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8862A - 휴대 단말기의 자판 및 그 배열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의 자판 및 그 배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8862A
KR20060098862A KR1020050019189A KR20050019189A KR20060098862A KR 20060098862 A KR20060098862 A KR 20060098862A KR 1020050019189 A KR1020050019189 A KR 1020050019189A KR 20050019189 A KR20050019189 A KR 20050019189A KR 20060098862 A KR20060098862 A KR 200600988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umns
rows
row
column
key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9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59379B1 (ko
Inventor
김민서
Original Assignee
김민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서 filed Critical 김민서
Priority to KR10200500191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9379B1/ko
Publication of KR200600988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88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93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93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3/00Irrigation ditches, i.e. gravity flow, open channel water distribution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7/00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 F16L17/06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the end surfaces of the pipes or flanges or arranged in recesses in the pipe ends or flanges
    • F16L17/063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the end surfaces of the pipes or flanges or arranged in recesses in the pipe ends or flanges forming a whole with the pipe or joi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인용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입력에 사용되는 자판 및 그 배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휴대폰, 스마트폰 또는 PDA 등의 휴대용 정보 통신 단말기에서 사용되는 3X4로 이루어진 12개의 자판 구성에 4개의 자판을 추가하여 4X4의 행렬로 구성된 16개의 자판으로 구성하고, 이를 한글의 자음을 입력하기 위한 자음부와 한글의 모음을 입력하기 위한 모음부로 나누어, 왼쪽 두 줄은 자음부로, 오른쪽 두 줄은 모음부로 구성함으로써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입력에 있어서 오른손 및 왼손의 엄지를 동시에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여 문자 입력이 용이하며, 입력 타수를 줄여 빠르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의 자판 및 그 배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이는 한글뿐만 아니라 영어나 독어, 일어 및 스페인어에도 적용이 가능하여 상기 각 국가별 휴대 단말기에 적용할 수 있어 전 세계적으로 범용으로 적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더욱 유리한 효과가 있다.
휴대 단말기, PDA, 자판, 모음, 자음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의 자판 및 그 배열 방법 {Keyboard for the Mobile Terminal and Array Method Thereof}
도 1a 내지 도 1b는 종래의 일반적인 휴대 단말기의 자판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한글 자판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영어, 독어/불어 및 스페인어 자판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일어 자판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a 내지 도 5b는 종래의 휴대 단말기의 한글 자판 및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한글 자판의 버튼누름 횟수를 비교한 표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서 휴대 단말기의 한글 및 영어, 숫자 자판이 통합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30 : 자음부 20, 40 : 모음부
50 : 획추가부 60 : 쌍자음부
100 : 한글 자판 자음부 120 : 한글 자판 모음부
140 : 한글 자판 경음부 200 : 영어 자판 자음부
220 : 영어 자판 모음부 240 : 영어 자판 대/소문자 변환부
300 : 독어/불어 자판 자음부 320 : 독어/불어 자판 모음부
340 : 독어/불어 자판 대/소문자 변환부
400 : 스페인어 자판 자음부 420 : 스페인어 자판 모음부
440 : 스페인어 자판 대/소문자 변환부
500 : 일어 자판 자음부 520 : 일어 자판 모음부
540 : 일어 자판 요음부 560 : 일어 자판 경음부
본 발명은 개인용 휴대 단말기의 자판 및 그 배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 단말기에서 사용되는 3X4의 12개의 자판 구성에 4개의 자판을 추가하여 4X4의 16개의 자판으로 구성하고, 왼쪽 두 줄은 자음부로, 오른쪽 두 줄은 모음부로 구성함으로써 문자 입력이 용이하며, 입력 타수를 줄여 빠르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의 자판 및 그 배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셀룰러폰 등의 무선 이동 통신기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휴대 폰의 고유 기능이라 여겨졌던 전화를 걸거나 받는 기능 외에 문자를 주고받는 등의 부가 기능이 구비되어 문자 입력의 빈도수가 점차 늘어나고 있다. 따라서 이들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여러 가지 방법이 제시되고 있다.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휴대폰이나 PDA 등의 휴대 단말기의 자판은 3X4의 12개의 자판으로 구성되며, 이들 각각의 자판을 조합하여 문자를 발생하도록 하고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일반적인 휴대 단말기의 자판 배열 및 자판 입력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는 종래의 휴대 단말기 중 흔히 말하는'천지인 방식'을 사용하고 있는 자판 배열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의 '천지인 방식'을 사용하고 있는 자판 배열은 천(ㆍ)ㆍ지(ㅡ)ㆍ인(ㅣ) 세 버튼만으로 모든 모음을 표기할 수 있도록 배열되어 있는 방법이다. 도1a를 참조하면, 자음을 발생시키는 자음부(20)와, 모음을 발생시키는 모음부(10)가 상하로 구분되어 구성되어 있다.
상기 자음부(20)에서 1 타수로 발생하는 자음은 'ㄱ, ㄴ, ㄷ, ㅂ, ㅅ, ㅈ, ㅇ'이고, 2 타수로 발생하는 자음은 'ㅋ, ㄹ, ㅌ,ㅍ, ㅎ, ㅊ, ㅁ'이고, 3타수로 발생하는 자음은 'ㄲ, ㄸ, ㅃ, ㅆ, ㅉ'이 된다. 상기 모음부(10)는 일명 천지인 방식으로서 기본 모음인 'ㅣ, ㆍ, ㅡ'의 세 모음을 기본으로 이들을 조합하여 모음을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ㅣ'를 누르고 'ㆍ'를 누르면 'ㅏ'가 되고, 여기에다 'ㅣ'를 다시 한 번 더 누르면, 'ㅐ'가 된다. 또한, 'ㅖ'와 같은 문자는 'ㆍ'를 연속 두 번 누른 후, 'ㅣ'를 연속 두 번 누름으로써 발생된다. 또한, 상기 자음 중 'ㄲ', 'ㄸ'등 경음을 표기하려면 'ㄱ', 'ㄷ'버튼을 연속 세 번 누르면 발생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자판 배열 방식에서는 'ㅣ'와 'ㅡ'를 제외한 모든 모음은 최소 2타 이상을 눌러야 발생하도록 되어 있어, 모음의 형성에 있어서 타수가 현저히 증가되어 문자 입력이 느리게 되는 단점을 가지게 된다. 또한, 자음과 모음의 위치가 좌우가 아닌 상하로 구분되어 있어, 일반적으로 문자 형성에 있어서 자음은 좌측에 위치하고, 모음은 우측에 위치하는 구조와 달라 문자 입력이 용이하지 않다는 단점을 가지게 된다.
계속하여, 도 1b는 종래의 휴대 단말기 중 훈민정음의 창제원리를 적용한 '나랏글 방식'을 사용하고 있는 자판 배열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b를 참조하여 그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의 '나랏글 방식'을 사용하고 있는 자판 배열은 사용 빈도가 가장 높은 자음 6개와 모음 6개를 휴대 단말기의 9개의 자판에 배치해 한글의 연속 입력이 가능하도록 지원하고, 여기에다 기본적인 자음을 발생시키는 자음부(30)와, 상기 자음부(30)와 조합하여 쌍자음을 발생시키는 쌍자음부(60)와, 모음을 발생시키는 모음부(40)와 상기 자음부(30) 및 상기 모음부(40)와 조합하여 가획 자음 또는 가획 모음을 발생시키는 획추가부(50)를 구비하여 모든 글자를 표현해 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자음부(30)에서 1 타수로 발생하는 자음은 'ㄱ, ㄴ, ㄹ, ㅁ, ㅅ, ㅇ'이고, 2 타수로 발생하는 자음으로는 상기 자음부(30)의 해당 자판과 상기 획추가부(50)를 조합하여 발생시키는 'ㅋ, ㄷ, ㅂ, ㅈ, ㅎ'이 있고, 상기 자음부(30)의 해당 자판과 상기 쌍자음부(60)를 조합하여 발생시키는 'ㄲ, ㅆ'이 있다. 또한, 3 타수로 발생하는 자음으로는 상기 자음부(30)에 상기 획추가부(50) 조합하여 발생시키는 'ㅌ, ㅍ, ㅊ'과, 상기 자음부(30) 및 상기 획추가부(50)에 상기 쌍자음부(60)를 조합하여 발생시키는 'ㄸ, ㅃ, ㅉ'의 쌍자음이 있다.
예를 들어, 'ㅈ'은 상기 자음부(30)의 7번 자판과, 상기 획추가부(50)를 순차적으로 눌러 2 타수로 발생시키게 되며, 'ㅍ'은 상기 자음부(30)의 5번 자판을 누른 후, 바로 상기 획추가부(50)를 연속하여 눌러 발생시키게 되고, 'ㄸ'은 상기 자음부(30)의 2번 자판을 누른 후, 바로 상기 획추가부(50)와 상기 쌍자음부(60)를 연속하여 눌러 3 타수로 발생시키는 것이다.
상기 모음부(40)는 'ㅏ, ㅓ, ㅗ, ㅜ, ㅡ, ㅣ'의 기본적인 모음을 해당 자판의 1타 또는 연속 2타로 발생시키며, 'ㅔ, ㅖ, ㅐ, ㅒ, ㅘ, ㅝ, ㅚ, ㅟ, ㅝ, ㅞ'등의 가획 모음은 상기 모음부(40)와 상기 획추가부(50)를 조합하여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자판 배열 방식에서는 자음 발생은 좌측에, 모음 발생은 우측에 위치하여 문자 입력을 위한 과학적인 위치 배열 방식을 따르고 있으나, 상기 자음부(30)의 6개의 자음 이외에는 모든 자음이 2타 이상을 눌러야 발생하며, 모음 역시 4개의 모음 이외에는 모두 2타 이상을 눌러야 발생되므로 상기 도 1a의 '천지인 방식'에 비하여 전체적으로 그 타수가 현격히 증가하는 단점을 가지게 된다. 다시 말해서, 'ㄷ, ㅂ, ㅈ, ㅎ' 과 같은 단순 자음이나 'ㅑ, ㅕ, ㅛ, ㅠ'와 같은 단순 모음조차도 획추가부(50)와의 조합을 하여야만 발생하므로 문자 입력이 상당히 느리게 되고, 복잡한 문자 입력 방식을 숙지해야만 하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이, 현재 많이 쓰이고 있는 상기 '천지인 방식'이나 '나랏말 방식'은 각각의 장점을 내세운 문자 입력 체계를 선보이고 있지만, 문자 입력에 있어서의 과학적인 자판의 배열 구조나, 입력 타수의 최소화라는 면에서는 한계를 보이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휴대폰, 스마트폰 또는 PDA 등의 휴대용 정보 통신 단말기에서 사용되는 3 X 4의 12개의 자판 구성에 4개의 자판을 추가하여 4 X 4의 행렬로 구성된 16개의 자판으로 구성하고, 이를 한글의 자음을 입력하기 위한 자음부와 한글의 모음을 입력하기 위한 모음부로 나누어, 왼쪽 두 줄은 자음부로, 오른쪽 두 줄은 모음부로 구성함으로써 한글 입력에 있어서 오른손 및 왼손의 엄지를 동시에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여 문자 입력이 용이하며, 입력 타수를 줄여 빠르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의 자판 및 그 배열 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가진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한글뿐만 아니라 영어나 독어, 일어 및 스페인어에도 적용이 가능함으로써 이를 상기 각 국가별 휴대 단말기에 적용할 수 있어 전 세계적으로 범용으로 적용할 수 있다는 목적도 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자판 및 그 배열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한글 자판 장치는 4행(Row)과 4열(Column)의 자판을 가지고, 상기 자판의 오른쪽 4행 4열에는 1개의 자판으로 이루어진 경음부와; 상기 자판의 오른쪽 1, 2, 3행 3, 4열에는 6개의 자판으로 이루어진 모음부와; 상기 자판의 왼쪽에는 9개의 자판으로 이루어진 자음부를 포함한다.
또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영어, 독어/불어 및 스페인어 자판 장치는 4행(Row)과 4열(Column)의 자판을 가지고, 상기 자판의 오른쪽 3행 4열에는 1개의 자판으로 이루어진 대/소문자 변환부와; 상기 자판의 오른쪽 1, 2행 3, 4열 및 3행 3열에는 5개의 자판으로 이루어진 모음부와; 상기 자판의 왼쪽에는 10개의 자판으로 이루어진 자음부를 포함한다.
또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일어 자판 장치는 4행(Row)과 4열(Column)의 자판을 가지고, 상기 자판의 왼쪽 4행 2열에는 1개의 자판으로 이루어진 반/탁음부와; 상기 자판의 오른쪽 3, 4열에는 8개의 자판으로 이루어진 모음/요음부와; 상기 자판의 왼쪽에는 7개의 자판으로 이루어진 자음부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모음/요음부는 상기 오른쪽 2, 3, 4행 4열에는 3개의 자판으로 이루어진 요음부와; 상기 오른쪽 1행 3, 4 열과 2, 3, 4행 3열에는 5개의 자판으로 이루어진 모음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한글 자판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한글 자판은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4X4의 자판 배열을 가지고, 상기 자판의 왼쪽에는 9개의 자판으로 이루어진 자음부(100)와, 상기 자판의 오른쪽에는 6개의 자판으로 이루어진 모음부(120)와, 상기 자판의 오른쪽에는 1개의 자판으로 이루어진 경음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자판의 1행 1, 2열에는 'ㄱ/ㅋ/ㄲ', 'ㅁ'의 자음부(100)가, 3, 4열에는 'ㅏ/ㅑ', 'ㅜ/ㅠ'의 모음부(120)가 위치하고, 2행 1, 2열에는 'ㄴ', 'ㅂ/ㅍ/ㅃ'의 자음부(100)가, 3, 4열에는 'ㅓ/ㅕ', 'ㅡ'의 모음부(120)가 위치하고, 3행 1, 2열에는 'ㄷ/ㅌ/ㄸ', 'ㅅ/ㅆ'의 자음부(100)가, 3, 4열에는 'ㅗ/ㅛ', 'ㅣ'의 모음부(120)가 위치하고, 4행 1, 2, 3열에는 'ㄹ', 'ㅇ/ㅎ', 'ㅈ/ㅊ/ㅉ'의 자음부(100)가, 4열에는 경음부(140)가 위치한다.
상기에서, 1 타수로 발생시키는 자음은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이 있고, 2 타수로 발생시키는 자음으로는 상기의 자음부(100)를 연속 두 번 눌러 발생시키는 'ㅋ, ㅌ, ㅍ, ㅎ, ㅊ'과, 상기의 자음부(100)와 상기의 경음부(140)를 연속으로 눌러 발생시키는 'ㄲ, ㄸ, ㅃ, ㅆ, ㅉ'이 있다.
또한, 1 타수로 발생시키는 모음으로는 'ㅏ, ㅓ, ㅗ, ㅜ, ㅡ, ㅣ'가 있고, 2 타수로 발생시키는 모음은 상기의 모음부(120)를 조합하여 발생시키는 'ㅑ, ㅕ, ㅛ, ㅠ, ㅐ, ㅔ, ㅚ, ㅟ, ㅝ'가 있고, 3 타수로 발생시키는 모음은 상기의 모음부(120)를 조합하여 발생시키는 'ㅒ, ㅖ, ㅞ'가 있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영어, 독어/불어, 스페인어 및 일어 자판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먼저,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영어, 독어/불어, 스페인어 자판을 설명하면, 상기 자판은 상기 도 2의 한글 자판과 마찬가지로 4X4로 이루어진 16개의 자판을 가지고, 상기 자판의 왼쪽에는 10개의 자판으로 이루어진 자음부(200)와, 상기 자판의 오른쪽에는 5개의 자판으로 이루어진 모음부(220)와, 상기 자판의 오른쪽에는 1개의 자판으로 이루어진 대/소문자 변환부(240)를 구비한다.
좀 더 상세하게, 상기 자판의 1행 1, 2열에는 'B/C', 'D/F'의 자음부(200)가, 3, 4열에는 'A', 'E'의 모음부(220)가 위치하고, 2행 1, 2열에는 'G/H', 'J/K'의 자음부(200)가, 3, 4열에는 'I', 'O'의 모음부(220)가 위치하고, 3행 1, 2열에는 'L/M', 'N/P'의 자음부(200)가, 3열에는 'U'의 모음부(220)가, 4열에는 대/소문 자 변환부(240)가 위치하고, 4행 1 내지 4열에는 'R/S', 'T/V', 'W/X', 'Y/Z/Q'의 자음부(200)가 위치한다.
상기에서, 1 타수로 발생시키는 자음은 'B, D, G, J, L, N, R, T, W, Y'가 있고, 2 타수로 발생시키는 자음으로는 상기의 자음부(200)를 연속으로 두 번 눌러 발생시키는 'C, F, H, K, M, P, S, V, X, Z'와, 3 타수로 발생시키는 자음으로는 상기의 자음부(200)를 연속으로 세 번 눌러 발생시키는 'Q'가 있다. 또한, 상기에서 1행 3열의 'A'나, 1행 4열의 'E'나, 2행 3열의 'I'나, 2행 4열의 'O'나, 3행 3열에는 'U'의 모음부(220)는 해당 모음부(220)를 한 번 눌러 1 타수로 발생시킬 수 있다.
종래의 발명에서 대문자 및 소문자 변환을 위해서는 부가적인 조작인 많이 필요했었던 것에 비해, 본 발명에서의 대소문자 변환은 일반적인 키보드 조작과 마찬가지로 대/소문자 변환부(240)를 한 번만 눌러 변환이 가능하여 조작이 간편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계속해서, 도 3b를 참조하면, 독어 및 불어 입력을 위한 휴대 단말기의 자판 장치는 상기의 영어 자판 장치와 마찬가지로 4X4로 구성된 16개의 자판을 가지고, 상기 자판의 왼쪽에는 10개의 자판으로 이루어진 자음부(300)와, 상기 자판의 오른쪽에는 5개의 자판으로 이루어진 모음부(320)와, 상기 자판의 오른쪽에는 1개의 자판으로 이루어진 대/소문자 변환부(340)를 구비한다.
이하, 상기 독어 및 불어 자판은 도 3a의 영어 자판과 비슷한 구조를 가진다. 상기 독어/불어 자판이 영어 자판과 가지는 차이점은 대/소문자 변환부(340)가 독어나 불어 입력을 위한
Figure 112005012289719-PAT00001
등의 특수문자기호를 입력할 수 있는 기능을 추가로 구비한다는 것이다.
도 3c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인어 자판은 상기의 도 3a 내지 도 3b에서 설명한 자판과 마찬가지로 4X4로 이루어진 16개의 자판을 가지고, 상기 자판의 왼쪽에는 10개의 자판으로 이루어진 자음부(400)와, 상기 자판의 오른쪽에는 5개의 자판으로 이루어진 모음부(420)와, 상기 자판의 오른쪽에는 1개의 자판으로 이루어진 대/소문자 변환부(440)를 구비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스페인어 자판은 도 3a 내지 도 3b의 영어, 독어/불어 자판과 비슷한 구조를 가진다. 하지만, 상기 스페인어 자판은 3행 1열의 'LL'과, 3행 2열의
Figure 112005012289719-PAT00002
는, 상기 해당 자음부를 연속으로 눌러 3 타수로 입력 가능하다는 차이점을 가진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일어 자판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일어 자판은 4X4로 이루어진 16개의 자판을 가지고, 상기 자판의 왼쪽에는 7개의 자판으로 이루어진 자음부(500)와, 상기 자판의 오른쪽에는 5개의 자판으로 이루어진 모음부(520)와, 상기 자판의 오른쪽에는 3개의 자판으로 이루어진 요음부(540)와, 상기 자판의 왼쪽에는 1개의 자판으로 이루어진 반/탁음부(560)를 구비한다.
1행 1, 2열에는 'か', 'さ'의 자음부(500)가, 3, 4열에는 'い', 'あ'의 모음 부(520)가 위치하고, 2행 1, 2열에는 'た', 'な'의 자음부(500)가, 3열에는 'う'의 모음부(520)가, 4열에는 'わ/や'의 요음부(540)가 위치하고, 3행 1, 2열에는 'は', 'ま'의 자음부(500)가, 3열에는 'え'의 모음부(520)가, 4열에는 'わ/や'의 요음부(540)가 위치하고, 4행 1열에는 'ら'의 자음부(500)가, 2열에는 반/탁음부(560)가, 3열에는 'お'의 모음부(520)가, 4열에는 'ん/よ'의 요음부(540)가 위치한다.
상기에서, 1 타수로 발생시키는 자음은 'か, さ, た, な, は, ま, ら'가 있고, 2 타수로 발생시키는 자음으로는 상기의 모음부(520)와 자음부(500)를 연속으로 두 번 눌러 발생시키는 'き, く, け, こ, し, す, せ, そ, ち, つ, て, と, に, ぬ, ね, の, ひ, ふ, へ, ほ, み, む, め, も, り, る, れ, ろ'와, 상기의 자음부(500)와 반/탁음부(560)를 연속으로 눌러 발생시키는 'が, ぎ, ぐ, げ, ご, ざ, じ, ず, ぜ,ぞ, だ, ぢ, づ, で, ど, ば, ぱ, び, ぴ, ぶ, ぷ, べ, ぺ, ぼ, ぽ'등의 탁음 및 반탁음이 있다.
예를 들어, 상기의 모음부(520)와 자음부(500)를 연속으로 두 번 눌러, 1행 1열의 'か'와 1행 3열의 'い'를 조합하여 'き'를, 1행 1열의 'か'와 2행 3열의 'う'를 조합하여 'く'를, 1행 1열의 'か'와 3행 3열의 'え'를 조합하여 'け'를, 1행 1열의 'か'와 4행 3열의 'お'를 조합하여 'こ'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さ'와 'い'를 조합하여 'し'를, 'さ'와 'う'를 조합하여 'す'를, 'さ'와 'え'를 조합하여 'せ'를, 'さ'와 'お'를 조합하여 'そ'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た'와 'い'를 조합하여 'ち'를, 'た'와 'う'를 조합하여 'つ'를, 'た'와 'え'를 조합하여 'て'를, 'た'와 'お'를 조합하여 'と'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종래의 발명에서는 'な, ま'나 'わ, を, ん' 등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한 번 이상의 타수를 필요로 하는 반면에, 본 발명에 따른 일어 자판 장치에 따른 입력 방법은 한 번의 입력만으로도 な, ま'나 'わ, を, ん' 등의 입력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도 5a 내지 도 5b는 종래의 휴대 단말기의 한글 자판 및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한글 자판의 버튼누름 횟수를 비교한 표이다.
먼저, 도 5a를 참조하여 각 방식의 자음 입력 타수를 비교하면, '나랏말 방식'은 '천지인 방식'에 비해 2 타수 이상을 필요로 하는 복합 자음에서는 좀 더 많은 타수를 필요로 하지만, 기본 자음에서는 비슷한 타수를 가져 서로 비등한 타수를 가진다. 이에 비해, 본 발명에 따른 자판 장치는 기본 자음뿐만 아니라 복합 자음에서 그 타수가 현저하게 차이가 나서, 상기 '천지인 방식'이나 '나랏말 방식'에 비해 그 타수가 약 20 ~ 24 % 정도 줄어든 것을 볼 수 있다.
계속해서, 도 5b를 참조하여 각 방식의 모음 입력 타수를 비교하면, '천지인 방식'이 세 개의 버튼만을 이용하여 입력한다는 점에서 편리성을 가지기는 하지만, 그 타수 면에서 상기 '천지인 방식'은 상기 '나랏말 방식'에 비해 기본 모음이나 복합 모음의 모든 경우에서 더 많은 입력 타수를 필요로 한다.
이에 반해, 본 발명에서의 자판 장치는 상기 '천지인 방식'뿐만 아니라 '나랏말 방식'에 비해서도 그 입력 타수가 현저하게 줄어들어, 상기 '나랏말 방식'에 비해서는 약 25 % 정도, 상기 '천지인 방식'에 비해서는 약 35 % 정도로 입력 타수가 줄어든 것을 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영어, 한글 및 숫자 자판을 하나로 통합하여 실제 쓰이는 휴대폰이나 PDA, 전자수첩 등의 개인용 휴대 단말기에 구현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판은 한글이나 영어의 자음 입력을 위해서 왼쪽 두 줄 가량에는 자음부를 두고, 오른쪽 두 줄 가량에는 모음부를 두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양손의 엄지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게 구현함으로써 그 속도나 타수 면에서 효율적인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예를 들어, '효율적인 입력 방법'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천지인 방식'이 5+6+4+3+3+6+4+4=35 번의 입력이, 기존의 '나랏말 방식'이 4+5+5+3+4+5+4+6=36 번의 입력이 필요한 반면, 본 발명에 따른 자판은 4+4+3+3+3+4+3+3=27번의 입력만이 필요하여 훨씬 효율적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영어 입력의 경우에도 'Efficient Input Method'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천지인 방식'이나 '나랏말 방식'이 41번의 입력이 필요한 반면, 본 발명에 따른 자판은 26번의 타수만으로 입력이 가능하여 더 효율적임을 알 수 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판 배열에 의한 문자 입력은 자음의 경우에는 최대 2 타수 이내로, 모음의 경우에는 최대 3 타수 이내로 입력이 가 능하여 기존의 '천지인 방식'이나 '나랏말 방식'에 비해 그 입력 타수가 현저히 줄어든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문자를 입력하는 구조적인 면에서 볼 때에도, 본 발명에 따른 자판 입력 방법은 오른손과 왼손을 이용하여 동시에 문자 입력이 가능하도록 자음은 왼쪽 편에 모음은 오른쪽 편에 배치되어 있어 문자 입력이 용이하며, 입력 타수를 줄여 빠르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휴대폰, 스마트폰 또는 PDA 등의 휴대용 정보 통신 단말기에서 사용되는 3 X 4의 12개의 자판 구성에 4개의 자판을 추가하여 4 X 4의 행렬로 구성된 16개의 자판으로 구성하고, 이를 한글의 자음을 입력하기 위한 자음부와 한글의 모음을 입력하기 위한 모음부로 나누어, 왼쪽 두 줄은 자음부로, 오른쪽 두 줄은 모음부로 구성함으로써 한글 입력에 있어서 오른손 및 왼손을 동시에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여 문자 입력이 용이하 며, 입력 타수를 줄여 빠르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는 효과를 거둘 수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한글뿐만 아니라 영어나 독어, 일어 및 스페인어에도 적용이 가능함으로써 이를 상기 각 국가별 휴대 단말기에 적용할 수 있어 전 세계적으로 범용으로 적용할 수 있다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다.

Claims (28)

  1. 휴대 단말기의 한글 자판 장치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4행(Row)과 4열(Column)의 자판을 가지고,
    상기 자판의 오른쪽 4행 4열에는 1개의 자판으로 이루어진 경음부와;
    상기 자판의 오른쪽 1, 2, 3행 3, 4열에는 6개의 자판으로 이루어진 모음부와;
    상기 자판의 왼쪽에는 9개의 자판으로 이루어진 자음부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자판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판의
    1행 1열에는 'ㄱ', 1행 2열에는 'ㅁ',
    2행 1열에는 'ㄴ', 2행 2열에는 'ㅂ',
    3행 1열에는 'ㄷ', 3행 2열에는 'ㅅ',
    4행 1열에는 'ㄹ', 4행 2열에는 'ㅇ', 4행 3열에는 'ㅈ'
    의 자음부가 위치하여, 상기 자음부의 1 타수로 입력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자판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자판의
    1행 1열에는 'ㅋ',
    2행 2열에는 'ㅍ',
    3행 1열에는 'ㅌ',
    4행 2열에는 'ㅎ', 4행 3열에는 'ㅊ'
    의 자음부가 위치하여, 상기 자음부의 연속 2 타수로 입력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자판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자판의
    1행 1열에는 'ㄲ',
    2행 2열에는 'ㅃ',
    3행 1열에는 'ㄸ', 3행 2열에는 'ㅆ',
    4행 3열에는 'ㅉ'
    의 자음부가 위치하여, 상기 자음부 및 경음부를 연속하여 눌러 2 타수로 입력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자판 장치.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판의
    1행 3열에는 'ㅏ', 1행 4열에는 'ㅜ',
    2행 3열에는 'ㅓ', 2행 4열에는 'ㅡ',
    3행 3열에는 'ㅗ', 3행 4열에는 'ㅣ',
    의 모음부가 위치하여, 상기 모음부의 1 타수로 입력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자판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모음부를 조합하여
    'ㅐ, ㅔ, ㅚ, ㅟ, ㅝ'를 연속 2타수로 발생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자판 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자판의
    1행 3열에는 'ㅑ', 1행 4열에는 'ㅠ',
    2행 3열에는 'ㅕ',
    3행 3열에는 'ㅛ'
    의 모음부가 위치하여, 상기 모음부의 연속 2 타수로 입력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자판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모음부를 조합하여
    'ㅒ, ㅖ, ㅞ'를 3타수로 발생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자판 장치.
  9. 휴대 단말기의 영어, 독어/불어 및 스페인어 자판 장치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4행(Row)과 4열(Column)의 자판을 가지고,
    상기 자판의 오른쪽 3행 4열에는 1개의 자판으로 이루어진 대/소문자 변환부와;
    상기 자판의 오른쪽 1, 2행 3, 4열 및 3행 3열에는 5개의 자판으로 이루어진 모음부와;
    상기 자판의 왼쪽에는 10개의 자판으로 이루어진 자음부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자판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영어, 독어/불어 및 스페인어 자판의
    1행 1열에는 'B', 1행 2열에는 'D',
    2행 1열에는 'G', 2행 2열에는 'J',
    3행 1열에는 'L', 3행 2열에는 'N',
    4행 1열에는 'R', 4행 2열에는 'T', 4행 3열에는 'W', 4행 4열에는 'Y'
    의 자음부가 위치하여, 상기 자음부의 1 타수로 입력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자판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영어, 독어/불어 및 스페인어 자판의
    1행 1열에는 'C', 1행 2열에는 'F',
    2행 1열에는 'H', 2행 2열에는 'K',
    3행 1열에는 'M', 3행 2열에는 'P',
    4행 1열에는 'R', 4행 2열에는 'T', 4행 3열에는 'W', 4행 4열에는 'Z'
    의 자음부가 위치하여, 상기 자음부의 연속 2 타수로 입력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자판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영어, 독어/불어 및 스페인어 자판의
    4행 4열에는 'Q'
    의 자음부가 위치하여, 상기 자음부를 연속 3 타수로 입력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자판 장치.
  13. 청구항 9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독어/불어 자판의 대/소문자 변환부는
    Figure 112005012289719-PAT00003
    등의 특수문자기호 입력 기능을 추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자판 장치.
  14. 청구항 9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인어 자판의
    3행 1열에는 'LL', 3행 2열에는
    Figure 112005012289719-PAT00004
    의 자음부가 위치하여, 상기 자음부의 연속 3 타수로 입력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자판 장치.
  15. 청구항 9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판의
    1행 3열에는 'A', 1행 4열에는 'E',
    2행 3열에는 'I', 2행 4열에는 'O',
    3행 3열에는 'U'
    의 모음부가 위치하여, 상기 모음부의 1 타수로 입력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자판 장치.
  16. 휴대 단말기의 일어 자판 장치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4행(Row)과 4열(Column)의 자판을 가지고,
    상기 자판의 왼쪽 4행 2열에는 1개의 자판으로 이루어진 반/탁음부와;
    상기 자판의 오른쪽 3, 4열에는 8개의 자판으로 이루어진 모음/요음부와;
    상기 자판의 왼쪽에는 7개의 자판으로 이루어진 자음부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자판 장치.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모음/요음부는
    상기 오른쪽 2, 3, 4행 4열에는 3개의 자판으로 이루어진 요음부와;
    상기 오른쪽 1행 3, 4 열과 2, 3, 4행 3열에는 5개의 자판으로 이루어진 모음부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자판 장치.
  18. 청구항 16 또는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일어 자판 장치의
    1행 1열에는 'か', 1행 2열에는 'さ',
    2행 1열에는 'た', 2행 2열에는 'な',
    3행 1열에는 'は', 3행 2열에는 'ま',
    4행 1열에는 'ら'
    의 자음부가 위치하여, 상기 자음부의 1 타수로 입력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자판 장치.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자판의
    1행 3열에는 'い', 1행 4열에는 'あ',
    2행 3열에는 'う',
    3행 3열에는 'え',
    4행 3열에는 'お'
    의 모음부가 위치하여, 상기 모음부의 1 타수로 입력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자판 장치.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자판의
    2행 4열에는 'わ',
    3행 4열에는 'を',
    4행 4열에는 'ん'
    의 요음부가 위치하여, 상기 요음부의 1 타수로 입력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자판 장치.
  21.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자판의
    2행 4열에는 'や',
    3행 4열에는 'ゆ',
    4행 4열에는 'よ'
    의 요음부가 위치하여, 상기 요음부의 연속 2 타수로 입력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자판 장치.
  22.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일어 자판 장치의
    1행 1열의 'か'와 1행 3열의 'い'를 조합하여 'き'를,
    1행 1열의 'か'와 2행 3열의 'う'를 조합하여 'く'를,
    1행 1열의 'か'와 3행 3열의 'え'를 조합하여 'け'를,
    1행 1열의 'か'와 4행 3열의 'お'를 조합하여 'こ'를,
    연속 2 타수로 입력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자판 장치.
  23.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일어 자판 장치의
    1행 2열의 'さ'와 1행 3열의 'い'를 조합하여 'し'를,
    1행 2열의 'さ'와 2행 3열의 'う'를 조합하여 'す'를,
    1행 2열의 'さ'와 3행 3열의 'え'를 조합하여 'せ'를,
    1행 2열의 'さ'와 4행 3열의 'お'를 조합하여 'そ'를,
    연속 2 타수로 입력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자판 장치.
  24.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일어 자판 장치의
    2행 1열의 'た'와 1행 3열의 'い'를 조합하여 'ち'를,
    2행 1열의 'た'와 2행 3열의 'う'를 조합하여 'つ'를,
    2행 1열의 'た'와 3행 3열의 'え'를 조합하여 'て'를,
    2행 1열의 'た'와 4행 3열의 'お'를 조합하여 'と'를,
    연속 2 타수로 입력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자판 장치.
  25.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일어 자판 장치의
    2행 2열의 'な'와 1행 3열의 'い'를 조합하여 'に'를,
    2행 2열의 'な'와 2행 3열의 'う'를 조합하여 'ぬ'를,
    2행 2열의 'な'와 3행 3열의 'え'를 조합하여 'ね'를,
    2행 2열의 'な'와 4행 3열의 'お'를 조합하여 'の'를,
    연속 2 타수로 입력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자판 장치.
  26.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일어 자판 장치의
    3행 1열의 'は'와 1행 3열의 'い'를 조합하여 'ひ'를,
    3행 1열의 'は'와 2행 3열의 'う'를 조합하여 'ふ'를,
    3행 1열의 'は'와 3행 3열의 'え'를 조합하여 'へ'를,
    3행 1열의 'は'와 4행 3열의 'お'를 조합하여 'ほ'를,
    연속 2 타수로 입력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자판 장치.
  27.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일어 자판 장치의
    3행 2열의 'ま'와 1행 3열의 'い'를 조합하여 'み'를,
    3행 2열의 'ま'와 2행 3열의 'う'를 조합하여 'む'를,
    3행 2열의 'ま'와 3행 3열의 'え'를 조합하여 'め'를,
    3행 2열의 'ま'와 4행 3열의 'お'를 조합하여 'も'를,
    연속 2 타수로 입력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자판 장치.
  28.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일어 자판 장치의
    4행 1열의 'ら'와 1행 3열의 'い'를 조합하여 'り'를,
    4행 1열의 'ら'와 2행 3열의 'う'를 조합하여 'る'를,
    4행 1열의 'ら'와 3행 3열의 'え'를 조합하여 'れ'를,
    4행 1열의 'ら'와 4행 3열의 'お'를 조합하여 'ろ'를,
    연속 2 타수로 입력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자판 장치.
KR1020050019189A 2005-03-08 2005-03-08 휴대 단말기의 자판 및 그 배열 방법 KR1006593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9189A KR100659379B1 (ko) 2005-03-08 2005-03-08 휴대 단말기의 자판 및 그 배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9189A KR100659379B1 (ko) 2005-03-08 2005-03-08 휴대 단말기의 자판 및 그 배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8862A true KR20060098862A (ko) 2006-09-19
KR100659379B1 KR100659379B1 (ko) 2006-12-19

Family

ID=37630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9189A KR100659379B1 (ko) 2005-03-08 2005-03-08 휴대 단말기의 자판 및 그 배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93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17840A1 (ko) * 2012-07-27 2014-01-30 Lee Seung Wue 키조합 방식의 자판 및 이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8718B1 (ko) * 2012-02-17 2014-03-03 오은주 터치스크린용 한글 입력패드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4759A (ko) * 1999-05-25 2000-12-15 윤종용 통신단말기의 문자입력 장치
JP3267270B2 (ja) 1999-06-21 2002-03-18 株式会社デンソー キー入力装置
KR100336493B1 (ko) * 1999-10-29 2002-05-15 오길록 전화기의 한글 입력용 자판 시스템
KR100373332B1 (ko) 2001-04-09 2003-02-25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한글문자 입력 방법
JP2003169123A (ja) 2001-11-29 2003-06-13 Toshihiro Suzuki 携帯電話機の構造
KR20020070658A (ko) * 2002-07-16 2002-09-10 김선호 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 키패드
KR20040063216A (ko) * 2003-01-06 2004-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한글 입력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17840A1 (ko) * 2012-07-27 2014-01-30 Lee Seung Wue 키조합 방식의 자판 및 이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9379B1 (ko) 2006-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29790B2 (en) Letter input structure using morse code and input method of the same
KR100659379B1 (ko) 휴대 단말기의 자판 및 그 배열 방법
KR20010054288A (ko) 기본문형을 조합하여 한글, 영어를 입력하는 문자입력장치
KR10037042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 방법
KR100707852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자판
KR100707853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자판
KR100432267B1 (ko) 간편한 한글자판
KR100486866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 입력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글자판
KR100577675B1 (ko) 한글 키패드
KR10062807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
JP3110695B2 (ja) キー入力装置
KR100637745B1 (ko) 한글 키패드
JP3109642U (ja) 携帯韓国語入力装置
KR20020012823A (ko) 1개의 문자전환 버튼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KR100451191B1 (ko) 휴대단말기용 키 패드의 한글 문자 배열 구조
JP2001075708A (ja) キー入力装置および日本語入力方法
KR100536553B1 (ko) 한글 키패드
KR100709309B1 (ko) 한글 자음 입력장치
JP3071704B2 (ja) キー入力装置
KR20000054571A (ko) 휴대전화기 숫자판에서의 한글입력법
KR20080023068A (ko) 영문자 입력을 위한 문자 입력 장치
KR200318329Y1 (ko) 숫자 키패드를 통한 한글입력 장치 및 방법
KR20010064214A (ko) 휴대폰에서의 문자입력장치
KR200293072Y1 (ko) 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 키패드
KR101000348B1 (ko) 휴대전화의 자판을 이용한 훈민정타 한글 입력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