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4258B1 -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데이터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데이터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4258B1
KR100664258B1 KR1020050112026A KR20050112026A KR100664258B1 KR 100664258 B1 KR100664258 B1 KR 100664258B1 KR 1020050112026 A KR1020050112026 A KR 1020050112026A KR 20050112026 A KR20050112026 A KR 20050112026A KR 100664258 B1 KR100664258 B1 KR 1006642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data
file
user
selecting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2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12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42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42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42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hort messaging services [SMS] or e-m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6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logging of communication history, e.g. outgoing or incoming calls, missed calls, messages or UR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데이터 관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 단말기에 기록된 사용자 데이터를 텍스트 파일로 변환함으로써 뷰어(viewer)를 통한 데이터 확인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의 본 발명은 파일뷰어 화면 상에 사용자 데이터에 대응된 메뉴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메뉴 리스트의 전체 또는 일부에 해당하는 사용자 데이터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사용자 데이터를 텍스트 파일로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변환된 텍스트 파일을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데이터 관리 방법{MANAGEMENT METHOD FOR USER DATA IN HAND-HELD TERMINAL}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블록도.
도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파일변환, 보기 및 전송 과정을 보인 동작 순서도.
도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파일변환 및 보기에 따른 화면의 예시도로서,
도3a는 파일뷰어의 문서파일 리스트 화면의 예시도.
도3b는 파일뷰어의 메뉴 리스트 화면의 예시도.
도3c는 사용자 데이터의 변환된 텍스트파일의 예시도.
도3d는 텍스트 파일 화면의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10 : 제어부 120 : 키 입력부
130 : 표시부 140 : 통신부
150 : 사용자 데이터 저장부 160 : 폰트 저장부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 데이터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 특히, 이동통신단말기는 휴대의 편리성 때문에 대중화되었다.
그런데, 이동통신단말기는 소형, 경량화되면서 실질적으로 사용자에게 필요한 액정화면 또는 키패드의 장착 가능한 공간이 축소되었으며, 이를 개선하기 위해 폴더형 이동단말기가 개발되어 보급되었다.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는 폴더가 접힌 상태에서 소형이기 때문에 휴대가 용이하고, 폴더가 열린 상태에서는 액정화면 및 키패드를 장착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최근에는 영상정보를 표시하는 액정화면과 정보를 입력하는 키패드를 동일 공간 상에 겹쳐 장착하여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킨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가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다.
또한, 이동통신단말기는 일상생활에서 휴대가 간편하고 더욱 편리한 기능을 선호하는 사용자의 욕구에 부응하여, 더욱 소형 경량화되면서도 다양한 기능을 구비하는 것은 물론 외관 디자인도 여러 형태 및 색상 등을 고려하여 출시되고 있다.
그리고, 서비스 제공자(단말기 제조자)들은 이동통신단말기의 대중적 보급에 따라 가입자 확보를 위해 다양한 서비스 기능을 이동통신단말기에 탑재하고 있다.
예를 들어, 폰북(phone book), 게임(game), 스케줄러(scheduler), 단문메시지(short message), 인터넷(internet), 이메일(e-mail), 모닝콜(morning call)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상기 스케줄러는 가족, 친구 및 직장동료의 생일 및/또는 결혼기념일, 애인과의 100일, 200일 등 만남기념일, 그리고 업무, 약속 등의 일정을 등록하고 관리하는데 이용된다. 스케줄러에 날짜(년/월/일), 시간(시/분), 내용(예 : 결혼기념일), 알람시간(예 : 1시간전) 및 알람방법(벨/멜로디)을 등록해두면 알람시간에 지정된 멜로디를 송출하여 예약내용을 알리게 된다.
또한, 종래에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문자 수신함, 문자 발신함, 문자보관함 등에 특정 메시지를 저장하는 기능을 제공하였다.
따라서, 특정 사람과 관련된 메시지만을 검색하려는 경우 메시지 메뉴에 진입한 후 메시지 검색 옵션 메뉴를 통해 검색하거나, 메시지 메뉴에 접근한 후 메시지 리스트 상에서 방향 키 등을 통해 확인한다.
한편, 종래에는 이동통신단말기에 기록된 사용자 데이터(전화부, 단축번호, 메시지, 통화목록, 일정(스케줄, 해야할일, 기념일, D-Day), 메모 등)를 백업하기 위해, PC Sync 프로그램을 통한 백업, 서비스 사업자가 제공하는 웹 주소록을 통한 백업, 근거리 통신(적외선 통신/블루투스 통신)을 통한 백업 방식 등을 제공하였다.
상기 PC Sync 프로그램을 통한 백업 방식은 PC와 단말 간의 통신 포트(USB/UART)를 통한 고속의 데이터 백업 방식으로, 데이터 전송료가 없어 사용자의 비용부담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서비스 사업자가 제공하는 웹 주소록을 통한 백업 방식은 특별한 장비 없이도 단말 상에서 실시간 백업 가능함으로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 점이 있다.
상기 근거리 통신(적외선 통신/블루투스 통신)을 통한 백업 방식은 적외선 또는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고속의 데이터 전송 가능이 가능하고 데이터 전송료가 없이 사용자의 비용 부담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에 PC Sync 프로그램을 통한 백업, 서비스 사업자가 제공하는 웹 주소록을 통한 백업 또는 근거리 통신(적외선 통신/블루투스 통신)을 통한 백업 방식을 이용하여 사용자 데이터를 백업하는 방식은 사용자의 불편을 유발하는 단점을 내포하고 있다.
즉, 종래의 PC Sync 프로그램을 통한 방식은 해당 프로그램이 지원하는 전화번호부, 일정 등의 특정 데이터만을 전송할 수 있고, 해당 프로그램 구동 및 통신포트 연결을 필요로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그리고, 종래의 서비스 사업자가 제공하는 웹 주소록 방식은 전화부 데이터에 한정해 무선 인터넷을 통한 백업이므로, 전화번호부 항목이 많을수록 데이터 통신료가 증가함은 물론 백업이 지연되고, 서비스 사업자가 웹 주소록을 제공하지 않는 경우라면 서비스 이용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근거리 통신을 통한 방식은 전화번호부 등의 특정 데이터만을 근거리 통신을 지원하는 단말기 간에만 데이터 백업이 가능하고 이를 위한 별도의 장비를 필요로 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휴대 단말기에 기록된 사용자 데이터를 텍스트 파일로 변환함으로써 뷰어(viewer)를 통한 데이터 확인이 가능하도록 창안한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데이터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 데이터의 텍스트 파일을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를 통해 전송하도록 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휴대 단말기의 파일 변환 방법에 있어서, 파일뷰어 메뉴의 텍스트 변환 메뉴가 선택되면 사용자 데이터에 대응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뉴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메뉴 리스트의 전체 또는 일부에 해당하는 사용자 데이터를 선택하는 단계와, 텍스트 변환 버튼의 눌림에 의해 폰트 데이터를 참조하여 상기 선택된 사용자 데이터를 텍스트 파일로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변환된 텍스트 파일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용자 데이터를 선택하는 단계는 메뉴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뉴 리스트를 선택하여 원하는 사용자 데이터를 선택하는 과정과, 검색어를 입력하여 다수의 사용자 데이터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다수의 사용자 데이터 중 원하는 사용자 데이터를 선택하는 과정을 수행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휴대 단말기의 파일 전송 방법에 있어서, 파일뷰어 메뉴의 검색 기능을 이용하여 사용자 데이터의 텍스트 파일을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검색된 텍스트 파일 중 전송할 파일을 선택하는 단계 와, 상기 선택된 텍스트 파일을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를 이용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파일뷰어 기능을 탑재한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다양한 형태의 파일포맷 문서(예로, HWP, DOC, XLS, PPT, PDF, JPG, TXT 등)를 단말 상에서 확인할 수 있는 파일 뷰어 메뉴에 진입하고, 텍스트 변환 옵션 메뉴를 통해 메모리에 저장된 사용자 데이터(전화번호부 DB, 단축번호 DB, 메시지 DB, 통화목록 DB, 일정(스케줄, 해야할 일, 기념일, D-Day) DB, 메모 DB 등)의 일부 또는 전체를 선택하여 텍스트 파일로 변환한 후 파일 뷰어를 이용하여 상기 변환된 텍스트 파일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은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를 이용하여 사용자 데이터에 대응되는 텍스트 파일을 전송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장비 없이도 사용자 데이터의 백업이 가능하게 하여 휴대 단말기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지는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는 구체적인 처리 흐름과 같은 많은 특정 상세 설명들을 기재함은 물론 도면을 첨부하여 본 발명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위한 휴대 단말기의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110)와, 키 입력부(120)와, 표시부(130)와, 통신부(140)와, 사용 자 데이터 저장부(150)와, 폰트 저장부(160)로 구성한다.
상기 제어부(110)는 MPU(Micro-processor Unit) 또는 MSM(Mobile Station Modem)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동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110)는 통상적으로 음성통화 및 데이터통신을 위한 처리 및 제어를 수행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 데이터 저장, 검색어(문자, 숫자 등)를 기반으로 사용자 데이터 검색, 사용자 데이터의 텍스트 파일 변환, 다양한 형식의 파일 보기를 위한 파일뷰어 기능의 실행 및 제어를 수행한다.
상기 키 입력부(120)는 0 ∼ 9의 숫자 키, 메뉴(menu) 키, 통화키, 종료키, 방향키 등과 같은 다수의 기능 키로 이루어지며, 사용자 키 조작에 대응하는 키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110)에 출력한다.
상기 표시부(130)는 엘씨디(LCD : Liquid Crystal Display)로 구성할 수 있으며, 제어부(110)로부터 전달되는 이동단말기의 동작 중에 발생되는 상태 정보, 숫자, 문자, 영상(동영상, 정지영상), 다양한 형식의 사용자 데이터 등을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통신부(140)는 안테나로 수신되는 무선신호를 복조하여 기저대역 처리 후에 제어부(110)에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110)에서 입력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송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통신방식은 무선 RF 방식의 이동통신 기능과 블루투스 등과 같은 근거리 통신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데이터 저장부(150)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램(RAM), EEPROM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동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저장, 이동단말기 동작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의 일시 저장, 전화번호, 메시지, 일정, 메모 등의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메시지는 문자수신함, 문자발신함, 문자보관함의 메시지를 통칭한다.
상기 폰트 저장부(160)는 다양한 파일 포맷(HWP, DOC, XLS, PPT, PDF, JPG, TXT 등)의 폰트 데이터를 저장하며, 파일보기 또는 변환 과정에서 해당 폰트 데이터를 제어부(110)에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위한 휴대 단말기는 도1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음성신호의 처리를 위한 코덱(CODEC)을 포함하여 음성통화, 알람 등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코덱은 제어부(110)에서 제공되는 PCM 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로 출력하고 마이크로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PCM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110)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동작 및 작용 효과를 도2 및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텍스트 변환, 보기 및 전송을 위한 동작 순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텍스트 변환 및 보기 동작에 따른 화면의 예시도이다.
우선, 사용자가 키 입력부(120)의 조작에 의해 "파일 뷰어" 메뉴항목이 선택되면 제어부(110)는 도3a와 같이 파일 뷰어 화면과 함께 문서 파일 리스트를 표시부(130)에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파일 뷰어는 다양한 파일 포맷(HWP, DOC, XLS, PPT, PDF, JPG, TXT 등)의 문서 보기를 지원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키 입력부(120)를 조작하여 문서 파일 리스트 중 임의의 리스트를 선택한 후 '보기 키'를 누르면 제어부(110)는 상기 선택된 리스트의 문서 파일 내용을 표시부(130)에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는 상기 파일 내용을 확인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 데이터를 텍스트 파일로 변환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파일 뷰어 화면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키 입력부(120)를 이용하여 텍스트 변환 메뉴 버튼을 입력하면 제어부(110)는 도3b와 같이 사용자 데이터에 대응된 메뉴 리스트를 표시부(130)에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사용자 데이터는 전화번호부, 단축번호, 메시지, 통화목록, 일정(스케줄, 해야할 일, D-day), 메모 등이 포함되며, 사용자 데이터 저장부(150)에 저장된다.
이후, 메뉴 리스트 화면에서 검색(또는 필터) 키 또는 선택 키가 선택되면 제어부(110)는 사용자 키 조작에 따른 사용자 데이터를 선택하게 된다.
먼저, 메뉴 리스트 화면에서 검색키가 눌린 경우를 설명하면, 제어부(110)는 검색 화면을 표시부(130)에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 입력의 검색어를 기반으로 사용자 데이터를 검색하여 상기 표시부(130)에 디스플레이한다.
이후, 사용자가 상기 검색된 사용자 데이터 중 텍스트 파일로 변환할 데이터를 선택하고 변환 키(또는 완료 키)를 누르면 상기 제어부(110)는 폰트 저장부(160)에 저장되어 있는 폰트 데이터를 참조하여 상기 선택된 사용자 데이터를 텍스트 파일로 변환한다. 이때, 상기 변환되는 텍스트 파일은 항목간 구분은 탭, 해당 필드가 없는 항목은 'null'로 구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어부(110)는 사용자 데이터에 대응되는 상기 변환된 텍스트 파일을 이용하여 텍스트 파일 DB(파일 리스트, 파일)를 갱신하고, 해당 텍스트 파일 리스트를 표시부(130)에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그리고, 메뉴 리스트 화면에서 선택 키가 눌린 경우를 설명하면, 사용자는 키 입력부(120)를 조작하여 다수의 메뉴 리스트 중 텍스트 파일로 변환할 사용자 데이터가 존재하는 메뉴 리스트를 선택하며, 상기와 같이 사용자 데이터가 존재하는 메뉴 리스트가 선택된 상태에서 변환 키가 눌리면 제어부(110)는 상기 선택된 메뉴 리스트에 존재하는 사용자 데이터 전체를 텍스트 파일로 변환하게 된다. 이 경우에도 텍스트 파일은 탭으로 항목간을 구분하고 'null'로 해당 필드가 없는 항목이 구분된다.
이에 따라, 제어부(110)는 사용자 데이터에 대응되는 상기 변환된 텍스트 파일을 이용하여 텍스트 파일 DB를 갱신하고, 해당 텍스트 파일 리스트를 표시부(130)에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한편, 사용자 데이터를 텍스트 파일로의 변환 시에 보안코드(예로, 비밀번호)를 부가할 수 있는데, 이는 다른 사람에게 파일 내용이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텍스트 파일 변환 초기 또는 변환 완료 후 등과 같이 임의의 시점에 비밀번호 입력 화면을 표시하여 부가시킬 수 있다. 도3c의 예시도에서 친구 항목에 비밀번호가 부가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후, 상기와 같은 텍스트 파일로의 변환 과정이 완료되어 도3d와 같이 해당 텍스트 파일 리스트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키 입력부(120)를 조작하여 '보기 키'를 입력시키면 제어부(110)는 현재 변환된 텍스트 파일 내용을 표시부(130)에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된 파일 내용을 확인하게 된다. 이때, 변환된 텍스트 파일이 다수라면 사용자는 임의의 텍스트 파일 리스트를 선택한 후 '보기 키'를 입력하여 해당 파일의 내용을 확인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변환한 텍스트 파일을 이용하여 사용자 데이터의 실시간 백업(back-up)할 수 있다.
즉, 파일 뷰어의 텍스트 파일 리스트 화면에서 사용자가 키 입력부(120)를 조작하여 '전송 키'를 누르면 제어부(110)는 수신자의 전화번호 또는 이메일 주소를 입력하기 위한 화면을 표시부(130)에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전화번호 또는 이메일주소가 입력된 후 사용자가 원하는 텍스트 파일 리스트 선택 및 메시지 작성을 수행하고 완료 키를 누르면 상기 제어부(110)는 통신부(140)를 통해 텍스트 파일이 첨부된 메시지를 MMS 방식으로 전송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과 관련된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단말기에 저장된 사용자 데이터를 텍스트 파일로 변환하여 단말기 화면 상에서 해당 파일 내용을 확인할 수 있 고, 별도의 장비없이도 MMS 파일 전송을 통해 사용자 데이터의 실시간 백업이 가능함으로 단말기 활용도를 높여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5)

  1. 파일뷰어 화면에서 사용자 데이터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사용자 데이터를 임의의 포맷의 문서 파일로 변환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데이터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된 파일 리스트 또는 파일 내용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데이터 관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데이터를 선택하는 단계는
    사용자 데이터를 검색하는 과정과,
    상기 검색된 사용자 데이터의 전체 또는 일부를 선택하는 과정을 수행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데이터 관리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사용자 데이터를 검색하는 과정은
    사용자 데이터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뉴 리스트를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데이터 관리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사용자 데이터를 검색하는 과정은
    검색어에 대응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데이터 관리 방법.
  6.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사용자 데이터는
    전화번호부 DB, 통화목록 DB, 메시지(발신, 수신, 보관 등) DB, 일정 DB, 메모 D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데이터 관리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단말기 내부에 기 저장된 폰트 데이터를 참조하여 사용자 데이터를 임의의 포맷의 문서파일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데이터 관리 방법.
  8.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사용자 데이터를 문서파일로 변환하는 단계는
    보안코드를 부가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수행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데이터 관리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보안 코드는
    파일 변환 이전 또는 파일 변환 완료 후에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데이터 관리 방법.
  10.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임의의 문서 포맷은
    hwp, doc, xls, ppt, pdf, jpg, txt 중 적어도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데이터 관리 방법.
  11. 파일뷰어 화면 상에서 사용자 데이터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사용자 데이터를 MMS(Multimedia Messaging Service) 절차에 의해 특정 전화번호(또는 이메일주소)에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데이터 관리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사용자 데이터를 선택하는 단계는
    사용자 데이터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뉴 리스트를 선택하여 해당 리스트에 존재하는 사용자 데이터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데이터 관리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사용자 데이터를 선택하는 단계는
    검색어에 대응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검색하여 그 검색된 사용자 데이터의 전체 또는 일부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데이터 관리 방법.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사용자 데이터 선택은
    임의의 포맷으로 변환된 문서파일만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 말기의 사용자 데이터 관리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임의의 문서 포맷은
    hwp, doc, xls, ppt, pdf, jpg, txt 중 적어도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데이터 관리 방법.
KR1020050112026A 2005-11-22 2005-11-22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데이터 관리 방법 KR1006642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2026A KR100664258B1 (ko) 2005-11-22 2005-11-22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데이터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2026A KR100664258B1 (ko) 2005-11-22 2005-11-22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데이터 관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4258B1 true KR100664258B1 (ko) 2007-01-04

Family

ID=37866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2026A KR100664258B1 (ko) 2005-11-22 2005-11-22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데이터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4258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687485B (zh) 用于在移动设备上共享内容的装置和方法
US6873861B2 (en) Business card presentation via mobile phone
US20060111139A1 (en)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and information transmitting method
US20070004461A1 (en) Terminal with messaging application
JP5688061B2 (ja) 携帯端末内でメッセージを管理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並びに電子装置
KR100732059B1 (ko) 이동단말기의 이벤트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US20070266099A1 (en)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ntact information
KR20080043472A (ko) 휴대용 단말기의 메시지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120068258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표시 방법 및 장치
US20120083253A1 (en) Exchange of electronic business cards between stations
US2003004032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signating a recipient for transmission of a message in a mobile terminal
KR20050050647A (ko)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US886266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ed electronic mail
KR10059692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이메일 화면 디스플레이 방법 및장치
KR10079377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연락처 정보 공유 방법
KR20100083305A (ko) 휴대용 단말기의 데이터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1108110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메시지 표시 방법
JP3709377B2 (ja) 名刺代行機能搭載携帯電話機
KR100631607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부 데이터 저장 방법
KR100664258B1 (ko)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데이터 관리 방법
JP4615901B2 (ja) 携帯電話機
US20100273532A1 (en) Mobile Wireless Single Purpose Communication Device
KR101085161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를 이용한 전자명함송/수신 방법
KR100811795B1 (ko) 휴대 단말기의 메시지 작성 방법
KR20010004806A (ko) 전자명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