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0597A - 식기세척기의 식기 바스켓 레일 구조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의 식기 바스켓 레일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0597A
KR20060100597A KR1020050022261A KR20050022261A KR20060100597A KR 20060100597 A KR20060100597 A KR 20060100597A KR 1020050022261 A KR1020050022261 A KR 1020050022261A KR 20050022261 A KR20050022261 A KR 20050022261A KR 20060100597 A KR20060100597 A KR 200601005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dish basket
dishwasher
stopper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2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54959B1 (ko
Inventor
강명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222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4959B1/ko
Publication of KR200601005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05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49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49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3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38Linear indentations or grooves, e.g. arc-shaped grooves or meandering grooves, extending over the full length or width of the light guid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3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4Scattering dots or dot-like elements, e.g. microbeads, scattering particles, nanoparticl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4Diffusing, scattering, diffracting elements
    • G02F1/133507Films for enhancing the luminanc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50Protective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에서 식기 바스켓의 착탈을 용이하게 하는 식기세척기의 식기 바스켓 레일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식기의 세척이 행해지는 공간을 이루는 세척조와, 상기 세척조 내부에서 식기를 수납하고, 그 하부에 복수개의 롤러가 구비되는 식기 바스켓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식기 바스켓이 수평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세척조 측벽면에 설치되는 레일과; 상기 레일의 끝 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롤러의 이동을 제한하고, 상기 레일을 측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스톱퍼: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식기세척기의 식기 바스켓 레일 구조를 제공한다.
식기 세척기, 식기 바스켓, 레일, 스톱퍼

Description

식기세척기의 식기 바스켓 레일 구조{Structure for Rail of basket in Dishwasher}
도 1은 종래의 식기세척기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식기 바스켓 및 레일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톱퍼가 식기 바스켓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스톱퍼가 식기 바스켓을 분리할 수 있도록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
도 5는 도 3에 도시한 스톱퍼와 결합부의 일 예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4 : 식기 바스켓 5 : 레일
141 : 후방 롤러 142 : 전방 롤러
143 : 가이드 클램프 151 : 스톱퍼
152 : 스톱퍼 결합부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식기 바스켓의 착탈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식기세척기의 식기 바스켓 레일 구조에 관한 것이다.
식기세척기는 세제가 혼합된 세척수를 분사하여 세척실 내의 식기를 세척하는 장치로, 세척과 헹굼 후 건조 행정이 순서대로 자동으로 수행되어 식기세척이 이루어지고, 식기세척이 완료된 후에는 식기의 살균 및 보관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식기세척기는 세척실 내에 식기를 수납할 수 있는 식기 바스켓이 구비되고, 상기 식기 바스켓에 식기를 수납하거나 또는 수납된 식기를 꺼내는 것이 용이하도록 세척조 외부로 슬라이드 이동으로 인출이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종래 식기세척기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식기세척기는 세척이 이루어지는 공간인 세척조(2)와, 상기 세척조(2) 전면의 개구부를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도어(3)와, 상기 세척조(2) 내부에 식기를 수납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식기 바스켓(4)과, 상기 식기 바스켓(4)의 인출 및 지지를 위해 상기 세척조(2)의 내측벽면에 설치되는 레일(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식기 바스켓(4)은 식기를 수납하여 세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바구니로서, 상기 식기 바스켓(4)의 양측 하부에는 상기 식기 바스켓(4)을 원활하게 인출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롤러(41)와, 상기 식기 바스켓(4)의 착탈시에 상기 롤러(41)(42)를 안내하는 가이드 클램프(4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롤러(41)(42)는 상기 레일(5)의 상하 외주면을 따라 구름 이동함으로써 수평상태로 상기 식기 바스켓(4)을 인출/인입할 수 있도록 양측 하부에 설치된다.
이 때, 상기 롤러(41)(42)는 상하 한쌍의 후방 롤러(41)와, 상기 후방 롤러(41)과 일정 거리를 두고 레일(5) 상부에 결합되는 하나의 전방 롤러(42)로 구분된다.
그리고, 상기 레일(5)은 상기 세척조(2)의 전방에 해당되는 끝 부분에 상기 롤러(41)(42)의 이동을 제한하여 레일(5)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톱퍼(stopper)(51)가 설치된다.
한편, 식기세척기에서 식기 바스켓(4)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레일(5)에서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식기 바스켓(4)의 분리 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사용자가 식기 바스켓(4)을 식기세척기의 전방으로 끝까지 인출한 후, 상기 식기 바스켓(4)을 상방으로 경사지게 들어올려서 상기 전방 롤러(42)를 먼저 레일(5)에서 분리시킨다.
그리고, 상기 식기 바스켓(4)을 기울인 상태에서 상기 후방 롤러(41)를 레일(5)에서 분리시키면 식기 바스켓(4)이 분리된다.
상기 식기 바스켓(4)을 레일(5)에 장착할 때는, 먼저 상기 식기 바스켓(4)의 분리시와 마찬가지로 경사지게 들어올린 후 가이드 클램프(43)의 개구부를 상기 레일(5)에 맞물리게 하여 상기 후방 롤러(41)부터 레일(5)에 결합시킨다.
그리고, 상기 전방 롤러(42)까지 완전히 레일(5)에 결합되면 식기 바스켓(4)의 결합이 완료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식기세척기의 식기 바스켓 레일 구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식기 바스켓(4)을 기울여서 들어올려야 분리 또는 장착할 수 있으므로, 상기 식기 바스켓(4)에 수납된 식기의 하중으로 인해 사용자가 식기 바스켓(4)을 레일(5)에서 분리하는 데 어려움이 있고, 분리 과정에서 식기 바스켓(4)이나 식기를 떨어뜨릴 수 있는 위험이 있었다.
또한, 상기 식기 바스켓(4)의 분리 시 균형에 맞지 않으면 한쪽의 롤러(41)(42)만 분리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이 경우, 사용자가 재차 식기 바스켓(4)을 분리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그 과정 중에 사용자가 균형을 잃게되고 다칠 수 있는 위험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레일에서 식기 바스켓의 착탈을 간단하고 안전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스톱퍼가 구비된 식기세척기의 식기 바스켓 레일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식기의 세척이 행해지는 공간을 이루는 세척조와, 상기 세척조 내부에서 식기를 수납하고, 그 하부에 복수개의 롤러가 구비되는 식기 바스켓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식기 바스켓이 수평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세척조 측벽면에 설치되는 레일과; 상기 레일의 끝 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롤러의 이동을 제한하고, 상기 레일을 측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스톱퍼: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식기세척기의 식기 바스켓 레일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스톱퍼는 상기 레일을 축으로 90˚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레일의 끝부분에는 홀이 형성된 스톱퍼 결합부가 설치되고, 상기 스톱퍼는 상기 스톱퍼 결합부의 홀에 결합되는 결합 돌기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종래와 동일한 구성 요소는 설명의 편의상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를 부여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식기 바스켓 레일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식기세척기는 세척조(2)의 내부 양측벽면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식기 바스켓(4)을 수평으로 인출할 수 있도록 레일(5)이 설치되고, 상기 식기 바스켓(4)의 양측 하부에는 식기 바스켓(4)의 원활한 인출/인입을 위한 복수개의 롤러(141)(142)가 각각 설치된다.
이 때, 상기 롤러(141)(142)는 상기 레일(5)의 외주면을 따라 구름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롤러(141)(142)는, 상기 레일(5)의 폭에 대응되는 간격을 갖고 상하로 일직선상에 놓이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후방 롤러(141)와, 상기 후방 롤러 (141)의 후방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레일(5)의 상부에 결합될수 있도록 설치되는 하나의 전방 롤러(142)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후방 롤러(141)는 한쌍으로 상기 레일(5)의 상하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식기 바스켓(4)이 레일(5)에 안정적으로 결합되도록 지지하고, 식기 바스켓(4)의 이동시 흔들림을 잡아주는 역할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롤러(141)(142)와 식기 바스켓(4) 사이에는 상기 롤러(141)(142)와 레일(5)의 결합을 안내하는 가이드 클램프(143)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레일(5)은 상기 롤러(141)(142)에 대응되는 두께를 갖고 모서리가 둥근 'ㄷ'자 형태로서, 그 개구부가 식기 세척기의 벽면 쪽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한편, 상기 레일(5)은 상기 식기 바스켓(4)을 따라 전후로 일정 거리만큼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즉, 식기 바스켓(4)의 인입시에는 도어(3)를 닫았을 때 상기 레일(5)과 도어(3) 사이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을 위치까지 내부로 인입되고, 상기 식기 바스켓(4)의 인출시에는 상기 레일(5)이 식기세척기의 외부로 일정 길이 연장되게 인출되어 상기 식기 바스켓(4)의 인출 거리를 증가시킨다.
이는, 식기 바스켓(4)을 최대로 인출했을 때, 상기 식기 바스켓(4)이 식기세척기의 외부로 모두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식기 바스켓에 식기를 수납하고 꺼내는 것을 편리하게 하기 위함이다.
더불어, 상기 식기 바스켓(4)을 따라 레일(5)이 이동함으로써 식기 바스켓 (4)의 안정적인 인출/인입이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레일(5) 끝단에는 상기 롤러(141)(142)의 수평이동을 제한하는 스톱퍼(151)가 설치된다.
상기 스톱퍼(151)는 그 끝부분의 상부가 상기 레일(5)보다 상측으로 일정 높이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전방 롤러(142)가 걸려서 멈추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톱퍼(151)는 끝부분의 하부가 상기 레일(5)과 같은 평면으로 형성되고, 만곡부가 형성된다.
한편,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스톱퍼(151)는 식기 바스켓(4)을 분리 또는 결합하고자 하는 경우에 상기 레일(5)을 축으로 하여 힌지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 때, 상기 스톱퍼(151)는 90˚ 회전하여 수평상태로 뉘여지도록 회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회전하였을 때 상기 레일(5)보다 돌출 형성된 상부쪽이 식기 바스켓(4)의 반대방향인 식기 세척기의 외측을 향하도록 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스톱퍼(151)는 힌지 회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레일(5)의 끝부분에는 결합홀(152a)이 형성된 스톱퍼 결합부(152)가 설치되고, 상기 스톱퍼(151)에는 상기 스톱퍼 결합부(152)에 대응되는 결합 돌기(151a)가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스톱퍼(151)는 회전되었을 때, 상기 식기 바스켓(4) 또는 상기 롤러(141)(142)와의 간섭을 피할 수 있도록, 상기 스톱퍼(151)의 결합 돌기(151a)) 는 스톱퍼(151)의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스톱퍼 결합부(152)의 결합홀(152a)는 하부에 치우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스톱퍼 결합부(152)의 결합홀(152a)는 상기 스톱퍼 결합부(152)의 중앙부분에 형성되는 것도 이해 가능하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 바스켓의 착탈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식기 바스켓(4)을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식기 바스켓(4)을 식기세척기의 외부로 어느 정도 잡아당겨 인출한 후, 각 스톱퍼(151)를 90˚ 회전시켜 수평으로 눕힌다.
그리고, 가이드 클램프(143)를 잡고 식기 바스켓(4)을 끝까지 잡아당기면 롤러(141)(142)가 레일(5)에서 빠져나오면서 식기 바스켓(4)이 분리된다.
식기 바스켓(4)을 결합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먼저 레일(5)을 외부로 소정 길이 만큼 인출한 상태에서, 스톱퍼(151)를 90˚ 회전시켜 수평 상태로 만들고, 가이드 클램프(143)을 잡고 후방 롤러(141)부터 레일(5)에 결합시킨다.
이 때, 상기 한쌍의 후방 롤러(141) 사이에 레일(5)을 끼워넣고, 전방 롤러(142)까지 레일(5)에 결합되면, 상기 스톱퍼(151)를 원상태로 세워놓은 다음, 식기 바스켓(4)을 내부로 인입 시키면 결합이 완료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식기 바스켓 레일 구조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식기 바스켓을 수평으로 착탈하므로 사용자가 쉽게 착탈할 수 있어, 착탈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상의 문제점이 없어, 안전한 탈부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둘째, 롤러를 쉽게 레일에 끼워 맞출 수 있어서, 결합시 번거로움이 적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9)

  1. 식기의 세척이 행해지는 공간을 이루는 세척조와,
    상기 세척조 내부에서 식기를 수납하고, 그 하부에 복수개의 롤러가 구비되는 식기 바스켓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식기 바스켓이 수평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세척조 측벽면에 설치되는 레일과;
    상기 레일의 끝 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롤러의 이동을 제한하고, 상기 레일을 측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스톱퍼: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식기세척기의 식기 바스켓 레일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는 상기 레일을 축으로 90˚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의 식기 바스켓 레일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는 그 끝부분이 상기 롤러의 이동을 정지시킬 수 있도록 레일보다 상향으로 일정 높이 연장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의 식기 바스켓 레일 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의 끝부분에는 홀이 형성된 스톱퍼 결합부가 설치되고,
    상기 스톱퍼는 상기 스톱퍼 결합부의 홀에 결합되는 결합 돌기가 형성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식기세척기의 식기 바스켓 레일 구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의 결합 돌기는 상기 스톱퍼의 레일과 결합되는 면의 중앙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의 식기 바스켓 레일 구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 결합부는 상기 레일의 끝부분을 덮도록 형성되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의 식기 바스켓 레일 구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상기 레일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의 식기 바스켓 레일 구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상하로 일직선상에 놓이도록 설치된 한쌍의 롤러와, 상기 롤러와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레일의 상부에 결합되도록 설치된 또다른 롤러로 이루어 짐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의 식기 바스켓 레일 구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기 바스켓과 상기 롤러 사이에는 상기 롤러를 지지하고 상기 롤러와 레일의 결합을 안내하는 가이드 클램프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의 식기 바스켓 레일 구조.
KR1020050022261A 2005-03-17 2005-03-17 식기세척기의 식기 바스켓 레일 구조 KR1011549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2261A KR101154959B1 (ko) 2005-03-17 2005-03-17 식기세척기의 식기 바스켓 레일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2261A KR101154959B1 (ko) 2005-03-17 2005-03-17 식기세척기의 식기 바스켓 레일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0597A true KR20060100597A (ko) 2006-09-21
KR101154959B1 KR101154959B1 (ko) 2012-06-18

Family

ID=37632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2261A KR101154959B1 (ko) 2005-03-17 2005-03-17 식기세척기의 식기 바스켓 레일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495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07563B2 (en) 2011-09-01 2015-08-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hwasher and basket fixation apparatus
WO2020013512A1 (en) * 2018-07-13 2020-01-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Roller,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dish washer having the same
KR20200016773A (ko) * 2018-08-07 2020-02-17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세척기
KR20200024628A (ko) * 2018-08-28 2020-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용 랙, 식기세척기용 랙을 구비한 식기세척기 및 식기세척기용 랙의 제조방법
US11930986B2 (en) 2018-08-07 2024-03-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hwashe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1889Y1 (ko) * 1992-02-19 1994-03-26 이영서 식기세척기의 수납바구니 고정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07563B2 (en) 2011-09-01 2015-08-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hwasher and basket fixation apparatus
WO2020013512A1 (en) * 2018-07-13 2020-01-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Roller,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dish washer having the same
CN112423641A (zh) * 2018-07-13 2021-02-26 三星电子株式会社 滚轮、制造该滚轮的方法以及具有该滚轮的洗碗机
US11166619B2 (en) 2018-07-13 2021-11-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Roller,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dish washer having the same
KR20200016773A (ko) * 2018-08-07 2020-02-17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세척기
US11930986B2 (en) 2018-08-07 2024-03-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hwasher
KR20200024628A (ko) * 2018-08-28 2020-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용 랙, 식기세척기용 랙을 구비한 식기세척기 및 식기세척기용 랙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4959B1 (ko) 2012-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2419B1 (ko) 식기세척기
KR101154959B1 (ko) 식기세척기의 식기 바스켓 레일 구조
KR100879573B1 (ko) 식기 세척기용 랙 및 이를 구비한 컴팩트형 식기세척기
US7694844B2 (en) Spoon basket structure of dish washer
US20060108298A1 (en) Dishwasher rack
CA2454024C (en) Dishwasher basket
US20180206701A1 (en) Rack and dishwasher including the same
US9161674B2 (en) Silverware basket with features for assisting removal of the silverware basket from a dishwasher appliance
CN109259690A (zh) 餐具架及洗碗机
JP5974284B2 (ja) 食器洗い機
CN209315783U (zh) 餐具架及洗碗机
JP6064164B2 (ja) 食器洗い機
JP4123367B2 (ja) 食器洗浄機の食器かご
KR102378131B1 (ko) 보조 수납부 및 이를 이용한 식기 세척기
JP3950435B2 (ja) 食器カゴ及び食器洗い乾燥機
TW201340927A (zh) 餐具清洗機
KR200331576Y1 (ko) 수납용 캐비넷
KR101844220B1 (ko) 식기세척기
JP3481480B2 (ja) 食器洗浄機の食器かご
JP4158572B2 (ja) 食器洗い機
JPH11318795A (ja) 食器洗い機
JP3900103B2 (ja) 食器洗い機
KR940001889Y1 (ko) 식기세척기의 수납바구니 고정장치
JP2001070219A (ja) 食器洗浄機におけるかご支持構造
KR101663751B1 (ko) 힌지와 간섭 없이 선반을 거치할 수 있는 수납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