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9085A -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및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메뉴 디스플레이 방법 - Google Patents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및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메뉴 디스플레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9085A
KR20060099085A KR1020050020099A KR20050020099A KR20060099085A KR 20060099085 A KR20060099085 A KR 20060099085A KR 1020050020099 A KR1020050020099 A KR 1020050020099A KR 20050020099 A KR20050020099 A KR 20050020099A KR 20060099085 A KR20060099085 A KR 200600990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menu
screen
sub
menu ite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00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93351B1 (ko
Inventor
이정연
이상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200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3351B1/ko
Priority to US11/342,573 priority patent/US7742105B2/en
Priority to EP06110524A priority patent/EP1701540A3/en
Priority to CNA2006100595065A priority patent/CN1832547A/zh
Publication of KR200600990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90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33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33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04N21/42692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reading from or writing on a volatile storage medium, e.g. Random Access Memory [R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Digital Computer Display Output (AREA)

Abstract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및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메뉴 디스플레이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 개의 제1 메뉴 항목들을 포함하는 제1 영역에 대한 데이터 및 시스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 장치와, 제1 영역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스크린 장치와, 제1 영역을 스크린 장치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하는 입력장치 및 입력장치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시스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제1 영역을 제1 서브 영역과 제2 서브 영역으로 구분하며, 제1 서브 영역과 제2 서브 영역을 서로 다른 높이로 스크린 장치에 디스플레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메뉴에 대하여 구조적인 변화를 주어, 보다 효과적으로 사용자가 해당 항목을 선택할 수 있게 메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메뉴, 영역, 항목, OSD,

Description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및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메뉴 디스플레이 방법{On scre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menu}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를 갖는 텔레비젼 수상기의 블럭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입력장치로서의 리모트 콘트롤러를 보여주는 다이어그램,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뉴 항목들의 디스플레이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 그리고,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스크린 장치의 화면에 메뉴 항목들이 디스플레이된 화면들을 보여주는 다이어그램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텔레비젼 수상기 111: 스크린 장치
112: 메모리 장치 113: 입력장치
114: 제어장치 200: 리모트 콘트롤러
231: 메뉴 버튼 232: 종료 버튼
233: 이동 및 선택 버튼
본 발명은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On Screen Display ; OSD) 및 이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의 메뉴 디스플레이 방법에 관한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되는 메뉴를 구조적인 변화 및 애니메이션 효과를 주어, 보다 효과적으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의 메뉴 디스플레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는 스크린 장치를 갖는 영상기기 내에 포함되며, 해당 영상기기의 조작을 위해 필요한 정보를 상기 스크린 장치 상에 디스플레이 한다. 이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를 갖는 영상기기들로서는 텔레비젼 수상기,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 자동입출금 기기 및 컴퓨터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텔레비젼 수상기에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하 텔레비젼 수상기에서 사용된 종래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메뉴 디스플레이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종래 텔레비젼 수상기에 내장된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의 메뉴 디스플레이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메뉴들로부터 선택하기 위해서 조작패널 및 리모트 컨트롤러와 같은 입력장치들을 조작함에 따라서, 스크린 상에 메인 메뉴들이 차례로 디스플레이 된다. 이 메인 메뉴들은 통상 텔레비젼 수상기에서 선택할 수 있는 옵션 항목들을 포함하거나 또는 텔레비젼 수상기의 기능을 조정할 수 있는 항목들을 포함한다. 이어서 사용자가 조작패널 또는 리모트 콘트롤러를 이용하여 이들 메인 메뉴 항목들 중에 하나를 선택하면, 그 선택된 메인 메뉴 항목의 서브 항목들이 상기 스크린 장치의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 된다.
이러한 종래의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의 메뉴 디스플레이 방법에 따라 메인 메뉴 항목 선택시, 각 메인 메뉴 항목들에 대해서 단순히 텍스트로 제목만 디스플레이 하기 때문에, 각 메인 메뉴 항목들을 선택함으로써 텔레비젼 수상기의 어떤 옵션을 선택할 수 있는지, 또는 텔레비젼 수상기의 어떤 기능을 조정할 수 있는지 사용자에게 정확히 전달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사용자는 최종적으로 원하는 옵션 또는 기능 설정을 위해 여러 차례에 걸쳐 각 메인 메뉴 항목을 선택해보고 이동하면서 원하는 메뉴 항목을 찾아야 한다.
그리고, 선택하고자 하는 메뉴 항목과 그렇지 않은 메뉴 항목을 하나의 동일한 메뉴 구조로 디스플레이하기 때문에, 선택하고자 하는 메뉴 항목에 대한 집중도가 떨어질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되는 메뉴에 대하여 구조적인 변화 및 애니메이션 효과를 주어, 보다 효과적으로 사용자가 해당 항목을 선택할 수 있게 메뉴를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및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의 메뉴 디스플레이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 개의 제1 메뉴 항목들을 포함하는 제1 영역에 대한 데이터 및 시스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 장치와, 상기 제1 영역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스크린 장치와, 상기 제1 영역을 상기 스크린 장치에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하는 입력장치 및 상기 입력장치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상기 시스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영역을 제1 서브 영역과 제2 서브 영역으로 구분하며, 상기 제1 서브 영역과 상기 제2 서브 영역을 서로 다른 높이로 상기 스크린 장치에 디스플레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제1 서브 영역에 상기 복수 개의 제1 메뉴 항목들 중 적어도 하나가 위치시, 위치된 상기 제1 메뉴 항목에 대한 도움말을 상기 스크린 장치에 디스플레이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제1 서브 영역에 상기 복수 개의 제1 메뉴 항목들 중 적어도 하나가 위치시, 위치된 상기 제1 메뉴 항목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서브 메뉴 항목을 상기 스크린 장치에 디스플레이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입력장치의 이동 신호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제1 메뉴 항목들을 상기 스크린 장치에서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수평 이동시킨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제1 서브 영역에 상기 복수 개의 제1 메뉴 항목들 중 적어도 하나가 위치시, 위치된 상기 제1 메뉴 항목은 애니메이션 효과가 나타나게 상기 스크린 장치에 디스플레이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의 메뉴 디스플레이 방법은, 복수 개의 제1 메뉴 항목들을 포함하 는 제1 영역에 대한 데이터 및 시스템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단계와, 상기 제1 영역을 스크린 장치에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영역을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영역을 제1 서브 영역과 제2 서브 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스크린 장치에 상기 제1 서브영역과 상기 제2 서브 영역을 서로 다른 높이로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서브 영역에 상기 복수 개의 제1 메뉴 항목들 중 적어도 하나가 위치시, 위치된 상기 제1 메뉴 항목에 대한 도움말을 상기 스크린 장치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서브 영역에 상기 복수 개의 제1 메뉴 항목들 중 적어도 하나가 위치시, 위치된 상기 제1 메뉴 항목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서브 메뉴 항목을 상기 스크린 장치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영역을 디스플레이 한 이후, 상기 복수 개의 메뉴 항목들을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신호에 따라 상기 스크린 장치에서 상기 복수 개의 제1 메뉴 항목들을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수평 이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서브 영역에 상기 복수 개의 제1 메뉴 항목들 중 적어도 하나가 위치시, 위치된 상기 제1 메뉴 항목은 애니메이션 효과가 나타나게 상기 스크린 장치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메뉴 항목들을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은 모든 영상기기들 특히, 텔 레비젼 수상기,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 자동입출금 기기 및 컴퓨터와 같은 영상기기들에 응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텔레비젼 수상기의 일 예를 보여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를 갖는 텔레비젼 수상기의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텔레비젼 수상기(100)는 안테나(101), 튜너(102), IF(Intermediate Frequency) 모듈(103), 채널 디코더(104), TS(Trasport Stream) 디코더(105), 오디오 디코더(106), 오디오 처리 및 출력장치(107), 스피커(108), 비디오 디코더(109), 비디오 처리 및 출력장치(110), 스크린 장치(111), 메모리 장치(112), 입력장치(113) 및 제어장치(114)를 구비한다.
도 1에서, 메모리 장치(112)는 RAM(Random Access Memory, 112a)과 ROM(Read Only Memory, 112b)로 구성된다. 또한 제어장치(114)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114a), OSD(On Screen Display) 발생부(114b) 및 입력신호 수신부(114c)로 구성된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스크린 장치(111), 메모리 장치(112), 입력장치(113) 및 제어장치(114)만을 조합하여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로 부를 수 있다.
이하에서, 도 1에 나타난 텔레비젼 수상기의 구성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튜너(102)는 안테나(101)를 통해 수신되는 텔레비젼 방송 신호를 입력하여 CPU(114a)의 제어에 따라 채널을 선국하고 선국에 따른 IF 신호를 출력한다.
IF 모듈(103)은 튜너(102)로부터 출력되는 IF 신호를 베이스밴드(Baseband) 신호로 변환한다.
채널 디코더(104)는 IF 모듈(103)으로부터 출력되는 베이스밴드 신호를 채널 복호화하여 데이터 비트열을 재생해낸다. 또한, 카메라나 VCR(Video Cassette Recorder) 등과 같은 외부기기(미도시)가 텔레비젼 수상기(100)에 연결되어 있으면, 외부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에 대한 데이터 비트열을 재생해낼 수도 있다.
TS 디코더(105)는 채널 디코더(104)에 의해 재생된 데이터 비트열로부터 오디오 데이터와 비디오 데이터를 분리한다.
오디오 디코더(106)는 TS 디코더(105)에서 분리된 데이터 중에서 오디오 데이터를 인가받아 MPEG(Moving Picture Expert Group) 규격 또는 돌비(Dolby) AC-3 규격 등에 따라서 디코딩한다.
오디오 처리 및 출력장치(107)은 오디오 디코더(106)에서 디코딩된 오디오 데이터를 인가받아 처리한 후 스피커(108)를 통해 음성으로 출력한다.
한편, 비디오 디코더(109)는 TS 디코더(105)에서 분리된 데이터 중에서 비디오 데이터를 인가받아 MPEG 규격 등에 따라서 디코딩한다.
비디오 처리 및 출력장치(110)은 비디오 디코더(109)에서 디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를 인가받아 디스플레이 가능한 상태로 변환, 처리한 후 스크린 장치(111)를 통해 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제어장치(114)의 OSD 발생부(114b)에 의해 만들어지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데이터와 비디오 디코더(109)에서 디코딩된 비디 오 데이터를 합성하여 혼합된 화상을 만들고 이 혼합된 화상을 스크린 장치(111)의 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여기서,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데이터는 제어장치(114)가 스크린 장치(111)의 화면 상에 각종 정보를 그래픽(Graphic)이나 텍스트(Text)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데이터이다.
입력장치(113)는 텔레비젼 수상기에 마련된 조작패널 또는 리모트 콘트콜러 등과 같이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입력상태에 따른 신호를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조작패널 또는 리모트 컨트롤러에는 각 기능에 대한 버튼이 마련되며, 사용자가 버튼을 누름으로써 신호를 발생한다. 일 예로서, 입력 신호가 채널을 변경하기 위한 것이라면, 제어장치(114)의 CPU(114a)는 튜너(102)를 조정하여 안테나(101)로부터의 고주파수 신호들을 튜닝하고 해당 텔레비젼 방송 신호를 수신한다.
제어장치(114)의 입력신호 수신부(114c)는 입력장치(113)로부터 사용자의 입력에 의한 입력 신호를 수신하면, 그 입력 신호를 CPU(114a)로 보내고, CPU(114a)는 그 입력 신호에 따라 메모리 장치(112)의 ROM(112b)에 저장된 해당 프로그램을 수행한다.
메모리 장치(112)는 제어장치(114)의 동작 수행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ROM(112b)과, 제어장치(114)의 동작 수행에 따른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RAM(112a)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각종 참조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서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등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이하, 도 1 및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해당하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저장장치로서의 메모리 장치(112)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용 메인 메뉴 영역(400)과 도움말 영역(500) 및 서브 메뉴 영역(700)을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 그리고, 메인 메뉴 영역(400) 안에 포함되는 복수 개의 제1 메뉴 항목들(410, 420, 430, 440, 450)에 대한 데이터와 각 제1 메뉴 항목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주기 위한 아이콘들(411, 421, 431, 441, 451) 및 텍스트들(412, 422, 432, 442, 452)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 여기서, 제1 메뉴 항목들의 각각의 아이콘에 대한 데이터는 에니메이션 효과를 나타내기 위한 데이터가 포함되며, 각각의 텍스트에 대한 데이터는 텍스트의 휘도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데이터를 포함한다. 다르게는, 각각의 텍스트의 주위에 대한 휘도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텍스트 외에 숫자 또는 기호 등에도 그 자체의 휘도를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 있는 데이터나 그 주위에 대한 휘도를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또, 메모리 장치(112)는 각 제1 메뉴 항목의 서브 메뉴 항목에 해당하는 제2 메뉴 항목들에 대한 데이터 및 제어장치(114)의 동작 수행을 위한 시스템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다. 또한, 메모리 장치(112)는 도움말 영역(500)의 각 제1 메뉴 항목들에 대한 도움말을 제공해주기 위한 데이터도 저장하고 있으며, 본 실시예의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각 제2 메뉴 항목들에 대한 도움말에 대한 데이터도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서브 메뉴 영역(700)의 각 제2 메뉴 항목들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다. 특히, 메모리 장치(112)는 메인 메뉴 영역(400), 도움말 영역(500) 및 서브 메뉴 영역(700) 각각의 프레임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 각 프레임 안에 해당 메뉴 항목들 및 도움 말 등이 위치하게 된다.
메모리 장치(112)에 저장되는 데이터인 메인 메뉴 영역(400)에 대해서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메인 메뉴 영역(400)은 선택 영역(A), 비선택 영역1(B1) 그리고, 비선택 영역2(B2)로 3개의 영역으로 다시 세분할 수 있으며. 선택 영역(A)과 비선택 영역들(B1, B2) 사이는 서로 연속적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선택 영역(A)과 비선택 영역들(B1, B2)은 서로 높이가 다르며, 바람직하게는 스크린 장치(111)의 화면 하단부를 기준으로 선택 영역(A)은 비선택 영역들(B1, B2)보다 높게 위치한다. 또한, 선택 영역(A)은 메인 메뉴 영역(400) 내에서 1/3 이상 차지하고 있으며, 비선택 영역들(B1, B2) 중의 적어도 하나보다는 넓은 영역을 차지하고 있다. 한편, 메인 메뉴 영역(400)의 각 제1 메뉴 항목들은 수평적으로 나열되어 있으며, 선택 영역(A)에는 하나의 제1 메뉴 항목이 위치하며, 비선택 영역(B1, B2)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메뉴 항목들이 위치한다. 여기서, 비선택 영역에 복수 개의 제1 메뉴 항목들이 있을 경우, 제1 메뉴 항목들 간의 간격 갭(Gap)은 20 픽셀(pixel)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선택 영역(A)의 적어도 한측에 위치하는 비선택영역은 선택 영역(A)과의 구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불투명도(Opacity)를 가질 수 있다.
표시장치로서의 스크린 장치(111)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용 메뉴 항목들을 그래픽(Graphic)이나 텍스트(Text)로 디스플레이 한다. 여기서, 스크린 장치(111)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패널 또는 CRT(Cathode Ray Tube) 등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입력장치(113)는 스크린 장치(111)에 커서를 발생시키고 그 커서를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된 메뉴 항목들 사이에서 이동시키며 또한, 원하는 메뉴 항목을 선택한다.
한편, 제어장치(114)는 입력장치(113)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메모리 장치(112)에 저장된 시스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배경 영역(600) 일부분에 메인 메뉴 영역(400) 및 도움말 영역(500)을 디스플레이 시킨다. 바람직하게는, 메인 메뉴 영역(400) 및 도움말 영역(500)을 배경 영역(600)에 오버랩(Overlap)하여 반투명하게 디스플레이 시킨다. 도움말 영역(500)은 메인 메뉴 영역(400) 일부분 및 배경 영역(600) 일부분에 오버랩하여 반투명하게 디스플레이 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도움말 영역(500)은 디스플레이 되지 않게 제어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장치(114)는 도움말 영역(500)이 메인 메뉴 영역(400)과 겹쳐지는 부분에 대해서는 투명하게 오버랩 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장치(114)는 입력장치(113)로부터 각 제1 메뉴 항목의 선택을 위한 이동 신호에 따라 각 제1 메뉴 항목을 수평적으로 회전 이동시킨다. 각 제1 메뉴 항목에 대한 선택이 되면, 각 제1 메뉴 항목의 서브 메뉴 항목인 제2 메뉴 항목들을 나타내기 위해 서브 메뉴 영역(700)을 배경 영역(600) 일부분에 디스플레이 시킨다. 마찬가지로, 서브 메뉴 영역(700)을 배경 영역(600)에 오버랩하여 반투명하게 디스플레이 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어장치(114)는 입력장치(113)으로부터 신호에 의해 어느 하나의 제1 메뉴 항목이 선택이 되면, 도움말 영역(500)의 일부분 또는 전부분을 페이드 아웃(Fade-out) 되면서 사라지게 하고 선택된 제1 메뉴 항목에 대한 제2 메뉴 항목 들이 페이드 인(Fade-in) 되면서 나타나게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장치(114)는 입력장치(113)의 신호에 따라 메인 메뉴 영역(400)의 선택 영역(A)으로 어느 하나의 제1 메뉴 항목이 들어와서 일정 시간 이상 머무르게 되면, 해당되는 제1 메뉴 항목의 아이콘은 애니메이션 효과를 나타나게 제어하고, 텍스트는 휘도를 증가시키게 제어한다. 여기서, 일정 시간은 0.5초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르게는, 텍스트의 주위의 휘도를 증가시키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텍스트나 그 주위의 휘도를 증가, 감소를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깜박거림의 효과가 나타나게 제어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 상기 입력장치(113)로서의 리모트 콘트롤러(200)에 대해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코트 콘트롤러(200)의 평면도이다. 리모트 콘트롤러(200)는 크게 3개의 부분으로 구분된다.
제1 부분(200)은 텔레비젼 수상기(100) 또는 리모트 콘트롤러(200)의 초기설정 및 현재의 설정상태를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부분이다. 제1 부분(200)에 해당되는 버튼은, 스크린 장치(111)에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의 크기를 조정하기 위한 화면크기 버튼(211), 상황에 따라 화질 또는 선명도를 구분한 여러 화면모드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화면모드 버튼(212), 그리고, 텔레비젼 수상기 외에 VCR 또는 DVD(Digital Video Disk) 플레이어 등과 같은 기기를 조작하기 위한 기기선택 버튼(213) 등이다. 또, 제1 부분(200)에는 LCD부(214)를 구비하여 현재의 기기설정상태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다.
제2 부분(220)은 텔레비젼 수상기(100)의 기본 기능들을 설정할 수 있는 있 는 버튼들이 구비되어 있다. 제2 부분은(220)은 채널을 선택 또는 변경할 수 있는 숫자 버튼(221) 및 채널선택 버튼(222), 그리고, 스피커(108)의 음량을 조절할 수 있는 음량 버튼(223) 등이 구비된다.
제3 부분(230)은 메뉴 항목들의 디스플레이 및 선택과 관련된 버튼들이 구비되어 있다. 이 제3 부분(230)이 본 발명과 가장 관계가 있는 부분이다.
여기서, 메뉴 버튼(231)은 영상이 나타난 스크린 장치(111)의 화면에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용 메뉴 항목들을 표시하기 위한 버튼으로, 영상이 나타난 화면 상에 메뉴 항목들이 없을 때에는 각 제1 메뉴 항목들을 포함한 메인 메뉴 영역(400)을 디스플레이 하고, 이미 스크린 장치(111)의 화면 상에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용 메뉴 항목들이 디스플레이 된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이전 화면으로 돌아가기 위한 백(Back) 버튼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서브 메뉴 항목들을 포함한 서브 메뉴 영역(700)이 디스플레이 되어 있는 상태에서 메뉴 버튼(231)을 누르면, 각 제1 메뉴 항목들을 포함한 메인 메뉴 영역(400) 상태로 돌아간다. 그리고, 메인 메뉴 영역(440)이 디스플레이 되어 있는 상태에서 메뉴 버튼(231)을 누르면, 메뉴 항목들이 모두 사라지는 상태가 된다.
제3 부분(230)의 종료 버튼(230)은 메뉴 항목들이 디스플레이 되어 있는 경우, 그 메뉴 항목들이 메인 메뉴 영역(400)이던지 서브 메뉴 영역(700)이던지 관계없이 모든 메뉴 항목들을 지우고 정상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제3 부분(230)의 이동 및 선택버튼(233)은 스크린 화면 상에 디스플레 이된 메뉴 항목들 사이로 커서를 발생시켜 상, 하, 좌, 우로 이동시키는 역할과 사용자가 원하는 메뉴 항목을 선택하고, 선택된 메뉴 항목에 대한 기능 값을 지정하거나 조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입력장치(113)로서 리모트 콘트롤러를 사용하였으나, 텔레비젼 수상기(100)에 일체로 부착된 조작패널이 될 수 있다. 또한, 입력장치(113)는 텔레비젼 수상기(100)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키보드나 마우스 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뉴 항목들의 디스플레이 방법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텔레비젼 수상기(100)의 제어장치(114)는 입력장치(113)으로부터 메뉴 버튼(231)이 눌러졌는지 체크한다(S300). 여기서 메뉴 버튼(231)이 눌러진 것은, 스크린 장치(111)의 정상 화면 또는 초기 화면일 때 눌러진 것을 말한다. 또, 정상 화면이라 함은,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용 메뉴 항목들이 없는 화면을 말한다. 이후, 제어장치(114)는 메뉴 버튼(231)이 눌러진 것으로 판단하면, 스크린 장치(111) 화면 상에 메인 메뉴 영역(400)의 제1 메뉴 항목들 즉, 메인 메뉴 항목들을 디스플레이 한다(S310). 일정시간 이후, 메인 메뉴 항목들 중에서 메인 메뉴 영역(400)의 선택 영역(A)에 위치한 메인 메뉴 항목의 아이콘은 애니메이션 효과가 나타나게 제어되고, 텍스트는 휘도가 증가하게 제어된다(S320). 일예로, 도 4 내지 도 6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선택 영역(A)에 "Picture"라는 메인 메뉴 항목(430)이 위치되면, 일정 시간 이후 "Picture" 아이콘(431)은 애니메이션 효과가 나타나고, "Picture" 텍스트(432)는 휘도가 증가하게 된다. 여기서, "Picture" 아이콘(431)에 대한 에니메이션 효과는 아이콘(431) 주위에 일정의 원(433, 434)을 주기적으로 발생 시키거나 또는 도 6b와 같이 원근감을 주기 위해 아이콘(431)의 위상을 변경시키는 등 여러 가지가 될 수 있다. 메인 메뉴 항목들의 각 아이콘에 대한 에니메이션 효과는 각각의 메인 메뉴 항목들에 따라서 다를 수 있다. 만약, 도움말이 나타나도록 기설정되었다면, S320 단계에서 도움말 영역(500)이 배경 영역(600) 및 메인 메뉴 영역(400)에 오버랩되어 디스플레이 된다.
이후, 리모트 콘트롤러(200) 상에서 이동 및 선택 버튼(233)이 눌러졌는지 또는 종료 버튼(232)이 눌러졌는지를 판단하게 된다(S330 ~ S332). 만약 이동 버튼이 눌러졌으면 메인 메뉴 항목들이 이동 버튼이 눌려진 횟수에 따라 한 항목씩 좌 또는 우측 방향으로 수평 이동한다(S340). 선택하고자 하는 메인 메뉴 항목이 선택 영역(A)에 위치하고(S350), 선택 버튼이 입력 되는 지를 판단한다(S360).
만약, 선택 버튼이 입력되면, 선택 영역(A)에 위치한 메인 메뉴 항목의 해당 아이콘의 에니메이션 효과는 없어지고, 해당 텍스트의 휘도는 감소한다(S370). 그리고, 도움말 영역(500)이 배경 영역(600) 및 메인 메뉴 영역(400)에 오버랩되어 디스플레이 되어 있는 상태이면, S370 단계에서 도움말 영역(500)은 페이드 아웃(Fade-out) 된다. 또한, 거의 동시에, 선택된 제1 메뉴 항목의 서브 메뉴 항목들이 포함된 제2 메뉴 영역(700)이 페이드 인(Fade-in) 되면서 디스플레이 된다(S380). 이후, 사용자가 이동 및 선택 버튼(233)을 이용하여 서브 메뉴 항목을 선택 및 해당 항목의 기능 또는 옵션을 조정하고(S390), 제어장치(114)는 조정된 해당 항목의 기능 또는 옵션을 실행하도록 제어한다(S395).
S330 단계에서, 이동 버튼 입력 없이 선택 버튼이 눌러져도(S331) 이후 동일하게 단계가 수행된다.
한편, S330 단계에서 이동 및 선택 버튼(233)이 입력 없이 종료 버튼(232)이 눌러지면(S332), 디스플레이 되어 있는 메뉴 항목들을 지우고 종료 처리한다. 즉, 정상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종료 버튼(230)은 메뉴 항목들이 디스플레이 되어 있는 경우, 그 메뉴 항목들이 메인 메뉴 영역(400)이던지 서브 메뉴 영역(700)이던지 관계없이 모든 메뉴 항목들을 지운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의 메뉴 디스플레이 방법에 의하면, 각각의 메뉴 항목들에 대하여 그 특성에 따른 아이콘 및 텍스트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메뉴 항목을 쉽게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일정 메뉴 영역에 위치시, 각각의 아이콘 특성에 따라 에니메이션을 제공하고 각각의 텍스트에 대한 휘도는 증가시켜 선택하고자 하는 메뉴 항목에 대하여 집중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메뉴 항목들에 대하여 해당하는 도움말을 같이 제공할 수 있게 함으로써, 처음 영상 기기의 기능 또는 옵션을 설정하고자하는 사용자라고 하더라도 편리하게 조작이 가능하다.
특히, 메인 메뉴 영역을 선택 영역과 비선택 영역 간의 구조적인 변화를 주어 사용자가 쉽게 선택 영역을 인지할 수 있고, 그 선택 영역에 위치한 해당 메뉴 항목에 대한 기능 또는 옵션 설정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화면 상에 표시되는 각 메뉴 영역 및 각 메뉴 항목들에 대해서 반투명 상태로 표시하여 사용자가 메뉴 항목에 대한 기능 또는 옵션 설정시에도 화면 상에 나타나는 영상을 볼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10)

  1. 복수 개의 제1 메뉴 항목들을 포함하는 제1 영역에 대한 데이터 및 시스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 장치;
    상기 제1 영역을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스크린 장치;
    상기 제1 영역을 상기 스크린 장치에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하는 입력장치;및
    상기 입력장치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상기 시스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영역을 제1 서브 영역과 제2 서브 영역으로 구분하며, 상기 제1 서브 영역과 상기 제2 서브 영역을 서로 다른 높이로 상기 스크린 장치에 디스플레이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제1 서브 영역에 상기 복수 개의 제1 메뉴 항목들 중 적어도 하나가 위치시, 위치된 상기 제1 메뉴 항목에 대한 도움말을 상기 스크린 장치에 디스플레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제1 서브 영역에 상기 복수 개의 제1 메뉴 항목들 중 적어도 하나가 위치시, 위치된 상기 제1 메뉴 항목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서브 메뉴 항목을 상기 스크린 장치에 디스플레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입력장치의 이동 신호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제1 메뉴 항목들을 상기 스크린 장치에서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수평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제1 서브 영역에 상기 복수 개의 제1 메뉴 항목들 중 적어도 하나가 위치시, 위치된 상기 제1 메뉴 항목은 애니메이션 효과가 나타나게 상기 스크린 장치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6. 복수 개의 제1 메뉴 항목들을 포함하는 제1 영역에 대한 데이터 및 시스템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단계;
    상기 제1 영역을 스크린 장치에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및
    상기 제1 영역을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영역을 제1 서브 영역과 제2 서브 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스크린 장치에 상기 제1 서브영역과 상기 제2 서브 영역을 서로 다른 높이로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메뉴 디스플레이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브 영역에 상기 복수 개의 제1 메뉴 항목들 중 적어도 하나가 위치시, 위치된 상기 제1 메뉴 항목에 대한 도움말을 상기 스크린 장치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메뉴 디스플레이 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브 영역에 상기 복수 개의 제1 메뉴 항목들 중 적어도 하나가 위치시, 위치된 상기 제1 메뉴 항목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서브 메뉴 항목을 상기 스크린 장치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메뉴 디스플레이 방법.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을 디스플레이 한 이후, 상기 복수 개의 메뉴 항목들을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신호에 따라 상기 스크린 장치에서 상기 복수 개의 제1 메뉴 항목들을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수평 이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메뉴 디스플레이 방법.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브 영역에 상기 복수 개의 제1 메뉴 항목들 중 적어도 하나가 위치시, 위치된 상기 제1 메뉴 항목은 애니메이션 효과가 나타나게 상기 스크린 장치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메뉴 디스플레이 방법.
KR1020050020099A 2005-03-10 2005-03-10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및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메뉴 디스플레이 방법 KR1006933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0099A KR100693351B1 (ko) 2005-03-10 2005-03-10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및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메뉴 디스플레이 방법
US11/342,573 US7742105B2 (en) 2005-03-10 2006-01-31 On scre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menu thereon
EP06110524A EP1701540A3 (en) 2005-03-10 2006-02-28 On screen display apparatus
CNA2006100595065A CN1832547A (zh) 2005-03-10 2006-03-10 图形菜单屏幕显示装置和用于在其上显示菜单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0099A KR100693351B1 (ko) 2005-03-10 2005-03-10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및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메뉴 디스플레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9085A true KR20060099085A (ko) 2006-09-19
KR100693351B1 KR100693351B1 (ko) 2007-03-09

Family

ID=36579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0099A KR100693351B1 (ko) 2005-03-10 2005-03-10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및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메뉴 디스플레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742105B2 (ko)
EP (1) EP1701540A3 (ko)
KR (1) KR100693351B1 (ko)
CN (1) CN183254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7808B1 (ko) * 2008-08-08 2014-12-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기기에서 메뉴얼 검색을 위한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3982A (ko) * 2007-01-03 2008-07-08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처리장치, 영상표시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080178214A1 (en) * 2007-01-19 2008-07-24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Context relevant controls
CN101419781B (zh) * 2007-10-25 2011-06-2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用于嵌入式终端上屏幕视控的图形显示方法及装置
US9432208B2 (en) 2008-10-27 2016-08-30 Lennox Industries Inc. Device abstraction system and method for a distributed architecture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system
US8295981B2 (en) 2008-10-27 2012-10-23 Lennox Industries Inc. Device commissioning in a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network
US8452456B2 (en) 2008-10-27 2013-05-28 Lennox Industries Inc. System and method of use for a user interface dashboard of a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network
US9678486B2 (en) 2008-10-27 2017-06-13 Lennox Industries Inc. Device abstraction system and method for a distributed-architecture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system
US8543243B2 (en) 2008-10-27 2013-09-24 Lennox Industries, Inc. System and method of use for a user interface dashboard of a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network
US8655491B2 (en) 2008-10-27 2014-02-18 Lennox Industries Inc. Alarm and diagnostics system and method for a distributed architecture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network
US8994539B2 (en) 2008-10-27 2015-03-31 Lennox Industries, Inc. Alarm and diagnostics system and method for a distributed-architecture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network
US8774210B2 (en) 2008-10-27 2014-07-08 Lennox Industries, Inc. Communication protocol system and method for a distributed-architecture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network
US8352081B2 (en) 2008-10-27 2013-01-08 Lennox Industries Inc. Communication protocol system and method for a distributed-architecture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network
US8615326B2 (en) 2008-10-27 2013-12-24 Lennox Industries Inc. System and method of use for a user interface dashboard of a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network
US8802981B2 (en) 2008-10-27 2014-08-12 Lennox Industries Inc. Flush wall mount thermostat and in-set mounting plate for a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system
US9632490B2 (en) 2008-10-27 2017-04-25 Lennox Industr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zoning a distributed architecture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network
US8463443B2 (en) 2008-10-27 2013-06-11 Lennox Industries, Inc. Memory recovery scheme and data structure in a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network
US8892797B2 (en) 2008-10-27 2014-11-18 Lennox Industries Inc. Communication protocol system and method for a distributed-architecture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network
US9377768B2 (en) 2008-10-27 2016-06-28 Lennox Industries Inc. Memory recovery scheme and data structure in a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network
US9651925B2 (en) 2008-10-27 2017-05-16 Lennox Industr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zoning a distributed-architecture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network
US8788100B2 (en) 2008-10-27 2014-07-22 Lennox Industr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zoning a distributed-architecture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network
US8855825B2 (en) 2008-10-27 2014-10-07 Lennox Industries Inc. Device abstraction system and method for a distributed-architecture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system
US8977794B2 (en) 2008-10-27 2015-03-10 Lennox Industries, Inc. Communication protocol system and method for a distributed-architecture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network
US8548630B2 (en) 2008-10-27 2013-10-01 Lennox Industries, Inc. Alarm and diagnostics system and method for a distributed-architecture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network
US8352080B2 (en) 2008-10-27 2013-01-08 Lennox Industries Inc. Communication protocol system and method for a distributed-architecture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network
US8433446B2 (en) 2008-10-27 2013-04-30 Lennox Industries, Inc. Alarm and diagnostics system and method for a distributed-architecture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network
US8600559B2 (en) 2008-10-27 2013-12-03 Lennox Industries Inc. Method of controlling equipment in a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network
US8874815B2 (en) 2008-10-27 2014-10-28 Lennox Industries, Inc. Communication protocol system and method for a distributed architecture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network
US8798796B2 (en) 2008-10-27 2014-08-05 Lennox Industries Inc. General control techniques in a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network
US8762666B2 (en) 2008-10-27 2014-06-24 Lennox Industries, Inc. Backup and restoration of operation control data in a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network
US9152155B2 (en) 2008-10-27 2015-10-06 Lennox Industries Inc. Device abstraction system and method for a distributed-architecture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system
US8661165B2 (en) 2008-10-27 2014-02-25 Lennox Industries, Inc. Device abstraction system and method for a distributed architecture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system
US8564400B2 (en) 2008-10-27 2013-10-22 Lennox Industries, Inc. Communication protocol system and method for a distributed-architecture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network
US8744629B2 (en) 2008-10-27 2014-06-03 Lennox Industries Inc. System and method of use for a user interface dashboard of a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network
US8239066B2 (en) 2008-10-27 2012-08-07 Lennox Industries Inc. System and method of use for a user interface dashboard of a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network
US8655490B2 (en) 2008-10-27 2014-02-18 Lennox Industries, Inc. System and method of use for a user interface dashboard of a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network
US8452906B2 (en) 2008-10-27 2013-05-28 Lennox Industries, Inc. Communication protocol system and method for a distributed-architecture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network
US8560125B2 (en) 2008-10-27 2013-10-15 Lennox Industries Communication protocol system and method for a distributed-architecture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network
US8600558B2 (en) 2008-10-27 2013-12-03 Lennox Industries Inc. System recovery in a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network
US8437878B2 (en) 2008-10-27 2013-05-07 Lennox Industries Inc. Alarm and diagnostics system and method for a distributed architecture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network
US8437877B2 (en) 2008-10-27 2013-05-07 Lennox Industries Inc. System recovery in a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network
US8725298B2 (en) 2008-10-27 2014-05-13 Lennox Industries, Inc. Alarm and diagnostics system and method for a distributed architecture heating, ventilation and conditioning network
US9261888B2 (en) 2008-10-27 2016-02-16 Lennox Industries Inc. System and method of use for a user interface dashboard of a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network
US8463442B2 (en) 2008-10-27 2013-06-11 Lennox Industries, Inc. Alarm and diagnostics system and method for a distributed architecture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network
US8694164B2 (en) 2008-10-27 2014-04-08 Lennox Industries, Inc. Interactive user guidance interface for a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system
US8442693B2 (en) 2008-10-27 2013-05-14 Lennox Industries, Inc. System and method of use for a user interface dashboard of a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network
US8255086B2 (en) 2008-10-27 2012-08-28 Lennox Industries Inc. System recovery in a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network
US9268345B2 (en) 2008-10-27 2016-02-23 Lennox Industries Inc. System and method of use for a user interface dashboard of a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network
US9325517B2 (en) 2008-10-27 2016-04-26 Lennox Industries Inc. Device abstraction system and method for a distributed-architecture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system
US8786781B2 (en) * 2009-04-09 2014-07-22 Ati Technologies Ulc Detection and enhancement of in-video text
CN102369726A (zh) * 2009-06-19 2012-03-07 深圳Tcl新技术有限公司 一种电视机的自定义界面方法
USD648642S1 (en) 2009-10-21 2011-11-15 Lennox Industries Inc. Thin cover plate for an electronic system controller
USD648641S1 (en) 2009-10-21 2011-11-15 Lennox Industries Inc. Thin cover plate for an electronic system controller
TWI408958B (zh) * 2009-10-28 2013-09-11 Wistron Corp 顯示器及動態顯示osd選單的方法
KR101674682B1 (ko) * 2009-11-17 2016-1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네트워크 tv의 메뉴 제공 방법
US8260444B2 (en) 2010-02-17 2012-09-04 Lennox Industries Inc. Auxiliary controller of a HVAC system
KR101743244B1 (ko) * 2010-07-16 2017-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메뉴 표시 방법 및 장치
US8966528B2 (en) * 2010-10-14 2015-02-24 Son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an interactive menu through streaming video
US8347329B2 (en) * 2010-10-14 2013-01-01 Son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an interactive menu through streaming video
US20120173975A1 (en) * 2011-01-05 2012-07-05 William Herz Control ring interface for computing systems
US8977986B2 (en) 2011-01-05 2015-03-10 Advanced Micro Devices, Inc. Control panel and ring interface for computing systems
CN202134170U (zh) * 2011-04-13 2012-02-01 明基电通有限公司 显示器
CN103164144A (zh) * 2011-12-16 2013-06-19 冠捷投资有限公司 可增大信息显示区的显示器
KR101469839B1 (ko) * 2013-04-17 2014-12-09 (주) 픽셀플러스 이미지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감시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77708A (en) 1995-05-05 1997-10-14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for displaying a list on a display screen
WO1998006219A1 (en) * 1996-08-06 1998-02-12 Starsight Telecast, Incorporated Electronic program guide with interactive areas
US6028600A (en) 1997-06-02 2000-02-22 Sony Corporation Rotary menu wheel interface
US6266098B1 (en) 1997-10-22 2001-07-24 Matsushita Electric Corporation Of America Function presentation and selection using a rotatable function menu
KR100246421B1 (ko) 1997-12-10 2000-03-15 구자홍 화면표시 장치의 메뉴 선택방법
GB9920327D0 (en) 1999-08-28 1999-11-03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Menu display for a graphical user interface
KR100434265B1 (ko) 1999-12-07 2004-06-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및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장치에서의 메뉴 디스플레이 방법
KR100359834B1 (ko) * 2000-12-18 2002-1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텔레비젼 수신기에서 도움말 기능을 수행 하는 방법
KR100359835B1 (ko) * 2000-12-20 2002-1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텔레비젼 수신기에서 osd 메뉴 항목의 도움말내용을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
KR20030057039A (ko) * 2001-12-28 2003-07-04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디지털 티브이의 부가정보 표시방법
EP1463052A1 (en) 2003-03-25 2004-09-29 Deutsche Thomson-Brandt Gmbh Method for representing animated menu buttons
JP4254950B2 (ja) 2003-09-01 2009-04-15 ソニー株式会社 再生装置および再生装置における操作メニュー表示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7808B1 (ko) * 2008-08-08 2014-12-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기기에서 메뉴얼 검색을 위한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01540A3 (en) 2008-02-13
US20060202978A1 (en) 2006-09-14
US7742105B2 (en) 2010-06-22
KR100693351B1 (ko) 2007-03-09
EP1701540A2 (en) 2006-09-13
CN1832547A (zh) 2006-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3351B1 (ko)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및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메뉴 디스플레이 방법
KR100667337B1 (ko)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및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메뉴 디스플레이 방법
US11297394B2 (en) Windows management in a television environment
US7929057B2 (en) Display control method
US8166398B2 (en) Method and system for dynamically displaying a control bar of a multimedia player
US20070006096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40245149A1 (en) Minimal and preferential option user interface
US10448100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8185844B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on screen display and method for generating on screen display
JP2005197991A (ja) オンスクリーン表示装置
JP4795906B2 (ja) 映像表示装置及び多画面表示方法
US20120147025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user interface providing method thereof
JP2007158792A (ja) 表示ガイドシステム及び表示ガイド方法
JP2007194773A (ja) 画像表示装置
KR100752853B1 (ko) 티브이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JP2007174193A (ja) 放送受信端末
JP3966339B2 (ja) 受信装置
JP2008122507A (ja) 画面表示処理装置、映像表示装置、osd表示方法
JP2006302084A (ja) 簡易項目選択方法及びそれを備えた電子機器
JP2001268465A (ja) オンスクリーンメニュー操作装置及び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2009049805A (ja) 映像表示装置及び放送受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