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5658Y1 - 토양 세척 및 복원장치 - Google Patents

토양 세척 및 복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5658Y1
KR200345658Y1 KR20-2003-0039257U KR20030039257U KR200345658Y1 KR 200345658 Y1 KR200345658 Y1 KR 200345658Y1 KR 20030039257 U KR20030039257 U KR 20030039257U KR 200345658 Y1 KR200345658 Y1 KR 2003456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il
washing
liquid
washing tub
cleaning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92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이동
Original Assignee
박이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이동 filed Critical 박이동
Priority to KR20-2003-00392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565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56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565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1/00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1/02Extraction using liquids, e.g. washing, leaching, flot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24Separation of coarse particles, e.g. by using sieves or screens

Abstract

본 고안은 세척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유지보수가 간편한 새로운 구조의 토양 세척 및 복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베이스 프레임(10)과, 이 베이스 프레임(10)에 회전가능하게 수평설치되며 양단에는 투입구(22)와 배출구(24)가 각각 형성된 세척통(20)과, 이 세척통(20)의 배출구(24) 하측에 구비되어 배출되는 세정액과 세척된 토양을 분리하는 토양분리수단(30)과, 이 토양분리수단(30)에 연결되어 세정액과 오염물질을 분리하는 유수분리조(40)와, 이 유수분리조(40)와 세척통(20) 사이에 연결되고 그 중앙부에는 순환펌프(P)가 설치된 세정액 순환라인(70)을 포함하여 구성된 토양 세척장치에 있어서, 상기 세척통(20) 내부에는 상기 순환라인(70)에 연결되어 세척통(20)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설치된 세정액노즐관(80)과, 이 세정액노즐관(80)에 소정간격으로 설치되어 세척통(20)을 따라 세정액 수면 위로 올라오는 토양에 세정액을 분사하는 다수개의 세정액분사노즐(86)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 세척 및 복원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토양 세척 및 복원장치{A soil purifying and recovering apparatus}
본 고안은 토양 세척 및 복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세척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유지보수가 간편한 새로운 구조의 토양 세척 및 복원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류나 화학물질 등에 의해 오염된 토양이나 골재 등은 오염물질에 의해 지하수로 확산되어 주변환경이나 생태계에 심각한 피해를 유발시킨다. 특히, 정유공장이나 주유소 주변에는 누설되는 유류에 의해 토양오염이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러한 피해를 막기 위하여 빠른 시간에 오염된 토양이나 골재 등을 세척하여 복원할 수 있는 세척장치가 필요하였다.
한편, 현재까지 알려져 있는 국내외의 토양복원 기술 등은 미생물이나 화학물질에 의한 방법과 기계장치에 의한 방법 등 다양한 처리방법 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처리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처리장치가 각각 다양한 형태의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대부분 장치규모가 크고 복잡하며 고가의 설비이므로, 이에 의해 토양의 오염물질을 제거하기란 소규모 업체에서는 현실적으로 행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세정액을 한번사용하면 재사용하기 곤란하여 처리비용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토양 세척 및 복원장치가 본 고안자에 의해 개발되어 실용신안등록 제20-0304970호에 의해 등록된바 있다. 도 1은 이러한 토양 세척 및 복원장치를 보여주는데, 그 구조는 프레임(1)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양단에는 투입구(2a)와 배출구(2b)가 각각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나선방향의 블레이드(2c)가 내향돌출 형성되며 그 선단이 외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경사져 형성된 세척통(2)과, 이 세척통(2)의 배출구(2b)측 경사부(2d) 둘레부에 형성되어 세정액 및 미세토양을 배출시키는 스크린부(3)와, 이 스크린부(3)의 하측에 설치되어 이 스크린부(3)를 통해 배출된 세정액 및 미세토양을 저장하는 저장조(4)와, 이 저장조(4)와 연결되어 이 저장조(4)에 유입된 세정액과 오염물질인 유류를 분리하는 유수분리조(5)와, 이 유수분리조(5)에 연결되어 분리된 세정액을 보관하는 세정액저장조(8)와, 그 일측단이 상기 저장조(4)의 하측에 위치되고 타측으로 갈수록 저장조(4)의 외측으로 배치되어 스크린부(3)를 통해 배출된 미세토양을 저장조(4)의 외측으로 분리해내는 컨베이어(6)와, 상기 세정액저장조(8)와 세척통(2)의 투입구(2a) 사이에 연결되며 그 중앙부에는 순환펌프(P)가 설치된 세정액 순환라인(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미설명 번호 2e는 세정액과 오염된 토양이나 골재 등을 세척통(2)의 투입구(2a)로 유입되도록 하는 호퍼이며, 번호 2f는 상기 세척통(2)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이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상기 토양 세척 및 복원장치는 세정액과 오염된 토양이나 골재 등을 세척통(2)의 호퍼(2e)를 통해 투입하면 구동모터(2f)에 의해 세척통(2)이 회전하면서, 이 세척통(2)내에 형성된 블레이드(2c)에 의해 교반됨과 더블어 이송되면서 오염된 토양이나 골재를 세정액에 의해 세정하고, 세정액과 미세토양은 상기 스크린부(3)를 통해 저장조(4)로 배출되고 입자가 상대적으로 큰 토양이나 골재는 배출구(2b)를 통해 배출된다. 이때, 스크린부(3)를 통해 배출된 세정액과 미세토양은 상기 저장조(4)에 구비된 콘베이어(6)에 의해 분리되어 미세토양은 저장조(4)의 외측으로 배출되고 세정액만 저장조(4)에 남게 되며, 이 저장조(4)에 연결된 유수분리조(5)에 의해 오염물질인 유류가 비중차에 의해 오버플로우되어 이 유수분리조(5)의 일측에 구비된 유류저장조(5a)에 담겨지고 세정액은 유수분리조(5) 일측에 구비된 세정액저장조(8)로 옮겨져 순환라인(7)을 통해 다시 세척통(2)의 투입구(2a)로 유입되어 재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토양 세척 및 복원장치는 세척통(2)을 회전시켜 세척하게 되면 토양이나 골재 등이 블레이드(2c)에 의해 회전되는 세척통(2)을 따라 수면 상측으로 상승되어, 세척통(2)의 세정액에 잠겨져 교반되면서 세척되지 못하여, 전체적인 세척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토양 세척장치는 스크린부(3)를 통해 배출되는 미세토양은 콘베이어(6)를 타고 저장조(4)의 외측으로 완전히 배출되지 못하고, 세정액과 함께 유수분리조(5)와 세정액저장조(8)로 유입되어 장기간 사용하다 보면 이 유수분리조(5)와 세정액저장조(8)에 미세토양 등이 적층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주기적으로 유수분리조(5)와 세정액저장조(8)의 적층된 미세토양 등을 작업자가 일일이 수거하여야 하는 등의 유지보수가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토양이 세척통의 세정액에 지속적으로 잠겨져 교반되도록 하여 세척 효율을 향상시키고 자동으로 미세토양이 배출되도록 하여 유지보수가 편리하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토양 세척 및 복원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토양 세척 및 복원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토양 세척 및 복원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상기 실시예의 정단면도
도 4는 상기 토양 세척 및 복원장치의 세척통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베이스 프레임 20. 세척통
30. 토양분리수단 40. 유수분리조
50. 세정액저장조 60. 탈수장치
70. 순환라인 80. 세정액노즐관
86. 세정액분사노즐 90. 에어노즐관
96. 에노분사노즐
본 고안에 따르면, 베이스 프레임(10)과, 이 베이스 프레임(10)에 회전가능하게 수평설치되며 양단에는 투입구(22)와 배출구(24)가 각각 형성된 세척통(20)과, 이 세척통(20)의 배출구(24) 하측에 구비되어 배출되는 세정액과 세척된 토양을 분리하는 토양분리수단(30)과, 이 토양분리수단(30)에 연결되어 세정액과 오염물질을 분리하는 유수분리조(40)와, 이 유수분리조(40)와 세척통(20) 사이에 연결되고 그 중앙부에는 순환펌프(P)가 설치된 세정액 순환라인(70)을 포함하여 구성된 토양 세척장치에 있어서, 상기 세척통(20) 내부에는 상기 순환라인(70)에 연결되어 세척통(20)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설치된 세정액노즐관(80)과, 이 세정액노즐관(80)에 소정간격으로 설치되어 세척통(20)을 따라 세정액 수면 위로 올라오는 토양에 세정액을 분사하는 다수개의 세정액분사노즐(86)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 세척 및 복원장치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토양분리수단(30)은 세척통(20)의 배출구(24) 하측에 설치되어 스크린(33)에 의해 입자가 큰 토양이나 골조를 분리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골조분리기(32)와, 이 골조분리기(32)에 연결되어 세정액과 미세토양을 저장하는 저장조(34)와, 이 저장조(34)에 경사지게 설치되어 미세토양을 외부로 건져올리는 콘베이어(3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 세척 및 복원장치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유수분리조(40)의 일측에는 배관(62)에 의해 유수분리조(40)에 연결되어 침전된 미세토양을 공급받아서 여과 탈수하는 탈수장치(6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 세척 및 복원장치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세척통(20) 내부에는 세정액노즐관(80)과 평행하도록 길게 연장설치된 에어노즐관(90)이 구비되며, 이 에어노즐관(90)에는 상기 세정액분사노즐(86) 사이에 위치되어 세척통(20)을 따라 세정액 수면 상측으로 올라오는 토양에 고압에 에어를 분사하는 다수개의 에어분사노즐(96)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 세척 및 복원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토양 세척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으로, 이를 참조하면, 상기 토양 세척 및 복원장치는 베이스 프레임(10)과, 이 베이스 프레임(10)에 회전가능하게 수평설치되며 양단에는 투입구(22)와 배출구(24)가 각각 형성된 세척통(20)과, 이 세척통(20)의 배출구(24) 하측에 구비되어 배출되는 세정액과 세척된 토양을 분리하는 토양분리수단(30)과, 이 토양분리수단(30)에 연결되어 세정액과 오염물질을 분리하는 유수분리조(40)와, 이 유수분리조(40)와 세척통(20) 사이에 연결되고 그 중앙부에는 순환펌프(P)가 설치된 세정액 순환라인(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은 상기 세척통(20)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그 양단 전후방에는 세척통(20)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롤러(12)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롤러(12)가 세척통(20)의 양단을 지지하여 후술하는 구동모터(28)에 의해 세척통(20)이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세척통(20)은 그 양단에 투입구(22)와 배출구(24)가 각각 형성된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져 베이스 프레임(10)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것으로, 그 일측 투입구(22)측에 연결된 구동모터(28)를 이용하여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세척통(20)의 내주면에는 나선방향의 블레이드(26)가 내향돌출 형성되어 투입되는 세정액과 오염된 토양, 골재 등을 교반하면서 배출구(24)쪽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세척통(20)의 배출구(24)쪽 단부는 외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경사져 형성되어, 세척된 토양이나 자갈 등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하며, 배출구(24)의 직경은 투입구(22)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어, 세정액이 배출구(24)측으로 흘러 넘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구동모터(28)는 세척정도 및세척량에 따라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토양분리수단(30)은 세척통(20)에서 배출되는 세정액과 세척된 토양을 분리하는 것으로, 세척통(20)의 배출구(24) 하측에 설치되어 입자가 큰 토양이나 골조를 분리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골조분리기(32)와, 이 골조분리기(32)에 연결되어 세정액과 미세토양을 저장하는 저장조(34)와, 이 저장조(34) 내부에 경사지게 설치되어 미세토양을 외부로 건져올리는 콘베이어(36)로 구성된다.
상기 골조분리기(32)는 그 상단에 투입구(32a)가 형성되고 일측 둘레부 상하측에는 골조배출구(32b)와 세정액배출구(32c)가 각각 형성된 통형상의 부재로서, 그 내부 중앙부에는 스크린(33)이 수평방향으로 설치되고, 저면에는 진동모터(31)가 설치된다. 따라서, 공급되는 세정액과 미세토양은 바닥면으로 낙하되어 상기 저장조(34)로 유입되고 입자가 큰 토양이나 골조는 요동되는 스크린(33)에 의해 골조배출구(32b)로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투입구(32a) 상측에는 세척통(20)에서 배출되는 세정액과 골조를 골조분리기(32)로 안내하는 호퍼(35)가 도시안된 지지대에 의해 골조분리기(32)에 고정되며, 상기 골조분리기(32)의 골조배출구(32b) 하측에는 세척된 입자가 큰 토양이나 골조를 토양저장조(39)로 이송시키는 이송콘베이어(38)가 구비된다.
상기 저장조(34)는 골조분리기(32)의 세정액배출구(32c) 하측에 구비되어 배출되는 세정액 및 미세토양을 저장하는 것으로서, 이 저장조(34)에는 미세토양을 저장조(34)의 외부로 건져올리는 콘베이어(36)가 구비된다. 이 콘베이어(36)는 그 일측단이 저장조(34)의 하측에 위치되고 타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져 저장조(34)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골조분리기(32)를 통해 배출된 세정액과 미세토양 중 미세토양을 저장조(34)의 외측으로 분리해내도록 구성된다.
상기 유수분리조(40)는 상기 저장조(34)에 연결되어 유입된 세정액가 오염물질을 분리하는 것으로서, 그 일측에는 비중차에 의해 유류가 오버플로우되어 저장되는 유류저장조(42)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유수분리조(40)의 일측에는 분리된 세정액을 보관하면서 상기 세척통(20)의 호퍼(21)로 순환시켜 재활용할 수 있도록 된 세정액저장조(50)이 연결된다. 이때, 이 세정액저장조(50)의 하측에는 수위감지용 센서(52)가 구비되어 세정액이 세정액저장조(50)에서 일정수위 아래로 내려오면 이 세정액저장조(50)의 세정액 보충관(54)을 통해 자동으로 새로운 세정액이 세정액저장조(50)로 보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유수분리조(40)에는 탈수장치(60)가 연결된다. 이 탈수장치(60)는 배관(62)을 통해 유수분리조(40)의 바닥쪽에 연결되어 이 유수분리조(40)의 바닥면에 침전된 미세토양을 펌프(도시하진 않음)에 의해 공급받아서 이를 여과 탈수하여 미세토양은 배출하고 탈수된 세정액은 다시 세정액저장조(50)로 유입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탈수장치(60)에 의해 유수분리조(40)에 침전된 미세먼지를 자동으로 여과 탈수하여 배출하게 되므로, 유지보수가 매우 편리하다. 이때, 상기 탈수장치(60)는 다수개의 필터로 미세토양을 유입시켜 이 필터를 압착시키면 세정수는 외측으로 배출되고 이 필터를 벌리면 미세토양은 하측으로 낙하되도록 하는 필터프레스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정액 순환라인(70)은 세정액저장조(50)와 세척통(20)의 투입구(22)사이에 연결된 것으로, 이 순환라인(70)의 중앙에는 순환펌프(P)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순환라인(70)에 의해 오염물질과 분리된 세정액을 세척통(20)으로 순환하여 재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세척통(20) 내부에는 상기 순환라인(70)에 연결된 세정액노즐관(80)이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설치된다. 이 세정액노즐관(80)은 세정액을 세척통(20)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세척통(20)의 회전중심에 대해 편심된 위치, 즉, 일측 내벽면에 인접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세정액분노즐관(80)의 둘레부에는 세척통(20)을 따라 세정액 수면(S) 상측으로 올라오는 토양에 세정액을 분사하는 다수개의 세정액분사노즐(86)이 소정간격으로 다수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세정액노즐관(80)의 일측에는 이 세정액노즐관(80)과 평행하도록 길게 연장설치된 에어노즐관(90)이 소정간격 이격설치된다. 이 에어노즐관(90)은 세척통(20) 내부로 고압의 에어를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일단부에는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공기탱크(92)와 공기압축기(94)로 구성된 에어공급수단(95)이 연결된다. 이때, 상기 에어노즐관(90)의 둘레부에는 세척통(20)을 따라 세정액 수면 상측으로 올라오는 토양에 고압에 에어를 분사하는 다수개의 에어분사노즐(96)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에어분사노즐(96)은 바람직하게는 세정액노즐관(80)의 세정액분사노즐(86) 사이 사이에 위치되도록 하여 토양이 세척통(20)의 수면 상부로 올라오는 것을 최대한 줄일 수 있도록 구성된다.
미설명 도면번호 9는 오염된 토양이나 골재 등을 저장하는 저장탱크이며, 도면번호 9a는 상기 저장탱크(9)에 보관된 토양이나 골재 등을 상기 세척통(20)의 호퍼(21)로 이송하는 투입콘베이어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세정액과 오염된 토양이나 골재 등을 세척통(20)에 투입시켜 구동모터(28)에 의해 세척통(20)을 회전시키면, 이 세척통(20)내에 형성된 블레이드(26)에 의해 교반됨과 더블어 배출구(24)측으로 이송되면서 오염된 토양이나 골재는 세정액에 의해 세정되고, 세정액과 세척된 토양이나 골조는 배출구(24)를 통해 골조분리기(32)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세척통(20)을 따라 세정액 수면(S) 상측으로 올라오는 토양은 이 세척통(20) 내부에 구비된 다수개의 세정액분사노즐(86)과 에어분사노즐(96)에서 분사되는 고압의 세정액과 에어에 의해 하측으로 쓸려내려가서 세정액에 잠겨지도록 하여 오염된 토양이 계속적으로 세정액과 교반되어 세척된다.
이어서, 골조분리기(32)로 유입된 세정액과 세척된 토양이나 골조는 내부에 구비된 스크린(33)에 의해 세정액과 미세토양은 그 하측으로 떨어져 저장조(34)로 배출되고 입자가 큰 토양이나 골조는 진동모터(31)에 의해 요동되는 스크린(33)에 의해 골조분리기(32)의 골조배출구(32b)를 통해 배출되어 컨베이어(38)를 통해 토양저장조(39)로 저장된다. 이때, 상기 저장조(34)로 유입된 세정액과 미세토양은 이 저장조(34)에 구비된 콘베이어(36)에 의해 분리되어 미세토양은 저장조(34)의 외측으로 배출되고 세정액만 저장조(34)에 남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저장조(34)에 연결된 유수 분리조(40)에 의해 오염물질인 유류가 비중차에 의해 오버플로우 되어 유류저장조(42)에 담겨지고 세정액은 세정액저장조(50)로 옮겨져 순환라인(70)을 통해 다시 세척통(20) 내부의 세정액노즐관(80)으로 공급된다. 이때, 상기 유수분리조(40)에 침전된 미세토양은 탈수장치(60)로 유입되어 이 탈수장치(60)에 의해 미세토양를 여과 탈수하여 탈수된 미세토양은 탈수장치(60) 외부로 배출되고 여과된 세정액은 세정액저장조(50)로 배출된다.
따라서, 상기 토양 세척 및 복원장치는 세정액분사노즐(86)과 에어분사노즐(96)에서 배출되는 고압의 세정액과 에어에 의해 세척통(20)을 따라 세정액 수면(S) 상측으로 올라오는 토양을 쓸어내려서 세척통(20)의 세정액에 잠겨지도록 하여 토양이 계속적으로 세정액과 교반되면서 세척되게 하므로, 전체적인 세척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유수분리조(40)에 연결된 탈수장치(60)에 의해 유수분리조(40)에 침전된 이물질을 자동으로 여과 탈수하여 미세토양을 외부로 배출하게 되므로, 종래와 같이 장치를 주기적으로 정지시킨 상태에서 미세토양을 작업자가 일일이 수거하지 않아도 되므로, 유지보수가 매우 편리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토양 세척 및 복원장치는 세정액분사노즐과 에어분사노즐에서 분사되는 고압의 세정액과 에어에 의해 세척통의 세정액 수면 상측으로 올라오는 토양을 쓸어내려서 세정액과 계속적으로 교반되면서 이송시킬 수 있으므로, 전체적인 세척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탈수장치에 의해 미세토양를 여과 탈수하여 자동으로 배출하게 되므로, 유지보수가 매우 편리한 장점이 있다.

Claims (4)

  1. 베이스 프레임(10)과, 이 베이스 프레임(10)에 회전가능하게 수평설치되며 양단에는 투입구(22)와 배출구(24)가 각각 형성된 세척통(20)과, 이 세척통(20)의 배출구(24) 하측에 구비되어 배출되는 세정액과 세척된 토양을 분리하는 토양분리수단(30)과, 이 토양분리수단(30)에 연결되어 세정액과 오염물질을 분리하는 유수분리조(40)와, 이 유수분리조(40)와 세척통(20) 사이에 연결되고 그 중앙부에는 순환펌프(P)가 설치된 세정액 순환라인(70)을 포함하여 구성된 토양 세척장치에 있어서, 상기 세척통(20) 내부에는 상기 순환라인(70)에 연결되어 세척통(20)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설치된 세정액노즐관(80)과, 이 세정액노즐관(80)에 소정간격으로 설치되어 세척통(20)을 따라 세정액 수면 위로 올라오는 토양에 세정액을 분사하는 다수개의 세정액분사노즐(86)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 세척 및 복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토양분리수단(30)은 세척통(20)의 배출구(24) 하측에 설치되어 스크린(33)에 의해 입자가 큰 토양이나 골조를 분리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골조분리기(32)와, 이 골조분리기(32)에 연결되어 세정액과 미세토양을 저장하는 저장조(34)와, 이 저장조(34)에 경사지게 설치되어 미세토양을 외부로 건져올리는 콘베이어(3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 세척 및 복원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수분리조(40)의 일측에는 배관(62)에 의해 유수분리조(40)에 연결되어 침전된 미세토양을 공급받아서 여과 탈수하는 탈수장치(6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 세척 및 복원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통(20) 내부에는 세정액노즐관(80)과 평행하도록 길게 연장설치된 에어노즐관(90)이 구비되며, 이 에어노즐관(90)에는 상기 세정액분사노즐(86) 사이에 위치되어 세척통(20)을 따라 세정액 수면 상측으로 올라오는 토양에 고압에 에어를 분사하는 다수개의 에어분사노즐(96)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 세척 및 복원장치.
KR20-2003-0039257U 2003-12-17 2003-12-17 토양 세척 및 복원장치 KR2003456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9257U KR200345658Y1 (ko) 2003-12-17 2003-12-17 토양 세척 및 복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9257U KR200345658Y1 (ko) 2003-12-17 2003-12-17 토양 세척 및 복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5658Y1 true KR200345658Y1 (ko) 2004-03-24

Family

ID=49344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9257U KR200345658Y1 (ko) 2003-12-17 2003-12-17 토양 세척 및 복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5658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3111B1 (ko) * 2006-01-26 2006-10-11 (주)에스지알테크 토양 세척 장치
KR101906277B1 (ko) 2018-07-30 2018-10-10 (주)한국환경복원기술 초음파를 이용한 오염토양 정화장치
KR102184625B1 (ko) 2020-05-06 2020-11-30 (주)한국환경복원기술 친환경 리사이클형 오염토양 정화장치
KR102422964B1 (ko) * 2021-12-01 2022-07-20 (주)신대양 토양 해교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오염토양 파쇄방법
US20230356277A1 (en) * 2022-05-06 2023-11-09 Taylor J. Schmidt Method for cleaning reclaimed asphalt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3111B1 (ko) * 2006-01-26 2006-10-11 (주)에스지알테크 토양 세척 장치
KR101906277B1 (ko) 2018-07-30 2018-10-10 (주)한국환경복원기술 초음파를 이용한 오염토양 정화장치
KR102184625B1 (ko) 2020-05-06 2020-11-30 (주)한국환경복원기술 친환경 리사이클형 오염토양 정화장치
KR102422964B1 (ko) * 2021-12-01 2022-07-20 (주)신대양 토양 해교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오염토양 파쇄방법
US20230356277A1 (en) * 2022-05-06 2023-11-09 Taylor J. Schmidt Method for cleaning reclaimed asphal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0379B1 (ko) 협잡물 제거용 진동 스크린
JP5410656B2 (ja) 濾過装置用の外付け濾過材洗浄装置
KR200345658Y1 (ko) 토양 세척 및 복원장치
KR100414905B1 (ko) 원통형 미세 협잡물 제거장치
KR100912058B1 (ko) 준설물 종합 처리 시스템
KR100309648B1 (ko) 콩나물 세척방법 및 그 장치
KR100625289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용 고형물회수기
CN109260809B (zh) 一种废气处理用喷淋塔的喷淋液循环系统辅助装置
KR101616225B1 (ko) 세정용 필터를 갖는 협잡물 제거장치
KR100905003B1 (ko) 스크린 여과기
CN213171778U (zh) 一种集装箱冲洗废水处理回用装置
CN213112539U (zh) 一种活性炭酸化设备
KR101674853B1 (ko) 세정용 필터를 갖는 협잡물 제거장치
KR101739115B1 (ko) 건설폐기물 중간처리 중 발생되는 폐기물의 펌프식 이물질 처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조식 골재 처리 시설
KR101067184B1 (ko) 저수조용 교반장치
KR20190018884A (ko) 혐기소화조의 침전물 제거장치
KR20000019476A (ko) 모래 세척기
KR101160011B1 (ko) 압력 여과 장치
CN212349773U (zh) 一种具有清洗装置的干混泥浆罐
CN206676174U (zh) 去除空气中颗粒物或杂质的装置
KR200304970Y1 (ko) 토양 세척장치
CN213912639U (zh) 一种用于水产养殖的水过滤装置
CN215879221U (zh) 一种用于污染土壤的修复装置
CN220970214U (zh) 一种油管清洗机
CN219377435U (zh) 一种用于碎石加工的降尘防污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2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