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8503A -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파일을 싱크관리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파일을 싱크관리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8503A
KR20060098503A KR1020050017628A KR20050017628A KR20060098503A KR 20060098503 A KR20060098503 A KR 20060098503A KR 1020050017628 A KR1020050017628 A KR 1020050017628A KR 20050017628 A KR20050017628 A KR 20050017628A KR 20060098503 A KR20060098503 A KR 200600985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e
terminal
news
external device
recei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7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우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176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98503A/ko
Publication of KR20060098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85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04Seating furniture, e.g. sofas, couches, settees, or the like, with movable parts changeable to beds; Chair beds
    • A47C17/12Seating furniture, e.g. sofas, couches, settees, or the like, with movable parts changeable to beds; Chair beds changeable to beds by tilting or extending the arm-res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04Seating furniture, e.g. sofas, couches, settees, or the like, with movable parts changeable to beds; Chair beds
    • A47C17/16Seating furniture changeable to beds by tilting or pivoting the back-rest
    • A47C17/162Seating furniture changeable to beds by tilting or pivoting the back-rest with adjustable back-res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04Seating furniture, e.g. sofas, couches, settees, or the like, with movable parts changeable to beds; Chair beds
    • A47C17/37Changing sofas or the like into beds by means of furniture other than seats or chai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외부장치와 싱크(sync)하여 파일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파일이 수신되는지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파일 수신시, 미리 설정된 보관일을 독출하는 과정과, 이전 수신 파일을 검색하여 상기 보관일을 초과하는 데이터를 삭제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파일을 상기 이전 수신된 파일과 싱크(sync)하여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경제적인 부담없이 최신 뉴스나 메일을 단말기로 볼 수 있고 사용자가 따로 관리할 필요없이 원하는 정보를 선택적으로 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단말기, sync, 뉴스, PC link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파일을 싱크관리하기 위한 방법{METHOD FOR SYNC MANAGEMENT OF FIL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외부장치에서 단말기와 싱크(sync)하여 파일을 관리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외부장치와 싱크(sync)하여 파일을 관리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한 도면,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외부장치와 싱크(sync)하여 파일을 관리하는 것을 보인 예시도.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부장치와 싱크(SYNC)하여 파일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시 말해, 휴대폰 메모리에 저장된 파일과 컴퓨터에서 관리되는 파일을 싱크(sync)하여 저장관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 이다. 여기서, 싱크(sync)라는 용어는 자료 동기화를 의미하는 것으로 양방에 존재하는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호 교환함으로써 양방의 데이터를 일치시키는 데이터 처리 기술이다. 보통, 단말기에 자료를 다운로드 하는 기술을 포괄하여 싱크(sync)라 부르기도 한다.
디지털 문명이 도래하면서 아날로그 방식으로 진행되던 사회의 전반적인 서비스 및 상품들이 디지털화 되어가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맞추어 1990년대 초반부터 이북(EBOOK)에 대한 논의가 일기 시작했는데, 그 당시 이북(EBOOK)은 종래의 종이책에 대한 사람들의 관념을 바꾸지 않은 상태에서 제공환경의 열악함 등의 장벽으로 인해 대중화되지 못하였다. 그러나 최근 인터넷 보급이 급속히 확대되고 그 회선속도가 고속화되어갈 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정보가 인터넷이라는 매체를 통해 제공되고, 이러한 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단말기나 시스템의 가격이 저렴, 대중화되면서 이북(EBOOK) 서비스에 대한 관심 및 실용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 이동통신 단말기는 이북(EBOOK) 서비스를 위해 파일을 읽을 수 있도록 해주는 툴(Tool) 즉, 이북 뷰어(EBOOK viewer)를 지원하고 있다. 그리하여 사용자는 소설, 수필, 교육자료 등의 데이터를 컴퓨터에서 단말기로 이동시켜 언제 어디서든 간편하게 볼 수 있게 되었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의 이동은 보통 PC 링크 툴(link Tool)이나 이동디스크(MMC를 지원할 때)등의 외부장치를 이용한다. 따라서 외부장치를 이용한 단순한 이동만으로 이동시에도 원하는 정보를 원활하게 이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하지만, 데이터가 다양하고 새로운 성질이 있는 파일 즉, 뉴스나 이메일의 경우, 외부장치를 이용한 단순한 이동만으로는 새로운 파일을 관리하는데 많은 번거로움이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가 중복되어 이미 읽은 데이터를 다시 읽게 되는 경우가 생기고, 제한된 메모리 공간 때문에 사용자가 수동으로 데이터를 일일이 지워줘야 하는 경우 등이 생길 수 있다. 이런 경우, 사용자가 무선 인터넷으로 뉴스를 보는 경우 가지게 될 경제적 부담을 줄일 수는 있지만, 사용자의 많은 관리가 필요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번거로움을 느끼게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외부장치와 싱크(sync)하여 파일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외부장치와 싱크(sync)하여 파일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파일이 수신되는지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파일 수신시, 미리 설정된 보관일을 독출하는 과정과, 이전 수신 파일을 검색하여 상기 보관일을 초과하는 데이터를 삭제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파일을 상기 이전 수신된 파일과 싱크(sync)하여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 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 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외부장치와 싱크(sync)하여 파일을 관리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이하 설명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셀룰러 전화기(Cellular phone), 개인휴대통신 전화기(PCS :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복합무선단말기(PDA : Personal Data Assistant),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단말기 등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며, 이하 설명은 상기 예들의 일반적인 구성을 가지고 설명할 것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제어부(MPU : Micro-Processor Unit)(101)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통신 및 데이터통신을 위한 처리 및 제어를 수행하고, 통상적인 기능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라 외부장치와 싱크(sync)하여 파일을 관리하기 위한 기능을 처리한다. 따라서, 이하 설명에 있어서 통상적인 제어부(101)의 처리 및 제어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롬(ROM : Read Only Memory)(103)은 상기 제어부(101)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의 마이크로코드와 각종 참조 데이터를 저장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라 통상적인 기능에 더하여 외부장치와 싱크(sync)하여 파일을 관리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램(RAM : Random Access Memory)(105)은 상기 제어부(101)의 워킹 메모리(working memory)로, 각종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하는 일시적인 데이터 를 저장한다. 플래쉬 롬(flash ROM)(107)은 갱신 가능한 각종 보관용 데이터를 저장한다.
키패드(key pad)(109)는 0 ~ 9의 숫자키 버튼들과, 메뉴버튼(menu), 취소버튼(지움), 확인버튼, 통화버튼(TALK), 종료버튼(END), 인터넷 접속버튼, 네비게이션 키(또는 방향키) 버튼들(▲/▼/◀/▶)등 다수의 기능키들을 구비하며, 사용자가 누르는 키에 대응하는 키입력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101)로 제공한다. 디스플레이부(111)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중에 발생되는 상태 정보, 제한된 숫자의 문자들, 다량의 동영상 및 정지영상 등을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11)는 칼라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LCD : Liquid Crystal Display)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1)에 연결된 코덱(CODEC : Coder-Decoder)(113)과, 상기 코덱(113)에 접속된 스피커(117) 및 마이크(115)는 전화 통신 및 음성 녹음에 사용되는 음성 입출력 블록이다. 상기 코덱(113)은 상기 제어부(101)에서 제공되는 디지털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스피커(117)를 통해 송출하고, 상기 마이크(115)를 통해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디지털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101)로 제공한다.
또한, RF부(Radio Frequency unit)(123)는 안테나(121)를 통해 수신되는 라디오주파수 신호를 주파수 하강시켜 기저대역처리부(125)로 제공하고,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25)로부터의 기저대역신호를 주파수 상승시켜 상기 안테나(121)를 통해 송신한다.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25)는 상기 RF부(123)와 상기 제어부(101) 사이에 송수신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처리한다. 예를 들어, 송신인 경우 송신할 데이터를 채널코딩(channel coding) 및 확산(spreading)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수신인 경우 수신신호를 역확산(de-spreading) 및 채널복호(channel decoding)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외부 인터페이스부(119)는 이동통신 단말기(127) 및 외부장치(129) 간의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하며, USB포트, 직렬포트, 병렬포트, PS2포트 등과 같은 인터페이스(131)를 통해 상기 외부장치(129)와 연결된다.
컴퓨터는 통상의 컴퓨터(129)를 포함하여 인터넷(133)과 연결된 서버(135)의 역할을 한다. 상기 통상의 컴퓨터(129)는 인터넷(133)을 통하여 뉴스서버(135)에 연결되어 있고, USB 포트(131)를 통하여 단말기(127)를 연결하고 있다. 상기 컴퓨터(129)는 PC 링크(link) 프로그램을 포함하는데, 이는 통상의 인터페이스(131)(예 : USB)를 이용하여 PC와 단말을 연결하는 근거리 통신 프로토콜 중 하나를 의미한다. 여기서, 상기 컴퓨터(129)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뉴스 혹은 메일 등에 해당되는 정보를 주기적 혹은 새로운 정보 발생시 인터넷(133)을 통해 수신한 후 이를 저장하고, 단말기(127)로 기 전송된 이후에 발생한 정보를 근거리 통신 방식에 맞도록 변환하여 상기 단말기(127)로 무선전송한다. 상기 뉴스 서버(135)는 PC 링크 툴(link Tool)을 실행시켜 인터넷으로 접속중인 상기 컴퓨터(129)와의 데이터 통신을 처리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외부장치에서 단말기와 싱크(sync)하여 파일을 관리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컴퓨터(129)의 PC 링크(link)는 201단계에서 단말기(127) 가 연결되는지 검사한다. 상기 단말기가 연결되면, 상기 컴퓨터(129)의 제어부는 203단계에서 사용자가 PC 링크(link)의 메뉴 중 '뉴스'를 선택하는지 확인하여, 상기 뉴스를 선택하지 않으면, 해당항목을 표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원하는 항목을 볼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가 상기 뉴스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는 205단계에서 사용자가 기존에 설정한 뉴스에 대한 항목과 날짜를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항목이란, 상기 PC 링크 툴(link Tool)이 인터넷 서버(server) 업체(135)에서 뉴스를 가져올 때, 사용자가 원하는 분야의 뉴스만을 가져올 수 있도록 미리 설정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정치, 사회, 스포츠, IT등의 항목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날짜는 사용자가 원하는 '최신'뉴스의 기준이 며칠 이내(예 : 3일 이내, 하루 전, 당일..)의 뉴스인지를 설정하는 것으로, 사용자는 이를 설정함으로써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207단계에서 기존에 설정한 상기 항목과 날짜의 유지를 원하는지를 확인하고, 사용자가 상기 설정 변경을 원하는 경우, 209단계로 진행하여 항목과 날짜를 다시 설정할 수 있도록 표시해준다. 만약, 상기 설정 변경을 원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는 211단계로 바로 진행하여 '뉴스 가져오기'를 선택하는지 검사하고, 상기 '뉴스 가져오기'가 선택되면, 213단계로 진행하여 인터넷 뉴스 서버 업체로부터 가져온 뉴스리스트를 표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PC 링크 툴(401)의 '뉴스 가져오기'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는 인터넷 뉴스 서버 업체(403)로부터 미리 설정한 항목과 날짜에 따른 최신뉴스의 제목 리스트를 가져와 저장하고 상기 PC 링크 툴(401) 안에 405와 같이 표시한다. 이때, 저장방식은 항목별 저 장, 뉴스기사별 저장 등이 있다. 상기 PC 링크 툴에 표시되는 뉴스는 단말기(407)와의 싱크(sync)를 위해 405와 같이, 파일 제목에 뉴스 제작 시간과 뉴스 그룹 항목을 포함한다. 그리하여 상기 파일 제목으로 뉴스파일을 구분, 정렬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부는 215단계에서 사용자로 하여금 원하는 뉴스를 선택할 수 있도록 상기 리스트(405)에 체크박스를 두어 다시 한번 선택권을 준다. 이후, 사용자의 체크박스 클릭으로 뉴스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는 217단계로 진행하여 PC 링크 툴 메뉴 중 '폰으로 보내기'가 선택되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폰으로 보내기'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는 219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뉴스 중 이전에 전송한 뉴스가 있는지를 검사한다. 이는 최신의 뉴스만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이전에 단말기로 전송한 뉴스가 있으면, 상기 컴퓨터(129)의 제어부는 221단계로 진행하여 해당하는 뉴스를 삭제처리하고, 상기 이전에 전송한 뉴스가 없으면, 상기 제어부는 223단계로 진행하여 선택된 뉴스파일을 단말기에서 읽을 수 있는 파일로 변환하고 225단계에서 단말기로 전송한다. 도 4를 참조하면, PC 링크 툴(401)의 '폰으로 보내기'가 선택되면, 리스트(405)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뉴스파일이 폰(phone)(407)으로 전송된다. 이후, 상기 제어부는 227단계에서 연결 종료키의 입력이 있는지를 확인하고, 상기 연결 종료키의 입력이 있으면 본 발명에 따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여기서, 도 1을 참조하면, 컴퓨터(129)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뉴스 혹은 메일 등에 해당하는 정보를 주기적 혹은 새로운 정보 발생시 인터넷(133)을 통해 뉴스서버(135)로부터 수신한 후 405와 같이 저장하고, 단말기(127)로 기 전송된 이후에 발생한 정보를 근거리 통신 방식(131)에 맞도록 변환하 여 상기 단말기(127)로 무선전송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외부장치와 싱크(sync)하여 파일을 관리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이동통신 단말기(127)의 제어부(101)는 사용자에 의해 데이터 보관일(예 : 3일, 하루..)이 설정되어있다는 가정하에 301단계에서 컴퓨터(129)의 PC 링크에 접속하여 연결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01)는 303단계에서 도 2의 과정을 거쳐 송신된 뉴스파일이 수신되는지 검사하고, 305단계에서 미리 설정된 상기 보관일을 독출하여 상기 단말기에 저장된 이전 뉴스파일 중 상기 보관일이 지난 데이터가 있는지를 검사한다. 여기서, 상기 보관일은 단말기의 제한된 저장공간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 사용자가 따로 설정한 데이터 보관일로써, 상기 제어부(101)는 상기 보관일을 기준으로 시간이 지난 뉴스들은 자동 삭제하고 새로운 뉴스들을 저장한다. 상기 보관일이 지난 뉴스파일이 없으면, 상기 제어부(101)는 311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뉴스파일의 보관을 유지한다.
상기 보관일이 지난 뉴스 파일이 있으면, 상기 제어부(101)는 307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파일에 잠금 장치가 설정되어 있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잠금 장치가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제어부(101)는 311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뉴스 파일의 보관을 유지하고, 상기 잠금 장치가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101)는 309단계에서 해당 뉴스 파일을 삭제한다. 즉, 데이터 보관일이 지난 뉴스들을 자동적으로 삭제하되, 사용자가 잠금을 설정한 뉴스파일에 대해서는 싱크(sync)시에도 삭제되지 않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자동 삭제는 싱크(sync)시에 이루어진다고 설명하 였으나, 평상시에 데이터 보관일이 지나면 바로 삭제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이후, 상기 제어부(101)는 313단계에서 보관이 유지되는 뉴스파일과 새로 수신한 뉴스파일을 메모리(107)에 저장하고 이를 디스플레이부(111)에 표시한 후, 315단계로 진행하여 연결이 종료되는지를 검사하고, 본 발명에 따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는 뉴스파일에 대한 설명이었으나, 단말기의 저장공간이 지금보다 더 커지고 웹브라우저가 더 일반화되면 아웃룩(OutLook)과 호환하여 새로운 이메일도 PC 링크로 싱크(sync)관리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외부장치와 싱크(sync)하여 파일을 관리함으로써, 무선 인터넷에 경제적인 부담을 갖는 사용자들이 무료로 그날의 최신 뉴스를 단말기에 저장하여 이동하면서 볼 수 있고, 사용자가 사전에 설정한 정보만을 선택적으로 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보관일만 설정해두면 따로 파일을 관리할 필요가 없어 사용자의 불편함을 줄일 수 있고, 이북(EBOOK)의 활용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5)

  1.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외부장치와 싱크(sync)하여 파일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파일이 수신되는지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파일 수신시, 미리 설정된 보관일을 독출하는 과정과,
    이전 수신 파일을 검색하여 상기 보관일을 초과하는 데이터를 삭제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파일을 상기 이전 수신된 파일과 싱크(sync)하여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외부장치에서 단말기와 싱크(sync)하여 파일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연결되는지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기 연결시, 상기 단말기로 전송할 파일의 항목을 입력받는 과정과,
    상기 입력된 항목의 파일을 해당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과정과,
    사용자의 파일 선택을 받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파일 중 상기 단말기로 기 전송한 데이터를 삭제하는 과정과,
    상기 기 전송 데이터가 삭제된 파일을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장치는 컴퓨터의 PC 링크 툴(link Tool)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은 뉴스(News) 파일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은 이메일(E-Mail) 파일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50017628A 2005-03-03 2005-03-03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파일을 싱크관리하기 위한 방법 KR200600985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7628A KR20060098503A (ko) 2005-03-03 2005-03-03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파일을 싱크관리하기 위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7628A KR20060098503A (ko) 2005-03-03 2005-03-03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파일을 싱크관리하기 위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8503A true KR20060098503A (ko) 2006-09-19

Family

ID=37629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7628A KR20060098503A (ko) 2005-03-03 2005-03-03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파일을 싱크관리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9850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37211A1 (zh) * 2020-08-21 2022-02-24 海信视像科技股份有限公司 显示设备、文件同步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37211A1 (zh) * 2020-08-21 2022-02-24 海信视像科技股份有限公司 显示设备、文件同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92028B2 (en)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687666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and content data acquiring system using the same
US20080263252A1 (en) Data communication system, portable electronic device, server device, data communication method, and data communication program
US2005002213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20060178133A1 (en) Portable apparatus for storing a phone book, and method and mobile phone for sending a phone call using the same
KR20130072642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메시지의 첨부 파일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20110217954A1 (en) Method, system, and mobile device for managing message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using the method
US20060280046A1 (en) Picture display apparatus
EP1796354B1 (en) Method and mobile terminal for log management during Bluetooth communication
KR20020019694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복구 방법
JP4142866B2 (ja) データベース同期化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060098503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파일을 싱크관리하기 위한 방법
EP191212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MTP databas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1175241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통화목록 표시 방법
US2008028867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terminal and server apparatus
KR100402792B1 (ko) 단말기와 서버간의 개인정보 동기화방법
KR100643741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파일을 검색하기 위한 방법
KR100739003B1 (ko) 휴대 단말기의 부재중 전화 표시 방법
KR100664258B1 (ko)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데이터 관리 방법
KR20080045385A (ko)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제어방법
JP2004289474A (ja) 携帯端末、録画予約システム及び録画装置
KR100640444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호 이력 정보 관리 방법
KR20010099066A (ko) 이동 전화기의 전화 번호 관리를 위한 네트웍 서비스
JP5344801B2 (ja) 情報受信装置および同装置における制御方法
EP1335360A2 (en) Recording/reproduction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apparatus, and method of initializing a recording medium in the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