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0507A - 체결요소의 자동 세척 시스템 - Google Patents

체결요소의 자동 세척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0507A
KR20060100507A KR1020050022055A KR20050022055A KR20060100507A KR 20060100507 A KR20060100507 A KR 20060100507A KR 1020050022055 A KR1020050022055 A KR 1020050022055A KR 20050022055 A KR20050022055 A KR 20050022055A KR 20060100507 A KR20060100507 A KR 200601005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element
washing
drying
basket
conve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2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79283B1 (ko
Inventor
양희준
Original Assignee
(주)클레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클레슨 filed Critical (주)클레슨
Priority to KR10200500220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9283B1/ko
Publication of KR200601005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05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92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92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10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 B08B3/12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by sonic or ultrasonic vibrations
    • B08B3/123Cleaning travelling work, e.g. webs, articles on a convey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06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using perforated drums in which the article or material is plac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10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 B08B3/14Removing waste, e.g. labels, from cleaning liquid; Regenerating cleaning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7/00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 B08B7/02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by distortion, beating, or vibration of the surface to be clean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볼트와 너트 등과 같은 체결요소를 별도의 작업자가 필요없이 자동으로 세척 및 건조를 하는 세척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체결요소의 자동 세척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체결요소를 이송시키는 이송수단과; 상기 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된 체결요소를 세척액을 이용하여 세척하는 세척수단과; 상기 세척수단에 의해 세척된 체결요소를 건조시키는 건조수단과; 상기 이송수단과 세척수단 및 건조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체결요소의 가공 과정중에 발생되는 가공유와 버(burr), 기타 이물질(dust) 등을 자동으로 제거하여 세척 및 건조시켜 주고, 세척을 하고 난 불순물이 섞여있는 세척액을 증류수단을 이용하여 재생시켜 세척수단 내부로 재차 투입시켜 줌으로서 세척액의 소모량을 줄여 환경오염을 줄이는 효과가 있으며, 세척에서 부터 건조과정이 유기적으로 하나의 시스템에서 수행되어 작업효율의 극대화를 이끌어내는 효과가 있다.
볼트, 너트, 세척, 건조, 세척액

Description

체결요소의 자동 세척 시스템 {Auto cleaning system for joint mean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체결요소의 자동 세척 시스템을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체결요소의 자동 세척 시스템을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바스켓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세척수단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세척수단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세척용 드럼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증류수단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체결요소 10: 바스켓
50: 건조수단 60: 회수통
70: 펌프 80: 제어수단
100: 세척수단
본 발명은 체결요소의 자동 세척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볼트와 너트 등과 같은 체결요소를 별도의 작업자가 필요없이 자동으로 세척하여 주는 세척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볼트나 너트 등과 같은 체결요소는 단조,주조,절삭 등의 가공을 통해 만들어지게 되는데 가공 과정중에 가공유와 버(burr) 기타 이물질 등이 부품표면에 묻거나 생기게 되며, 이와같은 이물질은 제거된 상태로 각종기계장치나 산업현장에서 사용된다.
이때, 상기 가공유와 버(burr) 기타 이물질 등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세척 및 건조 과정이 필요하며, 종래에는 이와같은 과정을 수작업에 의존하여 체결요소를 흔들면서 세척하여 세척효율이 떨어지고, 그 세척을 위해 사용되는 세척액이 인체에 유해하여 작업자의 건강을 해치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한편, 종래에는 세척액을 이용하여 체결요소를 여러번 세척한 후에는 다시 사용하지 못하여 버려야 하므로 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을 일으킴과 동시에 재차 재생을 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장치를 사용하여 재생하여야 하므로 세척작업의 연속성을 기대할 수 없는 문제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체결요소의 세척을 위해 체결요소를 운반하는 경우 체결요소의 하중이 커서 별도의 운반수단을 이용하여야 하므로 비효율적이고 그로 인한 사고발생의 우려가 많으며, 작업시간이 길어지게 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자가 필요없이 일괄적으로 안전하게 체결요소를 세척 및 건조가 가능한 체결요소의 자동 세척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체결요소를 세척시에 틈새에 끼어있는 가공유 및 버 등을 초음파 세척을 통해 제거함과 동시에 세척액을 재차 재생시켜 사용이 가능한 체결요소의 자동 세척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체결요소의 자동 세척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체결요소를 이송시키는 이송수단과; 상기 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된 체결요소를 세척액을 이용하여 세척하는 세척수단과; 상기 세척수단에 의해 세척된 체결요소를 건조시키는 건조수단과; 상기 이송수단과 세척수단 및 건조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체결요소의 자동 세척 시스템을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에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예에 의하여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체결요소의 자동 세척 시스템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체결요소의 자동 세척 시스템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바스켓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세척수단의 평면도이 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세척수단의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세척용 드럼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증류수단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체결요소의 자동 세척 시스템은 볼트 또는 너트와 같은 체결요소(1)가 담겨진 공급통(7)으로 부터 체결요소(1)를 이송시키는 이송수단과, 상기 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되는 체결요소(1) 표면의 가공유를 제거하기 위한 윈심탈유수단(90)과, 상기 원심탈유수단(90) 및 이송수단을 거쳐 이송된 체결요소(1)를 세척하는 세척수단(100)과, 상기 세척수단(100)에 의해 세척된 체결요소(1)를 건조시키는 건조수단(50)과, 상기 건조수단(50)에 의해 건조된 체결요소(1)를 모으는 회수통(60)과, 펌프(70) 및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수단(80)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이송수단은 체결요소(1)가 담겨진 공급통(7)을 승강시키는 제1 승강수단(95)과, 상기 공급통(7)으로 부터 체결요소(1)를 분산 이송시키는 제1 진동피딩수단(97)과, 상기 제1 진동피딩수단(97)에 의해 이송되는 체결요소(1)가 담겨지는 바스켓(10)과, 체결요소(1) 표면의 가공유를 제거하기 위한 윈심탈유수단(90)과, 상기 윈심탈유수단(90)에 의해 가공유를 제거한 상태의 바스켓(10)을 승강시키는 제2 승강수단(30)과, 상기 제2 승강수단(30)에 의해 이송된 바스켓(10) 내부의 체결요소(1)를 분산 이송시키는 제2 진동피딩수단(40)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상기 개략적인 구성을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체결요소(1)가 담겨진 공급통(7)은 제1 승강수단(95)에 의해 승강되어 일정위치로 상승된다.
이와같이 제1 승강수단(95)에 의해 일정위치로 승강된 공급통(7)의 체결요소(1)는 진동기(96)에 의해 작동되는 통상의 제1 진동피딩수단(97)에 의해 분산되면서 수평 이송되어 바스켓(10)에 담겨지게 된다.
이때, 상기 바스켓(10)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상의 용기(12)로 이루어지되 그 하부가 상광하협(上廣下峽)하는 깔대기 형상으로 그 용기(12)의 표면에는 다수의 통공(12b)이 형성되고, 중앙 하부에는 개구된 배출구(12a)가 형성된다.
이와같은 용기(12)의 중앙부에는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돔형상의 개폐판(16)이 용기(12)의 배출구(12a)에 걸쳐지도록 형성되어, 개폐판(16)의 하측에서 상방향으로 가압하게 되면 상기 개폐판(16)이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배출구(12a)가 개방되어 내부에 채워진 체결요소(1)들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개폐판(16)의 하부에는 다수의 다리(16a)가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수직하게 형성되고, 그 다리(16a)의 단부에는 상기 배출구(12a)의 하부에 결쳐지는 걸림턱(16b)이 형성되어 개폐판(16)이 용기(12)와 완전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바스켓(10)은 그 용기(12)의 외측하부에 다수의 지지용 다리(12c)가 형성되어 바스켓(10)을 지지하게 된다.
이와같은 바스켓(10)은 그 내부에 체결요소(1)가 채워진 후 윈심탈유수단(90)에 의해 일정시간 회전되어 체결요소(1) 표면의 가공유가 원심력 에 의해 용기(12)의 표면에 형성된 통공(12b)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그리고 제2 승강수단(30)에 의해 승강되어 상승된 위치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제2 승강수단(30)은 상기 제어수단(80)에 의해 정역 회전하게 되는 감속용 모터(32)의 회전력이 스프로켓(34a,34b) 및 체인(36)에 의해 수직프레임(37)을 기준으로 상하로 승강기(38)를 승강시키게 된다. 이와같은 승강기(38)의 일측에는 상기 바스켓(10)의 외측부를 지지하며 줌으로써, 실제로는 바스켓(10)을 승강시키는 작용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수직프레임(37)은 원통형으로 구성되고, 이에 승강되는 승강기(38)는 수직프레임(37)을 중심으로 좌우로 회동이 가능하게 구성하여 일측으로 승강기(38)를 회동시켜 바스켓(10)을 승강기(38)에서 탈부착이 가능하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이 제2 승강수단(30)에 의해 승강 이송되는 바스켓(10)은 제2 진동피딩수단(40)의 입구인 호퍼(42)의 상부에 안착되는데 상기 호퍼(42)의 내측 상부에는 상향하는 핀 형상의 누름부재(44)가 구비되어 상기 바스켓(10)이 호퍼(42)의 상부에 안착되는 경우에는 바스켓(10)의 배출구(12a)를 폐쇄한 상태의 개폐판(16)의 하측이 가압되어 개폐판(16)이 상방향으로 이동하며 배출구(12a)가 개방되어 체결요소(1)들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제2 진동피딩수단(40)은 상기 호퍼(42)의 하측에 진동기(45)가 구비되어 상기 체결요소(1)들을 이송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세척수단(100)은 도 4 내지 도 6에 의하면 상하부가 밀폐된 형태의 하우징(102)과, 그 하우징(102)의 내부에 수평상태로 놓여지되 나선방향으로 내향돌출되는 이송블레이드(112)가 내주면에 형성되며 외부에는 다수의 관통공(114)이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형성되는 세척용 드럼(110)과, 상기 세척용 드럼(110)의 양단의 양측부가 면접촉될 수 있도록 걸쳐져 상기 세척용 드럼(110)을 원활하게 회전시키기 위한 롤러(104a,104b)(105a,105b)쌍이 회전자재하게 축설되고, 상기 세척용 드럼(110)이 회전할 수 있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106)와, 그 구동모터(106)의 회전축(106a)의 단부에 고정되는 구동 스프로켓(108) 및 상기 세척용 드럼(110)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종동 스프로켓(116)과, 상기 구동 스프로켓(108)과 종동 스프로켓(116)을 서로 연결하는 체인벨트(117)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구동 스프로켓(108)과 종동 스프로켓(116) 및 체인벨트(117)를 이용하지 아니하고 풀리와 "V"형 벨트를 이용하여 구성함도 동일성 범주에 속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세척용 드럼(110)은 관통공(114)이 타공되어 전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기본세척/초음파세척/린스를 하기 위해 지름이 확장되는 제1 내지 제3 확장부(118a,118b,118c)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102)의 내측 하부에는 상기 제1 내지 제3 확장부(118a,118b,118c)의 하부 일측이 잠길 수 있도록 세척조가 구비되는데 이는 구획벽(122a,122b)에 의해 구분되는 기본세척조(120a)와, 초음파세척조(120b)와, 린스조(120c)로 나누어 진다.
여기서, 상기 초음파세척조(120b)와 린스조(120c)를 구획하는 구획벽(1)은 상기 기본세척조(120a)와 초음파세척조(120b)를 구획하는 구획벽(122b)에 비해 그 상단을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하여 TCE(Trichloro-ethylene) 또는 탄화수소용제(hydrocarbon), 알칼리세제, MC(Methylenechloride) 등과 같은 세척액 이 상기 린스조(120c)에 채워진 상태에서 넘치는 경우 구획벽(122a)의 상단을 넘어 초음파세척조(120b)로 넘어가고, 상기 초음파세척조(120b)에 채워진 상태에서 넘치는 경우 구획벽(122b)의 상단을 넘어 기본세척조(120a)로 넘어가 채워지게 된다.
한편, 상기 기본세척조(120a)와 초음파세척조(120b)와 린스조(120c)의 일측에는 히터(124a,124b,124c)와 온도센서(125a,125b,125c)가 구비되어 세척액의 온도를 설정온도(예를 들면 약 40℃)를 유지하도록 히터(124a,124b,124c)를 제어하고, 그 온도를 측정하여 제어수단(80)에 넘겨주어 설정온도(예를 들면 38 내지 42℃)를 넘는 경우에는 히터(124a,124b,124c)를 오프(off)시키고, 설정온도 보다 낮은 경우에는 히터(124a,124b,124c)를 온(on)시켜 세척액을 일정한 온도상태를 유지시켜 주게 된다.
또한, 상기 세척조의 일측에는 수위감지센서(126)가 구비되고 하측에는 세척액배출구(127a,127b,127c)가 각각 구비되어, 수위감지센서(126)에 의해 현재 세척액의 수위를 감지하여 제어수단(80)으로 감지신호를 전송해 주어 세척액이 부족한 경우에는 세척액배출구(127a,127b,127c)를 통해 세척액을 채워주고, 넘치는 경우에는 메인탱크(130)로 회수가 가능하도록 펌프(70)를 작동시켜 기본세척조(120c)와 초음파세척조(120b)와 린스조(120a)를 모두 비우고 세척으로 인해 가라앉은 버(burr) 또는 가공유를 작업자가 청소가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2)의 양측에는 각각 상향하는 유입구(102a)와 배출구(102b)가 각각 관통되게 형성되는데 그 유입구(102a)와 배출구(102b)의 내주면에는 쿨링코일(140a,140b)이 각각 형성되며 그 쿨링코일(140a,140b)의 하측에는 집수부(141a,141b)가 형성되어 증발되어 쿨링코일(140a,140b)에 의해 응축된 세척액이 모여지면 수분분리기(144a,144b)에 투입되어 분리된다. 이때, 상기 수분분리기(144a,144b)는 일반적인 수분(물)의 비중이 약 "1"임에 비해 세척액이 대략 "1.4"정도이므로 수분은 위로 뜨고 세척액은 상대적으로 무거우므로 가라앉아 분리된 상태의 세척액을 다시 하우징(102) 내부로 재투입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유입구(102a)의 내부 하측에는 상기 세척용 드럼(110)의 내측을 향하도록 경사진 안내판(146)이 구비되어 상기 수평이송수단(40)의 수평형 컨베이어(47)에 의해 안내되는 체결요소(1)를 세척용 드럼(110)의 내부로 이송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 세척용 드럼(110)의 출구쪽 하부에는 무한궤도식으로 회전하되 상기 배출구(102b)의 상부 외측으로 돌출되는 버킷컨베이어(147)가 경사지게 구비되어 세척용 드럼(110)에 의해 이송되어 세척된 체결요소(1)가 버킷(147a)에 담겨져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2)의 외측 상부에는 세척액이 채워지는 메인탱크(130)와 메인탱크(130)의 세척액이 부족한 경우 이를 보충해주기 위한 보조탱크(132)가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하우징(102)의 외측에는 기본세척조(120a)의 토출구(121)를 통해 유입되는 세척액을 정제시켜 세척수단(100)의 내부로 재투입하기 위한 증류수단(150)이 구비된다.
이와 같은 증류수단(150)은 도 7에 의하면 내부에 오일매체(152)가 채워지고 그 사이에 히터(153)가 구비되어 오일매체(152)를 가열시켜주게 되며, 그 오일매체(152)의 상측에는 상기 가본세척조(120a)의 토출구(121)를 통해 유입되는 세척액이 채워지게 된다. 한편, 상기 세척액의 상부에는 하우징(151)의 내주면을 따라 쿨링코일(154)이 형성되고, 하우징(151)의 외부 일측에는 수분분리기(155)가 구비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에 의해 기본세척조(120a)에서 유입된 세척액은 가열되어 증기로 기화되어 상승되고, 그 상승된 증기는 냉각수단(160)에 의해 냉각된 냉각수가 순환하는 쿨링코일(154)에 의해 냉각되어 응축된 상태로 내측 벽면(151a)을 따라 흘러내려 집수부(156)에 모아진 후 일측에 구비되는 수분분리기(155)에 투입되어 비중이 상대적으로 낮은 수분이 분리된 상태로 세척용 드럼(110)의 출구쪽 내측 중앙부에 구비되는 분사구(170)를 통해 배출되어 체결요소(1)를 마지막으로 세척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체결요소(1)를 세척한 세척액이 흘러내려 린스조(120c)로 재투입되며 이와 같은 과정은 계속적으로 반복 수행된다.
한편, 상기 세척수단(100)은 그 하우징(102)의 외측에 상기 유입구(102a) 및 배출구(102b)에 구비되는 쿨링코일(140a,140b)과 증류수단(150)에 구비되는 쿨링코일(154)의 내부를 순환하는 냉각수를 공급하기 위한 냉각수단(160)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세척수단(100)을 거치면서 세척되어 버킷컨베이어(147)에 의해 이송 배출된 체결요소(1)는 건조수단(50)을 거치게 되는데, 상기 건조수단(50)은 체결요소(1)가 이동가능하도록 망형상의 벨트(52)가 모터(54)에 의해 무한궤도식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수평형 컨베이어(56)가 구비되고, 그 하측에는 하나 이 상의 송풍팬(57)이 구비되어 체결요소(1)를 건조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수평형 컨베이어(56)의 상측에는 활성탄으로 이루어진 충진재층(58)이 구비되고 그 상부에는 공기배출구(59)가 형성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 중에 섞여있는 악취를 탈취시킨다. 이 경우 건조수단(50)이 송풍팬(57)만을 가지는 것만을 설명하였으나, 그 일측에 히터(미도시됨)도 함께 구비하여 건조효율을 증대시키고 건조시간을 단축시키도록 구성함도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수평형 컨베이어(56)를 통해 이송되며 건조과정을 거친 체결요소(1)는 다수의 경사판(62)이 하우징(64)의 내부 양측에 형성되어 안내하는 회수통(60)을 거치면서 회수통(60)의 하부에 마련되는 수납상자(66)에 담겨지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체결요소의 자동 세척 시스템의 작동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전원을 투입시켜 제어수단(80)을 기동시키면 시스템이 초기화 됨과 동시에 수위감지센서(126)의 감지신호를 입력받고 수위가 부족한 것을 감지한 후 이에 따라 펌프(70)를 구동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펌프(70) 구동에 따라 린스조(120c)의 측면에 형성되는 세척액배출구(127c)를 통해 메인탱크(130)의 내부에 채워져 있는 세척액을 투입하게 되면 인접한 구획벽(122a)의 상단을 넘어 초음파세척조(120b) 내부로 이동하게 되고, 초음파세척조(120b)가 채워지게 되면 다시 구획벽(122b)의 상단을 넘어 기본세척조(120a) 내부로 이동하게 되어 채워지게 된다.
따라서, 세척액을 계속적으로 투입하여 최종적으로 린스조(120c)와 초음파세척조(120b)와 기본세척조(120a)를 모두 채우게 되면 수위감지센서(126)의 감지신호에 따라 제어수단(80)의 제어신호에 의해 펌프(70)의 구동을 멈추게 된다. 이때, 상기 과정 이후에도 계속적으로 수위감지센서(126)는 그 현재 수위를 감지하여 실시간으로 그 부족분을 메인탱크(130)로 부터 투입받게 된다.
그리고, 기본세척조(120a)와 초음파세척조(120b) 및 린스조(120c)에 구비된 히터(124a,124b,124c)를 가열시켜 세척액의 세척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해 예를 들면 40℃정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히터(124a,124b,124c)의 온/오프는 온도센서(125a,125b,125c)의 감지신호에 따라 제어수단(80)의 제어에 의하게 된다.
한편, 상기 초기화 과정을 거친 후에는 체결요소(1)가 채워진 공급통(7)을 승강시켜 제1 진동피딩수단(97)을 이용하여 체결요소(1)를 분산 이송시켜 바스켓(10)에 채우고 난후, 원심탈유수단에 의해 바스켓(10)을 회전시켜 체결요소(1) 표면의 가공유를 제거시키게 된다.
그런 다음 바스켓(10)은 제2 승강수단(30)에 의해 승강되어 제2 진동피딩수단(40)의 입구인 호퍼(42)의 상부에 안착되면서 누름부재(44)에 의해 개폐판(16)의 하측이 가압되어 개폐판(16)이 상방향으로 이동하며 배출구(12a)가 개방되어 체결요소(1)들이 제2진동피딩수단(40)의 상부판(46)을 통해 이송되어 세척수단(100)의 내부로 투입된다.
이와같이 이송된 체결요소(1)는 유입구(102a)와 세척수단(100)의 경사진 안 내판(146)을 따라 세척용 드럼(110)으로 투입된다.
이때, 세척용 드럼(110)은 구동모터(106)의 구동에 의해 회전축(106a)에 고정된 구동 스프로켓(108)을 회전시켜 체인벨트(117)로 연결된 종동 스프로켓(116)을 회전시킴으로 인해 롤러(104a,104b,105a,105b)에 지지된 상태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같이 세척용 드럼(110)의 회전함에 따라 세척용 드럼(11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나선방향으로 내향 돌출되는 이송블레이드(112)의 안내에 의해 체결요소(1)를 세척용 드럼(110)의 출구쪽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체결요소(1)가 제1 확장부(118a)를 거치게 되는데 이 경우 다수의 타공된 관통홀(114)이 제1 확장부(118a)에도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를 통해 세척액이 침투되어 1차적으로 체결요소(1)에 묻어있는 버(burr) 또는 가공유를 탈거시키게 된다.
이는 완전하게 제거되지 못한 상태이므로 체결요소(1)가 제2 확장부(118b)로 이송되어 다시 2차적으로 초음파세척조(120b)에서 탈거시키게 된다. 상기 초음파세척조(120b)는 내측 바닥에 상기 초음파세척조(120b)의 내부에 담겨지는 세척액에 초음파를 발생하는 초음파 진동자와 그 초음파 진동자를 구동하는 고주파발진기로 이루어져 제어수단(80)의 제어에 의해 작동되는 초음파발생수단(123)이 구비되어 세척액에 초음파를 가하여 초음파 진동에 의해 액압(液壓)이 발생하고 이 액압은 충격적인 변동에 의하여 분산작용을 일으켜 체결요소(1)의 표면은 물론 그 틈새의 이물질까지 세척하게 된다.
그리고, 체결요소(1)는 제3 확장부(118c)를 거치면서 한번더 린스조(120c)에 서 버(burr) 또는 가공유를 탈거시키게 된다.
이와같은 세번의 과정을 거치면서 출구쪽으로 배출되는 것이다.
이때, 기본세척조(120a)의 토출구(121)를 통해 증류수단(150)의 오일매체(152)의 상부에 세척을 한 상태의 세척액이 채워지게 되는데 이는 히터(153)의 가열에 의해 증기상태로 기화되어 상승되며, 그 상승된 증기는 냉각수단(160)에서 공급되는 냉각수가 순환되는 쿨링코일(154)에 의해 응축된 상태로 내측 벽면(151a)을 따라 흘러내려 집수부(151b)에 모아진 후 일측에 구비되는 수분분리기(155)에 투입되어 수분을 제거하여 정제된 상태의 세척액을 세척용 드럼(110)의 출구쪽 내측 중앙부에 구비되는 분사구(170)의 분사공(170a)을 통해 배출시켜 주어 상기 체결요소(1)를 마지막으로 세척시키게 된다.
한편, 세척조의 세척액은 히터(124a,124b,124c)에 의해 가열된 상태이므로 어느정도의 증기상태로 증발하면서 세척수단(100)의 양측 유입구(102a)와 배출구(102b) 쪽으로 이동되어 외부로 증발되는데 이를 막기 위해 유입구(102a)와 배출구(102b)의 내주면에 구비되는 쿨링코일(140a,140b)에 냉각수를 순환시켜 증발하는 세척액을 응축시켜 벽면을 따라 낙하(落下)되면 이를 수분분리기(144a,144b)에서 비중차이에 의해 수분을 분리한 상태의 세척액을 기본세척조(120a)로 재투입시켜 세척액의 손실을 줄여주게 된다.
한편, 상기 세척용 드럼(110)의 출구쪽으로 배출되는 체결요소(1)는 세척액이 제거되지 못한 상태이므로 이는 경사지게 설치되는 버킷컨베이어(147)의 버킷(147a)에 담겨져 상측으로 이동하며 건조수단(50)의 수평형 컨베이어(56)의 밸 트(52)의 상부로 이송되며 그 하측의 송풍팬(57) 작동에 의해 체결요소(1)에 묻어있는 세척액을 건조시켜 회수통(60)으로 배출시키게 되어 수납상자(66)에 채워지게 된다. 이때 건조과정 중에 발생되는 공기는 상기 수평형 컨베이어(56)의 상측에 구비되는 충진재층(58)에 의해 악취가 탈취되어 공기배출구(59)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체결요소(1)를 세척하는 과정 중에 세척액의 증발 등으로 인해 부족해지는 경우에는 메인탱크(130)의 내부로 보조탱크(132)에 저장되어 있는 새 세척액을 투입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체결요소(1)의 세척과정이 모두 끝난 경우에는 펌프(70)를 작동시켜 세척액배출구(127a,127b,127c)를 통해 메인탱크(130)의 내부로 회수시킨 후 기본세척조(120a)와 초음파세척조(120b) 그리고 린스조(120c)의 내부에 가라앉은 가공유 또는 버를 제거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친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볼트나 너트 등과 같은 체결요소의 가공 과정중에 발생되는 가공유와 버(burr) 기타 이물질(dust) 등 을 자동으로 제거하여 세척 및 건조시켜 주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세척을 하고 난 불순물이 섞여있는 세척액을 증류수단(150)을 이용하여 재생시켜 세척수단(100) 내부로 재차 투입시켜 줌으로서 세척액의 소모량을 줄여 환경오염을 줄이는 효과가 있으며, 세척에서 부터 건조과정이 유기적으로 하나의 시스템에서 수행되어 작업효율의 극대화를 이끌어내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체결요소(1)를 이송시키는 이송수단과;
    상기 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된 체결요소(1)를 세척액을 이용하여 세척하는 세척수단(100)과;
    상기 세척수단(100)에 의해 세척된 체결요소(1)를 건조시키는 건조수단(50)과;
    상기 이송수단과 세척수단(100) 및 건조수단(50)을 제어하는 제어수단(8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요소의 자동 세척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체결요소(1)가 담겨진 공급통(7)을 승강시키는 제1 승강수단(95)과, 상기 제1 승강수단(95)에 의해 이송된 공급통(7)으로 부터 체결요소(1)를 분산 이송시키는 제1 진동피딩수단(97)과, 상기 제1 진동피딩수단(97)에 의해 이송되는 체결요소(1)가 담겨지는 바스켓(10)과, 상기 체결요소(1)가 담겨진 바스켓(10)을 회전시켜 원심력에 의해 체결요소(1) 표면의 가공유를 제거하는 윈심탈유수단(90)과, 상기 원심탈유수단(90)을 탈유된 바스켓(10)을 승강 이송시키는 제2 승강수단(30)과, 상기 제2 승강수단(30)에 의해 이송된 바스켓(10)에 담겨진 체결요소(1)를 분산 이송시키는 제2 진동피딩수단(4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요소의 자동 세척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바스켓(10)은;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상이며 하부는 상광하협(上廣下峽)하는 깔대기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그 중앙 하부에는 개구된 배출구(12a)가 형성되고 내측에는 지지부재(14)가 구비되는 용기(12)와;
    상기 배출구(12a)를 개폐하도록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돔형상의 개폐판(16);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요소의 자동 세척 시스템.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진동피딩수단(40)은;
    상기 바스켓(10)이 안착되면 상기 개폐부재(16)의 개폐판(16)의 하부를 가압하여 바스켓(10)의 체결요소를 배출시키도록 하는 누름부재(44)가 구비되는 호퍼(42)와;
    상기 호퍼(42)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체결요소(1)들을 배출구(12a)를 통해 배출되는 체결요소(1)들이 이동하는 상부판(46)과 상기 상부판의 하부에 진동을 가하는 진동기(45);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요소의 자동 세척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단(100)은;
    상하부가 밀폐되고 일측에 상기 수평이송수단(40)에 의해 이송된 체결요소가 유입되는 유입구(102a)와 세척된 체결요소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102b)가 형성되는 하우징(102)과;
    상기 하우징(102)의 내부에 상기 유입구(102a)로 부터 이송되는 체결요소(1)를 상기 배출구(102b)로 이송이키도록 수평상태로 놓여지되 나선방향으로 내향돌출되는 이송블레이드(112)가 내주면에 형성되며 표면에는 다수의 관통공(114)이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형성되어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세척용 드럼(110)과;
    상기 세척용 드럼(110)의 하부에 위치하여 세척액이 채워지며 상기 세척용 드럼의 하측이 잠기는 세척조와;
    상기 세척조를 거치며 세척된 체결요소(1)를 상기 건조수단(50)에 이송시키는 버킷컨베이어(147)와;
    상기 세척조의 세척액을 재생시켜 상기 세척용 드럼(110)의 내부로 재투입시키는 증류수단(15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요소의 자동 세척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수단(50)은;
    상기 체결요소(1)가 이동가능하도록 망형상의 벨트(52)가 무한궤도식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수평형 컨베이어(56)와;
    상기 수평형 컨베이어(56)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벨트(52)상에 놓여진 체결요소(1)를 건조시키는 송풍팬(57)과;
    상기 수평형 컨베이어(56)의 상부에 구비되어 건조시 발생되는 악취를 제거하는 활성탄으로 이루어지는 충진재층(58);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요소의 자동 세척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형 컨베이어(56)를 통해 이송되며 건조과정을 거친 체결요소(1)가 이송되는 다수의 경사판(62)이 하우징(64)의 내부 양측에 형성되어 안내하는 회수통(60)과;
    상기 회수통(60)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회수통(60)을 통해 배출되는 체결요소가 담겨지는 수납상자(6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수단의 자동 세척 시스템.
KR1020050022055A 2005-03-17 2005-03-17 체결요소의 자동 세척 시스템 KR1006792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2055A KR100679283B1 (ko) 2005-03-17 2005-03-17 체결요소의 자동 세척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2055A KR100679283B1 (ko) 2005-03-17 2005-03-17 체결요소의 자동 세척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0507A true KR20060100507A (ko) 2006-09-21
KR100679283B1 KR100679283B1 (ko) 2007-02-06

Family

ID=37631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2055A KR100679283B1 (ko) 2005-03-17 2005-03-17 체결요소의 자동 세척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928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6058B1 (ko) * 2013-07-25 2015-06-04 정재욱 태양에너지를 이용한 자동세척장치
CN114279182A (zh) * 2021-12-27 2022-04-05 奉节县夔宇农业开发有限责任公司 一种便于中药材加工用的原料快速烘干装置
CN115198282A (zh) * 2022-07-06 2022-10-18 江苏兴隆防腐设备有限公司 一种连续式酸洗设备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26530A (ja) 1998-02-16 1999-08-24 Hitoshi Kokubu 洗浄装置
KR200183777Y1 (ko) * 1998-03-16 2000-08-01 김정대 공업제품용 세척기
JP2002320932A (ja) 2001-04-27 2002-11-05 Mitsubishi Heavy Ind Ltd リサイクルpetフレークの洗浄方法、およびリサイクルpetフレーク洗浄装置
KR100555836B1 (ko) * 2001-11-09 2006-03-03 주식회사 포스코 재질 시험편 자동 세척장치
KR100449759B1 (ko) * 2002-03-21 2004-09-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자관용 음극 및 그 제조방법
KR100542972B1 (ko) * 2003-04-15 2006-01-20 주식회사 파이컴 볼 세정 장치
JP4423879B2 (ja) 2003-04-17 2010-03-03 信越半導体株式会社 物品の自動搬送水切り装置および自動搬送水切り方法、並びに物品の自動洗浄装置及び自動洗浄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6058B1 (ko) * 2013-07-25 2015-06-04 정재욱 태양에너지를 이용한 자동세척장치
CN114279182A (zh) * 2021-12-27 2022-04-05 奉节县夔宇农业开发有限责任公司 一种便于中药材加工用的原料快速烘干装置
CN114279182B (zh) * 2021-12-27 2023-01-17 奉节县夔宇农业开发有限责任公司 一种便于中药材加工用的原料快速烘干装置
CN115198282A (zh) * 2022-07-06 2022-10-18 江苏兴隆防腐设备有限公司 一种连续式酸洗设备
CN115198282B (zh) * 2022-07-06 2024-04-23 江苏兴隆防腐设备有限公司 一种连续式酸洗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9283B1 (ko) 2007-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8509782A (ja) 廃棄物の再生処理方法およびそのための装置
KR102144688B1 (ko) 폐스티로폼 재활용 감용장치
KR100679283B1 (ko) 체결요소의 자동 세척 시스템
JP2015525138A (ja) 研削スラッジから研削油を分離するための装置と方法
US5755973A (en) Portable wastewater treatment method
KR100740269B1 (ko) 기계부품용 초음파 자동세척기
KR100605007B1 (ko) 초음파 세척 시스템
US6244279B1 (en) Vertical conveyor parts washer with rotary carriers
KR20060100508A (ko) 체결요소의 자동 세척 수단
JP2002320932A (ja) リサイクルpetフレークの洗浄方法、およびリサイクルpetフレーク洗浄装置
KR20100006384U (ko) 과실 선별 세척장치
JP2008070936A (ja) コイン洗浄装置
KR200345658Y1 (ko) 토양 세척 및 복원장치
KR100630947B1 (ko) 전처리 설비
CN111471816B (zh) 一种带有甩干功能的驴皮清洗机
KR200221546Y1 (ko) 세척력을 높인 벨트 프레스형 탈수기의 여과포 세척장치
KR19980013870A (ko) 곡물 세척 장치(grain washer)
KR20020083900A (ko) 건축폐기물 분리기
KR200242109Y1 (ko) 건축폐기물 분리기
JPH08257283A (ja) 産業用クリーニング装置
KR850002308Y1 (ko) 분뇨 처리 장치
RU2323823C1 (ru) Моечное оборудование для измельченных отходов полимерных материалов
KR100522126B1 (ko) 건설 폐기물의 슬러지 재활용 처리시설
KR200332236Y1 (ko) 건설 폐기물의 골재 세척용 콘베이어 구조
KR200379322Y1 (ko) 전처리 설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