 채널로부터 무전 신호가 수신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리고, 사용자 선택에 따라 다른 무전 채널을 통한 무전 통신을 할 수 있게 한다.
다음으로, 도7을 참조하여 무전 통신 전용 모드가 설정되었을 때 이동 통신 단말(10)의 동작 과정을 설명한다.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무전 통신 전용 모드하에서 이동 통신 단말의 동작 흐름도이다. 무전 통신 전용 모드가 설정되었을 때 이동 통신 단말(10)의 동작 과정은 상기 도6에 도시된 동작 과정과 유사하다. 즉, 도7을 참조하여, 이동 통신 단말(10)의 제어부(11)는 301단계에서 현재 시점이 임의의 무전 채널 페이징 수신 시점인지 체크하여, 무전 채널 페이징 시점이면 303단계로 진행한다. 305단계에서 제어부(11)는 상기 임의의 무전 채널의 무전 페이징 수신 간격 동안만 통신중인 무전 채널을 단절하고 해당 무전 채널과 연결하여 페이징 신호를 수신하고 307단계로 진행한다. 307단계에서 제어부(11)는 상기 임의의 무전 채널에 대응하여 이동 통신 단말(10)이 미리 설정한 무전 채널 인증 코드를 가지는 페이징 신호가 존재하는지 검출하여, 무전 채널 인증 코드를 가지는 페이징 신호가 존재하면 309단계로 진행한다. 309단계에서 제어부(11)는 다른 무전 채널 신호가 수신 알림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고 311단계로 진행한다. 311단계에서 제어부(11)는 무전 채널 전환 요구 입력이 있는지 체크하여 무전 채널 전환 요구 입력이 있으면 313단계로 진행한다. 313단계에서 제어부(11)는 통신중인 무전 채널을 단절하고 해당 무전 채널을 연결하여 무전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301단계로 진행한다.
한편, 상기 303단계에서 제어부(11)는 이동 통신 단말(10)이 무전 통신 중이 아니라면 315단계로 진행한다. 315단계에서 제어부(11)는 해당 무전 채널을 연결하 여 페이징 신호를 수신하고 317단계로 진행한다. 317단계에서 제어부(11)는 상기 임의의 무전 채널에 대응하여 이동 통신 단말(10)이 미리 설정한 무전 채널 인증 코드를 가지는 페이징 신호가 존재하는지 검출하여, 무전 채널 인증 코드를 가지는 페이징 신호가 존재하면 319단계로 진행하고 무전 채널 인증 코드를 가지는 페이징 신호가 존재하지 않으면 321단계로 진행하여 연결한 무전 채널을 해지한다. 319단계에서 제어부(11)는 상기 임의의 무전 채널의 연결을 유지하여 무전 신호 수신 및 무전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301단계로 진행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10)은 무전 통신 전용 모드하에서 무전 통신 수행중에도 다른 무전 채널을 검색하여 특정 페이징 신호가 검출되면 다른 무전 채널로부터 무전 신호가 수신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리고, 사용자 선택에 따라 다른 무전 채널을 통한 무전 통신을 할 수 있게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무전 통신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이 통화중이거나 무전 통신 중에도 다른 무전 통신 채널이나 이동 통신 페이징 채널을 주기적으로 검색하여, 무전 채널 인증 코드를 가지는 무전 페이징 신호가 수신되거나 호 가 착신되면 이를 사용자에게 알려, 사용자 선택에 따라 다른 무전 통신을 수행하거나 통화 연결하여 이동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다수의 무전 채널 또는 이동 통신 채널 관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으며, 불특정 다수의 무선 신호중 특정 무전 채널 인증 코드를 포함하는 무전 신호만을 수신하여 처리함으로써, 이동 통신 단말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Claims (13)

  1. 무전 통신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페이징 주기에 따라 현재 시점이 임의의 무전 채널의 페이징 수신 시점이고 통화중 이라면 상기 무전 채널 페이징 수신 간격 동안만 통화 대기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임의의 무전 채널과 연결하여 상기 임의의 무전 채널과 대응되게 미리 설정된 무전 채널 인증 코드를 포함하는 페이징 신호를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무전 채널 인증 코드를 포함하는 페이징 신호가 검출되면 사용자에게 무전 신호가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과정과,
    사용자로부터 무전 통신 전환 요구가 있으면 통화 대기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무전 채널과 연결하여 무전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현재 시점이 이동 통신 페이징 채널의 페이징 수신 시점이고 무전 통신중이면 상기 이동 통신 채널 페이징 수신 간격 동안만 무전 통신중인 무전 채널을 절단하여 상기 이동 통신 채널과 연결하여 페이징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페이징 신호에 호착신이 포함되었으면 호가 착신되었음을 알리는 과정과,
    사용자로부터 통화 연결 요구가 있으면 통신중인 무전 채널을 절단하고, 통화 연결을 하여 이동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을 더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페이징 주기에 따라 현재 시점이 임의의 무전 채널의 페이징 수신 시점이고 무전 통신중 이라면 상기 무전 채널 페이징 수신 간격 동안만 통신 중인 무전 채널을 절단하고 상기 임의의 무전 채널과 연결하여 상기 임의의 무전 채널과 대응되게 미리 설정된 무전 채널 인증 코드를 포함하는 페이징 신호를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무전 채널 인증 코드를 포함하는 페이징 신호가 검출되면 사용자에게 다른 무전 신호가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과정과,
    사용자로부터 상기 다른 무전 통신으로 전환 요구가 있으면 통신중인 무전 채널을 단저하고, 상기 임의의 무전 채널과 연결하여 무전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을 더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무전 채널 인증 코드는 임의의 무전 채널을 통해 서로 무전 통신을 하고자하는 다수의 이동 통신 단말로 이루어지는 각각의 무전 통신 그룹 마다 할당되는 인증 코드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 내지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징 신호는 상기 페이징 주기에 맞추어 전송되는 상기 무전 채널 인증 코드를 포함하는 음성 데이터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 내지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징 주기는 이동 통신 페이징 수신간격과 무전 채널 페이징 수신간격이 중복되지 않도록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각 무전 채널에 대응하도록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 내지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무전 채널 인증 코드는 무전 통신을 위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하나 이상의 무전 채널에 대응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무전 채널 인증 코드에 의해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무전 통신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페이징 주기에 따라 현재 시점이 임의의 무전 채널의 페이징 수신 시점이면, 상기 임의의 무전 채널과 연결하여 상기 임의의 무전 채널과 대응되어 미리 설정된 무전 채널 인증 코드를 포함하는 페이징 신호를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무전 채널 인증 코드를 포함하는 페이징 신호가 검출되면 상기 임의의 무전 채널과 연결하여 무전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을 더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무전 채널 인증 코드는 임의의 무전 채널을 통해 서로 무전 통신을 하고자하는 다수의 이동 통신 단말로 이루어지는 각각의 무전 통신 그룹 마다 할당되는 인증 코드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무전 채널 인증 코드는 임의의 무전 채널을 통해 서로 무전 통신을 하고자하는 다수의 이동 통신 단말로 이루어지는 각각의 무전 통신 그룹 마다 할당되는 인증 코드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징 신호는 상기 페이징 주기에 맞추어 전송되는 상기 무전 채널 인증 코드를 포함하는 음성 데이터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징 주기는 이동 통신 페이징 수신간격과 무전 채 널 페이징 수신간격이 중복되지 않도록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각 무전 채널에 대응하도록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무전 채널 인증 코드는 무전 통신을 위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하나 이상의 무전 채널에 대응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무전 채널 인증 코드에 의해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50022870A 2005-03-18 2005-03-18 무전 통신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의 통신 수행 방법 KR1007035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2870A KR100703505B1 (ko) 2005-03-18 2005-03-18 무전 통신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의 통신 수행 방법
US11/384,849 US7532903B2 (en) 2005-03-18 2006-03-20 Method for performing TRS communic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2870A KR100703505B1 (ko) 2005-03-18 2005-03-18 무전 통신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의 통신 수행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1042A true KR20060101042A (ko) 2006-09-22
KR100703505B1 KR100703505B1 (ko) 2007-04-03

Family

ID=37109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2870A KR100703505B1 (ko) 2005-03-18 2005-03-18 무전 통신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의 통신 수행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532903B2 (ko)
KR (1) KR1007035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38900B2 (en) * 2007-08-30 2012-08-07 Motorola Mobility Llc Management of anticipated data outages in a Push-to-X communication system
US20090170474A1 (en) * 2007-12-27 2009-07-02 Motorola, Inc. Method and device for authenticating trunking control messages
US8184654B2 (en) * 2008-10-03 2012-05-22 Motorola Solutions, Inc. Method for ending a call sess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US8358968B2 (en) * 2008-10-03 2013-01-22 Motorola Solutions, Inc. Method for selecting a channel to be monitored by subscriber units that are idle in a communication system
US8045499B2 (en) * 2008-10-03 2011-10-25 Motorola Solutions, Inc. Method of communicating which channel is to be monitored by subscriber units that are idle in a communication system
US8139597B2 (en) * 2008-10-03 2012-03-20 Motorola Solutions, Inc. Method for trunking radio frequency resources
US8279991B2 (en) 2008-10-03 2012-10-02 Motorola Solutions, Inc. Method of efficiently synchronizing to a desired timeslot in 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communication system
US8150438B2 (en) 2009-04-30 2012-04-03 Motorola Solutions, Inc. Method for initiating a communication while participating in another communication
US8503409B2 (en) 2010-04-15 2013-08-06 Motorola Solutions, Inc. Method for direct mode channel access
US8599826B2 (en) 2010-04-15 2013-12-03 Motorola Solutions, Inc. Method for synchronizing direct mode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transmissions
US8462766B2 (en) 2011-03-07 2013-06-11 Motorola Solution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diffusing channel timing among subscriber units in TDMA direct mode
CN102984662B (zh) 2012-11-28 2016-02-1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长期演进的集群业务实现方法和集群用户终端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6777A (ko) * 2000-12-29 2002-07-10 윤종용 근거리 무전 통화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이용한 단말기간 무전통화 방법
KR100524756B1 (ko) * 2003-05-21 2005-10-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전기 및 무선 전화 겸용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무선주파수송수신 장치
US7289816B2 (en) * 2004-11-23 2007-10-3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USSD-facilitated call setup for push to talk over cellular (PoC) ser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3505B1 (ko) 2007-04-03
US7532903B2 (en) 2009-05-12
US20060234748A1 (en) 2006-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3505B1 (ko) 무전 통신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의 통신 수행 방법
US8948083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US8046007B2 (en) Auto sensing home base station for mobile telephone with remote answering capabilities
JPH0591017A (ja) 無線電話機
KR100735664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접근 등급 제한 리스트를 이용한서비스 상태 제공 장치 및 방법
US7386312B2 (en) Mobile terminal,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changing location registration
US20040266350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using bluetooth wireless communica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1286503A1 (en) Slave communication apparatus used in radio lan system, control method of slav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ntrol program
WO2020237522A1 (zh) 网络切换资源确定方法和网络切换资源配置方法
JP2006279586A (ja) 携帯通信機器およびその携帯通信機器を含む通信システム
JP4108008B2 (ja) 通信端末
US7660283B2 (e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20030093038A (ko) 수신자 상황 모드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통신단말기
EP3962174A1 (en) Network switching resource determining method and network switching resource configuration method
JPS6062743A (ja) 移動無線通信方式
KR100850937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위한 투 넘버 서비스 방법
KR10038770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상대단말 상태정보 제공장치 및 방법
JP2000196491A (ja) 移動無線端末装置
JP2002281548A (ja) 携帯電話機、および携帯電話マナー支援方法
KR100430308B1 (ko) 무선전화기에서 발신자 정보를 이용한 선별 착신 방법
JP2011135254A (ja)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基地局、無線通信端末、位置登録制御方法、位置登録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727521B2 (ja) コードレス・ボタン電話装置の一斉着信方法
KR20030039123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소비전력 제어 방법
KR100605938B1 (ko) 이동통신시스템의 이동단말기 전원 오프 상태 안내 서비스방법
KR970001865B1 (ko)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통화단절상태 경고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