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6421B1 - 화면표시 장치의 메뉴 선택방법 - Google Patents

화면표시 장치의 메뉴 선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6421B1
KR100246421B1 KR1019970067396A KR19970067396A KR100246421B1 KR 100246421 B1 KR100246421 B1 KR 100246421B1 KR 1019970067396 A KR1019970067396 A KR 1019970067396A KR 19970067396 A KR19970067396 A KR 19970067396A KR 100246421 B1 KR100246421 B1 KR 1002464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nu
item
button
selection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7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48640A (ko
Inventor
김복기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700673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6421B1/ko
Publication of KR199900486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86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64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64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면표시 장치의 메뉴 선택방법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는 메뉴항목 중에서 원하는 항목을 가리키기 위해 '▲' 또는 '▼'버튼을 반복적으로 여러번 조작하여야 함으로써, 메뉴가 복잡하여 부-메뉴가 많고, 항목수가 많으면 그만큼 많은 버튼조작이 이루어져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 메뉴의 항목선택을 하기 위해 사용자가 직접 버튼을 이용하여 찾아가는 것이 아니라 일정시간을 주기로 항목이 자동으로 이동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항목의 순서가 오면 바로 선택하게 하여 사용자의 버튼 조작을 최소화하는 방법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기능메뉴의 항목선택을 위한 반복적인 버튼 조작을 줄여줌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메뉴를 선택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화면표시 장치의 메뉴 선택방법
본 발명은 화면표시 장치의 메뉴 선택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면표시 장치의 사용자 선택 메뉴의 선택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보다 적은 수의 키 조작을 통해 메뉴를 선택하여 기능을 수행하게 하는 화면표시 장치의 메뉴 선택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1은 종래 화면표시 장치의 구성의 일실시예를 보인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능선택을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는 버튼이 배열된 버튼조작부(10)와; 상기 버튼조작부(10)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버튼을 판별하는 버튼제어부(11)와, 화면에 표시하는 메뉴를 제어하는 메뉴표시제어부(12)로 구성되어 기기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부(13)와; 메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화면표시부(14)와; 상기 화면표시부(14)를 제어하기 위한 화면표시제어부(15)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장치의 동작 과정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종래 메뉴의 기능의 일실시예를 보인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부분의 메뉴는 복수개의 부-메뉴 항목을 갖는 주-메뉴(A,B,C)와 복수개의 기능실행 항목을 갖는 부-메뉴(AAA,AAB,…)로 이루어져 이들 메뉴가 화면표시 장치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된다.
도3은 도2에서 부-메뉴의 하나인 CBC 기능을 선택하는 방법을 보인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메뉴선택을 위해 메뉴키를 누르면 주-메뉴의 항목들이 화면표시 장치에 디스플레이되고, 사용자는 원하는 항목(C 기능)을 선택하기 위해 '▲'버튼을 2회 또는 '▼'버튼을 2회 조작하여 원하는 항목에 선택커서(Cursor : →)를 위치하게 하며, '◀' 또는 '▶'버튼을 조작하면 부-메뉴(c 기능메뉴)가 디스플레이되고, 여기서 다시 원하는 항목(CB 기능)을 선택하기 위해 '▲'버튼을 3회 또는 '▼'버튼을 1회 조작하여 선택커서를 원하는 항목(CB 기능)에 위치시키며, '◀' 또는 '▶'버튼을 조작하여 'CB 기능메뉴'를 디스플레이시키고, 다시 '▲'버튼을 2회 또는 '▼'버튼을 2회 조작하여 'CBC 기능'에 선택커서를 위치시키고, '◀' 또는 '▶'버튼을 조작하여 'CBC 기능'을 실행시키게 된다.
도4는 종래의 동작 흐름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뉴 버튼이 눌러지면 주화면 항목이 표시되고, 이후 '▲'버튼이 입력되었는가를 판단하여 메뉴 커서를 이동하게 되며, '◀' 또는 '▶'버튼이 입력되었는가를 판단하여 좌,우 혹은 선택키 확인을 하게된다. 이후 현재 메뉴가 실행 항목인가를 판단하여 실행항목이면 기능을 실행하고, 아니면 부-메뉴 항목을 표시한 후, 상기 버튼입력부터의 과정을 반복 수행한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는 메뉴항목 중에서 원하는 항목을 가리키기 위해 '▲' 또는 '▼'버튼을 반복적으로 여러번 조작하여야 함으로써, 메뉴가 복잡하여 부-메뉴가 많고, 항목수가 많으면 그만큼 많은 버튼조작이 이루어져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 메뉴의 항목선택을 하기 위해 사용자가 직접 버튼을 이용하여 찾아가는 것이 아니라 일정시간을 주기로 항목이 자동으로 이동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항목의 순서가 오면 바로 선택하게 하여 사용자의 버튼 조작을 최소화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종래 화면표시 장치의 구성의 일실시예를 보인 블록도.
도2는 종래 메뉴의 기능의 일실시예를 보인 블록도.
도3은 도2에서 부-메뉴의 하나인 CBC 기능을 선택하는 방법을 보인 블록도.
도4는 종래의 동작 흐름도.
도5는 본 발명을 이용하여 부-메뉴의 하나인 CBC 기능을 선택하는 방법을 보인 블록도.
도6은 본 발명의 동작 흐름도.
도7은 본 발명을 위한 대기시간, 이동방향 설정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버튼조작부 11 : 버튼제어부
12 : 메뉴표시제어부 13 : 마이크로-프로세서
14 : 화면표시부 15 : 화면표시제어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선택키 입력시 메뉴를 표시하기 위한 버튼인가를 판단하여 메뉴를 표시하는 제1 단계와; 카운터 및 이동 방향을 초기화하고, 표시된 메뉴의 각 항목에 대해 일정시간 입력 대기하고, 일정시간 경과 후, 다음 항목으로 이동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제2 단계 수행중 선택키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제3 단계에서 선택키로 판단되면 선택항목에 따라 기능을 수행하는 제4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3 단계에서 선택된 항목이 실행항목인가를 판단하는 제5 단계를 추가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단계는 일정시간 키입력 대기를 위한 일정시간 데이터 및 이동방향을 초기화하는 초기화단계와; 일정시간 경과 후, 다음 항목으로 이동하는 항목이동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5 단계는 선택항목이 실행항목이 아닐 때 선택된 부-메뉴를 메뉴명으로 하여 상기 제2 단계를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5는 본 발명을 이용하여 부-메뉴의 하나인 CBC 기능을 선택하는 방법을 보인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메뉴선택을 위해 메뉴버튼을 누르면 주-메뉴의 항목들이 화면표시 장치에 디스플레이되고, 사용자가 직접 '▲' 또는 '▼'버튼조작으로 선택커서(Cursor : →)를 이동시키는 종래의 방법과는 달리 자동으로 상기 선택커서가 일정시간 주기로 주-메뉴 항목을 차례로 이동하면서 가리키게 되며, 이때 선택커서가 선택하려는 'C 기능'에 위치했을 때 선택버튼을 조작하여 'C 기능메뉴'를 디스플레이시키고, 'CB 기능'도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버튼조작없이 자동으로 선택커서가 'CB 기능'에 위치할 때까지 기다렸다가 선택커서가 'CB 기능'에 위치하면 선택버튼을 조작하여 'CB 기능메뉴'를 디스플레이시키며, 'CBC 기능'도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선택커서가 이 항목에 위치했을 때 선택버튼을 조작하여 실행하고자 하는 'CBC 기능'을 수행시킨다.
이런 과정을 거치면 처음 메뉴버튼 조작에서부터 'CBC 기능'의 수행까지 총 4회의 조작만으로 상기 'CBC 기능'을 실행시킨다.
도6은 본 발명의 동작 흐름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택키 입력시 메뉴를 표시하기 위한 버튼인가를 판단하여 메뉴를 표시하는 제1 단계와; 카운터 및 이동 방향을 초기화하고, 표시된 메뉴의 각 항목에 대해 일정시간 입력 대기하고, 일정시간 경과 후, 다음 항목으로 이동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제2 단계 수행중 선택키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제3 단계에서 선택키로 판단되면 선택항목에 따라 기능을 수행하는 제4 단계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단계는 일정시간 키입력 대기를 위한 일정시간 데이터 및 이동방향을 초기화하는 초기화단계와; 일정시간 경과 후, 다음 항목으로 이동하는 항목이동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도1의 버튼조작부(10)로부터 입력된 버튼이 메뉴버튼이면 화면표시장치를 통하여 주-메뉴를 디스플레이하고, 일정시간 지연을 위한 카운터를 초기화한다. 그리고 일정시간 경과 유무를 판단하여 아직 경과하지 않았으면 선택버튼의 입력을 판단하고, 일정시간이 경과 하였으면 현재 가리키는 선택커서를 다음 항목을 가리키게 하고, 다시 일정시간 지연을 위한 카운터를 초기화한 후, 선택버튼의 입력을 판단하며, 선택버튼의 입력이 없으면 다시 일정시간 카운터를 비교하고, 만일 이때, 선택버튼의 입력이 있으면 현재 선택된 항목의 종류를 판단하여 실행항목이면 이 항목을 실행시키며, 그렇지 않고 선택된 항목이 부-메뉴이면 이 부-메뉴를 다시 화면표시 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하여 상기의 과정을 반복한다.
또한, 이런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일정 지연시간은 상기 제2 단계 수행시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초기화 값을 설정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빠르게 선택 메뉴를 검색하기를 원할 경우도 있으며, 또한 사용자의 주메뉴 혹은 부-메뉴의 기능을 완전히 숙지하지 못한 상태에서 메뉴의 기능 및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지연시간을 길게 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주,부-메뉴 이용을 위해 필요로 하게된다.
또 선택항목의 시간 경과에 따른 순차적인 커서 이동시에 다음 항목 선택을 위한 커서 이동을 위에서 아래 방향이 아니라 아래에서 위쪽의 반대 방향으로의 이동을 사용자 선택에 의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는 또한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선택을 원하는 항목이 아래 부분에 있을 때 이를 빨리 선택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미리 정해둔 방향에 따라 커서를 이동시킴으로써, 가능하게 된다.
도 7은 상기 제2 단계의 초기화 단계에서 사용자 설정에 의해 참조하게 되는 대기시간과 커서 이동방향을 설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로서, 먼저 사용자의 대기시간 및 이동방향 설정을 위한 버튼이 입력되면 화면에 대기시간 입력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표시하게 되고, 대기시간 입력이 사용자에 의해 이루어지면 이를 메뉴선택시 참조하기 위해 메모리에 저장하게 된다.
또한, 커서 이동방향에 대한 요구를 화면에 요구하게 되고, 사용자가 오름차순 혹은 내림차순에 대한 선택을 하게되면 이를 상기와 같이 메모리에 저장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화면표시 장치의 메뉴 선택방법은 사용자가 기능메뉴의 항목선택을 위한 반복적인 버튼 조작을 줄여줌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메뉴를 선택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선택키 입력시 메뉴를 표시하기 위한 버튼인가를 판단하여 메뉴를 표시하는 제1 단계와; 표시된 메뉴의 각 항목에 대해 일정시간 입력 대기하고, 일정시간 경과 후, 다음 항목으로 이동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제2 단계 수행중 입력키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제3 단계에서 선택키로 판단되면 선택항목에 따라 기능을 수행하는 제4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표시 장치의 메뉴 선택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에서 선택된 항목이 실행항목인가를 판단하는 제5 단계를 추가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표시 장치의 메뉴 선택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일정시간 키입력 대기를 위한 일정시간 데이터 및 이동방향을 초기화하는 초기화단계와; 일정시간 경과 후, 다음 항목으로 이동하는 항목이동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표시 장치의 메뉴 선택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선택키 입력이 없을 때 카운트를 초기화 후, 다음 항목선택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표시 장치의 메뉴 선택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5 단계는 선택항목이 실행항목이 아닐 때 선택된 부-메뉴를 메뉴명으로 하여 상기 제2 단계를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표시 장치의 메뉴 선택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대기시간 및 선택방향 초기화시 사용자 설정에 의한 대기시간 가변단계와; 사용자 설정에 의한 이동방향 가변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표시 장치의 메뉴 선택방법.
KR1019970067396A 1997-12-10 1997-12-10 화면표시 장치의 메뉴 선택방법 KR1002464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7396A KR100246421B1 (ko) 1997-12-10 1997-12-10 화면표시 장치의 메뉴 선택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7396A KR100246421B1 (ko) 1997-12-10 1997-12-10 화면표시 장치의 메뉴 선택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8640A KR19990048640A (ko) 1999-07-05
KR100246421B1 true KR100246421B1 (ko) 2000-03-15

Family

ID=19526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7396A KR100246421B1 (ko) 1997-12-10 1997-12-10 화면표시 장치의 메뉴 선택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64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3351B1 (ko) 2005-03-10 2007-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및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메뉴 디스플레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8640A (ko) 199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04399A (en) System for menu-driven instruction input
KR10061782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계층 구조의 메뉴를 표시하는 장치및 방법
JP4932979B2 (ja) オートズームフィーチャーを有するグラフィカル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タッチスクリーン
JP3084666B2 (ja)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および階層選択メニュー表示方法
KR101260377B1 (ko) 프로그래밍이 가능한 컴퓨터용 마우스
US6822634B1 (en) System comprising a handheld control device
US6825859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content changes of on-screen items
US5119479A (en) User interface system in which operation associated with input device may be selectively switched
KR20000026285A (ko) 컴퓨터 사용자 인터페이스
JPH08166783A (ja) 情報処理装置
US20110022976A1 (en) dynamic user interface system
KR100764763B1 (ko) 사용자 메뉴 구성 방법
JPH08190456A (ja) タッチパネル装置における入力方法
KR100246421B1 (ko) 화면표시 장치의 메뉴 선택방법
US20040125152A1 (en) User customizable, locale dependent, variant character entry method and apparatus
JPH09128194A (ja) 表示監視装置
JPH07261967A (ja) メニュー選択装置
JPH07219753A (ja) 会話型プログラム開発支援システム
JPH06110526A (ja) ファンクションキーを有するnc装置
JPH07160633A (ja) 情報処理システム
KR100213042B1 (ko)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에 의한 리모콘 키 선택 방법
JPS63308624A (ja) 操作メニュ−表示方法
WO2020125541A1 (zh) 选项名称多元化选单设定装置与方法
CA2325589C (e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content changes of on-screen items
TW202024890A (zh) 選項名稱多元化選單設定裝置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0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