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5385A -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5385A
KR20080045385A KR1020060114458A KR20060114458A KR20080045385A KR 20080045385 A KR20080045385 A KR 20080045385A KR 1020060114458 A KR1020060114458 A KR 1020060114458A KR 20060114458 A KR20060114458 A KR 20060114458A KR 20080045385 A KR20080045385 A KR 200800453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location information
search
displaying
specif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44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76770B1 (ko
Inventor
구효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144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6770B1/ko
Publication of KR200800453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53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67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67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데이터/위치정보를 저장 및 검색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제어방법에 관한 것입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저장방법이, 상기 휴대단말기에서 데이터가 입력된 후 위치정보가 선택되면, 상기 휴대단말기의 현재 위치정보 또는 특정 위치정보를 표시하는 과정과; 저장이 선택되면, 상기 데이터와 함께 상기 현재 위치정보 또는 상기 특정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검색방법이, 상기 휴대단말기에서 데이터/위치정보검색이 선택되면, 검색종류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검색종류 중 위치정보 검색이 선택되면, 입력되는 특정 위치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검색하여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검색종류 중 데이터 검색이 선택되면, 입력되는 문자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검색하여 해당 위치정보와 함께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휴대단말기의 위치정보에 따른 데이터 검색방법이, 상기 휴대단말기에서 위치정보에 따른 데이터검색이 선택되면, 상기 위치정보에 따른 데이터 검색종류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검색종류 중 특정 위치정보가 선택되면, 입력되는 특정 위치정보에 상기 휴대단말기가 진입되면 상기 특정 위치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검색하여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검색종류 중 현재 위치정보가 선택되면, 상기 휴대단말기가 위치된 현재 위치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검색하여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데이터, 특정 위치정보, 현재 위치정보, 네비게이션, 전송, 저장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제어방법{METHOD FOR CONTROLLING DATA IN WIRELESS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데이터/위치정보를 저장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데이터/위치정보를 검색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위치정보에 따라 데이터를 검색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데이터/위치정보를 저장 및 검색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제어방법에 관한 것입니다.
근래 들어 대중화 된 휴대단말기만큼이나 그 안에 내재되어 있는 기능들 또한 시간이 갈수록 상향 평준화되어 가고 있다. 이에 따라 하드웨어적인 컨버젼스 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적인 컨버젼스가 새로운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현재 휴대단말기에서는 문자 메시지(SMS), 문자 메모 및 문자형식의 스케줄 관리 등 문자데이터의 단순 입력을 통한 사용자 정보관리가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휴대단말기에서 GPS를 이용한 위치정보 서비스는 '친구찾기'와 같이 인가된 상호간의 위치검색기능 및 차량에 장착되어 네비게이션 기능으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 휴대단말기에서 데이터 저장기능으로서의 문자 및 스케줄관리 기능은 단지 텍스트적인 정보와 알람의 형태였을 뿐, 그 이상의 것을 구현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 실생활에 있어서의 그 활용도 또한 매우 한정적이었고 이것은 곧 휴대단말기의 용량 및 기술적인 낭비요인으로 작용되어 오고 있다.
또한, 상기 휴대단말기에 구비된 GPS 수신부를 이용한 위치정보 제공기능은, 차량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일반적인 사용자들에게 있어서는 매우 비현실적으로 여겨지는 실정이다. 그나마 현재 서비스되고 있는 '친구 찾기'기능 역시 그 용도와 성격에 있어서 많은 논란을 불러일으키고 는 것이 사실이다.
그리고, 상기 휴대단말기에서 관련 데이터들에 대한 보다 유용하고 효율적인 저장/검색 기능이 부족하여 해당 기능들에 대한 사용빈도가 떨어짐으로써 수익성 저하는 물론 정보의 생산적인 활용이라는 사용자의 궁극적인 욕구 충족에 있어서도 큰 지장을 초래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단말기에서 데이터/위치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단말기에서 데이터/위치정보를 검색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단말기에서 위치정보에 따라 데이터/위치정보를 검색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휴대단말기에서 데이터/위치정보를 전송하거나, 상기 위치정보를 통해 네비게이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저장방법이, 상기 휴대단말기에서 데이터가 입력된 후 위치정보가 선택되면, 상기 휴대단말기의 현재 위치정보 또는 특정 위치정보를 표시하는 과정과; 저장이 선택되면, 상기 데이터와 함께 상기 현재 위치정보 또는 상기 특정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검색방법이, 상기 휴대단말기에서 데이터/위치정보검색이 선택되면, 검색종류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검색종류 중 위치정보 검색이 선택되면, 입력되는 특정 위치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검색하여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검색종류 중 데이터 검색이 선택되면, 입력되는 문자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검색하여 해당 위치정보와 함께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휴대단말기의 위치정보에 따른 데이터 검 색방법이, 상기 휴대단말기에서 위치정보에 따른 데이터검색이 선택되면, 상기 위치정보에 따른 데이터 검색종류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검색종류 중 특정 위치정보가 선택되면, 입력되는 특정 위치정보에 상기 휴대단말기가 진입되면 상기 특정 위치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검색하여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검색종류 중 현재 위치정보가 선택되면, 상기 휴대단말기가 위치된 현재 위치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검색하여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서 데이터는 메시지, 메모 및 스케줄등과 같이 문자데이터 또는 정지영상/동영상과 같은 영상데이터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RF부(123)는 휴대단말기의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RF부(123)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 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등을 포함한다. 모뎀(MODEM)(120)은 상기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상기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 하는 수신기 등을 구비한다. 오디오 처리부(125)는 코덱을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코덱은 패킷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 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을 구비한다. 상기 오디오 처리부(125)는 상기 모뎀(120)에서 수신되는 디지털 오디오신호를 상기 오디오 코덱을 통해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여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로부터 발생되어 송신되는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를 상기 오디오코덱을 통해 디지털 오디오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모뎀(120)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코덱은 별도로 구비되거나 또는 제어부(110)에 포함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프로그램 메모리,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는 휴대단말기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 및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데이터/위치정보의 저장, 검색 및 전송을 수행하며, 상기 위치정보를 이용한 네비게이션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메모리는 상기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들을 일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메모리(13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데이터와 상기 데이터에 대한 위치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130)는 본 발명의 실 시예에 따라 지도데이터 및 네비게이션 동작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휴대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모뎀(120) 및 코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데이터 및 상기 데이터에 대한 현재 위치정보 또는 특정 위치정보를 저장 및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현재 위치정보는 GPS수신부(170)에서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휴대단말기의 현재 위치정보이며, 상기 특정 위치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 및 선택되는 위치정보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데이터 검색모드에서 검색종류(위치정보 검색/데이터 검색)에 따라 데이터/위치정보를 검색하여 표시할 수 있으며, 상기 검색된 데이터/위치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위치정보가 목적지로 지정되면 상기 휴대단말기를 네비게이션 모드로 전환하여 네비게이션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위치정보에 따른 데이터 검색모드에서 휴대단말기의 현재 위치정보 또는 특정 위치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검색하여 표시하며, 상기 현재 위치정보 또는 상기 특정 위치정보/상기 현재 위치정보 또는 특정 위치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전송하며, 상기 위치정보가 목적지로 지정되면 상기 휴대단말기를 네비게이션 모드로 전환하여 네비게이션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GPS수신부(170)는 휴대단말기의 현재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상기 제어부(110)에게 전송한다.
카메라부(140)는 영상 데이터를 촬영하며, 촬영된 광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 센서와, 상기 카메라센서로부터 촬영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신호처리부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 센서는 CCD센서라 가정하며, 상기 신호처리부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 DSP)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센서 및 신호처리부는 일체형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또한 분리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영상처리부(150)는 상기 카메라부(14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표시하기 위한 화면 데이터를 발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영상처리부(150)는 상기 카메라부(14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처리하며, 상기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표시부(160)의 특성 및 크기에 맞춰 출력한다. 또한 상기 영상처리부(150)는 영상코덱을 구비하며, 상기 표시부(160)에 표시되는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설정된 방식으로 압축하거나, 압축된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원래의 프레임 영상데이터로 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영상코덱은 JPEG 코덱, MPEG4 코덱, Wavelet 코덱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영상처리부(150)는 OSD(On Screen Display) 기능을 구비한다고 가정하며,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 하에 표시되는 화면크기에 따라 온스크린 표시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60)는 상기 영상처리부(15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화면으로 표시하며, 상기 제어부(110)에서 출력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160)는 LCD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상기 표시부(160)는 LCD제어부(LCD controller), 영상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 LCD표시소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LCD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입력부로 동작할 수도 있다. 상기 표시부16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데이터 및 상기 데이터와 함께 저장된 위치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키입력부(127)는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 및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 키들을 구비한다.
상기와 같은 휴대단말기에서 데이터를 제어하는 동작을 도 2 - 도 4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데이터/위치정보를 저장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 1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단말기의 201단계에서 데이터가 입력된 이후 위치정보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202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위치정보의 종류를 표시한다. 상기 위치정보의 종류 중 현재 위치정보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20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GPS수신부(170)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현재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207단계를 진행한다.
또는, 상기 위치정보의 종류 중 특정 위치정보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20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 또는 입력되는 특정 위치정보를 상기 메모리(130)에 저장된 지도데이터를 통해 검색하여 표시하는 207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현재 위치정보 또는 상기 특정 위치정보가 표시되는 207단계에서 저장이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208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201단계에서 입력된 데이터와 상기 현재 위치정보 또는 상기 특정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209단계를 진행한다.
또는 상기 현재 위치정보 또는 상기 특정 위치정보가 표시되는 207단계에서 전송이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210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수신번호 입력을 요청하는 211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211단계에서 적어도 하나의 수신번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이를 감지하고 상기 201단계에서 입력된 데이터와 상기 현재 위치정보 또는 상기 특정 위치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신번호로 전송하는 212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데이터 및 위치정보를 함께 적어도 하나의 수신번호로 전송하는 동작을 통해 다수의 사용자에게 모임에 대한 공지 메시를 전송할 때 위치정보까지 함께 전송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데이터/위치정보를 검색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 1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휴대단말기에서 데이터/위치정보 검색이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이를 감지하고 데이터/위치정보의 검색종류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데이터/위치정보의 검색종류 중 위치정보 검색이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30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특정 위치정보입력을 요청하는 창을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302단계에서 사용에 의해 특정 위치정보가 선택 또는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이를 감지하고 데이터 검색종류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데이터 검색종류 중 모든 데이터 검색이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30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휴대단말기에 저장된 모든 데이터 종류에서 상기 특정 위치정보와 함께 저장된 상기 특정위치에 대한 데이터를 검색하여 표시하는 304단계를 진행한다. 또는 상기 데이터 검색종류 중 특정 데이터 검색이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30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휴대단말기에 저장된 모든 데이터 의 종류 중 상기 305단계에서 선택된 특정 데이터 종류에서 상기 특정 위치정보와 함께 저장된 상기 특정위치에 대한 데이터를 검색하여 표시하는 306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304단계 또는 상기 306단계에서 표시되는 데이터들 중 소정의 데이터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307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선택된 데이터와 상기 선택된 데이터와 함께 저장된 위치정보를 표시하는 313단계를 진행한다.
또한, 상기 304단계 또는 상기 305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검색된 데이터와 상기 데이터에 대한 위치정보를 함께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데이터/위치정보의 검색종류 중 데이터 검색이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308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문자입력을 요청하는 창을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309단계에서 사용에 의해 문자가 선택 또는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이를 감지하고 상기 문자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검색하여 표시하는 310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310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입력된 문자를 포함하는 메시지, 메모 및 스케줄등과 같은 문자데이터 또는 정지영상/동영상과 같은 영상데이터의 파일명 또는 상기 영상데이터에 대한 메모를 검색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301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입력된 문자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검색하기 위해 데이터 검색종류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검색종류 중 모든 데이터 검색이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이를 감지하고 상기 휴대단말기에 저장된 모든 데이터 종류에서 상기 문자가 포함된 데이터를 검색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또는 상기 데이터 검색종류 중 특정 데이터 검색이 선택되 면, 상기 제어부(110)는 이를 감지하고 상기 휴대단말기에 저장된 모든 데이터의 종류 중 상기 선택된 특정 데이터 종류에서 상기 문자가 포함된 데이터를 검색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310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검색된 데이터와 상기 데이터에 대한 위치정보를 함께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310단계에서 표시되는 데이터들 중 소정의 데이터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31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선택된 데이터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상기 선택된 데이터와 함께 저장된 위치정보 표시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312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선택된 데이터와 상기 데이터에 대한 위치정보를 함께 표시하는 313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313단계에서 데이터와 상기 데이터에 대한 위치정보가 표시되는 동안 네비게이션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314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휴대단말기를 네비게이션 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위치정보를 목적지로 지정하는 315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네비게이션 모드에서 상기 GPS수신부(170)에서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휴대단말기의 현재 위치정보를 시작점으로 하고 상기 위치정보를 목적지로 하여 네비게이션 동작을 수행하는 316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316단계에서 네비게이션 동작을 수행하는 동안 네비게이션 종료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317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네비게이션 모드를 종료하도록 제어한다.
또는, 상기 313단계에서 데이터와 상기 데이터에 대한 위치정보가 표시되는 동안 전송이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318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수신번호 입력을 요청하는 319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319단계에서 적어도 하나의 수신번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이를 감지하고 상기 307단계에서 선택된 데이터와 상기 데이터에 대한 위치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신번호로 전송하는 320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데이터 및 위치정보를 함께 적어도 하나의 수신번호로 전송하는 동작을 통해 다수의 사용자에게 모임에 대한 공지 메시를 전송할 때 위치정보까지 함께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공지메시지를 수신한 단말기에 네비게이션 기능이 구비되어 있다며 상기 공지메시지에 첨가된 위치정보를 목적지로 설정하여 찾아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위치정보에 따라 데이터를 검색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 1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휴대단말기의 위치정보에 따른 데이터 검색이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이를 감지하고 위치정보에 따른 데이터 검색종류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위치정보에 따른 데이터 검색종류 중 특정 위치정보 검색이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40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특정 위치정보 입력을 요청하는 창을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402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특정 위치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GPS수신부(170)에서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현재 위치정보와 상기 402단계에서 입력된 특정 위치정보가 일치하는지 판단한다. 상기 402단계에서 입력되는 특정 위치정보는 특정 장소 또는 주소등과 같은 검색조건으로 지정될 수 있다.
상기 휴대단말기의 현재 위치정보와 상기 402단계에서 입력된 특정 위치정보가 일치하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휴대단말기가 상기 402단계에서 입력된 특정 위치정보가 진입되었음을 403단계에서 감지하고 상기 특정 위치정보와 함께 저장된 상기 특정 위치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검색하는 404단계를 진행한다.
또는, 상기 위치정보에 따른 데이터 검색종류 중 현재 위치정보 검색이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40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GPS수신부(170)에서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현재 위치정보와 함께 저장된 상기 현재 위치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검색하는 407단계를 진행한다. 상기405단계에서 상기 현재 위치정보 검색이 선택된 이후 406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주소와 같은 검색조건이 지정될 수 있다. 상기 406단계에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현재 위치정보에 대한 검색조건이 지정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현재 위치정보를 상기 지정된 검색조건에 따라 좀 더 세분화하여 체크할 수 있다.
상기 404단계 또는 상기 407단계에서 상기 특정 위치정보 또는 상기 현재 위치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검색한 결과 상기 데이터가 존재하면, 상기 제어부(110)는 408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도 3의 303단계 - 307단계 및 313단계 - 320단계를 수행하면서 데이터/위치정보 검색, 전송 및 상기 위치정보를 목적지로 지정하여 네비게이션 동작을 수행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휴대 단말기와 같은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 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서 데이터를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주변 상황에 제약을 많이 받게 되는 사진 및 음성데이터와 비교하여 매우 높은 간편성과 정숙 성을 가질 수 있으며, 언제 어디서나 주변 상황에 구애받지 않고 문자데이터와 위치정보를 검색, 저장 및 전송하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특정 지역과 연관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볼 수 있는 '추억 살리기'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기간이 미리 종료된 스케줄 정보에 위치정보를 추가로 저장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정보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계획된 스케줄에 필요한 위치정보를 저장함으로써 스케줄의 효율적인 수행이 가능하며, 전체공지에 모임장소를 알리는 위치정보까지도 추가함으로써 모임의 주관자와 참석자들의 편의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텍스트 데이터 및 위치정보의 DB화를 통해 휴대단말기에서의 정보관리 기능을 한 차원 업그레이드 시킬 수 있으며, 함께 저장된 문자 데이터와 위치정보 데이터는 휴대단말기 사용자간에 멀티메일로 송수신 됨으로 데이터 서비스의 수익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문자 메모 및 스케줄등과 같은 데이터와 함께 저장된 위치정보가 선택되면 목적지로 자동으로 설정이 가능하며 네비게이션 기능과 연동하여 해당 위치를 찾아갈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차량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Claims (12)

  1.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저장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에서 데이터가 입력된 후 위치정보가 선택되면, 상기 휴대단말기의 현재 위치정보 또는 특정 위치정보를 표시하는 과정과,
    저장이 선택되면, 상기 데이터와 함께 상기 현재 위치정보 또는 상기 특정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제어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를 표시하는 과정이,
    상기 위치정보가 선택되면, 위치정보의 종류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위치정보의 종류 중 현재 위치정보가 선택되면, 상기 휴대단말기의 현재 위치정보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위치정보의 종류 중 특정 위치정보가 선택되면, 입력되는 특정 위치정보를 검색하여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제어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전송이 선택되면, 상기 데이터와 함께 상기 현재 위치정보 또는 상기 특정 위치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수신번호로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제어방법.
  4.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검색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에서 데이터/위치정보 검색이 선택되면, 검색종류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검색종류 중 위치정보 검색이 선택되면, 입력되는 특정 위치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검색하여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검색종류 중 데이터 검색이 선택되면, 입력되는 문자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검색하여 해당 위치정보와 함께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제어방법.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 검색에서 데이터를 검색하여 표시하는 과정이,
    상기 특정 위치정보가 입력되면 검색데이터의 종류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검색데이터의 종류 중 모든 데이터검색이 선택되면, 모든 데이터 종류에서 상기 특정 위치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검색하여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검색데이터의 종류 중 특정 데이터검색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특정 데이터의 종류에서 상기 특정 위치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검색하여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제어방법.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검색에서 데이터를 검색하여 표시하는 과정이,
    상기 문자가 입력되면 검색데이터의 종류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검색데이터의 종류 중 모든 데이터검색이 선택되면, 모든 데이터 종류에서 상기 문자가 포함된 데이터를 검색하여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검색데이터의 종류 중 특정 데이터검색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특정 데이터의 종류에서 상기 문자가 포함된 데이터를 검색하여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제어방법.
  7.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된 데이터가 표시되는 동안 소정의 데이터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데이터 및 상기 데이터에 대한 위치정보를 표시하는 과정과,
    네비게이션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위치정보를 목적지로 지정하여 네비게이션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과,
    전송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데이터 및 상기 데이터에 대한 위치정보를 적 어도 하나의 수신번호로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제어방법.
  8. 휴대단말기의 위치정보에 따른 데이터 검색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에서 위치정보에 따른 데이터검색이 선택되면, 상기 위치정보에 따른 데이터 검색종류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검색종류 중 특정 위치정보가 선택되면, 입력되는 특정 위치정보에 상기 휴대단말기가 진입되면 상기 특정 위치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검색하여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검색종류 중 현재 위치정보가 선택되면, 상기 휴대단말기가 위치된 현재 위치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검색하여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제어방법.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위치정보 또는 상기 현재 위치정보가 선택될 때 장소 및 주소와 같은 검색조건을 지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제어방법.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를 검색하여 표시하는 과정이,
    상기 특정 위치정보 또는 상기 현재 위치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검색한 결과 해당 데이터가 존재하면, 검색데이터의 종류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검색데이터의 종류 중 모든 데이터검색이 선택되면, 모든 데이터 종류에서 상기 특정 위치정보 또는 상기 현재 위치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검색하여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검색데이터의 종류 중 특정 데이터검색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특정 데이터의 종류에서 상기 특정 위치정보 또는 상기 현재 위치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검색하여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제어방법.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된 데이터를 표시하는 동안 소정의 데이터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데이터 및 상기 데이터에 대한 위치정보를 표시하는 과정과,
    네비게이션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위치정보를 목적지로 지정하여 네비게이션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과,
    전송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데이터 및 상기 데이터에 대한 위치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수신번호로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 말기의 데이터 제어방법.
  12. 제1 항 또는 제4 항 또는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메시지, 메모 및 스케줄과 같은 문자데이터 또는 정지영상/동영상과 같은 영상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제어방법.
KR1020060114458A 2006-11-20 2006-11-20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제어방법 KR1008767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4458A KR100876770B1 (ko) 2006-11-20 2006-11-20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4458A KR100876770B1 (ko) 2006-11-20 2006-11-20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5385A true KR20080045385A (ko) 2008-05-23
KR100876770B1 KR100876770B1 (ko) 2009-01-08

Family

ID=39662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4458A KR100876770B1 (ko) 2006-11-20 2006-11-20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677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8691B1 (ko) * 2009-01-07 2015-07-2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길 안내 방법 및 장치
KR20160019231A (ko) * 2014-08-11 2016-02-19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통신 단말기의 운영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8770A (ko) * 2002-07-13 2003-04-10 최덕신 Gps 디지털 카메라 및 디지털 지도정보가 있는 디지털 앨범 시스템
KR20060080796A (ko) * 2005-01-06 2006-07-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네비게이션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8691B1 (ko) * 2009-01-07 2015-07-2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길 안내 방법 및 장치
KR20160019231A (ko) * 2014-08-11 2016-02-19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통신 단말기의 운영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6770B1 (ko) 2009-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6204455B2 (en)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external apparatus connected with device
KR100810303B1 (ko)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표시 및 전송방법
KR20090127881A (ko) 사용자 상태 표시자 제공 방법,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 및 사용자 상태 표시자 제공 장치
KR20070060730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송수신 방법
US20060178133A1 (en) Portable apparatus for storing a phone book, and method and mobile phone for sending a phone call using the same
US862989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transmitting emoticon during video communic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682727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영상 파일 관리 방법 및 그 이동 통신단말기
KR100876770B1 (ko)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제어방법
KR100724954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폰 북 데이터 저장 방법
KR100724964B1 (ko) 이동통신단말기내 미디어 데이터를 삭제/재전송하는 방법
CN103095891A (zh) 一种快速录入名片信息的方法、装置及其终端
US20040204124A1 (en) Method of minimizing the quantity of information stored in a wireless device
KR20060127307A (ko) 휴대단말기의 영상첨부모드 전환방법
KR100553430B1 (ko)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영상 파일 저장 또는 검색 방법
KR100678261B1 (ko) 휴대단말기의 멀티태스킹 수행방법
KR20070051339A (ko) 이미지 송신 동작을 가지는 통신 디바이스 및 그 방법
KR20080111282A (ko) 사용자 컨텐츠 업로드 방법 및 시스템
KR100750198B1 (ko) 휴대단말의 화상통화기능을 이용한 영상 전송 방법
KR100706348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위치기반 주변정보 제공 시스템및 방법
KR100724892B1 (ko) 휴대단말기에서 문자입력을 통한 통화수행 방법
KR100735414B1 (ko) 휴대 단말기의 전화번호 저장 방법
KR20050053887A (ko)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검색방법
KR100724965B1 (ko)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단말기의 이미지 출력 방법
KR100735443B1 (ko) 휴대단말기의 통화목록 관리 장치 및 방법
WO2012070198A1 (ja) 受信情報表示装置及び受信情報表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