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8676A - 신규 미생물 마이크로박테리움 아우룸 ma-8 및 이를 이용한 마 영양번식체 생산방법 - Google Patents

신규 미생물 마이크로박테리움 아우룸 ma-8 및 이를 이용한 마 영양번식체 생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8676A
KR20060098676A KR1020050017918A KR20050017918A KR20060098676A KR 20060098676 A KR20060098676 A KR 20060098676A KR 1020050017918 A KR1020050017918 A KR 1020050017918A KR 20050017918 A KR20050017918 A KR 20050017918A KR 20060098676 A KR20060098676 A KR 200600986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in
hemp
gibberellin
aurum
microbacterium au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7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90816B1 (ko
Inventor
신종희
강동균
이봉호
박상조
김상국
주길재
이인중
Original Assignee
경상북도농업기술원생물자원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상북도농업기술원생물자원연구소 filed Critical 경상북도농업기술원생물자원연구소
Priority to KR10200500179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0816B1/ko
Publication of KR200600986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86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08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08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51Filling panels, e.g. concrete, sheet metal pan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2Supports for plants; Trellis for strawberrie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규 미생물 마이크로박테리움 아우룸(Microbacterium aurum) MA-8 및 그 용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GA1, GA3, GA4, GA9, GA12, GA19, GA24, GA34, GA36, GA44, GA53 등의 다양한 지베렐린을 생합성할 수 있는 마이크로박테리움 아우룸 MA-8 균주, 상기 균주를 이용한 지베렐린의 제조방법 및 상기 미생물로 마를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 지상부의 생육을 촉진시키는 방법과 마 영양번식체를 대량으로 생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박테리움 아우룸 MA-8 균주는 GA1, GA3, GA4, GA9, GA12, GA19, GA24, GA34, GA36, GA44, GA53 등의 다양한 지베렐린을 생합성할 수 있고, 상기 균주를 마에 처리할 경우, 마 지상부의 생육을 왕성하게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마 영양번식체를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마이크로박테리움 아우룸, 지베렐린, 마, 영양번식체

Description

신규 미생물 마이크로박테리움 아우룸 MA-8 및 이를 이용한 마 영양번식체 생산방법{Novel Microbacterium aurum MA-8 and Method for Producing Seed Tuber in Yam Using the Same}
도 1은 MA-8 균주의 기내 소괴경 생성효과(주당 형성된 괴경수)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MA-8 균주의 기내 소괴경 형성 촉진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신규 미생물 마이크로박테리움 아우룸(Microbacterium aurum) MA-8 및 그 용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GA1, GA3, GA4, GA9, GA12, GA19, GA24, GA34, GA36, GA44, GA53 등의 다양한 지베렐린을 생합성할 수 있는 마이크로박테리움 아우룸 MA-8 균주, 상기 균주를 이용한 지베렐린의 제조방법 및 상기 미생물로 마 를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 지상부의 생육을 촉진시키는 방법과 마 영양번식체를 대량으로 생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자연에서 작물 뿌리와 많은 종류의 미생물은 상호작용을 하며, 토양이나 기후조건에 따라 이러한 상호작용들이 식물의 생육이나 신장의 범위를 결정하는데 중요 요인으로 작용한다. 토양미생물 중에서 몇몇 세균은 옥신류나 다른 화학물을 생산하여 작물 주위를 보호하거나 뿌리의 증식을 자극한다. 이러한 미생물을 작물생육 촉진 미생물(Plant Growth Promoting Rhizobacteria, PGPR)이라고 한다.
PGPR은 작물호르몬(예를 들어, 지베렐린(gibberellin, GA), 옥신(auxin, indoleacetic acid, IAA), 사이토키닌(cytokinin), 에틸렌(ethylene) 등)을 방출하거나, 근권에서 질소를 고정하거나, 인산과 같은 영양원을 가용화시키거나, 근류균의 기능을 촉진시키거나, 또는 뿌리의 에틸렌의 생산을 조절하여 직접적으로 작물의 생육을 증가시키는 능력을 지니고 있다. 더욱이, 몇몇 PGPR은 작물의 주요 병원균의 생장을 억제시키는 능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지베렐린(GA)은 작물생장호르몬 중에서 가장 잘 알려진 중요한 그룹으로서, 세포분화와 신장을 자극하여 줄기의 신장을 자극하거나, 장일에 반응하여 개화나 추대를 자극하거나, 발아유도를 위한 빛이나 층형성을 요구하는 종자휴면타파, 곡류 발아에서 가수분해효소(α-아밀라제) 생산을 자극하거나, 자웅이주 꽃(성표현)의 웅성 유도, 과일 성숙에 단위결과(씨 없는)를 유도하거나, 감귤류와 잎의 노 화를 연장하는 등 다양한 이화학적 과정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지금까지 128종의 고등작물, 7종의 곰팡이 및 7종의 세균으로부터 126종의 지베렐린들이 발견되었다.
현재까지 우리나라에서는 PGPR이 생산하는 지베렐린에 의한 작물의 생산촉진에 관한 연구보고가 전혀 없는 실정이다. 그러나 지베렐린 이외 다른 생육촉진물질에 의한 연구로는 슈도모나스 세파시아(Pseudomonas cepacia)에 의해 생산되는 4-퀴노리논(4-quinolinone) 대사물질에 의해 고추 생육이 현저하게 촉진된다는 내용을 비롯하여 몇 편이 보고된 바 있다 (Moon, et al., Phytochemistry, 42:365, 1996).
외국에서는 미생물로부터 GA 생산에 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어, 지금까지 곰팡이로부터 분리된 GAs로 GA1-4, GA7, GA9-16, GA20, GA24-25, GA36-37, GA40-42, GA47, GA54-57, GA78, GA82 등 28종과 세균으로부터 분리된 GAs로 GA1, GA3, GA4, GA20 등 4종이 보고되어 있다.
아세토박터 디아조크로피쿠스(Acetobacter diazotropicus), 아조토스피리룸 리포페륨(Azotospirillum lipoferum), 아조토스피리룸 브라시렌스(Azotospirillum brasilense) 등은 GA1 및 GA3을 생산하며, 바실러스 리케니피미스(Bacillus lichenifirmis), 바실러스 푸미러스(Bacillus pumilus)는 GA1, GA3, GA4 및 GA20을 생산하며, 헤르보스피리룸 세로페디카(Herbospirillum seropedicae)는 GA3을 생산하며, 리조비움 파세오리(Rhizobium phaseoli)는 GA1 및 GA4를 생산하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나, 마이크로박테리움 아우룸(Microbacterium aurum)에서 지베렐린을 생산하는 보고는 없는 상황이다.
마는 영양번식성 작물로서 감자처럼 덩이 나누기로 번식하는데, 마의 번식부위는 지하부의 덩이를 절단하여 사용하거나, 지상부에서 발생하는 주아(영여자)를 1년 재배한 후 얻어진 씨마를 종서로 사용한다. 그러므로 마재배에 있에서 종서가 차지하는 비중이 크고, 이에 따라 종서의 비용도 높아지고 있는 현실이다. 주아는 비교적 많이 발생하지만 1년간의 재배기간을 거친 후에 종서로 사용가능하므로 시간면에서 단점을 지니고 있다.
마 종류중 비교적 재배가 용이한 둥근마의 경우는 개체당 지하부의 덩이가 1-2개 정도 형성되고, 자연상태에서 주아를 거의 생산하지 않으므로 종서의 확보가 극히 어려운 실정이다. 이와 같이 둥근마 종서의 확보에 따른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하여, 기존에는 지하부 괴경(덩이줄기)의 비대를 유도하거나, 조직배양을 통한 기내증식 또는 기내 소괴경유도를 통한 증식법을 개선하고자 노력하였으나, 괄목한만한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다양한 종류의 지베렐린을 생합성할 수 있는 신규 마이크로박테리움 아우룸 MA-8을 분리하고, 상기 균주를 마에 처리한 결과, 상기 균주가 마 지상부의 생육을 왕성하게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마 영양번식체를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신규 미생물 마이크로박테리움 아우룸 MA-8 및 상기 균주를 이용한 지베렐린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균주로 마를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 영양번식체의 대량생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베렐린 생성능을 가지는 마이크로박테리움 아우룸(Microbacterium aurum)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은 기탁번호가 KACC 91154P인 마이크로박테리움 아우룸(Microbacterium aurum) MA-8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미생물을 배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베렐린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지베렐린은 GA1, GA3, GA4, GA9, GA12, GA19, GA24, GA34, GA36, GA44 및 GA53 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미생물로 마를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 영양번식체의 생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작물생육조절 미생물인 마이크로박테리움 아우룸 MA-8 균주는 2005년 1월 27일자로 부다페스트 조약에 따른 국제기탁기관인 농촌진흥청 농업생명공학연구원 한국농용미생물 보존 센터(Korean Agricultural Culture Collection, KACC)에 기탁번호 KACC 91154P로 기탁되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마이크로박테리움 아우룸 MA-8 균주의 동정
마이크로박테리움 아우룸 MA-8 균주는 본 발명의 연구자들이 작물의 생육조절에 관여하는 미생물을 선별하는 과정에서 토양으로부터 분리되었다.
Bergey's Manual of Systematic Bacteriology의 방법에 따른 동정으로서 균의 형태 및 색소생성 유무, 산소 요구도, 포도당에 의한 산 생성 유무, G+C mol 함량, 메나퀴논(menaquinone)의 종류 등을 조사하고, 이를 대조군의 특성과 비교하였다.
상기 방법에 따라 광학현미경을 조사한 결과, 상기 마이크로박테리움 아우룸 MA-8 균주는 전형적인 구균(coccus)이며, red-orange색의 콜로니(colony)를 나타내었다.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산소요구도가 낮은 점, 포도당을 이용하여 산 을 생산하는 점, 주요 메나퀴논의 종류가 MK-11 및 MK-12인 점 등으로 보아, 상기 미생물은 Microbacterium 속의 미생물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분류군 형태 산소요구도 포도당에 의한 산 생성 mol% G+C 주요 메나퀴논
쿠르토박테리움 (Curtobacterium) 구균 호기성 65-75 MK-9
아쓰로박터 (Arthrobacter) 적구균 (red-coccus) 호기성 - 59-66 MK-9(H2), MK-8
마이크로박테리움 (Microbacterium) 구균 다의성 (equivocal) + 69-75 MK-11, MK-12
MA-8 계통 (MA-8 strain) 구균 다의성 (equivocal) + 70 MK-11, MK-12
실시예 2: 16S rDNA 염기서열 분석법에 의한 마이크로박테리움 아우룸 MA-8 균주의 동정
마이크로박테리움 아우룸 MA-8 균주를 TSA(typtic soy agar) 배지 상에서 배양한 다음, 배양된 순수 미생물의 콜로니 하나를 살균된 0.5㎖의 식염수 용액(0.85% NaCl)이 담겨져 있는 1.5㎖ 원심분리용 튜브(centrifuge tube)에 넣고 잘 현탁한 후, 10,000rpm에서 10분 동안 원심분리하였다.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제거하고, 침전된 균체에 0.5㎖의 InstaGene Matrix(Bio-Rad, USA) 용액을 넣은 후 56℃에서 30분 동안 반응시킨 다음, 다시 100℃에서 10분간 열처리하였다. 이와 같이 열처리한 용액을 PCR을 위한 주형 DNA로 사용하였다.
16S rDNA 분석을 위하여, 20㎕의 PCR 반응용액에 1㎕의 주형 DNA를 넣고, 하기 27F 프라이머(서열번호 1) 및 1490R 프라이머(서열번호 2)를 사용하여 PCR을 수행하여, 약 1,400 bp의 DNA 단편을 증폭하였다. PCR 조건은 다음과 같다: [94℃, 45초 → 55℃, 60초 → 72℃, 60초] 30 사이클.
서열번호 1 (forward): 5'- AGA GTT TGA TCM TGG CTC AG - 3'
서열번호 2 (reverse): 5'- TAC GGY TAC CTT GTT ACG ACT T - 3'
이때, 양성 대조군(positive control)으로 대장균(E. coli)의 게놈 DNA(genomic DNA)를 사용하였다. Dynabeads PCR Clean up kit(Dynal Biotech ASA, Norway)를 사용하여 결합하지 않은(uncorporated) PCR 프라이머와 dNTPs을 제거함으로써 PCR 산물을 정제하였다. Big Dye terminator cycle sequencing kit (Applied BioSystems, USA)의 반응액과 정제된 PCR 산물(대략 1,400 bp)을 혼합하여 반응시키고, 하기 518F(서열번호 3) 및 800R(서열번호 4)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Applied Biosystems model 3730XL automated DNA sequencing system(Applied BioSystems, USA)에서 염기서열을 결정하였다.
서열번호 3 (forward): 5'- CCA GCA GCC GCG GTA ATA CG - 3'
서열번호 4 (reverse): 5'- TAC CAG GGT ATC TAA TCC - 3'
상기 실험에 의해 선별균주 MA-8의 16S rDNA 염기서열 결정에 의한 동정하고, 결정된 염기서열은 에서 상동성을 조사하여 유사도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MA-8 균주는 1357bp의 16S rDNA 염기서열을 가지는 것으로 결정되었고,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Microbacteriaceae 과(family)에 속하는 Microbaterium 속(genus), Leifsonia 속, Subtercola 속과 유사도가 높으며, 특히 Microbacterium aurum 과 82%의 높은 상동성을 가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MA-8 균주를 마이크로박테리움 아우룸으로 동정하고, 마이크로박테리움 아우룸 MA-8이라 명명하였다. 그리고, 이를 2005년 1월 27일자로 농촌진흥청 농업생명공학연구원 한국농용미생물 보존 센터(Korean Agricultural Culture Collection, KACC)에 기탁번호 KACC 91154P로 기탁되었다.
16S rDNA 염기서열 결정에 의한 MA-8 균주의 동정 결과
MA-8 균주의 16S rDNA의 염기서열 (1357 bp): 서열번호 5
TTAACACATGCAAGTCGAACGGTGAAGCAGGAGCTTGCTCCTGCGGATCAGTGGCGAACGGGTGAGTAACACGTGAGCAATCTGCCCTGGACTCTGGGATAAGCGTTGGAAACGACGTCTAATACCGGATACGAGACGTGAAGGCATCTTCAACTTCTGGAAAGAACTTCGGTCCAGGATGAGCTCGCGGCCTATCAGTCTTGTTGGTGAGGTAACGGCTCACCAAGGCGACGACGGGTAGCCGGCCTGAGAGGGTGACCGGCCACACTGGGACTGAGACACGGCCCAGACTCCTACGGGAGGCAGCAGTGGGGAATATTGCACAATGGGCGCAAGCCTGATGCAGCAACGCCGCGTGAGGGACGACGGCCTTCGGGTTGTAAACCTCTTTTAGTAGGGAAGAAGCGAAAGTGACGGTACCTGCAGAAAAAGCACCGGCTAACTACGTGCCAGCAGCCGCGGTAATACGTAGGGTGCAAGCGTTGTCCGGAATTATTGGGCGTAAAGAGCTCGTAGGCGGTTTGTCGCGTCTGCTGTGAAAACTGGAGGCTCAACCTCCAGCCTGCATCTGGGTACGGGCAAACTAGAGTGCGGTAGGGGAGATTGGAATTCCTGGTGTAGCGGTGGAATGCGCAGATATCAGGAGGAACACCGATGGCGAAGGCAGATCTCTGGGCCGTAACTGACGCTGAGGAGCGAAAGCGTGGGGAGCGAACAGGATTAGATACCCTGGTAGTCCACGCCGTAAACGTTGGGAACTAGATGTGGGGGCCATTCCACGGCTTCCGTGTCACATCTAACGCATTAAGTTCCCCGCCTGGGGAGTACGGCCGCAAGGCTAAAACTCAAAGGAATTGACGGGGGCCCGCACAAGCGGCGGAGCATGCGGATTAATTCGATGCAACGCGAAAAACCTTACCAAGGCTTGACATATACAGAACGCTGCAAAAATGTAGAACTCTTTGGACACTCGTATACAGGTGGTGCATGGTTGTCGTCAGCTCGTGTCGTGAGATGTTGGGTTAAGTCCCGCAACGAGCGCAACCCTCGTTCTATGTTGCCAGCGCGTTATGGCGGGAACTCATAGGACACTGCCGGGGTCAACTCGAGAGGAAGGTGGGAATGACGTCAAATCATCATGCCCCTTATGTCTTGGGCTTCACGCATGCTACAATGGCCGGTACAAAGGGCTGCAATACCCGTAAGGTGGAGCGAATCCCAAAAAGCCGGTCTCAGTTCGAAATTGAGGTCTGCAACTCCACCTCATGAAGTCGAGACTCGCTAGTAATCGTGATATCACACGCCACGGGAATACTTTCCCGGGCCTTGTACACACCGCCCGTCAAGTCATGAAAGT
동정된 균주명 유사도
마이크로박테리움 아우룸(Microbacterium aurum) 82%
실시예 3: 마이크로박테리움 아우룸 MA-8 균주의 배양조건
순수 분리된 마이크로박테리움 아우룸 MA-8 균주 콜로니를 영양배지(Nutrient Broth ; Beef Extract 3g, Peptone 5g, 증류수 1ℓ, pH 7.0)에서 한 백금이 접종하여 30℃에서 3일 정도 진탕배양 하였다. 배양액은 지베렐린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둥근마 재배 포장 처리 효과 검정에서는 배양된 균체를 원심분리 하여 집균하고 이를 살린용액 (NaCl 0.85%) 으로 현탁하여 균체수가 109cfu /㎖이 되도록 마 식물체 근권에 처리하였다.
실시예 4: 마이크로박테리움 아우룸 MA-8 균주의 지베렐린 생합성
마이크로박테리움 아우룸 MA-8 균주의 지베렐린 생합성 능력을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예 3과 같은 배양조건하에서 액체배양 다음, 이 배양액에서 종류별로 지베렐린 함량을 조사하였다. 지베렐린의 추출 및 정량은 Lee 등의 방법에 준수하였다(Lee, et al., Plant Growth Regul., 17:185, 1998). 표 3은 마이크로박테리움 아우룸 MA-8 균주에 의해 생합성된 지베렐린의 종류 및 양을 나타낸 것이다. 마이크로박테리움 아우룸 MA-8 균주는 GA1, GA3, GA4, GA9, GA12, GA19, GA24, GA34, GA36, GA44, GA53 등의 지베렐린을 생합성할 수 있고, 이중에서도 GA3, GA4 및 GA12의 생합성 능력이 탁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GA4는 식물 비대제로서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미생물을 배양하면 다량의 지베렐린을 생합성할 수 있다.
마이크로박테리움 아우룸 MA-8 균주의 지베렐린 생합성 능력
지베렐린의 생합성량 (ng/960㎖)
GA1 GA3 GA4 GA9 GA12 GA15 GA19 GA20 GA24 GA34 GA36 GA44 GA53
15.31 122.5 85.95 18.12 227.61 N.D 0.23 N.D 16.69 1.74 53.64 1.33 0.05
실시예 5: 마이크로박테리움 아우룸 MA-8 균주를 이용한 둥근마 영양번식체 생산
마이크로박테리움 아우룸 MA-8 균주를 기내 접종한 다음 기내괴경형성에 대한 효과를 관찰하였다. 균주를 배지(Nutrient Broth)에 (Merck, 4g/500㎖) 균 밀도가 109/㎖ 되도록 해서 증식균 배양액을 2㎖씩 배지에 접종하여 35일간 26±1℃, 16h광주기 조건에 배양하여 식물체로부터 기내 소괴경 형성정도와 생육상태를 조사하였다. 식물재료는 20㎖의 MS 배지가 분주된 시험관에서 20일간 자란 둥근마의 유묘를 균주처리 재료로 사용하였다. 실험결과 소괴경 형성은 대조군(무처리구)에 비해 약 3배정도 증가하고(도 1), 괴경형성 시기도 단축되었음을 확인하였다(도 2).
이 균주를 사용한 포장 처리 실험에서도 이와 동일한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경북 안동에 위치하고 있는 경북농업기술원 생물자원 연구소내의 논을 10cm 정도 마사토로 객토하여 밭으로 전환한 포장을 이용하였으며, 2004년 4월 7일에 정식한 둥근마를 공시재료로 사용하였다. 괴경형성기인 7월 30일과 괴경 비대기인 8월 30일에 MA-8용액을(109 cfu/㎖)을 노지에 살린용액(NaCl 0.85%)로 1/10 희석후 (108 cfu/㎖) 1배액으로 하여 무처리구, 1~3배액으로 각각 중복으로 관주처리(100㎖/Plant)하였고 수확기인 11월 상순에 수확하여 수량을 조사하였다. MA-8 용액을 처리한 경우 무처리에 비해 식물체내 GA1과 GA4의 함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확후 괴경수량을 조사한 결과 100g 이상의 큰괴경 수량은 처리구 간에 큰 차이가 없었으나 씨마로 이용 가능한 10~30g 정도의 괴경수가 현저히 증가하였다(표 4). 이를 통하여 지베렐린을 생합성 할 수 있는 마이크로박테리움 아우룸 MA-8 균주가 괴경형성을 촉진시킬 뿐 아니라 괴경의 형성시기를 단축시킴으로써 둥근마 영양번식체의 생산을 증대시킬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지베렐린 생성 미생물배양액의 둥근마 재배포장 처리 효과
괴경수 총괴경중(g)
10g 이하 10-30g 30-50g 50-100g 100g 이상 총계
대조군 9 16 34 48 15 122 7,466.4
1X 30 44 40 61 20 195 10,746.5
2X 59 108 45 61 17 290 10,864.0
3X 97 150 67 60 23 397 13,284.4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신규 미생물 마이크로박테리움 아우룸 MA-8 및 상기 균주를 이용한 지베렐린의 제조방법 및 상기 균주로 마를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 영양번식체의 대량생산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박테리움 아우룸 MA-8 균주는 GA1, GA3, GA4, GA9, GA12, GA19, GA24, GA34, GA36, GA44, GA53 등의 다양한 지베렐린을 생합성할 수 있고, 상기 균주를 마에 처리할 경우, 마 지상부의 생육을 왕성하게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마 영양번식체를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10> Kyong Euk Provincial ATA <120> Novel microbacterium aurum MA-8 and Method for Producing Seed Tuber in Yam Using the Same <130> P05-B010 <160> 5 <170> KopatentIn 1.71 <210> 1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CR Primer <400> 1 agagtttgat cmtggctcag 20 <210> 2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CR Primer <400> 2 tacggytacc ttgttacgac tt 22 <210> 3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CR Primer <400> 3 ccagcagccg cggtaatacg 20 <210> 4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CR Primer <400> 4 taccagggta tctaatcc 18 <210> 5 <211> 1357 <212> DNA <213> Microbacterium aurum <400> 5 ttaacacatg caagtcgaac ggtgaagcag gagcttgctc ctgcggatca gtggcgaacg 60 ggtgagtaac acgtgagcaa tctgccctgg actctgggat aagcgttgga aacgacgtct 120 aataccggat acgagacgtg aaggcatctt caacttctgg aaagaacttc ggtccaggat 180 gagctcgcgg cctatcagtc ttgttggtga ggtaacggct caccaaggcg acgacgggta 240 gccggcctga gagggtgacc ggccacactg ggactgagac acggcccaga ctcctacggg 300 aggcagcagt ggggaatatt gcacaatggg cgcaagcctg atgcagcaac gccgcgtgag 360 ggacgacggc cttcgggttg taaacctctt ttagtaggga agaagcgaaa gtgacggtac 420 ctgcagaaaa agcaccggct aactacgtgc cagcagccgc ggtaatacgt agggtgcaag 480 cgttgtccgg aattattggg cgtaaagagc tcgtaggcgg tttgtcgcgt ctgctgtgaa 540 aactggaggc tcaacctcca gcctgcatct gggtacgggc aaactagagt gcggtagggg 600 agattggaat tcctggtgta gcggtggaat gcgcagatat caggaggaac accgatggcg 660 aaggcagatc tctgggccgt aactgacgct gaggagcgaa agcgtgggga gcgaacagga 720 ttagataccc tggtagtcca cgccgtaaac gttgggaact agatgtgggg gccattccac 780 ggcttccgtg tcacatctaa cgcattaagt tccccgcctg gggagtacgg ccgcaaggct 840 aaaactcaaa ggaattgacg ggggcccgca caagcggcgg agcatgcgga ttaattcgat 900 gcaacgcgaa aaaccttacc aaggcttgac atatacagaa cgctgcaaaa atgtagaact 960 ctttggacac tcgtatacag gtggtgcatg gttgtcgtca gctcgtgtcg tgagatgttg 1020 ggttaagtcc cgcaacgagc gcaaccctcg ttctatgttg ccagcgcgtt atggcgggaa 1080 ctcataggac actgccgggg tcaactcgag aggaaggtgg gaatgacgtc aaatcatcat 1140 gccccttatg tcttgggctt cacgcatgct acaatggccg gtacaaaggg ctgcaatacc 1200 cgtaaggtgg agcgaatccc aaaaagccgg tctcagttcg aaattgaggt ctgcaactcc 1260 acctcatgaa gtcgagactc gctagtaatc gtgatatcac acgccacggg aatactttcc 1320 cgggccttgt acacaccgcc cgtcaagtca tgaaagt 1357

Claims (5)

  1. 지베렐린 생성능을 가지는 마이크로박테리움 아우룸(Microbacterium aurum).
  2. 제1항에 있어서, 기탁번호가 KACC 91154P인 마이크로박테리움 아우룸(Microbacterium aurum) MA-8.
  3. 제1항 또는 제2항의 미생물을 배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베렐린의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베렐린은 GA1, GA3, GA4, GA9, GA12, GA19, GA24, GA34, GA36, GA44 및 GA53 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의 미생물로 마를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 영양번 식체의 생산방법.
KR1020050017918A 2005-03-03 2005-03-03 신규 미생물 마이크로박테리움 아우룸 ma-8 및 이를 이용한 마 영양번식체 생산방법 KR1006908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7918A KR100690816B1 (ko) 2005-03-03 2005-03-03 신규 미생물 마이크로박테리움 아우룸 ma-8 및 이를 이용한 마 영양번식체 생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7918A KR100690816B1 (ko) 2005-03-03 2005-03-03 신규 미생물 마이크로박테리움 아우룸 ma-8 및 이를 이용한 마 영양번식체 생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8676A true KR20060098676A (ko) 2006-09-19
KR100690816B1 KR100690816B1 (ko) 2007-03-09

Family

ID=37630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7918A KR100690816B1 (ko) 2005-03-03 2005-03-03 신규 미생물 마이크로박테리움 아우룸 ma-8 및 이를 이용한 마 영양번식체 생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081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0599B1 (ko) * 2012-08-31 2015-06-23 고려바이오주식회사 미생물과 식물추출물을 이용한 살충, 항균 및 영양 성능을 보유한 복합 친환경 작물보호제
CN109503368A (zh) * 2018-11-13 2019-03-22 河南大学 一种赤霉素类似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3353B1 (ko) 2007-04-06 2008-12-10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작물 생육촉진 미생물 불크홀데리아 세파시아 se-4 및이를 이용한 지베렐린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147160B1 (es) * 1999-01-20 2001-03-01 Univ San Pablo Ceu Bacillus pumilus b3 (cect 5105) y bacillus licheniformis b12 (cect 5106) como productores de giberelinas y estimulantes del crecimiento vegetal.
US6287800B1 (en) * 1999-08-31 2001-09-11 Jorge L. Gallazzo Production of high titers of gibberellins, GA4 and GA7, by Gibberella fujikuroi strain LTB-1027
KR100561508B1 (ko) * 2003-11-12 2006-03-17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신규 미생물 바실러스 시리우스 mj-1 및 이를 이용한 지베렐린의 제조방법
KR100595845B1 (ko) * 2003-11-14 2006-06-30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페니실리움 코뮨 knu5379 균주를 이용한 지베렐린의대량생산방법 및 용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0599B1 (ko) * 2012-08-31 2015-06-23 고려바이오주식회사 미생물과 식물추출물을 이용한 살충, 항균 및 영양 성능을 보유한 복합 친환경 작물보호제
CN109503368A (zh) * 2018-11-13 2019-03-22 河南大学 一种赤霉素类似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0816B1 (ko) 2007-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A009126B1 (ru) Микроорганизмы для обработки почвы и способ их получения
CN106635842B (zh) 一株蜜环菌yn01(wt)及其应用
CN114717145B (zh) 一株黄瓜金黄杆菌及其在降解海藻渣中的应用
CN108220210B (zh) 一株防治棉花黄萎病的拮抗菌z-18及应用
KR101456171B1 (ko) 물억새 뿌리로부터 분리한 미생물을 이용한 식물 생장 촉진방법
CN110343641B (zh) 一种盐芽孢杆菌syw-1及在棉花黄萎病防治中的应用
CN112342173A (zh) 贝莱斯芽孢杆菌及其应用
CN109370959B (zh) 一种防治马铃薯晚疫病的根际细菌及其用途
JP5074866B2 (ja) マメ科植物の害虫による摂食を阻害する方法
CN107325980B (zh) 一种耐辐射类芽孢杆菌kh9及其在生物抗蒸腾剂中的应用
KR100690816B1 (ko) 신규 미생물 마이크로박테리움 아우룸 ma-8 및 이를 이용한 마 영양번식체 생산방법
JP4630627B2 (ja) 植物種子発芽率向上剤
JP6236660B2 (ja) 植物の生育促進剤
CN103045500B (zh) 中慢生根瘤菌kdrm295及其应用
CN112111432B (zh) 一种双源腐植酸生物肥料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12501084B (zh) 一株根际益生菌克雷伯氏菌属zh07及其应用
KR100460633B1 (ko) 토양의 불용성 인산염을 가용화하는 신규의 균주 레클레르시아 아데카르복실라타 케이에스제이8
CN101786912B (zh) 一种烟草漂浮育苗用高效菌肥及其生产方法
KR102095659B1 (ko) 염 스트레스 환경에서 식물 생장을 촉진하는 바실러스 세레우스 속 ast-4 균주 및 이의 이용
KR20220126123A (ko) 옥신을 생산하고 식물 생장을 촉진하는 이그나치네리아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0474662B1 (ko) 버섯 생장을 촉진시키는 슈도모나스 푸티다 미생물 및상기 미생물을 이용한 버섯재배 방법
KR100561508B1 (ko) 신규 미생물 바실러스 시리우스 mj-1 및 이를 이용한 지베렐린의 제조방법
CN103045501B (zh) 中慢生根瘤菌kdrm283及其应用
CN112980724B (zh) 一种花生内生洋葱伯克霍尔德氏菌及其应用
RINCON-MOLINA et al. BACTERIAL DIVERSITY WITH PLANT GROWTH-PROMOTING POTENTIAL ISOLATED FROM Agave americana RHIZOSPHE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8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